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547B1 -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 Google Patents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547B1
KR101142547B1 KR1020110088088A KR20110088088A KR101142547B1 KR 101142547 B1 KR101142547 B1 KR 101142547B1 KR 1020110088088 A KR1020110088088 A KR 1020110088088A KR 20110088088 A KR20110088088 A KR 20110088088A KR 101142547 B1 KR101142547 B1 KR 101142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heel drive
power
shaf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순
Original Assignee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8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 B60K17/34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the transfer gear being a differential gear
    • B60K17/3467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the transfer gear being a differential gear combined with a change speed gearing, e.g. range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축으로부터 구동축으로 제공되는 회전동력에 대해 감속과 동력조절이 동시에 제어되도록 이루어진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 상기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주행상태에 따라 기어비가 조절되는 변속기, 타단부는 상기 변속기에 연결되어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 그리고,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륜구동축과 후륜구동축으로 각각 전달하는 저속기어장치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저속기어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축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감속하는 감속제어부, 일단부는 상기 입력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감속제어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부, 타단부는 상기 감속제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일단부는 상기 감속제어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케이싱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감속제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감속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하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축 및 상기 동력전달축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전륜구동축과 후륜구동축으로 동력비를 조절하여 제공하는 동력제어부를 갖는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Four-wheel drive multipurpose road management working vehicle having low gear device}
본 발명은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축으로부터 구동축으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대한 감속과 동력조절이 이루어지는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노면의 결빙을 해소하거나 적설을 제거하고, 하절기에 도로주변의 잡초를 제거하거나 터널과 도로 양면의 가이드레일을 청소하는 등 사계절 다목적으로 도로를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다목적 도로관리차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목적 도로관리차에는 하절기에 주로 실시하게 되는 도로보수, 노면청소, 제초, 터널청소, 가드레일청소 등의 작업을 위한 장치와, 동절기에 많이 실시하게 되는 살포, 제설, 스노우블로워, 얼음파쇄 등의 작업을 위한 장치가 호환성 있게 구비된다.
다목적 도로관리차는 설치된 장치의 많음에 따라 무거운 자체 중량을 극복하고, 다양한 도로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고출력을 낼 수 있는 4륜 구동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목적 도로관리차에는 감속기능을 갖는 감속장치가 구비되어 저속으로 감속됨과 동시에 큰 토크(torque)를 출력축으로 전달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감속장치는 저속 감속을 통해 큰 토크를 출력축으로 전달하기 위해 지름이 큰 기어를 즉, 피치원(pitch circle)이 큰 기어를 사용하여 회전 속도를 감속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감속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감속장치(10)는 입력축(1), 주기어(2), 조정부(3), 제1 감속기어(4), 제2 감속기어(5), 전달기어(6), 출력기어(7) 및 출력축(8)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입력축(1)에는 상기 입력축(1)과 함께 회전되는 조정부(3)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조정부(3)는 상기 주기어(2) 또는 제1 감속기어(4)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1)의 회전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조정부(3)가 상기 주기어(2)에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축(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입력축(1)과 함께 상기 조정부(3)는 회전하게 되고, 상기 조정부(3)는 상기 주기어(2)를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주기어(2)는 상기 전달기어(6)를 통해 상기 출력기어(7)로 상기 주기어(2)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며, 상기 주기어(2)와 출력기어(7)의 피치원의 크기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주기어(2)의 회전력은 상기 출력기어(7)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정부(3)가 상기 제1 감속기어(4)와 선택적으로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입력축(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입력축(1)과 함께 상기 조정부(3)는 회전하게 되고 상기 조정부(3)는 상기 제1 감속기어(4)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감속기어(4)는 상기 주기어(2)의 피치원의 크기보다 작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감속기어(4)와 치합되는 상기 제2 감속기어(5)는 피치원이 상기 전달기어(6)보다 크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입력축(1)의 1회전시 상기 조정부(3)가 상기 제1 감속기어(4)에 결합된 경우는 상기 조정부(3)가 상기 주기어(2)에 결합된 경우보다 상기 전달기어(6)는 감속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상기 감속장치(10)는 피치원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기어가 상하로 치합되는 구조로 인해 장치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일정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감속기어가 구비되어야 하기에 상기 감속장치(10)를 제조함에 있어 고비용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감속 장치의 크기가 작으며 출력축으로 제공되는 동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감속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도로관리차에 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크기가 작으며 출력축으로 제공되는 동력이 제어되도록 이루어진 감속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도로관리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 상기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주행상태에 따라 기어비가 조절되는 변속기, 타단부는 상기 변속기에 연결되어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 그리고,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륜구동축과 후륜구동축으로 각각 전달하는 저속기어장치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저속기어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축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감속하는 감속제어부, 일단부는 상기 입력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감속제어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부, 타단부는 상기 감속제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일단부는 상기 감속제어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케이싱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감속제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감속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하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축 및 상기 동력전달축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전륜구동축과 후륜구동축으로 동력비를 조절하여 제공하는 동력제어부를 갖는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를 제공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감속제어부는 상기 입력축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축과 함께 회전하는 상부 태양기어, 상기 상부 태양기어의 둘레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상부 유성기어를 갖으며 상기 동력전달축과 치합되는 제1기어가 구비되고 전부에는 제1 결합부가 구비되는 상부 회전부, 내주면에는 제1 내접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상부 링기어 그리고 상기 상부 링기어와 연결되며 후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가 결합되는 연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케이싱의 제2 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회전부는 전부에는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는 상기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후부에는 상기 동력전달축과 치합되는 상기 제1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상기 동력전달축으로 전달하는 상부 캐리어, 상기 상부 캐리어의 후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태양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상부 태양기어의 회전시 자전과 공전이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 유성기어 그리고 상기 상부 유성기어의 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유성기어를 고정하며 상기 상부 유성기어의 공전시 상기 상부 캐리어가 상기 상부 유성기어의 공전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제1 덮개부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가 상기 제1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2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부 캐리어의 회전 속도가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고정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고정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1 고정 수용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동력제어부는 후부에는 상기 동력전달축과 치합되는 제2기어가 구비되고 전부에는 제3결합부가 구비되는 하부 캐리어와 상기 하부 캐리어의 후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캐리어와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하부 유성기어 및 상기 하부 유성기어의 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유성기어가 상기 하부 캐리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 덮개부를 갖는 하부 회전부, 내주면에는 제2 내접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하부 링기어, 상기 하부 링기어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상기 후륜구동축, 상기 하부 유성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하부 유성기어의 공전 중심부에 설치되는 하부 태양기어, 상기 하부 태양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 태양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전륜구동축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전륜구동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륜구동축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3 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3 고정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 고정부가 상기 제3 결합부와의 선택적인 결합에 따라 상기 전륜구동축과 후륜구동축으로 전달되는 동력비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의 감속제어부에는 태양기어, 유성기어 및 링 기어가 구비되며 제1 고정부 또는 제2 고정부의 선택적인 결합에 따라 감속제어부는 감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다수개의 피치원의 크기가 다른 기어가 상하로 구비되는 구조에 비해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둘째, 감속제어부의 하부에는 동력제어부가 구비되어 감속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은 동력제어부에 의해 전륜구동축과 후륜구동축으로 제공되는 동력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저속기어장치는 케이싱의 내부에 감속제어부와 동력제어부가 함께 구비되어 감속 및 동력비 조절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형화로 제조될 수 있다.
셋째, 감속제어부에는 종래의 감속장치에서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감속기어가 필요하지않아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를 제조함에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감속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를 보여주는 정면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가 상부 캐리어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저속기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가 케이싱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저속기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고정부와 제1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를 보여주는 정면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가 상부 캐리어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저속기어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가 케이싱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저속기어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회전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고정부와 제1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도로관리차(2000)는 차체(1100), 엔진(미도시), 변속기(1300), 전륜구동축(760), 후륜구동축(770) 및 저속기어장치(10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엔진(미도시)의 동력은 상기 변속기(1300)를 통해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에 연결된 입력축(200)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는 상기 입력축(200)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으로 각각 전달하게 되어 상기 다목적 도로관리차(2000)는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으로 전달되는 동력은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에 의해 동력비가 제어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다목적 도로관리차(2000)의 프레임(1120)에는 도로를 유지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여러 장치가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1120)의 후방 상측에는 물탱크(12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200)의 전방으로는 보조엔진룸(1210)이 더 설치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 상기 보조엔진룸(1210)은 상기 물탱크(1200)의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엔진룸(1210)에는 보조엔진(1220)이 구비되는데, 상기 보조엔진(1220)은 차량의 운행에 관련되어 사용되는 동력 이외의 용도에 사용되는 보조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엔진룸(1210)에는 상기 보조엔진(1220)에 의해서 동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워터펌프(미도시)와 유압펌프(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펌프는 상기 물탱크(1200)로부터 공급받은 물에 압력을 가하여 토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1100)에는 주로 하절기에 사용될 수 있는 다음과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차체(1100)에는 노면을 청소하기 위한 노면청소용 고압 살수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면청소용 고압 살수장치는 제1살수장치(1240), 측면살수장치(1250) 그리고 제2살수장치(1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살수장치(1240)는 상기 프레임(1120)의 전방 범퍼 하단에 상하 및 좌우로 방향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노면을 향해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살수장치(1250)는 상기 프레임(1120)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인도 경계석의 코너부분이나 도로 중앙의 표지병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살수장치(1260)는 상기 프레임(1120)의 후방에 구비되어 노면에 물을 재살수하여 노면이 더욱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체(1100)의 전방에는 도로 미관용 화단이나 가드레일 등과 같이 노면에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청소하기 위한 가드레일청소용 방수포(127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체(1100)의 중앙 하부에는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노면청소용 진공흡입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물탱크(1200)의 상부에는 터널청소용 방수포(1280)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노면청소용 고압 살수장치, 상기 가드레일청소용 방수포(1270) 및 상기 터널청소용 방수포(1280)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물탱크(1200)로부터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1100)에는 도로보수장치(미도시) 및 제초기(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동절기의 경우에는 상기 다목적 도로관리차(2000)의 상기 차체(1100)에는 살포기(미도시), 제설기(미도시), 스노우블로워(미도시) 및 얼음파쇄기(미도시) 등의 장치들이 구비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다목적 도로관리차(2000)는 설치된 장치들로 인한 자체 중량을 극복하여 운행이 가능하도록 높은 출력을 낼 수 있는 4륜 구동 시스템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다목적 도로관리차(2000)는 상기 엔진, 변속기(1300), 전륜구동축(760), 후륜구동축(770) 그리고 저속기어장치(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엔진은 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변속기(1300)는 주행상태에 따라 기어비가 적절히 변화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200)의 타단부는 상기 변속기(1300)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축(200)의 일단부는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에 결합되어 상기 변속기(130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엔진의 동력을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에는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상기 후륜구동축(770)이 결합되는데,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는 상기 입력축(200)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상기 후륜구동축(77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전륜구동축(760)에는 전륜(762)이 결합되고, 상기 후륜구동축(770)에는 후륜(772)이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다목적 도로관리차(2000)는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는 케이싱(100), 감속제어부(300), 제1 고정부(400), 제2 고정부(500), 동력전달축(600) 및 동력제어부(7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의 외형을 형성하게 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감속제어부(300) 또는 동력제어부(700) 등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200)의 타단부에는 상기 변속기(1300)가 결합되어 상기 엔진(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은 상기 입력축(200)을 통해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축(200)에는 입력축 지지베어링(210)이 구비되며 상기 입력축 지지베어링(210)은 상기 케이싱(100)에 지지되어 상기 입력축(20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입력축(200)의 일단부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감속제어부(30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감속제어부(300)는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동력전달축(60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속제어부(300)는 상기 제1 고정부(4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제2 고정부(5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동력전달축(60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감속제어부(300)는 상부 태양기어(310), 상부 회전부(320), 상부 링기어(360) 및 연결부(37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는 상기 입력축(200)에 설치되되 상기 입력축(200)의 일단부 외주면 일부분에 상기 입력축(200)과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는 상기 입력축(200)과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회전부(320)는 상부 캐리어(330), 상부 유성기어(340) 및 제1 덮개부(3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상부 캐리어(330)의 전부에는 상기 제1 고정부(4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결합부(33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고정부(400)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며 상기 제1 고정부(40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고정 돌출부(410)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 결합부(33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고정 돌출부(4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갖는 제1 고정 수용홈(33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부(400)의 일단부가 상기 입력축(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부(400)의 타단부는 슬라이딩되어 상기 입력축(200)과 상부 캐리어(33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400)와 결합되는 상기 입력축(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고정 수용홈(33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입력축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 돌출부(410)는 상기 입력축 수용홈(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1 고정부(400)가 상기 입력축(200)과 상부 캐리어(330)를 결합함에 있어 상기 제1 고정부(40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고정 돌출부(410)는 상기 상부 캐리어(330)에 형성된 상기 제1 고정 수용홈(332)에 삽입되어 상기 입력축(200)과 상부 캐리어(330)는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 캐리어(330)의 후부에는 상기 동력전달축(600)과 치합되는 제1기어(333)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캐리어(330)의 회전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축(600)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제1기어(333)는 바퀴 주위에 비틀린 이가 절삭되어 있는 원통 기어인 헬리컬기어(Helical gear)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기어(333)가 평기어가 아닌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짐으로써 평기어보다 접촉선의 길이가 길어서 큰 힘이 전달될 수 있고, 회전함에 있어 소음이 작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상부 캐리어(330)에는 제1 베어링부(334)가 상기 상부 캐리어(330)의 외측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캐리어(330)에는 상기 제1 베어링부(334)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캐리어(330)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측에 지지되어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베어링부(334)는 상기 상부 캐리어(33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상기 케이싱(100)이 상기 상부 캐리어(330)와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는 상기 상부 캐리어(330)의 후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와 치합되어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의 회전시 자전과 공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는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의 둘레에 치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는 3개가 방사형으로 구비된 형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덮개부(350)는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가 상기 상부 캐리어(3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를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덮개부(350)에는 제1 고정돌기(351)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의 중앙에 형성된 상부 유성기어홀(341)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상부 캐리어(330)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가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를 중심으로 공전하게 되면 상기 상부 캐리어(330)는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의 공전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덮개부(350)의 외측 둘레에는 제2 베어링부(342)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덮개부(350)는 상기 연결부(37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덮개부(350)에는 상기 제2 베어링부(342)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덮개부(35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연결부(370)는 상기 제1 덮개부(350)와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링기어(360)의 내주면에는 제1 내접기어(361)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와 치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부(370)는 상기 상부 링기어(360)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 링기어(360)와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70)와 상기 상부 링기어(360)는 일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70)의 외측 둘레에는 제3 베어링부(371)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370)는 상기 케이싱(100)에 지지되어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370)의 후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50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4 결합부(37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부(500)의 일단부는 상기 제4 결합부(372)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케이싱(100)에 구비되는 제2 결합부(110)와 선택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부(500)는 상기 제1 고정부(400)와 같이 상기 제2 고정부(500)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며 상기 제2 고정부(50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고정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부(500)는 상기 제1 고정부(400)와 동일한 결합방식에 의해 상기 케이싱(100)과 연결부(370)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축(600)은 전부에 상기 케이싱(100)에 지지되는 제4 베어링부(610)가 구비되고 후부에 상기 케이싱(100)에 지지되는 제5 베어링부(620)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축(600)은 상기 케이싱(100)에 지지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동력전달축(600)은 상기 감속제어부(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감속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동력제어부(700)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축(600)에는 동력전달기어(630)가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기어(630)는 상기 제1기어(333)와 치합되어 상기 제1기어(333)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동력제어부(700)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기어(630)는 바퀴 주위에 비틀린 이가 절삭되어 있는 원통 기어인 헬리컬기어(Helical gear)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동력전달기어(630)가 평기어가 아닌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짐으로써 평기어보다 접촉선의 길이가 길어서 큰 힘이 전달될 수 있고, 회전함에 있어 소음이 작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동력제어부(700)는 하부 회전부(710), 하부 링기어(750), 상기 전륜구동축(760), 상기 후륜구동축(770), 하부 태양기어(780) 및 제3 고정부(79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 회전부(710)는 상기 동력전달축(6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기어(630)와 치합되어 상기 동력전달기어(63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 회전부(710)는 하부 캐리어(720), 하부 유성기어(730) 및 제2 덮개부(7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 캐리어(720)의 전부에는 상기 제3 고정부(79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3 결합부(7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3 고정부(790)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며 상기 제3 고정부(79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 고정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3 결합부(721)에는 상기 제3 고정 돌출부(미도시)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3 고정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3 고정부(790)는 상기 제1 고정부(400)와 동일한 결합방식에 의해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하부 캐리어(72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3 고정부(790)는 상기 제3 고정부(790)의 일단부가 상기 전륜구동축(76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3 고정부(790)의 타단부는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하부 캐리어(72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전륜구동축(760)에 결합된 상기 제3 고정부(790)가 상기 하부 캐리어(720)에 선택적인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으로 전달되는 동력비는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 캐리어(720)의 후부에는 상기 동력전달기어(630)와 치합되는 제2기어(722)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축(600)의 회전 동력을 상기 하부 캐리어(720)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제2기어(722)는 바퀴 주위에 비틀린 이가 절삭되어 있는 원통 기어인 헬리컬기어(Helical gear)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기어(722)가 평기어가 아닌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짐으로써 평기어보다 접촉선의 길이가 길어서 큰 힘이 전달될 수 있고, 회전함에 있어 소음이 작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하부 캐리어(720)에는 제6 베어링부(723)가 상기 하부 캐리어(720)의 외측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6 베어링부(723)는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측에 지지되어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는 상기 하부 캐리어(720)의 후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와 상기 하부 링기어(750)에 치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는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의 둘레에 치합되도록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의 상기 하부 유성기(730)는 3개가 방사형으로 구비된 형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덮개부(740)는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가 상기 하부 캐리어(7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를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덮개부(740)에는 제2 고정돌기(741)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의 중앙에 형성된 하부 유성기어홀(731)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하부 캐리어(720)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 캐리어(7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는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를 기준으로 공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 덮개부(740)의 외측 둘레에는 제7 베어링부(74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덮개부(740)는 상기 후륜구동축(77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 링기어(750)의 내주면에는 제2 내접기어(751)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와 치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후륜구동축(770)은 상기 하부 링기어(750)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 링기어(750)의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후륜구동축(770)과 하부 링기어(75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후륜구동축(770)의 외측 둘레에는 제8 베어링부(771)가 구비되어 상기 후륜구동축(770)은 상기 케이싱(100)에 지지되어 상기 후륜구동축(77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륜구동축(760)에는 전륜구동축 지지베어링(761)이 구비되며 상기 전륜구동축 지지베어링(761)은 상기 케이싱(10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는 상기 전륜구동축(760)의 일단부의 외주면 일부분에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는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는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가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의 둘레에 치합되도록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의 공전 중심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동력제어부(700)는 상기 동력전달축(6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으로 각각 동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동력제어부(700)에는 상기 제3 고정부(79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으로 전달되는 동력비는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엔진(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은 상기 입력축(200)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감속제어부(300)가 작동됨에 있어 상기 제1 고정부(400)와 제2 고정부(500)의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속도는 상기 동력전달축(600)으로 전달됨에 있어 감속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감속제어부(300)는 상기 제1 고정부(400)와 제2 고정부(50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결합부(331) 또는 제2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속도는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3의 상기 제1 고정부(400)가 상기 상부 캐리어(3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자.
먼저, 상기 입력축(200)에 결합된 상기 제1 고정부(400)의 타단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결합부(331)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부(500)는 상기 연결부(370)와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입력축(200)과 상기 상부 캐리어(330)는 일체로 결합된 상태이기에 상기 입력축(200)의 회전속도와 상기 상부 캐리어(330)의 회전속도는 동일하게 된다.
이에, 상기 입력축(200)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상부 캐리어(330)는 상기 입력축(200)의 회전속도와 같은 속도로 상기 동력전달축(600)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기어(333)가 상기 동력전달기어(630)와 치합되어 상기 상부 캐리어(3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축(600)은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동력전달축(6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축(6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하부 캐리어(720)는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기어(630)는 상기 제2기어(722)와 치합되어 상기 동력전달축(6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동력제어부(700)는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동력제어부(700)의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은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속도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입력축(200)의 회전속도와 구동축(전륜구동축, 후륜구동축)의 회전속도비는 1:1로 동일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제어부(700)는 상기 제3 고정부(790)의 타단부가 상기 전륜구동축(760)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3 결합부(721)와의 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으로 제공되는 동력비가 조절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3 고정부(790)의 타단부가 상기 전륜구동축(760)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3 결합부(721)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캐리어(720)와 상기 전륜구동축(760)은 일체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캐리어(7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는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를 기준으로 공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의 회전과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의 공전은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는 상기 하부 캐리어(7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를 기준으로 공전만 이루어질 뿐 자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는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와 치합된 상기 하부 링기어(750)는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의 공전 회전과 같이 회전하게 되어 상기 후륜구동축(770)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3 고정부(790)의 타단부가 상기 전륜구동축(760)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3 결합부(721)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 하부 유성기어(730), 하부 캐리어(720) 및 상기 하부 링기어(750)는 모두 연결된 상태로 하나의 덩어리가 되어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동력전달축(600)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은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으로 동일하게 분배되어 동일한 동력이 전달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3 고정부(790)의 타단부가 상기 제3 결합부(721)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하부 캐리어(7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는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를 기준으로 공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는 상기 하부 캐리어(7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를 기준으로 공전만 이루어질 뿐 자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는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는 상기 하부 캐리어(7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에 맞물린 상기 하부 링기어(750)와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가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와 하부 링기어(750)를 동일하게 회전시킴에 있어 내경의 크기가 큰 상기 하부 링기어(750)에 상기 하부 태양기어(780)보다 더 큰 동력이 전달된다.
이에, 상기 하부 유성기어(730)로부터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으로 전달되는 동력의 크기는 차이가 있으며 이때,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의 동력비는 3:7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동력제어부(700)는 각 기어들의 크기 조절에 따라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으로 전달되는 동력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도 4의 상기 제2 고정부(500)가 상기 케이싱(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자.
먼저, 상기 제1 고정부(400)가 상기 제1 결합부(331)에 결합되지 않고 상기 제2 고정부(500)의 일단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2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축(200)과 일체로 결합된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는 상기 입력축(200)과 동일한 회전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는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의 둘레에 치합되는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링기어(360)는 상기 상부 링기어(360)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370)가 상기 제2 고정부(500)에 의해 상기 케이싱(10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상부 링기어(360)는 회전되지 않으며 고정된 상태로 존재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는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가 회전됨에 따라 자전하면서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를 기준으로 공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링기어(360)는 상기 제2 고정부(5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기에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는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를 기준으로 공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가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를 기준으로 공전함에 있어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의 공전 방향은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전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가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를 중심으로 공전됨에 있어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는 상기 제1 고정돌기(351)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 캐리어(330)가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캐리어(330)는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의 공전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의 피치원의 크기는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의 피치원의 크기보다 작도록 이루어져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출력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감속제어부(300)가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속도를 감속하기 위해 상기 상부 태양기어(310)의 피치원의 크기와 상기 상부 유성기어(340)의 피치원의 크기 조절을 통해 감속비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감속제어부(300)가 감속됨에 있어 상기 상부 캐리어의 회전속도는 상기 입력축(200)의 회전속도에 비해 1/5로 감속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1 고정부(400)가 상기 제1 결합부(331)에 결합되지 않고 상기 제2 고정부(500)의 일단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2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축(200)의 회전속도는 감속된 상태로 상기 상부 캐리어(330)로 전달되어 상기 동력전달축(60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감속제어부(300)는 저속으로 감속됨과 동시에 큰 토크를 상기 동력전달축(600)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333)는 상기 동력전달기어(630)와 치합되어 상기 상부 캐리어(3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축(600)은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동력전달축(6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축(6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하부 캐리어(720)는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기어(630)는 상기 제2기어(722)와 치합되어 상기 동력전달축(6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동력제어부(700)는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동력제어부(700)의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은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속도의 1/5로 감속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전술된 상기 입력축(200)과 구동축의 회전속도비가 1:1인 경우일 때보다 더 큰 토크를 갖으며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제어부(700)는 전술된 내용과 같이 상기 제3 고정부(790)의 타단부가 상기 전륜구동축(760)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3 결합부(721)와의 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으로 제공되는 동력비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목적 도로관리차(2000)에는 상기 감속제어부(300)와 동력제어부(700)가 상기 제1 고정부(400), 제2 고정부(500) 및 제3 고정부(790)의 선택적인 결합에 따라 상기 전륜구동축(760)과 후륜구동축(770)의 회전속도 및 동력비가 제어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전륜(762)과 후륜(772)으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400), 제2 고정부(500) 및 제3 고정부(790)의 선택적인 작동은 운전석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감속제어부(300)와 동력제어부(700)가 상하로 구비된 상기 저속기어장치(1000)는 상기 입력축(200)으로부터 제공된 회전동력에 대해 감속 및 동력비 조정하여 구동축으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케이싱 110: 제2 결합부
200: 입력축 300: 감속제어부
310: 상부 태양기어 320: 상부 회전부
330: 상부 캐리어 340: 상부 유성기어
350: 제1 덮개부 360: 상부 링기어
370: 연결부 400: 제1 고정부
500: 제2 고정부 600: 동력전달축
700: 동력제어부 710: 하부 회전부
720: 하부 캐리어 730: 하부 유성기어
740: 제2 덮개부 750: 하부 링기어
760: 전륜구동축 770: 후륜구동축
780: 하부 태양기어 790: 제3 고정부
1000: 저속기어장치 1100: 차체
1200: 물탱크 1300: 변속기
2000: 다목적 도로관리차

Claims (7)

  1. 엔진;
    상기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주행상태에 따라 기어비가 조절되는 변속기;
    타단부는 상기 변속기에 연결되어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 그리고,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륜구동축과 후륜구동축으로 각각 전달하는 저속기어장치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저속기어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축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감속하는 감속제어부;
    일단부는 상기 입력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감속제어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부;
    타단부는 상기 감속제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일단부는 상기 감속제어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케이싱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감속제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감속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하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축; 및
    상기 동력전달축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전달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전륜구동축과 후륜구동축으로 동력비를 조절하여 제공하는 동력제어부를 갖는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제어부는
    상기 입력축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축과 함께 회전하는 상부 태양기어;
    상기 상부 태양기어의 둘레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상부 유성기어를 갖으며 상기 동력전달축과 치합되는 제1기어가 구비되고 전부에는 제1 결합부가 구비되는 상부 회전부;
    내주면에는 제1 내접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상부 링기어; 그리고,
    상기 상부 링기어와 연결되며 후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가 결합되는 연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케이싱의 제2 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부는
    전부에는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는 상기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후부에는 상기 동력전달축과 치합되는 상기 제1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상기 동력전달축으로 전달하는 상부 캐리어;
    상기 상부 캐리어의 후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태양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상부 태양기어의 회전시 자전과 공전이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 유성기어; 그리고,
    상기 상부 유성기어의 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유성기어를 고정하며 상기 상부 유성기어의 공전시 상기 상부 캐리어가 상기 상부 유성기어의 공전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제1 덮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가 상기 제1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2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부 캐리어의 회전 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고정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고정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1 고정 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어부는
    후부에는 상기 동력전달축과 치합되는 제2기어가 구비되고 전부에는 제3결합부가 구비되는 하부 캐리어와 상기 하부 캐리어의 후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캐리어와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하부 유성기어 및 상기 하부 유성기어의 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유성기어가 상기 하부 캐리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 덮개부를 갖는 하부 회전부;
    내주면에는 제2 내접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하부 링기어;
    상기 하부 링기어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상기 후륜구동축;
    상기 하부 유성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하부 유성기어의 공전 중심부에 설치되는 하부 태양기어;
    상기 하부 태양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 태양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전륜구동축;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전륜구동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륜구동축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3 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3 고정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3 고정부가 상기 제3 결합부와의 선택적인 결합에 따라 상기 전륜구동축과 후륜구동축으로 전달되는 동력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KR1020110088088A 2011-08-31 2011-08-31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KR101142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088A KR101142547B1 (ko) 2011-08-31 2011-08-31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088A KR101142547B1 (ko) 2011-08-31 2011-08-31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547B1 true KR101142547B1 (ko) 2012-05-08

Family

ID=4627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088A KR101142547B1 (ko) 2011-08-31 2011-08-31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5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830B1 (ko) * 1994-09-21 1998-08-17 쭈지 요시후미 변속기 및 트랜스퍼 장치의 부변속기
JP2006076450A (ja) 2004-09-09 2006-03-23 Yanmar Co Ltd 作業車両
JP2008138755A (ja) 2006-11-30 2008-06-19 Iseki & Co Ltd 多目的作業車の動力伝動機構
KR100937975B1 (ko) * 2009-05-26 2010-01-21 김종순 진동저감장치가 장착된 4륜 구동 다목적 도로관리 작업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830B1 (ko) * 1994-09-21 1998-08-17 쭈지 요시후미 변속기 및 트랜스퍼 장치의 부변속기
JP2006076450A (ja) 2004-09-09 2006-03-23 Yanmar Co Ltd 作業車両
JP2008138755A (ja) 2006-11-30 2008-06-19 Iseki & Co Ltd 多目的作業車の動力伝動機構
KR100937975B1 (ko) * 2009-05-26 2010-01-21 김종순 진동저감장치가 장착된 4륜 구동 다목적 도로관리 작업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0987B (zh) 用于工作车辆传动系统的变速器
CN110158521A (zh) 一种市政园林用道路环保清洁车
CN101611675B (zh) 电动独立行走割草机
US20130281250A1 (en) Torque vectoring device
WO2006041407A8 (en) Driver for a twin cutting device with counter rotating blades
CN105724193B (zh) 一种电动卷盘喷灌机的太阳能电源车
CN104947626A (zh) wifi控制太阳能地面除雪、清洁、洒水小车
CN111335227B (zh) 一种道路中央护栏清洁装置
KR101142547B1 (ko)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가 장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JP2007520992A (ja) 土壌通気装置
US20180319268A1 (en) A work vehicle
KR100453208B1 (ko) 유압구동식 노면청소차량
JPH10252011A (ja) タイヤローラ
CN109505324B (zh) 一种轮式排水沟清理器及其使用方法
CN101785390A (zh) 骑乘式草坪机的差速驱动装置
KR20110011038A (ko) 자동차용 차동유성기어 방식 캘리퍼 일체형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KR101096181B1 (ko) 4륜 구동용 저속기어장치
CN216739438U (zh) 一种扫雪机
CN206625112U (zh) 一种抹平机
CN108849006A (zh) 旋转刀盘式树篱修剪机
CN214709506U (zh) 一种撒料装置
JP3415376B2 (ja) 走行クローラの操向装置
KR100320124B1 (ko) 구동장치
CN208724459U (zh) 旋转刀盘式树篱修剪机
CN2885934Y (zh) 清扫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