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309B1 -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309B1
KR101138309B1 KR1020090015288A KR20090015288A KR101138309B1 KR 101138309 B1 KR101138309 B1 KR 101138309B1 KR 1020090015288 A KR1020090015288 A KR 1020090015288A KR 20090015288 A KR20090015288 A KR 20090015288A KR 101138309 B1 KR101138309 B1 KR 101138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image
paper
printing paper
book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416A (ko
Inventor
병 학 권
Original Assignee
병 학 권
(주) 사과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병 학 권, (주) 사과나무 filed Critical 병 학 권
Priority to KR1020090015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3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9/00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 이미지를 인쇄한 인쇄지를 코팅하고 이를 모아 제본하여 제작하는 앨범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천공 공정을 포함하는 앨범의 제작 방법으로 효율적인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병에 따른 앨범은, 책장 펼침이 용이하도록 일면 또는 양면에 이미지가 인쇄되며 측변에 다수의 장공과 상기 장공이 절리되지 않도록 연결편부는 남겨둔 상태로 천공하여 절곡부위를 마련한 인쇄지를 필름으로 코팅한 앨범지와, 상기 앨범지를 다수로 마련하되 절곡부위를 중심으로 일체로 제본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 앨범, 앨범대지, 인쇄지, 코팅, 비닐 수지, 접철

Description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n album}
본 발명에 따른 앨범 및 이의 제작방법은, 사진 이미지를 인쇄한 인쇄지를 코팅하고 이를 모아 제본하여 제작하는 앨범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천공 공정을 포함하는 앨범의 제작 방법으로 효율적인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에 관한 것이다.
앨범은 사진의 파손과 분실을 방지하여 보존할 목적으로 만들어진다. 통상의 접착식 앨범은 사진을 붙였다 뗐다 할 수 있는 앨범대지가 투명한 비닐커버로 덮여져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착식 앨범은 앨범대지의 양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그 앨범대지에 부착된 사진 속으로 배어 들어가 시간이 지나면서 사진을 변색시킨다는 단점이 있었다다. 또한, 비교적 두꺼운 앨범대지의 양면에 사진을 부착함으로써, 앨범의 부피는 커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보관하고자 하는 사진이 앨범보다 크면 이 사진을 앨범대지에 부착시켜 보관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사진들을 별도로 모아서 보관하거나 더 큰 앨범을 구입해서 사진을 정리해야 했다.
한편, 근래 디지털 카메라 및 개인용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과 사용으로 인하 여 종래 필름인화로 생성되는 사진과 달리 컴퓨터 파일의 형태인 디지털 사진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앨범 또한 종래의 앨범대지와 사진이 별도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앨범지에 사진 이미지가 프린트(인쇄)되어 구성되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상기의 이미지를 프린트한 인쇄지를 제본하여 만들어지는 앨범은, 인쇄지의 두께에 의해 앨범 책장의 넘김이 원활화지 않아 사용자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앨범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이미지를 디지털화하는 데이터 준비단계와; 상기 데이터 준비단계에서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컴퓨터에서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보정 및 편집하여 편집이미지로 만드는 이미지 편집단계와; 상기 이미지 편집단계에서 형성된 편집이미지를 인쇄지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인쇄하는 이미지 출력단계와; 상기 이미지 출력단계에서의 인쇄된 인쇄지의 일변측에 다수의 장공 및 상기 각 장공 사이에 연결편부를 형성하여, 상기 인쇄지의 절곡부위를 마련하는 장공의 천공단계와; 상기 천공단계에서의 천공된 인쇄지의 일면 또는 양면을 필름으로 코팅하여 앨범지를 형성하는 필름 코팅단계와; 상기 필름 코팅단계에서 만들어진 여러 장의 앨범지의 각 절곡부위를 중심으로 일체로 모아 앨범으로 제본하는 제본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장공의 천공단계는, 인쇄지의 양변측에 각각에 다수의 장공 및 상기 각 장공 사이의 연결편부를 형성하며; 상기 필름 코팅단계 완료 다음, 앨범지의 양변측을 맞닿도록 접는 접기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앨범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이미지를 디지털화하는 데이터 준비단계와; 상기 데이터 준비단계에서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컴퓨터에서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보정 및 편집하여 편집이미지로 만드는 이미지 편집단계와; 인쇄지의 일변측에 다수의 장공 및 상기 각 장공 사이에 연결편부를 형성하여, 인쇄지의 절곡부위를 마련하는 장공의 천공단계와; 상기 이미지 편집단계에서 형성된 편집이미지를 상기 천공단계에서의 천공된 인쇄지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인쇄하는 이미지 출력단계와; 상기 이미지 출력단계에서의 인쇄된 인쇄지의 일면 또는 양면을 필름으로 코팅하여 앨범지를 형성하는 필름 코팅단계와; 상기 필름 코팅단계에서 만들어진 여러 장의 앨범지의 각 절곡부위를 중심으로 일체로 모아 앨범으로 제본하는 제본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장공의 천공단계는, 인쇄지의 양변측에 각각에 다수의 장공 및 상기 각 장공 사이의 연결편부를 형성하며; 상기 필름 코팅단계 완료 다음, 앨범지의 양변측을 맞닿도록 접는 접기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은, 사용자가 앨범의 책장을 넘기는 경우 책장 펼침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을 제작하는 경우, 간단한 장공의 천공 등을 통하여 간단하고 효과적인 제작이 가능하여 앨범의 제작시간이 단축되며 이에 따른 앨범의 생산 단가의 상승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에 포함되는 앨범지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a 와 도 3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제작 방법에 따른 서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와 도 5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제작 방법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 작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이는 앨범과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먼저 앨범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앨범을 제작방법은 도 4와 도 5 각각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단계의 순서가 서로 상이한 두 가지의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4와 같이 데이터 준비단계와, 이미지 편집단계, 출력단계, 천공단계, 코팅단계, 그리고 제본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데이터 준비단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실물 사진 등을 원본이미지로 하고 이를 디지털화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원본이미지의 소스(원천)가 실물 사진의 경우 스캐너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사용할 수 있는 파일 형상으로 변화하여 디지털 변환을 한다. 반면 원본이미지의 소스가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이미지) 데이터와 같은 경우 그 자체가 디지털화되어 있는 경우이기 때문에 별도의 준비단계를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원본이미지의 유형은 흑백사진이나 컬러사진 또는 초상화와 같은 그림과 같은 실물 사진이거나,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인터넷에서 내려받기한 각종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준비단계에서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컴퓨터에서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보정 및 편집하여 편집이미지로 만드는 이미지 편집단계로 이행한다.
편집이미지는 상기 원본이미지를 상으로 하여 보정, 합성하여 이미지의 개선이나 변형의 작업된 이미지를 재생산하는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형상 보정과 색상 보정으로 나눌 수 있다. 형상 보정은, 유형물 형태로 제공된 원본이미지가 물리적으로 찢어지거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간 경우 그 훼손된 부분을 그래픽 처리에 의해 보충해 주거나 원본이미지상의 보기 싫은 부분을 앨범제작의뢰인의 요청에 따라 삭제해 주는 일련의 작업을 일컫는다. 이에 대해, 색상 보정은 빛바랜 부분을 원래의 색상으로 복원하거나 흑백이미지를 컬러이미지로 변환하는 작업을 일컫는다. 한편, 상기의 합성은, 적어도 둘 이상의 디지털화된 원본이미지를 이용하여 전혀 다른 이미지를 창조해 내는 일련의 작업을 일컫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편집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용 그래픽 프로그램으로는 포토샵 또는 페인트 샵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미지 편집단계에서 형성된 편집이미지를 인쇄지(110)(도 2 참고)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인쇄하는 이미지 출력단계로 이행한다. 이러한 출력단계에서는 전용 인쇄기나 프린터를 통해 인쇄지(110) 상에 인쇄되며 상기 인쇄지(110)는 앨범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이 재질을 선택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서 보이는 인쇄지(110)에 대한 출력은 일면 또는 양면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이미지 중 절반만 인쇄되도록 하고 인접하는 다른 인쇄지(110)에 나머지 절반의 이미지를 인쇄하여 최종 제작되는 앨범을 펼쳤을 때 하나의 통합된 이미지를 구현해 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미지 출력단계에서의 인쇄된 인쇄지(110)의 일변측에 다수의 장공(115) 및 상기 각 장공(115) 사이에 연결편부(116)를 형성하여, 상기 인쇄지(110)의 절곡부위(가)를 마련하는 장공의 천공단계로 이행한다.
도 2 및 도 2의 부분확대도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인쇄지(110)의 일변측에는 상기 일변측과 일정 간격을 두고 그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장공(11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장공(115)의 경우 다수로 천공시켜되 상기 장공(115)으로 인해 생겨나는 절곡부위(가)가 절리되지 않도록 장공(115)과 장공(115)사이에 간격을 둠으로써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결편부(116)를 마련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위(가)는 크기(폭)은 대략 3㎝~5㎝ 정도로 구성하며, 최종 앨범의 크기에 따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곡부위(가)는 도 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여러 장이 서로 제본으로 접합되어 최종 완성되는 앨범의 책등을 구성하는 부분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천공단계에서의 천공된 인쇄지(110)의 일면 또는 양면을 필름(120)으로 코팅하여 앨범지(100)를 형성하는 필름 코팅단계로 이행한다.
도 2에서 보이는 것 같이, 상기 인쇄지(110)의 면상에 코팅되는 필름(120)은 통상의 광 투과성을 가지는 비닐 수지의 필름이면 충분하며, 코팅하는 방법 또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필름(120)이 장공(115)의 상부 및 하부에 코팅되도록 하여 앨범지(100)의 펼치는 동작이 반복되는 경우 코팅된 필름(120)이 경첩역할을 하여 연결편부(116)가 절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의 효과를 가지도록 즉 연결편부(116)가 절리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120)이 장공(115)의 상부 및 하부에 코팅되지 않도록 그 크기를 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최종의 앨범(10)은 그 낱장인 앨범지(100) 각각이 잘 떨어지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필름 코팅단계에서 만들어진 여러 장의 앨범지(100)의 각 절곡부위(가)를 중심으로 일체로 모아 앨범으로 제본하는 제본단계로 이행하여 앨범(10)을 완성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완성된 앨범(10)은 절곡부위(가)가 장공(115)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위(가) 앨범의 책등을 형성함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앨범(10)을 넘겨 펼치는 경우 단일의 앨범지(100)가 잘 펼쳐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b와 같이, 상기 장공의 천공단계를 인쇄지(110)의 양변측에 각각에 다수의 장공(115) 및 상기 각 장공(115) 사이의 연결편부(116)를 형성하도록 한 경우, 상기 필름 코팅단계를 완료한 다음에 앨범지(100)의 양변측을 맞닿도록 접어 도 3a와 같이 형성하는 접기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
도 5와 같이 데이터 준비단계와, 이미지 편집단계, 천공단계, 출력단계, 코팅단계, 그리고 제본단계로 구성된다. 특히 상술한 일 실시 예에서의 출력단계 이후 천공단계가 본 실시 예에서는 변경되어 있다. 따라서, 데이터 준비단계와, 이미지 편집단계 각각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하며 이에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미지 편집단계의 다음으로 인쇄지(110)의 일변측에 다수의 장공(115) 및 상기 각 장공(115) 사이에 연결편부(116)를 형성하여, 인쇄지(110)의 절곡부위(가)를 마련하는 장공의 천공단계와 상기 이미지 편집단계에서 형성된 편집이미지를 상기 천공단계에서의 천공된 인쇄지(110)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인쇄하는 이미지 출력단계를 이행한다.
이후, 상술한 일 실시 예와 같이 나머지 단계인 코팅단계, 그리고 제본단계로 구성되며 상세한 설명은 상기 일 실시예에 갈음한다.
또한, 도 3b와 같이, 상기 장공의 천공단계를 인쇄지(110)의 양변측에 각각에 다수의 장공(115) 및 상기 각 장공(115) 사이의 연결편부(116)를 형성하도록 한 경우, 상기 필름 코팅단계를 완료한 다음에 앨범지(100)의 양변측을 맞닿도록 접어 도 3a와 같이 형성하는 접기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을 제공한다. 상기 앨범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일면 또는 양면에 이미지가 인쇄되며, 측변에 다 수의 장공(115)과 상기 장공(115)이 절리되지 않도록 연결편부(116)는 남겨둔 상태로 천공하여 절곡부위(가)를 마련한 인쇄지(110)를 필름(120)으로 코팅한 앨범지(100)와, 상기 앨범지(100)를 다수로 마련하되, 절곡부위(가)를 중심으로 일체로 제본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에 포함되는 앨범지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3a 와 도 3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제작 방법에 따른 서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제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작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제작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작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앨범 100 : 앨범지
110 : 인쇄지 120 : 필름
115 : 장공 116 : 연결편부
가 : 절곡부위

Claims (5)

  1. 앨범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이미지를 디지털화하는 데이터 준비단계와;
    상기 데이터 준비단계에서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컴퓨터에서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보정 및 편집하여 편집이미지로 만드는 이미지 편집단계와;
    상기 이미지 편집단계에서 형성된 편집이미지를 인쇄지(110)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인쇄하는 이미지 출력단계와;
    상기 이미지 출력단계에서의 인쇄된 인쇄지(110)의 일변측에 다수의 장공(115) 및 상기 각 장공(115) 사이에 연결편부(116)를 형성하여, 상기 인쇄지(110)의 절곡부위(가)를 마련하는 장공의 천공단계와;
    상기 천공단계에서의 천공된 인쇄지(110)의 일면 또는 양면을 필름(120)으로 코팅하여 앨범지(100)를 형성하는 필름 코팅단계와;
    상기 필름 코팅단계에서 만들어진 여러 장의 앨범지(100)의 각 절곡부위(가)를 중심으로 일체로 모아 앨범으로 제본하는 제본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천공단계는, 인쇄지(110)의 양변측에 각각에 다수의 장공(115) 및 상기 각 장공(115) 사이의 연결편부(116)를 형성하며;
    상기 필름 코팅단계 완료 다음, 앨범지(100)의 양변측을 맞닿도록 접는 접기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
  3. 앨범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이미지를 디지털화하는 데이터 준비단계와;
    상기 데이터 준비단계에서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컴퓨터에서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보정 및 편집하여 편집이미지로 만드는 이미지 편집단계와;
    인쇄지(110)의 일변측에 다수의 장공(115) 및 상기 각 장공(115) 사이에 연결편부(116)를 형성하여, 인쇄지(110)의 절곡부위(가)를 마련하는 장공의 천공단계와;
    상기 이미지 편집단계에서 형성된 편집이미지를 상기 천공단계에서의 천공된 인쇄지(110)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인쇄하는 이미지 출력단계와;
    상기 이미지 출력단계에서의 인쇄된 인쇄지(110)의 일면 또는 양면을 필름(120)으로 코팅하여 앨범지(100)를 형성하는 필름 코팅단계와;
    상기 필름 코팅단계에서 만들어진 여러 장의 앨범지(100)의 각 절곡부위(가)를 중심으로 일체로 모아 앨범으로 제본하는 제본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천공단계는, 인쇄지(110)의 양변측에 각각에 다수의 장공(115) 및 상기 각 장공(115) 사이의 연결편부(116)를 형성하며;
    상기 필름 코팅단계 완료 다음, 앨범지(100)의 양변측을 맞닿도록 접는 접기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
  5. 삭제
KR1020090015288A 2009-02-24 2009-02-24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 KR101138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288A KR101138309B1 (ko) 2009-02-24 2009-02-24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288A KR101138309B1 (ko) 2009-02-24 2009-02-24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416A KR20100096416A (ko) 2010-09-02
KR101138309B1 true KR101138309B1 (ko) 2012-04-25

Family

ID=4300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288A KR101138309B1 (ko) 2009-02-24 2009-02-24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298A (ko) * 2012-11-07 2015-07-15 유니바인드 리미티드 낱장들로 된 번들을 제본하기 위한 방법과, 이 낱장들로 된 번들을 형성하기 위한 낱장들로 된 번들,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036B1 (ko) * 2011-06-03 2012-02-29 코코북 주식회사 앨범 및 이의 제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6484U (ko) 1985-05-10 1986-11-20
KR100801191B1 (ko) * 2007-07-25 2008-02-15 주식회사 이지프린트 초박형 기념앨범의 제작방법
JP2009504452A (ja) 2005-08-17 2009-02-05 サレス・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デジタル写真印刷物のためのシートサポ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6484U (ko) 1985-05-10 1986-11-20
JP2009504452A (ja) 2005-08-17 2009-02-05 サレス・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デジタル写真印刷物のためのシートサポート
KR100801191B1 (ko) * 2007-07-25 2008-02-15 주식회사 이지프린트 초박형 기념앨범의 제작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298A (ko) * 2012-11-07 2015-07-15 유니바인드 리미티드 낱장들로 된 번들을 제본하기 위한 방법과, 이 낱장들로 된 번들을 형성하기 위한 낱장들로 된 번들, 방법 및 장치
KR101924680B1 (ko) * 2012-11-07 2019-02-20 유니바인드 리미티드 낱장들로 된 번들을 제본하기 위한 방법과, 이 낱장들로 된 번들을 형성하기 위한 낱장들로 된 번들, 방법 및 장치
US10369830B2 (en) 2012-11-07 2019-08-06 Unibind Limited Method for binding a bundle of leaves, a bundle of leaves,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such a bundle of leaves
US10703125B2 (en) 2012-11-07 2020-07-07 Unibind Limited Method for binding a bundle of leaves, a bundle of leaves,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such a bundle of lea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416A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309B1 (ko) 책장 펼침이 용이한 앨범의 제작방법
JP2022037008A (ja) 紙葉束の装丁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書籍又はフォルダ
JP4328270B2 (ja) アルバム
US20020136590A1 (en) Personalized event/theme photograph album
US20020021000A1 (en) Photo album
KR100801191B1 (ko) 초박형 기념앨범의 제작방법
KR101033714B1 (ko) 초박형 앨범의 제작방법
JP2005335356A (ja) 組立額及びそれに関するシート
JP2011046049A (ja) アルバム台紙の製造方法及びアルバム台紙
KR200180057Y1 (ko) 디지털 사진 앨범 구조
JP3127867U (ja) デジタル加工写真アルバム
JP3164970U (ja) 写真アルバム複製版
JP2005035192A (ja) 冊子体のカバー、冊子体の表紙材及び冊子体
JP3851890B2 (ja) 印刷用紙
JP2008146590A (ja) 画像プリント製本システム
CN207481510U (zh) 前置式全景毕业相册
KR20120016758A (ko) 사진 앨범 및 사진 앨범 제작 방법
JP2011156742A (ja) アルバムの製本方法
JP2008246709A (ja) 写真アルバム及び写真アルバム作製システム
JP3102591U (ja) アルバム
JP3103900U (ja) デジタル加工写真アルバム
JPH10315655A (ja) 冊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89962U (ja) ポップアップ仕掛け付き冊子
JP3005073U (ja) 簡易アルバム型の結婚披露宴用席札
JP3116602U (ja) 5面折り名刺サイズの結婚式用席札及びpr用カード用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