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632B1 -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632B1
KR101141632B1 KR1020110144965A KR20110144965A KR101141632B1 KR 101141632 B1 KR101141632 B1 KR 101141632B1 KR 1020110144965 A KR1020110144965 A KR 1020110144965A KR 20110144965 A KR20110144965 A KR 20110144965A KR 101141632 B1 KR101141632 B1 KR 101141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ar
cotton wool
infrared radiation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종
박평수
Original Assignee
박평수
이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평수, 이현종 filed Critical 박평수
Priority to KR1020110144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09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treating webs, e.g. for moisturising, coating, impregnating or applying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08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e.g. plaster of Pa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탈지면으로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공정(S100)과; 상기 탈지면 원단을 2차가공품의 요구되는 두께로 압축하는 1차압축공정(S200)과; 상기 1차압축공정을 통해 공급되는 원단 내부까지 스며들도록 항균 및 원적외선방사 게르마늄분말이 혼합하여서 된 혼합액을 가열하여 수증기 형태로 훈증하여 도포하는 훈증도포공정(S300)과; 상기 훈증도포공정을 통해 혼합액이 훈증 도포된 원단을 150℃로 유해해충 및 유해세균을 살균하고, 건조하는 살균건조공정(S400)과; 상기 살균건조공정을 통해 제공되는 원단을 재단하는 1차재단공정(S500)과; 상기 1차재단공정을 통해 제공되는 원단의 상하면에 부직포가 밀착되도록 공급하는 부직포공급공정(S600)과; 열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열간압착함으로써 부직포간에 융착되도록 압착하는 2차압착공정(S700)과; 상기 부직포간에 열압착되어 융착된 원단의 전후단을 깨끗하게 절단하는 2차재단공정(S800)과; 상기 2차재단공정되어 완성된 완제품을 포장하는 포장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The Making Method of Antibiotic Far-infrared cotton}
본 발명은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르마늄 용액을 가열하여 발생되는 수증기를 탈지면 원단에 훈증하여 제조된 위생솜을 통해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와 피부각질제거, 유해물질배출, 통증완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탈지면은 지방분이나 불순물을 제거하고 소독하여, 흡수성을 가지게 한 솜으로, 거의 순수한 셀룰로오스(cellulose)로 이루어져 소독면(消毒綿). 정제면(精製綿). 약솜이라 불리운다. 이러한 탈지면은 일반적으로 의료용으로 사용되지만 피부와 접촉이 많은 화장용 솜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탈지면은 부직포와 결합하여 다양한 패드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탈지면 원단을 이용한 2차가공품인 위생솜이나 화장솜, 패드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정두께의 탈지면 원단을 겹쳐 압축하고 절단하여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원단을 겹쳐 두께를 형성하고, 압축하여 절단하는 방식을 통해 생성된 통상의 2차 가공품이 위생솜이나 화장솜은 단순히 탈지면을 사용처에 따라 변형한 정도에 불과하다.
특히, 위생솜이나 화장솜은 사람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만큼 보다 위생적이고, 기능적인 부분이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위생솜이나 화장솜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시되고 있는 위생솜이나 화장솜은 항균이나 음이온 기능을 가진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스프레이방식이나 드럼방식으로 항균이나 음이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용액을 탈지면 표면에 도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고, 이러한 방식은 건조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탈지면을 가공하여 위생솜이나 화장솜을 제조함에 따라 각종 유해세균 및 유해해충 등이 번식하여 오히려 기능성보다 비위생적인 제품의 생산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직간접적 피해가 발생되고, 생산자 또한 제품불량으로 인한 비용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스프레이방식이나 드럼방식으로 기능성 용액을 도포함에 따라 탈지면 표면에만 도포되고, 이로 인해 사실상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게르마늄을 훈증에 의해 탈지면 내부까지 침투하도록 하여 진드기 등의 유해 해충과 유해세균의 증식억제와 항균 및 위생적 보관 및 생산이 가능하고,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효율적 수행에 따라 피부 마사지 및 세포기능 활성화, 면역기능 활성화가 가능한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은 탈지면으로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공정(S100)과; 상기 탈지면 원단을 2차가공품의 요구되는 두께로 압축하는 1차압축공정(S200)과; 상기 1차압축공정을 통해 공급되는 원단 내부까지 스며들도록 항균 및 원적외선방사 게르마늄분말이 혼합하여서 된 혼합액을 가열하여 수증기 형태로 훈증하여 도포하는 훈증도포공정(S300)과; 상기 훈증도포공정을 통해 혼합액이 훈증 도포된 원단을 150℃로 유해해충 및 유해세균을 살균하고, 건조하는 살균건조공정(S400)과; 상기 살균건조공정을 통해 제공되는 원단을 재단하는 1차재단공정(S500)과; 상기 1차재단공정을 통해 제공되는 원단의 상하면에 부직포가 밀착되도록 공급하는 부직포공급공정(S600)과; 열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열간압착함으로써 부직포간에 융착되도록 압착하는 2차압착공정(S700)과; 상기 부직포간에 열압착되어 융착된 원단의 전후단을 깨끗하게 절단하는 2차재단공정(S800)과; 상기 2차재단공정되어 완성된 완제품을 포장하는 포장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액은 게르마늄 분말 0.002 중량%, 바인딩코팅제 0.056 중량%를 물과 혼합하여 100 중량%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게르마늄을 훈증에 의해 탈지면 내부까지 침투하도록 하여 진드기 등의 유해 해충과 유해세균의 증식억제와 항균 및 위생적 보관 및 생산이 가능하고,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효율적 수행에 따라 피부 마사지 및 세포기능 활성화, 면역기능 활성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2차 가공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2차 가공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은 게르마늄을 훈증에 의해 탈지면 내부까지 침투하도록 하여 진드기 등의 유해 해충과 유해세균의 증식억제와 항균 및 위생적 보관 및 생산이 가능하고,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효율적 수행에 따라 피부 마사지 및 세포기능 활성화, 면역기능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공급공정(S100), 1차압축공정(S200), 훈증도포공정(S300), 살균건조공정(S400), 1차재단공정(S500), 부직포공급공정(S600), 2차압착공정(S700), 2차재단공정(S800), 포장공정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제품(P)이 생산출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단공급공정(S100)은 탈지면 원단을 공급하는 것으로, 일정두께를 가진 탈지면 원단을 필요로 하는 완제품, 예를 들면, 의료용 밴드, 화장솜 등에 따라 두께를 달리 적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완제품에 따라 원단의 공급수, 즉, 다수를 중첩하여 공급하거나 단일 원단을 공급하는 등을 선택하여 제공한다.
상기 1차압축공정(S200)은 앞서 원단공급공정을 통해 탈지면의 공급량과 두께가 결정되어 공급되면 상기 탈지면 원단을 2차가공품의 요구되는 두께로 압축한다. 여기서, 상기 1차압축공정을 통해 압축함에 따라 사용처에 따라 제조된 완제품의 제품상태 예를 들면 화장솜의 경우 사용시 보풀이 많이 발생되지 않도록 압축하거나 의료용으로 사용시에는 상처부위와 엉기지 않도록 하는 등의 압축가공을 하는 것이다.
상기 훈증도포공정(S300)은 상기 1차압축공정을 통해 공급되는 원단 내부까지 스며들도록 항균 및 원적외선방사 게르마늄분말이 혼합하여서 된 혼합액을 가열하여 수증기 형태로 훈증하여 도포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액은 게르마늄 분말 0.002 중량%, 바인딩코팅제 0.056 중량%를 물과 혼합하여 100 중량%로 형성된다.
즉, 상기 훈증도포공정을 통해 혼합액을 가열함에 따라 게르마늄과 바인딩코팅제가 포함된 수증기에 탈지면이 노출되고, 노출된 탈지면의 셀룰로오스 간의 공간 내로 게르마늄과 바인딩코팅제가 침투되어 바인딩 코팅제에 의해 게르마늄이 미세공간 내부에 안착되어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게르마늄의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이 외부에 스프레이 등에 의한 단순도포에 의한 지속성의 저하를 탈지면 내부에 침투시킴에 따라 장시간 게르마늄의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생상 청결하고, 피부 마사지 및 세포기능 활성화, 면역기능 활성화가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 살균건조공정(S400)은 상기 훈증도포공정을 통해 혼합액이 훈증 도포된 원단을 150℃로 가열건조하여 유해해충 및 유해세균을 살균하고, 건조하는 것으로, 살균 건조뿐만 아니라 훈증도포공정에서 습해진 탈지면을 건조함으로써, 보관 시 , 위생상 청결히 보관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1차재단공정(S500)은 상기 살균건조공정을 통해 제공되는 원단을 재단하는 공정으로, 완제품(P)을 생산하기 위해 넓은 탈지면 원단을 1차재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완제품(P)의 좌우측을 사용상 편리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부직포공급공정(S600)은 상기 1차재단공정을 통해 제공되는 원단의 상하면에 부직포가 밀착되도록 공급하는 것으로, 부직포에 의해 탈지면 원단을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탈지면 사용시 발생되는 보풀 및 파손을 줄일 수 있고, 보다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한 상태의 부직포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2차압착공정(S700)은 열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열간압착함으로써 부직포간에 융착되도록 압착하는 것으로, 완제품(P)의 형태에 따라 전후를 압착한다. 또한, 중앙에는 후처리공정으로 초음파에 의해 접착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2차재단공정(S800)은 상기 부직포간에 열압착되어 융착된 원단의 전후단을 깨끗하게 절단하는 것으로, 완제품(P)을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 포장공정은 일반적인 것으로,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제품을 외부오염물로부터 보호하고, 보관 및 이동이 간편하도록 완제품(P)을 포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생산된 게르마늄이 훈증된 탈지면은 탈지면 미세공극 사이에 게르마늄이 바인더코팅제와 함께 수증기 형태로 침투되어 장시간 보관하여도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올바르게 수행이 가능하여 화장솜, 의료용 위생솜, 위생패드, 생리대, 밴드 등 다양한 분야에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의 저하 없이 적용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S100 : 원단공급공정 S200 : 1차압축공정
S300 : 훈증도포공정 S400 : 살균건조공정
S500 : 1차재단공정 S600 : 부직포공급공정
S700 : 2차압착공정 S800 : 2차재단공정

Claims (2)

  1. 탈지면으로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공정(S100)과;
    상기 탈지면 원단을 2차가공품의 요구되는 두께로 압축하는 1차압축공정(S200)과;
    상기 1차압축공정을 통해 공급되는 원단 내부까지 스며들도록 항균 및 원적외선방사 게르마늄분말이 혼합하여서 된 혼합액을 가열하여 수증기 형태로 훈증하여 도포하는 훈증도포공정(S300)과;
    상기 훈증도포공정을 통해 혼합액이 훈증 도포된 원단을 150℃로 유해해충 및 유해세균을 살균하고, 건조하는 살균건조공정(S400)과;
    상기 살균건조공정을 통해 제공되는 원단을 재단하는 1차재단공정(S500)과;
    상기 1차재단공정을 통해 제공되는 원단의 상하면에 부직포가 밀착되도록 공급하는 부직포공급공정(S600)과;
    열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열간압착함으로써 부직포간에 융착되도록 압착하는 2차압착공정(S700)과;
    상기 부직포간에 열압착되어 융착된 원단의 전후단을 깨끗하게 절단하는 2차재단공정(S800)과;
    상기 2차재단공정되어 완성된 완제품(P)을 포장하는 포장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은 게르마늄 분말 0.002 중량%, 바인딩코팅제 0.056 중량%를 물과 혼합하여 100 중량%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 제조방법.
KR1020110144965A 2011-12-28 2011-12-28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 KR101141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965A KR101141632B1 (ko) 2011-12-28 2011-12-28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965A KR101141632B1 (ko) 2011-12-28 2011-12-28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632B1 true KR101141632B1 (ko) 2012-04-27

Family

ID=4614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965A KR101141632B1 (ko) 2011-12-28 2011-12-28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007B1 (ko) 2014-05-14 2015-03-30 정진욱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와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69B1 (ko) 2003-11-25 2005-08-24 김택영 탈지면에 분리망이 형성된 메쉬코튼과 그 제조방법
KR100805772B1 (ko) 2006-08-16 2008-02-21 김택영 항균탈지면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69B1 (ko) 2003-11-25 2005-08-24 김택영 탈지면에 분리망이 형성된 메쉬코튼과 그 제조방법
KR100805772B1 (ko) 2006-08-16 2008-02-21 김택영 항균탈지면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007B1 (ko) 2014-05-14 2015-03-30 정진욱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와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919B1 (ko) 일회용 섬유 제품용 생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일회용 섬유 제품
JP2006175207A (ja) 液体で含浸するための媒体及び該媒体を含むキット
KR101141632B1 (ko)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
JPWO2017026018A1 (ja) 使い捨て下半身用衣料の製造方法
CN115057057A (zh) 一种抑菌亲肤多效湿巾的生产工艺
BR112013023956B1 (pt)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tampão resiliente
KR102288515B1 (ko) 항균 물티슈
KR20130090641A (ko) 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솜 제조방법
US9585794B2 (en) Baby compress
CN105040270A (zh) 以生物技术工艺处理纯蚕丝的方法及其产品和用途
KR100937688B1 (ko) 기능성 식물성 섬유 탑시트 제조방법
US6759353B2 (en) Absorbing article
KR101078035B1 (ko) 히팅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6944B1 (ko) 고분자 천연 물질을 이용한 생리대 구조체
KR101447647B1 (ko) 황토 부직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침구류
JP5343438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KR101724553B1 (ko) 닥나무실을 이용한 마스크시트 제조방법
CN102961215B (zh) 一种曲缩型护创敷料及其生产方法
KR101507007B1 (ko)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와 이의 제조방법
JPH09215648A (ja) 清拭布
CN103340759B (zh) 添加双衬布的椰果无添加膜片生产工艺
KR102414416B1 (ko) 온감 시트
KR102459988B1 (ko) 항균성이 향상된 위생용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022823A (zh) 吸收性物品
CN103340757B (zh) 带面衬的椰果无添加膜片的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