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756B1 -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756B1
KR102412756B1 KR1020200018159A KR20200018159A KR102412756B1 KR 102412756 B1 KR102412756 B1 KR 102412756B1 KR 1020200018159 A KR1020200018159 A KR 1020200018159A KR 20200018159 A KR20200018159 A KR 20200018159A KR 102412756 B1 KR102412756 B1 KR 10241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sponge brush
foreign material
cleaning
dental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3694A (ko
Inventor
김한나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75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기구를 살균 소독하면서 세척하는 장치로서, 상기 치과용 기구가 수용되어 청소 및 소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에 부착된 이물질을 마찰을 통해서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는, 상기 몸체의 설정된 위치에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며 설치되어 좌우왕복운동을 통해서 상기 치과용 기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DEVICES FOR CLEANING DENTAL INSTRUMENTS}
본 발명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치과용 기구를 세척하고 살균소독하는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과 동시에 세척이 가능한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삭제나 연마 등 치과진료과정에서 사용하는 핸드피스나 스케일러 기구와 같은 치과 의료기기에 이 물질이나 오염물질이 침투하게 되면, 다른 환자들에게 사용하기 전에 그 치과 의료기기를 소독 및 살균시켜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치과 의료기기에 침투된 오염물질을 소독 및 살균시키기 위해서는 장시간동안 오토클래이브(Autoclave)에 넣어 멸균하여야 한다. 치과진료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핸드피스를 장시간 멸균 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핸드피스를 다수개 구입하여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에 따른 핸드피스의 구입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경제적 부담을 주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핸드피스의 보유량을 다수 확보하지 못하는 실정으로, 대부분의 경우에는 시간이 짧은 간이 소독을 한 후에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간이소독의 경우에는, 오염물질이 수관과 공기관 터빈의 죽은 공간 등 핸드피스 내부의 공간에 잠재하기 때문에 이를 소독만으로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게 되며, 다른 환자에게 사용할 경우에 잠복하고 있는 오염물질이 에어로졸의 형태로 다른 환자에게 옮기게 되는 감염사례가 빈발하였다.
따라서, 환자마다 진료후 소독 및 살균하여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핸드피스에 침투된 오염물질을 멸균하기 위해서는 오토클래이브(Autoclave) 내에서 열로 장시간동안 노출시키게 된다. 이렇게 핸드피스를 장시간동안 열에 노출시키게 되면 심한 열충격으로 핸드피스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오토클래이브는 장비가 크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이 있고 장비의 가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환자를 치료한 후의 핸드피스를 매회 세척하지 않거나 알콤솜으로 겉표면만 소독하거나 자외선 소독을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소독 후에도 핸드피스에 남아 있는 이물질들로 인해 다음 환자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었고, 핸드피스 자체가 부식되거나 고장발생의 원인이 될 수도 있었다.
따라서, 치과 의료업계에서는 소독기능을 실행하기 전에 세척기능을 할 수 있는 기구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교차감염을 위해 시행되는 첫 번째 단계인 세척에서 균이나 이물질이 95%이상 제거되기 때문에 세척 및 기구 관리 과정은 중요하다. 따라서, 세척 및 멸균 후에도 치과용 기구에 남아 있는 이물질들로 인해 다음 환자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었고, 핸드피스 자체가 부식되거나 고장발생의 원인이 될 수도 있었다. 감염원은 완벽한 세척만으로 대부분 제거가 되고 세균의 아포를 완벽하게 멸균하기 위해서 고압증기 멸균기 등을 사용하게 된다. 즉, 멸균이나 소독 전에 미세하고 날카로운 기구의 완벽한 세척이 필수이다. 따라서, 치과 의료업계에서는 소독기능을 실행하기 전에 세척기능을 할 수 있는 기구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091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038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과에서 사용하는 치아의 치료를 위한 각종의 유니트의 거치와 동시에 직접세척이 가능한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날카롭고 작아서 세척이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 치과용 거울처럼 긁힘 손상에 취약한 기구를 세척의 방식으로는 내부에 미세한 스펀지를 구비하고 모터에 연결시켜서 회전력을 가하여 스펀지를 회전시키면서 세척하는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과 동시에 살균 소독을 동시에 수행하하는 기능이 구비된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날카롭고 작아서 세척이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 치과용 거울처럼 긁힘 손상에 취약한 치과용 기구를 살균 소독하면서 세척하는 장치로서, 상기 치과용 기구가 수용되어 청소 및 소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에 부착된 이물질을 마찰을 통해서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는, 상기 몸체의 설정된 위치에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며 설치되어 좌우왕복운동을 통해서 상기 치과용 기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의 세척 부위에 접촉되는 스펀지 솔; 상기 스펀지 솔의 일부분이 연결되어 상기 스펀지 솔을 진동시키는 스펀지 솔 구동기; 및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스펀지 솔 구동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펀지 솔 구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설정된 모양으로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를 수용하면서 고정시키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의 둘레를 에워싸면서 구비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의 스립을 방지하는 고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에 고압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체 분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치과에서 사용하는 치아의 치료를 위한 각종의 치과용 기구의 거치와 동시에 직접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척의 방식으로는 내부에 미세한 스펀지 솔을 구비하고 스펀지 솔 구동기에 연결시켜서 회전력을 가하여 스펀지 솔을 회전시키는 이물질 제거부재를 구비하여 치과용 기구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즉시 제거하여 치과용 기구의 세척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부재와 함께 별도의 살균부재와 유체 분사부재를 구비하여 살균용 약품이나 자외선 살균기를 통해서 치과용 기구의 살균 소독을 같이 동시에 수행하여 보다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치과용 기구 세척기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세척과 동시에 살균 소독을 동시에 수행하여 보다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인 치과용 기구의 이물질 제거 및 소독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세척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상기 세척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세척 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3은 상기 세척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기구를 살균 소독하면서 세척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은 몸체(100), 복수의 고정부재(200) 및 이물질 제거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치과용 기구(30)가 수용되어 청소 및 소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몸체(100)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치과용 기구(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고정대(210) 및 고무링(2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210)는 몸체(100)의 상부에서 설정된 모양으로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치과용 기구(30)를 수용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대(210)는 세척 장치(10) 몸체(100)의 상부에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치과용 기구를 수용하거나 클램프 방식으로 설치되어 치과용 기구(30)의 종류에 따라 입구가 조여지거나 벌어지면서 파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적외선 센서를 내장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다가오는 치과용 기구를 인지하여 자동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赤外線-)는 적외선을 이용해 온도, 압력, 방사선의 세기 등 물리량이나 화학량을 검지하여 신호처리가 가능한 전기량으로 변화시키는 장치로서, 대상물이 가지고 있는 적외광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치과용 기구(30)의 거리를 감지하고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 클램프 방식의 고정대(210)의 간격을 자동으로 제어하면서 거치할 수 있다.
고무링(220)은 고정대(210)의 둘레를 에워싸면서 구비되어 치과용 기구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척 장치(10)은 사용하지 않는 고정대(210)의 개구부를 차폐하여 세척 장치(10)의 오염을 방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재(300)는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치과용 기구(30)에 부착된 이물질을 마찰을 통해서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재(300)는 몸체(100)의 설정된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며 설치되어 상하좌우왕복운동을 통해서 치과용 기구(3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재(300)는 스펀지 솔(310), 스펀지 솔 구동기(320) 및 작동 버튼(3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펀지 솔(310)은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치과용 기구(30)의 세척 부위에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펀지 솔(310)은 복수의 치과용 기구의 오염 부위에 맞닿으면서 상하 죄우로 움직이면서 마찰하여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스펀지 솔(310)은 한 겹으로 구비되어 치과용 기구(30)의 오염된 부분을 세척하거나 두 겹으로 구비되고, 그 사이로 치과용 기구(30)의 오염된 부분을 에워싸면서 상하 좌우로 움직이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용 솔은 스펀지 이외에도 부직포나 합성섬유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도 있다. 또한, 스펀지 솔(310)은 컨베이어 벨트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는 벨트 구동기에 연결되어 벨트를 회전시키면서 스펀지 솔(310)로 치과용 기구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다.
스펀지 솔 구동기(320)는 스펀지 솔(310)의 일부분이 연결되어 스펀지 솔(310)을 진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펀지 솔 구동기(320)는 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스펀지 솔(3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펀지 솔(310)이 상하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스펀지 솔 구동기(320)(일 종의 모터)의 회전축에는 캠이 결합되며, 스펀지 솔(310)은 이 캠에 연결되어 진동된다. 캠(cam)은 회전운동, 왕복운동을 하는 특수한 윤곽이나 홈이 있는 판상장치로서, 이것을 원동체로 종동체에 왕복운동 또는 요동운동을 하게 한다. 캠은 그 윤곽 또는 홈이 평면곡선으로 나타나는 평면캠과 공간곡선으로 나타나는 입체캠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러한, 스펀지 솔(310)의 진동구조는 일반적인 캠의 구조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스펀지 솔(310)과 스펀지 솔 구동기(320)를 연결시키는 브라켓이 몸체(100)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스펀지 솔(310)을 스펀지 솔 구동기(320)에 분리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시켜서 마모되거나 오염된 스펀지 솔(310)을 교체해 가면서 세척 장치(10)를 항상 최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다. 스펀지 솔 구동기(320)는 양측에 한 쌍을 이루면서 설치될 수도 있다.
작동 버튼(330)은 몸체(100)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스펀지 솔 구동기(320)와 연결되어 스펀지 솔 구동기(3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척 장치(10)는 컨트롤러(400), 살균부재(500), 유체 분사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이물질 제거부재(300)에 연결되어 이물질 제거부재(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살균부재(500)는 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치과용 기구(3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살균은 자외선 램프를 이용해 공기청정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속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햇볕의 1,600배 정도의 살균력으로 공기 중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주기 때문에 독감, 신종플루 AI(조류독감) 예방이 가능하다. 자외선살균(ultraviolet sterilization)은 파장 253.7㎚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살균하는 것이다. 자외선은 2000∼3000Å의 파장을 가지는 것으로서, 특히 2600Å부근이 살균력이 강하며 보통 형광등의 형광제를 바른 부분(백색부분)을 2537Å의 자외선이 통과할 수 있는 특수 유리로 바꿔낀 것이 자외선 살균 등으로 자외선의 살균 효과는 자외선량(조도ㅧ시간)이나 세균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유체 분사부재(600)는 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치과용 기구(30)에 고압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분사부재(600)에 사용되는 유체로는 물이나 휘발성이 우수한 소독용 알콜 등일 수 있다.
또한, 살균부재(500), 유체 분사부재(600)는 컨트롤러(400)에 연결되어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세척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작동이 관리되거나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척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 등과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트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동된 컨트롤러(400)를 통해서 작동이 가능하다.
즉, 이용자는 세척 장치(10)를 블루투스 통신모듈, 와이파이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인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나 상기의 방식에만 국한하지 않고 최선의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척 장치(10)는 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이물질 제거부재(300)에 연결되어 컨트롤러(400)의 제어나 수동으로 이물질 제거부재(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치과용 기구(30)의 높이에 맞추는 높이조절기(610)와 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유체 분사부재(600)를 통해서 치과용 기구(30)를 세척 후 잔여 수분의 제거를 위해서 컨트롤러(400)의 제어나 별도의 작동 스위치를 통해서 열풍을 가하여 건조하는 건조기(62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세척 장치(10)는 몸체(100)의 내부나 외부에 별도의 살균조를 구비하여 상기와 같은 물리적인 세척뿐만 아니라 화약 약품이나 전기분해, 압전소자를 이용한 초음파로 진동을 가하여 치과용 기구(30)의 세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치과에서 사용하는 치아의 치료를 위한 각종의 치과용 기구(30)의 거치와 동시에 직접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척의 방식으로는 내부에 미세한 스펀지 솔(310)을 구비하고 스펀지 솔 구동기(320)에 연결시켜서 회전력을 가하여 스펀지 솔(310)을 회전시키는 이물질 제거부재(300)를 구비하여 치과용 기구(30)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즉시 제거하여 치과용 기구의 세척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부재(300)와 함께 별도의 살균부재(500)와 유체 분사부재(600)를 구비하여 살균용 약품이나 자외선 살균기를 통해서 치과용 기구(30)의 살균 소독을 같이 동시에 수행하여 보다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세척 장치
30 : 치과용 기구
100 : 몸체
200 : 고정부재
210 : 고정대
220 : 고무링
300 : 이물질 제거부재
310 : 스펀지 솔
320 : 스펀지 솔 구동기
330 : 작동 스위치
400 : 컨트롤러
500 : 살균부재
600 : 유체 분사부재
610 : 높이조절기
620 : 건조기

Claims (6)

  1. 치과용 기구를 살균 소독하는 세척 장치로서,
    상기 치과용 기구가 수용되어 청소 및 소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치과용 기구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부재;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에 부착된 이물질을 마찰을 통해서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는,
    상기 몸체의 설정된 위치에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며 설치되어 상하좌우왕복운동을 통해서 상기 치과용 기구에 부착된 이물질을 각각 제거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설정된 모양으로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를 수용하면서 고정시키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둘레를 에워싸면서 구비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의 슬립을 방지하는 고무링; 및
    상기 고정대의 개구부를 차폐하여 세척장치의 오염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의 세척 부위에 접촉되는 스펀지 솔;
    상기 스펀지 솔의 일부분이 연결되어 상기 스펀지 솔이 상하 좌우로 움직이도록 진동시키는 스펀지 솔 구동기;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스펀지 솔을 상기 스펀지 솔 구동기에 착탈식으로 연결시키는 브라켓; 및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스펀지 솔 구동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펀지 솔 구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버튼;을 포함하
    상기 스펀지 솔은,
    복수의 치과용 기구의 오염 부위에 맞닿으면서 상하 죄우로 움직이며 마찰에 의해 각각의 치과용 기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치과용 기구의 높이에 맞추는 높이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를 세척한 후 잔여 수분의 제거를 위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열풍을 가하여 건조하는 건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기구 세척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치과용 기구에 고압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체 분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기구 세척 장치.
KR1020200018159A 2020-02-14 2020-02-14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 KR10241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159A KR102412756B1 (ko) 2020-02-14 2020-02-14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159A KR102412756B1 (ko) 2020-02-14 2020-02-14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694A KR20210103694A (ko) 2021-08-24
KR102412756B1 true KR102412756B1 (ko) 2022-06-24

Family

ID=7750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159A KR102412756B1 (ko) 2020-02-14 2020-02-14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4052B (zh) * 2023-04-25 2023-11-21 中南大学 一种牙科医疗器械清洁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10Y1 (ko) * 2004-09-06 2004-12-23 주경원 치과의료기용 세척기구
CN208495177U (zh) * 2018-06-04 2019-02-15 唐琳 一种口腔科镊子清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139A (ko) * 2004-09-06 2006-03-09 주경원 치과의료기용 세척 및 소독 기구
KR101667189B1 (ko) 2013-05-29 2016-10-18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atp7b 유전자의 돌연변이 검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10Y1 (ko) * 2004-09-06 2004-12-23 주경원 치과의료기용 세척기구
CN208495177U (zh) * 2018-06-04 2019-02-15 唐琳 一种口腔科镊子清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694A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05531C (zh) 消毒物件的装置和方法
JP2016502432A (ja) 肌の光線治療装置
CN204798235U (zh) 一种伤口护理清洗台
KR20120061304A (ko) 칫솔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상태 점검 방법
KR100598417B1 (ko) 의료기구 살균세정장치
JP2021501615A (ja) 内視鏡の清浄および消毒用設備
KR102412756B1 (ko) 치과용 기구의 세척 장치
CN102188089A (zh) 具有清洗与消毒功能的隐形眼镜盒
JP2006280832A (ja) 歯科治療用インスツルメントの滅菌装置及びうがい水滅菌装置
KR100930512B1 (ko) 경성 내시경용 세정 소독기
CN212016237U (zh) 一种医疗口腔器械消毒装置
JP2017522093A (ja) 殺菌洗浄されるスピットン部及びこれを利用した歯科用ユニットチェア
CN117398211A (zh) 一种医疗口腔器械消毒分类装置
CN213407105U (zh) 一种犬猫诊疗器械用消毒装置
KR101512381B1 (ko)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살균소독기
CN104800869A (zh) 一种牙刷清洁器
CN114101152B (zh) 一种医疗口腔器械消毒装置
KR101140185B1 (ko) 의료기기용 살균장치
KR101118190B1 (ko) 치과용 핸드피스 살균장치
KR102298906B1 (ko) 초순수 및 질소를 이용한 수술도구의 감염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11100435U (zh) 一种口腔检查器具消毒装置
KR20120066508A (ko) 미세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TWM530118U (zh) 牙刷消毒裝置
CN201257162Y (zh) 小型物品用超声波臭氧清洗器
KR200356492Y1 (ko) 건조기가 부착된 초음파 진동자와 이산화티탄 광촉매를 이용한 의료 공구 및 재료 살균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