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954B1 -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 - Google Patents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954B1
KR101136954B1 KR1020090096658A KR20090096658A KR101136954B1 KR 101136954 B1 KR101136954 B1 KR 101136954B1 KR 1020090096658 A KR1020090096658 A KR 1020090096658A KR 20090096658 A KR20090096658 A KR 20090096658A KR 101136954 B1 KR101136954 B1 KR 101136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jewel
feet
jewels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701A (ko
Inventor
최윤호
Original Assignee
(주)비비드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비드펄 filed Critical (주)비비드펄
Priority to KR1020090096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9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 A44C17/0216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with automatic locking action, e.g. by using a spr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을 이용한 보석 난집과 그 보석 세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다수의 발이 보석의 외주연부를 둘러싸도록 빼곡이 형성되는 난집을 이루어 보석을 비스듬히 삽입시 상기 다수의 발이 외측으로 구부러졌다가 안착홈에 보석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보석을 밀착고정하는 보석 난집에 의하여, 다수의 발로 보다 안정적이면서 탄성에 의해 헐거워지지 않아 보석의 이탈이 방지되고 삽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며 외관이 매끈하여 미려하고 상부에서 보석을 가리는 부분이 적어 보다 밝아지며 고정편이 없어 옷가지에 걸리지 않는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크라운부와 파빌리온부를 갖도록 커팅된 보석을 안착시켜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직육면 형상의 난집에 있어서, 상기 난집(10a,10b)은 단부가 둥글게 마감된 원기둥형상의 다수의 발(11a,11b)로 측면을 형성되되 보석(1)의 크라운부와 파빌리온부가 안착되도록 내측면 소정위치에 안착홈(12a,12b)이 형성되어, 보석(1)을 비스듬이 삽입시 상기 다수의 발(11a,11b)이 외측으로 변형되었다가 보석(1)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돌아오면서 밀착고정되는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보석 난집, 보석 세팅 방법, 크라운부, 파빌리온부, 거들부, 안착홈, 탄성

Description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Jewel bezel and its jewel setting method}
본 발명은 탄성을 이용한 보석 난집과 그 보석 세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다수의 발이 보석의 외주연부를 둘러싸도록 빼곡이 형성되는 난집을 이루어 보석을 비스듬히 삽입시 상기 다수의 발이 외측으로 구부러졌다가 안착홈에 보석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보석을 밀착고정하는 보석 난집에 의하여, 다수의 발로 보다 안정적이면서 탄성에 의해 헐거워지지 않아 보석의 이탈이 방지되고 삽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며 외관이 매끈하여 미려하고 상부에서 보석을 가리는 부분이 적어 보다 밝아지며 고정편이 없어 옷가지에 걸리지 않는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석 난집(Jewel Bezel)은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으로 제조되는 반지, 귀걸이, 목걸이, 펜던트 등에 큐빅, 지르코니아, 크리스탈, 다이아몬드 및 각종 보석을 안정적으로 세팅하여 그 가치를 증대하고자 사용되고 있다.
보석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나 가장 선호하고 많이 제조되고 있는 형태는 상면에 테이블부(1a)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큐렛부(1e)를 형성하며 그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은 크라운부(1b) 하측은 파빌리온부(1c)를 형성하도록 컷팅하는 것이다.
상기 크라운부(1b)와 파빌리온부(1c) 사이의 가장자리부를 수직으로 연마하여 거들부(1d)를 형성하는 것도 보석(1)을 안착시키기 용이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보석난집에 따른 세팅방법은 난집세팅(bezel setting), 비드세팅(bead setting), 프롱세팅(prong setting), 채널세팅(channel setting)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난집세팅(bezel setting)은 난집의 저면에서 보석을 삽입하고 보석의 파빌리온부에 고정편을 기울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큰 보석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작은 보석은 불가능하고 저면이 개방되어야만 가능하여 저면이 지저분하게 마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비드세팅(bead setting)은 관통공 중앙에 보석을 놓고 주변 금속을 조각도로 밀어 가시를 만든 후 이를 이용해 보석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가시에 옷가지가 걸려 옷이 손상을 입거나 가시가 벌어져 보석이 이탈되는 문제점과 가시가 밀어올려진 부분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상기 난발세팅(prong setting)은 뾰족한 가지가 바탕금속 또는 난집으로부터 나와 보석의 상부면에서 절곡되어 고정시키는데 가장 전형적인 세팅 중 하나는 6개의 난발이 보석을 고정시키는 티파니세팅으로 1886년 티파니사에서 개발하여 현재까지 애용되고 있는 방식이나 돌출되어 절곡된 난발이 옷가지에 걸려 옷이 손상되는 일이 비일비 재하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유격발생과 난발 변형에 따른 보석의 이탈 또한 잦아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채널세팅(channel setting)은 다수의 보석을 두 면만 금속에 닿고 나머지 면은 보석끼리 닿도록 일렬로 배열하는 방식으로, 채널을 벌려서 다수를 동시에 넣고 채널을 조여 고정하는 등 작업이 복잡하고 보석이 빠지면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석 세팅 방법들은 작업이 어렵고 복잡하여 작업시 능숙한 숙련공이 필요하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며 보석의 크기가 작아지면 대부분 작업이 매우 어렵거나 난발이 너무 가늘면 사용할 수 없는 방법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내측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다수의 발이 보석의 외주연부를 둘러싸도록 빼곡이 형성되는 난집을 이루어 보석을 비스듬히 삽입시 상기 다수의 발이 외측으로 구부러졌다가 안착홈에 보석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보석을 밀착고정하는 보석 난집에 의하여, 다수의 발로 보다 안정적이면서 탄성에 의해 헐거워지지 않아 보석의 이탈이 방지되고 삽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며 외관이 매끈하여 미려하고 상부에서 보석을 가리는 부분이 적어 보다 밝아지며 고정편이 없어 옷가지에 걸리지 않는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라운부와 파빌리온부를 갖도록 커팅된 보석을 안착시켜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난집에 있어서, 상기 난집(10a,10b)은 단부가 둥글게 마감된 원기둥형상의 다수의 발(11a,11b)로 측면을 형성되되 보석(1)의 크라운부와 파빌리온부가 안착되도록 내측면 소정위치에 안착홈(12a,12b)이 형성되어, 보석(1)을 비스듬이 삽입시 상기 다수의 발(11a,11b)이 외측으로 변형되었다가 보석(1)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돌아오면서 밀착고정되는 보석 난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보석 난집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11a,11b,11c)은 보석(1)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빼곡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석 난집에 있어서, 상기 발(11b)은 5개가 십자(十字)모양으로 묶음으로 형성되되 보석(1)의 외주연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 이상의 다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라운부와 파빌리온부를 갖도록 커팅된 보석을 안착시켜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직육면 형상의 난집에 있어서, 상기 난집(10c)은 단부가 둥글게 마감된 판 형상의 발(11c)로 측면을 형성되되 보석(1)의 크라운부와 파빌리온부가 안착되도록 내측면 소정위치에 안착홈(12c)이 형성되어, 보석(1)을 비스듬이 삽입시 상기 판 형상의 발(11c)이 외측으로 변형되었다가 보석(1)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돌아오면서 밀착고정되는 보석 난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보석 난집에 있어서, 상기 난집(10a,10b,10c)은 삽입되는 보석(1)의 색상을 달리하여 다양한 문자와 도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가로세로 방향(m×n)으로 다수가 배열되어 격자무늬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라운부와 파빌리온부를 갖도록 커팅된 보석을 안착시켜 이탈을 방지하도록 난집에 고정시키는 보석 세팅 방법에 있어서, 단부가 둥글게 마감된 원기둥형상의 다수의 발(11a,11b,11c)을 정사각형태로 형성하는 난집형성단계(100)와; 상기 정사각형태로 형성된 난집(10a,10b,10c)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삼각정을 이용하여 크라운부와 파빌리온부가 안착되도록 안착홈(12a,12b,12c)을 형성하는 안착홈형성단계(110)와; 상기 안착홈(12a,12b,12c)이 형성된 난집(10a,10b,10c)에 보석(1)을 비스듬이 삽입시 상기 다수의 발(11a,11b,11c)이 외측으로 변형되었다가 보석(1)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돌아오면서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보석삽입/고정단계(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석 세팅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보석 난집에 있어서, 상기 난집형성단계(100)는 가로세로 방향(m×n)으로 다수가 배열되어 격자무늬를 형성하고; 상기 보석삽입/고정단계(120)는 다양한 문자와 도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상기 난집(10a,10b,10c)에 삽입되는 보석(1)의 색상을 달리하여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내측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다수의 발이 보석의 외주연부를 둘러싸도록 빼곡이 형성되는 난집을 이루어 보석을 비스듬히 삽입시 상기 다수의 발이 외측으로 구부러졌다가 안착홈에 보석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보석을 밀착고정하는 보석 난집에 의하여, 다수의 발로 보다 안정적이면서 탄성에 의해 헐거워지지 않아 보석의 이탈이 방지되고 삽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며 외관이 매끈하여 미려하고 상부에서 보석을 가리는 부분이 적어 보다 밝아지며 고정편이 없어 옷가지에 걸리지 않는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은 일반적인 보석의 일측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내측면에 안착홈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이는 개략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에 보석을 삽입하는 모습을 보이는 일측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을 m×n 배열로 형성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을 m×n 배열로 형성하고 색상이 다른 보석을 삽입하여 도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에 보석을 삽입하는 모습을 보이는 일측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를 m×n 배열로 형성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따 른 실시예2를 m×n 배열로 형성하고 색상이 다른 보석을 삽입하여 문자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에 보석을 삽입하는 모습을 보이는 일측면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을 m×n 배열로 형성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을 m×n 배열로 형성하고 색상이 다른 보석을 삽입하여 문자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내측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다수의 발이 보석의 외주연부를 둘러싸도록 빼곡이 형성되는 난집을 이루어 보석을 비스듬히 삽입시 상기 다수의 발이 외측으로 구부러졌다가 안착홈에 보석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보석을 밀착고정하는 보석 난집에 의하여, 다수의 발로 보다 안정적이면서 탄성에 의해 헐거워지지 않아 보석의 이탈이 방지되고 삽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며 외관이 매끈하여 미려하고 상부에서 보석을 가리는 부분이 적어 보다 밝아지며 고정편이 없어 옷가지에 걸리지 않는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석 난집(10a,10b)은 상단부가 둥글게 마감된 원기둥형상의 다수의 발(11a,11b)로 측면을 형성되되 보석(1)의 크라운부와 파빌리온부가 안착되도록 내측면 소정위치에 안착홈(12a,12b)이 형성되어, 보석(1)을 비스듬이 삽입시 상기 다수의 발(11a,11b)이 외측으로 변형되었다가 보석(1)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돌아오면서 밀착고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다수의 발(11a)은 보석(1)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빼 곡이 형성되거나, 상기 발(11b)은 5개가 십자(十字)모양으로 묶음으로 형성되되 보석(1)의 외주연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 이상의 다수로 형성되거나, 상단부가 둥글게 마감된 판 형상의 발(11c)로 측면을 형성되도록 하여 보석을 탄성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석 난집(10a,10b,10c)은 삽입되는 보석(1)의 색상을 달리하여 다양한 문자와 도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가로세로 방향(m×n)으로 다수가 배열되어 격자무늬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1)
먼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은 정사각판형의 본체(13a)의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신장되는 원기둥형상의 다수의 발(11a)을 측면이 되도록 빼곡이 형성한다.
다음, 상기 다수의 발(11a)로 이루어진 측면의 내측 소정위치에 삼각정(2)을 이용하여 안착홈(12a)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본체(13a)의 상부면 중앙에는 통공(14a)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보석이 안착됨과 동시에 보석에 하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실시예1의 보석 난집(10a)을 이용하여 보석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예1의 보석 난집(10a)의 상측으로부터 보석을 삽입하되 비스듬히 기울인 채로 보석의 크라운부(1b)와 파빌리온부(1c)의 사이 또는 거들부(1d)의 일측이 안착홈(12a)에 삽입한다.
다음, 상기 보석의 크라운부(1b)와 파빌리온부(1c)의 사이 또는 거들부(1d)의 삽입되지 않은 타측을 눌러서 삽입한다. 이때 발(11a)의 상부가 보석의 파빌리온부(1c)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탄성 변형된다.
다음, 상기 보석의 타측 또한 안착홈(12a)에 삽입되면서 외측으로 밀려나갔던 발(11a)은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보석의 측면을 꽉 잡으면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발(11a)은 보석의 외측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탄성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보석은 진동이나 충격 등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11a)의 상부면을 둥글게 처리하고 발(11a)의 높이를 보석의 상부면 보다 미세하게 높게 형성함으로써 매끈매끈한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옷에 걸려 옷이 훼손되거나 발의 변형으로 인한 보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석을 비스듬하게 기울여 삽입하는 작업은 종래 숙련공에 의해 발 단부의 고정편을 변형시켜 보석을 고정하는 작업에 비하여 매우 쉽고 용이하여, 숙련공이 아니라도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시간이 대폭 축소되어 작업능률이 혁신적으로 향상되어 제조단가의 절감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석의 가장자리를 조금씩 잡아 고정하는 방식은 보석의 상부면을 거의 손실없이 노출시킴으로써 보석의 전체 형상을 보다 잘 노출시킬 수 있고, 하부로부터 유입된 빛을 보다 잘 투과시킬 수 있어 보석의 밝기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1의 보석 난집(10a)은 가로세로 방향(m×n)으로 다수가 배열되어 격자무늬를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삽입되는 보석(1)의 색상을 달리하여 다양한 문자와 도형을 표현할 수 있다.
도 2 내지 6에서 예시로 설명하고 있는 보석 난집(10a)의 발(11a)은 일측에 4개가 배열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보다 많은 수로 배열할 수 있어, 실제로 발(11a)의 굵기를 매우 가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매우 작은 직경의 보석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 4발 또는 6발의 경우, 한 개의 발이 보석의 상부면까지 감싸면서 고정하여야 하므로 일정두께 이하로는 힘이 없어 제조할 수 없었으며, 작은 직경의 보석은 발로 고정할 수 없었다.
(실시예2)
먼저,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는 정사각판형의 본체(13b)의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신장되는 원기둥형상의 다수의 발(11b)은 5개가 십자(十字)모양 묶음으로 형성되되 보석(1)의 외주연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네 모퉁이에 형성한다.
다음, 상기 다수의 발(11b)의 내측 소정위치에 삼각정(2)을 이용하여 안착 홈(12b)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본체(13b)의 상부면 중앙에는 통공(1)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보석이 안착됨과 동시에 보석에 하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실시예2의 보석 난집(10b)을 이용하여 보석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예2의 보석 난집(10b)의 상측으로부터 보석을 삽입하되 비스듬히 기울인 채로 보석의 크라운부(1b)와 파빌리온부(1c)의 사이 또는 거들부(1d)의 일측이 안착홈(12b)에 삽입한다.
다음, 상기 보석의 크라운부(1b)와 파빌리온부(1c)의 사이 또는 거들부(1d)의 삽입되지 않은 타측을 눌러서 삽입한다. 이때 발(11b)의 상부가 보석의 파빌리온부(1c)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탄성 변형된다.
다음, 상기 보석의 타측 또한 안착홈(12b)에 삽입되면서 외측으로 밀려나갔던 발(11b)은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보석의 측면을 꽉 잡으면서 고정하게 된다.
실시예1과 실시예2의 큰 차이점은 실시예2의 발(11b)이 개수가 적어 보석의 4방향을 가리는 것이 없어 보석이 보다 밝게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2의 보석 난집(10b)은 가로세로 방향(m×n)으로 다수가 배열되어 격자무늬를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삽입되는 보석(1)의 색상을 달리하여 다양한 문자와 도형을 표현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2의 나머지 특징 및 효과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 여 생략한다.
(실시예3)
먼저, 도 11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은 정사각판형의 본체(13c)의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단부가 둥글게 마감된 판 형상의 발(11c)로 측면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다수의 발(11c)의 내측 소정위치에 삼각정(2)을 이용하여 안착홈(12c)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본체(13c)의 상부면 중앙에는 통공(14c)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보석이 안착됨과 동시에 보석에 하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실시예3의 보석 난집(10c)을 이용하여 보석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예3의 보석 난집(10c)의 상측으로부터 보석을 삽입하되 비스듬히 기울인 채로 보석의 크라운부(1b)와 파빌리온부(1c)의 사이 또는 거들부(1d)의 일측이 안착홈(12c)에 삽입한다.
다음, 상기 보석의 크라운부(1b)와 파빌리온부(1c)의 사이 또는 거들부(1d)의 삽입되지 않은 타측을 눌러서 삽입한다. 이때 발(11c)의 상부가 보석의 파빌리온부(1c)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탄성 변형된다. 이때 사실상 4측면의 발(11c)이 절개부가 없이 모두 일체로 붙어 있으나, 4측면의 중앙부에서 탄성에 의해 휘어지면서 보석이 들어가도록 변형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보석의 타측 또한 안착홈(12c)에 삽입되면서 외측으로 밀려나갔던 발(11c)은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보석의 측면을 꽉 잡으면서 고정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3의 특징 및 효과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내측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다수의 발이 보석의 외주연부를 둘러싸도록 빼곡이 형성되는 난집을 이루어 보석을 비스듬히 삽입시 상기 다수의 발이 외측으로 구부러졌다가 안착홈에 보석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보석을 밀착고정하는 보석 난집에 의하여, 다수의 발로 보다 안정적이면서 탄성에 의해 헐거워지지 않아 보석의 이탈이 방지되고 삽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며 외관이 매끈하여 미려하고 상부에서 보석을 가리는 부분이 적어 보다 밝아지며 고정편이 없어 옷가지에 걸리지 않는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보석의 일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내측면에 안착홈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이는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에 보석을 삽입하는 모습을 보이는 일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을 m×n 배열로 형성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을 m×n 배열로 형성하고 색상이 다른 보석을 삽입하여 도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에 보석을 삽입하는 모습을 보이는 일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를 m×n 배열로 형성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를 m×n 배열로 형성하고 색상이 다른 보석을 삽입하여 문자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에 보석을 삽입하는 모습을 보이는 일측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을 m×n 배열로 형성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 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을 m×n 배열로 형성하고 색상이 다른 보석을 삽입하여 문자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석 1a: 테이블부
1b: 크라운부 1c: 파빌리온부
1d: 거들부 1e: 큐렛부
2: 삼각정 10a,10b,10c: 보석 난집
11a,11b,11c: 발 12a,12b,12c: 안착홈
13a,13b,13c: 본체 14a,14b,14c: 통공
100: 난집형성단계 110: 안착홈형성단계
120: 보석삽입/고정단계

Claims (7)

  1. 삭제
  2. 단부가 둥글게 마감된 원기둥형상의 다수의 발로 측면을 형성되되 보석의 크라운부와 파빌리온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다수의 발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보석을 비스듬이 삽입시 상기 다수의 발이 외측으로 변형되었다가 보석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돌아오면서 밀착고정되어 보석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난집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11a)은 보석(1)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빼곡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난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11b)은 5개가 십자(十字)모양 묶음으로 형성되되 보석(1)의 외주연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 이상의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난집.
  4. 크라운부와 파빌리온부를 갖도록 커팅된 보석을 안착시켜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직육면 형상의 난집에 있어서,
    상기 난집(10c)은 단부가 둥글게 마감된 판 형상의 발(11c)로 측면을 형성되되 보석(1)의 크라운부와 파빌리온부가 안착되도록 내측면 소정위치에 안착홈(12c)이 형성되어, 보석(1)을 비스듬이 삽입시 상기 판 형상의 발(11c)이 외측으로 변형되었다가 보석(1)이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으로 돌아오면서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난집.
  5. 제 2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집(10a,10b,10c)은 삽입되는 보석(1)의 색상을 달리하여 다양한 문자와 도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가로세로 방향(m×n)으로 다수가 배열되어 격자무늬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난집.
  6. 삭제
  7. 삭제
KR1020090096658A 2009-10-12 2009-10-12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 KR101136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658A KR101136954B1 (ko) 2009-10-12 2009-10-12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658A KR101136954B1 (ko) 2009-10-12 2009-10-12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701A KR20110039701A (ko) 2011-04-20
KR101136954B1 true KR101136954B1 (ko) 2012-04-19

Family

ID=4404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658A KR101136954B1 (ko) 2009-10-12 2009-10-12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9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095B1 (ko) * 2015-01-12 2016-03-09 김성한 보석체 반지의 조립방법
KR20220007925A (ko) 2020-07-13 2022-01-20 김민주 보석 세팅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석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9406B1 (fr) * 2018-03-13 2022-09-21 Dress Your Body S.A. Procede de sertissage de pierres dans un element support et article decorati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325A (ko) * 1987-08-04 1989-04-14 신태원 장신용 연결난집 및 그 제조 방법
JPH0856717A (ja) * 1994-08-19 1996-03-05 Katsumi Yamamoto 宝石の取付方法
KR20010096728A (ko) * 2000-04-14 2001-11-08 권의철 큐빅 및 보석의 귀금속 셋팅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325A (ko) * 1987-08-04 1989-04-14 신태원 장신용 연결난집 및 그 제조 방법
JPH0856717A (ja) * 1994-08-19 1996-03-05 Katsumi Yamamoto 宝石の取付方法
KR20010096728A (ko) * 2000-04-14 2001-11-08 권의철 큐빅 및 보석의 귀금속 셋팅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095B1 (ko) * 2015-01-12 2016-03-09 김성한 보석체 반지의 조립방법
KR20220007925A (ko) 2020-07-13 2022-01-20 김민주 보석 세팅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석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701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749B1 (en) Jewelry article utilizing a linear stone setting
US7707722B1 (en) Technique for setting precious stones such as diamonds by a combination of prongs and a groove in a peripheral wall
US20110056242A1 (en) Visible setting
KR101153716B1 (ko) 보석의 난반사율을 높이도록 빛 유입구를 갖는 보석체인용 난집 및 상기 난집을 이용한 보석체인과 그 제조방법
US11096457B2 (en) Size enhancer precious stone setting
US8359883B2 (en) Gemstone setting
KR101136954B1 (ko) 보석 난집 및 그 보석 세팅 방법
US9913514B2 (en) Brilliance enhancing jewelry prong setting
US7533541B1 (en) Jewelry setting for a row of diamonds
WO2018015966A1 (en) A gemstone cut
US20080163647A1 (en) Arrangement for article of jewelry
US1449158A (en) Gem setting
US20110252829A1 (en) Jewelry articles having a solitaire cut appearanc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70311686A1 (en) Brilliant Cut Gemstone Cluster
JP5866381B2 (ja) 色変化する複数ストーンセッティング
US20110203317A1 (en) Jewelry with a gem invertedly set therein
KR20130115662A (ko) 난집형 난발 보석세팅방법 및 그 구조물
US20040083758A1 (en) Jewel setting
US20050241337A1 (en) Jewelry prong with an internal setting
CN210184732U (zh) 一种宝石镶嵌结构及首饰
KR101883965B1 (ko) 연결형 장신용구
CN215603616U (zh) 一种首饰
JP2011152215A (ja) 装飾具
CN210747638U (zh) 一种采用微镶方式固定钻石的首饰
JP3137955U (ja) 宝石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