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442A - 청각 자극 기반 수면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청각 자극 기반 수면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442A
KR20190049442A KR1020180112464A KR20180112464A KR20190049442A KR 20190049442 A KR20190049442 A KR 20190049442A KR 1020180112464 A KR1020180112464 A KR 1020180112464A KR 20180112464 A KR20180112464 A KR 20180112464A KR 20190049442 A KR20190049442 A KR 20190049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user
information
sleeping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373B1 (ko
Inventor
이성환
이민지
송채빈
곽노상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6/398,64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91922B2/en
Publication of KR2019004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61B5/04012
    • A61B5/0478
    • A61B5/04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8Acoustic or auditory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2Detecting sleep stages or cy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은 (a)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수면 단계를 분류하는 단계; (b) 수면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른 타겟 주파수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뇌 신호가 타겟 주파수로 유도되는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를 생성하는 단계; (c) 생성된 바이노럴 비트와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 (d) 결합된 청각 자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e) 사용자의 현재 수면 단계가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하여 적절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다음 수면 단계를 유도할지 결정하여 결정에 따른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각 자극 기반 수면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DUCING SLEEP BASED ON AUDITORY STIMULATION}
본 발명은 청각 자극 기반 수면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전 혹은 수면 중 사용자의 뇌파를 모니터링하고 수면 단계에 따른 뇌파의 개인별 특징을 판단하여 개인 맞춤형 청각 자극을 주어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폐쇄 루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면은 몸의 생체 리듬을 유지하고 신체의 회복 기능을 높이는 중요한 활동이다. 특히 수면을 통해 뇌에서 분비가 왕성해지는 멜라토닌은 항산화 작용과 노화 방지 뿐 아니라 수면 리듬을 조절하여 항암 작용, 혈압 및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면역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이처럼 질 높은 수면은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하여 꼭 필요하다. 이 같은 점에서 수면이 부족하거나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을 경우 생체 리듬이 깨지고 면역력 저하로 이어지기 쉽다. 이러한 수면 장애의 예로는 불면증(Insomnia), 수면과다증(Hypersomnia), 수면무호흡증(Sleep apnea), 몽유병(Somnambulism)이 있다. 2014년 경제협력기구(OECD)의 발표에 따르면 ‘국가별 일 평균 수면시간 조사’에서 한국은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2013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수면 장애 진료 환자의 수 역시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수면의 질을 관리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수면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약물 치료와 자극 치료로 구분할 수 있다. 약물 치료에서는 졸피뎀, 할시온, 아티반, 디아제팜 등의 수면제가 사용된다. 수면제는 수면 장애에 대한 일시적인 대안일 뿐 2~3주 이상 장기 복용할 경우 내성이 생겨 효과를 보기 어렵고, 복용을 중단할 경우 불면증이 더 심해지기도 한다. 따라서 새로운 대안으로 자극 치료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자극 치료로는 직접적으로 뇌를 자극하는 방법과 감각 자극을 제시하여 뇌를 간접적으로 자극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뇌를 직접적으로 자극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경두개 자기 자극(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과 경두개 전류 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이 있다. 이러한 치료의 경우, 실생활에서 일반인이 직접 사용하기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개인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청각, 시각, 후각 등의 감각 자극을 사용한 치료는 실제 생활에서 일반인이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감각 자극 중 특히 청각 자극이 수면의 질 향상에 높은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기존의 청각 자극을 활용한 수면의 질에 관한 연구에서는 모든 사용자에게 단일한 자극을 주는 시스템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개인의 특성에 따른 수면 단계별 주파수를 고려하지 않아 개인에 따라 청각 자극으로 인한 수면의 질 향상의 차이가 크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기본적으로 수면은 크게 NREM(Non Rapid Eye Movement) 수면 및 REM(Rapid Eye Movement) 수면으로 구성된다. NREM 수면은 급속 동공 운동이 일어나지 않는 단계이며, 다시 세 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NREM1)는 수면과 각성 사이의 단계이다. 1단계 수면 동안 뇌파와 근육의 활동이 느려지기 시작하고 이때의 대표적인 뇌파는 세타파(4~7Hz)이다. 2단계(NREM2)는 얕은 잠을 자는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는 세타파와 함께 수면 스핀들(Sleep spindle) 및 K-복합체(K-complex)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수면 스핀들(12~14Hz)과 K-복합체는 외부 자극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억제하고 수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3단계(NREM3)는 깊은 잠을 자는 단계이며 서파 수면(Slow wave sleep)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단계 동안 신체는 외부 환경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며 대표적인 뇌파는 델타파(0.5~4Hz)이다. 델타파의 빈도에 따라 3단계와 4단계로 나누기도 한다. REM 수면은 급속 동공 운동이 일어나는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꿈을 꾸게 된다. 이때의 뇌파는 깨어있는 상태와 비슷하게 나타난다. 상기 수면의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뇌파는 개인의 성별, 나이 등의 특성에 따라 그 단계를 대표하는 주파수에 있어 차이가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의 특성에 따른 수면 단계별 최적 주파수를 고려하는 청각 자극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수면의 질 향상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수면 중 나타나게 되는 뇌 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여 숙면을 유도하는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7321호(발명의 명칭: 수면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면 관리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2878호(발명의 명칭: 뇌파모니터링을 통한 숙면 유도 시스템),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3286호(발명의 명칭: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이 있다. 다른 생체 신호나 신체 상태를 측정 및 분석하여 수면을 관리하는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6497호(발명의 명칭: 수면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면 유도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6-0092889호(발명의 명칭: 수면 중인 대상체의 쾌면을 유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쾌면 유도 장치),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4364호(발명의 명칭: 수면 가이드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있다. 상기 언급된 기존 특허들은 수면을 유도 혹은 관리하는 시스템이나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제 10-1687321호의 경우는 뇌파를 기초로 수면 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리 또는 빛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조절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뇌파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수면 단계를 분석하고 미리 설정해놓은 해당 단계의 주파수가 유도될 수 있도록 자극을 제시하게 된다. 그러나 각 수면 단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주파수는 개인의 여러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그러한 점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특허 제 10-1712878호의 경우는 뇌파 측정 및 분석 기술을 활용하고, 측정한 뇌파에 맞는 조명과 음향 효과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측정된 뇌파 신호에 따라 통합스탠드의 조명과 음향을 조절한다. 통합스탠드는 3색의 LED 광원과 스피커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과 음향 효과가 개개인의 수면 단계에 따른 주파수의 차이는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특허 제 10-1733286호의 경우는 수면과 휴식을 유도하기 위한 목 베개와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사용자의 머리 위치에 대응되도록 목 베개의 좌우에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다. 머리 위치가 기울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의 머리가 기울어진 방향 또는 그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스피커의 출력 음향을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수면 단계를 파악하지 않고 단순히 머리의 기울어짐 정보만을 이용하여 음향 자극을 줌으로써 수면을 유도하였기 때문에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 제 10-1746497호의 경우는 사람의 수면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면 환경을 제어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맥박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움직임 센서가 내장된 팔찌를 착용하여 수면 상태를 분석한다. 분석한 수면 상태에 따라 적절한 수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음원 제공부와 조명 제공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뇌파 측정 없이 다른 생체 신호만을 활용하여 수면 상태를 분석하는 것은, 사용자뿐 아니라 사용자의 옆에서 수면 중인 다른 사람의 신호가 섞여서 측정될 가능성이 있어 한계점을 갖는다. 특허 제 10-2016-0092889호의 경우는 수면 중인 사용자의 수면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기상 시각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심박수 정보, 호흡 정보, 움직임 정보, 코골이 패턴 정보, 안구의 움직임 정보 및 체온 정보를 측정한다. 그러나 뇌파 측정 없이 다른 생체 신호만을 활용하여 수면 상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쾌면을 유도하는 데에는 분석이 정확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특허 제 10-2017-0074364호의 경우는 개인의 수면 패턴을 일반적인 수면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맞춤형 수면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사용자의 움직임, 소리, 수면 장소의 조도, 온도, 소음 등을 센싱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라 환경을 조절하고 수면 가이드 메시지를 출력한다. 수면 가이드 메시지나 기타 환경의 조절만으로는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에 있어 부족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기존 발명들은 개인의 수면 단계별 주파수를 고려하지 않고 음향 효과 등의 자극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지고, 뇌파를 측정하지 않고 수면 중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코골이 정보를 비롯한 상태만을 가지고 수면 상태를 측정하기 때문에 수면 상태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효율적으로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개인의 특성에 따른 수면 단계별 대표 주파수를 고려해야 한다. 개인의 수면 단계에 따라 달라지는 다른 지표로는 진폭(Amplitude), 파워 스펙트럼(Power spectrum), 수면 스핀들의 밀도(Sleep spindle density), 수면 스핀들의 지속 기간(Sleep spindle duration) 등이 있다. 이러한 지표들 역시 개인에게 최적화된 수면 단계별 청각 자극을 주기 위하여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수면 중의 움직임 정보나 다른 환경 정보는 대상이 되는 사람뿐 아니라 같은 공간 내에서 수면을 취하고 있는 다른 사람의 생체 혹은 환경 정보까지 포함할 수 있어 여러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신호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면 단계를 분류하고, 사용자의 수면 단계에 따른 생체 신호 주파수의 변화와 청각 자극으로 인한 생체 신호 주파수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함으로써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은 (a)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수면 단계를 분류하는 단계; (b) 수면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른 타겟 주파수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뇌 신호가 타겟 주파수로 유도되는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를 생성하는 단계; (c) 생성된 바이노럴 비트와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 (d) 결합된 청각 자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e) 사용자의 현재 수면 단계가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하여 적절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다음 수면 단계를 유도할지 결정하여 결정에 따른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이용한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수면 단계를 분류하고, 수면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른 타겟 주파수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뇌 신호가 타겟 주파수로 유도되는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이노럴 비트와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정보를 결합하고, 결합된 청각 자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현재 수면 단계가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하여 적절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다음 수면 단계를 유도할지 결정하여 결정에 따른 피드백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수면 중인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분석하여 수면 단계를 분류하고, 폐쇄 루프 시스템에 기반하여 각 수면 단계별로 청각 자극의 주파수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수면 단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그에 맞는 주파수를 고려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단순한 비프 음으로 이루어진 청각 자극을 들을 때보다, ASMR 청각 자극을 통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기 때문에, 좀 더 심리적으로 편안한 상태에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방법보다 효과적으로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장비를 활용하여 수면 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수면 단계에 대한 바이노럴 비트의 타겟 주파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SMR 정보와 바이노럴 비트를 결합한 청각 자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의 질에 따른 수면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에 의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수면 유도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스템(10)은 생체 신호 측정부(100) 및 수면 유도 장치(200) 를 포함한다.
생체 신호 측정부(100)는 사용자(1)의 수면 시 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수면 유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수면 유도 장치(200)는 생체 신호 측정부(1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획득한 사용자(1)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수면 단계를 분류하고, 수면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른 타겟 주파수를 결정하고, 사용자(1)의 뇌 신호가 타겟 주파수로 유도되는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이노럴 비트와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정보를 결합하고, 결합된 청각 자극 정보를 사용자(1)에게 제공하고, 사용자(1)의 현재 수면 단계가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하여 적절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다음 수면 단계를 유도할지 결정하여 결정에 따른 피드백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폐쇄 루프 시스템에 기반하여 각 수면 단계별로 적합한 청각 자극의 주파수를 제공해줄 수 있다. 더불어, 단순한 비프 음으로 이루어진 청각 정보를 들을 때보다, ASMR 정보를 통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기 때문에, 기존 방법보다 좀 더 심리적으로 편안한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장치(20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장비를 활용하여 수면 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수면 단계에 대한 바이노럴 비트의 타겟 주파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SMR 정보와 바이노럴 비트를 결합한 청각 자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의 질에 따른 수면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면 유도 장치(200)는 사용자(1)의 생체 신호를 이용한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메모리 및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각 기능에 따라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세부 모듈들을 전처리부(210), 실시간 수면 단계 분류부(220), ASMR 청각 자극 생성부(230), 바이노럴 비트 생성부(240), 자극 결합부(250), 피드백부(270)로 나타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부(100)는 스마트 밴드, 스마트폰, 뇌 신호 측정 다채널 캡, 헤어 밴드형 뇌 신호 측정 장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는 뇌 신호, 맥박, 심전도 및 신체의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특히, 뇌 신호의 측정은 이마를 비롯한 머리 앞쪽 영역에 해당하는 전두엽에서의 뇌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장비를 활용할 수 있다.
전처리부(210)는 생체 신호 측정부(100)로부터 수면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신호로부터 잡음을 제거하고, 수면 또는 의식과 관련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생체 신호에 대한 분석은 30초의 시간 창(Time window)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생체 신호를 스마트 밴드를 통하여 측정할 경우, 심전도 파형인 PQRST 파형을 특이값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 힐버트 황 변환(Hilbert huang transform) 등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면 단계는 깨어있는 상태, REM(Rapid Eye Movement) 수면 상태, NREM1(NREM, Non Rapid Eye Movement) 수면 상태, NREM2 수면 상태 및 NREM3 수면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간 수면 단계 분류부(220)는 분석한 정보에 기초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면의 시작 시점, 각 수면 단계의 시작과 끝 시점, 수면 단계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현재 수면 단계를 실시간으로 자동 분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면 단계를 분류하는 방법으로는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랜덤 포레스트 분류기(Random forest classifier), 오토 인코더(Autoencoder),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선형 판별 분석(Linear discriminant analysis)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수면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른 개인에게 맞는 주파수의 청각 자극을 제시할 수 있다. 청각 자극을 제시할 때에는 사람의 가청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 표준 범위는 20~20,000Hz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면 중인 사람에게 가청 주파수 범위보다 낮은 20Hz 이하의 청각 자극을 주고자 하므로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를 이용한다.
바이노럴 비트 생성부(240)는 깨어있는 상태에서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REM 수면 상태, NREM1 수면 상태, NREM2 수면 상태 및 NREM3 수면 상태의 순서에 따라 점차적으로 소정의 값만큼 타겟 주파수를 낮추어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주파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사인파(Sine wave)가 사용자(1)의 두 귀에 제공될 때, 두 사인파의 주파수 차이를 의미한다. 즉, 바이노럴 비트를 통하여 유도하고자 하는 뇌 신호의 주파수를 타겟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50Hz의 소리를 왼쪽 귀에 제시하고 259Hz의 소리를 오른쪽 귀에 제시하면, 뇌에서는 이 두 소리의 주파수 차이에 해당되는 9Hz의 소리로 뇌 신호를 동조시킨다. 이 과정에서 뇌 신호에서의 9Hz가 증폭된다. 이러한 효과는 단일한 스피커를 통하여 소리를 들으면 음이 중첩되어 들리기 때문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을 포함하는 자극 제시부(260)를 통하여 사용자(1)의 두 귀에 각각 다른 주파수의 음을 제공하여 바이노럴 비트의 효과가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깨어있는 사용자가 잠을 자려고 수면 유도 시스템(10)을 처음 작동시키게 되면, 수면의 첫 단계인 NREM1 단계를 유도하여야 한다. 이때, 바이노럴 비트의 타겟 주파수는 알파파(8~13Hz)에서 세타파(4~8Hz)에 해당하는 주파수이며, 바람직하게 2Hz씩 점차적으로 낮추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지나치게 큰 폭으로 주파수를 감소시키면 두통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사용자(1)의 뇌 신호 주파수가 타겟 주파수와 일치하게 되면, 다시 타겟 주파수를 2Hz 낮추어서 바이노럴 비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깨어있는 상태일 때 NREM1 단계를 유도하기 위해서 세타파에 해당하는 8Hz 자극을 주고, 뇌 신호의 주파수가 8Hz가 일치하면, 다시 2Hz를 낮추어서 6Hz의 자극을 준다. 이를 통하여 NREM1 단계가 적절한 시간 동안 유지되었다면, NREM2 단계를 유도하기 위하여 세타파의 주파수 중 낮은 쪽에 해당하는 4Hz의 자극을 주고, NREM3 단계를 유도하기 위하여 델타파(~4Hz)에 해당하는 2Hz의 자극을 준다. 일반적으로 7~8시간의 수면을 취하게 되면, 수면 단계가 깊어졌다가 얕아지는 것을 한 사이클이라고 보았을 때 4~5회의 사이클이 반복된다. 따라서, NREM3 단계에서 다시 4Hz 자극을 주어서 NREM2를 유도하고, 6Hz, 8Hz 자극을 통해서 NREM1 단계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수면 유도 장치(200)는 실시간 수면 단계 분류부(220)에서 분석한 눈을 감고 깨어있는 상태에서의 생체 신호 주파수를 기초로, 사용자(1)의 양쪽 귀에 제시되는 청각 자극의 주파수에 차이를 둔 타겟 주파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1)의 뇌파를 조절하여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SMR 청각 자극 생성부(230)는 감각적 자극에 대해 심리적 안정감이나 쾌감 같은 감각적 경험 또는 반응인 ASMR을 유발하는 청각 자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1)는 바이노럴 비트와 같은 비프 음을 들을 때 느낄 수 있는 불편함 혹은 거부감을 완화시킬 수 있어 잠을 잘 수 있는 안정적인 상태로 유도될 수 있다.
일 예로, ASMR 정보는 파도 소리, 빗소리, 책장 넘기는 소리, 바람 소리, 풀 벌레 소리 및 사물을 두드리는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자극 결합부(250)는 ASMR 정보의 소리들 중에서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바이노럴 비트와 결합할 수 있다. 청각 자극 정보는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ASMR 정보와 타겟 주파수만큼 차이가 나는 두 개의 주파수를 갖는 바이노럴 비트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자극 결합부(250)는 사용자(1)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랜덤하게 선택된 ASMR 정보가 사용자(1)에 대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는지를 판단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ASMR 정보 중 선택되지 않은 다른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SMR 정보와 바이노럴 비트를 결합한 청각 자극 정보를 사용자(1)에게 제공함으로써, 수면을 유도하는 시스템(10)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1)는 자극 제시부(260)를 통하여 결합된 두 자극을 듣게 되며, ASMR 정보는 양쪽 귀에 동일하게 제시되지만, 바이노럴 비트는 기본 주파수와 제어 주파수(타겟 주파수)로 나뉘어서 각각 다른 주파수의 소리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자극 제시부(260)는 수면 유도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청각 자극 정보를 사용자의 두 귀에 각각 제공하며,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포함하는 외부음향기기일 수 있다.
즉, ASMR 청각 자극 생성부(230)에서 생성한 청각 자극과 바이노럴 비트 생성부(240)에서 생성한 청각 자극을 결합함으로써, 두 종류의 청각 자극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함과 동시에 개인별 차이가 있는 수면 단계에 해당하는 뇌 신호를 활성시킬 수 있다.
피드백부(270)는 유도하고자 하였던 수면 단계가 전체 수면에 대하여 적절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여, 그 다음 수면 단계로 뇌파를 유도할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하여 피드백을 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수면의 질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의 수면 패턴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수면 단계의 적절한 비율은 NREM1 : NREM2 : NREM3 : REM = 5 : 45 : 25 : 25 (%) 정도이다. 예를 들어, 불면증을 앓거나 잠을 잘 못 잤다는 느낌이 드는 사람의 경우, NREM2 단계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크다. 따라서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비율로 각각의 수면 단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청각 자극을 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면 유도 장치(200)는 여러 지표를 통하여 수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는 NREM1에 접어들기까지 걸린 시간(Sleep onset latency), 잠이 든 후에 깨는 횟수(Wake after sleep onset), 총 수면 시간(Total sleep time), 깊은 잠(NREM3) 단계의 지속 시간, 수면 효율(Sleep efficiency) 등이 있다. 또한, 주관적인 수면에 대한 만족도 역시 수면의 질을 평가함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표들을 바탕으로 하여 사용자의 수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
이하의 방법은, 상술한 장치(2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 있더라도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에 의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되는,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수면 단계를 분류하는 단계(S110), 수면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른 타겟 주파수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뇌 신호가 타겟 주파수로 유도되는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를 생성하는 단계(S120), 생성된 바이노럴 비트와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S130), 결합된 청각 자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40) 및 사용자의 현재 수면 단계가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하여 적절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다음 수면 단계를 유도할지 결정하여 결정에 따른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먼저, 스마트 밴드, 스마트폰, 뇌 신호 측정 다채널 캡, 헤어 밴드형 뇌 신호 측정 장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S101).
수면 단계를 분류하는 단계(S110)는 생체 신호로부터 잡음을 제거하고, 수면 또는 의식과 관련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전처리 단계(S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는 뇌 신호, 맥박, 심전도 및 신체의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면 단계는 깨어있는 상태, REM(Rapid Eye Movement) 수면 상태, NREM1(NREM, Non Rapid Eye Movement) 수면 상태, NREM2 수면 상태 및 NREM3 수면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S110단계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면의 시작 시점, 각 수면 단계의 시작과 끝 시점, 수면 단계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현재 수면 단계를 실시간으로 자동 분류할 수 있다.
S120단계는 수면 단계 분류 분석 결과에 따른 타겟 주파수를 결정(S121)하고, 사용자의 뇌 신호가 타겟 주파수로 유도되는 바이노럴 비트를 생성(S122)하고, ASMR 정보를 생성(S124)할 수 있다. 이때, ASMR 정보는 파도 소리, 빗소리, 책장 넘기는 소리, 바람 소리, 풀 벌레 소리 및 사물을 두드리는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노럴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S120)에서 깨어있는 상태에서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REM 수면 상태, NREM1 수면 상태, NREM2 수면 상태 및 NREM3 수면 상태의 순서에 따라 점차적으로 소정의 값만큼 타겟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ASMR정보를 결합하는 단계(S130)에서 ASMR 정보의 소리들 중에서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바이노럴 비트와 결합할 수 있다.
청각 자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40)에서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포함하는 음향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두 귀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청각 자극 정보는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ASMR 정보와 타겟 주파수만큼 차이가 나는 두 개의 주파수를 갖는 바이노럴 비트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과정(S101)을 통해 랜덤하게 선택된 ASMR 정보가 사용자에 대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S130단계에서 ASMR 정보 중 선택되지 않은 다른 종류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S150)는 사용자의 현재 수면 단계가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하여 적절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S151)할 수 있다. 일 예로, 적절한 비율로 유지될 경우 다음 수면 단계를 유도(S152)하도록 다시 S110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적절한 비율로 유지되지 않을 경우, 현재 수면 단계를 유지하도록 S110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생체 신호 측정부 200: 수면 유도 장치
210: 전처리부 220: 뇌 네트워크 분석부
230: 수면 단계 측정부 300: 피드백 제시부

Claims (14)

  1.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수면 단계를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수면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른 타겟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뇌 신호가 상기 타겟 주파수로 유도되는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생성된 바이노럴 비트와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정보를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결합된 청각 자극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의 현재 수면 단계가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하여 적절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다음 수면 단계를 유도할지 결정하여 상기 결정에 따른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생체 신호로부터 잡음을 제거하고, 수면 또는 의식과 관련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전처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 신호는 뇌 신호, 맥박, 심전도 및 신체의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단계는 깨어있는 상태, REM(Rapid Eye Movement) 수면 상태, NREM1(NREM, Non Rapid Eye Movement) 수면 상태, NREM2 수면 상태 및 NREM3 수면 상태로 구분되는 것이며,
    상기 (a) 단계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면의 시작 시점, 상기 각 수면 단계의 시작과 끝 시점 및 상기 수면 단계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현재 수면 단계를 실시간으로 자동 분류하는 것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깨어있는 상태에서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REM 수면 상태, NREM1 수면 상태, NREM2 수면 상태 및 NREM3 수면 상태의 순서에 따라 점차적으로 소정의 값만큼 상기 타겟 주파수를 낮추는 것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SMR 정보는 파도 소리, 빗소리, 책장 넘기는 소리, 바람 소리, 풀 벌레 소리 및 사물을 두드리는 소리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ASMR 정보의 소리들 중에서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바이노럴 비트와 결합하는 것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자극 정보는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상기 ASMR 정보와 상기 타겟 주파수만큼 차이가 나는 두 개의 주파수를 갖는 상기 바이노럴 비트가 결합된 것이며,
    상기 (d) 단계에서,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포함하는 외부음향기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두 귀에 각각 제공하는 것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랜덤하게 선택된 상기 ASMR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ASMR 정보 중 선택되지 않은 다른 종류의 소리를 제공하는 것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
  8.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이용한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수면 단계를 분류하고,
    상기 수면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른 타겟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뇌 신호가 상기 타겟 주파수로 유도되는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바이노럴 비트와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정보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청각 자극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수면 단계가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하여 적절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다음 수면 단계를 유도할지 결정하여 상기 결정에 따른 피드백을 수행하는,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 신호로부터 잡음을 제거하고, 수면 또는 의식과 관련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전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생체 신호는 뇌 신호, 맥박, 심전도 및 신체의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단계는 깨어있는 상태, REM(Rapid Eye Movement) 수면 상태, NREM1(NREM, Non Rapid Eye Movement) 수면 상태, NREM2 수면 상태 및 NREM3 수면 상태로 구분되는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면의 시작 시점, 상기 각 수면 단계의 시작과 끝 시점, 상기 수면 단계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현재 수면 단계를 실시간으로 자동 분류하는 것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깨어있는 상태에서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REM 수면 상태, NREM1 수면 상태, NREM2 수면 상태 및 NREM3 수면 상태의 순서에 따라 점차적으로 소정의 값만큼 상기 타겟 주파수를 낮추는 것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SMR 정보는 파도 소리, 빗소리, 책장 넘기는 소리, 바람 소리, 풀 벌레 소리 및 사물을 두드리는 소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SMR 정보의 소리들 중에서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바이노럴 비트와 결합하는 것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자극 정보는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상기 ASMR 정보와 상기 타겟 주파수만큼 차이가 나는 두 개의 주파수를 갖는 상기 바이노럴 비트가 결합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포함하는 외부음향기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두 귀에 각각 제공하는 것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랜덤하게 선택된 상기 ASMR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ASMR 정보 중 선택되지 않은 다른 소리를 제공하는 것인,
    청각 자극 기반의 수면 유도 시스템.
KR1020180112464A 2017-10-31 2018-09-19 청각 자극 기반 수면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4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98,640 US11191922B2 (en) 2018-04-30 2019-04-30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slee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07 2017-10-31
KR20170143307 2017-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442A true KR20190049442A (ko) 2019-05-09
KR102114373B1 KR102114373B1 (ko) 2020-05-22

Family

ID=6654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464A KR102114373B1 (ko) 2017-10-31 2018-09-19 청각 자극 기반 수면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3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8934A (zh) * 2019-08-02 2019-12-13 杭州连帆科技有限公司 睡眠质量评估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102220738B1 (ko) * 2020-02-25 2021-02-25 강옥이 우울증 및 치매 치료를 위한 뇌파자극장치
WO2021040206A1 (ko) * 2019-08-29 2021-03-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수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27033A (ko) * 2019-08-29 2021-03-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수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31184B1 (ko) * 2020-12-28 2021-12-01 (주)멜로잉팩토리 최적 수면 사이클에 기초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
KR20220140149A (ko) * 2021-04-09 2022-10-18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실시간 뇌파 분석을 이용한 집중과 이완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7357Y2 (ja) * 1993-10-01 2001-07-09 埼玉化工株式会社 入眠装置
KR20120108488A (ko) * 2011-03-24 2012-10-05 유남구 수면 보조 장치 및 방법
KR101457477B1 (ko) * 2013-05-22 2014-11-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청각자극을 이용한 뇌파 유발 장치,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7603A (ko) *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메디스윙 수면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면 유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7357Y2 (ja) * 1993-10-01 2001-07-09 埼玉化工株式会社 入眠装置
KR20120108488A (ko) * 2011-03-24 2012-10-05 유남구 수면 보조 장치 및 방법
KR101457477B1 (ko) * 2013-05-22 2014-11-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청각자극을 이용한 뇌파 유발 장치,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7603A (ko) *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메디스윙 수면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면 유도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8934A (zh) * 2019-08-02 2019-12-13 杭州连帆科技有限公司 睡眠质量评估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WO2021040206A1 (ko) * 2019-08-29 2021-03-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수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27033A (ko) * 2019-08-29 2021-03-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수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20738B1 (ko) * 2020-02-25 2021-02-25 강옥이 우울증 및 치매 치료를 위한 뇌파자극장치
KR102331184B1 (ko) * 2020-12-28 2021-12-01 (주)멜로잉팩토리 최적 수면 사이클에 기초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
KR20220140149A (ko) * 2021-04-09 2022-10-18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실시간 뇌파 분석을 이용한 집중과 이완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373B1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19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sleep
KR102114373B1 (ko) 청각 자극 기반 수면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631212B (zh) 用于经皮振动的造波的系统和方法
US112028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wakefulness
US109398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leep onset latency
US20190231256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adjusting a user's sleep
US112293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an indicator representative of the effects of stimulation provided to a subject during sleep
US20200164175A1 (en) System for treating depression using complex biometric data
WO2015028480A1 (en) Pain relieving stimulation system
KR101986956B1 (ko) 불안감 및 우울감의 치유를 돕는 멘탈 마사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마사지 장치
Nguyen et al. In-ear biosignal recording system: A wearable for automatic whole-night sleep staging
CN111372639B (zh) 用于向用户递送感官刺激以增强用户中的认知域的系统
US112668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likely to be disturbed by therapy levels of stimulation during sleep sessions
KR20200091261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수면 유도 방법
KR20060007335A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인체 적응적 뇌파유도 장치 및 그 방법
JP2007260015A (ja) 入眠を促進できる寝具
CN110201287A (zh) 一种全身麻醉患者术后唤醒方法及装置
KR102434228B1 (ko) 전전두엽에서의 뇌파에 따른 자극을 인가하는 뉴로 피드백 장치
JP742238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001012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ensory stimulation during sleep based on demographic information
KR20040070145A (ko) 뇌파 소리 및 그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