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021B1 -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신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및 이를 이용한 올리고당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신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및 이를 이용한 올리고당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021B1
KR101137021B1 KR1020060120115A KR20060120115A KR101137021B1 KR 101137021 B1 KR101137021 B1 KR 101137021B1 KR 1020060120115 A KR1020060120115 A KR 1020060120115A KR 20060120115 A KR20060120115 A KR 20060120115A KR 101137021 B1 KR101137021 B1 KR 101137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osyltransferase
protein
recombinant
sugar chain
expression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490A (ko
Inventor
강현아
김성훈
오두병
권오석
정재갑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20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021B1/ko
Publication of KR20080049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48Glycosyltransferases (2.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52Genes encoding for enzymes or pro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8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 glycosyl transferase, e.g. alpha-, beta- or gamma-cyclodextr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Fusobacterium nucleatum) 유래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와 이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클로닝된 재조합 벡터, 및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 그리고 이러한 형질전환체가 생산하는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효소를 이용하여 올리고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당쇄합성, 올리고당, 당쇄전구체, 당쇄, 당단백질, 당지질

Description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신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및 이를 이용한 올리고당 제조방법{Novel glycosyltransferase from Fusobacterium nucleatum and use thereof}
도 1 은 수용체로서 단당류인 포도당, 갈락토오즈, 헵토오즈, 및 N-아세틸갈락토사민과 이당류인 유당, 락토사민 및 이들을 포함하는 복합 당쇄에 공여물질로서 뉴클레오타이드-당을 이용하여 올리고당을 합성할 수 있는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유전자 Fnu_GT를 포함한 플라스미드 벡터 pET-Fnu_GT를 나타낸다.
도 2 는 발현된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웨스턴분석 결과(A) 및 분리 정제된 단백질의 SDS-PAGE 분석 결과(B)를 나타낸다.
A. 발현된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웨스턴분석 결과
(S: 표준단백질 마커, 1: 대장균 세포추출액, 2: pET32a 벡터로 형질 전환된 대장균 세포추출액, 3: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벡터 pET32-Fnu_GT로 형질 전환된 대장균 세포추출액)
B. 분리 정제된 단백질의 SDS-PAGE 분석 결과
(S: 표준단백질 마커, 1: 세포추출물, 2: Ni-NTA 칼럼을 통과하여 분리된 단백질 분획, 3: Q-Sepharose 칼럼을 통과하여 분리된 단백질 분획, 4: 엔터루카이네이즈를 처리하여 N-말단 부위의 Trx-태그를 제거한 단백질)
도 3 은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활성에 영향을 주는 최적 pH를 나타낸다.
(●: MES 완충용액 (pH 5.0-7.0), : MOPS 완충용액 (pH 6.5-8.0), □: Tris-HCl 완충용액 (pH 7.5-9.0))
도 4 은 망간, 바륨, 마그네슘, 칼슘 2가 양이온 첨가시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신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코딩하는 핵산, 이에 의해 코딩된 단백질 및 재조합 대장균에서 생산된 본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이용한 올리고당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의 표면, 단백질 및 지질 등에 부착되어 있는 올리고당은 세포간의 인식, 부착 증식 및 분화 등의 핵심역할을 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Sasisekharan and Myette, Am . Sci . 91:432-441 (2003)).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리포올리고당(lipooligosaccharide, LOS), 리포다당(lipopolysaccharide, LPS) 및 점막다당질(capsular polysaccharide)이 인체 내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톡신(toxin)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Bos et al., PNAS 101: 9417-9422 (2004)), 이들 중 일부는 뇌수막균성 질환에서 부신피질의 괴질에 관여하는 엔도톡신 분자로 보고 되어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5892호). 특히, 최근에는 인간과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기전을 통해 이러한 병원성 미생물 유래의 올리고당이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기작이 발견됨에 따라 암 전이를 막는 항암제나 항염증치료제로도 사용하고 있다(Miyake and Iijima, Adv , Biochem . Engin. Biotechnol . 90: 89-11 (2004)).
다양한 위치 특이적 및 광학 특이적 형태를 갖는 올리고당은 화학합성과 효소를 이용한 방법 또는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을 결합시킨 화학-효소 합성공정 (chemoenzymatic synthesis)을 통해 합성되고 있다(Murata and Usui, Biosci . Biotechnol . Biochem . 70: 1049-1059 (2006)).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올리고당 생산법은 반응에 관여하는 화학촉매, 반응조건, 수용체와 공여체의 선정 등에 따라 반응 수율이 크게 변하며, 당 수용체의 특정위치에 공여체를 전달해주는 위치특이성 및 광학 특이성이 매우 낮아 공정단계에서 부산물이 많이 발생하는 고비용 저효 율의 반응시스템으로서, 제한적인 공정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반면, 효소를 이용한 올리고당 합성 방법은 효소의 우수한 기질 특이성, 화학특이성, 위치 특이성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오래전부터 전이효소 및 가수분해효소 등을 중심으로 올리고당 합성에 많은 연구가 진행 되어왔다(Koeller and Wong. Glycobiology 10: 1157-1169 (2000); Murata and Usui, Biosci . Biotechnol . Biochem . 70: 1049-1059 (2006)).
포유류를 비롯한 고등진핵세포 생물 유래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glycosyltransferase)는 대장균이나 효모와 같은 원핵세포에서 재조합단백질 형태로서 생산되는 경우, 발현 효율 및 활성형 단백질의 생산 수율이 매우 낮다고 알려져 있어(Nakazawa et al., J. Biochem . 113: 747-753 (1993); Malissard et al., Eur . J. Biochem . 239: 340-348 (1996); Malissard and Berger, Eur. J. Biochem. 268: 4352-4358 (2001)), 효소를 이용한 올리고 다당의 생합성시 고가의 효소 비용이 요구되어, 생산 단가의 증대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반해 박테리아 유래의 효소는 대장균이나 효모와 같은 미생물 발현 시스템에서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효율이 높다. 특히 병원성 미생물의 세포표면의 리포올리고당, 리포다당 및 점막다당질올리고당의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들은 고등진핵세포 생물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와 유사한 기질 특이성을 갖는 효소들이 많이 발견된다(Johnson, K.F. Glycoconj J. 16:141-146 (1999)). 하지만 병원성미생물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직접 병원성 미생물에서 분리 정제하는 것은 세포내에서 이들의 양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아 생산수율이 매우 낮고, 병원성미생물이 오염의 되었을 때 위험이 높다는 단점이 있 다. 그러나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해 병원성 미생물 유래의 유전자로부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및 유사 효소 코딩 유전자를 증폭한 후 대장균 및 효모 같은 재조합 단백질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 방법은 단백질의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고,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통해 재조합단백질에 다른 기능을 부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효소의 개량을 통해 효소의 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올리고다당의 합성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10-0527437;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10-0465892; 국제특허공고 공개번호 WO1996/10086). 더 나아가 다양한 기질 특이성을 재조합효소에 부가시킴으로서 여러 가지 화학결합을 갖는 올리고당 합성이 가능한 개량형 효소로 개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haroni et al., Nat. Methods 3:609-614 (2006)).
현재 리포다당 혹은 올리고다당의 합성에 관여하는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중에서 갈락토오즈-베타-1,4-글루코사민 또는 포도당(Gal β14 GlcNAc 또는 Glc), 갈락토사민 또는 글루코사민-베타1,3-갈락토오즈(GalNAc or GlcNAc β13 Gal), 갈락토오즈-알파-1,4-갈락토오즈(Gal α14 Gal) 올리고당 생합성을 통해 락토-N-네오테트라오제(lacto-N-tetraose) 유도체, 강글리오사이드(ganglioside) 유도체, 글로보 글리코리피드(globoside glycolipid) 유도체 합성에 이용될 수 있는 나이세리아 고노래아(Neisseria gonorrhoeae), 나이제리아 메닝지티디스(Neisseria meningitidis) 유래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및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Gotschlich, E.C.에 의해 보고되어 있다(Gotschlich, J. Exp. Med. 180: 2181-2190 (1994);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10-0465892; 국제특허공고 공개번호 WO1996/10086). 또한 이 병원성 미생물의 리포올리고다당의 화학적 구조가 규명되어 각각의 효소가 형성하는 기질 특이적인 당쇄 결합이 규명되어 있다(Zhu et al., Microbiology 152: 123-134 (2006)). 또한 이러한 결과로부터 나이세리아 유래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이용해 합성된 올리고당들은 나이세리아 감염의 면역회피(immune evasion) 반응을 위한 물질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인체 구강 감염균인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Fusobacterium nucleatum) 유래의 리포올리고당에 대한 구조는 리포올리고당을 형성하는 복합체 형태인 O-특이성 다당(O-specific polysaccharide), 핵심 다당(core polysaccharide), 리피드 A (lipid A) 중에서 리피드 A의 화학적 성분만이 분석되었을 뿐(Hase et al., J. Bacteriol . 129: 9-14 (1977)), 아직까지 전체적인 리포올리고다당의 화학적인 구조 및 구성 성분은 규명된 바 없다. 더욱이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의 전체 유전체가 해독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리포올리고다당 합성에 관여하는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들의 생화학적인 특성이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며, 리포올리고다당의 화학적인 구조 데이터의 미비로 현재까지 이 균의 리포올리고다당의 합성에 대해서는 전혀 보고된 바 없었다(Kapatral et al. Genome Res. 13: 1180-1189 (2003)).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화학반응 및 화학촉매를 이용한 올리고당 및 복합 당쇄 합성시에 당 및 당쇄의 복잡한 화학구조로 인하여 합성수율이 낮은 단점을 극복하 기 위하여, 미생물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에서 특이적으로 발견되는 리포올리고당 및 리포올리고다당 합성에 관여하는 신규 당전이 효소를 발굴하였으며, 당 기질에 대해 위치특이적, 광학특이적 반응을 촉매 할 수 있는 본 효소를 이용하여 당쇄를 합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신규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상기한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한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 상기한 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생산된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및 이들을 이용하여 올리고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신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는 분자량이 약 30 내지 40 kDa이며, 비교적 넓은 pH 범위에서 효소 활성을 가지나(도 3), pH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pH 6.0 내지 9.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는 그 수용체로서 단당류인 포도당, 갈락토오즈, 헵토오즈, N-아세틸갈락토사민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이당류인 유당, 락토사민 그리고 이들의 화학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당쇄, 당단백질의 당쇄, 당지질의 당쇄에 대해 활성을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는 그 공여물질로서 다양한 뉴클레오타이드-당 기질에 대해 활성을 나타내며 바람직한 기질은 UDP-Gal 또는 UDP-Glc이다.
또한 상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는 Mn2 +, Ba2 +, Mg2 +, Ca2 + 등의 2가 금속이온 첨가 시 효소의 활성이 나타나며 Co2 +, Cu2 +, Fe2 +, Hg2 +, Cd2 +, Ni2 +, Zn2 + 또는 EDTA 첨가시에는 효소의 활성이 저해되는 특징을 가진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 활성을 가지는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는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는 한, 상기 서열번호 1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단편 및 이의 아미노산 서열이 변이된 변이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결합 친화도 및(또는) 기타 생물학적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상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는 적절한 뉴클레오티드를 변화시키거나, 펩티드 합성에 의해 제조 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에는 예를 들어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아미노산 서열 내의 잔기로부터의 결실, 잔기로의 삽입 및(또는) 잔기의 치환이 포함되며, 이러한 아미노산 잔기의 삽입, 결실 및 치환이 포함되며, 이러한 아미노산 잔기의 삽입, 결실 및 치환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상동성을 갖고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 활성을 가지는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에 대해 사용되는 용어 “상동성”이란 야생형(wild type) 아미노산 서열 및 야생형 핵산 서열과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단백질의 경우 본 발명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 동일할 수 있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상동물은 목적 단백질과 유사한 활성 부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상동성의 비교는 육안으로나 구입이 용이한 비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시판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2개 이상의 서열간의 상동성을 백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상동성(%)은 인접한 서열에 대해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는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생산하기 위하여 먼저 퓨조박테리윰 뉴클레텀의 동결 건조된 균체로부터 염색체를 추출하고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유전 자를 코딩하는 877bp의 유전자 Fnu_gt를 증폭한 후, 정제 및 제한효소를 처리하여 발현벡터 pET-32a에 접합시킨 후 대장균 DH5α에 형질전환 시켰다. 이어서, 플라스미드로 형질 전환된 대장균으로부터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여, 제한 효소 절단으로 벡터에 삽입된 DNA 크기를 확인하였으며, DNA 시퀀싱을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된 벡터 pET-Fnu_GT(도1, 서열번호 3)를 대장균 Origami(DE3)pLysS(Novagen, EMD Biosciences Inc, Madison, USA)에 넣어 형질전환시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생산하는 재조합 균주 Origami(DE3)pLysS/ pET-Fnu_GT를 제작하였으며, 상기 균주를 배양하여 발현시킨 재조합 단백질을 정제, 농축하여 효소 특성 규명 및 활성 측정 결과, 상기 벡터로부터 발현되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은 신규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는 광범위한 기질특이성으로 인하여 수용체로서 단당류인 포도당, 갈락토오즈, 헵토오즈, N-아세틸글루코사민, N-아세틸갈락토사민과 이당류인 유당, 락토사민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복합 당쇄를, 공여물질로서 뉴클레오타이드-당을 이용하여 올리고당을 합성할 수 있다. 화학반응 및 화학촉매를 이용한 올리고당 및 복합당쇄 합성 기술은 당의 복잡한 화학구조로 인하여 많은 합성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합성수율이 낮지만 본 발명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이용한 당쇄합성 기술은 효소의 뛰어난 위치 특이성과 높은 선택성을 통해 높은 수율로 원하는 당쇄를 단일 합성단계로 합성할 수 있으므로, 향후 올리고당 및 당쇄 전구체, 당단백질 당쇄, 당지질 당쇄 합성의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상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활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에 기재된 핵산 서열을 가지고 상기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활성을 나타내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이다.
추가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핵산 서열과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상동성을 갖고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 활성을 가지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동성에 대한 사항은 상기 언급된 아미노산 서열의 용어 “상동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한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벡터에 삽입하여 이를 발현시킴으로써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다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벡터”는 적당한 숙주 세포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 한 수단으로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및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 같은 바이러스 벡터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미드 벡터이다. 적합한 발현벡터는 프로모터, 개시코돈, 종결코돈, 폴리아데닐화 시그널 및 인핸서 같은 발현 조절 요소 외에도 막 표적화 또는 분비를 위한 신호서열 또는 리더 서열을 포함하여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당업계에 주지된 바와 같이, 숙주 세포에서 형질전환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해당 유전자가 선택된 발현 숙주 내에서 기능을 발휘하는 전사 및 해독 발현 조절 서열에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야만 한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의 발현 벡터는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생산하는 DNA의 클로닝을 위하여,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으로부터 해당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코딩하는 염색체(chromosome DNA)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염색체를 소정의 발현 벡터에 클로닝하여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는 동결 건조된 상태로 분양받은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으로부터 추출된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염색체를 주형으로 PCR을 통해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유전자를 코딩하는 877 bp의 유전자 Fnu_gt를 발현벡터 pET-32a 와 함께 접합시키고 대장균에 형질전환 시킨 후,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여, 제한 효소 절단 DNA 절편크기 확인, DNA 시퀀싱 후 재조합 발현 벡터 pET-Fnu_GT(도1, 서열번호 3)을 제작하였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발현 벡터로 형질 전환된 형질전환체를 제공한다. 본원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형질전환”은 DNA를 숙주로 도입하여 DNA가 염색체의 인자로서 또는 염색체 통합완성에 의해 복제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DNA의 도입효율이 높고, 도입된 DNA의 발현 효율이 높은 숙주가 통상 사용되며 세균, 예를 들어 대장균, 슈도모나스, 바실러스, 스트렙토마이세스, 진균, 효모와 같은 주지의 진핵 및 원핵 숙주들, 스포도프테라 프루기페르다(SF9)과 같은 곤충 세포, CHO, COS 1, COS 7, BSC 1, BSC 40, BMT 10 등의 동물 세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대장균이다.
본 발명에서 숙주 세포로의 형질전환은 핵산을 유기체, 세포, 조직 또는 기관에 도입하는 어떠한 방법도 포함되며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숙주 세포에 따라 적합한 표준 기술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전기충격 유전자전달법(electroporation), 원형질 융합, 인산칼슘 침전, 염화칼슘 침전, 실리콘 카바이드 섬유를 이용한 교반, 아그로박테리아 매개된 형질전환, PEG, 덱스트란 설페이트, 리포펙타민 및 건조/억제 매개된 형질전환 방법 등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자는 염화칼슘 침전 방법을 사용하여 pET-Fnu_GT를 대장균 Origami(DE3)pLysS(Novagen, EMD Biosciences Inc, Madison, USA)에 넣어 형질전환을 시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생산하는 재조합 균주 Origami(DE3)pLysS/ pET-Fnu_GT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2006년 11월 13일자로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한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52번 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번호 제KCTC11026BP호로 기탁하였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1) 퓨조박테리움 유래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포함된 재조합 발현 벡터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재조합 발현 벡터로 숙주세포를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제조에서 형질전환체의 배양은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양과정은 당업자라면 선택되는 균주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배양 방법은 다양한 문헌(예를 들어, James et al., Biochemical Engineering, Prentice-Hall International Editions)에 개시되어 있다. 세포의 성장 방식에 따라 현탁 배양과 부착 배양을, 배양 방법에 따라 회분식과 유가식 및 연속배양식의 방법으로 구분된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특정한 균주의 요구조건을 적절하게 만족시켜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는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보유한 재조합 대장균을 Luria-Bertani(LB) 배지로 37°C에서 10 시간 이상 전배양 한 후, 재조합 대장균의 전배양액을 100분의 1 부피 비로 다시 LB 배지에 접종하여 37°C에서 600 nm에서 흡광도가 0.6-0.8이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수득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는 정제하지 않은 상태 로 사용될 수 있으며 추가로 다양한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투석, 염 침전 및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고순도로 정제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는 방법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컬럼의 종류와 순서의 선택에는 어느 경우에나 적용될 수 있는 법칙은 없고 단백질의 특성, 배양 방법 등에 따라 이온교환 크로마토 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등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는 Ni-NTA 와 Q-Sepharose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용출시켜 분리한 후, 분리된 재조합 단백질에 1 μg/ml의 엔터로카이네이즈을 넣고 싸이오레독신-태그 (thioredoxin (Trx)-tag)와 6개의 히스티딘 폴리펩타이드-태그 (6xHis-tag)를 제거하여 본 발명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분리, 정제하였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를 사용하여 수용체 및 공여물질을 이용하여 이당류 이상의 올리고 당류중 당쇄 결합 특이적인 당쇄전구체, 당단백질 및 당지질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의 당쇄 결합 특이적인 당쇄전구체, 당단백질 및 당지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수용체 및 공여체의 혼합물과 접촉시켜 당쇄 결합 특이적인 당쇄전구체, 당단백질 및 당지질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발명의 당쇄 결합 특이적인 당쇄전구체, 당 단백질 및 당지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글루코사민 잔기를 포함하는 수용체 성분에, 우리딘-5'-디포스포-갈락토오즈(Uridine 5'-diphosphogalactose, UDP-Gal), 우리딘-5'-디포스포-글루코스(Uridine 5'-diphosphoglucose, UDP-Glc)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접촉시켜 갈락토오즈(또는 글루코스) β1→4 글루코사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가 최적의 활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pH 6.0 이상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6.0 내지 pH 9.0이다.
또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활성을 위하여 2가 금속이온을 첨가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Mn2+, Ba2 +, Mg2 + 또는 Ca2 +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Mn2 + 이다. 반응액에 첨가하는 2가 금속이온의 농도는 0.01 mM 내지 100 mM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10 mM 이다.
본 발명의 당쇄 결합 특이적인 당쇄전구체, 당단백질 및 당지질을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수용체로서 단당류인 포도당, 갈락토오즈, 헵토오즈, N-아세틸갈락토사민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이당류인 유당, 락토사민 그리고 이들의 화학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당쇄, 당단백질의 당쇄, 당지질의 당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공여물 질로서 뉴클레오타이드-당을 사용하여 당쇄 결합 특이적인 당쇄-전구체, 당단백질의 복합당쇄 및 당지질의 복합당쇄 등을 생성시켰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수용체로 사용되는 당쇄-전구체, 당단백질의 복합당쇄 및 당지질의 복합당쇄는 다음과 같다 (표-2): 단당류, D-GlcNAc-PA(PA, pyrimidylamine). 당단백질 복합당쇄: (GlcNAc)2Man3(GlcNAc)2-PA, (GlcNAc)3Man3(GlcNAc)2-PA, (GlcNAc)4Man3(GlcNAc)2-PA.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클로닝 및 발현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Fusobacterium nucleatum subsp. nucleatum KCCM5103)의 동결 건조된 균체로부터 염색체 분리 키트(AccuPrep Genomic DNA Extraction kit, 바이오니아, 대전,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염색체(genomic DNA)를 추출 하였다.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클로닝을 위하여 미국 보건성에서 운영되고 있는 Genbank(http://www.ncbi.nih.gov/entrez/query.fcgi)의 원생동물 염색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정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코딩하고 있는 ORF(open reading frame)을 찾아 프라이머(primer)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Fnu-1a(5’-GCGGATCCATG AAAGATAAAATAACAGTA-3') 와 Fnu-1b(5’-GCGAATTCTTATTTTATTTCTATCACTTTATA-3'). 각각의 프라이머에는 BamHIEcoRI 제한효소 부위를 넣었다.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염색체를 주형으로 효소중합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통해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유전자를 코딩하는 877 bp의 유전자 (Fnu _ gt)를 증폭하였다. 증폭된 Fnu _ gt를 증폭된 유전자 분리정제키트(AccuPrep PCR purification kit, 바이오니아, 대전, 대한민국)를 이용해 유전자를 순수정제 하였으며 제한효소 BamHIEcoRI 를 이용하여 증폭된 유전자의 양끝을 절단한 후 미리 동일 제한효소로 처리된 발현벡터 pET-32a(Novagen, EMD Biosciences Inc, Madison, USA)과 함께 접합(ligation) 시킨 후 대장균 DH5α에 형질전환 시켰다. 형질 전환된 대장균으로부터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여, 제한 효소 절단 DNA 절편 크기 확인과 DNA 시퀀싱을 실시한 후 최종적으로 확인된 벡터 pET-Fnu_GT(도1, 서열번호 3)를 칼슘 포스페이트법을 사용하여 대장균 Origami(DE3)pLysS(Novagen, EMD Biosciences Inc, Madison, USA)에 넣어 형질전환 시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생산하는 재조합 균주 Origami(DE3)pLysS/ pET-Fnu_GT를 제작하였다. 상기 재조합 대장균 균주는 Trx-태그가 부착된 약 50 kDa 크기의 재조합 단백질을 세포내에 발현하고 있음을 웨스턴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도2A). 본 발명의 재조합 균주 Origami(DE3)pLysS/ pET-Fnu_GT는 2006년 11월 13일자로 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한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52번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번호 제KCTC11026BP호로 기탁하였다.
[ 실시예 2]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의 정제
(단계 1) 재조합 균주의 배양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발현 재조합 벡터를 보유한 재조합 대장균을 Luria-Bertani(LB) 배지(트립톤 10 g/L, 효모추출물 5 g/L, 염화나트륨 10 g/L)로 37°C에서 10 시간 이상 전배양 하였다. 재조합 대장균의 전배양액을 100분의 1 부피 비로 다시 LB 배지에 접종하여 37°C에서 600 nm에서 흡광도가 0.6-0.8 될 때 까지 배양한 후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발현을 위해 이소프로필-베타-디-티오갈락토피라노사이드(isopropyl-β-D-thiogalactopyranoside, IPTG)를 최종 0.3 mM이 되게 첨가한 후 30°C에서 6시간을 더 배양한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단계 2) Ni-NTA와 Q-Sepharose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회수된 균체를 50 mM Tris-HCl 완충용액(pH 7.6)으로 3번 세척한 후 동일 완충용액을 넣고 15분간 초음파처리(sonication) 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만들어진 세포 파쇄액에서 파쇄되지 않은 균체와 비용해성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10,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를 한후 침전된 세포 잔해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분리하 여 다음단계를 진행하였다. 파마시아 액타 에프피엘시 시스템 (Pharmacia FPLC system)(Amersham-Pharmacia Biotech, Uppsala, Sweden)을 이용하여 10 mM 이미다졸(imidazole)과 0.3 M 염화나트륨(NaCl)이 들어있는 50 mM Tris-HCl 완충용액(pH 7.6)으로 평형화 시킨 Ni-NTA 칼럼(1.5 x 10 cm)에 세포추출액을 주입하고 동일 완충용액 5 배 부피로 세척한 다음 200 mM 이미다졸과 0.3 M 염화나트륨이 들어있는 50 mM Tris-HCl 완충용액(pH 7.6)으로 이미다졸을 10-200 mM로 점차 증가시키면서 하여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용출시켰다. 이때 용출 속도는 분당 1 ml로 하였으며 단백질이 나타나는 분획을 모아 한외여과 하여 농축시켰다. Ni-NTA 컬럼으로 분리한 재조합 단백질을 좀더 분리하기 위해 50 mM Tris-HCl 완충용액으로(pH 7.6)로 평형시킨 Q-Sepharose 컬럼(3.0 x 11 cm)에 Ni-NTA 칼럼에서 분리된 단백질을 주입하고 동일 완충용액 3배 부피로 세척한 다음 1.0 M 염화나트륨이 포함된 50 mM Tris-HCl 완충용액으로(pH 7.6)으로 염화나트륨의 농도를 0-1.0 M로 점차 증가시키면서 단백질을 용출시켰다. 이때 용출 속도는 분당 1 ml로 하였으며 단백질이 나타나는 분획을 모아 한외여과 하여 농축시켰다.
(단계 3) 재조합 단백질로부터 태그의 제거
분리한 재조합 단백질의 N-말단의 약 17.6kDa의 싸이오레독신-태그(thioredoxin (Trx)-tag)와 6개의 히스티딘 펩타이드-태그(6xHis-tag)를 제거하기 위해 50 mM Tris-HCl 완충용액에서 분리된 재조합 단백질에 1 μg/ml의 엔터로카이네이즈 (enterokinase)(Sigma-Aldrich)를 넣고 37°C에서 3시간 반응한 후 Ni- NTA 레진을 넣어 잘려진 태그 및 잘려지지 않은 재조합 단백질을 제거하였다. 태그가 제거된 재조합 단백질 용액을 투석을 통해 염을 제거한 후 Amicon Ultra centrifugal filter device(Milipore, USA)으로 한외여과 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농축하였다.
(단계 4) SDS-PAGE 분석
상기의 각 정제단계에서 얻어진 세포추출물 용액을 SDS-PAGE를 이용해 분리한후 코마시에 브릴리언트 블루(Coommassie Brilliant Blue)로 염색하였으며 Precision Plus ProteinTM Standards(Bio-Rad, USA) 단백질을 표준 단백질로 사용하여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순도 및 크기를 분석하였다. 각 단계에서의 분석결과는 도 2B와 같다. Trx-태그와 His-태그가 융합된 형태의 재조합 단백질의 크기는 약 52 kDa 이었으며, 재조합단백질의 N-말단의 약 18 kDa의 태그를 엔터로카이네이즈 처리에 의해 절단한 단백질은 크기가 34 kDa 이었다.
상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코딩하고 있는 벡터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전자 분석프로그램 DNASIS ver 2.5(Hitachi software Engineering, Japan)를 이용하여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된 본 효소의 아미노산 배열은 서열목록 1과 같다.
[ 실시예 3] 효소의 특성 규명 및 활성측정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의 활성은 수용체로 단당류를, 공여체로 뉴클레오타이드-당을 이용하였으며, 0.5 mM의 수용체와 공여체의 몰 비율을 1:1로 하여 1 mM 염화마그네슘과 1 mM 포스포엔올파이루베이트(phosphoenol pyruvate), 0.3 mM NADH가 포함된 50 mM Tris-HCl 완충용액(pH 7.0)에 1.0 유니트의 파이루베이트 카이네이즈(pyruvate kinase)와 1.5 유니트 락테이트디하드로지네이즈(lactate dehydrogenase)의 혼합물에 분리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첨가하여 37°C에서 30 분 동안 반응한 후 340 nm에서 줄어드는 NADH의 양을 흡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이때 흡광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는 6,220 M-1 cm-1이며 모든 효소 반응은 두 번 이상 측정 하였으며, 1 유니트(units)는 분당 1 μM 공여체인 뉴클레오타이드-당을 수용체인 단당류에 전달해주는데 필요한 효소의 양으로 정의한다.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의 뉴클레오타이드-당 공여체의 선택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용체(acceptor)로 N-아세틸클루코사민(N-GlcNAc)을, 공여체(donor)로 우리딘-5'-디포스포-갈락토오즈(Uridine 5'-diphosphogalactose, UDP-Gal), 우리딘-5'-디포스포-글루코스(Uridine 5'-diphosphoglucose, UDP-Glc), 우리딘-5'-디포스포-갈락토사민(Uridine 5'-diphosphogalactosamine, UDP-GalNAc), 우리딘-5'-디포스포-글루코사민(Uridine 5'-diphosphoglucosamine, UDP-GlcNAc) 및 구아노신-5‘- 디포스포-만노즈(Guanosine 5'-diphospho-mannose, GDP-Man)를 이용하여 수용체와 공여체를 몰 농도 비율로 1대 1 반응시켰다. 위에서 언급한 파이루베이트 카이네이즈-락테이트디하드로진네이즈의 커플링 효소활성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기질 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상기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는 N-GlcNAc에 대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UDP-Glc를 기준으로 UDP-Glc는 상대적으로 100% 활성을 UDP-Gal는 94.7%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수용체 N-GlcNAc에 대해 UDP-GalNAc, UDP-GlcNAc, GDP-Man는 공여체로 1% 미만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의 공여체로 이용 가능한 뉴클레오타이드-당을 표 1에 나타내었다.
공여체 기질
(1 mM)
상대적인 효소활성
(%)
이용가능성
우리딘-5‘-디포스포-갈락토오즈 94.7 ± 1.5 +
우리딘-5‘-디포스포-글루코스 100.0 ± 1.5 +
우리딘-5‘-디포스포-갈락토사민 < 1 -
우리딘-5‘-디포스포-글루코사민 < 1 -
구아노신-5‘-디포스포-만노즈 < 1 -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의 당 수용체의 선택성은 확인하기 위해 공여체로 우리딘-5'-디포스포-갈락토오즈(UDP-Gal), 우리딘-5'-디포스포-글루코스(UDP-Glc)을 수용체로 단당류인 글루코헵토오즈(Glucoheptose), 포도당(Glucose), 갈락토오즈(Galactose),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을 사용하여 이용하여 수용체와 공여체를 몰 농도 비율로 1대 1 반응시켰다. 상기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는 UDP-Gal 와 UDP-Glc의 공여체에 대해 수용체로 헵토오즈와 글루코사민을 사용할 때 선택적으로 높은 효소의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헵토오즈를 수용체로 이용할 때 UDP-Glc에 비해 UDP-Gal의 선택성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 활성에 대한 pH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MES 완충용액(pH 5.0-7.0), MOPS 완충용액(pH 6.5-8.0), Tris-HCl 완충용액(pH 7.5-9.0)을 각각 사용하여 위에서 언급한 효소활성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의 활성을 정량하였다. 수용체와 공여체로 각각 N-아세틸글루코사민(N-GlcNAc)과 우리딘-5'-디포스포-갈락토오즈(UDP-Gal)를 이용하여 효소의 활성을 확인한 결과 pH 7.0-8.0에서 효소활성은 최대로 나타났으며 pH 6.5-9.0의 범위에서 50% 이상의 효소 활성이 유지되어, 본 글라이코실트랜스퍼라제는 비교적 넓은 pH 범위에서 효소의 작용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도 3).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 반응에서 공여체인 뉴클레오타이드-당으로부터 단당류 및 다당류로의 당의 전이를 위해서는 2가 양이온의 첨가가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가 양이온의 효소 활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위하여 망간(Mn2 +), 바륨(Ba2+), 마그네슘(Mg2 +), 칼슘(Ca2 +), 코발트(Co2 +), 구리(Cu2 +), 철(Fe2 +), 수은(Hg2+), 카드늄(Cd2 +), 니켈(Ni2 +), 아연(Zn2 +), 또는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1 mM을 첨가하여 효소 활성에 대한 각각 이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2가 양이온을 분리한 효소와 함께 50 mM Tris-HCl 완충용액(pH 7.6)에서 1 시간 미리 반응시킨 후 위에서 언급한 파이루베이트 카이네이즈-락테이트디하드로지네이즈의 커플링 효소활성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보인 망간이온을 100% 활성 기준으로 할 때, 금속 이온이 없거나 금속이온을 제거하는 킬레이트제인 EDTA를 처리 했을 때는 1%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코발트, 구리, 철, 수은, 카드뮴, 니켈 또는 아연 이온과 같은 중금속 계열을 첨가했을 때는 효소의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비해서 바륨, 마그네슘 또는 칼슘 이온과 같은 경금속류를 첨가한 경우에는 효소의 활성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망간 이온 첨가시에 가장 높은 효소의 활성이 나타났다(도 4).
[ 실시예 4]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에 의한 당쇄 -전구체, 당단백질의 복합당쇄 말단으로의 갈락토오즈 ( Gal ) 잔기 부착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를 사용하여 당쇄-전구체 또는 당단백질 복합당쇄 말단에 갈락토오즈 잔기를 부착시킬수 있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UDP-Gal을 공여체로 사용하고 표 2에 기술한 피리딜아민 그룹(pyridylamino (PA) group)이 부가된 당단백질의 복합당쇄 및 당지질 당쇄를 수용체로 사용하여 효소 반응을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수용체는 [실시예 3]에서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가 높은 활성을 보여준 글루코사민 말단을 갖는 당쇄를 사용하였다. 반응조건은 1 mM 망간이온이 포함된 50 mM Tris-HCl 완충용액(pH 7.6)에서 각각의 당쇄-전구체, 당단백질의 복합당쇄 및 UDP-Gal를 농도비로 1:1 비율로 반응하였으며 이때 반응 온도는 37°C이었다. 반응 후 갈락토오즈가 부착된 피리딜아민 그룹의 당단백질의 복합당쇄는 쇼덱스-아사이팩 NH2P-50 컬럼을 사용하여 형광측정기가 부착된 HPLC로 측정하였다. 이때 이동상은 트리에틸아민으로 pH 7.3으로 적정된 200 mM 초산 완충용액(pH 7.3)과 아세토나이트릴이 1:9 부피비로 혼합된 A 용액과 9:1 부피비로 혼합된 B 용액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을 A 용액과 B 용액을 부피비 7.5:2.5의 비율로 시작하여 60분 후에 A 용액과 B 용액이 2.5:7.5의 비율로 농도구배가 되도록 하였다. 이때 이동상의 흐름속도는 1.0 ml/min 이었다. 본 효소의 수용체로 이용 가능한 단당류, 다당류, 복합당류 기질을 표 2에 기술하였다.
Figure 112006089182996-pat00001
본 발명의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는 세포표면의 리포올리고당, 리포다당 및 점막다당질올리고당의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포유류를 비롯한 고등진핵세포 생물 유래의 효소에 비해 대장균이나 효모와 같은 미생물에서 재조합단백질 형태로 생산시 발현 효율 및 활성형 단백질 생산 수율이 매우 높고 그 효소 활성이 우수하다. 특히 상기의 효소는 수용체로서 단당류인 포도당, 갈락토오즈, 헵토오즈, N-아세틸갈락토사민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이당류인 유당, 락토사민 그리고 이들의 화학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당쇄에 공여물질로서 뉴클레오타이드-당을 이용하여 당쇄 결합 특이적인 생물전환 반응을 위한 생물촉매로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화학반응 및 화학촉매를 이용한 올리고당 및 복합 당쇄 합성은 당 및 당쇄 구조의 복잡한 화학구조로 인하여 합성수율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었으나, 상기 효소와 같은 기질 특이성, 위치 특이성, 광학 특이성 반응을 할 수 있는 효소를 이용함으로써 화학-효소반응을 통해 합성시의 수율 증대 및 반응공정의 단순화를 유도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또한 화학촉매와는 달리 당쇄 기질의 작용기에 대해 높은 위치 특이적 반응성을 갖는 효소의 강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는 당쇄 결합 특이적인 올리고당, 당쇄전구체, 당단백질 및 당지질 합성을 위한 화학효소합성 공정 기술의 핵심기술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Novel glycosyltransferase from Fusobacterium nucleatum and use thereof <160> 5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451 <212> PRT <213> Fusobacterium nucleatum <220> <221> DOMAIN <222> (1)..(109) <223> Trx-Tag <220> <221> DOMAIN <222> (117)..(122) <223> Hexameric Histidine (6xHis) tag <220> <221> PEPTIDE <222> (154)..(158) <223> Enterokinase cleavage site <400> 1 Met Ser Asp Lys Ile Ile His Leu Thr Asp Asp Ser Phe Asp Thr Asp 1 5 10 15 Val Leu Lys Ala Asp Gly Ala Ile Leu Val Asp Phe Trp Ala Glu Trp 20 25 30 Cys Gly Pro Cys Lys Met Ile Ala Pro Ile Leu Asp Glu Ile Ala Asp 35 40 45 Glu Tyr Gln Gly Lys Leu Thr Val Ala Lys Leu Asn Ile Asp Gln Asn 50 55 60 Pro Gly Thr Ala Pro Lys Tyr Gly Ile Arg Gly Ile Pro Thr Leu Leu 65 70 75 80 Leu Phe Lys Asn Gly Glu Val Ala Ala Thr Lys Val Gly Ala Leu Ser 85 90 95 Lys Gly Gln Leu Lys Glu Phe Leu Asp Ala Asn Leu Ala Gly Ser Gly 100 105 110 Ser Gly His Met His His His His His His Ser Ser Gly Leu Val Pro 115 120 125 Arg Gly Ser Gly Met Lys Glu Thr Ala Ala Ala Lys Phe Glu Arg Gln 130 135 140 His Met Asp Ser Pro Asp Leu Gly Thr Asp Asp Asp Asp Lys Ala Met 145 150 155 160 Ala Asp Ile Gly Ser Met Lys Asp Lys Ile Thr Val Ile Val Thr Leu 165 170 175 Tyr Asn Arg Leu Glu Tyr Ala Arg Asn Met Ile Leu Ala Leu Gln Gln 180 185 190 Gln Thr Lys Gln Ile Asp Glu Leu Ile Phe Ala Asp Asp Gly Ser Ser 195 200 205 Glu Lys Leu Met Glu Tyr Ile Glu Asp Leu Leu Val Asp Cys Asn Phe 210 215 220 Lys Ile Lys His Val Tyr Gln Asp Asp Ile Gly Phe Arg Leu Ala Arg 225 230 235 240 Ser Arg Asn Asn Gly Ala Arg Glu Ala Ser Gly Asp Tyr Leu Ile Phe 245 250 255 Leu Asp Gln Asp Val Ile Phe Asp Asn Asp Phe Ile Glu Ser Ile Tyr 260 265 270 Asn Ser Arg Lys Lys Lys Arg Met Ile Phe Ser Glu Ala Leu Gly Ser 275 280 285 Ser Leu Glu Glu Lys Asn Lys Ile Gln Glu Leu Ile Asn Thr Gln Lys 290 295 300 Phe Asp Tyr Lys Glu Ile Tyr Asp Leu Val Asp Asn Thr Lys Lys Val 305 310 315 320 Glu Gln Asp Gln Ile Val Asn Lys Glu Lys Phe Tyr Asn Phe Leu Tyr 325 330 335 Lys Leu Lys Leu Arg Ser Arg Gly Ala Lys Ile Val Gly Leu Ile Phe 340 345 350 Ser Leu Phe Lys Glu Asp Phe Ile Asn Ile Asn Gly Leu Asp Glu Lys 355 360 365 Tyr Ile Gly Tyr Gly Tyr Glu Asp Asp Asp Phe Gly Asn Arg Phe Phe 370 375 380 Lys Tyr Gly Gly Glu Thr Phe Ala Phe Lys Met Lys Arg Tyr Pro Ile 385 390 395 400 His Met Tyr His Lys Ala Ala Ser Pro Asn Gly Ser Pro Asn Glu Asp 405 410 415 Tyr Tyr Arg Gln Arg Lys Ile Glu Ile Ser Lys Lys Asn Tyr Arg Cys 420 425 430 Glu Tyr Gly Tyr Asp Lys Ile Phe Gly Glu Asp Lys Tyr Lys Val Ile 435 440 445 Glu Ile Lys 450 <210> 2 <211> 1356 <212> DNA <213> Fusobacterium nucleatum <220> <221> source <222> (496)..(1356) <223> Fusobacterium nucleatum glycosyltransferase-encoded gene <400> 2 atgagcgata aaattattca cctgactgac gacagttttg acacggatgt actcaaagcg 60 gacggggcga tcctcgtcga tttctgggca gagtggtgcg gtccgtgcaa aatgatcgcc 120 ccgattctgg atgaaatcgc tgacgaatat cagggcaaac tgaccgttgc aaaactgaac 180 atcgatcaaa accctggcac tgcgccgaaa tatggcatcc gtggtatccc gactctgctg 240 ctgttcaaaa acggtgaagt ggcggcaacc aaagtgggtg cactgtctaa aggtcagttg 300 aaagagttcc tcgacgctaa cctggccggt tctggttctg gccatatgca ccatcatcat 360 catcattctt ctggtctggt gccacgcggt tctggtatga aagaaaccgc tgctgctaaa 420 ttcgaacgcc agcacatgga cagcccagat ctgggtaccg acgacgacga caaggccatg 480 gctgatatcg gatccatgaa agataaaata acagtaatag taactcttta taatagatta 540 gagtatgcaa gaaatatgat tttagcatta caacaacaaa caaaacaaat agatgagctt 600 atatttgctg atgatggttc aagtgaaaag ttgatggaat atatagaaga tttattagtt 660 gactgtaatt ttaaaataaa acatgtatat caagatgata taggttttag acttgcaaga 720 tcaagaaata atggagctag agaagctagt ggggattatt taatattttt agatcaagat 780 gtgatatttg ataatgattt tatagaaagc atatacaatt caagaaaaaa gaaaagaatg 840 atattttcag aggctctggg aagttcatta gaagaaaaaa ataagataca agagcttata 900 aatactcaaa aatttgatta taaagaaatc tatgatttag ttgacaatac aaaaaaagta 960 gagcaagatc aaattgtaaa taaagaaaaa ttttataact ttttgtataa attaaaatta 1020 aggtcaagag gagcaaaaat agtaggatta attttctcac tttttaaaga agattttatt 1080 aatataaatg gcttagatga aaaatatata ggttatggtt atgaagatga tgattttgga 1140 aacagatttt ttaaatatgg tggagaaact tttgctttta aaatgaaaag atatcctata 1200 catatgtatc ataaagctgc aagcccaaat ggaagtccaa atgaagatta ttatagacaa 1260 agaaaaattg aaatatcaaa gaaaaattat agatgtgaat atggctatga taaaattttt 1320 ggagaagata aatataaagt gatagaaata aaataa 1356 <210> 3 <211> 676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T-Fnu_GT vector <400> 3 tggcgaatgg gacgcgccct gtagcggcgc attaagcgcg gcgggtgtgg tggttacgcg 60 cagcgtgacc gctacacttg ccagcgccct agcgcccgct cctttcgctt tcttcccttc 120 ctttctcgcc acgttcgccg gctttccccg tcaagctcta aatcgggggc tccctttagg 180 gttccgattt agtgctttac ggcacctcga ccccaaaaaa cttgattagg gtgatggttc 240 acgtagtggg ccatcgccct gatagacggt ttttcgccct ttgacgttgg agtccacgtt 300 ctttaatagt ggactcttgt tccaaactgg aacaacactc aaccctatct cggtctattc 360 ttttgattta taagggattt tgccgatttc ggcctattgg ttaaaaaatg agctgattta 420 acaaaaattt aacgcgaatt ttaacaaaat attaacgttt acaatttcag gtggcacttt 480 tcggggaaat gtgcgcggaa cccctatttg tttatttttc taaatacatt caaatatgta 540 tccgctcatg agacaataac cctgataaat gcttcaataa tattgaaaaa ggaagagtat 600 gagtattcaa catttccgtg tcgcccttat tccctttttt gcggcatttt gccttcctgt 660 ttttgctcac ccagaaacgc tggtgaaagt aaaagatgct gaagatcagt tgggtgcacg 720 agtgggttac atcgaactgg atctcaacag cggtaagatc cttgagagtt ttcgccccga 780 agaacgtttt ccaatgatga gcacttttaa agttctgcta tgtggcgcgg tattatcccg 840 tattgacgcc gggcaagagc aactcggtcg ccgcatacac tattctcaga atgacttggt 900 tgagtactca ccagtcacag aaaagcatct tacggatggc atgacagtaa gagaattatg 960 cagtgctgcc ataaccatga gtgataacac tgcggccaac ttacttctga caacgatcgg 1020 aggaccgaag gagctaaccg cttttttgca caacatgggg gatcatgtaa ctcgccttga 1080 tcgttgggaa ccggagctga atgaagccat accaaacgac gagcgtgaca ccacgatgcc 1140 tgcagcaatg gcaacaacgt tgcgcaaact attaactggc gaactactta ctctagcttc 1200 ccggcaacaa ttaatagact ggatggaggc ggataaagtt gcaggaccac ttctgcgctc 1260 ggcccttccg gctggctggt ttattgctga taaatctgga gccggtgagc gtgggtctcg 1320 cggtatcatt gcagcactgg ggccagatgg taagccctcc cgtatcgtag ttatctacac 1380 gacggggagt caggcaacta tggatgaacg aaatagacag atcgctgaga taggtgcctc 1440 actgattaag cattggtaac tgtcagacca agtttactca tatatacttt agattgattt 1500 aaaacttcat ttttaattta aaaggatcta ggtgaagatc ctttttgata atctcatgac 1560 caaaatccct taacgtgagt tttcgttcca ctgagcgtca gaccccgtag aaaagatcaa 1620 aggatcttct tgagatcctt tttttctgcg cgtaatctgc tgcttgcaaa caaaaaaacc 1680 accgctacca gcggtggttt gtttgccgga tcaagagcta ccaactcttt ttccgaaggt 1740 aactggcttc agcagagcgc agataccaaa tactgtcctt ctagtgtagc cgtagttagg 1800 ccaccacttc aagaactctg tagcaccgcc tacatacctc gctctgctaa tcctgttacc 1860 agtggctgct gccagtggcg ataagtcgtg tcttaccggg ttggactcaa gacgatagtt 1920 accggataag gcgcagcggt cgggctgaac ggggggttcg tgcacacagc ccagcttgga 1980 gcgaacgacc tacaccgaac tgagatacct acagcgtgag ctatgagaaa gcgccacgct 2040 tcccgaaggg agaaaggcgg acaggtatcc ggtaagcggc agggtcggaa caggagagcg 2100 cacgagggag cttccagggg gaaacgcctg gtatctttat agtcctgtcg ggtttcgcca 2160 cctctgactt gagcgtcgat ttttgtgatg ctcgtcaggg gggcggagcc tatggaaaaa 2220 cgccagcaac gcggcctttt tacggttcct ggccttttgc tggccttttg ctcacatgtt 2280 ctttcctgcg ttatcccctg attctgtgga taaccgtatt accgcctttg agtgagctga 2340 taccgctcgc cgcagccgaa cgaccgagcg cagcgagtca gtgagcgagg aagcggaaga 2400 gcgcctgatg cggtattttc tccttacgca tctgtgcggt atttcacacc gcatatatgg 2460 tgcactctca gtacaatctg ctctgatgcc gcatagttaa gccagtatac actccgctat 2520 cgctacgtga ctgggtcatg gctgcgcccc gacacccgcc aacacccgct gacgcgccct 2580 gacgggcttg tctgctcccg gcatccgctt acagacaagc tgtgaccgtc tccgggagct 2640 gcatgtgtca gaggttttca ccgtcatcac cgaaacgcgc gaggcagctg cggtaaagct 2700 catcagcgtg gtcgtgaagc gattcacaga tgtctgcctg ttcatccgcg tccagctcgt 2760 tgagtttctc cagaagcgtt aatgtctggc ttctgataaa gcgggccatg ttaagggcgg 2820 ttttttcctg tttggtcact gatgcctccg tgtaaggggg atttctgttc atgggggtaa 2880 tgataccgat gaaacgagag aggatgctca cgatacgggt tactgatgat gaacatgccc 2940 ggttactgga acgttgtgag ggtaaacaac tggcggtatg gatgcggcgg gaccagagaa 3000 aaatcactca gggtcaatgc cagcgcttcg ttaatacaga tgtaggtgtt ccacagggta 3060 gccagcagca tcctgcgatg cagatccgga acataatggt gcagggcgct gacttccgcg 3120 tttccagact ttacgaaaca cggaaaccga agaccattca tgttgttgct caggtcgcag 3180 acgttttgca gcagcagtcg cttcacgttc gctcgcgtat cggtgattca ttctgctaac 3240 cagtaaggca accccgccag cctagccggg tcctcaacga caggagcacg atcatgcgca 3300 cccgtggggc cgccatgccg gcgataatgg cctgcttctc gccgaaacgt ttggtggcgg 3360 gaccagtgac gaaggcttga gcgagggcgt gcaagattcc gaataccgca agcgacaggc 3420 cgatcatcgt cgcgctccag cgaaagcggt cctcgccgaa aatgacccag agcgctgccg 3480 gcacctgtcc tacgagttgc atgataaaga agacagtcat aagtgcggcg acgatagtca 3540 tgccccgcgc ccaccggaag gagctgactg ggttgaaggc tctcaagggc atcggtcgag 3600 atcccggtgc ctaatgagtg agctaactta cattaattgc gttgcgctca ctgcccgctt 3660 tccagtcggg aaacctgtcg tgccagctgc attaatgaat cggccaacgc gcggggagag 3720 gcggtttgcg tattgggcgc cagggtggtt tttcttttca ccagtgagac gggcaacagc 3780 tgattgccct tcaccgcctg gccctgagag agttgcagca agcggtccac gctggtttgc 3840 cccagcaggc gaaaatcctg tttgatggtg gttaacggcg ggatataaca tgagctgtct 3900 tcggtatcgt cgtatcccac taccgagatg tccgcaccaa cgcgcagccc ggactcggta 3960 atggcgcgca ttgcgcccag cgccatctga tcgttggcaa ccagcatcgc agtgggaacg 4020 atgccctcat tcagcatttg catggtttgt tgaaaaccgg acatggcact ccagtcgcct 4080 tcccgttccg ctatcggctg aatttgattg cgagtgagat atttatgcca gccagccaga 4140 cgcagacgcg ccgagacaga acttaatggg cccgctaaca gcgcgatttg ctggtgaccc 4200 aatgcgacca gatgctccac gcccagtcgc gtaccgtctt catgggagaa aataatactg 4260 ttgatgggtg tctggtcaga gacatcaaga aataacgccg gaacattagt gcaggcagct 4320 tccacagcaa tggcatcctg gtcatccagc ggatagttaa tgatcagccc actgacgcgt 4380 tgcgcgagaa gattgtgcac cgccgcttta caggcttcga cgccgcttcg ttctaccatc 4440 gacaccacca cgctggcacc cagttgatcg gcgcgagatt taatcgccgc gacaatttgc 4500 gacggcgcgt gcagggccag actggaggtg gcaacgccaa tcagcaacga ctgtttgccc 4560 gccagttgtt gtgccacgcg gttgggaatg taattcagct ccgccatcgc cgcttccact 4620 ttttcccgcg ttttcgcaga aacgtggctg gcctggttca ccacgcggga aacggtctga 4680 taagagacac cggcatactc tgcgacatcg tataacgtta ctggtttcac attcaccacc 4740 ctgaattgac tctcttccgg gcgctatcat gccataccgc gaaaggtttt gcgccattcg 4800 atggtgtccg ggatctcgac gctctccctt atgcgactcc tgcattagga agcagcccag 4860 tagtaggttg aggccgttga gcaccgccgc cgcaaggaat ggtgcatgca aggagatggc 4920 gcccaacagt cccccggcca cggggcctgc caccataccc acgccgaaac aagcgctcat 4980 gagcccgaag tggcgagccc gatcttcccc atcggtgatg tcggcgatat aggcgccagc 5040 aaccgcacct gtggcgccgg tgatgccggc cacgatgcgt ccggcgtaga ggatcgagat 5100 cgatctcgat cccgcgaaat taatacgact cactataggg gaattgtgag cggataacaa 5160 ttcccctcta gaaataattt tgtttaactt taagaaggag atatacatat gagcgataaa 5220 attattcacc tgactgacga cagttttgac acggatgtac tcaaagcgga cggggcgatc 5280 ctcgtcgatt tctgggcaga gtggtgcggt ccgtgcaaaa tgatcgcccc gattctggat 5340 gaaatcgctg acgaatatca gggcaaactg accgttgcaa aactgaacat cgatcaaaac 5400 cctggcactg cgccgaaata tggcatccgt ggtatcccga ctctgctgct gttcaaaaac 5460 ggtgaagtgg cggcaaccaa agtgggtgca ctgtctaaag gtcagttgaa agagttcctc 5520 gacgctaacc tggccggttc tggttctggc catatgcacc atcatcatca tcattcttct 5580 ggtctggtgc cacgcggttc tggtatgaaa gaaaccgctg ctgctaaatt cgaacgccag 5640 cacatggaca gcccagatct gggtaccgac gacgacgaca aggccatggc tgatatcgga 5700 tccatgaaag ataaaataac agtaatagta actctttata atagattaga gtatgcaaga 5760 aatatgattt tagcattaca acaacaaaca aaacaaatag atgagcttat atttgctgat 5820 gatggttcaa gtgaaaagtt gatggaatat atagaagatt tattagttga ctgtaatttt 5880 aaaataaaac atgtatatca agatgatata ggttttagac ttgcaagatc aagaaataat 5940 ggagctagag aagctagtgg ggattattta atatttttag atcaagatgt gatatttgat 6000 aatgatttta tagaaagcat atacaattca agaaaaaaga aaagaatgat attttcagag 6060 gctctgggaa gttcattaga agaaaaaaat aagatacaag agcttataaa tactcaaaaa 6120 tttgattata aagaaatcta tgatttagtt gacaatacaa aaaaagtaga gcaagatcaa 6180 attgtaaata aagaaaaatt ttataacttt ttgtataaat taaaattaag gtcaagagga 6240 gcaaaaatag taggattaat tttctcactt tttaaagaag attttattaa tataaatggc 6300 ttagatgaaa aatatatagg ttatggttat gaagatgatg attttggaaa cagatttttt 6360 aaatatggtg gagaaacttt tgcttttaaa atgaaaagat atcctataca tatgtatcat 6420 aaagctgcaa gcccaaatgg aagtccaaat gaagattatt atagacaaag aaaaattgaa 6480 atatcaaaga aaaattatag atgtgaatat ggctatgata aaatttttgg agaagataaa 6540 tataaagtga tagaaataaa ataagaattc gagctccgtc gacaagcttg cggccgcact 6600 cgagcaccac caccaccacc actgagatcc ggctgctaac aaagcccgaa aggaagctga 6660 gttggctgct gccaccgctg agcaataact agcataaccc cttggggcct ctaaacgggt 6720 cttgaggggt tttttgctga aaggaggaac tatatccgga t 6761 <210> 4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nu-1a primer <400> 4 gcggatccat gaaagataaa ataacagta 29 <210> 5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nu-1b primer <400> 5 gcgaattctt attttatttc tatcacttta ta 32

Claims (13)

  1. UDP-Glc(우리딘-5'-디포스포-글루코스) 또는 UDP-Gal(우리딘-5'-디포스포-갈락토오즈)를 공여체로 사용하여 수용체에 당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Fusobacterium nucleatum) 유래의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
  2. 삭제
  3. 제1항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핵산 서열을 가지는 것인 유전자.
  5. 제3항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벡터가 도 1로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현 벡터(pET-Fnu_GT).
  7. 제 5 항의 발현벡터로 형질 전환된 형질전환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체가 Origami(DE3)pLysS/pET-Fnu_GT(기탁번호: KCTC11026BP)인 형질전환체.
  9. 1) 퓨조박테리움 유래의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포함된 재조합 발현 벡터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재조합 발현 벡터로 숙주세포를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조합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의 제조방법.
  10. 제1항의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효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당쇄 결합 반응의 수용체 및 공여체의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당쇄 결합 특이적인 당쇄전구체, 당단백질 및 당지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pH 6.0 내지 pH 9.0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여체는 활성화된 갈락토오즈 또는 글루코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수용체에 갈락토오즈 또는 글루코스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가 글루코사민 잔기를 포함하는 단당류, 이당류, 복합당쇄, 당단백질, 당지질, 올리고당 및 올리고다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용체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60120115A 2006-11-30 2006-11-30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신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및 이를 이용한 올리고당 제조방법 KR101137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115A KR101137021B1 (ko) 2006-11-30 2006-11-30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신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및 이를 이용한 올리고당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115A KR101137021B1 (ko) 2006-11-30 2006-11-30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신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및 이를 이용한 올리고당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490A KR20080049490A (ko) 2008-06-04
KR101137021B1 true KR101137021B1 (ko) 2012-04-19

Family

ID=3980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115A KR101137021B1 (ko) 2006-11-30 2006-11-30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신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및 이를 이용한 올리고당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879A1 (ko) * 2014-09-25 2016-03-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고함량의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5222A1 (en) 1990-04-16 2002-04-18 Stephen Rot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accharide synthes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5222A1 (en) 1990-04-16 2002-04-18 Stephen Rot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accharide synthesi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lycobiology. 2000. Vol. 10, No. 8, pp. 809-813 *
Journal of Bacteriology. 2002. Vol. 184, No. 7, pp. 2005-2018 *
Journal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2002. Vol. 35, No. 3, pp. 330-33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879A1 (ko) * 2014-09-25 2016-03-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고함량의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490A (ko)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0412B (zh) 用于生产醛的方法
DK3087178T3 (en) PROCEDURE FOR PREPARING OXALATE OXIDASES WITH ACTIVITY OPTIMUM NEAR PHYSIOLOGICAL PH AND APPLICATION OF SUCH RECOMBINANT OXALATE OXIDASES IN THE TREATMENT OF OXALATE-RELATED DISEASES
CN110923183A (zh) 产羊毛甾醇大肠杆菌菌株的构建方法
CN111893104B (zh) 一种基于结构的crispr蛋白的优化设计方法
CN110951700A (zh) 一种Diels-Alder反应酶及其应用
CN112553176B (zh) 一种热稳定性提高的谷氨酰胺转氨酶
US6387664B1 (en) Sparc fusion prote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6755031B (zh) 鼠李糖脂生产质粒及其构建方法与大肠杆菌工程菌和应用
CN114426957B (zh) 一种糖醛酸脱氢酶突变体及其在制备糖二酸中的应用
KR101137021B1 (ko) 퓨조박테리움 뉴클레텀 유래의 신규 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및 이를 이용한 올리고당 제조방법
CN115247173A (zh) 构建tmprss6基因突变的缺铁性贫血猪核移植供体细胞的基因编辑系统及其应用
CN114317473B (zh) 一种催化活性和热稳定性提高的谷氨酰胺转氨酶变体
CN107075495B (zh) 裂解酶和编码该裂解酶的dna、含该dna的载体以及用于不对称合成(s)-苯基乙酰基甲醇的方法
CN112553177B (zh) 一种热稳定性提高的谷氨酰胺转氨酶变体
CN106715689B (zh) 裂解酶以及不对称合成(s)-苯基乙酰基甲醇的方法
CN110964702A (zh) 一种Diels-Alder反应酶的应用及其突变体的制备方法与应用
CN111748034A (zh) 一种滑液囊支原体单克隆抗体的制备方法
CN113755512B (zh) 一种制备串联重复蛋白质的方法与应用
RU2792132C1 (ru) Рекомбинантная плазмида pET-GST-3CL,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синтез протеазы 3CL SARS-CoV-2 в клетках E.coli в растворимой форме
RU2774333C1 (ru) Рекомбинантная плазмида pET-GST-3CL-GPG,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синтез протеазы 3CL SARS-CoV-2 в клетках E.coli в растворимой форме
JP3012931B1 (ja) Sparc融合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02634B1 (ko) 재조합 hmgb1 펩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전달 복합체
KR101892358B1 (ko) 프롤리다아제 돌연변이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프롤리다아제 돌연변이체의 용도
CN109306354A (zh) 一种大量表达抗真菌蛋白的方法
CN115247191A (zh) 基因编辑系统及其在构建双基因突变的痣样基底细胞癌综合征猪核移植供体细胞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