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507B1 -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507B1
KR101140507B1 KR1020110014419A KR20110014419A KR101140507B1 KR 101140507 B1 KR101140507 B1 KR 101140507B1 KR 1020110014419 A KR1020110014419 A KR 1020110014419A KR 20110014419 A KR20110014419 A KR 20110014419A KR 101140507 B1 KR101140507 B1 KR 101140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n
signal
eeg
customiz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훈
김진만
박대현
김동주
Original Assignee
(주)넥스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젠 filed Critical (주)넥스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사용목적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자극을 제공하는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자극에 대한 뇌파 반응도인 뇌활성화도가 가장 큰 자극의 특성값인 최적 특성값을 이용하여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신호의 특성값 변화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뇌활성화도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뇌활성화도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자극신호의 특성값을 획득하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뇌파유도신호를 상기 특성값으로 변조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어떤 사용자가 어떤 신체 상태에서 사용하든지 간에 항상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 유도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ducing User Adaptive Brainwave}
본 발명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해 시각적 신호나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뇌파유도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자극에 대한 사용자 개개인의 뇌활성화도 차이 또는 동일 사용자의 경우에도 신체 상태에 따른 뇌활성화도 차이를 고려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뇌파유도신호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는 특정 사용목적에 부합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파라 함은 대뇌피질의 신경세포에서 흥분뉴런의 전위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미약한 주기성의 전류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인체의 상태에 따라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르게 발생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즉, 일상생활에서 주로 발생되는 뇌파(베타파)는 15Hz에서 30Hz 사이이고, 명상(정신적인 안정)이나 휴식 상태(긴장 이완)에서 주로 발생되는 뇌파(알파파)는 8Hz에서 14Hz 사이이며, 초학습 상태나 약간 졸린 상태 또는 높은 창의력 상태 등에서 주로 발생되는 뇌파(세타파)는 4Hz에서 7Hz 사이이고, 깊은 수면 상태일때 발생되는 뇌파(델타파)는 3Hz 이하이다.
이와 같은 뇌파는 EEG(electro-encephalography)라는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이 가능한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뇌파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사람의 두뇌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특정한 자극을 인체에 제공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동조된 뇌파가 발생되도록 유도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뇌파 유도기술의 대표적인 예가 엠씨스퀘어와 같은 학습 보조기인데, 상기 학습 보조기는 연구와 임상실험을 통해 선별된 시각 자극(빛)과 청각 자극(소리)에 의해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가 동조되는 뇌파 동조현상을 이용한 것으로서 학습 능률의 향상을 위하여 긴장감, 피로감 및 스트레스는 해소시키고 집중력은 높여주기 위해 전술한 알파파나 세타파의 발생을 유도하는 시청각 자극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뇌파 동조현상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뇌파가 동조되어 발생되는 현상으로서, 일예로서 11Hz의 알파파를 유도하기 위해서 11Hz의 음향 및/또는 초당 11회로 점멸하는 빛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경우 상기 외부 자극에 대해서 사용자의 뇌파가 11Hz로 동조되어 발생될 수 있다.
다만, 인간의 가청주파수(20Hz 내지 20kHz)로 인하여 상기 예에서 11Hz의 음향 자극은 제공될 수 없기 때문에 청각 자극의 경우에는 원하는 주파수(즉, 11Hz)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해서 바이노럴 비트라는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바이노럴 비트 기술은 사용자의 양쪽 귀에 주파수 차이가 있는 1kHz 이하의 신호를 동시에 들려주면(일예로서 사용자의 왼쪽 귀와 오른쪽 귀에 각각 300Hz 신호와 311Hz의 신호를 동시에 들려줌) 상기 주파수 차이에 해당하는 뇌파(즉, 11Hz의 알파파)가 유도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학습 보조기는 사용자의 특정 목적(즉, 학습, 휴식 또는 수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청각 자극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뇌파가 상기 목적에 부합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두뇌상태가 상기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학습 보조기(이하, '뇌파유도장치'라고 함)는 일부 시험군에 대한 임상실험 결과나 연구를 통해서 사용 목적별로 미리 정해진 패턴(일예로서, 바이노럴 비트 이론에 따른 청각 신호의 주파수 차이)으로 형성된 시청각 자극을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 개개인의 자극에 대한 뇌활성화도 차이 또는 동일 사용자의 경우에도 현재의 신체 상태에 따른 뇌활성화도 차이는 전혀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뇌파유도장치는 시청각 자극을 결정하는데 활용된 시험군과 신체 상태 또는 자극에 대한 뇌활성화도가 다른 불특정 다수의 일반 사용자들에게 대해서는 상기 사용 목적에 부합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가 유도되지 않거나 매우 미미하게 유도됨으로써 실질적인 뇌파유도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의도하는 목적에 부합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뇌파유도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동일한 자극에 대한 사용자 개개인의 뇌활성화도 차이 또는 동일 사용자의 경우에도 신체 상태에 따른 뇌활성화도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뇌파유도신호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목적에 부합되는 뇌파를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사용목적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자극에 대한 뇌파 반응도인 뇌활성화도가 최대가 되는 상기 자극의 특성값인 최적 특성값을 이용하여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극은 시각자극 또는 청각자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특성값은 시각자극의 경우에는 빛의 조도이고 청각자극의 경우에는 소리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자극인 제1자극의 특성값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생성한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뇌파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최적 특성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 특성값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자극인 제2자극의 특성값을 변조하여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자극은 하나의 특성값을 가지는 단일 톤의 자극이고, 상기 제어부는 제2자극의 특성값이 상기 최적 특성값이 되도록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자극은 복수의 특성값을 가지는 다중 톤의 자극이고, 상기 제어부는 제2자극의 중심 특성값이 상기 최적 특성값이 되도록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를 생성하는 뇌활성화도 획득신호 생성모듈,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맞춤형 뇌파유도신호 생성모듈, 상기 뇌파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뇌파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뇌파 데이터 수신모듈, 상기 수신된 뇌파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최적 특성값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뇌활성화도 분석모듈,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시각자극 출력부와 청각자극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 안경 또는 고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뇌파측정부는 상기 출력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뇌파 유도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목적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상기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뇌파유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뇌파유도단계는 상기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자극에 대한 뇌파 반응도인 뇌활성화도가 최대가 되는 상기 자극의 특성값인 최적 특성값을 이용하여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자극은 시각자극 또는 청각자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특성값은 시각자극의 경우에는 빛의 조도이고 청각자극의 경우에는 소리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뇌파유도단계는 미리 저장된 자극인 제1자극의 특성값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생성한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에 의해 유도된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최적 특성값을 획득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뇌파유도단계는,상기 최적 특성값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자극인 제2자극의 특성값을 변조하여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설정모드와 뇌파유도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작동모드 선택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작동모드 선택단계에서 설정모드가 입력된 경우이면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를 수행하여 획득한 최적 특성값을 저장하고, 뇌파유도모드가 선택된 경우이면 미리 저장된 최적 특성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3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신호의 특성값 변화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뇌활성화도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뇌활성화도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자극신호의 특성값인 최적 특성값을 획득하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뇌파유도신호를 상기 최적 특성값으로 변조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어떤 사용자가 어떤 신체 상태에서 사용하든지 간에 항상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 유도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a 내지 도1f는 각각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베타파 및 감마파 대역에서 청각 자극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뇌활성화도 변화를 서로 다른 사용자 A,B,C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2a 내지 도2f는 각각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베타파 및 감마파 대역에서 시각 자극신호의 조도 변화에 따른 뇌활성화도 변화를 서로 다른 사용자 A,B,C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4은 도3에 도시한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5a와 도5b는 각각 도4에 도시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 생성모듈에서 단일 톤과 다중 톤의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 그래프,
도6a와 도6b는 도3에 도시한 출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의 뇌파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a 내지 도1f는 각각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베타파 및 감마파 대역에서 청각 자극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뇌활성화도 변화를 서로 다른 사용자 A,B,C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2a 내지 도2f는 각각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베타파 및 감마파 대역에서 시각 자극신호의 조도 변화에 따른 뇌활성화도 변화를 서로 다른 사용자 A,B,C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에서 적용하고 있는 뇌파 유도방식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로 다른 사용자 A,B,C에 대하여 제공되는 자극신호의 특성값을 변화시켜가면서 주요 주파수 대역의 뇌파에 대한 뇌활성화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자극신호라 함은 인체가 오감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자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신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자극신호를 청각신호(소리)와 시각신호(빛)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변화되는 특성값은 청각신호의 경우 주파수이고 시각신호의 경우 조도인 것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청각신호의 경우 서로 다른 사용자 A,B,C에 대하여 일정한 크기의 단일 톤으로 구성된 청각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20Hz 내지 20kHz)에서 주파수 변조하여 제공하면서 뇌활성화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사용자들에게 20Hz의 청각신호를 초기에 제공한 후 30초 경과시마다 상기 청각신호의 주파수를 500Hz씩 증가시켜가면서 20kHz까지 제공하였으며, 상기 청각신호의 제공은 각 사용자들의 양쪽 귀에 대하여 별도로 이루어졌다.
또한, 시각신호의 경우에도 상기 청각신호와 유사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A,B,C에 대하여 일정한 파장의 시각신호를 5 lux부터 15 lux까지 30초마다 1 lux씩 증가시켜가면서 제공하였으며, 상기 시각신호의 제공은 각 사용자들의 양쪽 눈에 대하여 별도로 이루어졌다.
상기 시험에 따른 결과를 주요 주파수 대역의 뇌파별로 도1a 내지 도1f(청각신호의 경우)와 도2a 내지 도2f(시각신호의 경우)에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경우 Y축은 자극에 대한 뇌파 반응도의 의미를 가지는 뇌활성화도(해당 주파수 대역의 뇌활성화 에너지/전 대역의 뇌활성화 에너지), X축은 자극신호의 특성값(주파수 또는 조도), 수직선은 뇌활성화도가 가장 큰 특성값을 나타낸다.
상기 도1a 내지 도1f와 도2a 내지 도2f에 도시한 시험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주파수 대역의 뇌파마다 최대 뇌활성화도가 나타나는 자극신호의 특성값이 사용자마다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용자 개개인의 차이(자극신호의 특성값 차이에 따른 최대 뇌활성화도의 차이)는 동일 사용자의 경우에도 현재의 신체 상태에 따라 충분히 발생될 수 있는 것임을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험결과 사용자 A에 있어서 집중력 향상을 위해 알파파의 유도가 필요할 때에는 시각자극의 경우 빛의 조도가 우안(좌뇌의 뇌활성화도와 관련됨)은 9 lux, 좌안(우뇌의 뇌활성화도와 관련됨)은 11 lux일 때가 가장 효과적이고, 청각자극의 경우 소리의 주파수가 우이(좌뇌의 뇌활성화도와 관련됨)는 4kHz, 좌이(우뇌의 뇌활성화도와 관련됨)는 3kHz일 때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A에 있어서 창의력 증진을 위해 세타파의 유도가 필요할 때에는 시각자극의 경우 빛의 조도가 우안은 7 lux, 좌안은 14 lux일 때 가장 효과적이고, 청각자극의 경우 소리의 주파수가 우이는 12kHz, 좌이는 7kHz일 때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사용자 B에 있어서는 집중력 향상을 위해 알파파의 유도가 필요할 때에는 시각자극의 경우 빛의 조도가 우안은 12 lux, 좌안은 12 lux일 때 가장 효과적이고, 청각자극의 경우 소리의 주파수가 우이는 2kHz, 좌이는 2kHz일 때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B에 있어서 창의력 증진을 위해 세타파의 유도가 필요할 때에는 시각자극의 경우 빛의 조도가 우안은 12 lux, 좌안은 11 lux일 때 가장 효과적이고, 청각자극의 경우 소리의 주파수가 우이는 18kHz, 좌이는 16kHz일 때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시험결과 중 개인별 차이는 개인마다의 시력, 청력과 같은 신체 상태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동일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의 차이점은 좌우측 시력차이와 좌우측 청력차이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삭제
따라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고자 하는 경우(즉, 동일한 목적을 위해)에도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값을 가지는 자극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이는 마찬가지로 동일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현재의 신체 상태에 따라 최대 뇌활성화도가 나타나는 특성값을 가지는 자극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뇌파 측정방식 및 자극신호 제공방식은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관련된 부분에서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4은 도3에 도시한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5a와 도5b는 각각 도4에 도시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 생성모듈에서 단일 톤과 다중 톤의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 그래프이고, 도6a와 도6b는 도3에 도시한 출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작동모드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110),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120),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자극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40), 상기 입력부(110)와 뇌파측정부(120)에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부(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및 상기 제어부(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뇌파 유도장치의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구성요소로서 버튼이나 터치패널 방식 등 통상의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뇌파 유도장치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통상의 리모컨과 유사하게 뇌파 유도장치와 별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뇌파 유도장치의 작동모드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모드로 구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작동모드가 자극신호의 특성값을 변화시켜가면서 주요 주파수 대역의 뇌파별로 사용자의 뇌활성화도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설정모드"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뇌파(즉, 특정 사용목적에 부합되는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뇌파유도모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뇌파측정부(120)는 설정모드에서 출력부(140)에서 제공되는 자극신호에 따라 유도되는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공지된 통상의 뇌파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뇌파측정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좌우측 뇌파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전극을 사용자의 좌우측 머리에 각각 부착하게 되는데, 사람의 집중 정도 상태, 긴장이나 이완 상태 등의 정보는 일반적으로 뇌의 전두전야 부분에서 관장하기 때문에 상기 전극은 각각 전두전야 부분의 좌우측 뇌파를 검출하기 용이한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채널을 통하여 뇌파를 검출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뇌파 검출목적이나 응용분야에 따라서는 N개의 채널로 확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뇌파측정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출력부에서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자극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출력부(1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에서 생성된 자극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도6a와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이나 고글 타입의 시각자극 출력모듈(141)과 이어폰 타입의 청각자극 출력모듈(142)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뇌파 유도장치는 상기 출력부(140)의 일측에 전술한 뇌파측정부(120)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뇌파측정장치를 구매하여 보관 및 사용하는 불편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30)는 제어부(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설정모드"와 "뇌파유도모드"에서 각각 사용될 자극신호의 패턴이 저장된 자극패턴 저장모듈(131), 뇌파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가 저장되는 뇌파 저장모듈(132), 및 상기 측정된 뇌파를 이용하여 제어부(100)에서 획득한 주요 주파수 대역의 뇌파에 대한 사용자의 뇌활성화도 변화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뇌활성화도 저장모듈(13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10)에 입력된 작동모드에 대응되는 자극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101), 상기 뇌파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뇌파 저장모듈(131)에 저장하는 뇌파 데이터 수신모듈(102), 및 수신된 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극신호의 특성값 변화에 따른 주요 주파수 대역의 뇌파에서 사용자의 뇌활성화도 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상기 뇌활성화도 저장모듈(133)에 저장하는 뇌활성화도 분석모듈(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제어모듈(101)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극패턴 저장모듈(131)에 저장된 "설정모드"를 위한 자극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모드"에서 제공되는 자극신호(이하,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라 한다.)를 생성하는 뇌활성화도 획득신호 생성모듈(104)과, 상기 제어모듈(101)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극패턴 저장모듈(131)에 저장된 "뇌파유도모드"를 위한 자극신호와 뇌활성화도 저장모듈(133)에 저장된 사용자의 뇌활성화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한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자극신호(이하,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라 한다.)를 출력하는 맞춤형 뇌파유도신호 생성모듈(10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의 뇌파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뇌파 유도장치의 뇌파 유도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입력부(1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뇌파 유도장치의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되면(S10),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된 선택신호가 "설정모드"의 선택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 S2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설정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에 의하여 유도된 사용자의 뇌파에 대한 데이터를 뇌파측정부(120)로부터 수신한다(S30).
이때,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뇌활성화도 획득신호 생성모듈(104)에서 자극패턴 저장모듈(131)에 저장된 "설정모드"용 자극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설정모드"용 자극신호를 미리 정해진 특성값의 범위내에서 특성값을 변화시켜가면서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설정모드"용 자극신호는 시각신호와 청각신호로 각각 구성되는데, 시각신호일 경우 상기 "설정모드"용 자극신호는 일정 파장(즉, 단일 톤)의 빛이고 청각신호일 경우 상기 "설정모드"용 자극신호는 일정 크기(즉, 단일 톤)의 소리이다.
또한,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 생성모듈(104)은 "설정모드"용 자극신호 중 시각신호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조도범위(일예로서, 0 lux 내지 20 lux)에서 조도를 변화시켜가면서(일예로서, 30초마다 1 lux씩 변화시킴)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시각신호)를 생성하고, 청각신호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범위(일예로서, 20Hz 내지 20kHz)에서 주파수를 변화시켜가면서(일예로서, 30초마다 500Hz씩 변화시킴)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청각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정모드"에서 제어부(100)가 시각신호로 이루어진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를 먼저 제공하여 그에 따른 뇌파를 측정한 후 청각신호로 이루어진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를 제공하여 그에 따른 뇌파를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청각신호로 이루어진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를 먼저 제공할 수도 있고 입력부(11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공되는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의 종류(즉, 시각신호 또는 청각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나 제공순서가 정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뇌파측정부에서 측정된 뇌파에 대한 데이터는 뇌파 데이터 수신모듈에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상기 뇌파 데이터 수신모듈은 후술하는 S40 단계의 뇌파 분석이 이루어지기 전에 수신된 뇌파 데이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뇌파 데이터를 뇌파 저장모듈(132)에 저장함으로써 S40 단계에서 정확한 뇌파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3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수신된(즉, 뇌파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에 의한 사용자의 뇌활성화도 변화를 주요 주파수 대역의 뇌파별로 분석하고(S40), 상기 분석 결과를 메모리부(130)의 뇌활성화도 저장모듈(133)에 저장한다(S50).
이때, 상기 S40 단계와 S50 단계는 뇌활성화도 분석모듈(103)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뇌활성화도 분석모듈(103)은 S30 단계에서 수신된 뇌파 데이터를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의 특성값 마다 FFT(Fast Fourier Transform)변환하여 뇌파의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성분을 분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아래의 표1과 같이 뇌파 성분을 분석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뇌파 성분을 보다 포괄적으로 또는 구체적으로 구별하여 분석할 수도 있다.
뇌파 성분
(주파수 대역)
주파수명 사용목적(특징)
0.1~3 델타파 깊은 수면상태나 뇌 이상 상태
4~7 세타파 수면상태
8~12 알파파 이완 및 휴식상태
12~15 SMR파 주의상태
16~20 Mid-베타파 집중,활동상태
21~30 베타파 긴장,흥분상태,스트레스상태
30~50 감마파 불안,초조 등 강한 스트레스 상태
또한, 상기 뇌활성화도 분석모듈(103)은 이와 같이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의 각 특성값마다 얻은 뇌파성분을 이용하여 도1a 내지 도1f와 도2a 내지 도2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성값의 변화에 따른 각 뇌파성분의 뇌활성화도 변화패턴을 도출하여 그 결과를 상기 뇌활성화도 저장모듈(133)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뇌활성화도 저장모듈(133)에 저장되는 뇌활성화도 정보는 각 주파수 대역의 뇌파 성분에 대하여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각각의 뇌파 성분에 대하여 저장되는 정보는 자극신호 특성값의 변화에 따른 뇌활성화도 변화가 전체로 저장될 수도 있고 뇌활성화도가 최대인 특성값(이하, '최적 특성값'이라 한다)만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20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부(110)에 입력된 선택신호가 특정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뇌파유도모드"를 선택하는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목적을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다(S60).
이때, 상기 사용목적이라 함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두뇌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입력부에 마련된 복수의 선택메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택메뉴가 수면, 긴장이완, 집중력 강화, 스트레스 해소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선택메뉴가 알파파, 세타파, SMR파와 같이 뇌파 주파수명으로 구성되거나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S20 단계와 S60 단계가 별도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S2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용목적을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전술한 2개의 작동모드 중 "뇌파유도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간주하고 S60 단계 이하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S6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선택된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S70,S80).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사용목적이 '수면'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델타파 또는 세타파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사용목적이 '긴장이완'일 경우 알파파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사용목적이 '집중력 강화'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SMR파, Mid-베타파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거나 베타파와 감마파 대역이 적은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사용목적이 스트레스 해소일 경우 알파파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거나 베타파와 세타파가 적은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특히, 상기 선택된 사용목적 중 '집중력 강화'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아래의 [수식 1]로 계산되는 집중력 지표(T)가 높게 나오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S는 SMR파의 주파수, β는 Mid-베타파의 주파수, θ는 세타파의 주파수를 나타내며, 상기 각각의 주파수는 일예로서 해당 주파수 대역의 중간값, 최대값 또는 최소값 중 어느 하나로 구해질 수 있다.
Figure 112011011696010-pat00001
______________________ [수식 1]
이때,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맞춤형 뇌파유도신호 생성모듈(104)에서 자극패턴 저장모듈(131)에 저장된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와 뇌활성화도 저장모듈(133)에 저장된 사용자의 뇌활성화도 정보(즉, 선택된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뇌파 성분에 대한 뇌활성화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는 일예로서 시각신호와 청각신호로 각각 구성되는데, 시각신호일 경우 상기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는 일정 파장(즉, 단일 톤)의 빛이고 청각신호일 경우 상기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는 일정 크기(즉, 단일 톤)의 소리이다.
또한,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 생성모듈(104)은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의 특성값을, 상기 선택된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 성분에서 뇌활성화도가 최대로 나타난 최적 특성값으로 변조하는 방식으로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가 50Hz 단일 톤(즉, 단일 주파수)의 청각신호이고 상기 선택된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 성분에서 뇌활성화도가 가장 큰 최적 특성값(즉, 주파수)이 사용자 A의 경우 5kHz, 사용자 B의 경우 10kHz로 나타난 경우이면,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 생성모듈(104)은 사용자 A에 대해서는 5kHz 단일 톤의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B에 대해서는 10kHz 단일 톤의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가 단일 톤(즉, 단일 조도)의 시각신호인 경우에도 전술한 청각신호일 경우와 유사하게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의 조도를 상기 선택된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 성분에서 뇌활성화도가 최대로 나타난 조도로 변조하여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는 다중 톤(즉, 청각신호의 경우에는 복수 주파수의 소리, 시각신호의 경우에는 복수 조도의 빛으로 구성된 경우)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 생성모듈(104)은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의 중심 특성값을, 상기 선택된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 성분에서 뇌활성화도가 최대로 나타난 최적 특성값으로 변조하는 방식으로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가 5Hz 내지 20kHz의 다중 톤(즉, 복수 주파수)의 청각신호이고 상기 선택된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 성분에서 뇌활성화도가 가장 큰 최적 특성값(즉, 주파수)이 사용자 A의 경우 5kHz, 사용자 B의 경우 10kHz로 나타난 경우이면, 상기 맞춤형 뇌파유도신호 생성모듈(104)은 사용자 A에 대해서는 상기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를 5kHz 중심으로 재배열하고 사용자 B에 대해서는 상기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를 10kHz 중심으로 재배열하여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가 다중 톤(즉, 복수 조도)의 시각신호인 경우에도 전술한 청각신호일 경우와 유사하게 "뇌파유도모드"용 자극신호의 중심 조도를 상기 선택된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 성분에서 뇌활성화도가 최대로 나타난 조도로 변조하여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사용목적을 선택하는 경우에 무조건 상기 "설정모드"를 먼저 실행하여 사용자의 뇌활성화도를 획득한 후에 선택된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뇌파유도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극신호의 특성값 변화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뇌활성화도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뇌활성화도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자극신호의 특성값을 획득하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한 뇌파유도신호를 상기 특성값으로 변조한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어떤 사용자가 어떤 신체 상태에서 사용하든지 간에 항상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 유도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뇌활성화도 획득신호 및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같은 자극신호가 시각신호와 청각신호로 이루어진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이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뇌파 유도장치가 안경 또는 고글의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뇌파 유도장치는 학습 보조기 뿐만 아니라 TV, MP3, 오디오, 휴대폰, 프로젝터, 음향 시스템, 컴퓨터 등 여러 가지 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 아니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어부 102: 뇌파 데이터 수신모듈
103: 뇌활성화도 분석모듈
104: 뇌활성화도 획득신호 생성모듈
105: 맞춤형 뇌파유도신호 생성모듈
110: 입력부 120: 뇌파 측정부
130: 메모리부 140: 출력부

Claims (14)

  1. 사용자로부터 사용목적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서 각각 유도하기 위한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는 사용자의 우이 또는 우안에 출력하고, 상기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는 사용자의 좌이 또는 좌안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 각각의 외부 자극에 대한 뇌파 반응도인 뇌활성화도가 상기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가 되도록 상기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는 각각 하나 이상의 특성값을 가지는 시각 자극신호 또는 청각 자극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특성값은 시각자극의 경우에는 빛의 조도이고 청각자극의 경우에는 소리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자극신호의 특성값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생성한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우이 또는 우안과, 좌이 또는 좌안에 각각 출력하면서 상기 뇌파측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뇌파의 뇌활성화도가 상기 사용목적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가 되는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의 특성값인 최적 특성값을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 대해 각각 획득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는 시각 자극신호 또는 청각 자극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의 특성값은 시각자극의 경우에는 빛의 조도이고 청각자극의 경우에는 소리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는 각각 하나의 특성값을 가지는 단일 톤의 자극신호이고,
    상기 제어부는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의 특성값이 각각 상기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의 최적 특성값이 되도록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는 각각 복수의 특성값을 가지는 다중 톤의 자극신호이고,
    상기 제어부는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의 중심 특성값이 각각 상기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의 최적 특성값이 되도록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장치.
  7.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를 생성하는 뇌활성화도 획득신호 생성모듈, 상기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맞춤형 뇌파유도신호 생성모듈, 상기 뇌파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의 뇌파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뇌파 데이터 수신모듈, 상기 수신된 뇌파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의 최적 특성값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뇌활성화도 분석모듈,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광을 출력하는 시각 자극신호 출력부와 사용자의 좌이와 우이에 각각 소리를 출력하는 청각 자극신호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 안경 또는 고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뇌파측정부는 상기 출력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장치.
  9. 사용자로부터 뇌파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제1단계;
    상기 입력된 주파수 대역의 뇌파를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서 각각 유도하기 위한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제2단계;
    상기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는 사용자의 우이 또는 우안에 출력하고, 상기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는 사용자의 좌이 또는 좌안에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단계에서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는 각각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의 외부 자극에 대한 뇌파 반응도인 뇌활성화도가 상기 입력된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가 되도록 생성되고,
    상기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는 각각 하나 이상의 특성값을 가지는 시각 자극신호 또는 청각 자극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특성값은 시각자극의 경우에는 빛의 조도이고 청각자극의 경우에는 소리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미리 저장된 자극신호의 특성값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생성한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를 사용자의 우이 또는 우안과, 사용자의 좌이 또는 좌안에 각각 출력하면서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서 유도된 뇌파를 측정하는 제2-1단계;
    상기 제2-1단계 측정된 뇌파를 분석하여 뇌활성화도가 상기 입력된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가 되는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의 특성값인 최적 특성값을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 대해 각각 획득하는 제2-2단계; 및
    상기 획득한 최적 특성값을 이용하여 상기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는 제2-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는 시각 자극신호 또는 청각 자극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뇌활성화도 획득신호의 특성값은 시각자극의 경우에는 빛의 조도이고 청각자극의 경우에는 소리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는 각각 하나의 특성값을 가지는 단일 톤의 자극신호이고,
    상기 제2-3단계는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의 특성값이 각각 상기 제2-2단계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의 최적 특성값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는 각각 복수의 특성값을 가지는 다중 톤의 자극신호이고,
    상기 제2-3단계는 좌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와 우뇌 맞춤형 뇌파유도신호의 중심 특성값이 각각 상기 제2-2단계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의 최적 특성값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설정모드와 뇌파유도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작동모드 선택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작동모드 선택단계에서 설정모드가 입력된 경우이면 상기 제2-1단계와 제2-2단계를 수행하여 얻은 최적 특성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3단계를 수행하고, 뇌파유도모드가 선택된 경우이면 상기 제2-1단계와 제2-2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미리 저장된 최적 특성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3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뇌파유도방법.


KR1020110014419A 2011-02-10 2011-02-18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KR101140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790 2011-02-10
KR20110011790 2011-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507B1 true KR101140507B1 (ko) 2012-04-30

Family

ID=4614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419A KR101140507B1 (ko) 2011-02-10 2011-02-18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50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104A (ko) * 2013-06-28 2015-01-0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KR101540561B1 (ko) * 2013-11-07 2015-07-31 (주)넥스젠 능동형 뉴로 피드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28953B1 (ko) 2017-08-24 2018-02-13 (주)다보산업 뇌 자극 오디오 장치
KR20180033090A (ko) * 2016-09-23 2018-04-02 기초과학연구원 뇌 자극 장치
KR101965233B1 (ko) * 2019-01-16 2019-04-03 (주)유비윈 집중력 향상, 수면 유도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뇌파 유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11000B1 (ko) * 2019-07-26 2019-08-14 (주)유비윈 뇌파 유도 방법
KR20220140149A (ko) * 2021-04-09 2022-10-18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실시간 뇌파 분석을 이용한 집중과 이완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157802A (ko) 2022-05-10 2023-11-17 김문수 메타버스 또는 가상현실 적응 방식의 뇌파 유도 전기 자극 인가 시스템
CN117297627A (zh) * 2022-07-14 2023-12-29 安徽七度生命科学集团有限公司 脑波诱导装置、系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3630B2 (ja) * 1993-03-11 2004-08-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脳波誘導装置
KR20050054149A (ko) * 2003-12-04 2005-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별 뇌파 보정 방법
KR20060007335A (ko) * 2004-07-19 2006-01-24 (주) 심평 생체신호를 이용한 인체 적응적 뇌파유도 장치 및 그 방법
KR100941135B1 (ko) * 2009-02-13 2010-02-09 (주)다보산업 뇌파 유도 장치 및 신호 발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3630B2 (ja) * 1993-03-11 2004-08-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脳波誘導装置
KR20050054149A (ko) * 2003-12-04 2005-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별 뇌파 보정 방법
KR20060007335A (ko) * 2004-07-19 2006-01-24 (주) 심평 생체신호를 이용한 인체 적응적 뇌파유도 장치 및 그 방법
KR100941135B1 (ko) * 2009-02-13 2010-02-09 (주)다보산업 뇌파 유도 장치 및 신호 발생 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104A (ko) * 2013-06-28 2015-01-0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KR101667102B1 (ko) 2013-06-28 2016-10-1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KR101540561B1 (ko) * 2013-11-07 2015-07-31 (주)넥스젠 능동형 뉴로 피드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9963609A (zh) * 2016-09-23 2019-07-02 基础科学研究院 脑刺激装置及其用途
US11369770B2 (en) 2016-09-23 2022-06-28 Institute For Basic Science Brain stimulating device and use thereof
KR20180033091A (ko) * 2016-09-23 2018-04-02 기초과학연구원 뇌 자극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180033090A (ko) * 2016-09-23 2018-04-02 기초과학연구원 뇌 자극 장치
CN109963609B (zh) * 2016-09-23 2022-06-07 基础科学研究院 脑刺激装置及其用途
KR102063926B1 (ko) * 2016-09-23 2020-01-08 기초과학연구원 뇌 자극 방법
KR102063925B1 (ko) * 2016-09-23 2020-01-08 기초과학연구원 뇌 자극 장치
KR101828953B1 (ko) 2017-08-24 2018-02-13 (주)다보산업 뇌 자극 오디오 장치
WO2019039895A1 (ko) * 2017-08-24 2019-02-28 (주)다보산업 뇌 자극 오디오 장치
KR101965233B1 (ko) * 2019-01-16 2019-04-03 (주)유비윈 집중력 향상, 수면 유도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뇌파 유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11000B1 (ko) * 2019-07-26 2019-08-14 (주)유비윈 뇌파 유도 방법
KR20220140149A (ko) * 2021-04-09 2022-10-18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실시간 뇌파 분석을 이용한 집중과 이완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63041B1 (ko) 2021-04-09 2023-08-04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실시간 뇌파 분석을 이용한 집중과 이완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157802A (ko) 2022-05-10 2023-11-17 김문수 메타버스 또는 가상현실 적응 방식의 뇌파 유도 전기 자극 인가 시스템
CN117297627A (zh) * 2022-07-14 2023-12-29 安徽七度生命科学集团有限公司 脑波诱导装置、系统、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507B1 (ko)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KR101551623B1 (ko) 선택적 데이터 취득기법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US95219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uraging physiological change through physiological control of wearable auditory and visual interruption device
US8340753B2 (en) Binaural beat augmented biofeedback system
US201301778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Brain Activity
US11590313B2 (en) Smart relaxation mask
KR20180132109A (ko) 조절 장치 및 관련 방법
KR101667102B1 (ko) 동작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KR20190049442A (ko) 청각 자극 기반 수면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354674B2 (en) White noise generating apparatus for stress relaxation and concentration improvement, and white noise generating method using same
CN113646845A (zh) 用于基于诱发响应量化来递送感觉模拟的方法和系统
KR20200074797A (ko) 졸음 방지 및 숙면 유도 헤어밴드
KR101441820B1 (ko)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Sabin et al. Different patterns of perceptual learning on spectral modulation detection between older hearing-impaired and younger normal-hearing adults
KR20210020314A (ko) 비교 소리의 인지 반응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060007335A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인체 적응적 뇌파유도 장치 및 그 방법
US1158365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upling acoustic and electrical stimulation of noninvasive neuromodulation for diagnosis and/or treatment
KR102324332B1 (ko) 생체신호 측정 장치 및 그 시스템
Gohari et al. Neural correlates of concurrent sound perception: A review and guidelines for future research
KR102434228B1 (ko) 전전두엽에서의 뇌파에 따른 자극을 인가하는 뉴로 피드백 장치
Nisha et al. Pre-attentive neural signatures of auditory spatial processing in listeners with normal hearing and sensorineural hearing impairment: a comparative study
KR102563041B1 (ko) 실시간 뇌파 분석을 이용한 집중과 이완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73097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nter-phase dichoptic stimulation
JP7188667B1 (ja) Lcdサングラスを用いる知覚刺激療法器具
KR102282881B1 (ko) 생체신호 측정 장치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