KR101142970B1 -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970B1
KR101142970B1 KR20090111993A KR20090111993A KR101142970B1 KR 101142970 B1 KR101142970 B1 KR 101142970B1 KR 20090111993 A KR20090111993 A KR 20090111993A KR 20090111993 A KR20090111993 A KR 20090111993A KR 101142970 B1 KR101142970 B1 KR 10114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saturated polyester
weight
resin composition
aggregate
polyest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1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108A (ko
Inventor
곽은구
Original Assignee
곽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은구 filed Critical 곽은구
Priority to KR2009011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9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0.5~30중량%, 무기 충전재 50~80중량% 및 수축저감재 19.5~2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물과 접촉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이 되며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높은 강도와 내구성능을 갖는 거푸집 판넬을 제공할 수 있다.
수중콘크리트 구조물, 영구거푸집, 내구성능 향상

Description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lex for concrete mold form panel}
본 발명은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무기 충전재 및 수축저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며, 매립에 의한 거푸집 제거에 대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닷가에 설치되는 수중콘크리트 구조물은 염해과 자연재해에 의하여 내구 성능의 저하가 나타나고, 상하수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박테리아에 의한 콘크리트의 부식과 박락, 탈락 등이 일어나는데 이런 콘크리트 내구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콘크리트 표면에 고분자 계열인 폴리머 및 에폭시를 보수 및 보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시트는 콘크리트 시공 후에 유지 관리에 있어서 방수 시트와 콘크리트의 이질재에 의한 들뜸이나 탈락이 일어나고, 일반 보수 및 보강재료로 사용되는 폴리머 모르타르의 경우에는 타설면과 기존 콘크리트 면과의 접착성능이 떨어져 보수에 의미가 없어지는 경우 등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기존 보수 및 보강 방법이 콘크리트의 내구 성능이 저하된 부위에만 적용하고 있어 다른 부분에 대한 안전성이 떨어지고 있다.
또한, 현행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은 합판(유로폼)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유로폼의 경우에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수분에 의해 합판이 쉽게 변형하거나 박리가 일어나기 쉽고, 거푸집 탈형시 콘크리트로부터 이형이 쉽지 않아 표면에 박리제로 코팅해야 하고, 전용회수도 평균 20회 이하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알루미늄 시트의 경우에는 유로폼보다 전용회수를 늘릴 수 있으나 무겁고 탈형시 콘크리트로부터 이형이 쉽지 않아 사용시 매번 박리제를 표면에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고가이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가격에 비하여 기계적 물성, 내알칼리성 및 성형성이 뛰어나 건축용 및 산업용 자재 등의 공업적 이용범위가 매우 넓은 소재이지만, 고도의 굽힘강성과 내충격성, 열안정성, 치수 안정성이 요구되는 거푸집용 판넬로의 사용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푸집 판넬용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유리섬유와 같은 무기 충전재 또는 다른 수지를 배합시킨 소재의 개발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굽힘강성, 충격강도, 성형성, 이형성, 투광성, 내후성, 취급 용이성 등을 모두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16027호(발명의 명칭: 거푸집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에서는 거푸집의 판넬의 주원료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일반 콘크리트 부재와 수밀성이 있는 구조물에만 적용해야 하는 한계가 있고, 가격이 비싸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유리섬유 또는 운모를 무기충전재로 사용하나 기계적 물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닷가에 인접하여 바닷물에 의한 염해나 상하수에 있는 세균성 박테리아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며, 매립에 의한 거푸집 제거가 필요 없는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0.5~30중량%, 무기 충전재 50~80중량% 및 수축저감재 19.5~2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총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인 개시제가 0.1~2.0중량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포화 2염기산, 불포화 2염기산 및 글리콜을 폴리 축합반응을 해서 얻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스티 렌(styrene) 등의 비닐 모노머에 용해한 것으로서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포화 2염기산으로는 무수말레인산(Maleic anhydride), 프말산(Fumaric acid) 등이 사용되며, 포화 2염기산으로는 무수프탈산(Pthalic anhydride), 이소프탈산(Iso-pthalic acid) 등이 사용되고, 글리콜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에틸렌글리콜(Etylene glycol) 등이 사용된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본 발명의 총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5~30중량%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0.5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혼합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부족으로 인하여 거푸집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30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과다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지고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장기간의 경화 시간과 더불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경화할 때 발생되는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무기 충전재는 충전재와 골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재는 플라이애시(분말도 1,500~3,500㎠/g), 제강더스트(분말도 500~2,500㎠/g), 폐콘크리트 미립분(분말도 100~1,000㎠/g) 등이 사용된다.
상기 플라이 애시의 분말도는 1,500㎠/g 미만의 경우에는 플라이애시에 있는 저탄소 성분에 의해 강도 저하가 야기될 수 있으며, 3,500㎠/g 초과의 경우에는 플라이애시의 비표면적에 의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사용량의 증대로 1,500~3,500㎠/g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강더스트의 분말도는 500㎠/g 미만의 경우에는 혼합시 재료 분리가 발생하며, 2,500㎠/g 초과의 경우에는 비표면적에 의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사용량의 증대로 500~2,500㎠/g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폐콘크리트 미립분의 분말도는 100㎠/g 미만의 경우에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이물질에 의해 강도 저하가 야기될 수 있으며, 1,000㎠/g 초과의 경우에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비표면적에 의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사용량의 증대로 인하여 100~1,000㎠/g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재는 10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골재의 표면을 감싸주지 못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부착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30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충전재의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과다 사용을 이끌기 때문에 무기 충전재 100중량%를 기준으로 10~30중량%로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는 폐콘크리트를 사용한 순환골재, 제강 슬래그, 동제련 슬래그 등을 사용하며, 70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량을 증대시켜 경제성이 떨어지며 90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무기 충전재 100중량%를 기준으로 70~90중량%로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골재는 골재의 조립률(fineness modulus)이 2.0~4.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2.0 미만의 경우에는 골재 내에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사용량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고, 4.0 초과의 경우에는 골재의 크기가 매우 커져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강 슬래그와 동제련 슬래그는 입형이 구형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형율이 높을 경우에는 골재간의 다짐이 잘되어 실적율이 높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잇점 때문이다. 상기 제강 슬래그와 동제련 슬래그는 구형율이 골재 하나에 대해서 긴 장축과 단축의 비율이 0.5~2.0의 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비율이 1인 것이 완전 구형으로 표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비율이 1에 가까울수록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동 특성이 좋아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감소 효율과 작업성 향상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상기 무기 충전재는 본 발명의 총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50~80중량%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50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과다 사용에 의한 경제성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화 시간이 장기간인 문제가 있고, 80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축저감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중합반응에 의해 과대한 체적 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억제하고, 치수 안정성 유지 및 한도 이상의 수축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폴리스티렌(polystrene) 수지 또는 메틸메타크릴(methylmethacrylate)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축저감재는 본 발명의 총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19.5~20중량%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19.5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불포화 폴리에 스테스 수지의 과대한 체적 수축이 발생할 문제가 있고, 20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강도 저하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개시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축합중합반응을 촉발시키는 촉매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Methylethylketonperoxi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시제는 본 발명의 총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0.1중량부 미만의 경우에는 경화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2.0중량부 초과의 경우에는 경화시간이 빨라 콘크리트 타설 등의 생산공정에 필요한 최소시간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의 제조방법은 먼저, 혼합 기계 2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혼합기계에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수축저감재를 혼합하고 다른 혼합 기계에서는 충전재인 플라이애시, 제강더스트, 폐콘크리트 미립분 중 어느 하나와 골재인 폐콘크리트를 사용한 순환골재, 제강 슬래그, 동제련 슬래그 중 어느 하나를 서로 혼합하여 무기 충전재를 만드는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동시 혼합이 끝난 후에는 상기 혼합된 수지를 무기 충전재가 혼합되어 있는 곳에 투입하여 개시제를 넣은 후 2~3분 동안 무기충전재와 수지를 혼합하는 공정을 거친다. 혼합이 끝난 후에는 원하는 모양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판상형에는 진동가압 방법을 채택하고, 원형에서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맞게 성형을 실시한다. 성형이 다 끝난 후에는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양생하여 제조한다.
상기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의 모양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모양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동가압 방법에 의해서 제조가 될 수 있으며, 원통형의 모양은 원심력 방법에 의해서 제조가 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제작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은 물과 접촉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이 되며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높은 강도와 내구성능을 갖는 거푸집 판넬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통상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실시예 1>
1-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 공정과 무기 충전재를 제조하는 공정이 별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진 후 서로 혼합하고 개시제를 투입하여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먼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30중량%와 폴리스티렌 수지 20중량%를 혼합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 50중량%를 제조하였다.
별도로 분말도 3,000㎠/g인 플라이애시 20중량%와 제강 슬래그 30중량%를 혼합하여 무기충전재 50중량%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무기충전재에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총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0.1중량부를 첨가하여 2~3분 동안 혼합하여 본 발명의 불포화 폴레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2.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본 발명의 불포화 폴레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원하는 모양의 틀에 넣은 후 진동가압 방법이나 원심력 방법에 의해 성형을 한 후에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양생하여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2-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플라이애시를 분말도 2,500㎠/g인 제강 더스트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2.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의 본 발명의 불포화 폴레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원하는 모양의 틀에 넣은 후 진동가압 방법이나 원심력 방법에 의해 성형을 한 후에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양생하여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3-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플라이애시를 분말도 1,000㎠/g인 폐콘크리트 미립분으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3-2.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의 제조
상기 실시예 3-1의 본 발명의 불포화 폴레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원하는 모양의 틀에 넣은 후 진동가압 방법이나 원심력 방법에 의해 성형을 한 후에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양생하여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4-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강 슬래그를 동제련슬래그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4-2.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의 제조
상기 실시예 4-1의 본 발명의 불포화 폴레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원하는 모양의 틀에 넣은 후 진동가압 방법이나 원심력 방법에 의해 성형을 한 후에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양생하여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5-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강 슬래그를 순환골재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5-2.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의 제조
상기 실시예 5-1의 본 발명의 불포화 폴레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원하는 모양의 틀에 넣은 후 진동가압 방법이나 원심력 방법에 의해 성형을 한 후에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양생하여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플라이애시를 분말도 4,000㎠/g인 탄산칼슘으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2.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의 제조
상기 비교예 1-1의 불포화 폴레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원하는 모양의 틀에 넣은 후 진동가압 방법이나 원심력 방법에 의해 성형을 한 후에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양생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2-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강 슬래그를 천연골재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2.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의 제조
상기 비교예 2-1의 불포화 폴레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원하는 모양의 틀에 넣은 후 진동가압 방법이나 원심력 방법에 의해 성형을 한 후에 24시간 동안 상온에 서 양생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구형율 측정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무기 충전재의 골재(제강슬래그, 동제련슬래그, 순환골재) 및 천연골재에 대한 구형율(S)을 측정하였다.
아래 그림에서의 타원형을 골재로 보고 구형율(S)은 A/B로 표기하며 아래 사진처럼 골재의 입형을 찍어서 판별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71066946-pat00001
Figure 112009071066946-pat00002
Figure 112009071066946-pat00003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강 슬래그가 거의 구형율 1에 가깝고, 순환 골재는 구형율이 1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제강 슬래그가 구형율이 가장 높고, 순환골재가 구형율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상의 구형율을 보면 0.5~2.0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2, 2-2, 3-2, 4-2 및 5-2와 비교예 1-2 내지 2-2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거푸집 판넬의 시험체에 대하여 일반 콘크리트의 유동특성 평가 방법인 슬럼프 시험이나 Vebe test 등에 의한 방법으로 유동성을 측정하였고, 200ton이상의 UTM(만능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측정하였고, 비파괴 시험 장치인 슈미트 해머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고, 공시체 제작 후에 7일간 염화물 이온이 있는 용기에 넣어 둔 후 시험체를 꺼내어 시험체에 있는 염화물 이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염화물 이온 침투저항성(Coulombs)을 측정하였고, 콘크리트 시험 방법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폐놀프탈렌 용액을 이용하여 단면에 분사시켜서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으로 중성화 저항성을 측정하였고, 제작된 폴리머 콘크리트의 박테리아 세균이 있는 공간에 넣어 놓은 후 7일 경과 후에 만능시험장치를 통해서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변화 정도를 기준으로 세균안정성을 측정하였고, 일정한 크기의 폴리머 시험체에 원통형의 용기를 붙인 후 용기에 물을 넣어 24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용기의 물을 측정하여 물의 양 변화 및 폴리머 콘크리트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투수량을 측정하였고, 일정한 크기의 시편을 물에 넣은 후 24시간 후에 시편을 꺼내어 중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물 흡수 계수를 측정하였고, 폴리머 콘크리트를 혼합한 후에 몰드에 타설하여 타설 후의 크기에서부터 경화까지의 크기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길이변화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71066946-pat00004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탄산칼슘), 실시예 1(플라이애쉬), 실시예 2(제강더스트) 및 실시예 3(폐콘크리트 미립분)은 충전재를 달리하였을 때 실험결과를 비교한 것이고, 비교예 2(천연골재), 실시예 1(제강슬래그), 실시예 4(동제련슬래그) 및 실시예 5(순환골재)는 골재를 달리하였을때 실험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먼저, 실시예 1 내지 3은 압축강도에 있어서 비교예 1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압축강도를 제외한 모든 실험결과에서는 비교예 1과 거의 유사하거나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실시예 1, 실시예 4 및 5는 모든 실험결과에서 비교예 2와 거의 유사하거나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기존의 충전재과 골재를 대체하여도 거푸집용 판넬로서 요구 성능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0.5~30중량%, 무기 충전재 50~80중량% 및 수축저감재 19.5~2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축저감재는 폴리스티렌 수지 또는 메틸메타크릴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기 충전재는 무기충전재 100중량%를 기준으로 충전재 10~30중량%와 골재 70~90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전재는 분말도가 3,000~3,500㎠/g인 플라이애시, 분말도가 2,000~2,500㎠/g인 제강더스트, 분말도가 900~1,000㎠/g인 폐콘크리트 미립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골재는 폐콘크리트를 사용한 순환골재, 제강 슬래그, 동제련 슬래그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순환골재는 골재의 조립률이 2.0~4.0이고,
    상기 제강 슬래그 또는 동제련 슬래그는 구형율이 0.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090111993A 2009-11-19 2009-11-19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 KR10114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1993A KR101142970B1 (ko) 2009-11-19 2009-11-19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1993A KR101142970B1 (ko) 2009-11-19 2009-11-19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108A KR20110055108A (ko) 2011-05-25
KR101142970B1 true KR101142970B1 (ko) 2012-05-08

Family

ID=4436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11993A KR101142970B1 (ko) 2009-11-19 2009-11-19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485B1 (ko) * 2012-03-27 2014-02-12 이종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485A (ko) * 1999-10-28 2000-01-15 조영국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모르타르
KR20010002736A (ko) * 1999-06-17 2001-01-15 이윤수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유도블럭의 제조방법
KR20020090581A (ko) * 2001-05-28 2002-12-05 연규석 플륨 관용 폴리머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륨 관의제조방법
KR20040048661A (ko) * 2002-12-04 2004-06-10 농업기반공사 용, 배수로용 폴리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736A (ko) * 1999-06-17 2001-01-15 이윤수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유도블럭의 제조방법
KR20000000485A (ko) * 1999-10-28 2000-01-15 조영국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모르타르
KR20020090581A (ko) * 2001-05-28 2002-12-05 연규석 플륨 관용 폴리머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륨 관의제조방법
KR20040048661A (ko) * 2002-12-04 2004-06-10 농업기반공사 용, 배수로용 폴리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108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wfik et al. Polymer concrete from marble wastes and recycled poly (ethylene terephthalate)
US6048593A (en) Polymer concrete compositions, structures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2008088633A (ja) 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製埋設型枠
KR101514741B1 (ko) 고강도·고내구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GB2460707A (en) Polymer concrete aggregate
JP4825949B2 (ja) 粉末化された製鋼スラグを含むポリマーコンクリー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42970B1 (ko) 거푸집 판넬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복합수지 조성물
CN1944317A (zh) 铸造废砂生产彩瓦的配方及其生产方法
KR100765857B1 (ko) 실험대 상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92884B1 (ko) 아토마이징 처리된 제강슬래그를 포함하는 폴리머 콘크리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521084A (zh) 一种高界面粘结性能的再生混凝土及其制备方法
JP3641326B2 (ja) グラウト組成物
KR101214936B1 (ko) 플라이 애쉬와 급냉 제강슬래그를 포함하는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59547B1 (ko) 폐발포폴리스타이렌을 수축저감재로 재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폴리머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u et al. Properties of degraded waste PET-Modified styrene-acrylic emulsions for cement slurry materials
KR100994833B1 (ko) 폐주물사를 활용한 폴리머콘크리트 조성물
KR101042702B1 (ko) 동슬래그 잔골재를 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맨홀 조성물
KR101665486B1 (ko) 콘크리트 혼화용 아크릴계 합성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 의한 교면포장 및 보수공법
JP3956450B2 (ja) 着色成形材料、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75375B1 (ko) 차체외판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60148736A (ko) 폐고무분말을 이용한 경량 유황콘크리트 및 고강도 경량 유황콘크리트
KR0139552B1 (ko) 초고강도 시멘트 폴리머 복합 재료의 제조방법
KR20130002615A (ko) 급냉 제강슬래그를 충전재와 잔골재로 사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bu-Jdayil et al. Date pits and date palm wood-based heat insulator composites
CN107902999A (zh) 一种超早强混凝土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