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471B1 -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471B1
KR101139471B1 KR1020090101417A KR20090101417A KR101139471B1 KR 101139471 B1 KR101139471 B1 KR 101139471B1 KR 1020090101417 A KR1020090101417 A KR 1020090101417A KR 20090101417 A KR20090101417 A KR 20090101417A KR 101139471 B1 KR101139471 B1 KR 10113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functional material
mold system
air conditioning
crystalline meso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634A (ko
Inventor
박만
최충렬
추환용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0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4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04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at least one organic template directing agent, e.g. an ioni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or an aminated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C12N11/14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inorganic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생물 적합성 무기 벡터(biocompatible inorganic vector)로서의 뛰어난 가능성을 가지는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은, 단독으로 사용시에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을 제조함에 있어서 주형을 형성하지 못하는 계면활성제와, 상기 계면활성제와 구조적 유사성이 없는 소수성 기능성 물질이 상호 의존적으로 공조 주형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규소원 물질이 결정성 메조다공성 실리카 물질을 형성하도록 유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조다공성 물질, OMMs, 계면활성제, 기능성 물질, 벤젠환 함유 화합물,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

Description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Preparing method of ordered mesoporous silica materials containing active materials by guest-cooperative templating system}
본 발명은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사용하는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생물 적합성 무기 벡터(biocompatible inorganic vector)로서의 뛰어난 가능성을 가지는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ordered mesoporous silica materials, 이하, 'OMMs'라고도 함)의 합성 및 조작(취급) 분야에서의 진보에 의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생물 적합성 무기 벡터(biocompatible inorganic vector)로서의 뛰어난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다.
이들은 큰 동공부피(pore volume)와 조정 가능한 불연속의 동공크기(pore size)를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이 통제된 방식에 따라 동공 내부에 도입 및 방출될 수 있다. 나아가, 이들의 결정 형태학과 표면 특성은 표적 물질 운반(target delivery)과 같은 고부가 정밀산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교하게 조작될 수 있다. 그러나 유용한 기능성 물질들을 어떻게 OMMs의 동공 내부에 효율적으로 도입할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존재하여 왔다.
종래에는 기능성 물질을 OMMs의 제조과정에서 도입하는 방법(동시 합성 도입법, as-synthesis loading method)과 OMMs를 합성한 다음에 후처리 공정으로 기능성 물질을 도입하는 방법의 2개의 일반적인 접근법이 기능성 물질들을 OMMs의 동공 내부에 도입하는 기법으로 활용되어 왔다.
유용한 기능성 물질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OMMs의 동공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계면활성제를 제거한 후, 기능성 물질을 도입하는 공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을 다량으로 도입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하여 후자가 더 선호되어 왔다.
반면에, 기능성 물질의 낮은 도입 용량과 도입되는 기능성 물질의 종류가 제한됨에도 불구하고, 공정의 간편성이나 비용의 효율성으로 인해, 전자의 동시 합성 도입법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을 활용하여 기능성 물질이 다량 도입된 OMMs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기능성 물질이 주형 계면활성제와 친화성이 있거나, 그 자체가 주형-계면활성제(templated-surfactant)로서 작용하여야 하는 조건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정이 간편하면서도 제조비용의 효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 물질의 도입 용량이 높고,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영향을 적게 받는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와 기능성 물질이 공존하는 반응조건에서만 OMMs의 합성이 이루어지는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은,
단독으로 사용시에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을 제조함에 있어서 주형을 형성하지 못하는 계면활성제와, 상기 계면활성제와 구조적 유사성이 없는 소수성 기능성 물질이 상호 의존적으로 공조 주형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규소원 물질이 결정성 메조다공성 실리카 물질을 형성하도록 유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은,
단독으로 사용시에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을 제조함에 있어서 주형을 형성하지 못하는 계면활성제와, 상기 계면활성제와 구조적 유사성이 없는 소수성 기능성 물질 및 규소원 물질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제조하여,
상기 계면활성제와 상기 기능성 물질이 형성한 상호 의존적 미셀 어셈블리가 공조 주형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규소원 물질이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을 형성하여, 그 동공 내에 상기 기능성 물질이 도입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본 발명의 구성들에 있어서는, 적당한 기능성 물질이 첨가되지 않고서는 OMMs를 제조함에 있어서 단독으로 주형을 형성하지 못하는 계면활성제들을 사용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기능성 물질과 공조 주형 시스템을 형성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헤드를 가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한 분자 내에 2개의 소수부와 2개의 친수부를 갖는 제미니형 계면활성제이다.
상기 친수성 헤드를 가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긴 에틸렌옥사이드 블록을 가진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주형이 되는 계면활성제와 상호 의존적 미셀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기능성 물질은, 상기 계면활성제와 구조적 유사성이 없는 소수성 물질로서, 분자구조 내에 벤젠환을 포함하는 천연 화합물, 예컨대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에센셜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천연 화합물로는, 유제놀(Eugenol), 시나믹 알데히드(cinamic aldehyde), 카테콜(cathecol), 트리핀네올(tripineol), 카르바크롤(carvacrol), 테르피네놀(terpineno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 중, 예컨대 유제놀과 같은 에센셜 오일은 그것의 형태나 크기와 같은 구조적인 특성이 친수성 헤드를 가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공조 주형물질로서 적합할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세균과 곤충에 대한 높은 활성을 가진다.
상술한 주형이 되는 계면활성제와 기능성 물질의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의 형성 원리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예컨대 상술한 부피가 큰 친수성 헤드를 가지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함께 소수성의 기능성 물질을 사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면,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친수성 헤드를 가지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협동 소수성 기능성 물질과 자가-조합(self-assembled)하는 미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미셀구조에서는 기능성 물질이 계면활성제의 불충분한 소수성 꼬리를 보상하여 미셀을 안정화하기 위해, 상당량의 기능성 물질이 OMMs 내부로 수용되어 상호 의존적 미셀 어셈블리를 형성하게 되어 OMMs 합성시의 주형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들에 있어서 사용되는 규소원 물질로는 실란(silane), 소듐 실리케이트(Na-silicate), 사염화규소(SiCl4)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활성제와 기능성 물질의 상호 의존적 미셀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guest-cooperative templating system)을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동시 합성 도입법(as-synthesis loading method)에서 문제로 남아있는 기능성 물질의 낮은 도입 용량 및 분자구조 형태에 있어서의 제한과 같은 주요 단점을 극복하였다.
큰 부피의 친수성 헤드를 가지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Brij 78 [(C18H37(O-CH2CH2)20OH)]과 소수성의 기능성 물질로서 유제놀(eugenol)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고성능의 TEM 및 SEM 이미지들이 규칙적인 육방정계의 메조다공성 물질(ordered hexagonal mesostructure)이 구형에 가까운 입자 형태로 결정화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유제놀 로딩 용량은 거의 10중량%까지 증가시킬 수 있었다. 또한 유제놀의 도입량이 증가할수록 메조다공성 물질 구조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OOMs의 제조방법은 기존의 동시 합성 도입법에 의한 기능성 물질의 낮은 도입 용량과 도입되는 기능성 물질의 제한과 같은 주요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된 OMMs로부터 기능성 물질의 유출성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된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은, 주형 게면활성제-기능성 물질의 다양한 조합으로 OMMs를 합성할 수 있으므로, 여러 산업분야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A: OMMs의 합성
테트라에틸-o-실리케이트[tetraethyl-orthosilicate(TEOS), Si(OC2H5)4 95%; Wacko]를 규소원으로 사용하고, Brij 78((C18H37(O-CH2CH2)20OH), Sigma)를 주형이 되는 계면활성제로, 그리고 벤젠환 함유 화합물인 유제놀(EUG; (4-(H2C=CHCH2)C6H3-2-(OCH3)OH 99%; Aldrich)을 기능성 물질 사용하였다.
모든 시약들은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유제놀을 OMM의 동공 내부로 도입하는 최적조건은, 정교한 예비실험에 근거하여, TEOS/ Brij 78/ H2O/ 유제놀: 1.00/0.13/258.37/0.15~0.59의 몰비로 시도되었다.
OMMs는 0.1 M 염산을 사용하여 위의 혼합물의 초기 pH를 4.0으로 조절한 후, 30(±1)℃에서 24시간 교반하여 합성하였다. 반응 후 고체를 여과하고, 증류수로 수세한 다음, 60℃에서 건조하였다.
B: 특성 분석
OMMs 주형의 제거
OMMs 동공 내부에 존재하는 주형 계면활성제와 기능성 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1g의 OMMs를 200㎖의 1M 염산-에탄올 용액으로 6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extracted-OMMs). 추출액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Sinco S-3100)를 이용하여 275㎚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OMMs에 도입되어 있는 유제놀 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OMMs를 600℃에서 6시간 동안 소성(calcination)하여 OMMs 동공 내부에 존재하는 주형 계면활성제와 기능성 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였다(calcined-OMMs).
위의 방법으로 OMMs 동공 내부가 제거된 extracted-OMMs와 calcined-OMMs의 결정성 변화를 X-선 회절분석기로 분석하였다.
특성 분석 방법
X-선 회절분석(XRD)은, Rigaku사의 D/Max 2500으로 Ni-filter와 CuKα라디에이션을 사용하여 파우더법으로 40㎸, 100㎃, 스캐닝 속도 1°/min의 조건으로 1.0~10.0°의 범위를 측정하였다.
질소 흡?탈착 등온선은 OMMs를 423K에서 6시간 동안 가스를 미리 제거한 후, Quantachrome사의 NOVA 12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OMMs의 동공 크기 분포는 질소 흡착 등온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은 시료의 표면을 백금으로 도금한 후, Hitachi사의 S-4200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은, 가속 전압 200 kV로 작동되는 Philips CM200을 사용하여, 탄소 그리드상에 지지된 입자의 얇은 가장자리로부터 얻었다.
생성된 OMMs의 특성 분석 결과
종래의 방법에 의할 경우, 비이온성 PEO(polyethylene oxide)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실리카의 수용성 등전점(pH ~2)인 강산성 조건에서 OMMs의 형성이 특징적으로 촉진되었다. 특히, Brij 78과 같이 긴 EO 블록을 가지는 PEO 계면활성제들은 매우 낮은 계면활성제 농도(< 2 중량%)하에서만 입방체 메조다공성 실리카를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2 중량%보다 높으면 실리카의 침전이 일어나지 않거나 실리카겔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도 2는 의존적 공조 물질인 유제놀의 존재하에서는, 고농도(> 3 중량%)의 Brij 78과 pH 4.0의 조건에서도 결정성이 높은 메조다공성 물질이 합성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유제놀이 없을 때에는 보고된 것과 같이 무정형 물질이 형성되었다. 고해상도의 TEM 및 SEM 사진을 보면, 매우 규칙적인 육방정계의 메조구조가 구형에 가까운 입자형태로 결정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제놀이 OMMs의 형성에서 의존적 공조 주형 물질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준다(도 2).
XRD패턴(도 3), 질소 흡착 및 탈착 등온선(도 4) 및 SEM 사진(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초기 혼합물에 있어서의 유제놀의 농도가 메조구조와 결정 형태 모두에 있어서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제놀은 초기 혼합물에서 유제놀/Si의 몰비가 최대 0.44까지는 균일하게 혼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상분리가 관찰되었다.
유제놀/Si 몰비 0.15에서 합성된 생성물은 그 XRD 패턴에서 일정한 수준의 100 피크가 나타났다. 그러나 N2 등온선에서는 H4형의 히스테리시스 루프(loop)가 나타났는데, 이는 무정형 실리카 불순물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그 형태상, 매우 미세한 입자의 불규칙한 표면형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XRD 패턴(도 3)에서 나타나듯이, 몰비 0.29에서 0.44의 범위에서는 001 peak에서의 d-spacing의 중요한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유제놀/Si 몰비 0.15를 제외한 모든 생성물에서는, 전형적인 OMMs의 잘 특성화된 모세관 응축 단계의 Ⅳ형 커브가 잘 나타났다(도 4). 그러나, 유제놀/Si 몰비 0.44 이하에서 생성된 OMMs는 히스테리시스 루프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제놀/Si 몰비 0.44 이상에서 생성된 OMMs는 N2 등온선에서 동공 크기(pore size)의 불균일성을 시사하는 H2형 히스테리시스 루프가 나타났으며, 결정 형태에서도 또한 동일한 양상이 관찰되었다(도 5). 이러한 결과들은 유제놀/Si 몰비 0.44 부근에서 미셀 어셈블리에 현저한 변화가 일어남을 강하게 시사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제놀/Si 몰비 0.15~0.29범위에서는 OMMs의 평균 동공 크기가 29.0 ㎚로서 비슷하였으나, 0.29~0.44에서는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기에 유제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OMMs 동공 크기의 변화는 없지만 동공 내부에서 유제놀의 패킹 밀도(packing density)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유제놀/Si 비율이 0.29~0.44에서 동공 크기의 증가는, 도 1에 제시된 것과 같은 미셀 어셈블리 내에서의 유제놀 배열이 변화된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OMMs에 함유된 유제놀 함량은 유제놀/Si 몰비와 비례하였으며, OMMs의 결정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가운데 도입할 수 있는 유제놀 함량은 10중량%로, 기존의 동시 합성 도입법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다만 주형 계면활성제와 기능성 물질을 변경하면서 다양하게 조합된 OMMs의 제조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PEO 계면활성제인 Brij 56(C16H33(O-CH2CH2)10OH), Sigma)과 Brij 78((C18H37(O-CH2CH2)20OH), Sigma)을 사용하고, 기능성 물질로서 벤젠환을 함유하며 천연 식품항균제로 사용되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유제놀과 조류기피제로 사용되는 시나믹 알데히드(cinamic aldehyde)를 각각 사용하여, 상술한 실시예 1의 공조 주형 시스템에 의해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반응생성물을 X-선 회절분석한 결과, 도 7에서와 같이 결정성이 우수한 OMMs가 합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rij 56-유제놀과 Brij 78-유제놀 공조 주형 조합으로 합성된 OMMs의 d-spacing은 각각 51.3Å 및 57.3Å 이었으며, Brij 56-시나믹 알데히드와 Brij 78-시나믹 알데히드 공조 주형 조합으로 합성된 OMMs의 d-spacing은 각각 54.5Å 및 59.7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주형 계면활성제로 활용된 Brij 56(C16EO10)과 Brij 78(C18EO20)의 친수성 헤드와 소수성 꼬리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합성된 OMMs의 d-spacing 뿐만 아니라 동공 크기가 변화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Brij 56보다는 Brij 78을 사용하여 합성한 OMMs의 d-spacing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Brij 56과 Brij 78 주형 계면활성제로 하여 Brij 56-유제놀과 Brij 78- 유제놀 공조 주형 시스템으로 합성할 때에, OMMs에 도입되는 유제놀의 함량은 각각 5.5중량%와 10중량%로서 Brij 78 조합에서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즉, 계면활성제-기능성 물질의 조합에 따라 합성되는 OMMs의 결정성과 기능성 물질의 도입량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에서 제안된 공조 주형 시스템은 주형 계면활성제로서 다양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벤젠환 함유 화합물을 OMMs에 효과적으로 도일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에 의한 OMMs의 합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실시예 1의 유제놀/Si 몰비 2.2에서 합성된 OMMs의 전자현미경 사진 및 X-선 회절분석패턴.
도 3은 다양한 유제놀/Si 몰비율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OMMs의 X선 회절분석 패턴.
도 4는 다양한 유제놀/Si 몰비율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OMMs의 N2-흡?탈착 등온선.
도 5는 다양한 유제놀/Si 몰비율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OMMs의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사진.
도 6은 다양한 유제놀/Si 몰비율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OMMs의 유제놀 함량 및 평균 공극 크기의 변화 그래프.
도 7은 다양한 주형 계면활성제-기능성 물질 조합에 따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OMMs의 X선 회절분석 패턴.

Claims (8)

  1. 단독으로 사용시에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을 제조함에 있어서 주형을 형성하지 못하는 계면활성제와, 상기 계면활성제와 구조적 유사성이 없는 소수성 기능성 물질이 상호 의존적으로 공조 주형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규소원 물질이 결정성 메조다공성 실리카 물질을 형성하도록 유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2. 단독으로 사용시에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을 제조함에 있어서 주형을 형성하지 못하는 계면활성제와, 상기 계면활성제와 구조적 유사성이 없는 소수성 기능성 물질 및 규소원 물질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제조하여,
    상기 계면활성제와 상기 기능성 물질이 형성한 상호 의존적 미셀 어셈블리가 공조 주형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규소원 물질이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을 형성하여, 그 동공 내에 상기 기능성 물질이 도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헤드를 가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제미니형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헤드를 가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긴 에틸렌옥사이드 블록을 가진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분자 구조내에 벤젠환을 포함하는 천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에센셜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천연 화합물은 유제놀(Eugenol), 시나믹 알데히드(cinamic aldehyde), 카테콜(cathecol), 트리핀네올(tripineol), 카르바크롤(carvacrol), 테르피네놀(terpinenol)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규소원 물질은 실란(silane), 소듐 실리 케이트(Na-silicate), 사염화규소(SiCl4)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KR1020090101417A 2009-10-23 2009-10-23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KR10113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417A KR101139471B1 (ko) 2009-10-23 2009-10-23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417A KR101139471B1 (ko) 2009-10-23 2009-10-23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634A KR20110044634A (ko) 2011-04-29
KR101139471B1 true KR101139471B1 (ko) 2012-04-30

Family

ID=4404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417A KR101139471B1 (ko) 2009-10-23 2009-10-23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4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016A (ko) * 1997-09-09 1999-04-06 박원훈 중형기공성거대실리카물질의제조방법및제조된중형기공성거대실리카물질
US6913825B2 (en) 2001-09-20 2005-07-05 University Of Notre Dame Du Lac Process for making mesoporous silicate nanoparticle coatings and hollow mesoporous silica nano-shells
EP2078696A1 (en) 2006-10-31 2009-07-15 Kao Corporation Mesoporous silica partic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016A (ko) * 1997-09-09 1999-04-06 박원훈 중형기공성거대실리카물질의제조방법및제조된중형기공성거대실리카물질
US6913825B2 (en) 2001-09-20 2005-07-05 University Of Notre Dame Du Lac Process for making mesoporous silicate nanoparticle coatings and hollow mesoporous silica nano-shells
EP2078696A1 (en) 2006-10-31 2009-07-15 Kao Corporation Mesoporous silica p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634A (ko) 201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lange et al. Synthesis strategies leading to surfactant-assisted aluminas with controlled mesoporosity in aqueous media
Bagshaw et al. Templating of mesoporous molecular sieves by nonionic polyethylene oxide surfactants
Sánchez-Hernández et al. One-step synthesis of NaP1, SOD and ANA from a hazardous aluminum solid waste
EP2181069B1 (en) A method for synthesising porous silica microparticles
JP4714931B2 (ja) 非晶質アルミニウムケイ酸塩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た非晶質アルミニウムケイ酸塩、並びにそれを用いた吸着剤
Di Renzo et al. Textural control of micelle-templated mesoporous silicates: the effects of co-surfactants and alkalinity
Chen et al. Synthesis of monodispersed mesoporous silica spheres (MMSSs) with controlled particle size using gemini surfactant
US20160176720A1 (en) Hierarchically porous zeolites
JP2004143026A (ja) 球状シリカ多孔質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Na et al. Cyclic diquaternary ammoniums for nanocrystalline BEA, MTW and MFI zeolites with intercrystalline mesoporosity
JPH0925108A (ja) 花弁状多孔質ヒドロキシアパタイト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12948A (ja) 薄板状もしくは繊維状の有機無機多孔質シリカ粒子とその製造方法
KR101444939B1 (ko) 단상 GIS-NaP1 제올라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9001447A (ja) シリカ多孔質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利用
JP4099811B2 (ja) 定形多孔質シリカ乃至シリカ金属複合体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0158759B1 (ko) 중기공성 구조를 갖는 결정화합물의 제조방법
CN106975440A (zh) 一种高吸附量的氟离子吸附剂及其制备方法
KR101139471B1 (ko) 의존적 공조 주형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결정성 메조다공성 물질의 제조방법
JP2007204293A (ja) 多孔質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00919B1 (ko) 제올라이트 골격을 갖는 메조포러스 물질의 제조방법
Li et al. Facile template-free fabrication of novel flower-like γ-Al 2 O 3 nanostructures and their enhanced Pb (ii) removal application in water
Xia et al. Manipulation of the phase structure of vinyl-functionalized phenylene bridging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
JP7204043B2 (ja) 新規構造及びかせ状モルフォロジーを有するアルミノシリケート構造体、これ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固定相で充填したhplcカラム
JP7141980B2 (ja) 連結メソポーラスシリカ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35122A (ko) 다양한 기공 구조적 특성을 가지는 구형의 다공성 실리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