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358B1 - 수납식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납식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358B1
KR101139358B1 KR1020050081564A KR20050081564A KR101139358B1 KR 101139358 B1 KR101139358 B1 KR 101139358B1 KR 1020050081564 A KR1020050081564 A KR 1020050081564A KR 20050081564 A KR20050081564 A KR 20050081564A KR 101139358 B1 KR101139358 B1 KR 101139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lens
radially
lens grou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955A (ko
Inventor
카즈노리 이시즈카
토시하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직진 이동 링; 상기 직진 이동 링에 지지된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 인접하여 상기 직진 이동 링에 지지된 노출 제어 유닛;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가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에 대향하도록 상기 노출 제어 유닛에 형성된 오목부; 상기 직진 이동 링이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후퇴할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시키고,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오목부에 진입시키는 반경방향 퇴피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수납식 렌즈 시스템, 직진 이동 링, 노출 제어 유닛, 오목부, 반경방향 퇴피 구동 장치, 지지 프레임, 고정 부재

Description

수납식 렌즈 시스템{RETRACTABLE LENS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줌 렌즈의 일 실시 형태의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각각이 와이드단 및 텔레단에 있는 줌 렌즈의 광축에서의 상반부 및 하반부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줌 렌즈의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수납 상태에 있는 줌 렌즈의 상반부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드단에 있는 줌 렌즈의 제 2 렌즈 그룹과 제 3 렌즈 그룹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 부분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납 상태에서, 제 2 렌즈 그룹과 제 3 렌즈 그룹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 부분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줌 렌즈의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CCD 홀더, 고정 링 및 AF 렌즈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줌 렌즈의 제 1 직진 안내 링, 헬리코이드 링 및 제 3 외부 배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줌 렌즈의 캠 링, 제 2 직진 안내 링,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 및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다른 쪽에서 본, 도 8에 도시된 캠 링, 제 2 직진 안내 링, 제 2 렌 즈 그룹 이동 프레임 및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 2 렌즈 그룹과 제 3 렌즈 그룹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제 1 렌즈 그룹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제 1 직진 안내 링의 전개도;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헬리코이드 링과 제 3 외부 배럴의 전개도;
도 14는 줌 렌즈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캠 링에 고정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 제 1 직진 안내 링, 헬리코이드 링 및 제 3 외부 배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15는 도 14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 3 외부 배럴이 줌 렌즈의 수납 상태로부터 약간 전진된 상태에 있어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 제 1 직진 안내 링, 헬리코이드 링 및 제 3 외부 배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16은 도 14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 1 직진 안내 링이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5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 1 직진 안내 링이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헬리코이드 링과 제 3 외부 배럴의 일부분의 전개도로서, 헬리코이드 링의 결합 오목부와 제 3 외부 배럴의 결합 돌기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헬리코이드 링의 결합 오목부와 제 3 외부 배럴의 결합 돌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캠 링의 전개도;
도 21은 CCD 홀더의 위치 제어 캠 바 부근에서의 CCD 홀더의 일부분의 사시도;
도 22는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줌 렌즈의 촬영대기 상태에 있어서 캠 링,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 및 제 3 렌즈 프레임(반경방향 퇴피 렌즈 프레임)의 사시도;
도 23은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줌 렌즈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캠 링,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 및 제 3 렌즈 프레임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줌 렌즈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캠 링,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 제 3 렌즈 프레임 및 AF 렌즈 프레임의 사시도;
도 25는 도 24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이 반경방향으로 퇴피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제 3 렌즈 프레임이 촬영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도 22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캠 링,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 및 제 3 렌즈 프레임의 배면도;
도 27은 제 3 렌즈 프레임이 그것의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도 23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캠 링,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 및 제 3 렌즈 프레임의 배면도;
도 28은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제 3 렌즈 프레임의 사시도; 그리고
도 29는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제 3 렌즈 프레임의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각도와 다른 각도로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보았을 때 제 3 렌즈 프레임의 사시도;
도 31은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보았을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줌 렌즈의 셔터 유닛의 사시도;
도 32는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보았을 때 셔터 유닛의 사시도;
도 33은 완전 수납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위치에서의 제 3 렌즈 프레임, 셔터 유닛 및 CCD 홀더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4는 수납식 줌 렌즈의 수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 3 렌즈 프레임, 셔터 유닛 및 CCD 홀더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수납식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광축상의 촬영 위치와 이 광축으로부터 편심된 반경방향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한국 특허출원 제2003-10621호에서,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 수납식 줌 렌즈의 길이에 있어 현저한 단축을 성취할 수 있게 해주는 수납식 줌 렌즈의 렌즈 배럴 수납 기구를 제안했다. 이 줌 렌즈 배럴 수납 기구는, "Optio S"의 상표로 판매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편입되었다.
상기 한국 특허출원 제2003-10621호에 개시된 수납식 줌 렌즈의 주요한 특징 은, 수납 상태에서의 수납식 줌 렌즈의 길이를 보다 단축하는 것을 성취하기 위해, 수납식 줌 렌즈가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 줌 렌즈 광학 시스템의 광학 요소(상기 특허에 개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렌즈 그룹)가 줌 렌즈 광학 시스템의 공통 광축으로부터 광축 외측의 다른 위치로 반경방향으로 퇴피되고, 반경방향으로 퇴피된 광학 요소와, 줌 렌즈 광학 시스템의 나머지 광학 요소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광학 요소가 광축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수납식 줌 렌즈에서는, 반경방향으로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예컨대, 렌즈 그룹)는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직진 가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반경방향으로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는 광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광축상의 촬영 위치와 반경방향으로 퇴피된 위치(편심 위치) 즉 광축으로부터의 편심된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이 직진 가동 프레임은 회전 구동 부재의 토크(회전력)에 의해 광축 방향의 수납 위치와 주밍 영역내의 촬영대기 위치 사이에서 직진 이동된다. 이 회전 구동 부재의 토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가능 부재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렌즈 그룹을 각각 지지하는, 직진 가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가동 렌즈 프레임이 그들 각각의 수납 위치로부터 주밍 영역내의 그들의 촬영대기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이 수납식 줌 렌즈는 고정 캠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고정 캠 부재는, 직진 가동 프레임이 수납 위치로부터 주밍 영역내의 촬영대기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고정 캠 부재에 대한 직진 가동 프레임의 광축 방향의 이동력에 의해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촬영 위치와 반경방향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이 공지된 수납식 줌 렌즈에서는,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어서의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와 다른 광학 요소 사이의 광축 방향 간격이 최소화되어 수납 상태에서의 줌 렌즈의 길이를 단축시키고 있다. 하지만, 그 후의 연구에 의해 여전히 수납 상태에서의 줌 렌즈의 길이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단축의 여지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수납 위치로 수납될 때, 촬영 광학 시스템의 광학 요소가 촬영 광학 시스템의 공통 광축상의 위치로부터 광축 외측의 다른 위치로 반경방향으로 퇴피되고, 반경방향으로 퇴피된 광학 요소가 촬영 위치로부터 광축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으로서, 수납 위치로 수납될 때 수납식 렌즈 시스템의 길이에 있어서의 더 한층의 단축을 성취할 수 있게 해주는 구조를 가진 수납식 렌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촬영 광학 시스템의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고,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촬영대기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변화할 때 후퇴하는 직진 이동 링; 상기 광축상의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광축 외측의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반경방향 퇴피 가능하도록 상기 직진 이동 링에 지지된 상기 촬영 광학 시스템의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 노출 제어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직진 이동 링에 지지된 노출 제어 유닛;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가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에 대향하도록 상기 노출 제어 유닛에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직진 이동 링이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후퇴할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을 따라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시키고,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오목부에 진입시키는 반경방향 퇴피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는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진 이동 링이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로 후퇴할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이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후방에 위치된 고정 부재에 접촉하여 더 이상의 후방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이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에 접근하여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일부를 상기 오목부에 진입시킨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직진 이동 링에 상기 광축과 평행하게 고정된 피벗을 중심으로 상기 촬영대기 위치와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피벗을 따라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 구동 장치는,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직진 이동 링의 상기 광축 방향 이동력을 상기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캠 면을 가지고 있는 고정 캠 바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후방에 위치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노 출 제어 유닛의 상기 오목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고정 부재의 전방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적어도 후단부가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오목부내에 수납된다.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은 상기 노출 제어 요소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의 상기 오목부가 있는 측과 같은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의 측의 면에,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이동 궤적과 겹쳐지지 않도록 위치되어 있다.
상기 노출 제어 요소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위치를 다르게 하여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블레이드와 적어도 하나의 셔터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조리개 블레이드보다는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의 전후면 중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더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광학 시스템은 줌 렌즈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촬영 광학 시스템의 최전방 광학 요소와 최후방 광학 요소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는 상기 촬영 광학 시스템의 복수의 가동 렌즈 그룹들 중 하나의 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촬상 소자를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내에 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상 소자는 상기 고정 부재에 장착된다.
상기 직진 이동 링 둘레에 위치되고, 회전될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촬영 광학 시스템의 복수의 광학 요소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 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 형태로,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고,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촬영대기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변화할 때 후퇴하는 직진 이동 링; 상기 광축상의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광축 외측의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반경방향 퇴피 가능하도록 상기 직진 이동 링에 지지된 렌즈 그룹; 셔터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렌즈 그룹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직진 이동 링에 지지된 노출 제어 유닛; 상기 렌즈 그룹 후방에 위치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직진 이동 링이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후퇴할 때, 상기 직진 이동 링과의 상대 이동으로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렌즈 그룹을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을 따라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시키는 반경방향 퇴피 구동 부재; 및 상기 렌즈 그룹이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렌즈 그룹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의 후면과 상기 고정 부재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 오목부 및 후방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는 카메라의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직진 이동 링이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로 후퇴할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된 상기 렌즈 그룹과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이 후방 이동하여 서로 접근하게 되어, 상기 렌즈 그룹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각각 상기 전방 오목부와 상기 후방 오목부에 진입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수납 위치로 수납될 때, 촬영 광학 시스템의 일부의 광학 요소가 촬영 광학 시스템의 공통 광축상의 위치로부터 광축 외측의 다른 위치로 반경방향으로 퇴피되고, 이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가 촬영 위치로부터 광축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수납 위치에 있어서의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와 노출 제어 유닛 사이의 광축 방향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위치로 수납되었을 때 수납식 렌즈 시스템의 길이에 있어서의 보다 더 한층의 단축화가 성취된다.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줌 렌즈의 일 실시 형태를 다른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줌 렌즈(10)의 촬영 광학 시스템의 광축으로부터의 줌 렌즈(10)의 상반부는 와이드단에서의 줌 렌즈(1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의 줌 렌즈(10)의 촬영 광학 시스템의 광축으로부터의 줌 렌즈(10)의 하반부는 텔레단에서의 줌 렌즈(1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수납 위치(완전히 수납된 위치)에서의 줌 렌즈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줌 렌즈(10)는 디지털 카메라(카메라 보디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편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렌즈(10)의 촬영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줌 렌즈(10)의 촬영 광학 시스템은,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노출 제어 요소(S), 제 3 렌즈 그룹(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 LG3), 제 4 렌즈 그룹(LG4), 로 패스 필터(광 필터; 11) 및 CCD 촬상 센서(고체 촬상 소자; 12)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제 3 렌즈 그룹(LG3)이 촬영 광축(Z1)을 따라 소정의 이동 방식으로 구동되어, 주밍 동작을 실행하는 한편, 제 4 렌즈 그룹(LG4)이 촬영 광축(Z1)을 따라 구동되어 포커싱 작동을 실행한다. 이하의 설명 중에서 "광축 방향"이라는 용어는, 특별히 언급이 없다면 촬영 광축(Z1)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 5는, 줌 렌즈(10)의 구성 요소의 분해도이고, 도 6 내지 도 11은, 이러한 구성 요소의 확대도이다. 줌 렌즈(10)는 카메라 보디(도시하지 않음)내에 편입되어 있고, 이 카메라 보디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 배럴(1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 배럴(13)의 후방부에 CCD 홀더(반경방향 퇴피 구동 장치/고정 부재; 14)가 고정되어 있다. CCD 홀더(14)의 중앙부에는 CCD 촬상 센서(12)가 장착되어 CCD 베이스 플레이트(15)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로 패스 필터(11)가 CCD 홀더(14)에 의해 유지되어 CCD 촬상 센서(12)의 전방부에 위치되어 있다. 로 패스 필터(11)와 CCD 촬상 센서(12)의 사이는 환형 밀봉 부재(16)가 설치되어 그 사이의 틈을 밀봉한다.
줌 렌즈(10)는 고정 배럴(13)내에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함이 없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AF 렌즈 그룹(제 4 렌즈 그룹(LG4)을 지지하고 유지하는 제 4 렌즈 프레임; 17)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줌 렌즈(10)는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AF 렌즈 프레임(17)을 회전시킴이 없이 광축 방향으로 AF 렌즈 프레임(17)을 안내하기 위해 촬영 광축(Z1)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한 쌍의 AF 가이드 축(18A, 18B)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 배럴(13)과 CCD 홀더(14)에 한 쌍의 AF 가이드 축(18A, 18B)의 각 가이드 축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AF 렌즈 프레임(17)은 그 반경방향 양측에 한 쌍의 AF 가이드 축(18A, 18B)이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 구멍(가이드 홈)을 구비하여, AF 렌즈 프레임(17)은 한 쌍의 AF 가이드 축(18A, 18B)상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한 쌍의 AF 가이드 축(18A, 18B)을 지지하는 고정 배럴(13)과 CCD 홀더(14)의 부분은 고정 배럴(13)의 외경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따라서 AF 가이드 축(18A, 18B)은 고정 배럴(13)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줌 렌즈(10)는 내부에 고정 배럴(13)에 고정된 AF 모터(19)를 구비하고 있다. AF 렌즈 프레임(17)은 AF 모터(19)의 구동력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진퇴될 수 있다. AF 모터(19)의 회전 드라이브 샤프트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이송 나사 샤프트(회전 유도 나사)로서 기능하고, 이 회전 드라이브 샤프트는 AF 너트(20)(도 6 참조)상에 형성된 암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결합하고 있다. AF 렌즈 프레임(17)은 AF 너트(2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인장 코일 스프링(가압 부재; 21)에 의해 광축 방향 전방으로 가압되고 있고, AF 렌즈 프레임(17)의 전방 이동단은 광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AF 너트(20)의 표면과 AF 렌즈 프레임(17)의 표면 사이의 맞닿음에 의해 결정된다. AF 모터(19)의 회전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에 의한 광축 방향의 AF 너트(20)의 후방 이동은 AF 렌즈 프레임(17)가 AF 너트(2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인장 코일 스프링(2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런 구조에 의해, AF 모터(19)의 회전 드라이브 샤프트를 회전시키면, AF 렌즈 프레임(17)이 광축 방향으로 진퇴된다.
줌 렌즈(10)는 촬영 광축(Z1)과 평행한 줌 기어 축(22a)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배럴(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줌 기어(22)를 구비하고 있다. 줌 기어 축(22a)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각각 고정 배럴(13) 및 CCD 홀더(14)에 고정되어 있다. 줌 기어(22)는 그것의 기어 치형부가 고정 배럴(13)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 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위치되어 있고, 줌 모터(23)(도 5에 직사각형 라벨로 개념적으로 나타냄)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배럴(13)은 그 내주면에 암 헬리코이드(13a),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13b),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 및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을 구비하고 있다. 암 헬리코이드(13a)의 나사산은 광축 방향 및 고정 배럴(13)의 원주 방향 모두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뻗어 있다.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13b)은 광축 방향(Z1)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은 암 헬리코이드(13a)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3개 한 세트의회전 가이드 홈(13d)은 각각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의 전단부와 연통하도록 고정 배럴(13)의 원주를 따라 뻗어 있도록 고정 배럴(13)의 내주면의 전단부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암 헬리코이드(13a)는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 바로 뒤에 위치하는 고정 배럴(13)의 내주면의 특정 전방 영역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각각의 3개 한 세트의 상기 홈(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13b),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 및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에 관해서는, 각각의 세트의 홈이 고정 렌즈 배럴(13)의 내주면상에 원주 방향 위치를 달리하여 배열되어 있는 3개의 홈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도 6에서는 3개 홈들 중 일부만이 보여지고 있다.
줌 렌즈(10)는 고정 배럴(13)의 내측에 헬리코이드 링(25)을 구비하고 있다. 헬리코이드 링(25)은 그것의 외주면상에 수 헬리코이드(25a)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를 구비하고 있다. 수 헬리코이드(25a)는 암 헬리코이드(13a)와 결합하고,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는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 또는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 내에 각각 결합된다. 헬리코이드 링(25)은 수 헬리코이드(25a) 나사산부에 줌 기어(22)와 맞물리는 환형상 기어(25c)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줌 기어(22)의 회전이 환형상 기어(25c)에 전달되었을 때, 헬리코이드 링(25)은, 수 헬리코이드(25a)가 암 헬리코이드(13a)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소정의 범위내에서는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진퇴한다. 헬리코이드 링(25)의 전방 이동이 고정 배럴(13)에 대해 소정의 지점을 넘으면, 수 헬리코이드(25a)가 암 헬리코이드(13a)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헬리코이드 링(25)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의 결합에 의해 고정 배럴(13)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이 없이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만 한다. 암 헬리코이드(13a)가 수 헬리코이드(25a)와 결합 관계에 있는 상태에서는,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는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 내에 각각 위치되고, 따라서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와 암 헬리코이드(13a)는 서로 간섭하진 않는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줌 렌즈(10)는 3개의 외부 텔레스코핑 배럴: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 1 외부 배럴(37), 제 2 외부 배럴(34) 및 제 3 외부 배럴(26)을 가진 텔레스코픽 타입이다. 헬리코이드 링(25)은 제 3 외부 배럴(26)과 함께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헬리코이드 링(25)은 그것의 내주면상의 3개소의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3개의 회전 전달 오목부(결합 오목부; 25d)를 구비하고 있 고, 3개의 회전 전달 오목부(25d)의 전단부는 헬리코이드 링(25)의 전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제 3 외부 배럴(26)은 대응하는 3개소의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3개의 회전 전달 돌기(결합 돌기; 26a)를 구비하고 있고, 이 3개의 회전 전달 돌기(26a)는 전방으로부터 3개의 회전 전달 오목부(25d)내로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제 3 외부 배럴(26)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도 13 참조). 3개의 회전 전달 돌기(26a)와 3개이 회전 전달 오목부(25d)는 촬영 광축(Z1)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다. 즉,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일체로 회전한다. 헬리코이드 링(25)은, 그것의 3개소의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서 3개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의 전방면에 3개 한 세트의 결합 오목부(25e)를 구비하고 있고, 이 3개 한 세트의 결합 오목부(25e)는 헬리코이드 링(25)의 전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도록 헬리코이드 링(25)의 내주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외부 배럴(26)은, 대응하는 3개소의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3개 한 세트의 결합 돌기(26b)를 구비하고 있고, 이 3개 한 세트의 결합 돌기(26b)는, 전방으로부터 3개 한 세트의 결합 오목부(25e)내로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제 3 외부 배럴(26)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3개 한 세트의 결합 오목부(25e)내로 각각 결합되는 3개 한 세트의 결합 돌기(26b)는 또한 회전 가이드 돌기(25b)가 3개의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에 결합할 때 동시에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내에 결합된다.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압축 코일 스프링(도시 안함)에 의해 광축 방향에 있어 서로로부터 이간하는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은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사이에 압축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외부 배럴(26)의 3개 한 세트의 결합 돌기(26b)는 각각 압축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회전 가이드 홈(13d)의 전방 안내 면에 대해 가압된다. 이와 동시에, 헬리코이드 링(25)의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가 각각 압축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회전 가이드 홈(13d)의 후방 안내 면에 대해 가압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외부 배럴(26)은 그것의 내주면에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3개 한 세트의 회전 전달 홈(26c)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회전 전달 홈(26c)의 전단부는 제 3 외부 배럴(26)의 전단부에서 폐쇄되어 있고, 각각의 회전 전달 홈(26c)의 후단부는 제 3 외부 배럴(26)의 후단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 3개의 회전 전달 홈(26c)의 원주 방향 위치는 각각 3개의 회전 전달 돌기(26a)의 원주 방향 위치에 대응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 전달 돌기(26a)는 장 돌기부(26a1)와, 광축 방향 후방으로의 돌출량이 장 돌기부(26a1)보다 작은 단 돌기부(26a2)로 이루어지고, 회전 전달 홈(26c)의 후단 개구부는 장 돌기부(26a1)와 단 돌기부(26a2)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따라서 제 3 외부 배럴(26)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장 돌기부(26a1)의 표면과 단 돌기부(26a2)의 표면이 회전 전달 홈(26c)의 일부(후단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헬리코이드 링(25)은 그것의 내주면에, 3개의 회전 전달 오목부(25d) 와 각각 연통하는 3개 한 세트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을 구비하고 있다. 이 3개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은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각각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의 일단부(도 13에서 보았을 때 좌측 단부)가 회전 전달 오목부(25d)와 연통하고 있고, 각각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의 타단부(도 13에서 보았을 때 우측 단부)가 폐단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을 서로 조합시킨 상태에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이 회전 전달 홈(26c)의 후단 개구부(도 19에서 보았을 때 장 돌기부(26a1)의 우측 면)에 연통하여, 이 상대 회전 허용 홈(25f)과 회전 전달 홈(26c)이 함께 L자 모양의 홈부를 형성한다.
줌 렌즈(10)는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내측에 제 1 직진 안내 링(30)을 구비하고 있다. 헬리코이드 링(25)은 그것의 내주면에,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주 방향 홈(25g)을 구비하고, 제 3 외부 배럴(26)은 그것의 후단부와 전단부 근처의 내주면에,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각각 뻗어 있는 후방 원주 방향 홈(26d) 및 전방 원주 방향 홈(26e)을 구비하고 있다(도 7 참조).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직진 안내 링(30)은 그것의 외주면에, 광축 방향의 후방으로부터 차례로 제 1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a), 제 2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b), 및 제 3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c)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a), 제 2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b), 및 제 3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c)는 각각 원주 방향 홈(25g), 후방 원주 방향 홈(6d), 및 전 방 원주 방향 홈(26e)내에 결합된다. 이 결합에 의해,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동시에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도록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의해 지지된다. 또, 제 1 직진 안내 링(30)을 통해,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광축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완전히 분할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직진 안내 링(30)은 그것의 후단부 부근의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돌기(30d)를 구비하고 있다. 이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돌기(30d)와 고정 배럴(13)의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13b)의 결합에 의해, 제 1 직진 안내 링(30)은 회전하는 일 없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된다.
제 1 직진 안내 링(30)은 그것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관통 홈; 30e)을 구비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관통 슬롯(30e)은,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원주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주 방향 슬롯부(30e-1), 이 원주 방향 슬롯부(30e-1)의 일단부(도 12에서 보았을 때 우측 단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뻗어 있는 제 1 리드 슬롯부(30e-2), 및 제 1 리드 슬롯부(30e-2)의 일단부(도 12에서 보았을 때 우측 단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뻗어 있는 제 2 리드 슬롯부(30e-3)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원주 방향에 대한 제 1 리드 슬롯부(30e-2)의 경사각은 제 1 직진 안래 링(30)의 원주 방향에 대한 제 2 리드 슬롯부(30e-3)의 경사각보다 크다. 줌 렌즈(10)는, 전방부가 제 1 외부 배럴(37)내에 끼워지는 캠 링(31)을 구비하고 있다. 캠 링(31)의 외주면의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고정된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가 각각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내에 끼워져 있다. 이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는 또한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을 관통하여 3개 한 세트의 회전 전달 홈(26c)(또는 3개 한 세트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내에 끼워져 있다.
고정 배럴(13)로부터 캠 링(31)까지의 줌 렌즈(10)의 가동 요소의 전진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줌 모터(23)에 의해 줌 기어(22)를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암 헬리코이드(13a)와 수 헬리코이드(25a)의 관계에 의해 헬리코이드 링(25)이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 제 1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a)와 원주 방향 홈(25g)의 결합, 제 2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b)와 후방 원주 방향 홈(26d), 및 제 3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c)와 전방 원주 방향 홈(26e)의 결합으로 인해, 제 3 외부 배럴(26)와 제 1 직진 안내 링(30) 사이 및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1 직진 안내 링(30) 사이의 각각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고, 공통 회전 축(즉, 촬영 광축(Z1))의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각각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헬리코이드 링(25)의 이 회전은 제 3 외부 배럴(26)이 헬리코이드헬리코이드 링(25)과 함께 회전하면서 헬리코이드 링(25)과 함께 전진하게 하고, 또한 제 1 직진 안내 링(30)이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과 함께 전방으로 직진 이동하게 한다.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에서는,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는 각각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원주 방향 슬 롯부(30e-1)내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3개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의 폐쇄 단부(32-K1; 도 19 참조)내에 결합되어 있다. 도 l4와 도 16은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16에서는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의 동작을 도면에서 보기 쉽게 하기 위해, 관통 슬롯(30e)만을 남겨 두고 제 1 직진 안내 링(30)을 지우고 있다. 또, 도 14 및 도 16에서는, 제 1 직진 안내 링(30)(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은, 본래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하측(반경방향 내측)에 숨겨져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지만, 도면 중에서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이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전진될 때,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전진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가 각각 상대 회전 허용 홈(25f)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회전은 캠 링(31)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는, 그것들과 3개 한 세트의관통 슬롯(30e)의 원주 방향 슬롯부(30e-1)의 개별적인 결합 관계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는 헬리코이드 링(25), 제 3 외부 배럴(26) 및 제 1 직진 안내 링(30)과 함께 이동된다. 따라서,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로부터의 줌 렌즈(10)의 전진 동작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캠 링(31)은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 15 및 도 17은,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로부터 약 3O도 회전한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롤러 종동자(32)가 상대 회전 허용 홈(25f)과 회전 전달 홈(26c)의 교차부(32-K2; 도 19 참조)에 결합되어 있어,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회전이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의 좌측 단부에서 회전 전달 홈(26c)의 측면(도 19에서 보았을 때 좌측 면)에 의해 롤러 종동자(32)로 전달될 수 있다.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이 회전하면서 더 전진 이동하면, 각각의 롤러 종동자(32)가 원주 방향 슬롯부(30e-1)로부터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로 도 15 및 도 17에서 보았을 때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각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는 관통 슬롯(30e)의 원주 방향 슬롯부(30e-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전단부(도 15에서 보았을 때 상단부)에 접근하도록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원주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해당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내에서의 각각의 롤러 종동자(32)의 전방 이동은, 롤러 종동자(32)가 상대 회전 허용 홈(25f)으로부터 분리되어 회전 전달 홈(26c)내에 결합되게 한다(즉, 롤러 종동자(32)가 상대 회전 허용 홈(25f)으로부터 회전 전달 홈(26c)으로 진입된다).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가 3개 한 세트의 회전 전달 홈(26c)내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 3 외부 배럴(26)이 회전할 때에는 항상, 3개 한 세트의 회전 전달 홈(26c)과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이 결합을 통해, 제 3 외부 배럴(26)의 토크(회전력)이 캠 링(31)에 전달된다. 그때,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캠 링(31)은 회전하면서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의 형상에 따라 전방으로 전진한다. 이때, 각각의 롤러 종동자(32)는, 회전 전달 홈(26c)으로부터 토크를 전달받으면서 이 회전 전달 홈(26c)내에서 광축 방향 전방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직진 안내 링(30) 자체도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과 함께 전방으로 직진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캠 링(31)은, 제 1 직진 안내 링(30)(및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전방으로의 직진 이동분과, 3개 한 세트의 롤로 종동자(32)와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의 결합을 통한 캠 링(31)의 전진 이동분의 합산 이동량만큼 광축 방향으로 전진 이동한다.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상술한 회전 전진 동작은 암 헬리코이드(13a)와 수 헬리코이드(25a)가 서로 나사결합하고 있을 때에만 행해진다. 이때,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는 각각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내에서 이동하고 있다. 헬리코이드 링(25)이 소정 이동량만큼 전진되면, 암 헬리코이드(13a)와 수 헬리코이드(25a)가 서로로부터 결합해제되어,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가 각각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으로부터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로 이동한다. 암 헬리코이드(13a)와 수 헬리코이드(25a)의 결합해제시에는 회전하더라도, 헬리코이드 링(25)이 고정 배럴(13)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의 미끄럼이동 결합관계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이 없이 광축 방향 일정 위치에서 회전하게 된다.
또,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가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으로부터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내로 미끄럼이동한 시점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는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으로부터 제 2 리드 슬롯부(30e-3)내로 들어간다. 각각의 관통 슬롯부(30e)의 제 2 리드 슬롯부(30e-3)는, 제 1 리드 슬롯부(30e-2)로부터 멀어지고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전단부(도 15에서 보았을 때 상단부)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을 광축 방향 정위치에서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더 회전 시키면, 각각의 롤러 종동자(32)가 관통 슬롯(30e)의 제 2 리드 슬롯부(30e-3)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캠 링(31)은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회전하면서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2 리드 슬롯부(30e-3)의 형상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와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결합과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와 3개 한 세트의 회전 전달 홈(26c)의 결합에 의해, 토크를 캠 링(31)에 전달하는 회전 구동 부재로서 기능한다.
줌 기어(22)를 줌 모터(23)를 통해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면, 줌 렌즈(10)의 상기 가동 요소들은 고정 배럴(13)로부터 캠 링(31)으로 이상의 전진 동작과 반대로 동작하게 된다. 이 반대의 동작으로, 광축 방향 정위치에서 회전하는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은, 암 헬리코이드(13a)와 수 헬리코이드(25a)가 서로 결합한 후,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한다. 제 1 직진 안내 링(30)은, 항상 회전하는 일 없이,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에 추종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직진 이동한다.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가 각각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 또는 제 2 리드 슬롯부(30e-3) 내에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캠 링(31)은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의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회전에 의해, 헬리코이드 링(25), 제 3 외부 배럴(26) 및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광축 방향 후방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때, 각각의 롤러 종동자(32)는, 동일한 회전 전달 홈(26c)으로부터 토크를 전달받으면서, 이 회전 전달 홈(26c)내에서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로부터 원주 방향 슬롯부(30e-1)내로 이동한 때에, 각각의 롤러 종동자(32)는 회전 전달 홈(26c)의 후단 개구부로부터 벗어나 상대 회전 허용 홈(25f)내에 결합된다. 이 시점에서,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회전이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로 전달되는 것이 중지되고, 그에 따라 캠 링(31)은, 회전하는 일 없이, 헬리코이드 링(25), 제 3 외부 배럴(26) 및 제 1 직진 안내 링(30)과 함께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된다. 각각의 롤러 종동자(32)는 상대 회전 허용 홈(25f)내에서 이동하고, 줌 렌즈(10)는, 각각의 롤러 종동자(32)가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의 폐쇄 단부(도 13에서 보았을 때 우측 단부)에 도달한 때에 수납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캠 링(31)의 반경방향 내부의 줌 렌즈(10)의 구조를 아래에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직진 안내 링(30)은 그것의 내주면에,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형성된 3쌍 한 세트의 제 1 직진 안내 홈(30f) 및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형성된 6개 한 세트의 제 2 직진 안내 홈(30g)을 구비하고 있다. 각 쌍의 제 1 직진 안내 홈(30f)은 각각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원주 방향에서 제 2 직진 안내 홈(30g)의 양측에 위치되어 있다(제 2 직진 안내 홈(30g)마다). 줌 렌즈(10)는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내부에 제 2 직진 안내 링(33)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직진 안내 링(33)은 그것의 외측 가장자리에 제 2 직진 안내 링(33)의 링부(33b)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3개 한 세트의 분기형 돌기(33a)(도 8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분기형 돌기(33a)는 그것이 반경방향 외단부에 대응하는 쌍의 제 1 직진 안내 홈(30f)내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반경방향 돌기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 2 외부 배럴(34)의 외주면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6개 한 세트의 반경방향 돌기(34a)(도 11 참조)가 6개 한 세트의 제 2 직진 안내 홈(30g)내에 그것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직진 안내 링(33)과 제 2 외부 배럴(34)의 6개 한 세트의 반경방향 돌기(34a) 각각은 제 1 직진 안내 링(30)을 통해 광축 방향으로 안내되고 있다. 줌 렌즈(10)는 캠 링(31)의 내부에 제 2 렌즈 그룹(LG2)을 간접적으로 지지하고 유지하는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외부 배럴(37)은 제 1 렌즈 그룹(LG1)을 간접적으로 지지하고, 제 2 외부 배럴(34)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줌 렌즈(10)는 캠 링(31)의 반경방향 내부에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직진 이동 링; 36)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직진 안내 링(33)은, 제 2 렌즈 그룹(LG2)을 지지하는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과, 제 3 렌즈 그룹(LG3)을 지지하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을 양자 모두 회전시키는 일 없이 직진 안내하기 위한 직진 안내 부재로서 기능하는 한편, 제 2 외부 배럴(34)의 6개 한 세트의 반경방향 돌기(34a)는 제 1 외부 배럴(37)을 회전시키는 일 없이 직진 안내하기 위한 직진 안내 부재로서 기 능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직진 안내 링(33)은 링부(33b)상에 링부(33b)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키(33c)를 구비하고 있다. 링부(33b)의 불연속한 외측 가장자리부는, 캠 링(31)의 후단부 내주면에 형성한 불연속한 원주 방향 홈(31a)내에, 캠 링(31)에 대해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은 가능하고 광축 방향의 캠 링(31)에 대한 상대 이동은 불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키(33c)는 링부(33b)로부터 캠 링(31)내로 돌출하고 있다.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은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키(33c)가 각각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대응하는 3개 한 세트의 안내 홈(35a)을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은 또한 촬영 광축(Z1)상에 중심을 가지는 링부(35b)와, 이 링부(35b)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으로 돌출하는 3개 한 세트의 후방 돌출편(35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3개 한 세트의 후방 돌출편(35c)상의 각각에 상기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35a)이 형성되어 있다. 3개 한 세트의 후방 돌출편(35c)은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의 원주 방향으로 대략 등각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후방 돌출편(35c)은 각각,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외주면상에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형성된 대응하는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부(36a)내에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36a)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촬영 광축(Z1)상에 중심을 가지는 링부(36b)와, 이 링부(36b)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링부(36b)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 출한 6개 한 세트의 복수의 전방 돌출편(36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부(36a) 각각은 링부(36b)의 외주면(직진 안내 홈부(36a)의 저면)과 링부(36b)의 외주면의 원주방향 양측의 인접한 2개의 전방 돌출편(36c)의 측면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사이의 이 결합 구조에 의해,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이 제 2 직진 안내 링(33)에 의해서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고,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된다.
도 8, 도 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링(31)은 그것의 내주면에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과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은 3개 한 세트의 후방 돌출편(35c)의 외주면에, 캠 링(31)의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내에 각각 결합된 3개 한 세트의 후방 캠 종동자(CF2)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6개 전방 돌출편(36c) 중 3개의 외주면에, 캠 링(31)의 3개 한 세트의전방 내측 캠 홈(CG3)내에 각각 결합되는 3개 한 세트의 전방 캠 종동자(CF3)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의 4세트의 홈 또는 종동자, 즉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 3개 한 세트의 전방 캠 종동자(CF3) 및 3개 한 세트의 후방 캠 종동자(CF2)는 각각,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대략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 각각은 제 2 직진 안내 링(33)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고 있기 때문에, 캠 링(31)의 회전은,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과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의 궤적에 따라,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하게 한다.
줌 렌즈(10)는 제 2 렌즈 그룹(LG2)을 지지하는 제 2 렌즈 프레임(40)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렌즈 프레임(40)은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의 링부(35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도 10 참조). 제 2 렌즈 프레임(40)은, 그것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수 나사(조정 나사)와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암 나사(조정 나사)의 결합에 의해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의 링부(35b)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렌즈 프레임(40)의 수 나사와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의 암 나사는 각각 촬영 광축(Z1)상에 그것들의 중심을 가지고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렌즈 프레임(40)의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에 대한 광축 방향 상대 위치가 제 2 렌즈 프레임(40)을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줌 렌즈(10)는 제 2 및 제 3 렌즈 그룹(LG2, LG3) 사이에 노출 제어 요소(S)를 포함하고 있는 셔터 유닛(노출 제어 유닛; 41)을 구비하고 있다. 셔터 유닛(41)은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어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에 의해 지지된다. 도 1 및 도 2의 단면도에서는 셔터 유닛(41)에 의해 지지되는 노출 제어 요소(S)는 간략화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노출 제어 요소(S)는 광축 방향으로 한 세트의 조리개 블레이드(S1)와 이 한 세트의 조리개 블레이드(S1) 후방에 위치하는 한 세트의 셔터 블레이드(S2)로 구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유닛(41)은, 피사체 광속이 통과하는 원형의 촬영 개구(41a)를 구비하고 있다. 셔터 유닛(41)은, 촬영 개구(41a)의 중심이 촬영 광축(Z1)과 일치하도록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에 고정되어 있다. 한 세트의 조리개 블레이드(S1)와 한 세트의 셔터 블레이드(S2)는 촬영 광축(Z1)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촬영 개구(41a) 내외로 이동 가능하도록 셔터 유닛(4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셔터 유닛(41)는, 한 세트의 조리개 블레이드(S1)와 한 세트의 셔터 블레이드(S2)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전방 액추에이터 및 후방 액추에이터; 41b 및 41c)와 함께 유닛화되어 있다.
줌 렌즈(10)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내측에, 제 3 렌즈 그룹(LG3)을 셔터 유닛(4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지지하고 유지하는 제 3 렌즈 프레임(반경방향 퇴피 구동 장치/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42)을 구비하고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은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에 고정되는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피벗된다. 피벗 샤프트(44)는 촬영 광축(Z1)으로부터 일정 거리 편심되어 위치되어 있고,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은,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하여,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이 촬영 광축(Z1)과 일치하는 도 1, 도 22 및 도 26에 도시된 촬영 위치와,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이 도 2 및 도 27에 도시된 반경방향으로 퇴피한 광축(Z2)에 위치하는 도 2, 도 23, 도 24, 도 25 및 도 27에 도시된 반경방향 퇴피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에는, 제 3 렌즈 프레임(42)이 그것의 촬영 위치를 결정하는 소정 지점을 넘어 도 26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규제 핀(정지 핀; 46)이 설치되어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은 토션 코일 스프링(47)에 의해 회전 규제 핀(46)과 접촉하게 되는 방향(도 26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48)은 제 3 렌즈 프레임(42)을 광축 방향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피벗 샤프트(44)상에 끼워져 있고, 제 3 렌즈 프레임(42)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 사이의 백래시를 제거한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은 광축 방향으로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과 함께 이동한다. 도 6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D 홀더(14)는, 그것의 전방면에, 제 3 렌즈 프레임(42)에 결합 가능하도록 CCD 홀더(1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 제어 캠 바(반경방향 퇴피 구동 장치/고정 캠 바/반경방향 퇴피 구동 부재; 49)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수납 방향으로 후방 이동하여 CCD 홀더(14)에 접근하면, 위치 제어 캠 바(49)의 전단면에 형성된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 도 21 참조)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특정 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제 3 렌즈 프레임(42)을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회전시킨다. 위치 제어 캠 바(49)는 또한 그것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으로부터 촬영 광축(Z1)과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으로 뻗어 있는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 제어 캠 바(49)로 수행되는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퇴피 동작은 이후에 상술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부 배럴(34)은 그것의 내주면에,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형성된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34b)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외부 배럴(37)은 그것의 후단부 외주면에,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34b)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하고 있는 3개 한 세트의 결합 돌기(37a)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외부 배럴(37)은, 제 1 직진 안내 링(30)과 제 2 외부 배럴(34)을 통해 회전하는 일 없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고 있다. 제 2 외부 배럴(34)은 그것의 후단부 부근의 내주면에, 원주를 따라 뻗어 있는 불연속한 내측 플랜지(34c)를 구비하고 있다. 캠 링(31)은 그것의 외주면에, 내측 플랜지(34c)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불연속한 원주 방향 홈(31b)을 구비하고 있어, 캠 링(30)이 제 2 외부 배럴(34)에 대해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 2 외부 배럴(34)은 캠 링(31)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즉, 제 2 외부 배럴(34)은 광축 방향으로 캠 링(31)과 함께 이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 1 외부 배럴(37)은 그것의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3개 한 세트의 캠 종동자(CF1)를 구비하고 있고, 캠 링(31)은 그것의 외주면에, 3개 한 세트의 3개 한 세트의 캠 종동자(CF1)가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3개 한 세트의 외측 캠 홈(CG1)을 구비하고 있다.
줌 렌즈(10)는 제 1 외부 배럴(37) 내부에, 제 1 렌즈 그룹 조정 링(50)을 통해 제 1 외부 배럴(3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 1 렌즈 프레임(51)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렌즈 그룹(LG1)은 제 1 렌즈 프레임(51)에 의해 고정되어 유지된다. 제 1 렌즈 프레임(51)은 그것의 외주면에, 부분 수 나사(51a)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렌즈 그룹 조정 링(50)은 그것의 내주면에, 수 나사(51a)와 결합되는 부분 암 나사(50a)를 구비하고 있다(도 11 참조). 제 1 렌즈 프레임(51)의 제 1 렌즈 그룹 조정 링(50)에 대한 광축 방향 상대 위치는 부분 수 나사(51a)와 부분 암 나사(50a)를 통해 줌 렌즈(10)의 조립시에 조정될 수 있다.
줌 렌즈(10)는 제 1 외부 배럴(37)의 전단부에, 카메라가 사용 중이지 않을 때, 얼룩지거나 흠집이 생기는 것으로부터 줌 렌즈(10)의 촬영 광학 시스템의 최전방 렌즈 요소, 즉 제 1 렌즈 그룹(LG1)을 보호하기 위해, 줌 렌즈(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되었을 때, 줌 렌즈(10)이 전단부 개구를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렌즈 배리어 기구(54)(도 5)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배리어 기구(54)는 복수의 배리어 블레이드(전방 한 쌍의 배리어 블레이드 및 후방 한 쌍의 배리어 블레이드; 54a)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배리어 기구(54)는 복수의 배리어 블레이드(54a)가 도 2에 도시된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에서는 제 1 렌즈 그룹(LG1)의 전방에서 완전히 닫혀지고, 도 1에 도시된 줌 렌즈(10)의 촬영대기 상태에서는 완전히 열리도록 동작한다.
이상의 구조를 가진 줌 렌즈(10)의 렌즈 배럴 전진 동작 및 렌즈 배럴 수납 동작을 아래에 설명한다. 줌 렌즈(10)가 수납 상태에 있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줌 모터(23)에 의해 줌 기어(22)를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결합체가 수 헬리코이드(25a)와 암 헬리코이드(13a)의 결합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방 이동하게 되고, 또한 제 1 직진 안내 링(30)이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과 함께 전방으로 직진 이동하게 된다. 이때, 최초에는 캠 링(31)은 회전하지 않고 헬리코이드 링(25), 제 3 외부 배럴(26) 및 제 1 직진 안내 링(3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만 하고, 약 3O도의 각도만큼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결합체의 상술한 회전에 의해 회전한 후에, 제 3 외부 배럴(26)로부터 토크가 캠 링(31)에 전달되어,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와 롤러 종동자(32)의 결합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이 소정 위치까지 전진된 직후에, 헬리코이드 링(25)의 수 헬리코이드(25a)와 고정 배럴(13)의 암 헬리코이드(13a)가 서로로부터 결합 해제되어,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의 미끄럼 이동 가능한 결합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 없이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이 광축 방향 전진 이동을 정지한 시점(즉, 3개 한 세트의 회전가이드 돌기(25b)가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로부터 각각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내로 미끄럼 이동하여 들어가는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가 각각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로부터 제 2 리드 슬롯부(30e-3) 내로 들어가서, 캠 링(31)은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계속해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캠 링(31)이 회전하면, 캠 링(31)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 2 직진 안내 링(33) 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하는 일 없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각각, 전방 캠 종동자(CF3) 세트와 전방 내측 캠 홈(CG3) 세트의 결합과, 후방 캠 종동자(CF2) 세트와 후방 내측 캠 홈(CG2) 세트의 결합에 의하여, 소정의 궤적으로 캠 링(31)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줌 렌즈(10)가 수납 상태에 있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내에 구비된 제 3 렌즈 프레임(42)은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위치 제어 캠 바(49)에 의해 촬영 광축(Z1) 위쪽의 반경방향 수납 위치에 유지되어 있어,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은 촬영 광축(Z1)으로부터 이 촬영 광축(Z1) 위쪽에 위치되는 반경방향 퇴피 광축(Z2)로 이동된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도 1, 도 22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위치로부터 줌 영역내의 위치까지 이동되는 도중에, 제 3 렌즈 프레임(42)은, 위치 제어 캠 바(49)로부터 분리되어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부터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이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촬영 광축(Z1)과 일치되는 도 1, 도 22 및 도 26에 도시된 촬영 위치로 회전한다. 이후, 줌 렌즈(10)가 도 2에 도시된 위치로 수납될 때까지, 제 3 렌즈 프레임(42)은 촬영 위치에 유지된다.
또, 캠 링(31)이 회전하면, 이 캠 링(31)의 둘레에 위치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일 없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제 1 외부 배럴(37)이, 3개 한 세트의 외측 캠 홈(CG1)과 3개 한 세트의 캠 종동자(CF1)의 각각의 결합 관계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캠 링(31)에 대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제 1 렌즈 그룹(LG1)이 수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 때 촬상면(CCD 촬상 센서(12)의 수광면)에 대한 제 1 렌즈 그룹(LG1)의 축방향의 위치는 고정 배럴(13)에 대한 캠 링(31)의 전방 이동량과 이 캠 링(31)에 대한 제 1 외부 배럴(37)의 이동량의 합산치에 의해 결정되고, 제 2 렌즈 그룹(LG2)이 수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 때 촬상면에 대한 제 2 렌즈 그룹(LG2)의 축방향의 위치는 고정 배럴(13)에 대한 캠 링(31)의 전방 이동량과 이 캠 링(31)에 대한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의 이동량의 합산치에 의해 결정되고, 제 3 렌즈 그룹(LG3)이 수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 때 촬상면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LG3)의 축방향의 위치는 고정 배럴(13)에 대한 캠 링(31)의 전방 이동량과 이 캠 링(31)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이동량의 합산치에 의해 결정된다. 주밍(줌 동작)은 상기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및 제 3 렌즈 그룹(LG3)이 서로의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촬영 광축(Z1) 상에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수납 위치로부터 줌 렌즈(10)가 전진하도록 구동되면, 먼저 줌 렌즈(10)는, 줌 렌즈(10)가 와이드단에 세팅되어 있는, 도 1의 촬영 광축(Z1)으로부터의 줌 렌즈(10)의 상반부에 도시된 위치로 전진 이동한다. 계속하여, 줌 모터(23)를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줌 렌즈(10)가 텔레단에 세팅되어 있는, 도 1의 촬영 광축(Z1)으로부터의 줌 렌즈(10)의 하반부에 도시된 위치로 전진 이동한다. 도 1에 도시된 줌 렌즈(10)의 이러한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줌 렌즈(10)가 와이드단에 세팅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렌즈 그룹(LG1)과 제 2 렌즈 그룹(LG2)의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되고, 제 2 렌즈 그룹(LG2)과 제 3 렌즈 그 룹(LG3)의 사이의 간격이 크다. 줌 렌즈(10)가 텔레단에 세팅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렌즈 그룹(LG1)과 제 2 렌즈 그룹(LG2)의 사이의 간격이 커지고, 제 2 렌즈 그룹(LG2)과 제 3 렌즈 그룹(LG3)의 간격이 작아진다. 줌 작동을 위한 이와 같은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및 제 3 렌즈 그룹(LG3) 사이의 간격의 변화는, 3개 한 세트의 외측 캠 홈(CG1),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 및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의 궤적에 의해 이루어진다. 텔레단과 와이드단 사이의 줌 영역에서는,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이 광축 방향으로는 이동하는 일 없이 회전만 한다. 한편, 동일한 줌 영역에 있어서, 캠 링(31)은,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와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2 리드 슬롯부(30e-3)의 결합 관계로 인해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진퇴한다.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및 제 3 렌즈 그룹(LG3)이 줌 영역에 있을 때에는, 피사체 거리에 따라 AF 모터(19)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제 4 렌즈 그룹(LG4)을 유지하는 AF 렌즈 프레임(17)이 촬영 광축(Z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포커싱 작동이 실행된다.
줌 모터(23)를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줌 렌즈(10)는 상기의 전진 동작과는 반대로 동작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렌즈(10)를 수납한다. 이러한 줌 렌즈(10)의 수납 동작의 도중에,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위치 제어 캠 바(49)에 의해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피벗 샤프트(44) 둘레로 회전운동하면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과 함께 후퇴한다. 줌 렌즈(10)가 도 2에 도시된 수납 위치까지 이동되면, 제 3 렌즈 그룹(LG3)은, 제 4 렌즈 그룹(LG4), 로 패스 필터(11) 및 CCD 촬상 센서(1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되는 공간의 반경방향 외측의 공간에 격납된다. 다시 말해, 제 3 렌즈 그룹(LG3)은 제 4 렌즈 그룹(LG4), 로 패스 필터(11) 및 CCD 촬상 센서(12)가 위치되는 광축 방향에서의 축방향의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방향의 영역으로 반경방향으로 퇴피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3 렌즈 그룹(LG3)를 퇴피시키는 줌 렌즈(10)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줌 렌즈(10)가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 줌 렌즈(10)의 길이를 단축시키므로, 도 2에서 보았을 때 수평 방향으로, 다시 말해, 광축 방향으로 카메라 보디의 두께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제 3 렌즈 그룹(LG3)을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시키는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이란 용어는, 도 26 및 도 27 각각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8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은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 요동 암부(42b), 원통형 피벗부(42c) 및 결합 돌기(42d)를 가지고 있다. 상기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는 제 3 렌즈 그룹(LG3)을 직접 유지하여 지지한다. 상기 요동 암부(42b)는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기 원통형 피벗부(42c)는 요동 암부(42b)의 피벗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결합 돌기(42d)는 요동 암부(42b)의 반대쪽 단부(자유단)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동 암부(42b)는 이 요동 암부(42b)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후방 돌출부(42e)를 가지고 있다. 상기 원통형 피벗부(42c)는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에는, 원통형 피벗부(42c)의 부근에서, 이 원통형 피벗부(42c)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캠 결합 돌출부(42f)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 샤프트(44)는 원통형 피벗부(42c)의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피벗 샤프트(44)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각각 제 3 렌즈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55)(도 10 참고) 및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베어링부(베어링 구멍)(36d)에 지지되어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55)는 세트 스크루(56)에 의해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에 고정되어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그것의 내주면의 광축 방향 중심측에 중심 내측 플랜지(36e)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요동할 수 있는 개구부(36f)를 형성하고 있다(도 9, 도 10, 도 22, 도 23, 도 26 및 도 27 참조). 상기 중심 내측 플랜지(36e) 상에는 베어링부(36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 내측 플랜지(36e)는 상기 베어링부(36d)의 하부에, 광축 방향으로 중심 내측 플랜지(36e)를 관통하여 뻗어있는 캠 결합 돌기 삽입 구멍(36g)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 유닛(41)은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촬영 광축(Z1) 하부의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후방 공간에서, 회전 규제 핀(46)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촬영 광축(Z1)을 사이에 두고 회전 규제 핀(46)과 반대측에,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관통하여 뻗어 있는 반경방향 개구부(36h)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반경방향 개구부(36h)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방 단부 부근의 절결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단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9, 도 23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링(31)의 내주면에는,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에서 반경방향 개구부(36h)에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반경방향 오목부(31c)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반경방향 오목부(31c)는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의 외주면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반경방향 바깥쪽으로(도 27에서 보았을 때 위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의 외측 영역이 부분적으로 상기 반경방향 오목부(31c)내로 진입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오목부(31c)는,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이나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캠 링(31)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반경방향 오목부(31c)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링(31)의 내주면의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 중 하나의 대략 역 V자 형상부 후방의 삼각형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반경방향 오목부(31c)는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이나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과 간섭하지 않는 캠 링(31)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 캠 링(31)은, 그것의 외주면에 있어, 그것의 후단부 부근의 원주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3개의 외 측 돌기(31d)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경방향 오목부(31c)는, 3개의 외측 돌기(31d) 중 하나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캠 링(31)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3개의 외측 돌기(31d)가 형성되어 있는 캠 링(31)의 부분은 각각 충분한 벽 두께를 가지고 있고, 그 결과, 캠 링(31)은 반경방향 오목부(31c)가 캠 링(31)의 내주면에 형성되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반경방향 오목부(31c)를 3개의 외측 돌기(31d) 중 하나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캠 링(31)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형성함으로써, 캠 링(31)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외측 돌기(31d)는 단순한 보강 부재가 아니고, 그 내주면에는 불연속적인 원주 방향의 홈(31a)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3개의 외측 돌기(31d)의 외주면에는 불연속적인 원주 방향의 홈(3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3개의 외측 돌기(31d)는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를 각각 지지하고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은, 원통형 피벗부(42c)가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전방면측에 위치되고 또한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가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후방 공간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요동암부(42b)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개구부(36f)를 관통하도록 광축 방향으로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42g)(도 28 참고)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을 지지하는 상기와 같은 지지 구조로 인해, 제 3 렌즈 프레임(42)은,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 및 캠 링(31)에 대해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운동(요동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결 합 돌기(42d)가 회전 규제 핀(46)에 접촉하는 하방 회전운동 단으로부터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일부가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일부에 접촉하는 상방 회전운동 단까지가,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회전운동의 범위로 된다. 피벗 샤프트(44)는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있기 때문에, 제 3 렌즈 그룹(LG3)은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요동할 때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을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후방의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내부 공간에서 피벗 샤프트(44) 둘레로 요동한다.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코일부는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원통형 피벗부(42c)에 고정되어 있고,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대향 스프링 단부들 중의 하나(전방 돌출 스프링 단부)는 요동암부(42b)와 결합하고, 토션 코일 스프링(47) 중의 다른쪽 스프링 단부(후방 돌출 스프링 단부)는 중심 내측 플랜지(36e)와 결합하고 있다. 이 토션 코일 스프링(47)은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제 3 렌즈 프레임(42)을 도 26 및 도 27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한다.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상기 가압 방향으로의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회전운동 단, 즉 제 3 렌즈 그룹(LG3)의 촬영 위치는 결합 돌기(42d)와 회전 규제 핀(46)의 결합에 의해 결정된다. 회전 규제 핀(46)은 회전가능한 편심 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규제 핀(46)을 회전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편심 핀과 결합 돌기(42d)의 결합 지점이 조정될 수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AF 렌즈 프레임(17)은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 제 1 암부(17a) 및 제 2 암부(17b)를 구비하고 있다(도 6 참고). 제 1 암부(17a) 및 제 2 암부(17b)는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의 반경방향의 대향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는 광축 방향으로 제 1 암부(17a) 및 제 2 암부(17b)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한 쌍의 AF 가이드 축(18A, 18B)이 각각 끼워맞춤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구멍은 제 1 암부(17a) 및 제 2 암부(17b)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는 촬영 광축(Z1)을 둘러싸는 중공의 박스 형상(직사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는 그 전방 단부면에 제 4 렌즈 그룹(LG4)이 고정되는 원형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의 후방 단부는 로-패스 필터(11)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개방 단부로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 렌즈 프레임(17)은, 로-패스 필터(11) 및 CCD 촬상 센서(12)가 그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 속으로 진입하는 위치(AF 렌즈 프레임(17)의 축방향의 이동을 위한 후방 이동단)까지 광축 방향으로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2는 촬영 광축(Z1)을 통하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 중의 이러한 단면에 놓인 부분은 작은 양만큼만 후방으로 뻗어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 중의 다른 원주 방향 부분은 광축 방향으로 로-패스 필터(11) 및 CCD 촬상 센서(12)를 커버하도록 충분히 후방으로 뻗어 있다. AF 렌즈 프레임(17)이 이 후방 이동단까지 이동하면, CCD 홀더(14)로부터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위치 제어 캠 바(49)의 전방 단부가 광축 방향으로 AF 렌즈 프레임(17)의 전방에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제어 캠 바(49)의 전방 단부에는 촬영 광축(Z1)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평면에 놓인 퇴피 캠 면(49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퇴피 캠 면(49a)으로부터 뻗어있는 위치 제어 캠 바(49)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있는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이 형성되어 있다(도 21 참고).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 및 위치 제어 캠 바(49)는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어서, 위치 제어 캠 바(49)가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을 통하여 삽입 및 후퇴 가능하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을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시키기 위한 상기 구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 3 렌즈 그룹(LG3)과 다른 결합 요소의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CCD 홀더(14)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광축 방향의 위치는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의 캠 궤적에 의한 캠 링(31)의 축방향의 이동과, 캠 링(31) 자신의 축방향의 이동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도 1의 줌 렌즈(10)의 상반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줌 렌즈(10)가 와이드단 또는 그 부근으로 이동할 때, CCD 홀더(14)로부터 이간되어 위치되고, 줌 렌즈(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상태에 있을 때 CCD 홀더(14)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와이드단의 축방향의 위치로부터 최후방 축방향 위치(수납 위치)까지의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퇴 동작을 이용하여, 제 3 렌즈 그룹(LG3)을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시킨다.
와이드단으로부터 텔레단까지의 줌 영역에서는,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스 프링력에 의해 결합 돌기(42d)의 단부를 회전 규제 핀(46)과 접촉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제 3 렌즈 프레임(42)이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광축(Z1)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촬영 위치에 놓인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위치에 놓여 있을 때, 위치 제어 암(42f)이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을 통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방으로 노출된다(도 26 참고).
줌 렌즈(10)의 촬영대기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메인 스위치를 OFF 상태로 전환하면, AF 모터(19)가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AF 렌즈 프레임(17)이 CCD 홀더(14)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 렌즈 프레임(17)의 최후방 위치(수납 위치)에 수납된다. 이 때, CCD 홀더(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로-패스 필터(11) 및 CCD 촬상 센서(12)가, 그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의 내부로 진입하여 제 4 렌즈 그룹(LG4)과 로-패스 필터(1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 렌즈 프레임(17)이 최후방 위치에 도달하면, 위치 제어 캠 바(49)의 전방 단부가 AF 렌즈 프레임(17)의 광축 방향 전방에 위치된다. AF 렌즈 프레임(17)이 우발적으로 최후방 위치로 이동되지 않게 되면, 계속적인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후방 이동으로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후방 돌출부(42e)가 AF 렌즈 프레임(17)을 후방으로 가압한다.
계속해서, 전술한 렌즈 배럴 수납 동작을 실행하도록 줌 모터(23)가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구동된다. 줌 렌즈(10)의 와이드단을 넘어 줌 렌즈(10)를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줌 모터(23)가 구동되면,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제 1 리드 슬롯부(30e-2))와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의 맞물림에 의해, 캠 링(31)은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한다. 도 1과 도 2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록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캠 링(31)에 대하여 줌 렌즈(10)가 와이드단에 있을 때보다 줌 렌즈(10)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광축 방향에서 줌 렌즈(10)의 전방에 위치하지만, 렌즈 배럴 수납 작동에서 고정 배럴(13)에 대한 캠 링(31)의 후퇴 이동량이 캠 링(31) 내에서의 캠 링(31)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전진 이동량보다 크기 때문에, 줌 렌즈(10)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CCD 홀더(14)에 접근한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제 3 렌즈 프레임(42)과 함께 더 후퇴 이동하면, 위치 제어 캠 바(49)의 선단부는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 내로 들어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제어 암(42f)은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을 통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방으로 노출되고,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 내에 진입한 위치 제어 캠 바(49)의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이 위치 제어 암(42f)에 접촉한다. 위치 제어 캠 바(49)의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은, 위치 제어 암(42f)에 광축 방향으로 접근함에 따라, 동안 도 26 및 도 27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제 3 렌즈 프레임(42)을 회전시키는 분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된 리드 면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이 위치 제어 암(42f)과 접촉한 상태에서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제 3 렌 즈 그룹 이동 프레임(36)과 함께 후퇴하면,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결합 돌기(42d)를 회전 규제 핀(4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제 3 렌즈 프레임(42)을 회전하게 한다.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으로부터 회전력을 받으면, 제 3 렌즈 프레임(42)은, 광축 방향에서의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퇴 이동에 따라 도 22와 도 26에 도시된 촬영 위치로부터 도 23과 도 27에 도시된 반경방향 퇴피 위치를 향하여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도 23과 도 27에 도시된 반경방향 퇴피 위치까지 회전하면,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위치 제어 암(42f)은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으로부터 결합할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까지 위치 제어 캠 바(49)상에서 미끄럼이동한다. 위치 제어 암(42f)이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과 결합되어 있는 이러한 상태에서는, 위치 제어 캠 바(49)의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이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기 때문에,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수납 이동에 의해 제 3 렌즈 프레임(42)은 반경방향 퇴피 위치(상방)의 방향으로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동시에,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은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촬영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 3 렌즈 프레임(42)을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유지한다.
도 4, 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는 반경 방향 개구부(36h)내로 진입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캠 링(31)은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바로 외측에 위치되고, 반경방향 개구부(36h)를 통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한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의 외측 영역은 캠 링(31)의 반경방향 오목부(31c)내로 진입한다.
도 24 및 도 2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에서는,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는 전방으로 돌출한 렌즈 홀더부(17c)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따라서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가 촬영 광축(Z1)에 더 이상 근접될 수 없다. 그러므로, 만약 반경방향 오목부(31c)가 캠 링(31)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캠 링(31)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캠 링(31)의 내경을 본 실시 형태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 3 렌즈 그룹(LG3)(원통형 렌즈 홀더부(42a))가 캠 링(31)의 반경방향 오목부(31c)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본 실시 형태의 줌 렌즈(10)에서는, 캠 링(31)의 내경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외경은 반경방향 오목부(31c)의 반경방향 깊이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줌 렌즈(10)의 직경 감소에 기여한다.
단, 제 3 렌즈 프레임(42)을 지지하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으로 직진운동 가능한 부재인 것에 반해, 캠 링(31)은 회전가능한 부재이고, 이에 따라,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가 반경방향 오목부(31c)에 진입할 때에, 캠 링(31)과 제 3 렌즈 프레임(42)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반경방향 오목부(31c)와 반경방향 개구부(36h)의 원주 방향 위치는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의 줌 렌즈(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 상태로부터의 줌 렌즈(10)의 전진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이 회전할지라도, 캠 링(3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공전 기구(3개 한 세트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 3개 한 세트의 슬롯(30e)의 원주 방향 슬롯부(30e-1) 및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로 이루어짐)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전기구 때문에, 와이드단으로부터 렌즈 배럴 수납방향으로 수납동작할 때, 캠 링(31)은 그 수납 위치의 앞의 소정의 지점(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조합체가 그 각각의 수납 위치에 도달하기 약 30도 전까지 회전한 지점)에서 회전을 정지하고, 그 이후 이 캠 링(31)은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 후방으로 직진 이동된다. 이 캠 링(31)이 회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반경방향 오목부(31c)와 반경방향 개구부(36h)의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 위치가 서로 확실하게 대응하도록, 이 캠 링(31)의 설치 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의 외측 영역이 캠 링(31)의 반경방향 오목부(31c) 내로 부분적으로 진입할 때에는, 반경방향 오목부(31c)와 반경방향 개구부(36h)가 줌 렌즈(10)의 반경방향에 있어서 서로 연통된 상태가 유지되고, 이에 따라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와 캠 링(31)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수납 상태에서의 광축 방향의 줌 렌즈(10)의 길이에 있어서의 보다 더 한층의 단축을 성취하는 줌 렌즈(10)의 구조를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줌 렌즈(10)가 수납 위치로 후퇴될 때 제 제 3 렌즈 프레임(42)이 CCD 홀더(14)에 접근하여 간다. 하지만, CCD 홀더(14)에는, 반경방향 퇴피 광축(Z2)상으로 반경방향 퇴피된 제 3 렌즈 프레임(42)(제 3 렌즈 그룹(LG3))의 렌즈 홀더부(42a)의 후단부가 진입 가능한 렌즈 홀더부 수납 구멍(후방 오목부; 14a)(도 6 및 21 참조)이 구비되어 있다(도 21).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홀더부(42a)는,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후단 부근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위치를 다르게 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3개의 반경방향 돌출부(42h)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및 2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홀더부 수납 구멍(14a)은, 3개의 반경방향 돌출부(42h)가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CCD 홀더(14)에는, 렌즈 홀더부 수납 구멍(14a)에 인접하여, 제 3 렌즈 프레임(42)의 결합 돌기(42d)가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하고 있는 결합 돌기 수납 구멍(14b)이 구비되어 있다. 렌즈 홀더부 수납 구멍(14a)은 바닥부를 가진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단부(반경방향 퇴피 광축(Z2)상으로 반경방향 퇴피된 제 3 렌즈 프레임(42)의 렌즈 홀더부(42a)와 대향하는)가 개구되어 있고, 그 후단부가 폐쇄되어 있으며, 역시 결합 돌기 수납 구멍(14b)도 바닥부를 가진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단부(반경방향 퇴피 광축(Z2)상으로 반경방향 퇴피된 제 3 렌즈 프레임(42)의 결합 돌기(42d)와 대향하는)가 개구되어 있고, 그 후단부가 폐쇄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렌즈 프레임(42)과 함께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에 의해 지지되는 셔터 유닛(41)은 광축 방향으로 한 세트의 조리개 블레이드(S1)와 한 세트의 조리개 블레이드(S1)의 후방에 위치하는 셔터 블레이드(S2)를 포함하고 있다. 한 세트의 조리개 블레이드(S1)를 구동하는 전방 액추에이터(41b)와 한 세트의 셔터 블레이드(S2)를 구동하는 후방 액추에이터(41c)가 각각 셔터 유닛(41)의 전면측 및 후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엄밀하게는, 도면에서는 전방 액추에이터(41b) 및 후방 액추에이터(41c)의 케이싱만이 보여지고 있다. 즉 전방 액추에이터(41b) 및 후방 액추에이터(41c)는 케이싱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액추에이터(41c)는, 촬영 광축(Z1)상의 위치와 반경방향 퇴피 광축(Z2) 사이를 이동하는 제 3 렌즈 그룹(LG3)의 이동 궤적과 겹쳐지지 않도록 셔터 유닛(41)상에 위치되어 있다.
셔터 유닛(41)은 그 후면측, 촬영 개구(41a)의 상부에, 반경방향 퇴피 광축(Z2)상으로 퇴피된 제 3 렌즈 프레임(42)의 렌즈 홀더부(42a)의 전단부가 진입할 수 있는 렌즈 홀더부 진입 오목부(전방 오목부; 41d)(도 32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셔터 유닛(41)은 그 후면에, 한 세트의 셔터 블레이드(S2)를 덮어 유지하는 유지 플레이트(41e)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홀더부 진입 오목부(41d)는 마치 이 유지 플레이트(41e)의 일부가 절결된 것처럼 형성되어 있다. 한 세트의 셔터 블레이드(S2)가, 렌즈 홀더부 진입 오목부(41d)와 겹쳐지지 않도록, 한 세트의 셔터 블레이드(S2)의 가동 범위(한 세트의 셔터 블레이드(S2)를 수납하는 셔터 유닛(41)의 내부 스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 한 세트의 조리개 블레이드(노출 제어 요소로서)와 한 세트의 셔터 블레이드(노출 제어 요소로서)를 서로 독립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통상적인 렌즈 셔터 타입의 카메라에 있어서는, 조리개 블레이드의 수가 셔터 블레이드의 수보다 많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고려하여, 셔터 유닛(41)의 후면 측에는 한 세트의 조리개 블레이드(S1)가 아니라 한 세트의 셔터 블레이드(S2)가 배치되어, 셔터 유닛(41)의 후방에 렌즈 홀더부 진입 오목부(41d)를 형성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다.
줌 렌즈(10)의 수납 동작 중에, 제 3 렌즈 프레임(42)은 그것의 반경방향 퇴피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3 렌즈 그룹(LG3)을 촬영 광축(Z1)상의 위치로부터 셔터 유닛(41)의 후면을 따라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반경방향 퇴피 광축(Z2)상으로 퇴피된 제 3 렌즈 프레임(42)(제 3 렌즈 그룹(LG3)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홀더부(42a)의 후단부가 CCD 홀더(14)의 렌즈 홀더부 수납 구멍(14a)내로 진입할 때까지,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과 함께 후방 이동한다. 이 때 도 33의 단면도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CCD 홀더(14)의 결합 돌기 수납 구멍(14b)에는, 제 3 렌즈 프레임(42)의 결합 돌기(42d)가 수납된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이보다 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CCD 홀더(14)(렌즈 홀더부 수납 구멍(14a) 및 결합 돌기 수납 구멍(14b)의 바닥부(도 33에서 보았을 때 좌단부))에 의해 제한된다. 한편,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줌 렌즈(10)가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 CCD 홀더(14)에 의한 제 3 렌즈 프레임(42)의 그와 같은 더 이상의 후방 이동의 규제 후에도, 후방으로 약간 더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피벗부(42c)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에 고정된 피벗 샤프트(44)에 대해 그 축선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고, 피벗부(42c)는 압축 코일 스프링(48)에 의해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 가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방 이동이 제한된 제 3 렌즈 프레임(42)에 대 해, 압축 코일 스프링(48)의 가압력에 대항하면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한다(도 34 참조). 그 결과, 도 4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의 렌즈 홀더부(42a)의 전단부(제3 렌즈 그룹(LG3)의 전단부)가 셔터 유닛(41)의 렌즈 홀더부 진입 오목부(41d)내로 진입한다. 도 33과 도 34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전단부(제3 렌즈 그룹(LG3)의 전단부)와 셔터 유닛(41)의 렌즈 홀더부 진입 오목부(41d)의 바닥부(후단부)의 광축 방향 거리(M)는, 렌즈 홀더부(42a)의 전단부가 렌즈 홀더부 진입 오목부(41d)내로 진입한 도 34의 상태에서, 렌즈 홀더부(42a)의 전단부가 렌즈 홀더부 진입 오목부(41d) 외측에 있는 도 33의 상태에서보다 더 작다.
이와 같이, 제 3 렌즈 그룹(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 LG3)의 전방에 위치하는 셔터 유닛(41)의 후면에 렌즈 홀더부 진입 오목부(41d)가 형성되고, 렌즈 홀더부(42a)의 전단부를 렌즈 홀더부 진입 오목부(41c)내로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 노출 제어 요소(S)(한 세트의 조리개 블레이드(S1) 및 한 세트의 셔터 블레이드(S2))와 제3 렌즈 그룹(LG3) 사이의 광축 방향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에서의 길이의 단축을 성취하고 있다. 또한, CCD 홀더(14) 측에도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일부가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렌즈 홀더부 수납 구멍(14a)과 결합 돌기 수납 구멍(14b)을 구비함으로써,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에서의 길이의 추가적인 단축을 성취하고 있다.
제 3 렌즈 그룹(LG3)이 촬영 광축(Z1)으로부터 반경방향 퇴피 광축(Z2)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줌 렌즈(10)의 내부 공간이 셔터 유닛(41)의 후방에 확보 되고 있지만, 제3 렌즈 그룹(LG3)은 촬영 광축(Z1)과 반경방향 퇴피 광축(Z2)사이에서 이동할 때 이 공간의 전역을 사용하여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3 렌즈 그룹(LG3)의 이동 궤적의 양측(도 26 및 도 27의 좌우측)에는 제 3 렌즈 그룹(LG3)의 이동에 사용되지 않는 데드 스페이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줌 렌즈(10)에 있어서는, 이 2개의 데드 스페이스 중 하나(도 26 및 도 27에서 보았을 때는 우측 스페이스)에 후방 액추에이터(41c)가 위치되어 있다. 후방 액추에이터(41c)를 이와 같이 배열함으로써, 줌 렌즈(10)의 내부 스페이스의 활용률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수납 상태에서의 줌 렌즈(10)의 길이의 단축에 기여하고 있다.
이상, 도시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특정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제 3 렌즈 그룹(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 LG3)은,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에 의해 촬영 광축(Z1) 외측의 위치로 퇴피하지만, 본 발명은 직진 이동에 의해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가 촬영 광축 외측의 위치로 퇴피하는 타입의 수납식 렌즈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조리개 블레이드(S1)와 셔터 블레이터(S2) 모두 가 노출 제어 요소로서 구비되어 있지만, 노출 제어 요소(S)는 조리개 블레이드(S)와 셔터 블레이드(S)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수납식 줌 렌즈이지만, 본 발명은, 촬영대기 상태와 수납 상태(침동 상태)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수납식 렌즈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수납식 줌 렌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 니다.
여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 명백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같은 수정은 청구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될 것이다. 여기에 포함된 모든 사항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수납 위치로 수납될 때, 촬영 광학 시스템의 일부의 광학 요소가 촬영 광학 시스템의 공통 광축상의 위치로부터 광축 외측의 다른 위치로 반경방향으로 퇴피되고, 이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가 촬영 위치로부터 광축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수납 위치에 있어서의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와 노출 제어 유닛 사이의 광축 방향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위치로 수납되었을 때 수납식 렌즈 시스템의 길이에 있어서의 보다 더 한층의 단축화가 성취된다.

Claims (13)

  1. 촬영 광학 시스템의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고,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촬영대기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변화할 때 후퇴하는 직진 이동 링(36);
    상기 광축상의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광축 외측의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반경방향 퇴피 가능하도록 상기 직진 이동 링에 지지된 상기 촬영 광학 시스템의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LG3);
    노출 제어 요소(S1 및 S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직진 이동 링에 지지된 노출 제어 유닛(41);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가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에 대향하도록 상기 노출 제어 유닛에 형성된 오목부(41d); 및
    상기 직진 이동 링이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후퇴할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을 따라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시키고,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오목부에 진입시키는 반경방향 퇴피 구동 장치(49, 42, 14 등)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는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직진 이동 링이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로 후퇴할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2)이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후방에 위치된 고정 부재(14)에 접촉하여 더 이상의 후방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이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에 접근하여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일부를 상기 오목부에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직진 이동 링에 상기 광축과 평행하게 고정된 피벗(44)을 중심으로 상기 촬영대기 위치와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피벗을 따라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퇴피 구동 장치는,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직진 이동 링의 상기 광축 방향 이동력을 상기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력으로 변환시키는 캠 면(49a)을 가지고 있는 고정 캠 바(49)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후방에 위치된 상기 고 정 부재는,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의 상기 오목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고정 부재의 전방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상기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적어도 후단부가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오목부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은 상기 노출 제어 요소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41c)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의 상기 오목부가 있는 측과 같은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의 측의 면에,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이동 궤적과 겹쳐지지 않도록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제어 요소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위치를 다르게 하여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블레이드(S1)와 적어도 하나의 셔터 블레이드(S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조리개 블레이드보다는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의 전후면 중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더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광학 시스템은 줌 렌즈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촬영 광학 시스템의 최전방 광학 요소와 최후방 광학 요소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는 상기 촬영 광학 시스템의 복수의 가동 렌즈 그룹들 중 하나의 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촬상 소자(12)를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내에 편입되고,
    상기 촬상 소자는 상기 고정 부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 이동 링 둘레에 위치되고, 회전될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촬영 광학 시스템의 복수의 광학 요소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 링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
  13.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고,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촬영대기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변화할 때 후퇴하는 직진 이동 링(36);
    상기 광축상의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광축 외측의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반경방향 퇴피 가능하도록 상기 직진 이동 링에 지지된 렌즈 그룹(LG3);
    셔터 블레이드(S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렌즈 그룹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직진 이동 링에 지지된 노출 제어 유닛(41);
    상기 렌즈 그룹 후방에 위치되는 고정 부재(14);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직진 이동 링이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후퇴할 때, 상기 직진 이동 링과의 상대 이동으로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렌즈 그룹을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을 따라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시키는 반경방향 퇴피 구동 부재(49); 및
    상기 렌즈 그룹이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렌즈 그룹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대향하도록,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의 후면과 상기 고정 부재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 오목부(41d) 및 후방 오목부(14a)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직진 이동 링이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로 후퇴할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된 상기 렌즈 그룹과 상기 노출 제어 유닛이 후방 이동하여 서로 접근하게 되어, 상기 렌즈 그룹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각각 상기 전방 오목부와 상기 후방 오목부에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수납식 렌즈 시스템.
KR1020050081564A 2004-09-02 2005-09-02 수납식 렌즈 시스템 KR101139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6336 2004-09-02
JP2004256336A JP4520253B2 (ja) 2004-09-02 2004-09-02 レンズ鏡筒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955A KR20060050955A (ko) 2006-05-19
KR101139358B1 true KR101139358B1 (ko) 2012-04-26

Family

ID=3594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564A KR101139358B1 (ko) 2004-09-02 2005-09-02 수납식 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46029B2 (ko)
JP (1) JP4520253B2 (ko)
KR (1) KR101139358B1 (ko)
TW (1) TWI3716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371A (ja) * 1997-06-12 1999-01-06 Asahi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4750402B2 (ja) * 2004-11-01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2007114532A (ja) * 2005-10-20 2007-05-10 Sony Corp レンズ鏡筒
JP4969863B2 (ja) * 2006-02-08 2012-07-04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5079277B2 (ja) * 2006-07-20 2012-11-21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US7755697B2 (en) * 2007-03-28 2010-07-13 Logitech Europe S.A. Webcam with moveable zoom lens
JP4917053B2 (ja) * 2008-02-04 2012-04-18 Hoya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進退カム機構
KR100959860B1 (ko) * 2008-07-18 2010-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모듈
JP5235570B2 (ja) * 2008-09-16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4735996B2 (ja) * 2008-12-18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1154201A (ja) * 2010-01-27 2011-08-11 Nikon Corp 撮影装置
JP5231601B2 (ja) * 2010-06-14 2013-07-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US8807847B2 (en) * 2011-02-09 2014-08-19 Panasonic Corporatio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5884061B2 (ja) 2011-02-09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5788203B2 (ja) 2011-04-05 2015-09-30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KR20150069347A (ko) * 2013-12-13 201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배리어,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US20230125356A1 (en) * 2021-10-25 2023-04-27 Ophir Optronics Solutions Ltd. Zoom Lens Assembly with Flat Coil Extension Spring Termin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312A (en) 1989-08-31 1992-02-04 Fuji Photo Film Co., Ltd. Variable focal length camera with focus adjusting device
US5765409A (en) 1996-12-06 1998-06-16 Yang; Kuo-Tsung Padlock having a large lock opening
US20040042089A1 (en) 2002-08-27 2004-03-04 Pentax Corporation Cam mechanism of a photographing lens
US20040051969A1 (en) 2002-08-27 2004-03-18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retractable len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1303A (en) * 1984-11-10 1988-09-13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Variable focal length camera
JP2540502B2 (ja) * 1985-05-25 1996-10-02 株式会社ニコン 光学系保護部材を備えたカメラ
US5765049A (en) * 1995-06-26 1998-06-09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having lens system change-over mechanism
JP3887081B2 (ja) * 1997-10-01 2007-02-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3496667B2 (ja) * 2001-08-22 2004-02-16 ミノルタ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胴
JP3771909B2 (ja) * 2002-02-21 2006-05-10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沈胴式ズームレンズ鏡筒及びズームレンズ鏡筒の沈胴方法
US7058293B2 (en) * 2002-08-27 2006-06-06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retractable lens
US7106961B2 (en) * 2002-08-27 2006-09-12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incorporating the advancing/retracting mechanism
US7088916B2 (en) * 2002-08-27 2006-08-08 Pentax Corporation Retractable lens barrel
US6952526B2 (en) * 2002-08-27 2005-10-04 Pentax Corporation Retractable lens barrel
US7085486B2 (en) * 2002-08-27 2006-08-01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incorporating a rotatable ring
US7079762B2 (en) * 2002-08-27 2006-07-18 Pentax Corporation Suppor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a rotatable ring
US7079761B2 (en) * 2002-08-27 2006-07-18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photographing lens
US7068929B2 (en) * 2002-08-27 2006-06-27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retractable lens
JP3863829B2 (ja) * 2002-08-27 2006-12-27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繰出カム機構及び繰出カム機構
US7035535B2 (en) * 2002-08-27 2006-04-25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retractable photographing lens
US7027727B2 (en) * 2002-08-27 2006-04-11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incorporating the cam mechanism
US7097367B2 (en) * 2002-08-27 2006-08-29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photographing lens
JP4328542B2 (ja) * 2003-02-03 2009-09-09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US7043154B2 (en) * 2002-08-27 2006-05-09 Pentax Corporation Photographing lens having a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US6987930B2 (en) * 2002-08-27 2006-01-17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incorporating the advancing/retracting mechanism
JP2004085934A (ja) * 2002-08-27 2004-03-18 Pentax Corp ズームレンズ鏡筒の繰出カム機構及び繰出カム機構
US7031604B2 (en) * 2002-08-27 2006-04-18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incorporating the linear guide mechanism
US7031603B2 (en) * 2002-08-27 2006-04-18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US7050713B2 (en) * 2002-08-27 2006-05-23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photographing lens
US6963694B2 (en) * 2002-08-27 2005-11-08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US6959148B2 (en) * 2002-08-27 2005-10-25 Pentax Corporation Retractable photographing lens
US6990291B2 (en) * 2002-08-27 2006-01-24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having a moving optical element support frame
US7039311B2 (en) * 2002-08-27 2006-05-02 Pentax Corporation Rotation transfer mechanism and a zoom camera incorporating the rotation transfer mechanism
US7010224B2 (en) * 2002-08-27 2006-03-07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incorporating the rotation transfer mechanism
US7025512B2 (en) * 2002-08-27 2006-04-11 Pentax Corporation Retracting mechanism of a retractable lens
US7317487B2 (en) * 2003-03-31 2008-01-08 Fujinon Corporation Compact digital camera with zoom lens system
JP2004361921A (ja) * 2003-05-15 2004-12-24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4673575B2 (ja) * 2003-05-15 2011-04-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鏡胴および撮影装置
JP4520190B2 (ja) * 2004-03-18 2010-08-04 Hoya株式会社 沈胴式レンズ鏡筒及び沈胴式レンズ鏡筒を備えたカメ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312A (en) 1989-08-31 1992-02-04 Fuji Photo Film Co., Ltd. Variable focal length camera with focus adjusting device
US5765409A (en) 1996-12-06 1998-06-16 Yang; Kuo-Tsung Padlock having a large lock opening
US20040042089A1 (en) 2002-08-27 2004-03-04 Pentax Corporation Cam mechanism of a photographing lens
US20040051969A1 (en) 2002-08-27 2004-03-18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retractable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46029B2 (en) 2009-06-09
TW200624981A (en) 2006-07-16
JP4520253B2 (ja) 2010-08-04
US20060045516A1 (en) 2006-03-02
JP2006072042A (ja) 2006-03-16
KR20060050955A (ko) 2006-05-19
TWI371643B (en) 201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358B1 (ko) 수납식 렌즈 시스템
KR101206308B1 (ko) 수납식 렌즈 시스템
KR101212960B1 (ko) 렌즈 제어장치
KR101212962B1 (ko) 줌 렌즈의 캠 기구
KR20060050985A (ko) 줌 렌즈의 캠 기구
JP5079277B2 (ja) レンズ鏡筒
KR20060050865A (ko) 줌 렌즈의 구동기구
US20070217783A1 (en) Lens assembly and camera
KR20090088327A (ko) 광학 장치의 차광 구조
US6961189B2 (en) Lens barrel having a built-in cam mechanism
US8964306B2 (en) Lens barrel
JP4597486B2 (ja) レンズ鏡筒
JP2004258637A (ja) レンズ鏡筒の進退カム機構
GB2417096A (en) Retractable lens system with recess on exposure control unit
JP2004151242A (ja) レンズ鏡筒の回転伝達機構及び回転伝達機構
GB2417097A (en) Cam mechanism for a zoom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