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185B1 -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185B1
KR101140185B1 KR1020100024502A KR20100024502A KR101140185B1 KR 101140185 B1 KR101140185 B1 KR 101140185B1 KR 1020100024502 A KR1020100024502 A KR 1020100024502A KR 20100024502 A KR20100024502 A KR 20100024502A KR 101140185 B1 KR101140185 B1 KR 101140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sterilizing
water
kit
medical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407A (ko
Inventor
우상헌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아이웍스
우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아이웍스, 우상헌 filed Critical (주)케이아이웍스
Priority to KR1020100024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185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를 치료시에 사용된 의료기구를 세척 및 살균과정을 거쳐 진공의 무균처리상태에서 환자에게 치료할 수 있도록 의료기구를 제공하고자 의료기구를 간단하게 소독 및 살균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고 살균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환자에게 치료전까지 진공의 무균상태로 보관하게 되며 소독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커버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세척부재와, 상기 세척부재 일측에 살균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살균부재와, 상기 살균부재 일측에 정화된 건조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건조부재와, 상기 세척부재, 살균부재 및 건조부재의 각각의 연결라인으로부터 연결된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일측이 연계되어 하우징 외주면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하나이상의 수용홈에 각각 형성되는 카트리지식 살균키트와, 상기 살균키트 타측에 연계되며 일측에 연결된 펌프가 구비되어 형성된 제2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기기용 살균장치{Sterilizer for medical appliances}
본 발명은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를 치료시에 사용된 의료기기를 세척 및 살균과정을 거쳐 진공의 무균처리상태에서 환자에게 치료할 수 있도록 의료기기를 제공하고자 의료기기를 간단하게 소독 및 살균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고 살균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환자에게 치료전까지 진공의 무균상태로 보관하게 되며 소독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수술이나 처치후 의료용구나 외과수술용 메스, 내시경 등의 각종 의료기구에는 혈액이나 생체조직 등이 부착되어 있다. 이 부착물 중에는 감염성 병원균이 잠복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감염성 병원균에 의한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의료용구를 재사용하기전에는 반드시 살균세정처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종래방법에 따르면, 이러한 종류의 초음파 살균세정은 귀금속, 의치, 콘텍트렌즈, 안경 등의 물품을 세정조 내에 저류시킨 세정수에 침적시키고, 세정조 또는 세정수 등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물품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여, 물품에 부착된 오염성분을 분리분해하여 세정하는 것이 있는데, 초음파 진동에 의한 효과는 세정효과 뿐이고, 살균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상기 살균세정처리로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비눗물의 존재하에 피세정물의 부착물을 탈락시키고 청정수로 충분히 세척한 후에 소독액에 침적함으로써 소독하던가 또는 고압증기멸균장치(autoclave)내에 일정시간 유치함으로써 피세정물의 병원균을 살균한다. 그러나, 상기 처리의 취급자에 대한 작업중의 감염이나 감염성 병원균의 유출확산을 회피하기 위해 처리에 상당한 노동이나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고, 날카롭고 뾰족한 의료기구를 다루는 경우 처리자의 손을 찔리거나 상처를 입는 경우 외부감염에 대한 우려가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의료장비의 경우 사용한 후 표면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부착되어 다른 환자에게 2차감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사용한 후 살균하여 재사용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이를 위해 끓는 물에 삶거나 고온의 증기를 사용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열을 가하게되면 균을 제거할 수 있으나 일부 균들은 그대로 남아있을 우려가 있으며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알콜 등의 약품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도 특정균이 살아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의료기기의 살균방법에 의해 처리 한후 공기중에 노출시켜 보관하거나 별도의 진공팩에 넣어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 공기중에 노출시켜 보관할 시 공기중의 미세먼지 등에 함유되어 있는 바이러스 등이 부착되어 다시 오염되는 실정에 있어, 이를 그대로 환자 치료시 사용하게 되면 2차감염이 발생하게 되며, 그리고 별도의 진공장치를 이용해 살균된 의료기기를 진공팩에 넣는 과정을 거쳐야 함으로 이또한 공기중에 노출되는 점과 비용 및 인건비의 증가뿐만 아니라 살균과정이 복잡하여 일일이 분업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의료기구 살균기술을 개선하여 살균장치에 하나이상의 카트리지식 살균키트가 구비되어 상기 살균키트내에 세척 및 살균을 할 의료기구, 검사기구 혹은 진료기구를 넣은 상태에서 세척, 살균, 세척, 건조 및 무균공정 순으로 이루어진 연속공정을 통해 의료기구, 검사기구 및 진료기구의 표면에 붙어 있는 각종 병원균과 혈액, 타액 등의 이물질을 세척하고, 무균공정 후에도 상기 살균장치내에서 보관되어 사용시에만 탈착하여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 사용전에는 항상 살균키트에 보관되어 무균처리된 상태로 존재하게 하여 각종 병원균을 강력하게 살균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의료기구와 진료기구를 멸균 상태로 매우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커버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세척부재와, 상기 세척부재 일측에 살균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살균부재와, 상기 살균부재 일측에 정화된 건조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건조부재와, 상기 세척부재, 살균부재 및 건조부재의 각각의 연결라인으로부터 연결된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일측이 연계되어 하우징 외주면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하나이상의 수용홈에 각각 형성되는 카트리지식 살균키트와, 상기 살균키트 타측에 연계되며 일측에 연결된 펌프가 구비되어 형성된 제2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식 살균키트는, 상부 일측에 제1연결구가 형성된 제1몸체와 하부 일측에 제2연결구가 형성된 제2몸체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 하부와 상기 제2몸체 상부가 밀폐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제2몸체 상단부에 밀봉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밀봉부재는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압축고무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의 작동은 세척부재를 통한 세척수가 살균키트에 유입되어 세척공정을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살균수가 살균키트에 유입되어 세척공정을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세척수가 살균키트에 유입되어 세척공정을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정화된 공기가 살균키트에 유입되어 건조공정을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살균키트내의 공기를 펌프의 작동에 의해 제거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무균공정을 하는 제5단계로 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세척수는 오존수, 증류수, 60%이상의 알콜을 함유한 소독수 중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살균수는 오존수, 오존가스, 60%이상의 알콜을 함유한 소독수 중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살균장치에 하나이상의 카트리지식 살균키트가 구비되어 있어 의료기기, 검사기구 및 진료기구를 상기 살균키트내에 수용하여 상기 살균장치의 작동공정 즉, 세척-살균-세척-건조-무균공정의 순으로 세척 및 살균을 행한 후 상기 살균키트를 항상 살균장치의 살균키트에서 보관되며, 뿐만 아니라 보관시 항상 무균상태로 존재하도록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시에만 상기 살균키트를 탈착하여 개봉한 후 내시경과 같은 의료기기 등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진료, 검사 또는 수술을 받는 환자의 2차 감염을 예방하고 청결한 위생 상태를 빠르고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에서 커버를 개봉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의 수평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에서 세척, 살균 및 건조부재와 살균키트와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에서 제1, 2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된 살균키트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에서 살균키트 내에 의료기구를 설치한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의 살균키트 조립분리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의 살균키트 내에 내시경을 설치한 분리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의 살균키트 내에 내시경을 설치한 내부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1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료기기용 살균장치(10)에 있어서, 상부에 커버(12)가 형성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세척부재(20)와, 상기 세척부재(20) 일측에 살균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살균부재(30)와, 상기 살균부재(30) 일측에 정화된 건조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건조부재(40)와, 상기 세척부재(20), 살균부재(30) 및 건조부재(40)의 각각의 연결라인(13)으로부터 연결된 제1솔레노이드밸브(50a)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0a)와 일측이 연계되어 하우징(11) 외주면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용홈(15)에 각각 형성되는 카트리지식 살균키트(100)와, 상기 살균키트(100) 타측에 연계되며 일측에 연결된 펌프(60)가 구비되어 형성된 제2솔레노이드밸브(50ㅠ)로 구성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1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료기기용 살균장치(1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하우징(11)을 가지고 있지만, 원통형의 형상에 한정한 것은 아니며, 사용자 또는 제작자의 요구 및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 내에 세척부재(20), 살균부재(30) 및 건조부재(4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지만, 사용처 및 용도에 따라 하우징(11) 외부에 별도의 세척부재(20), 살균부재(30) 및 건조부재(40)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과 연계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부재(20), 살균부재(30) 및 건조부재(40)는 통상의 관련제품을 응용 및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 내에 세척부재(20), 살균부재(30) 및 건조부재(40)에서 각각의 수용홈(15)에 설치된 살균키트(100)에 연결라인(13)을 통해 연계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부재(20), 살균부재(30) 및 건조부재(40)의 각각에 상기 다수의 수용홈(15)에 분배될 수 있도록 분배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척부재(20), 살균부재(30) 및 건조부재(40)의 작동은 상기 하우징(11) 일측에 설치된 작동부(미도시)에 의해 작동되어 세척부재(20), 살균부재(30) 및 건조부재(40)의 제어와 동시에 제1솔레노이드밸브(50a)의 제어를 통해 수용홈(15)에 설치된 살균키트(100)에 살균작용을 작동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1) 외부에 별도의 세척부재(20), 살균부재(30) 및 건조부재(40)가 형성됨은 일반적인 대형병원에서 상기 의료기기용 살균장치(10)만 이동시켜 수술실 또는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된 중앙집중식의 세척부재(20), 살균부재(20) 및 건조부재(30)와 상기 의료기기용 살균장치(10)를 연결시켜 언제든지 환자를 치료한 의료기구
등을 즉시, 세척, 살균, 건조 및 무균화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처 및 용도에 따라 별도의 세척부재, 살균부재 및 건조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 외주면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용홈(15)에 각각 형성되는 카트리지식 살균키트(100)가 형성됨에 있어, 상기 살균키트(100)를 수용홈(15)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살균키트(100) 내에 의료기구, 검사장비 또는 치료기구 등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크기와 너비를 가지고 있고, 상기 살균키트(100) 내에 하나 이상의 의료기구, 검사장비 또는 치료기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상기 수용홈(15)에 카트리지식의 살균키트(100)를 사용함으로서 다수의 환자들에게 치료 또는 검사한 의료기구, 검사기구 또는 진료기구를 다수의 살균키트(100)에 넣어 세척, 살균, 건조 및 무균공정을 거쳐 무균상태로 존재한 살균키트(100)를 다수의 환자에게 각각의 살균키트(100)를 사용하고, 상기 사용된 의료기구, 검사기구 또는 진료기구를 다시 의료기기용 살균장치(10)의 살균키트(100)에 넣어 세척, 살균, 건조 및 무균공정을 거쳐 무균상태로 존재하도록 하는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항상 무균상태로 존재하도록 하는 카트리지식 살균키트(100)를 제공하게 된다.
더구나, 상기 살균키트(100)는 비중이 큰 의료장비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의료장비 사용후 상기 살균키트(100) 내에 수용하여 밀봉 한 다음 상기 의료기기용 살균장치(10)의 수용홈(15)에 장착하여 세척, 살균, 건조 및 무균공정을 거쳐 사용전까지 항상 무균상태로 존재하도록 하고, 사용할 때에는 상기 살균키트(100)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식 살균키트(100)를 제공한다.
이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료기구인 매스(140) 등을 상기 살균키트(100)에 넣어 수용홈(15)에 설치하여 세척-살균-세척-건조를 통해 의료기기용 살균장치(10)를 작동하게 된다.
이렇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 외주면에 형성된 각각의 수용홈(15)에 살균키트(100)를 수용하며, 상기 살균키트(100)는 치료 또는 검사를 진행하기 전에는 항상 수용홈(15)에 부착되어 있으며, 치료 및 검사시에만 상기 수용홈(15)으로부터 탈착시켜 환자에게 사용하게 된다.
이는 상기 살균키트(100) 내에 외부공기가 전혀 유입되지 못하는 진공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상기 살균키트(100) 내에는 무균상태로 존재하여 환자 치료 또는 검사시에만 즉시 개봉하여 사용하게 되어 2차감염을 절대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식 살균키트(100)는, 상부 일측에 제1연결구(111)가 형성된 제1몸체(110)와 하부 일측에 제2연결구(121)가 형성된 제2몸체(120)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110) 하부와 상기 제2몸체(120) 상부가 밀폐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제2몸체(120) 상단부에 밀봉부재(13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110)의 제1연결구(111)는 상기 수용홈(15)의 상부에 형성된 제1솔레노이드밸브(50a)와 연계된 연결라인(13)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몸체(120)의 제2연결구(121)는 수용홈(15) 하부에 형성된 제2솔레노이드밸브(50b)와 연계된 연결라인(13)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형성되어 진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130)는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압축고무링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살균키트(100) 내에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압축고무링을 장착하여 진공상태에서도 외부의 공기가 전혀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상기 밀봉부재(130)는 예시된 것과 같이 압축고무링에 한정한 것은 아니며, 현재 알려진 기술제품으로 다양한 밀봉부재(13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진공밀폐를 위한 해치형, 원터치형 등과 같은 원리가 적용된 밀봉부재(130)를 사용할 수 있음을 명백히 밝힌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의 구성도와 같이 상기 의료기기용 살균장치(10)의 작동은 세척부재(20)를 통한 세척수가 살균키트(100)에 유입되어 세척공정을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살균부재(30)를 통해 살균수가 살균키트(10))에 유입되어 세척공정을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세척부재(20)를 통해 세척수가 살균키트(100)에 유입되어 세척공정을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건조부재(40)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살균키트(100)에 유입되어 건조공정을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살균키트(100)내의 공기를 펌프(60)의 작동에 의해 제거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무균공정을 하는 제5단계로 하여 작동되어 상기 살균키트(100) 내의 의료기구, 검사기구 도는 진료기구를 세척에서 무균까지 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살균키트(100) 내의 의료기구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제1단계에서 제5단계까지 반복적인 수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때로는 선택적으로 단계를 설정하여 작동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며, 이는 상기 살균키트(100) 내의 의료기구 오염도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 제5단계의 공정을 순서로 하여 의료기기용 살균장치(10)의 카트리지식 살균키트(100) 내의 의료기구를 살균하는 공정외에 다른 공정이 추가로 행하여 질 수 있으며, 이는 별도의 공정을 행하는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살균키트(100)를 수용하는 수용홈(15) 내면에 자외선 살균기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의료기구를 완전한 세척, 완전한 살균, 완전한 무균상태를 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구성요소를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명백히 밝힌다.
한편,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료기구중 일예로 내시경(150) 기구는 인체의 내부를 관찰하거나 또는 관찰과 동시에 시술까지 할 수 있는 의료기구인데, 이를 한 번 사용한 후에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세척 및 소독처리를 해야 하고, 세척후 밀봉된 형태로 외부공기와의 완전차단을 행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식 살균키트(100) 내에 세척 및 살균 완료후 보관하게 하여 환자에게 사용할 때에만 상기 진공의 무균상태로 존재하는 살균키트(100)를 탈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세척수는 오존수, 증류수, 60%이상의 알콜을 함유한 소독수 중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살균수도 오존수, 오존가스, 60%이상의 알콜을 함유한 소독수 중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 10, 하우징 : 11, 커버 : 12, 연결라인 : 13, 분배부 : 14, 수용홈 : 15, 세척부재 : 20, 살균부재 : 30, 건조부재 : 40, 제1, 2솔레노이드밸브 : 50a, 50b, 살균키트 : 100, 제1몸체 : 110, 제1연결구 : 111, 제2몸체 : 120, 제2연결구 : 121, 밀봉부재 : 130, 매스 : 140, 내시경 : 150

Claims (6)

  1.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커버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세척부재와,
    상기 세척부재 일측에 살균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살균부재와,
    상기 살균부재 일측에 정화된 건조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건조부재와,
    상기 세척부재, 살균부재 및 건조부재에 각각의 연결라인으로부터 연결된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상부측이 연계되어 하우징 외주면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용홈에 각각 형성되는 카트리지식 살균키트와,
    상기 살균키트 하부측에 연계되며, 일측에 연결된 펌프가 구비되어 형성된 제2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식 살균키트는, 상부 일측에 제1연결구가 형성된 제1몸체와 하부 일측에 제2연결구가 형성된 제2몸체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 하부와 상기 제2몸체 상부가 밀폐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제2몸체 상단부에 밀봉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압축고무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4. 제1항의 의료기기용 살균장치의 작동은 세척부재를 통한 세척수가 살균키트에 유입되어 세척공정을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살균수가 살균키트에 유입되어 세척공정을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세척수가 살균키트에 유입되어 세척공정을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정화된 공기가 살균키트에 유입되어 건조공정을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살균키트내의 공기를 펌프의 작동에 의해 제거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무균공정을 하는 제5단계로 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는 오존수, 증류수, 60%이상의 알콜을 함유한 소독수 중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는 오존수, 오존가스, 60%이상의 알콜을 함유한 소독수 중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KR1020100024502A 2010-03-19 2010-03-19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KR101140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502A KR101140185B1 (ko) 2010-03-19 2010-03-19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502A KR101140185B1 (ko) 2010-03-19 2010-03-19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407A KR20110105407A (ko) 2011-09-27
KR101140185B1 true KR101140185B1 (ko) 2012-05-02

Family

ID=4495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502A KR101140185B1 (ko) 2010-03-19 2010-03-19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061B1 (ko) * 2018-11-26 2020-04-17 박규태 치 공구 세척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5318A (zh) * 2017-12-19 2018-03-30 陈明光 一种医疗探检用电子镜保洁防传染设备及其使用方法
KR102298906B1 (ko) * 2019-07-22 2021-09-08 주식회사 지엠에스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139A (ko) * 2004-09-06 2006-03-09 주경원 치과의료기용 세척 및 소독 기구
JP2007061278A (ja) 2005-08-30 2007-03-15 Mitsubishi Heavy Ind Ltd 殺菌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139A (ko) * 2004-09-06 2006-03-09 주경원 치과의료기용 세척 및 소독 기구
JP2007061278A (ja) 2005-08-30 2007-03-15 Mitsubishi Heavy Ind Ltd 殺菌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061B1 (ko) * 2018-11-26 2020-04-17 박규태 치 공구 세척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407A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060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e sterilization of endoscopes
JPH10305011A (ja) 内視鏡処置具とそれを用いた内視鏡の洗浄・消毒・乾燥方法
KR101020518B1 (ko) 의료용 기구의 멸균 및 건조 장치
KR101140185B1 (ko)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US6610251B1 (en) Method of sterilizing medical instruments
KR101020517B1 (ko) 의료용 핸드피스의 멸균 및 건조 장치
Lee et al. Steps of reprocessing and equipments
WO2017011586A1 (en) Endoscope cleaning brush apparatus
Son et al.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guidelines for endoscope reprocessing
JP2018175532A (ja) 滅菌コンテナおよび滅菌装置
JP3460977B2 (ja) ゴム部材を有する医療機器の消毒、滅菌方法と装置
Stone et al. Residual Protein Contamination of ProSeal™ Laryngeal Mask Airways after Two Washing Protocols
JPH06509482A (ja) 殺菌方法及び装置
KR102379231B1 (ko) 치과치료용 도구 살균장치
KR102305586B1 (ko) 마이크로버블형 오존수공급부를 구비한 치과병원용 치료도구 살균장치
CN214555824U (zh) 一种超声雾化清洗和消毒杀菌一体机
US11998645B2 (en) Treatment tool sterilizer for dental hospital with micro bubble type ozone water supply and steriliz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379232B1 (ko) 치과병원용 치료도구 살균방법
US20210205486A1 (en) Treatment tool sterilizer for dental hospital with micro bubble type ozone water supply and steriliz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30051348A (ko)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연성 내시경 멸균 보관함
WO2024105122A1 (en) Reprocessing method for reprocessing a medical instrument for robotic surgery after its use
PORTER Essentials of decontamination: Part Two.
Spencer Storage Autoclave Case Systems and Instrument Cassette Designs
UA112399U (xx) Спосіб профілактики передачі інфекції при медичних дослідженнях з використанням ендоскопа
Hohner et al. Cleaning and Maintenance of Endoscopic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