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906B1 -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906B1
KR102298906B1 KR1020190088056A KR20190088056A KR102298906B1 KR 102298906 B1 KR102298906 B1 KR 102298906B1 KR 1020190088056 A KR1020190088056 A KR 1020190088056A KR 20190088056 A KR20190088056 A KR 20190088056A KR 102298906 B1 KR102298906 B1 KR 102298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unit
washing
ultrapure water
sur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106A (ko
Inventor
윤근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에스
Priority to KR102019008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9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6Ethylene 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08B1/002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순수(H2O)와 질소(N2)를 이용하여 수술도구의 감염관리를 할 수 있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은, 수술도구를 세정액에 담지하며, 세정액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세척하는 기초 세척부; 기초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증류수에 담지하며,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1차 세척하는 제1 세척부; 제1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에 초순수를 분사 또는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며, 수술도구를 브러시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로봇 세척부; 로봇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여 2차 세척하는 제2 세척부; 제2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며, 질소를 이용하여 수술도구를 3차 세척하는 제3 세척부; 제3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건조하는 건조부; 건조부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멸균소독하는 멸균소독부; 및 기초 세척부, 제1 세척부, 로봇 세척부, 제2 세척부, 제3 세척부, 건조부, 멸균소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Infe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surgical tool using ultrapure water and nitrogen}
본 발명은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초순수(H2O)와 질소(N2)를 이용하여 수술도구의 감염관리를 할 수 있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핸드피스는 감염되거나 손상된 치아를 연마 및 제거하는 치과 의료기구로, 사용 중에 환자의 구강 내에서 타액, 혈액, 치아 조각 및 가루 등은 물론, 각종 병원성 미생물과 바이러스 등이 묻으면서 오염된다. 일반적으로 타액, 혈액 등과 같은 핸드피스의 오염물질은 에이즈, 간염과 같은 다양한 질병유발인자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오염된 핸드피스는 이들을 사용하는 의사 및 간호사는 물론 다른 환자에게 치명적인 전염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핸드피스는 1회용 수술도구(의료기구)가 아니므로, 사용된 핸드피스는 의사, 간호사, 다음 환자 등의 사용자에게 전염을 방지하기 위해, 세척, 소독 및 살균 등의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사용된 핸드피스 등의 수술도구들을 세척 및 소독하는 종래 방법은 수술도구를 끓는 물에 넣고 삶거나, 고온고압의 오토클래이브(Autoclave)를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 방법은 하나의 수술도구를 세척 및 소독하는데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과 세척 및 소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많은 수의 환자들을 고려할 때 환자의 진료대기시간이 연장되어서 환자가 체감하는 의료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시속한 진료를 위해 수술도구에 대한 충분한 시간의 세척 및 소독을 진행하지 못할 수도 있어, 각종 질병유발인자의 전염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핸드피스의 경우엔 치과 수술도구 중 사용빈도가 높아 전술한 문제가 두드러졌다.
이외에도, 고온고압을 이용한 종래 세척 및 소독방식은 핸드피스 등의 수술도구에 손상을 주어 기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고온고압을 통해 각종 질병유발인자를 불활성화시킨 경우에도 핸드피스 내부에 잔류하면서 다른 환자에게 옮겨져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에 도움을 줄 수 있어서, 핸드피스 등의 수술도구에 대한 효과적인 세척 및 소독 방식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요구에 따라, 자외선 및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 및 소독방식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저외선의 경우 자외선이 조사되는 부분만 세척 및 소독되어 핸드피스의 내부는 전혀 세척 및 소독되지 않았고, 초음파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할 때, 상대적으로 긴 세척 및 소독시간과 소음발생으로 인해 현실적인 사용에 다소 제한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0305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초순수와 질소를 이용하여 의료시설에서 사용된 수술도구를 초순수물로 포장하여 수술도구의 감염관리를 할 수 있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술도구를 초순수로 로봇 세척하되, 수술도구의 세척 상태에 따라 세척이 완료된 수술도구를 배출하거나 세척이 미완료된 수술도구를 회수하여 재차 세척할 수 있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인력 투입없이 수술도구를 초순수물로 포장하여 수술도구의 감염관리를 할 수 있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은, 수술도구를 세정액에 담지하며, 세정액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세척하는 기초 세척부; 기초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증류수에 담지하며,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1차 세척하는 제1 세척부; 제1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에 초순수를 분사 또는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며, 수술도구를 브러시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로봇 세척부; 로봇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여 2차 세척하는 제2 세척부; 제2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며, 질소를 이용하여 수술도구를 3차 세척하는 제3 세척부; 제3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건조하는 건조부; 건조부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멸균소독하는 멸균소독부; 및 기초 세척부, 제1 세척부, 로봇 세척부, 제2 세척부, 제3 세척부, 건조부, 멸균소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로봇 세척부는,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제1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가 상부에 안착되는 리프트; 상측으로 이동 완료된 리프트로부터 수술도구를 상하방향을 가로지르는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벨트; 제1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술도구를 세척하는 브러시; 브러시가 결합되며, 브러시가 제1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수술도구를 세척하도록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및 제어부로부터 브러시에 의한 세척이 미완료된 것으로 판단되어 회수되는 수술도구를 일측방향과 대향되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하측으로 이동 완료된 리프트로 전달하는 제2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은, 로봇 세척부, 제2 세척부, 제3 세척부에 투입될 초순수가 저장되는 초순수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로봇 세척부는, 초순수 저장부에 저장된 100 중량부의 초순수 중 80~95 중량부의 초순수를 이용하여 제1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세척하며, 100 중량부의 초순수 중 80~95 중량부의 초순수를 제외하고 남은 20~5 중량부의 초순수를 이용하여 브러시를 세척한다.
또한,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은, 제3 세척부에 투입될 질소가 저장되는 질소 멤브레인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질소 멤브레인부는, 기체의 분자 크기에 따른 통과속도 차를 이용하여 질소를 생성하는 멤브레인이 구비된다.
또한, 멸균소독부는, 건조부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EO(Ethylene Oxide)가스로 멸균소독한다.
그리고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은, 제어부에 의해 기초 세척부, 제1 세척부, 로봇 세척부, 제2 세척부, 제3 세척부, 건조부, 멸균소독부 중 적어도 하나로 수술도구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방법은, 기초 세척부가 수술도구를 세정액에 담지하며, 세정액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세척하는 기초 세척 단계; 제1 세척부가 기초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증류수에 담지하며,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1차 세척하는 1차 세척 단계; 로봇 세척부가 제1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에 초순수를 분사 또는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며, 수술도구를 브러시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로봇 세척 단계; 제2 세척부가 로봇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여 2차 세척하는 2차 세척 단계; 제3 세척부가 제2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며, 질소를 이용하여 수술도구를 3차 세척하는 3차 세척 단계; 건조부가 제3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건조하는 건조 단계; 및 멸균소독부가 건조부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멸균소독하는 멸균소독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순수와 질소를 이용하여 의료시설에서 사용된 수술도구를 초순수물로 포장하여 수술도구의 감염관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 세척부가 수술도구를 초순수로 로봇 세척하되, 수술도구의 세척 상태에 따라 세척이 완료된 수술도구를 배출하거나 세척이 미완료된 수술도구를 회수하여 재차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인력 투입없이 수술도구를 초순수물로 포장하여 수술도구의 감염관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세척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방법의 단계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감염관리 시스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이하에서는 '감염관리 시스템'이라 한다.)의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세척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관리 시스템은 기초 세척부(10), 세정액 저장부(20), 제1 세척부(30), 증류수 저장부(40), 로봇 세척부(50), 제2 세척부(60), 제3 세척부(70), 초순수 저장부(80), 질소 멤브레인(Membrane)부(90), 건조부(100), 멸균소독부(110), EO가스 저장부(120), 컨베이어부(130) 및 제어부(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관리 시스템은 구비한 상기 구성들을 통해 감염관리(感染管理)를 수행한다. 여기서 감염관리라 함은, 의료시설 내에서 감염병 유행 예방을 목적으로 한 대처를 가리키고 실천을 중시한 역학의 한 분야를 의미한다.
기초 세척부(10)는 의료시설(예: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진료용 일반장비, 수술용 장치, 의료용 챔버, 생명유지 장치, 내장기능 대용기, 진단용 장치, 의료용 자극발생 기계기구, 시술용 기계기구, 환자 운반차, 생체현상 측정기기, 체외진단용 기기, 의료용 경, 의료처치용 기계기구, 주사기 및 주사침류, 치과처치용 기계기구, 시력보정용 렌즈, 보청기, 의료용 물질 생성기, 체네삽입용 의료용퓸, 인체조직 도는 기능 대치품, 체외용 의료용품, 피임용구, 치과용 합금, 치과처치용 재료, 체외진단 의료기기용 시약류,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의 품목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술도구를 가장 먼저 세척한다. 그리고 기초 세척부(10)는 수술도구를 세정액(예: 효소세정액)에 담지하며, 세정액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세척하는 기초 세척을 적어도 1분 이상 수행한다. 이러한 기초 세척부(10)는 수술도구를 세정액에 담지하기 위해 세정액 저장부(20)와 관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기(미도시)가 일측에 구비된다. 더 나아가, 기초 세척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거나 제어부(140)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기초 세척할 수 있다.
세정액 저장부(20)는 기초 세척부(10)에 투입될 세정액이 저장된다. 이러한 세정액 저장부(20)는 기초 세척부(10)와 관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세정액이 기초 세척부(10)에 투입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세정액 저장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거나 제어부(140)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세정액의 투입정도를 조절한다.
제1 세척부(30)는 유입부(미도시)를 통해 유입되는 기초 세척부(1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수증기를 냉각시켜 정제된 물인 증류수(distilled water)에 담지하고,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세척하는 1차 세척을 1분 이상 수행한다. 이러한 제1 세척부(30)는 수술도구를 증류수에 담지하기 위해 증류수 저장부(40)와 관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기(미도시)가 일측에 구비된다. 더 나아가, 제1 세척부(3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거나 제어부(140)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1차 세척할 수 있다.
증류수 저장부(40)는 제1 세척부(30)에 투입될 증류수가 저장된다. 이러한 증류수 저장부(40)는 제1 세척부(30)와 관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증류수가 제1 세척부(30)에 투입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증류수 저장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거나 제어부(140)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증류수의 투입정도를 조절한다.
로봇 세척부(50)는 제1 세척부(3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거나 초순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로봇 세척을 1분 이상 수행한다. 여기서, 로봇 세척이라 함은, 제1 세척부(3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사용자가 직접 세척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될 로봇 세척부(50)의 구성과 제어부(140)를 통해 자동 세척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로봇 세척부(50)는 초순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초순수를 유입 또는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로봇 세척부(50)는 초순수를 이용하여 로봇 세척을 수행하기 위해 초순수 저장부(80)와 관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로봇 세척부(50)는 제1 세척부(3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로봇 세척하기 위해 리프트(51), 제1 컨베이어벨트(52), 브러시(53), 회전부재(54) 및 제2 컨베이어벨트(55)가 구비된다.
리프트(51)는 유입부(미도시)를 통해 유입되는 제1 세척부(3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가 상부에 안착되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 세척부(3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리프트(51)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1 세척부(3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의 세척과 세척이 미완료된 수술도구를 회수하기 위함이다.
제1 컨베이어벨트(52)는 상측으로 이동 완료된 리프트(51)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리프트(51)로부터 유동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수술도구를 상하방향을 가로지르는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 컨베이어벨트(52)는 초순수와 브러시(53)를 통해 세척이 완료된 수술도구를 제2 세척부(60)로 배출하기 위해, 수술도구를 제2 세척부(60)로 배출하는 처리 컨베이어벨트(미도시)와 연결된다.
브러시(53)는 회전부재(54)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1 컨베이어벨트(52)를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술도구의 외측면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접촉을 통해 수술도구의 외측면을 세척한다.
회전부재(54)는 브러시(53)가 결합되며, 브러시(53)가 제1 컨베이어벨트(52)를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술도구를 세척하도록 브러시(53)를 회전시킨다.
제2 컨베이어벨트(55)는 제어부(140)로부터 브러시(53)에 의한 세척이 미완료된 것으로 판단되어, 제2 컨베이어벨트(55)와 연결된 회수 컨베이어벨트(미도시)를 통해 회수되는 수술도구를 일측방향과 대향되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하측으로 이동 완료된 리프트(51)로 전달한다. 이러한 제2 컨베이어벨트(55)의 작동에 대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로봇 세척부(50)에 구비되어 처리 컨베이어벨트(미도시)를 따라 이동되는 수술도구의 세균 정도를 스캔하여 감지하는 스캐너(미도시)로부터 감지정보를 제어부(140)가 수신하고,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정보를 통해 수술도구가 세척이 미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수술도구는 처리 컨베이어벨트(미도시)에 의해 회수 컨베이어벨트(미도시)로 이동되며, 제2 컨베이어벨트(55)는 회수 컨베이어벨트(미도시)로부터 수술도구를 전달받아, 하측으로 이동 완료된 리프트(51)로 전달한다.
이러한 제2 컨베이어벨트(55)를 통해 회수된 수술도구는 리프트(51)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되고, 제1 컨베이어벨트(52)를 따라 이동되면서 브러시(53)에 의해 재차 세척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세척부(50)는 초순수 저장부(80)에 저장되는 100 중량부의 초순수 중 80~95 중량부의 초순수를 이용하여 제1 세척부(3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세척하며, 남은 20~5 중량부의 초순수를 이용하여 리프트(51), 제1 컨베이어벨트(52), 브러시(53), 회전부재(54) 및 제2 컨베이어벨트(55)를 세척한다.
제2 세척부(60)는 로봇 세척부(5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여 세척하는 2차 세척을 1분 이상 수행한다. 이러한 제2 세척부(60)는 로봇 세척부(5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 초순수에 담지하기 위해 초순수 저장부(80)와 관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더 나아가, 제2 세척부(6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거나 제어부(140)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2차 세척할 수 있다.
제3 세척부(70)는 제2 세척부(6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며, 질소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3차 세척을 1분 이상 수행한다. 이러한 제3 세척부(70)는 제2 세척부(6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기 위해 초순수 저장부(80)와 관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질소를 이용하여 3차 세척을 수행하기 위해 질소 멤브레인부(90)와 관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더 나아가, 제3 세척부(7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거나 제어부(140)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3차 세척할 수 있다.
초순수 저장부(80)는 로봇 세척부(50), 제2 세척부(60) 및 제3 세척부(70)에 투입될 초순수가 저장된다. 이러한 초순수 저장부(80)는 로봇 세척부(50), 제2 세척부(60) 및 제3 세척부(70)와 관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초순수가 로봇 세척부(50), 제2 세척부(60) 및 제3 세척부(70)에 투입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초순수 저장부(8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거나 제어부(140)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초순수의 투입정도를 조절한다.
질소 멤브레인부(90)는 제3 세척부(70)에 투입될 질소가 저장된다. 이러한 질소 멤브레인부(90)는 제3 세척부(70)와 관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질소가 제3 세척부(70)에 투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질소 멤브레인부(90)는 컴프레셔(미도시)를 통해 생성한 압축공기로부터 기체의 분자 크기에 따른 통과속도(침투율) 차를 이용하여 질소(질소 가스)를 생성하는 멤브레인이 구비된다. 즉, 질소 멤브레인부(90)는 멤브레인을 통해 질소의 자체 생산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관리 시스템은 별도의 질소 생성장치가 구성되지 않아도 되어, 구성이 컴팩트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건조부(100)는 제3 세척부(7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건조하는 건조 과정을 1분 이상 수행한다. 더 나아가, 건조부(100)는 건조과정 동안에 제3 세척부(7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기설정된 건조 온도로 건조한다. 여기서, 건조 온도라 함은, 제3 세척부(7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건조하기 위한 온도이며, 일례로 50~100 ℃일 수 있다. 그리고 건조부(100)는 제3 세척부(7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건조하기 위해 건조공기를 분사하는 건조기(미도시)가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거나 제어부(140)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건조할 수 있다.
멸균소독부(110)는 건조부(100)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멸균소독하는 멸균소독 과정을 1분 이상 수행한다. 더 나아가, 멸균소독부(110)는 멸균소독 과정 동안에 건조부(100)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기설정된 멸균소독 온도로 건조한다. 여기서, 멸균소독 온도라 함은, 건조부(100)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멸균소독하기 위한 온도이고, 일례로 100~150 ℃일 수 있다. 그리고 멸균소독부(110)는 건조부(100)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멸균소독하기 위해 EO(Ethylene Oxide)가스 저장부(120)와 관 등의 연결부잴르 통해 연결된다. 또한, 멸균소독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거나 제어부(140)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멸균소독할 수 있다.
EO가스 저장부(120)는 멸균소독부(110)에 투입될 EO가스가 저장된다. 이러한 EO가스 저장부(120)는 멸균소독부(110)와 관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EO가스가 멸균소독부(110)에 투입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EO가스 저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거나 제어부(140)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EO가스의 투입정도를 조절한다.
한편, EO가스 저장부(120)는 EO가스가 아닌 고압가스(예: 수소, 산소, 질소 등)이 저장된 고압가스 저장부로 대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멸균소독부(110)는 EO가스 뿐만 아니라, 고압가스를 통해 건조부(100)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멸균소독할 수 있다.
컨베이어부(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어 기초 세척부(10), 제1 세척부(30), 로봇 세척부(50), 제2 세척부(60), 제3 세척부(70), 건조부(100) 및 멸균소독부(110) 중 적어도 하나로 수술도구를 이동시킨다.
제어부(140)는 기초 세척부(10), 세정액 저장부(20), 제1 세척부(30), 증류수 저장부(40), 로봇 세척부(50), 제2 세척부(60), 제3 세척부(70), 초순수 저장부(80), 질소 멤브레인부(90), 건조부(100), 멸균소독부(110), EO가스 저장부(120) 및 컨베이어부(130)의 작동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세척, 건조, 멸균소독의 진행시간과 세정액, 증류수, 초순수, 질소, EO가스의 투입정도를 제어한다.
감염관리 방법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방법(이하에서는 '감염관리 방법'이라 한다.)의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방법의 단계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기초 세척부(10)는 수술도구를 세정액에 담지하며, 세정액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세척한다(S10).
S10 단계 후, 제1 세척부(30)는 기초 세척부(10)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증류수에 담지하며,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1차 세척한다(S20).
S20 단계 후, 로봇 세척부(50)는 제1 세척부(30)에서 1차 세척된 수술도구에 초순수를 분사 또는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며, 수술도구를 브러시(53)를 이용하여 로봇 세척한다(S30).
S30 단계 후, 제2 세척부(60)는 로봇 세척부(50)에서 로봇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여 2차 세척한다(S40).
S40 단계 후, 제3 세척부(70)는 제2 세척부(60)에서 2차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하며, 질소를 이용하여 수술도구를 3차 세척한다(S50).
S50 단계 후, 건조부(100)는 제3 세척부(70)에서 3차 세척된 수술도구를 건조기(미도시)에 분사되는 건조공기를 통해 건조한다(S60).
S60 단계 후, 멸균소독부(110)는 건조부(100)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EO가스 저장부(120)에 저장된 EO가스를 이용하여 멸균소독한다(S70).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기초 세척부,
20: 세정액 저장부,
30: 제1 세척부,
40: 증류수 저장부,
50: 로봇 세척부,
51: 리프트,
52: 제1 컨베이어벨트,
53: 브러시,
54: 회전부재,
55: 제2 컨베이어벨트,
60: 제2 세척부,
70: 제3 세척부,
80: 초순수 저장부,
90: 질소 멤브레인부,
100: 건조부,
110: 멸균소독부,
120: EO가스 저장부,
130: 컨베이어부,
140: 제어부.

Claims (9)

  1. 수술도구를 세정액에 담지하며, 상기 세정액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세척하는 기초 세척부;
    상기 기초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증류수에 담지하며, 상기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1차 세척하는 제1 세척부;
    상기 제1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에 초순수를 분사 또는 상기 수술도구를 상기 초순수에 담지하며, 상기 수술도구를 브러시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로봇 세척부;
    상기 로봇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상기 초순수에 담지하여 2차 세척하는 제2 세척부;
    상기 제2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상기 초순수에 담지하며, 질소를 이용하여 상기 수술도구를 3차 세척하는 제3 세척부;
    상기 제3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건조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멸균소독하는 멸균소독부; 및
    상기 기초 세척부, 제1 세척부, 로봇 세척부, 제2 세척부, 제3 세척부, 건조부, 멸균소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 세척부는,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가 상부에 안착되는 리프트;
    상측으로 이동 완료된 상기 리프트로부터 상기 수술도구를 상하방향을 가로지르는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벨트;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술도구를 세척하는 상기 브러시;
    상기 브러시가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가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수술도구를 세척하도록 상기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브러시에 의한 세척이 미완료된 것으로 판단되어 회수되는 수술도구를 상기 일측방향과 대향되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하측으로 이동 완료된 상기 리프트로 전달하는 제2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세척부, 제2 세척부, 제3 세척부에 투입될 상기 초순수가 저장되는 초순수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세척부는,
    상기 초순수 저장부에 저장된 100 중량부의 초순수 중 80~95 중량부의 초순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세척하며,
    상기 100 중량부의 초순수 중 상기 80~95 중량부의 초순수를 제외하고 남은 20~5 중량부의 초순수를 이용하여 상기 브러시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세척부에 투입될 질소가 저장되는 질소 멤브레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멤브레인부는,
    기체의 분자 크기에 따른 통과속도 차를 이용하여 질소를 생성하는 멤브레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소독부는,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EO(Ethylene Oxide)가스로 멸균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초 세척부, 제1 세척부, 로봇 세척부, 제2 세척부, 제3 세척부, 건조부, 멸균소독부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수술도구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9. 기초 세척부가 수술도구를 세정액에 담지하며, 상기 세정액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세척하는 기초 세척 단계;
    제1 세척부가 상기 기초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증류수에 담지하며, 상기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1차 세척하는 1차 세척 단계;
    로봇 세척부가 상기 제1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에 초순수를 분사 또는 상기 수술도구를 상기 초순수에 담지하며, 상기 수술도구를 브러시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로봇 세척 단계;
    제2 세척부가 상기 로봇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상기 초순수에 담지하여 2차 세척하는 2차 세척 단계;
    제3 세척부가 상기 제2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상기 초순수에 담지하며, 질소를 이용하여 상기 수술도구를 3차 세척하는 3차 세척 단계;
    건조부가 상기 제3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를 건조하는 건조 단계; 및
    멸균소독부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수술도구를 멸균소독하는 멸균소독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 세척부는,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 세척부에서 세척된 수술도구가 상부에 안착되는 리프트;
    상측으로 이동 완료된 상기 리프트로부터 상기 수술도구를 상하방향을 가로지르는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벨트;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술도구를 세척하는 상기 브러시;
    상기 브러시가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가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수술도구를 세척하도록 상기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및
    제어부로부터 상기 브러시에 의한 세척이 미완료된 것으로 판단되어 회수되는 수술도구를 상기 일측방향과 대향되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하측으로 이동 완료된 상기 리프트로 전달하는 제2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방법.
KR1020190088056A 2019-07-22 2019-07-22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98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056A KR102298906B1 (ko) 2019-07-22 2019-07-22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056A KR102298906B1 (ko) 2019-07-22 2019-07-22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06A KR20210011106A (ko) 2021-02-01
KR102298906B1 true KR102298906B1 (ko) 2021-09-08

Family

ID=7457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056A KR102298906B1 (ko) 2019-07-22 2019-07-22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041B1 (ko) * 2021-07-29 2022-08-01 최상섭 분리형 치과용 핸드피스 및 그것의 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211B1 (ko) * 2000-03-08 2004-11-2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세정장치
KR100634668B1 (ko) * 2005-04-28 2006-10-1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착색단고추 열수세척장치
KR100920917B1 (ko) * 2009-06-08 2009-10-12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질소분리기를 이용한 저온 질소 플라즈마 소독방법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052B1 (ko) 2008-05-21 2010-12-22 박준혁 의료기기 소독용 고압 세척장치
KR101140185B1 (ko) * 2010-03-19 2012-05-02 (주)케이아이웍스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KR20180137744A (ko) * 2017-06-19 2018-12-28 이인호 기체방전을 이용한 의료기구 소독 및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211B1 (ko) * 2000-03-08 2004-11-2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세정장치
KR100634668B1 (ko) * 2005-04-28 2006-10-1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착색단고추 열수세척장치
KR100920917B1 (ko) * 2009-06-08 2009-10-12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질소분리기를 이용한 저온 질소 플라즈마 소독방법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06A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05531C (zh) 消毒物件的装置和方法
Morrison et al. Dental burs and endodontic files: are routine sterilization procedures effective?
KR101020518B1 (ko) 의료용 기구의 멸균 및 건조 장치
Rani Sterilization protocols in dentistry-A review
KR102298906B1 (ko)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6610251B1 (en) Method of sterilizing medical instruments
JP4469577B2 (ja) 治療器具の洗浄消毒方法
KR102048575B1 (ko) 의치살균세척기
KR102412756B1 (ko)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
Fulford et al. Decontamination of tried‐in orthodontic molar bands
CN105582562A (zh) 一种外用手术器械消毒方法
US7189350B2 (en) Method of sterilizing medical instruments
Savage et al. The use of autoclaves in the dental surgery
KR101140185B1 (ko)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KR20010111031A (ko) 의료용 기기, 특히 치과용 기기에 유체를 반송하는 도관의멸균 방법
Khan et al. INFECTION CONTROL IN ENDODONTIC CLINIC.
EP0866724A1 (en) A method for cleaining instruments within dental care and surgery
GB2500866A (en) Method for decontamination of medical instruments
JP3460977B2 (ja) ゴム部材を有する医療機器の消毒、滅菌方法と装置
Mulick Upgrading sterilization in the orthodontic practice
EP1062918B1 (en) Apparatus for cleaning dental equipment
CN208017614U (zh) 牙钻头护理清洗装置
Jain et al. Disinfection in prosthodontics
Pradhan et al. Importance of sterilization in endodontics
Craig KEEPING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