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953B1 - 뇌 자극 오디오 장치 - Google Patents

뇌 자극 오디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953B1
KR101828953B1 KR1020170107326A KR20170107326A KR101828953B1 KR 101828953 B1 KR101828953 B1 KR 101828953B1 KR 1020170107326 A KR1020170107326 A KR 1020170107326A KR 20170107326 A KR20170107326 A KR 20170107326A KR 101828953 B1 KR101828953 B1 KR 101828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pil
earphone unit
user
senso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동석
Original Assignee
(주)다보산업
나동석
박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보산업, 나동석, 박강훈 filed Critical (주)다보산업
Priority to KR1020170107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953B1/ko
Priority to PCT/KR2018/009759 priority patent/WO20190398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measuring interpupillary distance or diameter of pup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에 각각 착용되어야 하는 좌측이어폰유닛 및 우측이어폰유닛과; 상기 좌측이어폰유닛에 마련되어 뇌 자극 오디오 장치의 바디로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좌측발신장치와; 상기 우측이어폰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바디로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우측발신장치와;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된 동공센서와; 상기 동공센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좌측발신장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좌측수신장치 및 상기 우측발신장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우측수신장치와; 상기 동공센서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동공 중심 위치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좌측발신장치와 우측발신장치가 상대적으로 올바르게 위치하면서 각각 신호를 송신하는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바디 내에 구비된 좌우확인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뇌 자극 오디오 장치{Audio Device for Brain Stimulating}
본 발명은 뇌 자극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뇌 자극 오디오 장치의 올바른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우리 신체는 오감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오감의 감각기관으로부터 갖가지 정보와 자극을 수용하는 두뇌는 이러한 자극과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뇌는 시각, 청각, 촉각 등 외부의 자극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자극의 주파수와 일치되려는 뇌의 현상을 주파수 추종 반응(FFR: FREQUENCY FOLLOWING RESPONSE)이라 한다.
뇌파는 대뇌피질의 신경세포가 어떤 입력에 반응하여 발생하는 하나의 전기현상으로서, 근본적으로 소듐 포타슘 펌프의 발생 기전에 의해 나타난다.
뇌파를 측정하면, 인간의 심리적 상태에 따라서, 즉 극도의 불안이나 흥분 상태에서는 30Hz 이상의 감마파가 관측되고, 일상생활에서는 15~30Hz 사이의 베타파가 관측되고, 명상이나 휴식 및 고도의 집중 상태에서는 8~14Hz의 알파파가 관측되고, 초학습 상태, 약간 졸린 상태, 고도의 창의력 발휘 상태에서는 4~7Hz의 세타파가 관측되고, 깊은 수면 상태에서는 0.5~3Hz의 델타파가 주로 관측된다고 알려져 있다.
뇌파유도기술은 상기와 같은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추종 반응 현상을 이용하여 인간의 뇌파를 인위적으로 원하는 특정 주파수에 동조시킴으로써 흥분 상태의 사용자를 진정시키거나 너무 가라앉아 있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각성을 유도하거나 사용자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뇌파를 유도시키는 신호를 뇌파유도신호라고 한다.
뇌파의 주파수의 분류에 따른 특징 중 알파파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알파파(8-14Hz)는 명상 같은 편안한 상태에서 나타나며, 스트레스 해소 및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눈을 감고 몸을 이완시키면, 뇌파의 활동은 속도를 완화시키게 된다. 이때 뇌는 14Hz 에서 8Hz 사이의 알파파를 폭발적으로 생산하게 되고, 뇌는 알파상태가 된다.
즉, 의식이 높은 상태에서 몸과 마음이 조화를 이루고 있을 때 발생되는 뇌파가 알파파인 것이다.
상기 알파파를 명상파라고도 하는데 근육이 이완되고 마음이 편안하면서도 의식이 집중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알파파가 나오면 몸과 마음이 매우 안정된 상태를 뜻하게 된다.
따라서, 인간의 뇌파의 적절한 통제로서 집중력 강화를 통한 학습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불면증 같은 질병이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뇌파유도장치는 앞서 설명한 뇌파의 적절한 조절을 목적으로 개발된 장치로서, 알파파 또는 세타파 또는 델타파와 같은 뇌파의 주파수와 동일 유사한 신호를 전자적으로 생성시켜 뇌의 상태를 알파파, 세타파, 델타파 상태로 유도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뇌파유도에 유용한 신호주파신호는 주로 20Hz 미만이다. 그러나 인간의 가청음은 대개 20Hz~20000Hz 범위이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뇌파유도 주파수를 들을 수 없다. 그래서 뇌파유도를 위한 들을 수 있는 뇌파유도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두 신호음의 차를 이용하는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 방식을 이용한다.
바이노럴 비트 기술은 인간의 양쪽 귀에 주파수가 약간 차이가 나는 신호를 동시에 들려주면 그 차이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뇌파가 유도 된다는 원리이다. 예를 들면, 왼쪽 귀에 400Hz의 신호를, 오른쪽 귀에 410Hz의 신호를 동시에 들려주면 그 차이에 해당하는 10Hz의 알파파가 사용자의 뇌에 유도된다.
뇌 자극 오디오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바이노럴비트의 음향으로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여, 약화되거나 퇴화되어 가는 뇌 기능을 개선 내지는 재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이러한 뇌 자극 오디오장치는 간단한 청각적 자극만으로 인간의 삶에 수반되는 많은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바,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기억력향상, 집중력 향상, 불면증치료, 우울증치료는 물론, 치매치료나 ADHD치료에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쪽 귀에 이어폰유닛을 올바른 상태로 착용하고 상기 뇌 자극 오디오 장치를 사용하여야 당초 설계 의도에 따른 소리를 양쪽 귀에 적절하게 제공받음으로써,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뇌 자극 오디오 장치가 사람의 좌뇌와 우뇌의 특성을 고려하여, 좌측귀와 우측귀로 제공되는 소리를 다르게 생성하도록 구성된 경우, 좌측 이어폰유닛은 좌측 귀에 착용되고 우측 이어폰유닛은 우측 귀에 착용되어야 설계 의도에 따른 정확한 작용으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이어폰유닛이 바뀌어서 착용된 경우에는 의도했던 효과가 발생하지 않거나,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는 것이다.
KR 1020160139612 A
본 발명은 좌측 귀와 우측 귀에 별도로 마련된 소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뇌 자극 오디오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좌측 귀에는 좌측 이어폰유닛을 정확히 착용하고 우측 귀에는 우측 이어폰유닛을 정확히 착용하도록 안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뇌 자극 오디오 장치의 설계 의도에 따른 적절한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고, 잘못된 사용에 의한 효과 저하나 부작용 발생의 염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 뇌 자극 오디오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뇌 자극 오디오 장치는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에 각각 착용되어야 하는 좌측이어폰유닛 및 우측이어폰유닛과;
상기 좌측이어폰유닛에 마련되어 뇌 자극 오디오 장치의 바디로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좌측발신장치와;
상기 우측이어폰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바디로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우측발신장치와;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된 동공센서와;
상기 동공센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좌측발신장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좌측수신장치 및 상기 우측발신장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우측수신장치와;
상기 동공센서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동공 중심 위치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좌측발신장치와 우측발신장치가 상대적으로 올바르게 위치하면서 각각 신호를 송신하는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바디 내에 구비된 좌우확인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좌우확인모듈은 상기 기울기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바디의 상하 방향이 올바른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하 방향이 올바른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동공센서와 좌측수신장치와 우측수신장치의 신호를 비교하여 좌측이어폰유닛과 우측이어폰유닛의 올바른 착용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상하 방향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공센서는 사용자의 눈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신장치 및 우측발신장치는 각각 서로 구별되는 빛을 방사하는 빛발생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수신장치 및 우측수신장치는 상기 좌측발신장치 및 우측발신장치에서 방사하는 빛을 수신하도록 수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수신장치 및 우측수신장치는 상기 동공센서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좌측발신장치와 우측발신장치에서 방사하는 빛의 도달 정도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좌우확인모듈은 상기 동공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동공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발신장치와 우측발신장치에서 서로 구별되는 빛을 방사하도록 제어부에 요청하고, 상기 좌측발신장치와 우측발신장치에서 방사하는 빛이 상기 좌측수신장치 및 우측수신장치에 수광되는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동공센서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동공 중심 위치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좌측발신장치와 우측발신장치가 상대적으로 올바르게 위치하면서 각각 신호를 송신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상기 좌우확인모듈이 상기 기울기센서의 신호에 의해 바디의 상하방향이 반대로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점등시키는 상하교정등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좌우확인모듈이 상기 좌측이어폰유닛과 우측이어폰유닛의 위치가 서로 바뀐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점등시키는 좌우교정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좌측 귀와 우측 귀에 별도로 마련된 소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뇌 자극 오디오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좌측 귀에는 좌측 이어폰유닛을 정확히 착용하고 우측 귀에는 우측 이어폰유닛을 정확히 착용하도록 안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뇌 자극 오디오 장치의 설계 의도에 따른 적절한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고, 잘못된 사용에 의한 효과 저하나 부작용 발생의 염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뇌 자극 오디오 장치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바디 내부에 탑재된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뇌 자극 오디오 장치는,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에 각각 착용되어야 하는 좌측이어폰유닛(1-L) 및 우측이어폰유닛(1-R)과; 상기 좌측이어폰유닛(1-L)에 마련되어 뇌 자극 오디오 장치의 바디(5)로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좌측발신장치(3-L)와; 상기 우측이어폰유닛(1-R)에 마련되어 상기 바디(5)로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우측발신장치(3-R)와; 상기 바디(5)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된 동공센서(7)와; 상기 동공센서(7)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좌측발신장치(3-L)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좌측수신장치(9-L) 및 상기 우측발신장치(3-R)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우측수신장치(9-R)와; 상기 동공센서(7)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동공 중심 위치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가 상대적으로 올바르게 위치하면서 각각 신호를 송신하는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바디(5) 내에 구비된 좌우확인모듈(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5) 내에는 상기 바디(5)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1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좌우확인모듈(11)은 상기 기울기센서(13)의 신호를 받아 상기 바디(5)의 상하 방향이 올바른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하 방향이 올바른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동공센서(7)와 좌측수신장치(9-L)와 우측수신장치(9-R)의 신호를 비교하여 좌측이어폰유닛(1-L)과 우측이어폰유닛(1-R)의 올바른 착용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상하 방향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디(5)를 올바른 방향으로 상하로 든 상태에서만 상기 좌우확인모듈(11)이 기능하여, 좌측이어폰유닛(1-L)과 우측이어폰유닛(1-R)의 올바른 착용상태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공센서(7)는 사용자의 눈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신장치(3-L) 및 우측발신장치(3-R)는 각각 서로 구별되는 빛을 방사하는 빛 발생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수신장치(9-L) 및 우측수신장치(9-R)는 상기 좌측발신장치(3-L) 및 우측발신장치(3-R)에서 방사하는 빛을 수신하도록 수광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빛 발생장치는 발광다이오드나 램프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좌측수신장치(9-L) 및 우측수신장치(9-R)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동공센서(7)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에서 방사하는 빛의 도달 정도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좌우확인모듈(11)은 상기 동공센서(7)에 의해 사용자의 동공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에서 서로 구별되는 빛을 방사하도록 제어부(15)에 요청하고, 상기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에서 방사하는 빛이 상기 좌측수신장치(9-L) 및 우측수신장치(9-R)에 수광되는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동공센서(7)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동공 중심 위치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가 상대적으로 올바르게 위치하면서 각각 신호를 송신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확인모듈(11)은 상기 동공센서(7)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동공이 적절히 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은 기능에 추가하여 올바른 사용자가 당해 뇌 자극 오디오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바디(5)의 기능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촬영된 동공의 이미지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에 맞는 별도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음발생장치(21)를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당해 뇌 자극 오디오 장치를 공용하는 경우에도 현재 사용자에 최적화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에서 방사하는 빛이 상기 좌측수신장치(9-L) 및 우측수신장치(9-R)에 수광되는 정도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원리는 도 2와 같은 경사진 구조에 좌측수신장치(9-L)와 우측수신장치(9-R)가 설치됨에 의해, 예컨대 좌측수신장치(9-L)에는 상기 좌측발신장치(3-L)에서 송신된 빛은 거의 직접적으로 좌측수신장치(9-L)에 입사되지만, 우측발신장치(3-R)에서 송신된 빛은 경사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잘 도달하지 않아서 이들 빛의 세기를 구별함으로써, 상대적인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의 좌우 구별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좌측발신장치(3-L) 및 우측발신장치(3-R)에서 서로 다른 파장 또는 주파수의 빛을 방사하도록 하거나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가 서로 교번하여 빛을 방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좌우확인모듈(11)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좌측수신장치(9-L)와 우측수신장치(9-R)의 신호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좌측이어폰유닛(1-L)과 우측이어폰유닛(1-R)의 상대적인 좌우 위치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좌측발신장치(3-L) 및 우측발신장치(3-R)에서 방사하는 빛은 가시광선일수도 있지만, 적외선 등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이와 같은 작용을 인식할 수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5)에는 상기 좌우확인모듈(11)이 상기 기울기센서(13)의 신호에 의해 바디(5)의 상하방향이 반대로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점등시키는 상하교정등(17)이 구비되고, 상기 좌우확인모듈(11)이 상기 좌측이어폰유닛(1-L)과 우측이어폰유닛(1-R)의 위치가 서로 바뀐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점등시키는 좌우교정등(19)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측이어폰유닛(1-L)과 우측이어폰유닛(1-R)을 올바르게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5)를 올바르게 들고 상기 동공센서(7)에 눈이 촬영될 수 있는 상태로 하면, 상기 좌우확인모듈(11)이 상기 제어부(15)에 요청하여 상기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에서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하게 하고, 이를 상기 좌측수신장치(9-L)와 우측수신장치(9-R)로 수신하여, 그 수신되는 신호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좌측이어폰유닛(1-L)과 우측이어폰유닛(1-R)의 올바른 좌우 위치관계를 확인하게 된다.
만약, 상기 좌측이어폰유닛(1-L)과 우측이어폰유닛(1-R)이 서로 반대로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우교정등(19)을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줄 수 있으며, 물론 이때 별도의 소리나 음성안내도 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5)를 올바르게 들지 않고 반대로 들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하교정등(17)을 점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바디(5)를 올바른 방향으로 고쳐 들게 유도하며, 이 경우에도 역시 소리나 음성으로 안내를 겸할 수 있다.
1-L; 좌측이어폰유닛
1-R; 우측이어폰유닛
3-L; 좌측발신장치
3-R; 우측발신장치
5; 바디
7; 동공센서
9-L; 좌측수신장치
9-R; 우측수신장치
11; 좌우확인모듈
13; 기울기센서
15; 제어부
17; 상하교정등
19; 좌우교정등
21; 음발생장치

Claims (4)

  1.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에 각각 착용되어야 하는 좌측이어폰유닛(1-L) 및 우측이어폰유닛(1-R)과;
    상기 좌측이어폰유닛(1-L)에 마련되어 뇌 자극 오디오 장치의 바디(5)로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좌측발신장치(3-L)와;
    상기 우측이어폰유닛(1-R)에 마련되어 상기 바디(5)로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우측발신장치(3-R)와;
    상기 바디(5)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된 동공센서(7)와;
    상기 동공센서(7)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좌측발신장치(3-L)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좌측수신장치(9-L) 및 상기 우측발신장치(3-R)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우측수신장치(9-R)와;
    상기 동공센서(7)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동공 중심 위치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가 상대적으로 올바르게 위치하면서 각각 신호를 송신하는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바디(5) 내에 구비된 좌우확인모듈(11);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 자극 오디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5)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1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좌우확인모듈(11)은 상기 기울기센서(13)의 신호를 받아 상기 바디(5)의 상하 방향이 올바른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하 방향이 올바른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동공센서(7)와 좌측수신장치(9-L)와 우측수신장치(9-R)의 신호를 비교하여 좌측이어폰유닛(1-L)과 우측이어폰유닛(1-R)의 올바른 착용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상하 방향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뇌 자극 오디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공센서(7)는 사용자의 눈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발신장치(3-L) 및 우측발신장치(3-R)는 각각 서로 구별되는 빛을 방사하는 빛발생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수신장치(9-L) 및 우측수신장치(9-R)는 상기 좌측발신장치(3-L) 및 우측발신장치(3-R)에서 방사하는 빛을 수신하도록 수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수신장치(9-L) 및 우측수신장치(9-R)는 상기 동공센서(7)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에서 방사하는 빛의 도달 정도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좌우확인모듈(11)은 상기 동공센서(7)에 의해 사용자의 동공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에서 서로 구별되는 빛을 방사하도록 제어부(15)에 요청하고, 상기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에서 방사하는 빛이 상기 좌측수신장치(9-L) 및 우측수신장치(9-R)에 수광되는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동공센서(7)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동공 중심 위치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좌측발신장치(3-L)와 우측발신장치(3-R)가 상대적으로 올바르게 위치하면서 각각 신호를 송신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뇌 자극 오디오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5)에는 상기 좌우확인모듈(11)이 상기 기울기센서(13)의 신호에 의해 바디(5)의 상하방향이 반대로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점등시키는 상하교정등(17)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5)에는 상기 좌우확인모듈(11)이 상기 좌측이어폰유닛(1-L)과 우측이어폰유닛(1-R)의 위치가 서로 바뀐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점등시키는 좌우교정등(19)이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뇌 자극 오디오 장치.
KR1020170107326A 2017-08-24 2017-08-24 뇌 자극 오디오 장치 KR101828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26A KR101828953B1 (ko) 2017-08-24 2017-08-24 뇌 자극 오디오 장치
PCT/KR2018/009759 WO2019039895A1 (ko) 2017-08-24 2018-08-24 뇌 자극 오디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26A KR101828953B1 (ko) 2017-08-24 2017-08-24 뇌 자극 오디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953B1 true KR101828953B1 (ko) 2018-02-13

Family

ID=6123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326A KR101828953B1 (ko) 2017-08-24 2017-08-24 뇌 자극 오디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8953B1 (ko)
WO (1) WO201903989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07B1 (ko) 2011-02-10 2012-04-30 (주)넥스젠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KR101406531B1 (ko) 2007-10-24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로부터 바이노럴 비트를 발생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1441820B1 (ko) 2013-08-02 2014-09-17 (주)다보산업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3630B2 (ja) * 1993-03-11 2004-08-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脳波誘導装置
KR102449869B1 (ko) * 2015-05-28 2022-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뇌파 센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531B1 (ko) 2007-10-24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로부터 바이노럴 비트를 발생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1140507B1 (ko) 2011-02-10 2012-04-30 (주)넥스젠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KR101441820B1 (ko) 2013-08-02 2014-09-17 (주)다보산업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895A1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952B1 (ko) 불면증 및 우울증 치료를 위한 두뇌 자극 장치
ES2899170T3 (es) Mejora cognitiva mediante retroalimentación
US11642021B2 (en) Monitoring neurological functional status
Dozza et al. Auditory biofeedback substitutes for loss of sensory information in maintaining stance
AU2012267220B2 (en) Freezing of gait cue apparatus
Davis et al. Trunk sway reductions in young and older adults using multi-modal biofeedback
CA2697997C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a subject's sensory, reflex and/or motor mechanisms via auditory, tactile or visual stimulations
CN110799092A (zh) 用生物传感器调节对脑部的刺激的方法和系统
EP3039390B1 (en) System for sensing light exposure of a user
KR101551623B1 (ko) 선택적 데이터 취득기법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JP4179968B2 (ja) リラックス感評価用瞳孔対光反応計測具
KR20160108967A (ko)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방법
KR20180103517A (ko) 정신건강 향상과 두뇌 인지기능 회복을 위한 브레인 마사지 기능이 탑재된 안마의자
EP2853937B1 (en) Goggle-like mobil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images of a pupil of a person
Kolarik et al. A framework to account for the effects of visual loss on human auditory abilities.
US44563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laxation
KR101828953B1 (ko) 뇌 자극 오디오 장치
KR101667102B1 (ko) 동작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뇌파 유도장치 및 방법
KR20170050042A (ko) 눈깜빡임 감지 장치를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및 뇌파 측정 방법
KR20200037538A (ko) 다기능 조명등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조명 시스템
Lewald et al. The effect of whole‐body tilt on sound lateralization
TWI610656B (zh) 穿戴式生理監測裝置
KR20180051995A (ko) 측정모듈이 구비된 안경을 이용한 위급상황판단 방법
TWM574026U (zh) 穿戴式生理監測裝置及系統
KR20200049186A (ko) 안구운동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