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743B1 -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743B1
KR101135743B1 KR1020110114359A KR20110114359A KR101135743B1 KR 101135743 B1 KR101135743 B1 KR 101135743B1 KR 1020110114359 A KR1020110114359 A KR 1020110114359A KR 20110114359 A KR20110114359 A KR 20110114359A KR 101135743 B1 KR101135743 B1 KR 10113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y valve
casing
filter
mel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평
권기홍
Original Assignee
권기홍
김길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홍, 김길평 filed Critical 권기홍
Priority to KR1020110114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10Filtering or de-aerating the spinning solution or melt
    • D01D1/106Filter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4Cleaning spinnerettes or other parts of the spinnerette p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수지를 용융시켜 합성섬유를 생산하는 용융방사설비의 압출기와 노즐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용융방사설비의 재생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방사설비의 운전 중지 없이도 필터 교체 작업이 가능하여 연속적인 작동에 따른 생산효율 및 작업능률을 크게 증대시킴은 물론이고 필터링 과정에서 발생된 고압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크게 강화된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삼방밸브를 통해 용융액의 이송 방향을 제어할 수 있어 용융방사설비의 운전 중지 없이도 필터 교체 작업이 가능하여 연속적인 작동에 따른 생산효율 및 작업능률을 크게 증대시킴은 물론이고 삼방밸브의 조절노브에 형성된 배출공이 조절노브의 회전 위치에 따라 유로관과 연통되면서 필터링 과정에서 발생된 고압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크게 강화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A filtering device for a melt spinner}
본 발명은 열가소성수지를 용융시켜 합성섬유를 생산하는 용융방사설비의 압출기와 노즐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용융방사설비의 재생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방사설비의 운전 중지 없이도 필터 교체 작업이 가능하여 연속적인 작동에 따른 생산효율 및 작업능률을 크게 증대시킴은 물론이고 필터링 과정에서 발생된 고압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크게 강화된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융방사는 용융방사설비를 통해서 방사성(Spinnability)을 갖는 고분자 중합체를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시켜 노즐(Nozzle)을 통하여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서 가늘고 긴 고체상태의 섬유를 얻는 방법으로, 압출기에 투입된 고분자 펠릿(Pellet)은 스크루를 통과하여 배럴(Barrel)로 이동하는데, 질소 기류 하에서 스크루와 배럴을 통과하면서 혼합 용융되어 균일한 용융액이 된다. 이때, 얻어진 용융액은 필터를 거쳐 노즐을 통과하여 섬유상으로 되며 냉각공기 흐름에 의해 고화되고, 토출속도에 비하여 큰 속도로 권취하여서 섬유를 얻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펠렛은 수지 고유의 성분 외에도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노즐에 주입되기 전에 용융상태에서 여과시켜 이물질을 여과하는 공정이 필수적인데 이에 사용되는 것이 여과장치이다.
이러한 여과장치에 관련된 것은 본 출원인이 2004년에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58764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여과기구는 압출기와 노즐 사이에 설치되어서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터의 여과처리용량을 증대시켜 필터의 사용시간을 연장하므로써 필터의 교체시기를 감소시켜 작업자의 수고를 현격히 저하시킴과 동시에 생산효율을 극대화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물론, 종래의 여과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의 교체횟수를 줄여서 작업자의 수고를 절감함과 동시에 생산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여과기구는 그 구성에 의해 필터의 교체횟수를 줄였지만 여전히 필터의 교체는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필터를 교체하는 방법으로는 여과기구와 연결되어 용융액을 공급하는 압출기의 운전을 중지시키고 여과기구 내부에 이미 유입된 용융액이 배출될 때까지 기다린 후 필터하우징의 도어를 열어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필터를 꺼내 교체하게 된다. 물론, 필터의 교체 작업 자체는 아주 간편하나 필터의 교체시 반드시 압출기의 운전을 중지해야 되는 큰 단점이 있었다.
압출기의 운전을 중지하게 되면 연속적인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어 비 운전시간을 늘이게 되므로 생산효율은 저하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압출기와 여과기구의 운전 중지의 문제를 넘어서 필터 교체 중에는 여과기구를 통해서 여과된 용융액이 더 이상 토출되지 않게 되므로 여과기구의 후반 공정인 노즐공정, 냉각공정 및 권취공정 등이 자동으로 멈추게 되어 그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운전 정지를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여과기구는 필터 교체시 용융방사장치의 작동 중지 요구에 따른 연속적인 작동이 불가능하고, 생산효율 저하와 함께 작업능률 저하를 초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압출기의 자동 온도는 250도를 상회하면서 고온의 용융액을 여과기구로 방사하여서 필터링시키게 되는데, 여과과정에서 여과시간이 초과하게 되면 고온의 용융액 온도가 다소 떨어져 고품질의 섬유 생산에 지장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융방사설비의 운전 중지 없이도 필터 교체 작업이 가능하여 연속적인 작동에 따른 생산효율 및 작업능률을 크게 증대시킴은 물론이고 필터링 과정에서 발생된 고압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크게 강화된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융방사설비의 압출기와 노즐 사이에 설치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내부 전체가 균등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며, 내부를 가온시킬 수 있는 히팅부재가 일측에 구비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압출기에서 공급되는 용융액을 공급받아 제어를 통해 양측 혹은 선택된 어느 일측으로 공급하는 제1삼방밸브와, 상기 제1삼방밸브를 통해서 공급된 용융액을 합류시켜 상기 노즐로 배출하는 제2삼방밸브로 이루어지는 삼방밸브부재; 및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제1삼방밸브와 제2삼방밸브 사이에 병렬적으로 구비되어 제1삼방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용융액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2삼방밸브로 이송하는 한 쌍의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삼방밸브는 상기 케이싱 일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압출기와 연결되어 용융액을 공급받는 메인유로관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유로관과 연통되게 분기되는 제1,2유로관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메인유로관과 연통되는 결합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결합구를 통해 일측이 결합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메인유로관과 제1,2유로관을 동시에 연통시키거나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로관만을 연통시켜 용융액이 이송되도록 하는 유입로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유입로가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로관과 연통될 때 연통되지 않은 다른 유로관 측의 고압을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배출공이 형성된 조절노브;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노브를 체결하는 결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히팅부재는 가온 능력이 우수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수직 히팅부 및 상기 케이싱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수평 히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 히팅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충진되는 오일 배출 없이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 하면에 서랍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부재는 필터링 능력이 우수하도록 다단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삼방밸브를 통해 용융액의 이송 방향을 제어할 수 있어 용융방사설비의 운전 중지 없이도 필터 교체 작업이 가능하여 연속적인 작동에 따른 생산효율 및 작업능률을 크게 증대시킴은 물론이고 삼방밸브의 조절노브에 형성된 배출공이 조절노브의 회전 위치에 따라 유로관과 연통되면서 필터링 과정에서 발생된 고압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크게 강화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삼방밸브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분리 사시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고, "나"는 조절노브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삼방밸브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일부 절개 사시도.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부재 및 필터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9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f)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압출기(1)와 노즐(2) 사이에 설치되어서 압출기(1)로부터 공급되는 용융액 즉, 용융된 수지를 공급받아 여과시켜 노즐(2)로 배출하는 것으로, 여과장치(f)로부터 배출된 용융액을 공급받은 노즐(2)은 용융액을 가늘고 긴 섬유 형태로 토출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압출기(1)와 노즐(2) 사이에 설치되는 여과장치(f)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싱(100), 삼방밸브부재(200) 및 한 쌍의 필터부재(300,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삼방밸브부재(200) 및 한 쌍의 필터부재(300,300')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되, 상기 삼방밸브부재(200)와 필터부재(300,300')는 케이싱(100) 외부에서 유지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미부호 설명이나 장착공을 그 표면에 형성하여 일부는 노출된 상태로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내부 전체가 균등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오일이 충진되며, 내부를 가온시킬 수 있는 히팅부재(110)가 구비되는데, 상기 히팅부재(110)는 가온 능력이 우수하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수직 히팅부(112) 및 상기 케이싱(100) 하면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수평 히팅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 히팅부(112)는 케이싱(100)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수직 히팅부(112)의 교체 및 수리시 내부에 구비된 오일을 배출할 필요 없이 그대로 케이싱(100)에서 분리 가능하다. 그러나, 수평 히팅부(114)의 경우에는 케이싱(100)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이를 교체하고자 하면 내부에 충진된 오일을 분리한 뒤에 가능할 것이나, 본 발명의 수평 히팅부(114)의 경우에는 내부 공간으로 직접 결합되지 않고 하면에 별도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서랍 형태로 결합되므로 케이싱(100) 내부에 충진되는 오일과 별개로 교체 가능한 형태이므로 유지관리가 극히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 일측에는 압출기(1)와 연결되는 공급관(120)이 구비되며, 하면에는 노즐(2)과 연결되는 배출관(13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삼방밸브부재(200)는 상기 케이싱(100)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공급관(120)과 연결되어 상기 압출기(1)로부터 용융액을 공급받아 제어를 통해 양측 혹은 선택된 어느 일측으로 공급하는 제1삼방밸브(210) 및 상기 케이싱(100)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삼방밸브(210)를 통해서 공급된 용융액을 합류시켜 상기 케이싱(100)에 구비된 배출관(130)으로 공급하여 노즐(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제2삼방밸브(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 삼방밸브(210,210')는 케이싱(100) 외부에서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일부가 케이싱(100)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삼방밸브(210,210')의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300,300')는 상기 제1,2삼방밸브(210,210') 사이에 병렬적으로 설치되어 제1삼방밸브(210)에서 제2삼방밸브(210')로 공급되는 용융액을 필터링 즉, 여과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다단으로 구성되어 필터링 능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터부재(300,300')의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이제, 하기에서는 앞서 간략하게 살펴본 삼방밸브(210,210') 및 필터부재(300,300')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삼방밸브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고, "나"는 조절노브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삼방밸브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먼저, 도 4 및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1삼방밸브(210)는 크게 바디(212), 조절노브(218) 및 결합체(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212)는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케이싱(100) 일측벽에 설치되어 공급관(120)과 연결되어 용융액을 공급받는 메인유로관(213)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유로관(213)과 연통되게 분기되는 제1,2유로관(214,215)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메인유로관(213)과 연통되는 결합구(216)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노브(218)는 상기 바디(212)의 결합구(216)를 통해 일측이 결합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메인유로관(213)과 제1,2유로관(214,215)을 동시에 연통시키거나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로관만을 연통시켜 용융액이 이송되도록 메인유로관(213)과 직접 연통되는 유입로(220)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유입로(220)가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로관과 연통될 때 연통되지 않은 다른 유로관 측의 고압을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배출공(2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유입로(220)와 배출공(222)은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이며, 한 쌍의 배출공(222)은 조절노브(218)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측 배출공(222)은 제1유로관(214)과 타측 배출공(222)은 제2유로관(215)과 연통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체(224)는 상기 바디(212)에 미부호 설명이나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조절노브(218)가 회전 동작은 가능하되 무단으로 바디(21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제1삼방밸브(210)는 도 6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12)의 메인유로관(213)에는 공급관(120)이 연결되고, 제1,2유로관(214,215)에는 이송관(340)이 각각 연결되는데, 이 상태에서 조절노브(218)의 유입로(220)가 바디(212)의 제1.2유로관(214,215) 사이에 위치하여 메인유로관(213)과 제1,2유로관(214,215)이 동시에 연통되도록 하면 공급관(120)으로부터 유입되는 용융액은 메인유로관(213)을 거처 조절노브(218)의 유입로(220)를 따라 양측 즉 제1,2유로관(214,215)을 따라 배출되어 각각의 이송관(340)을 통해서 이송될 것이다.
그러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노브(218)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유입로(220)가 바디(212)의 메인유로관(213)과 제1유로관(214)만을 연통시키게 되면 공급관(120)으로 유입되는 용융액은 제1유로관(214)만을 통해서 배출 이송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이때, 조절노브(218)의 회전으로 인해 유입로(220)의 반대쪽에 형성된 한 쌍의 배출공(222) 중 어느 일측 배출공(222)이 제2유로관(215)과 연통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제2유로관(215) 및 이에 연결된 이송관(340)의 고압이 조절노브(218)의 배출공(222)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조절노브(218)를 회전시켜 제1,2유로관(214,215)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로관을 통해서 용융액을 이송시킬 때 별도의 조작 없이도 용융액이 이송되지 않는 다른 유로관 내부에 발생된 고압을 배출공(222)이 자동으로 외부로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여기서는 미도시 하였으나 바디(212)의 내부로 결합되지 않은 조절노브(218) 끝단은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은 당연하다.
한편, 여기서는 미도시 하였으나 삼방밸브부재(200)를 구성하는 제2삼방밸브(210') 또한 제1삼방밸브(2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면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1삼방밸브(210)는 공급되는 용융액을 분류하여 공급하는데 사용되고, 제2삼방밸브(210')는 분류되어 이송되는 용융액을 합류시켜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차이가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의 "가" 및 "나"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필터부재(300,300')는 종래기술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므로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즉, 공급되는 용융액이 유입되는 유입구(314)와 필터링 된 용융액을 배출하는 배출구(316)가 형성되며, 개폐 작동되는 도어(312)가 구비된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 내에서 상기 유입구(314)와 배출구(316) 사이에 구비되어 공급된 용융액을 필터링하는 필터(320)와, 상기 필터(320)를 하우징(310) 내벽에 밀착하기 위한 밀착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미부호 설명이나 상기 밀착부재(330)가 필터(320)를 밀착할 때 하우징(310)에 형성된 배출구(316)를 막음하게 될 수 있는데, 이를 경우에는 상기 밀착부재(330)의 하면에 통공을 형성하여 필터링 된 용융액이 배출구(316)로 배출되는 배출로를 확보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삼방밸브부재(200) 및 필터부재(300,300')의 결합구성 및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부재 및 필터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제1삼방밸브(210)의 바디(212)에 형성된 메인유로관(213)에는 공급관(120)이 연결되고, 제2삼방밸브(210')의 바디(212)에 형성된 메인유로관(213)에는 배출관(130)이 연결되어 있다. 이 사이에 병렬적으로 구비되어 개략적으로 도시된 이송관(340)을 매개로 연결된 한 쌍의 필터부재(300,300')는 각각 다단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필터부재(300,300') 중 일측은 제1,2삼방밸브(210,210')의 제1유로관(214)과 이송관(340)을 매개로 연결되고, 다른 측은 제1,2삼방밸브(210,210')의 제2유로관(215)과 이송관(340)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제1삼방밸브(210)의 메인유로관(213)에 연결된 공급관(120)으로부터 용융액이 공급되면 제1삼방밸브(210)의 제1,2유로관(214,215)으로 분류되어 각 유로관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관(340)을 통해서 이송되고, 필터부재(300,300')를 거치면서 필터링 되어 제2삼방밸브(210')의 제1,2유로관(214,215)을 통해서 합류되어 메인유로관(213)에 연결되어 있는 배출관(130)을 통해서 배출되는 것이다.
물론, 앞서 살펴본 제1삼방밸브(210)의 동작에서 알 수 있듯이 제1,2삼방밸브(210,210')의 조절노브(218)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제1,2유로관(214,215)으로 동시에 이송시킬 수도 있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로관으로 이송시킬 수 있음은 너무나 당연하다. 만약, 제1,2삼방밸브(210,210')의 조절노브(218)를 회전시켜 제1유로관(214)만을 통해서 용융액이 이송되도록 하면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조절노브(218)의 회전에 의해 그 일측면에 형성된 배출공(222)이 제2유로관(215)과 연통되면서 제2유로관(215)과 연결된 이송관(340) 및 필터부재(300)의 고압을 외부로 자동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제2유로관(215) 측에 연결된 필터부재(300)의 필터(320) 교체가 요구되더라도 별도로 압력을 빼는 등의 동작 없이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1,2삼방밸브(210,210')의 조절노브(218) 회전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압력이 배출되므로 필터부재(300) 혹은 이송관의 고압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별도의 통로나 압력배출밸브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지니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발명의 여과장치(f)에 대한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9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구성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압출기(1)로부터 용융액이 공급되면 케이싱(100)의 공급관(120)을 따라 제1삼방밸브(210)의 메인유로관(213)으로 유입되며 조절노브(218)가 제1,2유로관(214,215)을 동시에 연통하고 있을 경우에는 용융액은 제1,2유로관(214,215)을 통해서 각각 공급된다. 공급된 용융액은 각 유로관에 이송관(340)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필터부재(300,300')로 이송되어 필터링 된 뒤 제2삼방밸브(210')의 제1,2유로관(214,215)으로 유입되어 합류되면서 메인유로관(213)과 연결된 배출관(130)으로 배출되어 노즐(2)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한 쌍의 필터부재(300,300') 중 어느 일측 즉, 제2유로관(215) 측에 설치된 필터부재(300)의 필터 교체가 요구되면, 작업자는 제1,2삼방밸브(210,210')의 조절노브(218)를 회전시켜 제2유로관(215)은 폐쇄시키고 제1유로관(214)만을 메인유로관(213)과 연통시켜 용융액이 제1유로관(214) 및 이에 연결된 필터부재(300')를 통해서만 이송되도록 한다. 물론, 제2삼방밸브(210')의 조절노브(218)를 회전시키는 동작은 약간의 시차를 두어 제1삼방밸브(210)의 제2유로관(215)과 제2삼방밸브(210')의 제2유로관(215) 사이에 이미 이송된 용융액이 배출된 뒤에 하여 그 이송로를 비우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1,2삼방밸브(210,210'))의 조절노브(218) 회전 동작을 통해서 제2유로관(215)이 폐쇄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 작업자는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필터부재(300)의 하우징(310)에 구비된 도어(312)를 열고 필터(320)를 교체하면 되는데, 이 과정에서 용융액이 이송되지 않는 제2유로관(215)측은 조절노브(218)에 형성된 배출공(222)을 통해서 고압이 외부로 방출된 상태이므로 안전하게 필터(320)를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과장치(f)에 의하면, 케이싱(100)에 구비되는 히팅부재(110)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됨과 동시에 하면에 별도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구비되므로 내부에 충진되는 오일의 배출 동작 없이도 교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삼방밸브부재(200)를 통해서 용융액의 이송 방향을 제어할 수 있어 운전 중지 없이 필터 교체가 가능하여 연속적인 작동에 따른 생산효율 및 작업능률을 크게 증대시킴은 물론이고 특히 삼방밸브(210,210')의 조절노브(218)에 배출공(2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절노브(218)의 회전 위치에 따라 용융액이 이송되지 않는 유로관의 고압은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 압출기 2 : 노즐
f : 여과장치 100 : 케이싱
110 : 히팅부재 120 : 공급관
130 : 배출관 200 : 삼방밸브부재
210 : 제1삼방밸브 210' : 제2삼방밸브
212 : 바디 213 : 메인유로관
214 : 제1유로관 215 : 제2유로관
216 : 결합구 218 : 조절노브
220 : 유입로 222 : 배출공
224 : 결합체 300,300' : 필터부재
310 : 하우징 312 : 도어
314 : 유입구 316 : 배출구
320 : 필터 330 : 밀착부재

Claims (3)

  1. 용융방사설비의 압출기와 노즐 사이에 설치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내부 전체가 균등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며, 내부를 가온시킬 수 있는 히팅부재가 일측에 구비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압출기에서 공급되는 용융액을 공급받아 제어를 통해 양측 혹은 선택된 어느 일측으로 공급하는 제1삼방밸브와, 상기 제1삼방밸브를 통해서 공급된 용융액을 합류시켜 상기 노즐로 배출하는 제2삼방밸브로 이루어지는 삼방밸브부재; 및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제1삼방밸브와 제2삼방밸브 사이에 병렬적으로 구비되어 제1삼방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용융액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2삼방밸브로 이송하는 한 쌍의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삼방밸브는
    상기 케이싱 일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압출기와 연결되어 용융액을 공급받는 메인유로관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유로관과 연통되게 분기되는 제1,2유로관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메인유로관과 연통되는 결합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결합구를 통해 일측이 결합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메인유로관과 제1,2유로관을 동시에 연통시키거나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로관만을 연통시켜 용융액이 이송되도록 하는 유입로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유입로가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로관과 연통될 때 연통되지 않은 다른 유로관 측의 고압을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배출공이 형성된 조절노브;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노브를 체결하는 결합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재는 가온 능력이 우수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수직 히팅부 및 상기 케이싱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수평 히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 히팅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충진되는 오일 배출 없이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 하면에 서랍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필터링 능력이 우수하도록 다단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
KR1020110114359A 2011-11-04 2011-11-04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 KR10113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359A KR101135743B1 (ko) 2011-11-04 2011-11-04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359A KR101135743B1 (ko) 2011-11-04 2011-11-04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743B1 true KR101135743B1 (ko) 2012-04-16

Family

ID=4614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359A KR101135743B1 (ko) 2011-11-04 2011-11-04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7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763B1 (ko) * 2013-11-26 2015-06-25 장범택 압출성형용 연속 방사두
CN108103591A (zh) * 2018-02-07 2018-06-01 苏州金泉新材料股份有限公司 纺丝熔体过滤装置
CN113062051A (zh) * 2021-04-03 2021-07-02 林加山 一种无纺布及其制备方法
KR20210157780A (ko)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월드로 멀티헤드 방사장치
CN115386974A (zh) * 2022-09-29 2022-11-25 山西钢科碳材料有限公司 湿法纺丝凝固浴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71U (ko) * 1996-07-12 1998-04-30 강종섭 합성수지필름사 제조용 방사장치
KR20000030588A (ko) * 2000-03-08 2000-06-05 이동순 재생 폴리에스터사 압출기용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71U (ko) * 1996-07-12 1998-04-30 강종섭 합성수지필름사 제조용 방사장치
KR20000030588A (ko) * 2000-03-08 2000-06-05 이동순 재생 폴리에스터사 압출기용 필터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763B1 (ko) * 2013-11-26 2015-06-25 장범택 압출성형용 연속 방사두
CN108103591A (zh) * 2018-02-07 2018-06-01 苏州金泉新材料股份有限公司 纺丝熔体过滤装置
CN108103591B (zh) * 2018-02-07 2023-06-20 苏州金泉新材料股份有限公司 纺丝熔体过滤装置
KR20210157780A (ko)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월드로 멀티헤드 방사장치
KR102423235B1 (ko) * 2020-06-22 2022-07-21 주식회사 월드로 멀티헤드 방사장치
CN113062051A (zh) * 2021-04-03 2021-07-02 林加山 一种无纺布及其制备方法
CN114737319A (zh) * 2021-04-03 2022-07-12 林加山 一种无纺布的制备方法
CN113062051B (zh) * 2021-04-03 2022-12-13 宁波九九依心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纺布及其制备方法
CN114737319B (zh) * 2021-04-03 2023-02-28 杭州佳思可玲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纺布的制备方法
CN115386974A (zh) * 2022-09-29 2022-11-25 山西钢科碳材料有限公司 湿法纺丝凝固浴装置
CN115386974B (zh) * 2022-09-29 2023-12-15 山西钢科碳材料有限公司 湿法纺丝凝固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743B1 (ko)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
KR20180124024A (ko) 연속 스크린체인저 및 스크린 교체 장치와 압출기
CN104245274A (zh) 用于大面积地过滤流体的过滤设备
CN101870163A (zh) 用于塑料熔体的过滤装置
CN106626260B (zh) 塑料检查井井座注塑模叠层式热流道浇注装置
CN102358960B (zh) 纺丝组件和纺丝部件
CN101838857A (zh) 喷丝头
CN102241125A (zh) 挤出机用不停机长效过滤器
JP3170645B2 (ja) フィルタ交換ユニット
KR101805727B1 (ko) 사출금형장치의 순환수배관 제어장치
CN212800749U (zh) 一种熔喷布生产装置用熔喷喷头
KR102070413B1 (ko) 수지 여과 시스템
CN201211704Y (zh) 塑料挤出机过滤机头
US7309430B2 (en) Filtration system utilizing a single valve to direct fluid streams between filter assemblies and corresponding methods
CN102320121A (zh) 挤出机用自清洗不停机长效过滤器
CN202878636U (zh) 一种塑料挤出机的不停机双工位换网器
CN107116812B (zh) 纤维浸渍系统、拉挤设备及拉挤复合材料的制造方法
CN103498207B (zh) 一种适用于干喷-湿纺法制造芳纶ⅲ纤维的凝固成形装置
CN203653803U (zh) 一种适用于干喷-湿纺法制造芳纶ⅲ纤维的凝固成形装置
CN209033883U (zh) 一种玻璃夹胶薄膜的熔体过滤器
KR101339600B1 (ko) 기화기
CN220846358U (zh) 一种熔体过滤器
CN105715825A (zh) 一种带有再生剂供给装置的软化阀及其水处理设备
KR101159747B1 (ko) 소화탑의 물공급장치
KR101531763B1 (ko) 압출성형용 연속 방사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