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007B1 -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007B1
KR101507007B1 KR1020140058471A KR20140058471A KR101507007B1 KR 101507007 B1 KR101507007 B1 KR 101507007B1 KR 1020140058471 A KR1020140058471 A KR 1020140058471A KR 20140058471 A KR20140058471 A KR 20140058471A KR 101507007 B1 KR101507007 B1 KR 10150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age
subdivided
skin
present
hanj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구수
정진욱
Original Assignee
정진욱
강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욱, 강구수 filed Critical 정진욱
Priority to KR1020140058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사기능을 가진 일회용 밴드라 함은 밴드에 실리카미세분말을 함유시킨 접착제를 밴드 일 측에 도포하고 롤로 보관하면서 통증이나 관절이나 장기 등이 가까운 피부에 적절한 길이로 상기 밴드를 절단하여 부착시키면 피부를 통해 방사기능이 침투되어 염증이나 장기기능이 서서히 활성화되도록 자극을 주므로 통증이나 장애상태가 풀려 서서히 완화시키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성 밴드로 제작하고 이를 상품화하는 발명에 관한 가정용 상비품으로 제공하려는 피부미용에 관한 밴드분야 제조기술에 속한다.
본 발명은 이미 시중에서 피부염증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개발된 의료용 안티 푸라 민 도포 밴드로 제조된 것과 같이 의료용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가정상비품으로 보관하였다가 피부가 찢겨 피를 흘리거나 모기 등에 물려 가려워 긁다가 염증을 일으킬 때 더 이상 긁지 못하도록 밴드로 부착시켜 염증이 가라않는 점과 내장기능의 촉진을 위한 민간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개발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의료용 염증치료로 사용되는 밴드가 아니라 순수한 민간요법에 의한 손톱 등에 의해 균에 오염되는 2차 감염을 저지시키고자 순수한 민간예방차원에서 저가의 방사기능을 가진 일화용 밴드로 일반상가에서 의료법에 저촉됨이 없이 유통되므로 인해 저소득계층에서 호응을 받는 효과가 기대되고 또한 새로운 의료방법이 아닌 염증완화에 기여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색인어]
한지소편, 황토이온용액, 방사기능, 실리카분말, 친환경접착제, 반창고(絆瘡膏), 소독거즈, 두루마리,

Description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와 이의 제조방법{The functional adhesive bandage to content some of yellow clay, thereof its processing method}
본원발명의 기술은 일상 생활주변에서 발생되는 피부찰과상이나 신체내부의 장기기능이 생활습관이나 식생활에 의해 기능저해로 인한 염증과 기능장애로 서서히 발전되는 만성질환에서 스스로 치유될 수 있도록 간단하게 피부를 통해 원적외선이 투과되어 기능을 촉진시키므로 자진으로 치유되도록 유도하는 피부접착밴드로 제작하는 부착밴드제조방법분야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 오랜 기간 실리카계통의 황색점토를 미립자분말로 제조한 후 이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반창고로 제조된 섬유직물이나 특수지류의 일면만 도포한 후 장기보관을 위해 밴드를 여러 층으로 감아 롤로 제작하고 필요할 때마다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찰과상 부위와 염증환부와 피부내면의 염증부위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피부에 부착시켜 원적외선방사가 미치도록 하는 밴드분야의 제작기술이다.
본원발명에서 배경이 되는 가공기술은 먼저 선대로부터 몇몇 가정을 통해 전수되어 왔으며 화농된 부위에 잿물과 함께 황토를 섞어 환부에 부착한 후 나무껍질이나 모시직물 등으로 감싸 농도 빼면서 환부의 염증을 완화시켜 자가 치료를 해온 민간요법과 최근에 알려진 원적외선 치유방법 등의 기술을 배경으로 하면서 각종 의류개발과 의료분야의 붕대개발 등도 발명의 배경으로 하였다.
이미 유통되고 있는 반창고는 '보조연장부가 구비된 일회용 밴드'인 공개번호 제10-2011-00617536호(2011.06.10.)와 파스기능에서 부가하여 순은자석파스로서 출원번호 제20-1999-0005448호(1999.03.31.)의 기술을 배경과 이미 시판되고 있는 각종 반창고 제작의 기술도 기술개발의 배경으로 하였다.
특히 직물 이외에 지류로 개발된 밴드에서 피부색과 동일한 밴드가 환부와 내장환부위치와 가장 가까운 피부에 부착할 때 외출 시에 보이지 않도록 피부색상을 택하는 면도 본원발명의 제조기술에 응용개발을 위한 배경으로 택하였다.
본원발명에서 피부가 칼 등에 의해 베이고 약을 바른 후 약이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소독거즈(sterilized gauze) 등으로 덮는데 덮은 거즈가 벗겨지거나 움직이며 이물질이 갈라진 피부 새로 스며들므로 균이 들어 올 우려가 많아 아예 접착테이프처럼 피부에 붙어 있으면 이동되지 않아 환부피부부위를 보호해 줄 수 있는 관점에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테이프선정문제의 해결과제이다.
기존의 반창고는 단순히 환부부위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피부에 잘 부착되는 방법으로 거즈 대신에 지류를 선택했고 지류의 일면만 접착성을 갖도록 하면서 롤로 감는다면 일면의 접착성만으로 양면접착성보다는 사용할 때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므로 이를 준용하는 과제의 선택이다.
다음은 방사기능성을 확보시키는 방법을 위한 과제선택인데 방사기능 확보를 위한 재료의 선택과 이의 도포를 위한 혼합방법 등도 포함하여 광범위한 연구와 이를 위한 과제선정도 채택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에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는 과제의 선정에서 거즈와 지류 중에 가장 합당한 재료의 선정인데 거즈는 통기성은 좋으나 반면 균의 침입이 용이하므로 통기성이 빈약한 지류로 하면서 신축성을 갖도록 하는 재료선택을 과제로 삼았다.
지류에 방사성물질을 접착제와 함께 도포되도록 혼합하는 과제에서 혼합방법과 도포방법인데 낱개로 제작된다면 이중으로 제작하는 겹 밴드야만 되겠으나 롤로 제작을 한다면 꼭 겹으로 제작할 이유가 없으므로 이러한 점도 연구하여 해결수단으로 하면서 방사성이 우수한 재료로서 흔히 사용되는 황색점토를 택하는 것인데 이러한 사유 중에는 피부색상에 따라 피부색에 적응하도록 흰 피부용이라면 제올라이트와 석회석분 등을 채택하고 그 외는 누런색상이건 검은 색상이건 개의치 않고 황색점토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으로 가공된 방사기능을 가진 반창고는 일회용으로 사용되므로 재사용으로 인한 세탁 등의 문제가 없고 일화용이므로 가격도 저렴해야 하며 쓰레기로 보리는 문제 등이 없으면서 피부세포에 활력을 불어 일으키는 원적외선방사 능력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끈끈한 약품이 아니라 사용자가 피부에 남는 거부감이 없으면서 세균억제력을 갖는 제품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면이라 기대감이 높아져 구매촉진으로 매출신장에 많은 효과가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모든 기관이 무력감으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져 질병으로 이어지는 신체기능저하를 원적외선방사를 유도시켜 생기를 돋우게 하여 스스로 면역향상과 자력갱신을 도모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제조를 위한 단계별 가공절차의 가공순위도,
도 2는 본원발명에서 기본이 되는 한지원단으로 가공된 원단상부도,
도 3은 소분된 한지원단지편을 겹체로 이어가는 절편들의 상부도,
도 4는 한지원단지편을 겹체로 압축시켜 이어진 절편들의 상부도,
도 5는 본원발명에서 압축과 숙성과 도포되어 롤로 제작된 상부사시도,
도 6은 본원발명의 일 겹체한지절편의 방사 량에 대한 검사자료참고도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한지원단, 12 : 소분한지
20 : 하층소분한지1, 22 : 하층소분한지2,
30 : 상층소분한지1, 32 : 상층소분한지2,
40 : 상하겹체한지, 42 : 겹체한지절편,
50 : 겹체한지 롤, 52 : 롤 지관,
재료 확보가 우선인데 먼저 닥나무수지원료로 한지를 제조하는 제조업체를 방문하여 닥나무 껍질을 벗기고 잘게 세절시키고 물에 풀어 죽처럼 만든 후 약한 열기를 가하면서 전분을 약간 량을 넣고 눌러 붙지 않게 저으면서 잘 풀어져 있으면 고운체로 제작된 판에 뜸질로 한지를 뽑고 말리고 걷어내고 도포시킬 원단이 되는 밴대지(bandage)재료인 한지원단(10)으로 주문생산을 하는 한지(닥나무)제조공정(제1단계)을 하는데 규모가 커진다면 자체 한지공장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지원단(10)의 일 측 윗면 전체에 고르게 적셔지도록 미리 만들어 놓은 황토미세분말을 10 내지 15중량%가 혼합되는 수용액을 만들고 이를 분무기를 사용하여 상기 한지원단(10) 일 측 윗면 전체에 한차례 살포한 후 자연건조를 하여 한지원단(10) 전체에서 원적외선방사가 발생하도록 1차 흡착공정인 황토이온용액흡착공정(제2단계)을 거쳐 한지원단(10) 자체에 원적외선방사 능력을 갖추게 한다.
상기와 같이 1차 흡착공정인 황토이온용액흡착공정(제2단계)을 거친 한지원단(10)은 본원발명에서 기본이 되는 한지로 가공된 원단의 상부도(도2)의 우측도면과 같이 한지원단(10)의 폭은 일반적으로 650 내지 700mm이므로 폭을 5등분하면 부정부위를 제외하여 소분한지(12)의 폭은 120 내지 140mm에 길이는 한지원단(12)의 길이가 1,400 내지 1,500mm이므로 소분한지(12)도 당연히 최소한 1,400mm로 계산되어 지면서 한지소편재단공정(제3단계)으로 재료가공을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쳐 얻어진 소분한지(12)를 피부에 닿을 밑면으로 사용할 소분한지(12)는 하층소분한지1(20)과 하층소분한지2(22)로 배열시키고 피부 바깥부위가 될 소분한지(12)는 상층소분한지1(30)과 상층소분한지2(32)로 구분하여 배열시킨 후 하층소분한지1(20)과 하층소분한지2(22) 윗면부위에 친환경접착제로 도포하면서 상층소분한지1(30)과 상층소분한지2(32)를 하층소분한지1(20)과 하층소분한지2(22)와 절반씩 어긋나게 부착하면 이은 자리가 생기지 않으면서 길게 연결이 되고 연결된 즉시 65℃ 내외로 유지하는 전열장치가 장착된 롤러다리미, 또는 가정용 다리미로 압축시키면서 접착제가 건조되면 아주 질기면서 인장력이 우수한 상하겹체한지(40)로 제조되는 중합연결소독공정(제4단계)이 완성된다.
상기 중합연결소독공정(제4단계)으로 제조된 상하겹체한지(40)를 상세히 살펴보면 연결부위를 살펴볼 수 있는데 상층소분한지1(30)과 상층소분한지2(32)의 매 끝과 하층소분한지1(20)과 하층소분한지2(22)의 매 끝이 어긋나면서 상, 하층소분한지는 절반씩 나뉘어 이음새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다리미로 다려 열소독과 두께가 아주 얇아지면서 인장력이 강화되어 피부에 부착시킬 때 아주 편리해 진다.
상기와 같이 가공된 상하겹체한지(40)의 바닥면은 애당초 가공 전에 하층소분한지(20)에 황토와 친환경접착제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황토접착도포공정(제5단계)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두루마리제조공정(제6단계)을 거치는데 본 두루마리제조공정(제6단계)은 별도시설로 장치된 자외선장치에서 조사하며 부가된 열기장치로 수분을 제거시켜 수동 또는 자동화장치에 롤 지관(52)을 얹고 롤로 감아내면 대략 50미터, 즉 500,000mm의 완제품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롤로 제작된 상하겹체한지(40)는 상품의 규격에 따라 고압절단장치를 사용하여 겹체한지 롤(50)에서 겹체한지 롤(50)의 폭은 자투리를 제외하므로 100mm, 45mm 또는 22mm로 규격을 정한 후 제단하고 포장한 후 보관출하 하는 포장보관출하공정(제7단계)으로 본원발명의 방사기능을 함유한 반창고가 완성되어 진다
황토이온용액흡착공정(제2단계)으로 얻은 소분한지(12)는 윗면에 미리 도포된 황토이온용액이 혼합되어 제조되었으나 재차 황토미분이 혼합된 친환경접착제를 도포하여 소분한지(12)들을 상하로 포개면서 이어지는 상하겹체한지(40)로 재조하기 위해 한지소편재단공정(제3공정)으로 재단하고 자동화장치가 마련되지 못하였으므로 수작업으로 사전에 마련한 상기 친환경접착제로 하층소분한지1(20)과 하층소분한지2(22)의 윗면만 붓을 사용하여 도포하면서 하층소분한지1(20)과 하층소분한지2(22)에 절반씩 나뉘어 붙도록 상층소분한지1(30)을 부착하고 다시 다음의 하층소분한지(20,22)도 이어가며 다음의 상층소분한지1(30) 및 상층소분한지2(32)처럼 부착시켜 길게 연결시켜 긴 상하겹체한지(40)로 제조하였다.
긴 상하겹체한지(40)로 제조하는 중합압축연결공정(제4단계)에서 두루마리처럼 상하겹체한지(40)를 롤로 감기 전에 단단하고 질긴 겹체를 유지시키기 위해 일반 다리미를 60℃에 맞춰 미열을 유지할 때 힘껏 눌러가며 두 겹의 소분한지(12)들이 하나의 한지몸체가 되도록 누르고 압축시키면서 자외선조사장치로 살균시키고 겹체한지 롤(50)에 롤 지관(52)을 얹고 수작업으로 회전시키며 테이프처럼 감아 겹체한지 롤(50)로 제작하는 두루마리제조공정(제6단계)을 수행하였다.
상기 두루마리제조공정(제6단계)으로 제조된 겹체한지 롤(50)은 폭이 너무 넓기에 압축절단장치를 사용하여 원형의 지관이 지탱되도록 폭 21mm와 폭 42mm인 두 규격만 제작하고 작은 상자에 담고 다시 큰 상장에 담아 유통시키는 포장보관출하공정(제7단계)으로 제조하고 사용해 본 결과 확실한 느낌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상하겹체한지(40)의 겹체한지절편(42)을 임의 척출하여 원적외선방사내용을 조사한 결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얻은 수치(2014.04.23.)는 측정온도 40℃와 측정파장 5∼20㎛에서 3.59x102에 0.891의 결과를 본원발명의 일 겹체한지절편의 방사 량에 대한 검사자료참고도(도6)와 같았는데 일반적으로 높은 수치보다는 신체에 미치는 영향이 은은해야 피부에 자극성이 없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매우 만족스런 값이라고 평가되었다.

Claims (2)

  1. 피부에 부착하는 일회용 기능성 반창고에 있어서,
    한지원단(10)에 황색점토이온용액을 살포하고 건조시켜 소분시킨 소분한지(12)를 일부는 하층소분한지1(20)과 하층소분한지2(22)로 하층을 이루면서 상기 하층소분한지들을 이어가며 일부는 상층소분한지1(30)과 상층소분한지2(32)로 상층에 접착되도록 도포시켜 상기 상층한지들과 상기 하층한지들이 서로 어긋나게 부착되도록 제조된 상하겹체한지(40)와,
    상기 상하겹체한지를 자외선으로 살균하고 약한 열의 다리미로 압축시켜 황토를 함유한 친환경접착제를 도포하여 롤 지관(52)에 감아 겹체한지 롤(50)의 두루마리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
  2. 피부에 부착하는 일회용 기능성 반창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닥나무수지원료로 가공되는 한지원단공정(제1단계)으로 확보한 한지원단(10)을 황토이온용액흡착공정(제2단계)에서 황토수용액인 황토이온용액을 살포하고 건조시켜 흡착시키고 한지소분재단공정(제3단계)에서 다수개의 소분한지(12)로 재단하여 일부는 하층소분한지1(20)과 하층소분한지2(22)로 하층을 이루면서 친환경접착제로 도포하고 상기 소분한지 나머지를 상층소분한지1(30)과 상층소분한지2(32)로 어긋나게 겹치는 중합압축연결공정(제4단계)으로 상하겹체한지(40)로 제조한 후 자외선과 약한 열기를 갖춘 압축다리미로 상기 상하겹체한지가 피부에 부착되도록 친환경 접착제로 도포하는 황토접착도포공정(제5단계)을 거쳐 롤 지관(50)에 감는 두루마리제조공정(제6단계)으로 겹체한지 롤(50)로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의 제조방법
KR1020140058471A 2014-05-14 2014-05-14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와 이의 제조방법 KR10150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471A KR101507007B1 (ko) 2014-05-14 2014-05-14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와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471A KR101507007B1 (ko) 2014-05-14 2014-05-14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007B1 true KR101507007B1 (ko) 2015-03-30

Family

ID=5302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471A KR101507007B1 (ko) 2014-05-14 2014-05-14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682B1 (ko) * 2022-01-28 2022-05-17 한원물산 주식회사 대량생산이 용이한 늘어나는 한지원단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916B1 (ko) 2004-12-02 2006-03-20 전양배 한지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0446175Y1 (ko) 2009-03-05 2009-10-05 정신희 다리 교정용 밴드
KR20100024378A (ko) * 2009-12-31 2010-03-05 김병문 인조 적황색점토 시트
KR101141632B1 (ko) 2011-12-28 2012-04-27 박평수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916B1 (ko) 2004-12-02 2006-03-20 전양배 한지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0446175Y1 (ko) 2009-03-05 2009-10-05 정신희 다리 교정용 밴드
KR20100024378A (ko) * 2009-12-31 2010-03-05 김병문 인조 적황색점토 시트
KR101141632B1 (ko) 2011-12-28 2012-04-27 박평수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682B1 (ko) * 2022-01-28 2022-05-17 한원물산 주식회사 대량생산이 용이한 늘어나는 한지원단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005B1 (ko) 시클로덱스트린 함유시트
CN106456569A (zh) 用于递送护肤组合物的装置
WO2012094264A2 (en) Adhesively attachable material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reof
KR20130028192A (ko) 복합 기능 황토 한지 얼굴 미용 마스크 시트 팩
KR101507007B1 (ko) 황색점토함유 기능성 반창고와 이의 제조방법
US20230263667A1 (en) Breathable adhesive bandages
CN103877609A (zh) 创面包敷防水布料的生产方法
CN206138448U (zh) 一种抗菌吸湿医用敷料
KR101894760B1 (ko)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가지면서 허브향을 발하도록 제공되는 기능성 패치
CN104307029A (zh) 一种医用天然生物敷料
CN205548793U (zh) 一种精油贴
CN103211350A (zh) 一种具有治疗脚气功能的鞋垫
JPH06506989A (ja) アルジネート生地、創傷用包帯剤及び手術用止血材におけるその使用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202740226U (zh) 弹性聚氨酯无纺布创口贴
CN203063203U (zh) 含有艾叶或其它中草药成份的复合纸
CN102058899B (zh) 一种具有杀菌消炎功能的卫生巾及其制作方法
CN205359798U (zh) 一种含有氧化再生纤维素的创可贴
US20080312573A1 (en) Chappell self adhesive medical wrap
RU2806337C2 (ru) Воздухопроницаемые лейкопластырные повязки
KR101141632B1 (ko) 항균 및 원적외선 방사 탈지면의 제조방법
CN112933415B (zh) 一种太赫兹能量贴及制作工艺
CN201333260Y (zh) 体表用药敷带
CN105380930A (zh) 烧伤贴
CN203852604U (zh) 一种用于治疗脚气的布帖
KR20230000340U (ko) 습기가 차지 않는 종이로 된 일회용 한지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