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219B1 - 산마루 측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산마루 측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219B1
KR101139219B1 KR1020110068197A KR20110068197A KR101139219B1 KR 101139219 B1 KR101139219 B1 KR 101139219B1 KR 1020110068197 A KR1020110068197 A KR 1020110068197A KR 20110068197 A KR20110068197 A KR 20110068197A KR 101139219 B1 KR101139219 B1 KR 101139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sh
hole
pipe
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순
Original Assignee
이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순 filed Critical 이예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나 철도 개설을 위한 절개지의 산마루부터 절개지의 시종점까지 물을 유도하기 위한 배수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사 후에 견고히 매설되어 오랜 기간이 경과하여도 우수에 의해 구조물이 들뜨거나 원지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식생매트를 설치하여 자연생태환경에 적합한 구성으로 제공되는 산마루 측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마루 측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SIDE GUTTER FOR RIDGE OF A MOUNTAIN CHANNE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로나 철도 개설을 위한 절개지의 산마루부터 절개지의 시종점까지 물을 유도하기 위한 배수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사 후에 견고히 매설되어 오랜 기간이 경과하여도 우수에 의해 구조물이 들뜨거나 원지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식생매트를 설치하여 자연생태환경에 적합한 구성으로 제공되는 산마루 측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마루 측구는 산마루 측이나 절개지 등의 비탈면 상에 설치되어 우수가 비탈면 상으로 흘러내려 발생할 수 있는 비탈면의 토사 유실이나 이에 따른 절개지(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절개지나 법면 등에 설치되는 산마루 측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콘크리트 산마루 측구는 법면 또는 절개지에 설치되고, 우수가 배수 되도록 “V”자 형상의 배수로가 형성되어 우수가 배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산마루 측구를 법면 또는 절개지에 설치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우수에 의해 들뜨거나 원지반의 토사가 유실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산마루 측구 양단부와 법면 또는 절개지 사이로 빗물이 쉽게 스며들어 법면 또는 절개지가 쉽게 유실되어 구조물이 들뜨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산마루 측구의 시공시 산마루 측구와 법면 또는 절개지 사이에 잔디 또는 잡초를 식재하였으나, 이 잔디 또는 잡초의 뿌리가 충분히 내릴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여 효과를 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산마루 측구가 우수로 인해 들뜨거나 원지반이 유실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산마루 측구를 재시공하지 않고 보강할 수 있으며, 새로이 시공되는 산마루 측구의 유실 자체를 방지할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른 목적은 배수로에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암석을 방지하기 위해 유공관을 설치하여 우수만이 유공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산마루 측구에 식생용 식생매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산마루 측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절개지의 산마루에 배수로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에 설치되는 산마루 측구에 있어서,
상기 산마루 측구는, 상기 배수로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외주면 전체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내통된 다수개 통공이 형성된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유공관의 상부면을 밀착하여 유공관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고정되도록 유공관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어스앵커와,
상기 유공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공관 일측의 일면을 면접하여 배수로 외측으로 더 연장하여 커버하도록 초본류가 식재된 식생매트로 구성되는 산마루 측구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밀폐부재는 부직포 또는 수지필름 중 택일하여 구비되는 산마루 측구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어스앵커는 양측단에 형성되며,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고정날개가 좌우대칭의 한쌍이 일체로 판상형태의 “V”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날개 각각의 일면에 결속공이 형성되며, 한쌍의 고정날개가 면접되는 중앙에 이탈방지공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양측단에 형성된 고정판의 고정날개에 형성된 결속공을 통과하여 연결하고, 고정판과 고정판 사이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결속와이어로 구성되는 산마루 측구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식생매트가 배수로의 외측으로 연장된 끝단부에 길이방향으로 “U”형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등간격으로 매트고정핀이 형성되는 산마루 측구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밀폐부재 대신에 하부면은 밀폐되며, 상부면에 통공이 형성된 유공관이 설치되어, 배수로 바닥면에 설치되는 산마루 측구를 제공한다.
절개지의 산마루에 “└┘”자 형상의 배수로를 파는 제1단계와, 상기 배수로 바닥면에 밀폐부재를 적층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밀폐부재의 상면에 유공관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유공관 하면에 형성된 밀폐부재를 유공관 외주면에 부착하여 유공관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유공관의 상면을 어스앵커의 결속와이어로 밀착하여 상기 결속와이어가 유공관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배수로 바닥면의 지면에 상기 어스앵커의 결속와이어와 연결된 고정판을 고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유공관 양측에 각각 식생매트 일측 끝단을 면접하고, 상기 식생매트의 일측 끝단과 연장된 식생매트를 여 유공관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6단계와, 상기 유공관 양측에 각각 면접된 식생매트의 일측 끝단과 배수로 내측 사이의 공간에 토사를 채우는 제7단계와, 상기 유공관 상부면에 안착된 식생매트를 배수로 외측으로 펼쳐 배수로 외측의 지면에 면접하도록 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지는 산마루 측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배수로 외측의 지면에 식생매트를 면접한 후, 상기 지면에 면접된 식생매트 끝단의 하면에 위치한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U”형상의 유로홈을 파고, 상기 유로홈의 상면에 식생매트 끝단이 내속되게 하여 식생매트 끝단이 “U”형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 상면에 매트고정핀을 박아 지면에 고정시키는 제9단계를 더 포함하는 산마루 측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산마루 측구 및 도수로 등의 구조물에 잔디 및 잡초 등의 식생공간이 마련되는 식재용 식생매트를 매트고정핀 등으로 고정하거나, 유공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및 일체로 형성하여 원지반 사이에 잔디 또는 잡초가 식생하는 식생매트를 식재하여 잔디 또는 잡초의 뿌리가 원지반에 뿌리내림으로 유공관과 원지반 사이에 우수로 인한 침식을 방지하고 더하여 법면이 붕괴 또는 파괴되지 않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의 조립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 사용되는 유공관(a, b)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의 어스앵커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밀폐부재가 없는 산마루 측구 구조(a)와 고정홈이 없는 식생매트를 시공한 구조(b)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유공관 상/하부에 각각 여과부재(800b)와 밀폐부재(300을 설치하는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유공관 상/하부에 각각 여과부재(800b)와 밀폐부재(300을 설치한 단면도(a)와 상기 단면도에 어스앵커와 식생매트를 설치한 단면도(b).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매쉬형 금속망 구조의 유공관(200c)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매쉬형 금속망의 유공관(200c) 외주와 하부에 여과부재(800b)와 밀폐부재를 설치하는 구조도.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매쉬형 금속망의 유공관(200c)-여과부재(800b)-밀폐부재(300)을 설치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매쉬형 금속망의 유공관(200c)-여과부재(800b)-밀폐부재(300)을 설치한 구조에 어스앵커와 식생매트를 설치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매쉬형 금속망-평판형 밀폐판 구조의 유공관(200d) 분리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매쉬형 금속망-평판형 밀폐판 구조의 유공관(200d)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매쉬형 금속망-평판형 밀폐판 구조의 유공관(200d)의 양측부에 어스앵커를 설치하는 구조도.
도 18은 도 17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매쉬형 금속망-평판형 밀폐판 구조의 유공관(200d)의 양측부에 어스앵커를 설치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제1, 2연장편을 가진 매쉬형 금속망과 평판형 밀폐판의 내측에 보강편(230a)을 설치하는 조립도.
도 20은 도 19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제1, 2연장편을 가진 매쉬형 금속망과 평판형 밀폐판의 내측에 보강편(230a)을 설치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제1, 2연장편을 가진 매쉬형 금속망과평판형 밀폐판의 내측에 보강편(230b)을 설치하는 조립도.
도 22는 도 21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제1, 2연장편을 가진 매쉬형 금속망과 평판형 밀폐판의 내측에 보강편(230b)이 설치된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제1, 2연장편을 가진 매쉬형 금속망과 평판형 밀폐판의 내측에 스프링형 보강편(230c)을 설치하는 조립도.
도 24는 도 23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제1, 2연장편을 가진 매쉬형 금속망과 평판형 밀폐판의 내측에 스프링형 보강편(230c)이 설치된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제1, 2연장편을 가진 매쉬형 금속망과 평판형 밀폐판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형 보강편(230c)의 구조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산머루 측구에서 상/후부에 매쉬형 금속망이 설치되어 스프링형 보강편이 설치되는 조립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상부캡과 하부판넬 구조를 가진 유공관(200e)와-보강부재(260)를 설치하는 조립도.
도 28은 도 27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상부캡과 하부판넬 구조를 가진 유공관(200e)와-보강부재(260)를 설치된 사시도.
도 29는 도 28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상부캡과 하부판넬 구조를 가진 유공관(200e)와-보강부재(260)를 설치된 단면도.
도 30은 도 27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상부캡 사시도.
도 31은 도 27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하부판넬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상부캡의 또다른 구조의 사시도(1).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또다른 형태의 상부캡과 하부판넬 구조를 가진 유공관(200e)와-보강부재(260)를 설치하는 조립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상부캡의 또다른 구조의 사시도(2).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유공관과 유공관을 연결하는 이음관(700a)의 연결구조도.
도 36은 도 35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이음관(700a)의 조립구조도.
도 37은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유공관과 유공관에 연결된 이음관(700b)의 측면도.
도 38은 도 37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이음관(700b)의 조립구조도.
도 39는 도 37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이음관(700b) 단면도.
도 40은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유공관과 유공관에 연결된 이음관(700c)의 측면도.
도 41은 도 40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이음관(700c)의 조립구조도.
도 42는 도 41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이음관(700c)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유공관 하부에 이탈방지바(900a)를 설치하는 구조도.
도 44는 도 43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유공관 하부에 이탈방지바(900a)를 설치된 단면도.
도 45는 도 43의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에서 유공관 하부에 이탈방지바(900a)를 설치된 측면도.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를 시공하는 공정도(1).
도 47은 도 46의 공정 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를 시공하는 공정도(2).
도 48은 도 46의 공정 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마루 측구를 시공하는 공정도(3).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1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개지의 산마루에 배수로(10)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10)에 설치되는 산마루 측구(100)에 있어서, 상기 산마루 측구(100)는, 상기 배수로(1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외주면 전체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내통된 다수개 통공(201)이 형성된 유공관(200a)과, 상기 유공관(200a)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밀폐부재(300)와, 상기 유공관(200a)의 상부면을 밀착하여 유공관(200a)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고정되도록 유공관(200a)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어스앵커(400)와, 상기 유공관(200a)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공관(200a) 일측의 일면을 면접하여 배수로(10) 외측으로 더 연장하여 커버하도록 초본류가 식재된 식생매트(500)로 구성되는 산마루 측구를 제공한다.
도 9의 (a) 나타낸 바와 같이 절개지의 산마루에 배수로(10)를 형성하여 상기 배수로(10)에 산마루 측구(100)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산마루 측구(100)는 배수로(10)에 “└┘”형의 배수로(10)를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10)의 바닥면에 유공관(200a)을 설치하고, 상기 유공관(200a)과 연계된 식생매트(500)와 밀폐부재(300)를 설치함으로서 법면 또는 절개지에 시공되어 우수를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로 단면의 모양이 “└┘”형, “U”형 또는 “V”형중 택일하여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배수로 형태에 한정되어 형성되는 아니다.
이때, 상기 배수로(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유공관(200a)은 통상 사용되는 유공관을 사용하게 되며, 일예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공관(200a) 외주면 전체면에 내주면까지 내통된 통공(201)이 다수개 형성되는 유공관(200a)을 사용하거나, 상부면은 내통된 통공(201)이 형성되고, 하부면은 통공(201)이 없는 밀폐된 형태를 가지는 유공관(200b)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유공관에 형성된 통공의 배열 또는 형상을 제한하여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목적과 지리적인 환경에 따라 유공관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공관(200a)의 재질은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유공관(200a)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의 (a)와 같이 상기 통공(201)이 형성된 유공관(200a)을 사용하는 것은 우수에 의해 토사뿐만 아니라 크고 작은 암석이 배수로(10)로 진입하게 되면서, 기존에 배수로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져 상기 크고 작은 암석이 우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배수로에 형성된 산마루 측구를 이탈 또는 파손하며, 이로 인해 토사유출이 발생하여 지반의 붕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본 발명에서는 통공(201)이 형성된 유공관(200a)을 사용함으로서 크고 작은 암반은 상기 배수로(10)에 형성된 유공관(200a) 내부로 유입이 방지되고, 그에 따른 우수만 유공관(200a)의 통공(201)을 통해 유공관(200a) 내부로 진입하여 흘러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공관(200a)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된 밀폐부재(300)는 상기 유공관(200a) 외주면에 내통된 통공(201)에 의해 상기 유공관(200a) 내부로 우수가 흘러 일부 우수가 상기 유공관(200a) 내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201)을 통해 우수가 유출되어 배수로 바닥면의 지반을 연약하게 하거나 지면의 토사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공관(200a) 하부면에 형성된 밀폐부재(300)로 인해 유공관(200a) 내부로 유입된 우수의 유출을 막기 위해 제공된다.
이에, 도 4에 나타낸 상기 밀폐부재(300)는 부직포 또는 수지필름 중 택일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에 우수가 유입되어 부직포 전체면에 물을 함유하고 있어 유공관(200a) 외주면의 하면을 밀착되게 부착되어 유공관(200a) 외주면의 하면에 형성된 통공(201)을 밀폐하는 역할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수지필름을 사용함으로서 유공관(200a) 외주면의 하면에 형성된 통공(201)을 밀폐하는 역할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공관(200a)의 상부면을 밀착하여 유공관(200a)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고정되도록 유공관(200a)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어스앵커(400)에 있어, 상기 유공관(200a)이 배수로 바닥면에 견고히 고정하도록 배수로 바닥면의 지면에 박음으로서, 상기 유공관(200a)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스앵커(400)는 양측단에 형성되며,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고정날개(411)가 좌우대칭의 한쌍이 일체로 판상형태의 “V”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날개(411) 각각의 일면에 결속공(412)이 형성되며, 한쌍의 고정날개(411)가 면접되는 중앙에 이탈방지공(413)이 형성되는 고정판(410)과, 상기 양측단에 형성된 고정판(410)의 고정날개(411)에 형성된 결속공(412)을 통과하여 연결하고, 고정판(410)과 고정판(410) 사이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결속와이어(420)로 구성된다.
상기 어스앵커(400)는 양단에 “V”형의 판재형태인 고정판(4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410)의 결속공(412)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고정판(410)과 고정판(410) 사이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결속와이어(420)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공관(200a)의 상면에 상기 결속와이어(420)를 밀착하여 유공관(200a) 양측으로 결속와이어(420)를 수직으로 내려 상기 유공관(200a) 양측 하부에 수직으로 내려진 결속와이어(420)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판(410)을 지면에 박아주어 유공관(200a)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어스앵커(400)의 고정판(410)이 “V”형의 판재형태로 형성되어 지면 상부로 제거시 상기 고정판(410)의 고정날개(411) 상부로 토사가 압박하여 고정판(410)이 제거되기에는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한쌍의 고정날개(411)가 면접되는 중앙에 형성된 이탈방지공(413)은 상기 고정판(410)의 고정날개(411) 각각에 형성된 결속공(412)을 통해 결속와이어(420)가 연계되어 고정판(410)의 저면 중앙에 결속와이어(420)의 일면이 위치하도록 이탈방지공(413)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공(413)에 결속와이어(420)의 일면이 면접하여 결속와이어(420)가 고정판(410)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지면에 고정판(410)을 박아 넣을 때 이탈방지공(413)에 의해 결속와이어(420)가 고정판(410) 저면의 중앙을 벗어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결속와이어(420)의 담김 즉, 외압을 주더라도 고정판(410)이 “V”형태와 같은 정위치에 놓여져 고정판(410)이 이탈을 방지하려는 외압에 힘을 분산시켜 견고한 고정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도 1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공관(200a)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공관(200a) 일측의 일면을 면접하여 배수로(10) 외측으로 더 연장하여 커버하도록 초본류가 식재된 식생매트(500)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배수로(10) 외측에 상기 식생매트(500)의 초본류가 뿌리내림으로 인해 배수로(10) 외측의 지면에 토착화되어 배수로(10) 주변이 우수에 의해 지반붕괴 또는 토사유출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상기 식생매트(500)는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식생매트(500)는 여러 층으로 적층된 구조로 상기 적층된 구조에 초본류 씨앗층이 형성되어 상기 초본류의 씨앗이 발아되어 식물로 성장하게 되며, 씨앗층 외에 다른 층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자연부식되어 식물성장에 퇴비로 사용되게 되고, 일부 적증구조는 지면에 결속되어 토사유출을 막는 지지구조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초본류 씨앗이 적층된 식생매트 대신에 잔디와 같은 뿌리내림이 빠른 초본류 식재가 식재된 식생매트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매트(500)가 배수로(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끝단부에 길이방향으로 “U”형의 고정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510)에 등간격으로 매트고정핀(600)이 형성됨으로서 식생매트(5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이는 초본류의 뿌리내림이 완료될 때까지 우수에 의한 식생매트(5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식생매트(500) 끝단에 “U”형의 고정홈(510)이 형성되어 식생매트(500) 상부로 유입되는 우수의 흐름에 의해 상기 식생매트(500) 끝단의 하부 지면으로 우수가 유입되어 지면에 토사를 유실하여 식생매트(5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식생매트(500) 끝단을 “U”형의 고정홈(510)이 형성됨으로서 우수가 지면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고정홈(510)으로 유입되어 식생매트(500) 상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함에 있다.
또한, 상기 식생매트(500) 끝단을 “U”형의 고정홈(510)이 형성됨이 없이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생매트(500)가 배수로(10) 외측의 상면에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유공관(200b)의 구조를 설명한 바와 같이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면은 밀폐되며, 상부면에 통공이 형성된 유공관(200b)이 설치되어, 배수로(10) 바닥면에 직접 설치되고, 상술한 전면에 통공된 유공관(200a)을 설치시 유공관(200a) 하면에 부착되는 밀폐부재(300)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
이는 우수가 유공관(200b)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201)을 통해 유입되어 유공관(200b) 내부를 통해 흘러 보내게 되는데, 이때 유공관(200b) 하면에는 통공(201)이 형성되지 않아 유공관(200b) 내부에 유입된 우수가 배수로(10) 바닥면에 유실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공관(200a, 200b)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여과부재(800a)를 더 포함하여 작은 이물질을 걸러내어 물만 통과되어 유공관(200a, 200b)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부재(800a)를 제공한다.
상기 여과부재(800a)는 물만 걸러내는 막재(여과직물) 또는 부직포 중 택일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외주면 전체가 내통된 통공(201)을 가지거나 상부면은 내통된 통공(201)을 가지며 하부면만 통공(201)이 없는 밀폐된 형태를 가진 유공관(200a, 200b) 대신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 전체가 매쉬형 금속망(210)을 가진 유공관(200c)을 설치하여 제공되며,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은 5~400mesh를 가진 금속망(21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공관(200c)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물질은 걸러 내고 물만 유공관(200c) 배부로 유입하여 내부를 통해 흘러가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의 유공관(200c)을 배수로(10)에 설치시 배수로 바닥면에 밀폐부재(300)를 설치하고, 상기 유공관(200c) 외주면에 여과부재(800b)를 감싼 후 상기 배수로(10)의 밀폐부재(300) 상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여과부재(800b)를 감싼 유공관(200c)의 양측 중앙에 밀폐부재(300)의 양측단을 각각 면접하여 상기 밀폐부재(300)가 유공관(200c) 하부면과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한다.
즉,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의 유공관(200c)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여과부재(800b)를 더 설치하여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공관(200c)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여과부재(800b)는 물만 통과하는 막재 또는 부직포 중 택일하여 사용하여 제공된다.
도 14는 상기 유공관(200c)을 배수로 설치하여 여과부재(800b)-밀폐부재(300)를 설치하고 어스앵커(400)와 식생매트(500)를 설치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의 유공관(200c) 대신에 도 15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면은 매쉬형 금속망(210)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은 평판형 밀폐판(220)으로 형성되는 유공관(200d)이 설치되며, 상기 유공관(200d)은 원통형으로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상부면의 반구(半球)는 매쉬형 금속망(210)을 가지며, 하부면의 반구(半球)는 평판형 밀폐판(220)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의 하단부 양측단이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의 상단부 양측단의 외측에 각각 면접하여 스크류볼트(50)로 체결하여 원통형의 유공관(200d)을 형성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도 17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어스앵커(400)의 결속와이어(420) 구조를 가지는 것과는 달리 상기 유공관(200d)의 양측부의 스크류볼트(50)에 일단의 결속와이어(420)가 연결하여 배수로 바닥면의 지중에 타단의 결속와이어(420)에 연결된 고정판(410)을 깊숙이 박아 넣는 구조로 상기 고정판(410)과 스크류볼트(50)에 연결된 결속와이어(420)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형태로 배수로 바닥면 지중에 고정된다.
한편, 도 19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의 하단부 양측단이 각각 외측으로 절곡연장되는 제1연장편(211)이 형성되고,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의 상단부 양측단이 각각 외측으로 절곡연장되는 제2연장편(221)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즉,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의 하단부 각 양측단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제1연장편(211)이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의 상단부 각 양측단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제2연장편(221)이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의 제1연장편(211) 하면이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의 제2연장편(221) 상면과 면접하여 등간격으로 볼트(50)와 너트(55)로 체결하여 원통형 유공관(200d)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19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연장편(221)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양측에 볼트공(231)이 형성되는 판상의 보강편(230a)이 더 설치되어 제공된다.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의 제2연장편(221)에 등간으로 다수개 보강편(230a)을 설치하고,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 상부에 매쉬형 금속망(210)을 씌워 제2연장편(221)과 제1연장편(211)이 면접시킨 후 볼트(50)로 보강편(230a)의 볼트공(231)을 통해 체결하여 제2연장편(221) 하면에 너트(55)를 체결하여 유공관(200d)을 제작하게 된다.
물론, 볼트(50)의 머리는 매쉬형 금속망(210) 상부에 구속되며, 볼트(50)의 몸체는 보강편(230a)의 볼트공(231)을 통과하여 제2연장편(221) 하면에 돌출되어 너트(55)를 조여주어 체결하게 된다.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의 제2연장편(221)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보강편(230a)으로 인해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 상부에 매쉬형 금속망(210)이 설치된 유공관(200d)의 변형을 방지하여 일직선상의 유공관(200d)이 유지하도록 제공된다.
한편, 상기 판상의 보강편(230a) 대신에 도 21과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 밀폐판(220) 내주면에 수직의 등간격으로 원통형 보강편(230b)이 다수개 설치되어 제공된다.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 내주면에 원통형 보강편(230b)을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평판형 밀폐판(220) 저면을 통해 볼트(50)로 체결한 후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 상부에 매쉬형 금속망(210)을 씌워 매쉬형 금속망(210) 상면을 통해 볼트(50)로 체결하여 원통형 보강편(230b)을 유공관(200d) 내주면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원통형 보강편(230b)은 외주면과 내주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진 판상의 원통형을 가지는 것으로 단면이 사각형 구조를 가진다.
또한, 단면이 사각형 대신에 단면이 원형을 가지는 링형태의 원통형 보강편(230b)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통형의 보강편(230b) 대신에 도 23 내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형태로 감겨진 스프링형 보강편(230c)을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의 내주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후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 상부에 매쉬형 금속망(210)을 씌워 매쉬형 금속망(210)의 제1연장편(211)과 평판형 밀폐판(220)의 제2연장편(221)이 면접된 일면에 등간격으로 볼트(50)와 너트(55)를 체결하여 유공관(200d)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스프링형 보강편(230c)을 설치함에 있어, 상기 스프링형 밀폐판(230c)이 설치된 평판형 밀폐판(220)의 상부에 매쉬형 금속망(210)을 씌울 때 상기 스프링형 보강편(230c)이 상하로 압축되면서 좌측으로 팽창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이 평판형 밀폐판(220)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형 보강편(230c)이 탄성에 의해 복원력이 발생하여 조립된 유공관(200d) 내주면을 밀착하여 유공관(200d) 내부에 스프링형 보강편(230c)이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위의 압축되는 형태로 스프링형 보강편(230c)이 설치되는 것과는 달리 매쉬형 금속210)과 평판형 밀폐판(220)이 조립된 상태의 내주반경과 동일한 크기의 외주반경을 가진 스프링형 보강편(230c)을 설치하여 조립된 유공관(200d)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로 감겨진 스프링형 보강편(230C)에서 상기 코일과 코일 사이의 간격의 조절은 유공관(200d)의 내주면의 폭 또는 유공관(200d)의 두께, 유공관의 설치될 지리적인 요건 등 견고한 유공관(200d)을 제작하기 위해 코일 간격을 조절하여 유공관(200d)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과 평판형 밀폐판(220)이 조립된 유공관(200d)에 있어 유공관(200d) 외부의 충돌 또는 충격에 의해 유공관(200d)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스프링형 보강편(230c)에 의해 완충작용을 하여 유공관(200d)의 이탈 또는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형 보강편(230c)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 또는 직사각형 중 택일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코일스프링 또는 압연코일스프링으로 통칭하는 통상의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 대신에 도 26과 같이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과 상하대칭되는 매쉬형 금속망(210)을 사용하여 유공관(200d)의 하부를 구성하도록 하며, 상부의 매쉬형 금속망(210)과 하부의 매쉬형 금속망(210)을 조립하며, 이때 상기 유공관(200d) 내부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원통형의 보강편(230b) 또는 유공관(200d) 내주면 길이방향으로 스프링형 보강편(230c)을 설치하여 유공관(200d)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가 매쉬형 금속망(210)으로 조립된 유공관(200d)을 배수로에 설치시 상기 하부의 매쉬형 금속망(210)의 외주면 전면을 커버하는 여과부재(800a) 또는 여과부재(800a)-밀폐부재(300)를 씌워 유공관(200d) 내부에 유입된 물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공관(200d) 대신에 도 27에서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판(241)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241)의 양측단에서 각각 소정의 기울기로 연장되는 경사면(24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42)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제3연장편(243)으로 구성되는 매쉬형 상부캡(240a)과,
상기 상부캡(240a)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캡(240a)의 제3연장편(243)과 면접되어 고정되도록 양측단에 제4연장편(251)이 형성되는 “└┘”형의 평판형 하부판넬(250)로 이루어지는 유공관(200e)이 제공된다.
상기 하부판넬(250)의 상부에 상부캡(240a)이 안착되어 제3, 4연장편(243, 251)이 면접되어 고정되어 유공관(200e)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넬(250) 내부의 양측면에 수평으로 결속되며, 양측에 “ㄷ”형의 측면판(26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261) 사이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환봉형의 보강봉(262)으로 구성되는 보강부재(260)가 더 포함되어 하부판넬(250)의 변형을 방지는 역할로 견고한 하부판넬(250)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7, 도 28 및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넬(250)의 양측면에 각각 “ㄴ”형의 측면앵글(900b)이 더 설치되어 배수로(10) 내부에 유공관(200e)이 설치시 배수로(10) 바닥면 상부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앵글(900b)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공관(200e)을 연속적으로 설치시 일측 유공관(200e)과 타측 유공관(200e) 사이에 하부판넬(250)의 수직 단면과 동일한 형태로 소정의 길이를 가진 이음판(미도시)을 설치하여 상기 이음판(미도시) 내주면에 상기 일측 유공관(200e) 끝단과 타측 유공관(200e) 끝단을 안착하여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물론, 이때 이음판(미도시)을 연결시 유공관(200e)의 내부로 흘러가는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실리콘 등과 같은 실링제(미도시)를 도포하여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공관(200e)을 배수로에 시공시 상기 상부캡(240a)의 경사면 길이방향으로 여과부재(800a)를 씌워주고, 상기 여과부재(800a) 상면에 식생매트(500)의 일측부가 커버하고, 상기 식생매트(500)의 타측부는 배수로(10) 외측으로 연장하여 씌워주어 시공하게 된다.
상기 여과부재(800a)로 인해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공관(200e)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32와 같이 상기 상부캡(240a)의 상부가 상판(241)과 양측 경사면(242)을 곡선으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캡(240a)의 상부가 외향으로 돌출된 곡선으로 형성되며, 상부캡(240a) 상부에서 누르는 하중에도 변형이 없는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한편, 상기 상부캡(240a) 대신에 도 33과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은 매쉬형의 상판(241)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241)의 양측단에서 각각 소정의 기울기로 연장되는 판상의 경사면(24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42)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판상형 제3연장편(243)으로 구성되는 상부캡(240b)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유공관(200d)을 배수로(10)에 연속적으로 설치시 일측 유공관(200d)과 타측 유공관(200d)을 연결시 이음관(700a)을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도 35와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음관(700a)은 중앙 둘레에 형성된 걸림턱(701)을 기준으로 일측은 소구경부(710)와 타측은 대구경부(7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소구경구(710)와 대구경부(720) 각각의 외주에 링형의 홈부(702)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702)에 고무링(730)이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이음관(700a)의 소구경부(710)를 일측 유공관(200d)의 일측단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며, 상기 이음관(700a)의 대구경부(720)를 타측 유공관(200d)의 일측단의 내부로 삽입하여 이음관(700a)을 설치하게 되며, 삽입시 홈부(702)에 체결된 고무링(730)으로 인해 마찰을 줄여주어 유공관(200d)이 수월하게 삽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음관(700a) 대신에 도 37,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중앙의 내주면에 돌출된 링형태의 차단턱(703a)이 형성되고, 양측 내주면에 각각 돌출턱(704a)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704a) 일측에 면접되도록 각각 양측 내부로 삽입되는 고무링(730)이 형성되는 이음관(700b)을 제공한다
상기 이음관(700b)의 차단턱(703a) 양측 내주면에 각각 일/타측 유공관(200d)의 일측단이 각각 삽입되며, 이때 상기 유공관(200d) 양측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돌출턱(704a)의 일측에 설치된 고무링(730)으로 인해 삽입시 일/타측 유공관(200d)의 일측 외주면에 마찰을 줄여주어 쉽게 내속되게 되며,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밀폐효과를 높이게 된다.
한편, 상기 이음관(700b) 대신에 도 40, 도 41 및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의 둘레면에 차단턱(703b)이 형성되고, 양측 외주면 일측에 각각 돌출턱(704b)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704b) 일측에 면접되도록 각각 양측 외주면에 삽입되는 고무링(730)이 형성되는 이음관(700c)을 제공한다.
상기 이음관(700c)의 양측 외주면이 일/타측 유공관(200d)의 일측단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음관(700a, 700b, 700c)은 상술한 유공관(200a, 200b, 200c, 200d)에 모주 적용되어 사용된다.
한편, 상기 어스앵커(400) 대신에 도 43,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공관(200d) 하부에 등간격으로 “┌┐”형태의 이탈방지바(900a)가 수직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바(900a)가 배수로(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유공관(200d)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바(900a)는 상술한 유공관(200a, 200b, 200c, 200d)에 모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기는 절개지의 산마루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상기 배수로에 상술한 산마루 측구를 설치하는 시공방법을 도 46에서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개지의 산마루에 “└┘”자 형상의 배수로(10)를 파는 제1단계와, 상기 배수로(10) 바닥면에 밀폐부재(300)를 적층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밀폐부재(300)의 상면에 유공관(200a)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유공관(200a) 하면에 형성된 밀폐부재(300)를 유공관(200a) 외주면에 부착하여 유공관(200a)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유공관(200a)의 상면을 어스앵커(400)의 결속와이어(420)로 밀착하여 상기 결속와이어(420)가 유공관(200a)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배수로(10) 바닥면의 지면에 상기 어스앵커(400)의 결속와이어(420)와 연결된 고정판(410)을 고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유공관(200a) 양측에 각각 식생매트(500) 일측 끝단을 면접하고, 상기 식생매트(500)의 일측 끝단과 연장된 식생매트(500)를 유공관(200a)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6단계와, 상기 유공관(200a) 양측에 각각 면접된 식생매트(500)의 일측 끝단과 배수로(10) 내측 사이의 공간에 토사를 채우는 제7단계와, 상기 유공관(200a) 상부면에 안착된 식생매트(500)를 배수로(10) 외측으로 펼쳐 배수로(10) 외측의 지면에 면접하도록 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지는 산마루 측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도 11의 (f)와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10) 외측의 지면에 식생매트(500)를 면접한 후, 상기 지면에 면접된 식생매트(500) 끝단의 하면에 위치한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U”형상의 유로홈(20)을 파고, 상기 유로홈(20)의 상면에 식생매트(500) 끝단이 내속되게 하여 식생매트(500) 끝단이 “U”형의 고정홈(51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510) 상면에 매트고정핀(600)을 박아 지면에 고정시키는 제9단계를 더 포함하는 산마루 측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산마루 측구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산마루 측구 : 100, 유공관 : 200a, 200b, 200c, 200d, 200e 통공 : 201, 매쉬형 금속망 : 210, 제1연장편 : 211, 평판형 밀폐판 : 220, 제2연장편 : 221, 보강편 : 230a, 230b, 230c, 볼트공 : 231, 상부캡 : 240a, 240b, 상판 : 241, 경사면 : 242, 제3연장편 : 243, 하부판넬 : 250, 제4연장편 : 251, 보강부재 : 260, 측면판 : 261, 보강봉 : 262, 밀폐부재 : 300, 어스앵커 : 400, 고정판 : 410, 고정날개 : 411, 결속공 : 412, 이탈방지공 : 413, 결속와이어 : 420, 식생매트 : 400, 고정홈 : 510, 매트고정핀 : 600, 이음관 : 700a, 700b, 700c, 걸림턱 : 701, 홈부 : 702, 차단턱 : 703a, 703b, 돌출턱 : 704a, 704b, 소구경부 : 710, 대구경부 : 720, 고무링 : 730, 여과부재 : 800a, 800b, 이탈방지바 : 900a, 측면앵글 : 900b

Claims (25)

  1. 절개지의 산마루에 배수로(10)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1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외주면 전체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내통된 다수개 통공(201)이 형성된 유공관(200a)과, 상기 유공관(200a)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밀폐부재(300)와, 상기 유공관(200a)의 상부면을 밀착하여 유공관(200a)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고정되도록 유공관(200a)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어스앵커(400)와, 상기 유공관(200a)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공관(200a) 일측의 일면을 면접하여 배수로(10) 외측으로 더 연장하여 커버하도록 초본류가 식재된 식생매트(500)로 구성되는 산마루 측구(100)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400)는 양측단에 형성되며,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고정날개(411)가 좌우대칭의 한쌍이 일체로 판상형태의 “V”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날개(411) 각각의 일면에 결속공(412)이 형성되며, 한쌍의 고정날개(411)가 면접되는 중앙에 이탈방지공(413)이 형성되는 고정판(410)과,
    상기 양측단에 형성된 고정판(410)의 고정날개(411)에 형성된 결속공(412)을 통과하여 연결하고, 고정판(410)과 고정판(410) 사이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결속와이어(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마루 측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500)가 배수로(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끝단부에 길이방향으로 “U”형의 고정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510)에 등간격으로 매트고정핀(6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마루 측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300) 대신에 하부면은 밀폐되며, 상부면에 통공이 형성된 유공관(200b)이 설치되어, 배수로(10)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마루 측구.
  6.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택일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200a, 200b)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여과부재(800a)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7.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택일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 전체가 내통된 통공(201)을 가지거나 상부면은 내통된 통공(201)을 가지며 하부면은 통공(201)이 없는 밀폐된 형태를 가진 유공관(200a, 200b) 대신에 외주면 전체가 매쉬형 금속망(210)을 가진 유공관(200c)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의 유공관(200c)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여과부재(800b)를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의 유공관(200c) 대신에 상부는 매쉬형 금속망(210)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평판형 밀폐판(220)으로 형성되는 유공관(200d)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형 금속망(210)의 하단부 양측단이 각각 외측으로 절곡연장되는 제1연장편(211)이 형성되고,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의 상단부 양측단이 각각 외측으로 절곡연장되는 제2연장편(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 대신에 상부의 매쉬형 금속망(210)과 상하 대칭되는 매쉬형 금속망(210)이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연장편(221)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양측에 볼트공(231)이 형성되는 판상의 보강편(230a)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 내주면에 수직의 등간격으로 원통형 보강편(230b)이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 상부에 매쉬형 금속망(2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 내주면의 길이방향으로 코일형태로 감겨진 스프링형 보강편(230c)이 설치되어 상기 평판형 밀폐판(220) 상부에 매쉬형 금속망(2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200d) 대신에 상면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판(241)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241)의 양측단에서 각각 소정의 기울기로 연장되는 경사면(24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42)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제3연장편(243)으로 구성되는 매쉬형 상부캡(240a)과,
    상기 상부캡(240a)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캡(240a)의 제3연장편(243)과 면접되어 고정되도록 양측단에 제4연장편(251)이 형성되는 “└┘”형의 평판형 하부판넬(250)로 이루어지는 유공관(200e)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240a) 대신에 상면은 매쉬형의 상판(241)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241)의 양측단에서 각각 소정의 기울기로 연장되는 판상의 경사면(24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42)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판상형 제3연장편(243)으로 구성되는 상부캡(240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넬(250) 내부의 양측면에 수평으로 결속되며, 양측에 “ㄷ”형의 측면판(26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261) 사이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환봉형의 보강봉(262)으로 구성되는 보강부재(2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넬(250)의 양측면에 각각 “ㄴ”형의 측면앵글(900b)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200d)을 배수로(10)에 연속적으로 설치시 일측 유공관(200d)과 타측 유공관(200d)을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관(700a)은,
    중앙 둘레에 형성된 걸림턱(701)을 기준으로 일측은 소구경부(710)와 타측은 대구경부(7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소구경구(710)와 대구경부(720) 각각의 외주에 링형의 홈부(702)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702)에 고무링(7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700a) 대신에 내부 중앙의 내주면에 돌출된 링형태의 차단턱(703a)이 형성되고, 양측 내주면에 각각 돌출턱(704a)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704a) 일측에 면접되도록 각각 양측 내부로 삽입되는 고무링(730)이 형성되는 이음관(700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700b) 대신에 중앙의 둘레면에 차단턱(703b)이 형성되고, 양측 외주면 일측에 각각 돌출턱(704b)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704b) 일측에 면접되도록 각각 양측 외주면에 삽입되는 고무링(730)이 형성되는 이음관(700c)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2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200d) 하부에 등간격으로 "┌┐"형태의 이탈방지바(900a)가 수직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머루 측구.
  23. 절개지의 산마루에 “└┘”자 형상의 배수로(10)를 파는 제1단계와, 상기 배수로(10) 바닥면에 밀폐부재(300)를 적층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밀폐부재(300)의 상면에 유공관(200a)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유공관(200a) 하면에 형성된 밀폐부재(300)를 유공관(200a) 외주면에 부착하여 유공관(200a)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유공관(200a)의 상면을 어스앵커(400)의 결속와이어(420)로 밀착하여 상기 결속와이어(420)가 유공관(200a)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배수로(10) 바닥면의 지면에 상기 어스앵커(400)의 결속와이어(420)와 연결된 고정판(410)을 고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유공관(200a) 양측에 각각 식생매트(500) 일측 끝단을 면접하고, 상기 식생매트(500)의 일측 끝단과 연장된 식생매트(500)를 유공관(200a)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6단계와, 상기 유공관(200a) 양측에 각각 면접된 식생매트(500)의 일측 끝단과 배수로(10) 내측 사이의 공간에 토사를 채우는 제7단계와, 상기 유공관(200a) 상부면에 안착된 식생매트(500)를 배수로(10) 외측으로 펼쳐 배수로(10) 외측의 지면에 면접하도록 하는 제8단계로 시공되는 산마루 측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0) 외측의 지면에 식생매트(500)를 면접한 후, 상기 지면에 면접된 식생매트(500) 끝단의 하면에 위치한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U”형상의 유로홈(20)을 파고, 상기 유로홈(20)의 상면에 식생매트(500) 끝단이 내속되게 하여 식생매트(500) 끝단이 “U”형의 고정홈(51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510) 상면에 매트고정핀(600)을 박아 지면에 고정시키는 제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마루 측구를 이용한 시공방법.
  24. 삭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를 시공 후 유공관(200a)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여과부재(800a)를 씌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마루 측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10068197A 2011-03-18 2011-07-11 산마루 측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39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633 2011-03-18
KR20110024633 2011-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219B1 true KR101139219B1 (ko) 2012-04-20

Family

ID=4614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197A KR101139219B1 (ko) 2011-03-18 2011-07-11 산마루 측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2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486B1 (ko) * 2012-12-28 2014-02-24 이예순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5108212A1 (ko) * 2014-01-16 2015-07-23 이예순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5297875A (zh) * 2015-10-13 2016-02-03 中铁二院重庆勘察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整体式截水沟的施工方法
RU2647322C1 (ru) * 2017-04-20 2018-03-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мелиорации" (ФГБНУ "РосНИИП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воднения элементов гидрографической сети из каналов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7811A (ja) * 1986-12-29 1988-07-11 Giken Kogyo Kk 瀘過排水装置
KR200148217Y1 (ko) * 1996-04-23 1999-06-15 박정서 암거 집배수관
KR200272855Y1 (ko) 2001-12-21 2002-04-20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도로측구의 지중 맹암거구조
KR101003720B1 (ko) 2007-10-18 2010-12-24 서동현 환경친화형 산마루 측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7811A (ja) * 1986-12-29 1988-07-11 Giken Kogyo Kk 瀘過排水装置
KR200148217Y1 (ko) * 1996-04-23 1999-06-15 박정서 암거 집배수관
KR200272855Y1 (ko) 2001-12-21 2002-04-20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도로측구의 지중 맹암거구조
KR101003720B1 (ko) 2007-10-18 2010-12-24 서동현 환경친화형 산마루 측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486B1 (ko) * 2012-12-28 2014-02-24 이예순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5108212A1 (ko) * 2014-01-16 2015-07-23 이예순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5297875A (zh) * 2015-10-13 2016-02-03 中铁二院重庆勘察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整体式截水沟的施工方法
CN105297875B (zh) * 2015-10-13 2017-04-12 中铁二院重庆勘察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整体式截水沟的施工方法
RU2647322C1 (ru) * 2017-04-20 2018-03-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мелиорации" (ФГБНУ "РосНИИП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воднения элементов гидрографической сети из канало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658B1 (ko)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39219B1 (ko) 산마루 측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8193758B (zh) 海绵城市道路收蓄排水结构
US8127515B1 (en) Green roof assembly for inhibiting wind erosion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5021375B2 (ja) 斜面の緑化と安定化構造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CN211340661U (zh) 一种植被效果好的水利工程生态护坡
CN205259198U (zh) 一种柔性护坡装置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JP7367291B2 (ja) 地盤の液状化抑制方法
KR101628201B1 (ko) 생태 블록 구조물
JP7367292B2 (ja) 地盤の不陸抑制方法
KR200419609Y1 (ko) 하천 제방 법면 보강 시 호안의 식생 축조에 적합한 유공관조립체
KR200311986Y1 (ko) 식재가능한 조립식 격자블럭
KR101366486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13986B1 (ko)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GB2489455A (en) A drainage system for a tree pit
KR100545940B1 (ko)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JP5827936B2 (ja) 濾過構造体
JP2020180457A (ja) 地盤の液状化抑制構造
KR101403018B1 (ko) 식생옹벽 구조물
CN213095064U (zh) 具有排水功能的植生管以及边坡复绿系统
KR20060075707A (ko) 앵커식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 매트의 설치 구조와 이를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JP3056699B2 (ja) 覆土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