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948B1 -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948B1
KR101141948B1 KR1020120011890A KR20120011890A KR101141948B1 KR 101141948 B1 KR101141948 B1 KR 101141948B1 KR 1020120011890 A KR1020120011890 A KR 1020120011890A KR 20120011890 A KR20120011890 A KR 20120011890A KR 101141948 B1 KR101141948 B1 KR 101141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il
core pin
pin
i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김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김근영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120011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0Connecting leads to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체결블록; 상기 체결블록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부에는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코어핀이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핀블록; 상기 코어핀과 대응되는 코어핀삽입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코어핀삽입공에 각 코어핀이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핀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핀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하면 상기 코어핀의 상부에 코일을 와인딩할 수 있도록 코어핀의 상부를 코어핀삽입공으로 돌출시키며, 상승하면 와인딩된 코일이 상기 코어핀으로부터 탈거되도록 돌출된 코어핀의 상부를 코어핀삽입공으로 삽입시키는 승강블록; 상기 체결블록 상에서 상기 승강블록의 측부에 배치되어 하강된 승강블록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톱블록; 및 삽입홈이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가 장착되며, 상기 핀블록의 상부에서 상하방향(H)으로 이동하며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의 각 삽입홈이 상기 코어핀삽입공으로 돌출된 코어핀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블록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면서 코어핀으로부터 탈거된 코일을 회수하는 코일회수블록;을 포함하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Coil Inserting Apparatus For Inductor}
본 발명은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로 배열된 코어핀에 와인딩된 코일을 인덕터 하우징어레이의 각 삽입홈에 동시 삽입하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이 내장되는 인덕터는 내부에 권선된 코일의 전기적 특성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축적하거나 전류의 변화량에 비례하는 전압을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전자회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덕터는 전자기기들의 초박형 초소형화의 추세에 따라 전자기기에 부속되는 다양한 전자부품들과 마찬가지로 그 크기가 함께 소형화되면서 수 mm 의 크기를 갖는 제품들까지 출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인덕터는 코일을 코어에 소정 회수로 와인딩하고, 코일이 와인딩된 코어를 하우징 내부의 홈에 삽입하고 덮개로 커버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소형 인덕터의 경우에는 크기가 너무 작아 하우징을 고정시키기가 제한되며 낱개 단위로 코일을 와인드하여 홈에 삽입하는 공정 역시 용이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파운드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다수 개의 삽입홈(2)이 형성된 하우징(1)을 마련하고, 코일(4)이 와인딩된 코어(3)를 각 삽입홈(2)에 각각 개별적으로 삽입하며, 하우징(1)의 크기에 대응되는 덮개(미도시)로 커버한 후 낱개 단위로 커팅하여 다수 개의 인덕터를 동시에 제조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기존의 낱개 단위로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보다는 생산성이 향상되었으나, 각 코일(4)을 개별단위로 와인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코일(4)이 와인딩된 코어(3)를 삽입하는 등 작업자로 하여금 제조공정에 세밀한 집중력이 요구되었으며 이로 인해 작업피로를 쉽게 느끼게 되어 생산효율이 저조한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았으며 이는 제조단가를 절감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38277호(2011.04.14), 인덕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 개로 배열된 코어핀에 와인딩된 코일을 인덕터 하우징어레이의 각 삽입홈에 자동적으로 동시 삽입함으로써, 다수 개의 인덕터를 동시에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며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는, 지지프레임(200)에 장착되어, 복수 개로 배열된 코어핀(110)에 와인딩된 코일(10)을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에 동시 삽입하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체결블록(710); 상기 체결블록(71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부에는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코어핀(110)이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핀블록(730); 상기 코어핀(110)과 대응되는 코어핀삽입공(721)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코어핀삽입공(721)에 각 코어핀(110)이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핀블록(7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핀(11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H)으로 이동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하면 상기 코어핀(110)의 상부에 코일(10)을 와인딩할 수 있도록 코어핀(110)의 상부를 코어핀삽입공(721)으로 돌출시키며, 상승하면 와인딩된 코일(10)이 상기 코어핀(110)으로부터 탈거되도록 돌출된 코어핀(110)의 상부를 코어핀삽입공(721)으로 삽입시키는 승강블록(720); 상기 체결블록(710) 상에서 상기 승강블록(720)의 측부에 배치되어 하강된 승강블록(72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톱블록(740); 및 삽입홈(810)이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가 장착되며, 상기 핀블록(73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H)으로 이동하며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이 상기 코어핀삽입공(721)으로 돌출된 코어핀(110)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블록(72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면서 코어핀(110)으로부터 탈거된 코일(10)을 회수하는 코일회수블록(4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블록(710)과 승강블록(720) 사이에는 상기 체결블록(710)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블록(720)을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7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750)은, 상기 승강블록(720)이 하강하면 압축되며, 하강된 승강블록(720)을 고정시키는 스톱블록(740)의 고정력이 해제되면 상기 승강블록(720)이 상승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코어핀(110)에 와인딩된 코일(10)이 코어핀(110)으로부터 탈거되도록 돌출된 코어핀(110)의 상부를 코어핀삽입공(721)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블록(720)의 양측부에는 록킹홈(731)이 길이방향(L)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블록(720)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홈(731)의 위치와 대응되는 스톱블록(740)의 양측에는 록킹홀(744)이 길이방향(L)으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홀(744)에는 상기 록킹홀(744)에 삽입되어 길이방향(L)으로 슬라이딩하며 단부(742)가 상기 록킹홈(7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승강블록(720)의 하강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록킹플레이트(74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블록(740)에는, 상기 록킹플레이트(741)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742)가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742)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록킹플레이트(741)가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부(742)가 록킹홈(731)으로부터 이탈하면서 하강된 승강블록(720)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해제되며, 상기 록킹플레이트(741)는, 상기 승강블록(720)이 하강한 상태에서 단부(742)가 록킹홈(731)에 삽입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750)에 의해 록킹홈(731)의 바닥면이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블록(710)에는 상기 핀블록(730)의 하부를 가압하는 제3탄성부재(711)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블록(710)과 핀블록(73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블록(720)의 상부에 코일회수블록(470)이 안착되면서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의 상면이 상기 코어핀(110)의 상단을 가압하면 상기 핀블록(730)이 상기 소정의 간격 내에서 하부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장착되어 각 코어핀(110)마다 개별적으로 코일(10)을 와인딩하는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30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블록(710)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L)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레일(240)에 슬라이딩하며 길이방향(L)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블록(600)의 상부에 체결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록(600)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길이방향(L)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레일(240) 상에서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의 하부 위치에는, 상하방향(H)으로 배치되어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지지되며 상단은 상기 체결블록(7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가이드레일(240)의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블록(241)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에 의하면,
첫째, 다수 개로 배열된 코어핀에 와인딩된 코일을 인덕터 하우징어레이의 각 삽입홈에 자동적으로 동시 삽입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코일을 삽입홈에 개별적으로 삽입하는 등 작업자에게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하는 작업공정이 자동화되어 수행되므로 다수 개의 인덕터를 동시에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며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체결블록에는 핀블록의 하부를 가압하는 제3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블록과 핀블록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블록의 상부에 코일회수블록이 안착되면서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의 각 삽입홈의 상면이 상기 코어핀의 상단을 가압하면 상기 핀블록이 상기 소정의 간격 내에서 하부방향으로 하강함으로써, 코어핀삽입공으로 돌출된 코어핀의 상부가 코어핀삽입공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와인딩된 코일을 코어핀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
셋째, 길이방향(L)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레일 상에서 상기 코일회수블록의 하부 위치에는, 상하방향(H)으로 배치되어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며 상단은 상기 체결블록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가이드레일의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블록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코일회수블록이 하강하여 승강블록의 블록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가이드블록이 가이드레일을 가압하여 가이드레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터 제조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가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에 코일을 와인딩하는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리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에 의해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의 각 코어핀에 코일이 와인딩되는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의 코어핀에 코일이 와인딩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 하우징어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회수블록이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동작원리 및 지지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 11은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의 각 코어핀에 와인딩된 코일이 인덕터 하우징어레이의 각 삽입홈에 안착되며 회수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100)는, 지지프레임(200)에 장착되어, 복수 개로 배열된 코어핀(110)에 와인딩된 코일(10)을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에 동시 삽입하는 삽입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블록(710), 핀블록(730), 승강블록(720), 스톱블록(740), 코일회수블록(470), 가이드블록(600) 및, 제어모듈(50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테이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100)가 일정높이에 설치되도록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일측에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100)의 코어핀(110)마다 개별적으로 코일(10)을 자동으로 와인딩하는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300)가 배치된다.
상기 체결블록(710)은, 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핀블록(730), 승강블록(720) 및 스톱블록(740)이 장착되는 베이스판으로서, 상기 가이드블록(600)의 상부에 체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록(600)과 함께 길이방향(L)으로 이동하며, 체결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가이드블록(600)의 상부에 체결된다.
상기 핀블록(730)은, 체결블록(710)의 상부 중앙에 체결되고, 상부에는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코어핀(110)이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성요소로서, 상기 코어핀(110)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블록(710)에는 핀블록(730)의 하부를 가압하는 제3탄성부재(711)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블록(710)과 핀블록(73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블록(720)의 상부에 코일회수블록(470)이 안착되면서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의 상면이 코어핀(110)의 상단을 가압하면 핀블록(730)이 상기 소정의 간격 내에서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코어핀삽입공(721)으로 돌출된 코어핀(110)의 상부가 코어핀삽입공(721)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와인딩된 코일(10)을 코어핀(110)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스톱블록(740)의 내측 또는 체결블록(710)의 상부에는 상기 제3탄성부재(711)에 의해 핀블록(730)이 가압되지 않는 조건에서 상부방향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상기 핀블록(730)의 상부를 지지하는 돌출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출턱에 의해 상기 핀블록(730)이 상부방향으로 상승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블록(720)은, 상하방향(H)으로 승강가능하게 핀블록(730)에 삽입장착되어 핀블록(730)의 코어핀(110) 상부에 와인딩된 코일(10)을 선택적으로 탈거시켜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에 탈거된 코일(10)을 삽입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핀블록(730)의 코어핀(110)과 대응되는 코어핀삽입공(721)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코어핀삽입공(721)에 각 코어핀(110)이 관통 삽입되도록 핀블록(7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핀(11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H)으로 이동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하면 코어핀(110)의 상부에 코일(10)을 와인딩할 수 있도록 코어핀(110)의 상부를 코어핀삽입공(721)으로 돌출시키며, 상승하면 와인딩된 코일(10)이 상기 코어핀(110)로부터 탈거되도록 돌출된 코어핀(110)의 상부를 코어핀삽입공(721)으로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체결블록(710)과 승강블록(720) 사이에는 체결블록(710)에 지지되어 승강블록(720)을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7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750)은, 상기 승강블록(720)이 하강하면 압축되며, 하강된 승강블록(720)을 고정시키는 스톱블록(740)의 고정력이 해제되면 상기 승강블록(720)이 상승하도록 가압하여 코어핀(110)에 와인딩된 코일(10)이 코어핀(110)으로부터 탈거되도록 돌출된 코어핀(110)의 상부를 코어핀삽입공(721)으로 삽입시킨다.
상기 스톱블록(740)은 체결블록(710) 상에서 승강블록(720)의 측부에 배치되어 하강된 승강블록(72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승강블록(720)의 양측부에는 록킹홈(731)이 길이방향(L)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블록(720)이 하강한 상태에서 록킹홈(731)의 위치와 대응되는 스톱블록(740)의 양측에는 록킹홀(744)이 길이방향(L)으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홀(744)에는 록킹홀(744)에 삽입되어 길이방향(L)으로 슬라이딩하며 단부(742)가 상기 록킹홈(7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승강블록(720)의 하강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록킹플레이트(74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톱블록(740)에는, 록킹플레이트(741)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742)가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742)의 가압력에 의해 록킹플레이트(741)가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부(742)가 록킹홈(731)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하강된 승강블록(720)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해제되며, 상기 록킹플레이트(741)는 승강블록(720)이 하강한 상태에서 단부(742)가 록킹홈(731)에 삽입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750)에 의한 록킹홈(731)의 바닥면이 록킹플레이트(741)의 하부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은, 상기 승강블록(72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H)으로 승강하여 상기 승강블록(720)의 상부를 가압하여 스톱블록(740)의 고정력을 해제하여 승강블록(720)을 상승시키며 상기 승강블록(720)에 의해 코어핀(110)으로부터 탈거된 코일(10)을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삽입홈(810)으로 삽입하여 회수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삽입홈(810)이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가 장착되며, 상기 핀블록(73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H)으로 이동하며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이 코어핀삽입공(721)으로 돌출된 코어핀(110)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블록(72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면서 코어핀(110)으로부터 탈거된 코일(10)을 회수한다.
여기서,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블록(730)에 형성된 각 코어핀(110)과 대응되는 다수 개의 삽입홈(810)이 형성된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100)에 의해 상기 삽입홈(810)에 각각의 코일(10)을 삽입하는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으로부터 탈거시킨 후,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크기에 대응되는 덮개(미도시)로 커버한 후 상기 덮개의 외부로 전극이 노출되도록 연마하고 낱개 단위로 커팅함으로써 다수 개의 인덕터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이 상하방향(H)으로 승강함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하부면에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이 장착되는 상부지지판(910)와, 상기 지지대(910)의 둘레에서 상하방향(H)으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0)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 형성된 지지봉(930)과, 상기 지지봉(930)의 하단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지지판(920) 및, 상기 지지프레임(200)과 하부지지판(920) 사이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하부에 장착되며 하부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하부지지판(920)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940)을 포함하는 승강구동부(900)에 의해 상하방향(H)으로 승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940)은 유압 또는 공압 등의 유체를 이용하여 압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900)는 제어모듈(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하부지지판(920)를 가압하여 지지봉(930)을 통해 연결된 상부지지판(910)을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을 하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하부지지판(920)을 상부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상부지지판(910)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940)이 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을 가압하거나 잡아당겨 직접적으로 승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구동수단(940)의 부피 및 작업공간의 확보여건을 고려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일측에는 지지프레임(200)에 장착되어 각 코어핀(110)마다 개별적으로 코일(10)을 와인딩하는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300)가 구비되어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100)의 각 코어핀(110)에 코일(10)이 자동적으로 와인딩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체결블록(710)은, 지지프레임(20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L)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레일(240)에 슬라이딩하며 길이방향(L)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블록(600)의 상부에 체결되며, 제어모듈(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록(600)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300)에 의해 코어핀(110)에 코일(10)을 와인딩할 수 있도록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방향(L)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레일(240) 상에서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의 하부 위치에는, 상하방향(H)으로 배치되어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지지되며 상단은 체결블록(7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가이드레일(240)의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블록(241)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블록(600)은, 상측에 장착된 핀블록(730)의 코어핀(110)에 코일(10)을 와인딩할 수 있도록 상기 핀블록(730)을 지지프레임(200) 상에서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지지프레임(200) 상에서 길이방향(L)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되는 위치가 조절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40)이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블록(600)은 가이드레일(240)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어 길이방향(L)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240) 및 가이드블록(600)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모듈(500)의 제어에 의해 가이드블록(600)을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는 제어모듈(500)의 이동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테핑 모터 등의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가이드블록(600)이 가이드레일(240)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다양한 기어 및 구동벨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대상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기술구성 및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술구성은 주지관용 수단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30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100)의 각 코어핀(110)에 코일(10)이 자동적으로 와인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300)는 와인더지지부(300), 와인더바디부(410), 노즐캡(420) 및 와인더핀(4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와인더지지부(300)는, 상기 지지프레임(200) 상에서 폭방향(W) 및 상하방향(H)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지지프레임(200) 상에 고정장착되며 제어모듈(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400)를 폭방향(W) 및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인더지지부(300)는,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면에 폭방향(W)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310)과, 상하방향(H)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제1가이드레일(310)에 슬라이딩되어 폭방향(W)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연장된 상하방향(H)으로 제2가이드레일(321)이 형성된 와인더 수직지지대(320)와, 폭방향(W)으로 연장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2가이드레일(321)에 슬라이딩되며 상하방향(H)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와인더바디부(410)가 상하방향(H)으로 장착되는 수평지지대(3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지지대(320) 및 수평지지대(330)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모듈(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대(320)를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며 수평지지대(330)를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11,322)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311,322)는 제어모듈(500)의 이동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테핑 모터 등의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수직지지대(320) 및 수평지지대(330)가 제1가이드레일(310) 및 제2가이드레일(321)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다양한 기어 및 구동벨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모듈(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직지지대(320)는 제1가이드레일(3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코일와인더(400)를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수평지지대(330)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32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코일와인더(400)를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와인더바디부(410)는, 도 5와 같이 상기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인더지지부(300)에 상하방향(H)으로 장착되어 상기 와인더지지부(300)에 설치된 와인더구동부(230)에 의해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하며, 내부에는 상하방향(H)으로 관통된 제1통공(414)이 형성된 구성요소로서, 상기 와인더지지부(300)에 장착되어 상기 와인더지지부(300)의 구동에 의해 폭방향(W) 및 상하방향(H)으로 함께 이동하며, 와인더지지부(300)의 일측에 끼움결합되며 내부가 관통된 와인더하우징(413)에 삽입장착되어 상기 와인더지지부(300)에 장착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인더하우징(413)의 내부통공과 외부면 사이에는 복수 개의 베어링(411)이 장착되어 상기 와인더하우징(413)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와인더구동부(2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인더구동부(2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500)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구동이 제어되며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일 수 있고, 그 회전축에 고정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풀리(231)가 구비되며, 상기 와인더바디부(410)의 타측에는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풀리(412)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풀리(231)와 회동풀리(412) 사이에는 구동벨트(415)가 끼움결합되어 상기 와인더구동부(230)의 회전력이 상기 회동풀리(412)로 전달되면서 상기 와인더바디부(410)가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캡(420)은, 상기 와인더바디부(410)의 하단에 체결되어 와인더바디부(410)와 함께 회전하고, 내부에는 와인더바디부(410)의 제1통공(414)과 연통된 제2통공(4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통공(422)의 측부에는 상기 코일(10)이 배출되는 노즐구(421)가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캡(420)은 와인더바디부(410)의 하부에 통공된 제1나사공(416)과 상기 제1나사공(416)과 대응되는 위치의 노즐캡(420)의 둘레에 통공된 제2나사공(425)을 연속관통하여 체결되는 나사 등의 고정수단(426)을 통해 상기 와인더바디부(410)의 하부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캡(420)의 노즐구(421) 내부에는 상기 와인더핀(430)의 코일공급관(431)와 연통되는 노즐관(424)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관(424)은 상기 노즐구(421)가 노즐캡(420)의 제2통공(422)의 일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노즐캡(42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공급부(11)로부터 공급되는 코일(10)은 상기 와인더핀(430)의 상단을 통해 내부의 코일공급관(431)으로 유입되고 상기 코일공급관(431)과 연통된 상기 노즐관(424)을 통해 상기 노즐구(421)로 배출된다.
상기 와인더핀(430)은, 원통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인더바디부(410)의 제1통공(414) 및 노즐캡(420)의 제2통공(422)을 연속관통하며 삽입장착되며, 내부에는 코일공급부(11)로부터 공급되는 코일(10)을 인입하는 코일공급관(431)이 상기 노즐구(421)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구성요소로서, 상기 와인더바디부(410) 내에서 와인더바디부(410)와 별개로 상하동작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와인더지지부(300)에 의해 노즐캡(420)이 와인더핀(43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H)으로 이동하며 회전하여 상기 코어핀(110)의 둘레에 상하방향(H)으로 코일(10)을 와인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400)는 상기 와인더핀(430)의 하부가 코어핀(11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캡(420)이 와인더핀(43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코일(10)을 배출하여 코어핀(110)의 둘레에 코일(10)을 와인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인더바디부(410)의 제1통공(414) 내부에는 상기 제1통공(414)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1통공(414)의 내경보다 확장된 내경을 갖는 확장공간부(415)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공간부(451)와 대응되는 위치의 와인더핀(430)의 일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지지턱(435)가 형성되어 상기 확장공간부(415) 내에서 지지턱(435)이 상하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와인더핀(430)이 상하동작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또한, 와인더바디부(410)의 제1통공(414) 내에서 상기 확장공간부(415)와 지지턱(435) 사이에는 상기 와인더핀(430)의 둘레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와인더핀(430)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417)이 구비된다. 이로 인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인더핀(430)은 와인더구동부(230)에 의해 와인더바디부(410) 및 노즐캡(42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탄성스프링(417)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함께 이동하지 않고 상기 와인더핀(430)의 하부가 코어핀(11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인더핀(430)의 하단부 중앙에는 상기 코어핀(110)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핀지지홈(432)이 형성되고 상기 핀지지홈(432)의 둘레에는 코일지지면(433)이 형성되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지지홈(432)이 코어핀(110)의 상단에 삽입되어 상기 와인더핀(430)의 하부가 코어핀(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캡(420)이 상하방향(H)으로 이동하며 회전할 때 상기 코어핀(110)의 둘레에 와인딩되는 코일(10)이 코일지지면(433)에 접촉되며 지지되어 상기 코일(10)의 둘레에 코일(10)을 두 겹 이상으로 적층된 형태로 와인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코어핀(110)의 둘레면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와인딩되는 코일(10)은 상기 코어핀(110)의 상단부에 이르러서 코어핀(110)의 상단에 안착된 와인더핀(430)의 지지면(433)에 지지되기 때문에, 와인딩되는 방향을 턴하여 감겨진 코일(10) 상에 하부방향으로 와인딩하더라도 최초로 감겨진 코일(10)들 간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두번째로 감겨지는 코일이 상기 간격으로 파고드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인더핀(430)이 코어핀(11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코어핀(110)의 상부에 지지벽을 형성하는 지지면(433)의 구성에 의해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와인딩하는 방향을 턴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더불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타측에는 지지프레임(200)의 상부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어모듈(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타단이 상하방향(H)으로 승강동작하는 와인더핀 상하구동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와인더핀 상하구동부(210)와 와인더핀(430) 사이에는 상기 와인더핀 상하구동부(210)의 타단과 상기 와인더핀(430)의 상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동력전달 지지대(211)가 구비되어, 상기 와인더핀 상하구동부(210)의 승강동작에 의해 상기 와인더핀(430)이 제1통공(414) 및 제2통공(422) 내에서 상하동작하여 와인더핀(430)의 핀지지홈(432)이 코어핀(1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안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 개의 코어핀(110)이 형성된 핀블록(730)에서 하나의 코어핀(110)을 와인딩하고 다음 코어핀(110)으로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40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417)에 의해 코어핀(11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와인더핀(430)을 상부방향으로 끌어당겨 코어핀(110)의 상단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 지지대(211)와 와인더핀(430)이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와인더바디부(410)와 함께 회전동작하는 와인더핀(430)의 둘레면에 접촉되면서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타측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0)의 상부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하방향(H)으로 승강동작하는 와인더핀 상하구동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와인더핀 상하구동부(210)와 와인더핀(430) 사이에는 상기 와인더핀 상하구동부(210)의 타단과 와인더핀(430)의 상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동력전달 지지대(211)가 구비되어, 상기 와인더핀 상하구동부(210)의 승강동작에 의해 상기 와인더핀(430)이 와인더바디부(410)의 제1통공 및 노즐캡(420)의 제2통공(422) 내에서 상하동작하여 와인더핀(430)의 핀지지홈(432)이 코어핀(110)의 상단에 안착되거나 분리되도록 동작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모듈(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태의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어 외측에 장착된 화면창(510)을 통해 현재 코일소자 베이스 제조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거나 입력버튼(520)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각종 설정사항들이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버튼(520)은 푸쉬버튼 형태로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화면창(510)을 터치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패널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하방향(H)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대(530)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화면창(510)을 바라볼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기 핀블록(730) 상에서 코일(10)을 와인딩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코어핀(110)의 순서대로 상기 코일(10)을 코어핀(110)의 둘레에 한 겹 또는 두 겹이상으로 와인딩하되, 하나의 코어핀(110)과 인접된 다른 코일(10)은 코일(10)이 감겨지는 방향이 다르도록 와인딩하여, 상기 코일공급부(11)로부터 인입되는 코일(10)이 일방향으로 꼬이지 않는 상태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는, 핀블록(730)에 다수 개로 형성된 코어핀(110)에 일방향으로만 연속적으로 와인딩하게 되면 상기 코어핀(110)에 와인딩되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코일(10)이 회전하며 꼬이게 되어 공급되는 코일(10)이 단선되거나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코어핀(110)에 코일(10)이 시계방향으로 와인딩되면 상기 제어모듈(500)은 다음 순번의 코어핀(110)에는 반시계방향으로 코일(10)이 와인딩되도록 와인더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하며 와인딩됨으로써 상기 코일공급부(11)로부터 유입되는 코일(10)이 회전과 풀림을 반복되기 때문에 상기 코일(10)이 단선되거나 꼬인 상태로 코어핀(110)에 와인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핀블록(730)에는 다수 개의 코어핀(110)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며, 각 코어핀(110)에 연속적으로 코일(10)이 와인딩되면서 코어핀(110)과 코어핀(110) 사이에 연결되는 코일(10)은 차후에 커팅되어 인덕터의 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승강블록(730) 상에서 테두리 단부에 배치된 코어핀(110)의 경우에는 상기 연결되는 코일(10)의 형태가 내측에 배치된 코어핀(110)에 연결되는 코일(10)의 형태와 다르게 되어 커팅되면 다른 코어핀(110)에 와인딩된 코일(10)이 형성하는 전극과 형태가 다르게 된다. 따라서, 테두리 단부에 배치된 코어핀(110)은 더미핀(111)으로 이용하여, 차후 인덕터에 삽입될 코일(10)을 권선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열에 배치된 코어핀(110)에 코일(10)을 와인딩한 후 다음 열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와인딩되는 방향을 바꿔주는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
도 8a 및 도 8d를 참고하여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400)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코일공급부(11: 도 2 참고)에 권취된 코일(10)의 단부를 와인더핀(430)의 상단을 통해 내부의 코일공급관(431)으로 유입시키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코일(10)의 단부가 상기 코일공급관(431)과 연통된 노즐캡(420)의 노즐관(424)으로 유입시켜 노즐구(421)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노즐구(421)로 배출된 코일(10)의 단부를 핀블록(730)의 다수 개의 코어핀(110) 중 와인딩이 시작되는 위치에 배치된 더미핀(111 : 도7에 도시된 좌측 상단의 더미핀)에 고정시킨다.
이후,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가이드블록(600)에 지지된 체결블록(710)을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켜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400)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인더핀(430)의 핀지지홈(432)의 하부에 코일(10)의 단부가 고정된 더미핀의 다음 순번에 해당하는 코어핀(110)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상기 핀지지홈(432)의 하부에 코어핀(110)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이동시킨 후, 와인더지지부(300)를 통해 와인더바디부(410) 및 노즐캡(420)을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8b와 같이 상기 핀지지홈(432)이 해당 코어핀(110)의 상단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와인더핀(430)은 와인더바디부(410)의 확장공간부(415) 내에서 상기 와인더바디부(410)와 별개로 상하동작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코어핀(110)의 상단에 안착되며 가압되어 노즐캡(420)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노즐캡(420)의 노즐구(421)는 해당 코어핀(110)의 하부에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 8c와 같이 상기 와인더구동부(230)를 회전구동시켜 상기 와인더바디부(410) 및 노즐캡(420)을 미리 정해진 방향(도면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노즐캡(420)을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코일(10)이 해당 코어핀(110)의 둘레를 하부에서 상부로 감싸며 와인딩된다. 이때, 상기 와인더핀(430)은 와인더지지부(300)에 의해 와인더바디부(410) 및 노즐캡(42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탄성스프링(417)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함께 이동하지 않고 상기 와인더핀(430)의 핀지지홈(432)이 코어핀(11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해당 코어핀(110)에 두 겹이상으로 코일을 적층하는 형태로 와인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코일(10)이 코어핀(110)의 상부 즉, 와인더핀(430)의 핀지지홈(432) 둘레에 형성된 코일지지면(433)에 접촉되면서 지지되는 위치까지 와인딩한 후, 상기 노즐캡(42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노즐캡(420)을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와인딩된 코일(10) 위에 두 겹으로 와인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해당 코어핀(110)의 와인딩이 완료되면 상기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가이드블록(600)에 지지된 핀블록(730)을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켜 와인더핀(430)의 핀지지홈(432) 하부에 다음 순번에 해당하는 코어핀(110)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이후, 도 8b 내지 도 8d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되 와인딩되는 방향을 반대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인딩하며, 상술한 공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핀블록(730)의 각 코어핀(110)에 코일(10)을 와인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100)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300)에 의해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100)의 각 코어핀(110)에 코일(10)을 와인딩하는 공정이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300)의 하부에 배치된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100)가 코일회수블록(47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모듈(500)은 가이드블록(600)이 가이드레일(240) 상에서 코일회수블록(470)이 위치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각 코어핀(110)이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의 해당 삽입홈(810)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딩 이동거리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100)의 슬라이딩 이동이 완료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900)에 의해 코일회수블록(470)이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도록 승강구동부(900)의 구동수단(940)이 하부지지판(920)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은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이 승강블록(720)의 코어핀삽입공(721)으로 돌출된 코어핀(110)의 상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승강블록(720)의 상부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이 승강블록(730)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승강블록(73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750)에 의해 록킹홈(731)의 바닥면이 록킹플레이트(741)의 하부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해제되어, 스톱블록(740)에 장착된 제2탄성부재(742)의 가압력에 의해 록킹플레이트(741)가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부(742)가 록킹홈(731)으로부터 이탈하면서 하강된 승강블록(730)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해제된다.
동시에, 상기 승강블록(730)의 상부에 코일회수블록(470)이 안착되면서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의 상면이 코어핀(110)의 상단을 가압하면 상기 핀블록(730)이 상기 체결블록(710)과 핀블록(730)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 내에서 하부방향으로 하강함으로써, 상기 코어핀삽입공(721)으로 돌출된 코어핀(110)의 상부가 코어핀삽입공(721)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와인딩된 코일(10)을 코어핀(110)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이 승강블록(730) 및 핀블록(730)을 가압하면서 하부방향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은 상기 체결블록(710)의 하부에서 가이드레일(240)의 상부로 돌출된 지지블록(241)에 의해 지지되어 가이드블록(600)이 가이드레일(240)을 가압하여 가이드레일(240)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승강구동부(900)에 의해 코일회수블록(470)이 상부방향으로 상승하도록 승강구동부(900)의 구동수단(940)이 하부지지판(920)을 상부방향으로 당기도록 제어하여,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을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킨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의 가압력에 의해 록킹플레이트(741)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된 승강블록(730)은 제1탄성부재(750)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가압되어 상승하면서 일정시간 상기 코일회수블록(47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핀블록(730)은 체결블록(71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블록(730)이 상승함으로써, 코어핀삽입공(721)으로 돌출된 코어핀(110)이 코어핀삽입공(721)으로 삽입되면서 코어핀삽입공(721)의 둘레면이 코어핀(110)의 상부에 와인딩된 코일(10)의 하부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코일(10)이 코어핀(110)으로부터 탈거되어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삽입홈(810)에 안착되면서 회수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다수 개로 배열된 코어핀(110)에 와인딩된 코일(10)을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에 자동적으로 동시 삽입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코일(10)을 삽입홈(810)에 개별적으로 삽입하는 등 작업자에게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하는 작업공정이 자동화되어 수행되므로 다수 개의 인덕터를 동시에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며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110...코어핀
200...지지프레임 470...코일회수블록
500...제어모듈 710...체결블록
720...승강블록 730...핀블록
740...스톱블록 741...록킹플레이트
800...인덕터 하우징어레이

Claims (7)

  1. 지지프레임(200)에 장착되어, 복수 개로 배열된 코어핀(110)에 와인딩된 코일(10)을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에 동시 삽입하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체결블록(710);
    상기 체결블록(71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부에는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코어핀(110)이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핀블록(730);
    상기 코어핀(110)과 대응되는 코어핀삽입공(721)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코어핀삽입공(721)에 각 코어핀(110)이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핀블록(7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핀(11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H)으로 이동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하면 상기 코어핀(110)의 상부에 코일(10)을 와인딩할 수 있도록 코어핀(110)의 상부를 코어핀삽입공(721)으로 돌출시키며, 상승하면 와인딩된 코일(10)이 상기 코어핀(110)으로부터 탈거되도록 돌출된 코어핀(110)의 상부를 코어핀삽입공(721)으로 삽입시키는 승강블록(720);
    상기 체결블록(710) 상에서 상기 승강블록(720)의 측부에 배치되어 하강된 승강블록(72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톱블록(740); 및
    삽입홈(810)이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가 장착되며, 상기 핀블록(73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H)으로 이동하며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이 상기 코어핀삽입공(721)으로 돌출된 코어핀(110)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블록(72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면서 코어핀(110)으로부터 탈거된 코일(10)을 회수하는 코일회수블록(470);을 포함하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블록(710)과 승강블록(720) 사이에는 상기 체결블록(710)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블록(720)을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7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750)은, 상기 승강블록(720)이 하강하면 압축되며, 하강된 승강블록(720)을 고정시키는 스톱블록(740)의 고정력이 해제되면 상기 승강블록(720)이 상승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코어핀(110)에 와인딩된 코일(10)이 코어핀(110)으로부터 탈거되도록 돌출된 코어핀(110)의 상부를 코어핀삽입공(721)으로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720)의 양측부에는 록킹홈(731)이 길이방향(L)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블록(720)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홈(731)의 위치와 대응되는 스톱블록(740)의 양측에는 록킹홀(744)이 길이방향(L)으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홀(744)에는 상기 록킹홀(744)에 삽입되어 길이방향(L)으로 슬라이딩하며 단부(742)가 상기 록킹홈(7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승강블록(720)의 하강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록킹플레이트(74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블록(740)에는, 상기 록킹플레이트(741)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742)가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742)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록킹플레이트(741)가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부(742)가 록킹홈(731)으로부터 이탈하면서 하강된 승강블록(720)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해제되며,
    상기 록킹플레이트(741)는, 상기 승강블록(720)이 하강한 상태에서 단부(742)가 록킹홈(731)에 삽입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750)에 의해 록킹홈(731)의 바닥면이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블록(710)에는 상기 핀블록(730)의 하부를 가압하는 제3탄성부재(711)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블록(710)과 핀블록(73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블록(720)의 상부에 코일회수블록(470)이 안착되면서 상기 인덕터 하우징어레이(800)의 각 삽입홈(810)의 상면이 상기 코어핀(110)의 상단을 가압하면 상기 핀블록(730)이 상기 소정의 간격 내에서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장착되어 각 코어핀(110)마다 개별적으로 코일(10)을 와인딩하는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30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블록(710)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L)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레일(240)에 슬라이딩하며 길이방향(L)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블록(600)의 상부에 체결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록(600)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길이방향(L)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레일(240) 상에서 상기 코일회수블록(470)의 하부 위치에는, 상하방향(H)으로 배치되어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지지되며 상단은 상기 체결블록(7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가이드레일(240)의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블록(241)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KR1020120011890A 2012-02-06 2012-02-06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KR101141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890A KR101141948B1 (ko) 2012-02-06 2012-02-06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890A KR101141948B1 (ko) 2012-02-06 2012-02-06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948B1 true KR101141948B1 (ko) 2012-05-07

Family

ID=4627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890A KR101141948B1 (ko) 2012-02-06 2012-02-06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59879A (zh) * 2023-08-07 2023-10-27 合肥京思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感线圈加工用连续绕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362A (ja) * 1994-11-24 1996-06-07 Tokin Corp 巻線チップインダクタ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85530A (ko) * 2003-03-31 2004-10-08 (주)창조엔지니어링 인덕터의 와이어 권취 및 접속장치
KR200374118Y1 (ko) 2004-11-02 2005-01-27 (주)태양전자 산업 에어코일제조기의 코일권선장치
KR20050013803A (ko) * 2003-07-29 2005-02-05 (주)창조엔지니어링 인덕터 와인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362A (ja) * 1994-11-24 1996-06-07 Tokin Corp 巻線チップインダクタ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85530A (ko) * 2003-03-31 2004-10-08 (주)창조엔지니어링 인덕터의 와이어 권취 및 접속장치
KR20050013803A (ko) * 2003-07-29 2005-02-05 (주)창조엔지니어링 인덕터 와인딩 장치
KR200374118Y1 (ko) 2004-11-02 2005-01-27 (주)태양전자 산업 에어코일제조기의 코일권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59879A (zh) * 2023-08-07 2023-10-27 合肥京思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感线圈加工用连续绕线装置
CN116959879B (zh) * 2023-08-07 2024-04-02 合肥京思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感线圈加工用连续绕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38605B (zh) 一种片材冲压设备
KR101153939B1 (ko) 인덕터용 코일 권선장치
KR101141948B1 (ko) 인덕터용 코일 삽입장치
CN208895526U (zh) 一种端子排Pin针压装机
KR102014343B1 (ko) 자동 대형 톰슨기의 타발부 목금형 간극조절장치
CN114799983A (zh) 一种钣金件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CN110899055B (zh) 一种磁铁装配设备
CN117381031B (zh) 一种工业泵生产用龙门铣削设备
CN212733679U (zh) 一种高精密超长折弯机
CN210908534U (zh) 打标装置
CN206908483U (zh) 电机转子磁芯自动装配装置
CN108360246A (zh) 一种化纤布热切边设备
KR101030956B1 (ko) 코일 스프링 핀의 성형장치
KR101244228B1 (ko) 스크린 프린터 작업 테이블의 상하 구동장치
CN211077996U (zh) 一种工业现场控制总线电缆制备装置
CN210558555U (zh) 一种铜丝生产加工用收卷装置
CN203973647U (zh) 模切机清废上框抬板升降机构
CN210380595U (zh) 电机绕线组拉线装置
CN112032490A (zh) 一种带平整度调节的固定装置
CN113463904A (zh) 一种脚手架连墙装置
CN206215827U (zh) 机械式8字筋自动成型设备
CN214392105U (zh) 一种电子元器件加工用折弯装置
CN219961059U (zh) 一种装配式的控制器
CN219985887U (zh) 一种冲压卷边机构
CN110417212A (zh) 电机绕线组拉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