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350B1 - 믹서용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믹서용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350B1
KR101140350B1 KR1020090111788A KR20090111788A KR101140350B1 KR 101140350 B1 KR101140350 B1 KR 101140350B1 KR 1020090111788 A KR1020090111788 A KR 1020090111788A KR 20090111788 A KR20090111788 A KR 20090111788A KR 101140350 B1 KR101140350 B1 KR 101140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stirring shaft
mixer
cas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956A (ko
Inventor
김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페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페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페코
Priority to KR102009011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3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4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 B28C5/148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the stirrer shaft carrying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mixing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믹서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 내부를 별도의 라이너로 감싸며,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교반기를 구성하여 마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교반축을 아암을 갖는 교반홀더로 감싸며, 다시 아암의 선단에는 별도의 팁을 부착하고, 아암의 골재와 마찰하는 부위에 입힘쇠를 덧입히도록 하여 교반기의 마모를 최소화함은 물론, 케이싱 라이너나 팁과 같은 마모 부위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케이싱(10); 상기 케이싱 내에서 아스콘 재료를 믹싱하는 교반기(20); 및 상기 교반기의 교반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교체가능하면서 내마모성이 강한 라이너로 덧입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믹서, 교반장치, 케이싱, 라이너, 홀더, 아암

Description

믹서용 교반장치{agitating apparatus for a mixer}
본 발명은 믹서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콘 플랜트에서 아스콘 생산시 혼합 골재를 아스팔트와 혼합하는데 사용되는 믹서의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스콘이란, 아스팔트 콘크리트(Asphalt Concrete)를 줄인 명칭이며, 아스팔트, 아스팔트혼합물, 아스팔트 콘크리트, 가열혼합 가열포설 역청 포장용 혼합물(KSF2349), HMA(hot mix asphalt) 등 여러 가지의 용어로 불리워지고 있다. 일반적인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은 아스팔트와 굵은 골재(자갈 : Aggregate), 잔 골재(모래 : Sand) 또는 포장용 채움재(휠러, 석분 : mineral filler)를 가열하여 혼합하거나 상온에서 혼합한 것으로 도로 포장이나 주차장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목적이나 용도, 기능, 공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고 있다.
상기 아스콘의 재료 중에서 굵은 골재와 잔 골재가 혼합된 혼합 골재는 건조공정과 선별공정을 거친 후 믹서에서 아스팔트와 혼합된다.
골재 및 아스팔트 혼합용 믹서는 일반적으로 케이싱 내에 횡방향으로 2개의 교반축들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들 각각의 교반축에 복수개의 교반 아암들을 등간격으로 설치한 후 구동장치에 의해 2개의 교반축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그리고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교반 아암들이 골재와 아스팔트를 혼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2개의 교반축들을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이유는, 2개의 교반축들의 각각에 설치된 교반 아암들은 교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2개의 교반축들에 각각 설치된 교반 아암들이 전후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있도록 설치되되 서로의 회전반경을 침범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2개의 교반축들에 각각 설치된 교반 아암들이 서로 부딪히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2개의 교반축들에 각각 설치된 아암들의 각각의 위상차를 180°로 되게 한 후 2개의 교반축들을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시켜야만 하기 때문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믹서용 교반장치는, 감속기를 거쳐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2개의 교반축들이 회전되면서 교반이 이루어지는바, 각각의 교반축의 일단에 타이밍 기어를 일체로 외접시켜 2개의 교반축들의 각각의 일단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2개의 교반축들의 회전 속도를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73769호와 같은 "믹서용 구동장치"에서의 교반기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교반축(101)들에 각각 중공축형 감속기(13)를 거쳐 각각 모터(111)를 연결하여 2개의 교반축들을 각각 회전시키되 2개 의 교반축들에 각각 연결된 감속기의 입력축들을 서로 커플링(15)에 의해 연결한 믹서용 교반장치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는, 중공축형 감속기(113)는 감속기의 입력축 및 출력축이 중공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입력축 및 출력축이 모터(111)의 출력축이나 교반축(111)에 연결될 때 별도의 연결장치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연결할 수 있게 하며, 2개의 교반축(101)들에 각각 연결된 감속기(113)들은 그 각각의 하부 부분이 브라켓(117)에 고정되며, 2개의 교반축(101)들에 각각 연결된 감속기(113)의 입력축들은 서로 커플링(1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각각의 모터(111)가 각각의 중공축형 감속기(113)를 거쳐 2개의 교반축(101)들의 각각에 연결되되 각각의 감속기(113)의 입력축들이 커플링(11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2개의 교반축(101)들은 각각의 모터(111)에 의해 회전되되 그 각각의 회전 속도가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교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2개의 교반축(101)들에 각각 180°의 위상차를 가지면서 전후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있도록 설치되되 서로의 회전반경을 침범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교반 아암(103)들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교반축(101)들에 의해 서로 맞부딪히지 않게 하였다.
감속기(13)는 여러 개의 평기어와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데, 2개의 교반축(101)들 중 하나의 교반축(101)에 연결된 감속기(113)의 베벨기어와 2개의 교반축(101)들 중 다른 하나의 교반축(101)에 연결된 감속기(113)의 베벨기어를 정반대방향으로 설치하면 교반축(101)들에 각각 연결된 감속기(113)들의 출력축들의 회전 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종래기술의 믹서용 교반장치에 의하면, 2개의 교반축들에 의해 회전하는 2조의 교반 아암(103)에 교반이 이루어지나, 교반시에 아스콘의 재료인 아스팔트와 굵은 골재 및 잔 골재의 혼합 골재가 케이싱 내에서 일측으로 몰려서 케이싱의 내부를 심하게 마모시킬뿐더러, 교반 아암이나 교반축 자체의 마모 역시 심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먼저 케이싱 내부를 별도의 라이너로 감싸며,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교반기를 구성하여 마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교반축을 아암을 갖는 교반홀더로 감싸며, 다시 아암의 선단에는 별도의 팁을 부착하고, 아암의 골재와 마찰하는 부위에 입힘쇠를 덧입히도록 하여 교반기의 마모를 최소화함은 물론, 케이싱 라이너나 팁과 같은 마모 부위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믹서용 교반장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 내에서 아스콘 재료를 믹싱하는 교반기(20); 및 상기 교반기의 제1 교반축(21) 및 제2 교반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교체가능하면서 내마모성의 라이너로 덧입혀져 있으며, 상기 제1 교반축(21) 및 제2 교반축(2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교반축(21) 및 제2 교반축(21")을 감싸고 있는 다수 개의 교반 홀더(22, 22'; 22")들에 의해 골재와 아스팔트를 혼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라이너 중에서 선회하는 교반기(20)의 아암의 단부와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는 제2 라이너(12)는, 그 테두리 중 상기 교반 홀더(22, 22'; 22")들의 회전방향으로의 테두리(12a)가 물결무늬 형태를 이루도록 하면서, 상기 교반 홀더(22, 22'; 22")들의 회전방향으로 상호 이웃하는 제2 라이너들의 테두리들(12a)이 상호 연속되면서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다수 개의 'S'자형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제1 교반축(21) 및 제2 교반축(21")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교반축(21)의 교반홀더(22, 22')들은 축방향을 따라서 제1 방향(도 7의 "C"방향)으로 점진적인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제1 교반축(21)으로부터 아암들이 돌출되어 상기 제1 교반축(21)의 회전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골재를 이송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교반축(21")의 교반홀더(22")들은 축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도 7의 "D"방향)으로 점진적인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제2 교반축(21")으로부터 아암들이 돌출되어 상기 제2 교반축(21")의 회전시에 상기 제2 방향으로 골재를 이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기는, 상기 교반 홀더(22)의 아암은 상기 교반축의 길이방향과는 평행하지도 직각이지도 않는 일정 각도로 뒤틀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라이너의 재질은 크롬합금강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교반 홀더(22)는, 상기 아암(222)의 단부 및 골재와 마찰하는 부위에 부착되는 팁(223) 및 입힘쇠(22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암의 뒤틀린 방향은 일 교반축에서 전후 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뒤틀리도록 구성되며, 좌우 교반축 및 교반기와 라이너는 상호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믹서용 교반장치에 의하면, 교반시 아스콘의 재료들이 분산되면서 교반되도록 하므로 교반의 효율성이 뛰어나고 교반시 부하가 최소화되며,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교반기를 구성하였으며, 교반축 및 교반 아암을 비롯한 교반기의 마모를 최소화하며, 마모 시에도 팁이나 입힘쇠만을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교반기의 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중의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측후방에서 내려다 본 사시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정면에서 본 구동장치 부분의 사시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구동장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교반축 및 교반홀더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교반축 및 교반홀더 부분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교반축 및 교반홀더 부분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교반홀더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교반축 및 교반홀더 부분의 실제 평면사진이다.
본 발명의 믹서용 교반장치는 골재와 아스팔트를 혼합하는 믹서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로서, 크게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듯이, 케이싱(10); 상기 케이싱 내에서 아스콘 재료를 믹싱하는 교반기(20); 상기 교반기의 교반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 및 상기 교반기에서 믹싱이 완료된 아스콘을 배출하기 위한 도어 개폐장치(4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의 내면에는 일예로 크롬합금강과 같은 강한 재질의 제1 내지 제3 라이너(11, 12, 13)가 덧대어져 있으며, 특히 선회하는 교반기(20)의 팁(도 10: 223)과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는 제2 라이너(12)는 그 테두리(12a)가 물결무늬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팁의 회전방향으로 상호 이웃하는 제2 라이너들의 테두리는 전체적으로 'S'자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반기의 아암이 회전하면서 교반기의 팁(223)과 케이싱 사이의 틈에 자갈이나 기타 하드 재료가 끼이면서 케이싱 내면에 손상을 줄 수 있는바, 테두리가 물결 모양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틈에 끼인 재료가 상기 물결모양의 테(12a)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미세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틈에서 빠져나오게 되며, 결국 케이싱 내부의 마모를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도 5에서는 케이싱의 하부만을 보여주는바,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는 플랜지(10a)가 형성되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를 통해 상측에 연장부(14)가 결합되는 것이, 아스콘의 혼합시 재료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믹서 구동장치의 교반기에 대해 상술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반기(20)는, 좌우 교반축(21, 21")에 축방향으로 각각 다수 개의 홀더(22)가 연하여 축결합되어 있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도 13에서 보듯이, 각 홀더의 교반축에의 결착부(221)에는 체결용 너트(221c)가 형성되어, 체결볼트(221b)에 의해 교반축(21)에 결합되어 지되, 상기 결착부(221)에 체결부요홈(221a)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가 상 기 요홈(221a) 내에 수용되도록 한다.
각 홀더(22)의 일측에는 아암(222)이 돌출되어 있는바, 상기 아암의 선단에 비로소 팁(223)이 결착되어지며, 아암의 중간부에도 마모 방지를 위해 입힘쇠(224)가 덧대어져 있다.
상기 팁의 마찰면(223a)(골재와 직접 접촉하는 면)에는 일례로 격자 형태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 아스콘 혼합시에 마찰이 충분히 발생하도록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이러한 홈 속으로 아스팔트와 잔 골재가 덧입힘(coating) 현상을 발생시켜, 혼합 골재와 직접적인 마찰을 감소시켜서 결과적으로 팁의 수면을 증대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아암(222)은 대체로 일정 폭의 너비를 갖는 바 형태이나 상기 교반축의 길이방향과는 평행하지도 직각이지도 않는 일정 각도로 뒤틀린 형태이고, 따라서 팁(223)의 마찰면도 회전축의 방향과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되는바, 이는 혼합 작업시 아암과 골재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더욱이, 상기 아암의 뒤틀린 방향은 일 교반축에서 전후 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뒤틀리도록 구성되는바, 일 교반축에 일례로 7개의 홀더가 결착될 경우, 전방 3개의 팁(223)의 마찰면(223a)이 뒤쪽으로 비스듬히 향하도록 하고, 역으로 후방 3개의 팁(223')의 마찰면은 앞쪽으로 비스듬히 향하도록 하여, 결국 각 팁의 마찰면은 안쪽을 향하도록 한다.
아울러, 우측 교반축(21)의 아암(222)의 돌출방향과 좌측 교반축(21")의 아암(222")의 돌출방향 역시 상호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좌우 대응하는 위치의 아암의 각각의 회전 동선이 상호 겹치도록 하여야 골재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바, 좌우 각 대응되는 위치의 아암의 돌출 방향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되어야 충돌하지 않으면서, 상기 목적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다.
더욱이, 일 교반축(221) 내에서 아암의 돌출방향은 일정각도 (일례로 90도) 만큼 위상차를 갖도록 (위상 지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종래의 경우에는 각 회전축에서의 아암의 돌출방향이 같은 방향이어서 인접 아암끼리의 일정 간격을 유지하다 보면, 인접하는 아암의 중간 지점은 아암이 지나가지 않게 되므로, 그 부분에서는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아암 간의 전후방향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면서도 아암이 지나가지 않는 사각지역이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인접하는 아암 간의 위상차가 너무 적으면 아암의 갯수가 많아져야 하므로 문제이므로, 대체로 위상차를 90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하는 방향에서는 각 팁(223, 223")의 마찰면의 방향은 안쪽을 향하도록 되어야 하나, 좌우 교반축(21, 21")의 회전방향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순간 정지상태에서 좌측 교반축(21")의 전방 첫번째 팁(223")의 방향이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면, 우측 교반축(21)의 전방 첫번째 팁(223)의 방향은 비스듬히 위쪽을 향하도록 상호 반대방향으로 뒤틀려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팁(223) 및 입힘쇠(224) 역시, 상기 체결볼트(221b)와 같은 방식으로 체결볼트(223b, 224b)에 의해 상기 암(222)에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이제, 도 6 및 도 9를 주로 참조하고 도 7 및 도 8을 보조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동장치(30)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케이싱의 전방에 위치하는바, 좌우 모터(31)의 구동축(31a)에 제1 풀리(32)가 동축결합되며, 한편 동력전달 벨트(33)를 통해 제2 풀리(34)가 회전 결합되어 진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 풀리(32) 및 제2 풀리(34)의 외부면에는 벨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어지고, 벨트(33)의 내측에도 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회전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됨으로써, 회전 도중 벨트가 벗겨지지 않으면서, 과부하시에는 슬립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좌우 제2 풀리(34)의 회전축인 종동축(34a)은 감속기(35)의 베벨기어(미 도시됨)의 1차측 기어(유성기어)에 동축결합되어지며, 다시 상기 1차측 기어(유성기어)는 선기어에 축결합되어짐으로써, 결국 상기 선기어의 회전축인 교반축(21)의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진다.
한편,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믹서의 케이싱(10)의 하부에는 골재와 아스팔트가 혼합된 아스콘을 배출하기 위한 도어(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어를 제1 및 제2 링크(42, 43)를 통해 힌지축(41a)을 기준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미 도시됨)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장치(40)가, 케이싱(10)의 전후 방향에 각각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제, 첨부한 도면 중의 도 5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믹싱 동작을 설명하면, 좌우 교반축(21, 21")이 각각 "A" 및 "B" 방향(도11 참조)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각의 교반축에 연결된 아암이 90도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하게 되며, 각 아암의 선단에 장착된 팁의 경사각이 전후 방향에서 상호 반대로 경사져 있어, 회전시 아스콘 재료를 중심방향으로 몰아가면서 교반을 하므로, 교반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측 회전축(21)의 중간 위치의 아암의 팁의 마찰면이 우측 방향으로 향하게 되며, 좌측 회전축(21")의 중간 위치의 아암의 팁의 마찰면이 좌측 방향으로 향하게 되면, 우측에서는 "C"방향으로 골재가 이동하게 되며, 좌측에서는 "D"방향으로 골재가 이동하게 되면서, 골재가 케이싱 내에서 전체적으로 회전하면서 골고루 섞이게 된다.
이처럼,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삭제
도 1은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믹서용 교반장치 및 이 믹서용 교반장치가 설치된 믹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믹서용 교반장치 및 이 믹서용 교반장치가 설치된 믹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믹서용 교반장치 및 이 믹서용 교반장치가 설치된 믹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사시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구동장치 부분의 사시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구동장치 부분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교반축 및 교반홀더 부분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교반축 및 교반홀더 부분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교반축 및 교반홀더 부분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교반홀더의 분리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교반축 및 교반홀더 부분의 평면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의 실제 믹싱동작을 보여주는 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케이싱 10a: 플랜지
10b: 케이싱 전면 10d: 케이싱 후면
10e: 지지브라켓
11: 제1 라이너
12: 제2 라이너 12a: 제2 라이너의 물결모양 테
13: 제3 라이너 14: 연장부
20: 교반기 21: 교반축
22,22',22": 교반홀더
221,221',221": 교반축 결착부 221a: 체결부 요홈
221b: 체결볼트 221c: 체결너트
222,222',222": 아암 223,223',223": 팁
223a: 마찰면 224,224'224": 입힘쇠
30: 구동장치 31: 모터
31a: 구동축 32: 풀리
33: 벨트 34: 풀리
34a: 종동축 35: 유성기어 감속기
36: 클램프
40: 도어 개폐장치 41: 도어
41a: 힌지축 42: 제1 링크
42a: 제1 링크절 43: 제2 링크
43a: 제2 링크절 44: 선회부재
44a: 회전축 45b: 실린더로드
101: 교반축 103: 교반아암
110: 케이싱 111: 모터
113: 감속기 115: 커플링
117: 브라켓

Claims (6)

  1. 케이싱(10);
    상기 케이싱 내에서 아스콘 재료를 믹싱하는 교반기(20); 및
    상기 교반기의 제1 교반축(21) 및 제2 교반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교체가능하면서 내마모성의 라이너로 덧입혀져 있으며,
    상기 제1 교반축(21) 및 제2 교반축(2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교반축(21) 및 제2 교반축(21")을 감싸고 있는 다수 개의 교반 홀더(22, 22'; 22")들에 의해 골재와 아스팔트를 혼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라이너 중에서 선회하는 교반기(20)의 아암의 단부와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는 제2 라이너(12)는, 그 테두리 중 상기 교반 홀더(22, 22'; 22")들의 회전방향으로의 테두리(12a)가 물결무늬 형태를 이루도록 하면서, 상기 교반 홀더(22, 22'; 22")들의 회전방향으로 상호 이웃하는 제2 라이너들의 테두리들(12a)이 상호 연속되면서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다수 개의 'S'자형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제1 교반축(21) 및 제2 교반축(21")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교반축(21)의 교반홀더(22, 22')들은 축방향을 따라서 제1 방향(도 7의 "C"방향)으로 점진적인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제1 교반축(21)으로부터 아암들이 돌출되어 상기 제1 교반축(21)의 회전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골재를 이송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교반축(21")의 교반홀더(22")들은 축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도 7의 "D"방향)으로 점진적인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제2 교반축(21")으로부터 아암들이 돌출되어 상기 제2 교반축(21")의 회전시에 상기 제2 방향으로 골재를 이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용 교반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홀더의 아암은 상기 교반축의 길이방향과는 평행하지도 직각이지도 않는 일정 각도로 뒤틀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용 교반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재질은 크롬합금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용 교반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홀더는,
    상기 아암(222)의 단부 및 골재와 마찰하는 부위에 부착되는 팁(223) 및 입힘쇠(2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용 교반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뒤틀린 방향은 일 교반축에서 전후 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뒤틀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용 교반장치.
KR1020090111788A 2009-11-19 2009-11-19 믹서용 교반장치 KR101140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788A KR101140350B1 (ko) 2009-11-19 2009-11-19 믹서용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788A KR101140350B1 (ko) 2009-11-19 2009-11-19 믹서용 교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956A KR20110054956A (ko) 2011-05-25
KR101140350B1 true KR101140350B1 (ko) 2012-05-03

Family

ID=4436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788A KR101140350B1 (ko) 2009-11-19 2009-11-19 믹서용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2965A (zh) * 2016-08-17 2017-01-04 张红 建筑用搅拌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3225A (zh) * 2017-09-09 2017-12-01 青岛美中建材机械有限公司 一种中料搅拌机
KR102155908B1 (ko) * 2018-11-30 2020-09-15 김성회 콘크리트 믹서기용 내마모 베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8550A (ja) * 1997-05-30 1998-12-15 Kurimoto Ltd ミキサーの内張り硬化ライナー構造及びそのライナーの製造方法
KR100566524B1 (ko) * 2005-05-25 2006-03-31 원태경 물 공급통로가 형성된 아암샤프트를 갖는 콘크리트 믹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8550A (ja) * 1997-05-30 1998-12-15 Kurimoto Ltd ミキサーの内張り硬化ライナー構造及びそのライナーの製造方法
KR100566524B1 (ko) * 2005-05-25 2006-03-31 원태경 물 공급통로가 형성된 아암샤프트를 갖는 콘크리트 믹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2965A (zh) * 2016-08-17 2017-01-04 张红 建筑用搅拌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956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834B1 (ko) 믹서용 구동장치
KR101140350B1 (ko) 믹서용 교반장치
JP2008212888A (ja) 粘性流体混練用2軸ミキサ
KR101112744B1 (ko) 믹서용 교반기
CN109093848A (zh) 一种高效混凝土搅拌机
KR20090084580A (ko) 배합기
CN205392239U (zh) 一种双重化工搅拌器
KR101066616B1 (ko) 믹서용 도어 개폐장치
CN211279136U (zh) 一种基于行星齿轮传动原理的筒轴一体式水泥搅拌装置
CN214521018U (zh) 一种高效干混砂浆搅拌机
JP2000158432A (ja) コンクリートミキサー
JP2565430B2 (ja) コンクリートモルタルミキサーに於ける撹拌装置及び撹拌羽根体
CN108297280A (zh) 一种双轴混凝土搅拌装置
JP3992180B2 (ja) 混合攪拌方法及び同装置
CN207972134U (zh) 一种双轴混凝土搅拌装置
CN211133795U (zh) 一种沥青生产线再生处理装置
CN1459329A (zh) 一种搅拌机
CN209552129U (zh) 一种道路市政工程用混凝土搅拌车
CN209832167U (zh) 一种耐磨损的搅拌器
CN209791361U (zh) 双螺带混料机
CN207838790U (zh) 一种多重搅拌的高速分散机
CN208533590U (zh) 装载机铲斗搅拌装置
CN217747392U (zh) 一种钢纤维滚筒筛分装置
CN205672841U (zh) 三维运动混合机
CN205310520U (zh) 水泥搅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