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515B1 - 항균 물티슈 - Google Patents

항균 물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515B1
KR102288515B1 KR1020210033163A KR20210033163A KR102288515B1 KR 102288515 B1 KR102288515 B1 KR 102288515B1 KR 1020210033163 A KR1020210033163 A KR 1020210033163A KR 20210033163 A KR20210033163 A KR 20210033163A KR 102288515 B1 KR102288515 B1 KR 102288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fabric
wet tissue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차환
장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인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인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인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1003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for prehension of the next sheet to be disp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높은 항균력을 가지면서도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아 피부의 자극이 적으며, 티슈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항균 물티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a)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되며, 내부의 물티슈를 외부와 격리하는 물티슈 보관 외피; (b) 상기 보관 외피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보관 외피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여 물티슈의 인출이 가능한 보관캡; 및 (c) 상기 보관 외피의 내부에 보관되며, 물과 유효성분이 함침된 다수개의 원단을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균 물티슈{Antibacterial wettissue}
본 발명은 항균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항균력을 가지면서도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아 피부의 자극이 적으며, 티슈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항균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wet tissue)는 휴지의 일종으로, 제작 과정 상에서 제품에 수분을 함유시켜 물기를 머금은 축축한 휴지를 일컫는다. 주로 손이나 얼굴 등을 간편하게 닦는 데에 쓰인다. 최근에는 간편함을 추구하는 문화와 위생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물티슈 소비가 급증하고 있고 제품 공급이 어렵지 않아 수많은 중소업체들이 등 장하면서 물티슈 시장은 매년 10% 이상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물티슈는 수분에 강한 원단에 액상의 원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최근에는 일반적인 물티슈보다 소독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티슈가 애용되고 있다.
또한 물티슈는 수분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쉽게 분해되지 않는 펄프나 부직포를 그 소재로 하여 제조되는데, 상기의 소재에 소독, 항균 및 살균 성능이 있는 물질이 함침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염 상태를 제거함과 동시에 인체나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대상을 제독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물티슈의 소독, 항균 및 살균 성분은 포장되어 유통 및 사용되는 과정에서 세균 및 곰팡이가 번식하지 못하도록 통상적으로는 벤젠계열 또는 카바메이트계열 등의 화학방부제가 주로 사용되며, 장기간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증발방지제인 프로플렌글리콜 등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종래에 물티슈에 사용되는 화학방부제는 사용량이 법적으로 허용된 기준량 이하라고 하더라도, 장기간 사용하거나 자주 또는 한꺼번에 많은 양을 사용하게 되면, 피부 트러블의 발생, 호르몬 이상 및 알러지 반응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작용을 하게 되며, 특히, 피부가 연약한 소아나 피부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물티슈에 함유된 화학방부제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사용상 매우 주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부직포는 천연, 화학, 유리, 금속, 에어 등 각종 섬유를 상호간의 특성에 따라 엉키게 하여 시트(Sheet)모양의 웨브(Web)를 형성, 이를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결합시켜 만든 평면 구조를 부직포라 하는데, 물티슈를 만들기 위한 부직포 원단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원단의 구성은 레이온과 폴리에스터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사용감을 개선을 하거나, 물성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부직포의 원단 원료 중 친환경 소재로 사용되는 레이온의 제조과정은 목제 등의 칩을 펄프제조 후 화이버제조 공정에서 황산과 같은 강산 등의 화학처리를 하고 응고액에 통과시켜 셀룰로오스로 재생한 섬유이며, 후공정에서 가성소다 등을 사용하여 물성을 개선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을 처리하게 되면 부직포 제조시 pH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또는 잔류물에 의해 pH에 영향을 줄 수도 있고, 이는 최종 산물인 물티슈 제조 시 pH를 따로 조절해야 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는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에 더하여 물티슈에 함유되는 항균제와 부직포의 연관 작용에 의해서도 물티슈의 pH에 변화를 주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고정적이고 안정적인 pH의 발현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물티슈의 경우 보관시 수분이 증발하거나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 오염되는 경우가 있어 고분자 수지로 제작되는 캡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캡이 저가형으로 제작되고 있음에 따라 수분의 증발을 완전히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수분의 증발에 의하여 상기 물티슈의 수분 및 유효성분 함량이 시간을 지남에 따라 변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3522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13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항균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항균 물티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티슈를 보관하는 케이스에 캡형의 뚜껑을 구비하는 것으로 수분 및 유효성분의 증발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물티슈의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항균 물티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되며, 내부의 물티슈를 외부와 격리하는 물티슈 보관 외피; (b) 상기 보관 외피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보관 외피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여 물티슈의 인출이 가능한 보관캡; 및 (c) 상기 보관 외피의 내부에 보관되며, 물과 유효성분이 함침된 다수개의 원단을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관외피는,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여 튜브형으로 제작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측을 막는 접합부;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부착되는 반투막; 상기 반투막과 상기 본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분유지용 항균 조성물;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으로 제작되는 필름을 1층이상 포함하는 다층필름이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양측면을 열접합하며, 상기 반투막은 불소수지를 연신하여 0.05~1㎛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관캡은, 상기 개구부의 외측을 따라 상기 본체에 접합된 보관캡 베이스; 상기 보관캡 베이스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일측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보관캡 베이스와 결합되는 보관캡 헤드; 및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단 인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원단 인출수단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 상면에 부착되는 인출수단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인출되는 원단을 좌우측면에서 압박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롤러의 양측단을 연결하며, 상기 원단에 일정한 압력을 공급하는 탄성체; 및 상기 롤러의 양측단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한쌍의 롤러 접촉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단은, 0.1~0.5mm의 두께로 형성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에 함침된 물 및 유효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는, 고분자수지를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된 고분자 수지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단계; 원심회전부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분사노즐을 회전하며, 상기 용융된 고분자 수지를 분사시키는 단계; 분사노즐과 수집판에 고전압을 발생시켜 낙하하는 용융된 고분자수지를 나노파이버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집판에 적층된 나노파이버에 초음파를 공급하여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물 및 유효성분은,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1~10m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200~300℃의 온도 및 0.5~2Mpa의 압력으로 가열한 다음, 대기압으로 감압하여 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화된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0.1~1mm의 크기로 분쇄하여 우드 칩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우드 칩을 물에 침지한 다음, 60~80kHz의 초음파를 500~800W의 강도로 10~30분간 공급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유효성분이 추출된 물을 진공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농축이 완료된 물 100중량부에 프로폴리스 1~5중량부, 산화티타늄 0.1~0.5중량부, 녹차 추출물 0.1~5중량부, 레몬 추출물 0.1~1중량부, 알로에베라 추출물 0.1~1중량부, 히알루론산 나트륨 0.01~0.1중량부, 글리세린 1~2중량부, 카프릴릴글리콜 0.1~1중량부 및 향료 1~2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물 및 유효성분은 상기 부직포 100중량부 대비 80~150중량부의 비율로 함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물티슈는 높은 항균력을 가지지만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티슈를 인출할 때 일정한 액상이 함침되도록 하는 것으로 장기간 동안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수분과 유효성분이 함침될 수 있는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 추출물을 포함함에따라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고도 높은 항균력을 가질 수 있는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항균 물티슈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단 인출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항균 물티슈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항균 물티슈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a)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되며, 내부의 물티슈를 외부와 격리하는 물티슈 보관 외피; (b) 상기 보관 외피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보관 외피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여 물티슈의 인출이 가능한 보관캡; 및 (c) 상기 보관 외피의 내부에 보관되며, 물과 유효성분이 함침된 다수개의 원단을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물티슈 보관외피는 상기 물티슈를 외부와 격리하는 부분으로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필름의 경우 롤에 말아져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보관 외피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분자 필름의 양측을 접합하여 원통형의 필름으로 제작한 다음, 이를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개방된 양측면을 접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개방된 양측면을 접합하기 이전 상기 보관외피의 내부에 원단이 장입될 수 있다.
상기 보관외피는,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여 튜브형으로 제작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측을 막는 접합부;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부착되는 반투막; 상기 반투막과 상기 본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분유지용 항균 조성물;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되는 외피를 의미하는 것으로 내부에 존재하는 원단에 함침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외부의 이물질과 병원균이 상기 원단과 접촉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으로 제작되는 필름을 1층이상 포함하는 다층필름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층 필름의 경우 수분의 증발을 막는 방수층, 자외선에 의한 변질을 막는 자외선 차단층, 외부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 항균층, 전체적인 외부 오염을 방지하는 표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튜브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내부에 존재하는 원단을 격리하기 위하여 좌우측에는 접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는 상기 튜브형으로 제작되는 본채의 좌우측 개방부를 막기 위하여 형성되는 부분으로, 본체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양측면을 열접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열접합의 경우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고분자 필름의 접착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접합부를 살균할 수 있으며, 접합부의 절단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접합 및 절단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하부 내측에는 반투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티수의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내부 수분의 증발을 막고 있지만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수분이 증발되어 수분량이 부족할 수 있다.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수분 및 유효성분을 재공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오염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샅은 수분의 증발로 인한 수분량의 감소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 내특에 반투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본체의 내부와 상기 반투막의 사이에 일정량의 수분을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반투막은 불소수지를 연신하여 0.05~1㎛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투막으로 인하여 상기 반투막이 형성하는 공간에 주입된 수분은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지만, 상기 본체 내부의 수분이 줄어드는 경우 증발된 수분이 상기 반투막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본체 내부 및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원단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반투막의 미세기공이 0.05㎛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와 같은 증발된 수분교환이 일어나지 않으며, 1㎛를 초과하는 크기를 가지는 경우 반투막이 형성하는 공간에 주입된 수분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반투막과 상기 본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분유지용 항균 조성물이 주입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반투막이 형성된 공간에는 상기 원잔헤 흡착된 수분 및 유효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한 수분유지용 항균 조성물이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원단에 흡착된 항균조성물이 외부로 증발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항균조성물의 증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반투막의 경우 액상의 항균조성물을 퉁과하지 못하지만, 기상의 항균 조성물은 상기 반투막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반투막이 형성하는 공간에 주입된 항균조성물은 상기 본체의 내부로 평형을 이루기 위하여 공급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상기 본체 내부의 항균조성물이 일정한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개구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10)는 상기 본체 내부의 원단을 인출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부에는 보관캡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의 하부에는 원단 인출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관캡은 크게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관캡 베이스(210), 보관캡 헤드(220) 및 원단인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보관캡은, 상기 개구부의 외측을 따라 상기 본체에 접합된 보관캡 베이스; 상기 보관캡 베이스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일측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보관캡 베이스와 결합되는 보관캡 헤드; 및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단 인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캡 베이스(210)는 상기 개구부의 외측을 따라 상기 본체의 상부이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할 보관캡 헤드와의 결합으로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관캡 베이스는 사각형, 육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외피와 접착제 또는 접착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관캡 헤드(220)는 상기 보관캡 베이스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도 1 참조). 즉 상기 보관캡 헤드(220)는 상기 연결부를 경첩으로 이용하여 상기 보관캡 베이스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보관캡 베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거나 이탈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보관캡 베이스(210)와 상기 보관캡 헤드(220)는 상기 개구부(110)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후술할 원단 인출수단으로 인하여 상기 개구부는 내측에서 폐쇄될 수 있지만, 상기 원단의 원활한 인출을 위해서는 상기 원단의 일부가 상기 원단 인출수단의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이 노출부의 건조 및 오염을 막기 위하여 상기 보관캡 베이스와 상기 보관캡 해드를 이용하여 한번더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폐력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보관캡 베이스에는 상기 보관캡 헤드와 접촉되는 부분을 따라 밀폐용 실링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용 실링수단의 경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보관캡 헤드를 결합할대 압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보관캡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원단 인출수단은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원단의 인출시 원단을 압박하여 적절한 수분량을 가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원단의 경우 기존의 물티슈와는 달리 원단무게의 0.8~1.5배의 항균 조성물이 흡착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원단을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게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하는 경우 원단에 흡착된 항균 조성물의 양이 과도하게 많은 문제를 가지게되어 항균 조성물이 흐르거나 원하지 않는 곳에 묻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원단 인출수단을 부착하는 것으로 원단의 인출시 적절한 항균 조성물이 흡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원단 인출수단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 상면에 부착되는 인출수단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인출되는 원단을 좌우측면에서 압박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롤러의 양측단을 연결하며, 상기 원단에 일정한 압력을 공급하는 탄성체; 및 상기 롤러의 양측단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인출수단 하우징(230)은 상기 개구부(110)의 내부에 고정되며, 후술할 한 쌍의 롤러(240), 탄성체(260) 및 고정수단(250)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으로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며, 하부에는 원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타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절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원단의 경우 상기 인출수단 하우징을 통과한 다음,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도 1 참조).
상기 한 쌍의 롤러(240)는 상기 하우징(2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인출되는 원단(310)의 좌우측면을 압박하여 일정한 항균 조성물이 흡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원단의 경우 상기 한쌍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240)를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260)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경우 상기 롤러는 인출되는 원단의 측면을 일정한 압력을 압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단에 흡착되어 있는 여분의 항균 조성물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체에서 인출되는 원단은 적절한 수분 및 유효성분이 함침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롤러(240)는 상기 보괍켑의 내부를 한번 더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 내부의 항균 조성물이 증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분리되는 여분의 항균 조성물 및 반투막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존재하는 항균 조성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물티슈는 기존의 물티슈에 비하여 장기간 사용할때에도 건조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롤러(240)의 경우 단순히 단면을 원형으로 제작하여 상기 원단을 압박할 수도 있지만, 원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에 일정한 무늬를 가도록 제작될수 있으며, 상기 각 롤러의 외주면이 기어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치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원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더욱 상승시킬수도 있다.
상기 탄성체(260)는 상기 한 쌍의 롤러(240)의 양측단은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원단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는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 액상의 항균 조성물에 의하여 부식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고분자수지로 제작되는 스프링을 사용하거나 열가소성 탄성체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롤러를 상호간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10)는 상기 한쌍의 롤러(240) 접촉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240)에 의하여 인출되는 원단(310)의 경우 상기 롤러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 역시 상기 롤러 사이의 첩촉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물티슈의 개구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폭이 넓은 타원형으로 제작되고 있어 수분의 증발량이 많았다. 하지만 기존의 물티슈는 단순히 원단을 접어서 인출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폭을 가지지 않는 경우 인출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인출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개구부를 좁고 길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무리 없이 인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개구면적으로 인하여 수분의 증발을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원단(300)은, 0.1~0.5mm의 두께로 형성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에 함침된 물 및 유효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다수개의 섬유가 무작위적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하는 원단으로 기존의 원단의 경우 섬유를 절단하고 이를 접착하여 제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부직포의 경우 굵은 섬유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시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섬유의 굵기가 늘어나게되어 항균 조성물의 함침량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괴는 나노파이버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부직포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부직포는 고분자수지를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된 고분자 수지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단계; 원심회전부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분사노즐을 회전하며, 상기 용융된 고분자 수지를 분사시키는 단계; 분사노즐과 수집판에 고전압을 발생시켜 낙하하는 용융된 고분자수지를 나노파이버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집판에 적층된 나노파이버에 초음파를 공급하여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탱크에 공급하고 열을 가하여 용융상태로 만든 다음, 용융된 고분자 수지를 분사노즐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융탱크 및 상기 분사노?g은 상기 고분자 수지를 용융시킬 수 있는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은 원심회전부의 외면에 다수개의 노즐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원심식 분사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원심회전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2~10개의 노즐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수집판으로 균일하게 상기 용융된 고분자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된 고분자의 분사시 상기 원심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분사되는 고분자 수지에 원심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원심회전부에는 용융된 고분자 수지가 투입되며, 상기 원심회전부의 회전에 의하여 분사노즐로 공급되며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분사노즐로 상기 용융된 고분자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에는 고전압발생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5~40kV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 각각에 상기 고전압발생장치를 연결하여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분사노즐은 원심회전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원심회전부에 고전압발생장치를 연결하여 동시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에 인가되는 전압이 5kV미만인 경우 나노파이버의 형성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40kV를 초과하는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공급되는 전력이 수집판까지 도달하여 아크를 발생시키거나 생성된 고분자 나노파이버를 산화 또는 용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판에는 상기 생성된 고분자 나노파이버에 정전기적인 인력을 가하여 고분자 나노파이버를 부착할 수 있도록 1~10kV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집판에 가하는 전압이 1kV미만인 경우 정전기적인 인력이 약해져 나노파이버의 수집이 어려울 수 있으며, 10kV를 초과하는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 분사노즐과 통전되어 아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융된 고분자가 원심력에 의하여 배출되며, 배출과 동시에 분사노즐에 가해지는 고전압으로 인하여 나노파이버가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나노파이버는 원심회전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집판에 정전기적인 인력으로 인하여 균일한 높이로 수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집된 나노파이버는 초음파를 공급하여 융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초음파는 10~100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나노파이버에 사용되는 재질에따라 적절한 주파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 및 유효성분은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베이스가 되는 물을 용매로 하여 다양한 유효성분이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유효성분으로 편백 나무 및 바오밥 나무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편백 나무는 항균효과가 뛰어나며, 바오밥나무의 경우 항균, 항염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알코올의 사용없이도 항균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물 및 유효성분은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1~10m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200~300℃의 온도 및 0.5~2Mpa의 압력으로 가열한 다음, 대기압으로 감압하여 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화된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0.1~1mm의 크기로 분쇄하여 우드 칩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우드 칩을 물에 침지한 다음, 60~80kHz의 초음파를 500~800W의 강도로 10~30분간 공급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유효성분이 추출된 물을 진공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농축이 완료된 물 100중량부에 프로폴리스 1~5중량부, 산화티타늄 0.1~0.5중량부, 녹차 추출물 0.1~5중량부, 레몬 추출물 0.1~1중량부, 알로에베라 추출물 0.1~1중량부, 히알루론산 나트륨 0.01~0.1중량부, 글리세린 1~2중량부, 카프릴릴글리콜 0.1~1중량부 및 향료 1~2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편백나무는 일본의 대표적 수목 가운데 하나로 목질이 좋고 향이 뛰어나 실용성이 높다. 가구 제작은 물론 건물의 내부 벽체, 인테리어용으로 널리 쓰인다. 편백에 함유된 피톤치드가 아토피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지면서 베개, 벽지, 도마, 장난감 등 편백을 이용한 각종 생활용품이 널리 쓰이고 있다. 한국에는 제주도와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편백나무의 향에 피톤치드가 함유돼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식재가 늘고 있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에 따라 생육 가능 지역이 북상하면서 재배 지역도 늘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014년 편백잎에서 추출한 정유(essential oil) 속의 에레몰(elemol)이 아토피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한 바오밥 나무의 경우 고대 이집트에서 고열과 설사 밍 상처의 치료에 쓰이는 민간요법제로 알려져 있어 오래전부터 영양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바오밥 나무는 비타민 A, C, D 및 E와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펙틴, 시트르산, 사과산, 숙신산 등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피부 보습, 항염, 항균, 가려움 완화, 항산화효과 등을 가지고 있어 피부 트러블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1~10m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는 채취된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으로 팽화공정을 수행하기 이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것으로 후술할 팽화과정을 더육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때 상기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1mm크기 미만으로 절단하는 경우 작은 크기로 인하여 취급이 어려우며, 10mm를 초과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경우 팽화시 사용되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여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취된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는 상기 절단과정에서 잔가지와 잎을 제거하고 껍질을 벗겨 사용될 수 있다. 잎, 잔가지 및 껍질에도 피톤치드는 다량 함유되어 있지만 팽화과정에서 가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잎, 잔가지 및 껍질은 팽화이후에도 경도가 약하여 원활한 추출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된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200~300℃의 온도 및 0.5~2Mpa의 압력으로 가열한 다음, 대기압으로 감압하여 팽화시키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때 온도가 200℃미만이거나 압력이 0.5Mpa미만인 경우 원활한 팽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온도가 300℃를 초과하는 경우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가 탄화될 수 있다. 또한 2Mpa를 초과하는 압력으로 가열하는 경우 고압을 견디기 위하여 추가적인 자재를 소모하게 되므로 비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이 가열 및 가압이 완료되면 압력을 급격히 제거하는 것으로 팽화를 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는 고압 및 고압과정을 거쳐 조직 내부에 가압될 수 있으며, 급격한 감압을 통하여 상기 조직내에 있는 수분등이 기화되는 것으로 다공성을 가지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공성을 가지도록 가공된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는 비표면적이 1~100㎡/g일 수 있다. 즉 상기 팽화된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는 다공성을 가짐에 따라 후술할 추출과정에서 원활하게 추출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추출방법에 비하여 더욱 많은 유효성분이 용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팽화된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는 0.1~1mm의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우드 칩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때 0.1mm미만의 크기로 가공되는 경우 작은 크기로 인하여 취급이 어려울 수 있으며, 1mm를 초과하는 크기로 가공되는 경우 표면적이 줄어들어 피톤치드를 비롯한 유효성분의 용출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우드칩은 물에 침지되어 유효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드 칩은 상기 팽화과정을 거쳐 다공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의 추출법에 비하여 효율적으로 유효성분의 추출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추출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추출시 상기 물에 초음파를 공급할수 있다. 이대 공급되는 초음파는 상기 우드칩의 셀룰로오스 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 이 셀룰로오스 성분은 식물의 세포벽의 주성분으로 이 셀룰로오스 성분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유효성분은 물에 추출되지 못하고 세포내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은 초음파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셀룰로오스를 분해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팽화와 더불어 높은 추출효율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공급되는 초음파는 60~80kHz의 진동수를 가지며, 500~800W의 강도로 10~30분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음파의 경우 각 물질에 따라 공진을 일으키는 주파수가 정해져 있으므로 이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셀룰로오스의 경우 60~80kHz의 진동수를 가지는 초음파와 공진하게되므로 이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음파가 500W 미만이거나 10분 미만으로 공급되는 경우 셀룰로오스 분해가 낮아져 유효성분의 추출이 어려울 수 있으며, 800W를 초과하거나 30분을 초과하여 공급하는 경우 과도한 셀룰로오스 분해로 인하여 물이 탁해지거나 이취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이 완료되면 고형분을 제거한 다음 진공농축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편백나무 및 바오밥 나무 추출물은 가열하는 경우 그 분자구조가 쉽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진공농축을 이용하여 농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진공농축은 투입된 물과 유효성분 추출물을 부피비로 1/2~2/3의 비율로 농축할 수 있다. 2/3을 초과하는 비율로 농축하는 경우 유효성분의 함량이 낮아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2미만의 비율로 농축하는 경우 농축에 필요한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므로 비경제적이다.
상기 진공농축이 완료된 이후 진공농축이 완료된 물 100중량부에 프로폴리스 1~5중량부, 산화티타늄 0.1~0.5중량부, 녹차 추출물 0.1~5중량부, 레몬 추출물 0.1~1중량부, 알로에베라 추출물 0.1~1중량부, 히알루론산 나트륨 0.01~0.1중량부, 글리세린 1~2중량부, 카프릴릴글리콜 0.1~1중량부 및 향료 1~2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은 상기 유효성분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항균효과를 강화하거나 (프로폴리스, 산화 티타늄), 피부에 유효한 성분을 보충하거나(녹차 추출물, 레몬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보습작용을 추가(히알루론산 나트륨, 글리세린, 카프릴릴글리콜)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는 상기 성분이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끈적이거나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1
전남 장성에서 채취된 편백나무 5kg과 아프리카에서 수입된 바오밥 나무 5kg을 5mm의 크기를 가지도록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편백나무와 바오밥 나무를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팽화기에 투입하고 250℃의 온도 및 1Mpa의 압력으로 20분간 가열하였다. 이후 상기 팽화기내부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급격하게 감압하여 팽화를 하였으며, 팽화된 편백나무와 바오밥 나무를 0.5mm의 크기로 분쇄하여 우드 칩을 제조하였다.
상기 우드칩을 증류수에 침지한 다음, 75kHz의 진동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700W의 강도로 20분간 공급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유효성분이 추출된 다음 물에서 고형분을 분리하였으며, 전체 부피가 1/2이 될때까지 진공농축하였다.
상기 진공농축이 완료된 이후 진공농축이 완료된 물 100중량부에 프로폴리스 2중량부, 산화티타늄 0.3중량부, 녹차 추출물 2중량부, 레몬 추출물 0.5중량부, 알로에베라 추출물 0.5중량부, 히알루론산 나트륨 0.05중량부, 글리세린 1중량부, 카프릴릴글리콜 0.5중량부 및 향료 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은 물티슈 본체를 제작하였으며, 이?? 상기 외피와 반투막 사이의 공간에 상기 항균조성물 10g을 주입하고 반투막을 외피에 부착하였다. 본체의 내부에 건조된 원단 80장(약 160g)을 접어서 삽입하고 좌우측을 열접합하였으며, 상부에 개구부 및 보관캡을 설치하였다. 보관캡에 설치된 한쌍을 롤러 사이로 상기 항균 조성물 150g을 주입하여 물티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편백나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바오밥나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편백나무 및 바오밥 나무의 팽화과정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초음파를 사용하지 않고 추출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반투막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항균조성물을 반투막과 외피 사이에 주입하지 ?鳧만?, 물티슈에 공급되는 항균조성물도 90g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보관캡을 기존의 보관캡을 사용하였으며, 개구부 역시 기존의 물티슈와 같이 타원형으로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에서 보관외피와 보관캡을 기존의 물티슈와 동일하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1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일반 물티슈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11에서 제작된 물티슈를 이용하여 인체의 손등을 10회 문질러 그 자극성, 향 및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관능검사 경험이 있는 25~35세의 20명의 패널 요원을 구성하여 10점 만점의 채점법에 의해 평균치를 구하여 비교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이 때 10점은 가장 우수하고, 1점은 가장 열악한 품질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모든 통계 분석은 SAS(Statistics Analytical System, USA, 1996) 패키지 프로그램(package program)의 ANOVA과정으로 통계처리를 실시하였으며, 던컨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처리구간의 유의성(p<0.05)을 검정하였다.
자극성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9.7 9.6 9.6
실시예 2 9.1 8.2 8.6
실시예 3 9.0 8.4 8.5
실시예 4 9.1 8.9 9.0
실시예 5 9.0 8.9 8.9
실시예 6 9.6 9.5 9.6
실시예 7 9.5 9.1 9.3
실시예 8 9.5 9.0 9.2
실시예 9 9.5 9.1 9.2
실시예 10 6.1 4.3 5.1
실시예 11 8.4 6.8 7.2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는 물티슈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경우 자극성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향에 대한 기호도 역시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추출시 편백나무나 바오밥 나무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2 및 3의 경우 그 자극성이 약간 높아지고 있으며, 향에 대한 기호도 역시 약간 감소하였으며, 추출방법을 달리한 실시예 5 및 6의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기존의 알코올계 항균 물티슈의 경우 알코올에 의하여 자극성이 높아지고 향에 대한 기호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실시예 10) 일반적인 물티슈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하여 기호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11에서 제작된 물티슈를 이용하여 항균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균주는 일반적인 항균실험에서 사용되는 균주인 Escherichia coil ATCC 25922 및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을 이용하여 항균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초기농도와 48시간후의 농도(CFU/40p)를 각각 나타내었다.
Escherichia coil Pseudomonas aeruginosa
초기농도 48시간후 농도 초기농도 48시간후 농도
실시예 1 500 230 400 275
실시예 2 500 440 400 380
실시예 3 500 345 400 390
실시예 4 500 395 400 385
실시예 5 500 480 400 410
실시예 6 500 240 400 280
실시예 7 500 235 400 270
실시예 8 500 230 400 275
실시예 9 500 230 400 260
실시예 10 500 255 400 280
실시예 11 500 935 400 750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경우 기존의 알코올계 물티슈(실시예10)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항균효과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편백나무 또는 바오밥 나무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2, 3 및 추출과정을 달리한 실시예 4, 5의 경우 그 항균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반 물티슈의 경우(실시예 11) 항균효과가 없이 세균이 증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11의 물티슈를 이용하여 증발실험을 실시하였다. 물티슈의 뚜껑이나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로 3시간마다 무게의 변화를 특정하여 수분의 증발속도를 비교하고 이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3시간 6시간 9시간 12시간
실시예 1 385 365 345 320
실시예 2 385 360 340 320
실시예 3 385 365 340 325
실시예 4 385 360 345 320
실시예 5 385 365 340 320
실시예 6 380 360 335 315
실시예 7 310 285 260 240
실시예 8 350 315 285 260
실시예 9 340 295 230 220
실시예 10 255 210 185 185
실시예 11 250 215 170 17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경우 12시간을 개방한 이후에도 일부 수분이 남아 있어 물티슈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시예 7의 경우 기존의 양과 유사한 항균 조성물을 주입함에 따라 12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는 많이 건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균 조성물을 많이 주입하였지만 일반적인 보관캡을 사용한 실시예 8의 경우 12시간이 지난이후에도 항균조성물이 남아있었지만, 초기에 사용시 많은 양의 항균조성물로 인하여 사용이 어려웠으며, 다만 반투막 내부에 존재하는 항균 조성물로 인하여 그 양이 장시간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과 동일한 포장을 사용한 실시예 9의 경우 9시간이 경과된이후 완전히 건조되었으며, 기존의 물티슈인 실시예 10 및 11의 경우 9시간 경과 이전에 완전히 건조되어 사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보관 외피 본체
110 : 개구부
210 : 보관캡 베이스
220 : 보관캡 헤드
230 : 인출수단 하우징
240 : 한쌍의 롤러
250 : 고정수단
260 : 탄성체
300 : 원단
310 : 인출되는 원단

Claims (2)

  1. (a)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되며, 내부의 물티슈를 외부와 격리하는 물티슈 보관 외피;
    (b) 상기 보관 외피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보관 외피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여 물티슈의 인출이 가능한 보관캡; 및
    (c) 상기 보관 외피의 내부에 보관되며, 물과 유효성분이 함침된 다수개의 원단;
    을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에 있어서,
    상기 보관외피는,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여 튜브형으로 제작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측을 막는 접합부;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부착되는 반투막;
    상기 반투막과 상기 본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분유지용 항균 조성물;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으로 제작되는 필름을 1층이상 포함하는 다층필름이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양측면을 열접합하며,
    상기 반투막은 불소수지를 연신하여 0.05~1㎛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관캡은,
    상기 개구부의 외측을 따라 상기 본체에 접합된 보관캡 베이스;
    상기 보관캡 베이스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일측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보관캡 베이스와 결합되는 보관캡 헤드; 및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단 인출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원단 인출수단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 상면에 부착되는 인출수단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인출되는 원단을 좌우측면에서 압박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롤러의 양측단을 연결하며, 상기 원단에 일정한 압력을 공급하는 탄성체; 및
    상기 롤러의 양측단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한쌍의 롤러 접촉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단은,
    0.1~0.5mm의 두께로 형성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에 함침된 물 및 유효성분;
    을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는,
    고분자수지를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된 고분자 수지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단계;
    원심회전부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분사노즐을 회전하며, 상기 용융된 고분자 수지를 분사시키는 단계;
    분사노즐과 수집판에 고전압을 발생시켜 낙하하는 용융된 고분자수지를 나노파이버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집판에 적층된 나노파이버에 초음파를 공급하여 융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물 및 유효성분은,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1~10m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200~300℃의 온도 및 0.5~2Mpa의 압력으로 가열한 다음, 대기압으로 감압하여 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화된 편백나무 및 바오밥나무를 0.1~1mm의 크기로 분쇄하여 우드 칩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우드 칩을 물에 침지한 다음, 60~80kHz의 초음파를 500~800W의 강도로 10~30분간 공급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유효성분이 추출된 물을 진공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농축이 완료된 물 100중량부에 프로폴리스 1~5중량부, 산화티타늄 0.1~0.5중량부, 녹차 추출물 0.1~5중량부, 레몬 추출물 0.1~1중량부, 알로에베라 추출물 0.1~1중량부, 히알루론산 나트륨 0.01~0.1중량부, 글리세린 1~2중량부, 카프릴릴글리콜 0.1~1중량부 및 향료 1~2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물 및 유효성분은 상기 부직포 100중량부 대비 80~150중량부의 비율로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물티슈.
  2. 삭제
KR1020210033163A 2021-03-15 2021-03-15 항균 물티슈 KR102288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163A KR102288515B1 (ko) 2021-03-15 2021-03-15 항균 물티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163A KR102288515B1 (ko) 2021-03-15 2021-03-15 항균 물티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515B1 true KR102288515B1 (ko) 2021-08-10

Family

ID=7731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163A KR102288515B1 (ko) 2021-03-15 2021-03-15 항균 물티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5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080B1 (ko) * 2021-12-03 2022-11-24 김현호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
KR20230028706A (ko) 2021-08-22 2023-03-02 김재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항균 물티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9245A (ja) * 1997-07-29 1999-02-23 Toppan Printing Co Ltd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KR101943522B1 (ko) 2018-06-04 2019-01-29 추병순 항균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 물티슈
KR101921385B1 (ko) 2016-11-30 2019-02-1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43553A (ko) * 2018-06-20 2019-12-31 주식회사 청수아 인출 방지막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9245A (ja) * 1997-07-29 1999-02-23 Toppan Printing Co Ltd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KR101921385B1 (ko) 2016-11-30 2019-02-1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3522B1 (ko) 2018-06-04 2019-01-29 추병순 항균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 물티슈
KR20190143553A (ko) * 2018-06-20 2019-12-31 주식회사 청수아 인출 방지막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706A (ko) 2021-08-22 2023-03-02 김재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항균 물티슈
KR20240018397A (ko) 2021-08-22 2024-02-13 김재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항균성 물티슈
KR102470080B1 (ko) * 2021-12-03 2022-11-24 김현호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515B1 (ko) 항균 물티슈
JP4855241B2 (ja) 除吸放出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11349B2 (ja) 防虫効果を示すカプセル化された植物抽出物を含む吸収性物品
KR20190000098A (ko) 천연 꽃잎이 함유된 천연 꽃잎 화장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133453A (ko) 식물 섬유를 포함하는 식물성 종이
BR112013014133B1 (pt) lenço, método para remoção de bactérias a partir de uma superfície e concentrado antimicrobiano
CN104947496B (zh) 鼻洁涕护肤湿巾
KR20130028192A (ko) 복합 기능 황토 한지 얼굴 미용 마스크 시트 팩
KR101596919B1 (ko) 해충 방지용 천연 물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JP5274023B2 (ja) 哺乳動物における関節痛または筋肉痛または筋骨格痛を軽減または抑制する、局所用途の治療薬
KR20180015975A (ko) 해조류 섬유 및 천연 항균제를 이용한 항균 물티슈
KR102194090B1 (ko) 다용도 사용이 가능한 물티슈의 제조장치
CN102995492A (zh) 驱蚊纸巾制造方法
KR101911667B1 (ko) 친환경 아로마 물티슈,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KR101918901B1 (ko) 친환경 아로마 물티슈,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KR101712023B1 (ko) 한지에 홍삼을 적층시킨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057057A (zh) 一种抑菌亲肤多效湿巾的生产工艺
KR102490026B1 (ko) 저유해성 약액을 포함하는 천연 대나무 물티슈
KR20190120679A (ko) 생체적합성 흡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대
KR100937688B1 (ko) 기능성 식물성 섬유 탑시트 제조방법
KR102160364B1 (ko) 마스크 팩 제조용 수분산성 원단과 그의 제조 방법
KR102608337B1 (ko) 에어 포켓 기반 엠보를 활용한 항균 페이퍼타올의 제조 방법
KR20220122235A (ko)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07128B1 (ko) 항균성 페이퍼 타올
KR20200035578A (ko) 캡사이신 캡슐이 포함된 항산화 및 근육안정 효과를 나타내는 스포츠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