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549B1 - Par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ar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549B1
KR101135549B1 KR1020110133128A KR20110133128A KR101135549B1 KR 101135549 B1 KR101135549 B1 KR 101135549B1 KR 1020110133128 A KR1020110133128 A KR 1020110133128A KR 20110133128 A KR20110133128 A KR 20110133128A KR 101135549 B1 KR101135549 B1 KR 101135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guide
uni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1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선영
Original Assignee
(주)오성파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성파킹 filed Critical (주)오성파킹
Priority to KR102011013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5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5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parking apparatus with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is provided to enter and take a vehicle into/out of the parking apparatus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a vehicle stopped on a parking deck. CONSTITUTION: A parking apparatus with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comprises a frame(10), multiple parking decks(20), and a parking unit(30). The frame has a guide unit(11). The parking decks are separated from the guide unit of the frame and are arranged on each layer in a line. The parking unit comprises a transfer car(31), a lifting unit(33), a moving unit(35), and an entry and exit unit(37). The transfer car is moved along the guide unit. The lifting unit lifts vehicles parked on the parking decks. The moving unit moves the transfer car along the guide unit. The entry and exit unit is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the parking decks.

Description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PARKING APPARATUS}Parking lot with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PA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주차수단의 리프팅부가 입출고되는 차량을 승하강시키되, 입출고되는 차량을 주차데크에 이미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상부 차량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주행수단 의하여 이송대차를 이동시킨 후, 리프팅부에 의하여 차량을 승하강시켜 주차 또는 출차시킴으로써, 주차데크에 정차되어 있는 차량의 위치에 상관없이 차량의 주차나, 출차가 가능해져 주차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입출고 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여 이용자의 대기시간을 줄여줌으로써 이용편의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주차수단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있어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value for improving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and more specifically, to lift a vehicle in which the lifting part of the parking means is in and out, and to elevate the upper vehicle of the vehicle that is already parked in the parking deck. After moving the transport cart by the driving means, the vehicle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unit to park or unload the vehicle, so that the parking or unloading of the vehicle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vehicle stopped on the parking deck.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arking efficiency, and also to save time spent at the time of getting in and out of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of the user, thereby ensuring user convenience and reliability, and further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park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y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economics.

일반적으로 주차장치에는 엘리베이터나 리프팅 방식을 이용한 타워식 주차장치와, 승강횡행식 주차장치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the parking lot value is a tower type parking lot using an elevator or a lifting method,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parking lot value is widely used.

이러한 종래의 주차장치로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257112호(2000.02.08.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엘리베이터 방식의 주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Such a conventional parking lot value is disclosed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257112 (2000.02.08. Hereinafter 'prior art') "Elevator parking lot value".

상기 종래기술은 중앙부에 승강로가 형성되고 이 승강로의 좌우 양측에 복수층의 주차실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승강로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베이스와 이 리프트베이스상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작동공간을 형성하는 차량지지대를 가지는 리프트와, 상기 주차실의 각층에 설치되어 차량을 적재하는 팰리트와, 상기 리프트를 승강구동시키는 리프트승강구동수단과, 상기 리프트프레임에 설치되어 리프트가 지정층으로 이동시 팰리트의 걸림부재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걸고리부재를 이동시킨 상태로 이동하면서 리프트가 지정층에 도달하였을 때 추가적인 횡행동작 없이 상기 팰리트를 주차실에서 승강로측으로 횡행시키는 팰리트횡행수단로 구성되어 리프트에 설치되는 팰리트횡행 구동수단을 리프트베이스의 전후방향 중간부에 하나만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rior art has a main frame in which a hoistway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istway, and a lift base installed on the liftway so as to be liftable in the hoistway and operated therebetween. A lift having a vehicle support forming a space, a pallet mounted on each floor of the parking space for loading a vehicle, a lift lift driving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 and a lift provided on the lift frame to a designated floor It consists of a pallet transverse means for translating the pallet from the parking room to the hoistway without additional transverse motion when the lift reaches the designated floor while moving the hook member to a position where it can be caught by the pallet's catching member. Pallet transverse driving means installed on the lift It is configured to install only one.

그러나 종래기술은 타워형태의 주차설비로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층고를 높여야 한다는 한계가 있고, 이는 충분한 주차공간의 확보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게 하며,However, the prior art is a tower-type parking facility, there is a limit to increase the height in order to secure a lot of parking space, which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parking space,

또한 일정한 높이로 제작된 주차설비는 구조적인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문제는 주차될 차량의 종류를 한정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In addition, parking facilities manufactured at a constant height may have a problem in structural safety, which causes a problem of limiting the type of vehicle to be park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주차수단의 리프팅부가 입출고되는 차량을 승하강시키되, 입출고되는 차량을 주차데크에 이미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상부 차량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주행수단 의하여 이송대차를 이동시킨 후, 리프팅부에 의하여 차량을 승하강시켜 주차 또는 출차시킴으로써,The lifting unit of the parking means is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the vehicle that is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and to lift the vehicle that is already parked on the parking deck and the upper vehicle of the vehicle already parked on the parking deck. By raising and lowering the vehicle and parking or leaving the vehicle,

주차데크에 정차되어 있는 차량의 위치에 상관없이 차량의 주차나, 출차가 가능해져 주차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입출고 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여 이용자의 대기시간을 줄여줌으로써 이용편의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주차수단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있어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vehicle stopped on the parking deck, the vehicle can be parked or unloaded to improve the parking efficiency, and the user's waiting time can be reduced by saving the time required for getting in and out of the vehicle. And the reliability can be secured, and furthermore, the structure of the parking means is simplified and easy to manufacture, so as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economics as one object.

또한 본 발명은 리프팅부의 탑재부가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를 위한 승하강시에 주차데크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상호 엇물리는 탑재부와 주차데크의 각 받침부가 엇물리는 형태로 제작되고, 이송대차의 횡방향 이동시에 상기 리프팅부의 탑재부가 주차데크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주차데크가 가이드부에 이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치의 작동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the form of a cross-mounted mounting portion and each support portion of the parking deck interlocked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of the lifting portion is not hindered by the parking deck during the descent for parking or unloading of the vehicle, when the transport cart It is another object to ensure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device by being configured so that the parking deck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of the lifting portion is not disturbed by the parking deck.

본 발명에 따른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는 일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갖는 가이드부를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 배열되어 있고, 각 층에 일렬로 배열되어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는 복수의 주차데크;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움직이는 이송대차와, 상기 이송대차에 구비되고, 입출고되는 차량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송대차를 움직이는 주행수단과, 상기 주차테크의 배열 위치를 벗어나 설치된 진출입부를 포함하는 주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Parking lot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rame having a guide having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A plurality of parking de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guides of the frame and arranged in line on each floor, the vehicles being park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decks; And a transport trolley moving along the guide unit, a lifting unit provided on the transport trolley, for lifting up and down a vehicle to be loaded and unloaded,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transport trolley along the guide unit, and installed out of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arking tech. Parking means including the entrance and exit; made, including,

상기 주차수단의 리프팅부는 주차 또는 출차될 주차데크 배열층에서 차량을 주차 또는 출차하기 위하여 이미 주차된 차량의 상부로 차량을 상승시키고, The lifting unit of the parking means raises the vehicle to the upper part of the already parked vehicle to park or discharge the vehicle from the parking deck arrangement layer to be parked or discharged,

상기 주행수단에 의하여 이송대차가 이동하여 주차 또는 출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ransport cart is moved by the traveling means to park or discharge the ca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차데크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부로 이격된 이격공간을 갖고, 제1 받침부를 가지며, The parking de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d space spaced upward from the frame, and has a first support,

상기 리프팅부는 입출고되는 차량이 얹혀 지고, 승하강시 상기 주차데크의 제1 받침부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 제2 받침부로 구성되어, 하강에 의하여 제2 받침부에 얹힌 차량을 주차데크에 전달한 후, 상기 진출입부로 복귀하도록 하는 탑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fting part is mounted on the vehicle, which is loaded and unloaded, and is composed of a second support part arranged in a displaced position to prevent a collision with the first support part of the parking deck dur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the vehicle plac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by the lowering. After the delivery to the parking deck,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ounting portion to return to the entrance and exi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이송대차에 구비된 제1 구동부와, 상기 이송대차에 연결되고, 상기 탑재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 안내부와, 상기 제1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탑재부에 전달하는 제1 연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f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transport cart, a first guide part connected to the transport cart, for guiding the mounting part, and transmitting power of the first driving part to the moun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nkag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대차는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바퀴를 갖고,The transport ca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 wheel in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상기 주행수단은 상기 바퀴를 직접 움직이도록 상기 이송대차에 구비된 제2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바퀴에 전달하는 제2 연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iv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drive unit provided in the transport cart to move the wheel directly, and a second linkage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second drive unit to the wheel.

본 발명에 따른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는 주차데크에 정차되어 있는 차량의 위치에 상관없이 차량의 주차나, 출차가 가능해져 주차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arking lot with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arking efficiency by allowing the vehicle to be parked or withdrawn,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vehicle stopped on the parking deck.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입출고 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여 이용자의 대기시간을 줄여줌으로써 이용편의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the time required to enter and exit the vehicle to reduce the waiting time of the user can ensure the ease of use and reliability,

아울러 주차수단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있어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arking means is simplified, making it easy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economic efficiency.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리프팅부의 탑재부가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를 위한 승하강시에 주차데크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상호 엇물리는 탑재부와 주차데크의 각 받침부가 엇물리는 형태로 제작되고,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lifting portion is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each supporting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parking deck are interlaced so as not to be disturbed by the parking deck when the vehicle is lifted or lowered for parking or leaving the vehicle.

이송대차의 횡방향 이동시에 상기 리프팅부의 탑재부가 주차데크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주차데크가 가이드부에 이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치의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The parking deck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of the lifting portion is not disturbed by the parking deck during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transport cart, thereby ensur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device.

아울러 본 발명은 주차장치를 2단 구조로 도입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승강횡행식 2단 주차장치와 대비하여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rking lot value is introduced in a two-stage structu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lifting and falling type two-stage parking lot value

차량의 입출고를 위한 진출입부를 1개소만 설치하는 것을 충분하므로, 종래에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를 위하여 주차장치 앞을 전체 비워 두어야 하는 비효율성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Since it is sufficient to install only one entry point for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efficiency of leaving the front of the parking lot in the prior art for parking or leaving the vehicle.

또 차량의 입출고를 위한 진출입부를 어느 위치에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1층 주차공간에는 승용차는 물론, SUV, RV, 12인승 이하 승합차, 소형 화물차 등과 같이 차종에 관계없이 주차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1층 주차공간에는 2층 주차공간과 같이 주차데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rrange entry and exit entrances and exits for vehicles, and the parking spaces on the first floor can be parked regardless of the type of vehicle, such as passenger cars, SUVs, RVs, vans and small vans, and small vans. The parking space on the first floor does not need to install a parking deck like the parking space on the second floor, thereby increasing economic efficiency.

또 각 층마다 횡방향으로 50칸의 주차공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2단으로 설치하는 경우 100대의 차량을 주차하는 것이 가능하고,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t parking spaces of 50 spaces in each direction on each floor, so when installing in two stages, it is possible to park 100 vehicles.

또한 주차장치의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이나 주차데크의 구조 또한 단순화되어 있어 저렴한 비용을 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탁월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arking lot is not only simple, but also the structure of the frame or the parking deck is simplified, so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low cost and excellent economic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t a low cost.

이와 더불어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전기소모량이 적고, 또한 입출고 시 원터치 작동버튼만으로 작동 가능하여 조작이 용이하며, 주차장치의 작동 시에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최소한의 주차공간만으로도 장치의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consume minimal power, and it is easy to operate as it consumes only one touch button when entering and exiting, and it is easy to operate. Can be installed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2단의 저층 구조이므로 일조건에 영향이 없고, 건폐율 적용을 받지 않고 공작물로 시공이 가능하다는 특장점을 갖게 된다.
Because it is a two-stage low-rise structure, it does not affect the work conditions and has the merit that it can be constructed as a workpiece without being applied to the dry coverage rati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치의 주차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수단에 의한 주차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차장치에 사용되는 스위치에 관한 사시도,
도 7은 스위치의 보다 완벽한 무선 제어를 위한 자가발전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자가발전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은 도 8과는 다른 형태의 자가발전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arking means of the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parking state by the parking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used in the ho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generator for more complete wireless control of the switch,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self-generator;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portion of a self-generator of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FIG. 8.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arking lot with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2을 참조하여 특정하면,First, referring to the attached reference to the direction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2,

프레임의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을 '횡방향'이라 하고,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종방향'이라 특정한다.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frame is referred to as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는As shown in Figures 1 to 3 parking lot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갖는 가이드부(11)를 갖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가이드부(11)와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 배열되어 있고, 각 층에 일렬로 배열되어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는 복수의 주차데크(20); 및 상기 가이드부(11)를 따라 움직이는 이송대차(31)와, 상기 이송대차(31)에 구비되고, 입출고되는 차량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부(33)와, 상기 가이드부(11)를 따라 이송대차(31)를 움직이는 주행수단(35)과, 상기 주차테크의 배열 위치를 벗어나 설치된 진출입부(37)를 포함하는 주차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frame 10 having a guide part 11 having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A plurality of parking decks 20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guide part 11 of the frame 10 and arranged in a row on each floor so that a vehicle is parked on each of them; And a transport cart 31 moving along the guide part 11, a lifting part 33 provided on the transport cart 31, for lifting up and down a vehicle being entered and exited, and the guide part 11. And a parking means (30) including a traveling means (35) for moving the transport cart (31) and an entrance and exit portion (37) installed out of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arking tech.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에서, 상기 프레임(10)은1 to 3, in the parking lot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0 is

일층 또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져 주차공간을 형성하고, 주차데크(20)와 주차수단(30)을 위한 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Consists of a single-layered or multi-layered structure to form a parking space, and serves as a structure for the parking deck 20 and the parking means 30.

상기 프레임(10)은 다수의 수직부재(13)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이나, 구조물 바닥면에 매입되고,The frame 10 is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13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re embedded in the ground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ucture,

상기 각 수직부재(13)의 상부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평부재(15)가 연결되며,A horizontal member 15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each vertical member 13,

이 경우 상기 수평부재(15)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동일선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orizontal member 15 may be composed of on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connected in the same line.

그리고 수직부재(13)와 수평부재(15)는 2열로 배열되도록 구성되고,And the vertical member 13 and the horizontal member 15 is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two rows,

또한 다층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평부재(15)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수직부재(13)에 연결될 수 있으나, In addition, the horizontal member 15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13 so th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sp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multilayer structure.

이하에서는 특히 상기 수평부재(15)가 상기 수직부재(13)의 상단에 연결된 2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in particular, the horizontal member 15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 two-layer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13.

이러한 경우 1층의 주차공간에는 주차수단(30)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차량의 주차나 출차가 가능하고,In this case, even if the parking means 30 is not used in the parking space on the first floor, parking or leaving of the vehicle is possible.

2층의 주차공간에는 주차수단(30)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나 출차시키게 된다.In the parking space on the second floor, the parking means 30 is used for parking or leaving the vehicle.

다만 주차수단(3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트럭과 같은 화물차나, 특수차량 등은 자량 자체의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장치나, 프레임(10)의 과부를 방지하기 위해 1층 주차공간에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하고,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parking means 30, trucks such as trucks, special vehicles, etc., because the weight of the weight itself is a lot of weight can b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on the first floor to prevent the overload of the device or the frame (10). So that

비교적 중량이 적게 나가는 차량인 승용차의 경우에는 주차수단(30)을 이용하여 2창 주차공간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In the case of a passenger car, which is a vehicle having a relatively low weight, it is preferable to use the parking means 30 to park in the two-window parking space.

이는 바람직한 사용 상태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고, 이에 의하여 주차공간의 사용 상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is is merely an example of a preferred use state, whereby the use state of the parking space is not limited.

그리고 상기 프레임(10), 즉 상기 수평부재(15)는 2열로 나란히 배열되고,And the frame 10, that is, the horizontal member 15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wo rows,

상기 가이드부(11)는 각 수평부재(15)의 상면에 레일 형태로 구성되어 이송대차(31)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The guide portion 11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ail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horizontal member 15 to enable moveme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eed cart (3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에서, 상기 주차데크(20)는As shown in Figures 1 to 3 in the parking lot value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arking deck 20 is

상기 프레임(10)에 배열되고, 주차수단(30)에 의하여 차량이 탑재되어 주차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It is arranged on the frame 10, the vehicle is mounted by the parking means 30 is configured to be parked.

상기 주차데크(20)는 상기 프레임(10)의 가이드부(11)와 간섭되지 않도록 각 가이드부(11) 사이에 이격 배열되고,The parking deck 20 is spaced apart between the guide portion 1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guide portion 11 of the frame 10,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가이드부(11)에서 상부로 이격된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받침부(21)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is formed to form a spaced space spaced upward from the guide portion 11 of the frame 10.

그리고 상기 주차데크(20)의 제1 받침부(21)는 격살 또는 포크 형태로 구성되어 차량의 전륜과 후륜이 얹힐 수 있도록 구성되고,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of the parking deck 20 is configured in a bizarre or fork form is configured so that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제1 받침부(21)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수평부재(15)의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2개소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지지부(23)가 다수 구비되며,The frame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3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15 to connect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is composed of a pair of two places,

상기 각 지지부(23)의 상부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복수의 이격부재(25)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A plurality of spacers 25 having a constant height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each support 23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제1 받침부(21)는 상기 각 이격부재(25)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즉 상기 가이드부(11)에서 상부로 이격공간을 형성하고,Therefore,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spacers 25 to form a space spac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 that is, the guide portion 11, the upper portion,

또한 상기 제1 받침부(21)의 종방향 길이는 상기 각 수평부재(15)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가이드부(11) 사이에 배열되고, 이격되어 있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is formed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each of the horizontal member 15 is arranged between the guide portion 11, is spaced apar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

그리고 상기 제1 받침부(21)는 상기 각 지지부(23)에 상기 이격부재(25)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다수의 차량을 주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23 by the spacer 25 to be arranged in a row, so that it is possible to park a plurality of vehicle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에서, 상기 주차수단(30)은1 to 3, in the parking lot value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means 30 is

주차 또는 출차될 차량을 운반하여 차량을 입출고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Carrying a vehicle to be parked or unload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상기 주차수단(30)은 상기 가이드부(11)를 따라 움직이는 이송대차(31)와, 상기 이송대차(31)에 구비되고, 입출고되는 차량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부(33)와, 상기 가이드부(11)를 따라 이송대차(31)를 움직이는 주행수단(35)과,The parking means 30 includes a transport cart 31 moving along the guide part 11, a lifting part 33 provided on the transport cart 31, for lifting up and down a vehicle to be entered and exited, and the guide. Traveling means 35 for moving the feed cart 31 along the part 11;

그리고 상기 주차테크(20)의 배열 위치를 벗어나 설치된 진출입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it comprises the entrance and exit portion 37 is installed out of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arking tech 20.

상기 이송대차(31)는 박스형상의 틀 형태로 이루어진 대차프레임(311)과, 상기 대차프레임(311)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각 가이드부(11) 상에 얹히는 복수의 바퀴(312)로 구성되고,The transfer cart 31 includes a trolley frame 311 having a box-shaped frame, and a plurality of wheels 312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trolley frame 311 and mounted on the guide parts 11. Composed,

상기 바퀴(312)는 상기 대차프레임(311)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4개소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부(11)에 나란히 배열되는 대차프레임(311)의 하부를 따라 다수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Four wheels 312 may be connected to four lower edge portions of the balance frame 311, or may be arranged along a lower portion of the balance frame 311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guide part 11.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프팅부(33)는 상기 이송대차(31)에 구비되는 제1 구동부(331)와, 상기 이동차에 연결되고, 탑재부(334)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 안내부(333)와, 상기 제1 구동부(331)의 동력을 상기 탑재부(334)에 전달하는 제1 연동부(3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lifting unit 3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unit 331 provided in the transport cart 31 and the vehicle, and the first guide unit 333 for guiding the mounting unit 334. And a first interlocking part 332 which transmits power of the first driving part 331 to the mounting part 334.

아울러 상기 제1 연동부(332)는 상기 탑재부(334)가 연결되는데,In addition, the first interlocking portion 332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334,

상기 탑재부(334)는 입출되는 차량이 얹히는 제2 받침부(334a)와, 상기 제2 받침부(334a)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안내부(333)를 따라 승하강하는 안내부재(33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mounting part 33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334a on which an incoming and outgoing vehicle is mounted, and a guide member 334b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334a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part 333. It is made, including.

특히 상기 제2 받침부(334a)는 입출고되는 차량의 전륜과 후륜이 얹히게 되고,In particular, the second support portion 334a is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vehicle is placed,

이때 상기 제2 받침부(334a)는 승하강시에 상기 주차데크(20)의 제1 받침부(21)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어긋난 위치에 배열되도록 상기 제1 받침부(21)에 대응하는 형태, 즉 격살 또는 포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part 334a corresponds to the first support part 21 so that the second support part 334a is arranged in a displaced position so as to prevent a collision with the first support part 21 of the parking deck 20 at the time of lifting and lowering.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fork or a fork.

따라서 상기 제2 받침부(334a)가 리프팅부(33)에 의하여 주차 또는 출차될 차량을 승하강시키는 경우 각 받침부의 격살 또는 포크는 상호 어긋난 위치, 즉 엇물리는 형태로 배열되어 상호간의 충돌이 방지됨으로써 주차 또는 출차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34a raises and lowers the vehicle to be parked or unloaded by the lifting portion 33, each supporting portion's fierce or forks are arranged in a mutually displaced position, that is, in a staggered form, thereby preventing mutual collisions. As a result, the parking or taking out operation is smoothly performed.

상기 리프팅부(33)의 제1 구동부(331)는 상기 이송대차(31)의 대차프레임(311) 상단에 연결되는 제1 구동모터(331a)와, 상기 제1 구동모터(331a)에 구비된 구동축 단부에 연결되는 제1 구동롤러(331b)로 구성된다.
The first driving unit 331 of the lifting unit 33 is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motor 331a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bogie frame 311 of the transfer cart 31 and the first driving motor 331a. It consists of a first drive roller 331b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end.

그리고 상기 제1 연동부(332)는 상기 대차프레임(311)의 상단 양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동롤러(332a)와, 상기 각 제1 연동롤러(332a)를 연결하는 연동샤프트(332b)와, 상기 연동샤프트(332b)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332d)에 의하여 상기 제1 구동롤러(331b)에 연결되는 제2 연동롤러(332c)와,The first linking unit 332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inking rollers 332a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balance frame 311, and a linking shaft 332b connecting the first linking rollers 332a to each other. And a second interlocking roller 332c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shaft 332b and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roller 331b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32d.

상기 대차프레임(311)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재(332f)에 의하여 상기 제1 연동롤러(332a)와 연결되는 제3 연동롤러(332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art frame 311, and comprises a third linking roller 332e connected to the first linking roller 332a by a second connecting member (332f).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재(332f)는 상기 탑재부(334)의 안내부재(334b)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331a)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각 연동롤로와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안내부재(334b)가 상기 제1 안내부(333)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한다.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32f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member 334b of the mounting part 334 so that when the first driving motor 331a is driven, the guide member is connected by the respective interlocking rollers and the connecting member. 334b)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guide part 333.

이 경우 상기 안내부재(334b)에는 다수의 안내롤러(334c)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안내부(333)는 상기 대차프레임(311)의 각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프레임(10)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내롤러(334c)를 감싸 지지하는 홈 형태로 이루어져 안내부재(334b)가 상기 제1 안내부(33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guide member 334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334c, and the first guide part 333 is perpendicular to the frame 10 positioned at each corner of the bogie frame 311. The guide member 334b is connected to the guide roller 334c so as to surround the guide roller 334c to move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first guide part 333.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행수단(35)은 상기 바퀴(31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구동부(351)와, 상기 제2 구동부(351)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바퀴(312)와 연결되는 제2 연동부(3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riving means 3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351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heels 312 and the wheels 312 to transmit power of the second driving unit 351. It consists of a second interlocking portion 352.

상기 제2 구동부(351)는 상기 대차프레임(311)의 중간부 양측에 위치하는 프레임(10)에 연결되는 제2 구동모터(351a)와, 상기 제2 구동모터(351a)에 구비된 구동축 단부에 연결된 제2 구동롤러(351b)로 구성된다.
The second driving unit 351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motor 351a connected to the frame 10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middle of the bogie frame 311, and an end portion of the driving shaft provided in the second driving motor 351a. It consists of a second drive roller 351b connected to.

그리고 상기 제2 연동부(352)는 상기 제2 구동모터(351a)의 전후방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종동롤러(352a)와, 상기 각 제1 종동롤러(352a)를 연결하는 종동샤프트(352b)와, 상기 종동샤프트(352b)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동롤러(351b)와 제1 전달부재(352d)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 종동롤러(35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In addition, the second linking unit 352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driven rollers 352a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second driving motor 351a and driven shafts 352b connecting the first driven rollers 352a. ), And a second driven roller 352c connected to the driven shaft 352b and connected by the second driving roller 351b and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352d,

상기 각 제1 종동롤러(352a)와 제2 전달부재(352e)에 의하여 하부에 각 제1 종동롤러(352a)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각 바퀴(312)와 연결된다.
The first driven roller 352a and the second transfer member 352e are connected to the wheels 312 positioned below and below the first driven roller 352a.

따라서 상기 제2 구동부(351)재는 상기 제2 구동모터(351a)의 구동 시, 상기 각 종동롤러와 제1 구동부(331)재에 의하여 상기 바퀴(312)를 회전시켜 상기 바퀴(312)가 가이드부(11)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이송대차(3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Accordingly, when the second driving unit 351 is driven by the second driving motor 351a, the wheels 312 are guided by rotating the wheels 312 by the driven rollers and the first driving unit 331. By moving along the part 11 laterally, the movement of the feed cart 31 is enabled.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이송대차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나, 또는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구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바퀴와 연결되어 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고,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econd driving unit is not provided in the transport cart, and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rame, or at one end of the frame,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heel by a driving member to directly transmit power. ,

이러한 주행수단의 변형례는 설계 시에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 사항이다.
Such a modification of the driving means is a matter that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in the design.

본 발명에 따른 진출입부(37)는 상기 주차데크(20)가 배열된 위치를 벗어나 구비되는데,Entry and exit portion 37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utside the position where the parking deck 20 is arranged,

이때 상기 진출입부(37)는 주차 또는 출차 시에 차량이 출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1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주차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entrance and exit portion 37 is configured to enter and exit the vehicle when parking or leaving the vehicle can b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rame 10 to increase the parking efficiency.

상기 진출입부(37)는 하부에 차량이 얹히는 제3 받침부(371)가 구비되고, 상기 제3 받침부(371)는 상기 탑재부(334)의 제2 받침부(334a)와 대응하는 형태, 즉 격살 또는 포크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 받침부(334a)의 승하강 시에 상호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entrance and exit portion 37 is provided with a third support portion 371 in which a vehicle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371 corresponds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334a of the mounting portion 334. That is, i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fork or a for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utual collision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34a).

그리고 상기 진출입부(37)에는 상기 탑재부(334)의 안내부재(334b)의 승하강 시 안내부재(334b)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 안내부(333)의 해당 위치에 제2 안내부(372)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334b)의 승하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entry and exit portion 37 has a second guide portion 372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rst guide portion 333 to guide the guide member 334b when the guide member 334b of the mounting portion 334 is lowered. ) Is formed to facilitate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guide member 334b.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치에 의한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 시에 작동상태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state at the time of parking or leaving a vehicle by the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a 및 도 4b는 차량이 상기 주차수단(30)의 진출입부(37)로 진입하여 상기 리프팅부(33)의 제2 받침부(334a)와 상기 진출입부(37)의 제3 받침부(371)에 전륜과 후륜이 얹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4A and 4B show that the vehicle enters the entrance and exit portion 37 of the parking means 3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34a of the lifting portion 33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of the entry and exit portion 37 ( 371) shows the front and rear wheels on the state,

도 4c는 도 4b 상태에서 상기 주차수단(30)의 리프팅부(33)에 의하여 차량이 승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4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lifted by the lifting unit 33 of the parking means 30 in the state of FIG. 4B.

그리고 도 5a는 도 4c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 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And FIG. 5A illustrates a front view of the state of FIG. 4C.

도 5b는 상기 리프팅부(33)에 의하여 승강된 차량을 상기 주행수단(35)에 의하여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않은 주차데크(20)까지 상기 가이드부(11)를 따라 이송대차(31)를 이동시킨 후, 정지하게 되는데,FIG. 5B shows the transportation cart 31 moving along the guide part 11 to the parking deck 20 in which the vehicle lifted by the lifting part 33 is not parked by the traveling means 35. And then it stops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차될 차량은 상기 주차데크(20)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보다 높은 위치까지 승강되므로 주차된 차량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주차된 차량의 위치에 상관없이 주차될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B, the vehicle to be parked is elevated to a higher position than the vehicle parked on the parking deck 20, so that the vehicle to be parked is moved or the vehicle to be park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parked vehicle. You can move the.

도 5c는 도 5b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부(33)에 의하여 주차될 차량을 해당 주차데크(20)로 하강시켜 주차를 시키게 되며,FIG. 5C shows the vehicle to be parked by the lifting unit 33 in the state of FIG. 5B by lowering the vehicle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deck 20 to park the vehicle.

이 경우 상기 리프팅부(33)는 상기 제2 받침부(334a)를 상기 주차데크(20)의 제1 받침부(21)보다 아래 방향으로 하강시켜 상기 이송대차(3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경우 상기 주차데크(20)의 제1 받침부(21)에 의하여 이송대차(31)의 주행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lifting part 33 lowers the second support part 334a in a downward direction than the first support part 21 of the parking deck 20 to return the transport cart 31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first support part 21 of the parking deck 20 to prevent the running of the transport cart 31 to be disturbed.

도 5d는 도 5c 상태에서 상기 주행수단(35)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11)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송대차(31)를 이동시켜 상기 이송대차(31)가 상기 진출입부(37) 상부에 위치하도록 원 위치시키게 된다.
FIG. 5D illustrates that the transport cart 31 is moved above the entry and exit portion 37 by moving the transport cart 31 along the guide part 11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driving means 35 in FIG. 5C. To the original position.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5d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부에 의하여 탑재부를 상기 진출입부의 제3 받침부까지 하강시켜 다음 차량의 주차를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ounting part is lowered to the third support part of the entrance and exit part by the lifting part in the state of FIG. 5D to prepare for parking of the next vehicle.

첨부된 도 4 및 도 5는 주차수단(30)에 의하여 차량을 주차시키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4 and 5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parking the vehicle by the parking means 30,

반대로 차량을 출차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여 차량을 출차시킬 수 있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vehicle is unloaded, the vehicle can be unloaded by reversing the operation process.

더 나아가 상기 진출입부에는 서비스도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서비스도어에는 차량의 입출고 시에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trance door is provided with a service door, and the service door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switch to open and close the door at the time of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또한 상기 서비스도어에는 차량이 승하강 시나, 또는 차량의 횡방향 이동 시에 주차수단의 동작 중임을 알리고,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경광등이나, 부저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install a warning light or a buzzer to secure safety by informing the service door that the vehicle is in operation when the vehicle is being raised or lowered or when the vehicle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

아울러 상기 각 롤러는 풀리나, 또는 스프라켓과 같은 동력 전달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In addition, the rollers may use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such as a pulley or a sprocket,

또한 상기 연결부재나 구동부재는 타이밍 벨트나, 또는 체인 등과 같은 동력 전달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or the drive member may use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such as a timing belt or a chai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에는 서비스도어을 여닫기 위한 개폐스위치나, 경광등 또는 부저 등의 전기 관련 설비를 on/off 하기 위하여 도어프레임이나, 서비스도어에 무선 스위치가 구비되고,On the other hand, the parking lot improved in the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ireless switch in the door frame or the service door to turn on / off the electrical doors, such as opening and closing switches, warning lights or buzz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rvice door,

상기 무선 스위치(60)를 위하여 개폐스위치나, 경광등 또는 부저에는 제어신호 무선 수신부(RS)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the wireless switch 60, it is preferable that an open / close switch, a warning light, or a buzzer be provided with a control signal wireless receiver RS.

상기 무선 스위치는 도 6 내지 도 9에서 그 구체 구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핵심은 전력 작동 구성요소의 보다 완벽한 무선 제어를 위한 자가발전기와 관련된 도면이다.
The wireless switch can be found in its specific configuration in FIGS. 6-9, the core of which is a diagram relating to a self-generator for more complete wireless control of the power actuation component.

이러한 자가발전기(100)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6 내지 도 9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좌우를 나눈다.
In describing the self-generator 100, for the sake of convenience, an approximate direction reference that is not rigid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먼저 도 6에서, 스위치(60)의 케이스(61)에 통상의 램프점멸패널과 같은 시소운동을 하는 액추에이터 타입의 작동패널(170)을 도입하고, 케이스(61)의 장착요홈(65)에는 자가발전기의 요부가 특히 억지끼움 방식으로 수용된다.
First, in FIG. 6, an actuator type operation panel 170 is introduced into the case 61 of the switch 60, which performs the same seesaw movement as a normal lamp flashing panel. The main part of the generator is accommodated in a particularly tight fit.

상기 케이스(61)는 하나의 작동패널(170)만을 위한 구조 및 크기를 갖지만,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작동패널을 위한 구조 및 크기를 갖도록 변형하는 것은 당업자가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변형 적용할 수 있는 사항에 해당하며,The case 61 has a structure and size for only one operating panel 170, but if necessary to deform to have a structure and size for two or more operating panels can be easily modified and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 to

또 케이스(61)의 둘레에는 작동패널(170)의 동작에 따라 무선 제어신호를 발하는 와이어 타입 안테나(183)를 위한 결합홈(67)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ircumference of the case 61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67 for the wire-type antenna 183 for emitting a wireless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nel 170.

다음으로 도 6([A]는 결합사시도, [B]는 분해사시도) 및 도 7을 살펴 보면, 스위치(60) 케이스(61)의 장착요홈(65)에 안치되는 자가발전기(100)는 Next, referring to FIG. 6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7, the self-generator 100 placed in the mounting recess 65 of the case 60 of the switch 60 is

하우징(100A)에 내장되어 있는데, 상기 하우징(100A)은 바디(101)와 커버(102)로 이루어진다.
It is embedded in the housing (100A), the housing (100A) is composed of a body 101 and a cover (102).

상기 바디(101)에는 [영구자석(110)-자성체패널(120)-유도코일(130)-구동부재(140)-중계부재(150)-PCB(180)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안착부(101B)가 구비되어 있고,The body 101 has a seating portion 101B for accommodating [permanent magnet 110-magnetic panel 120-induction coil 130-drive member 140-relay member 150-PCB 180 assembly] ),

작동패널(170)의 시소 동작을 구동부재(140)로 전달하는 중계부재(150)의 스윙축(151)이 결합되는 축장착부(101a)가 형성되어 있다.
The shaft mounting portion 101a to which the swing shaft 151 of the relay member 150 which transmits the seesaw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nel 170 to the driving member 140 is coupled is formed.

또 상기 바디(101)의 안착부(101B) 저면에는 보빈(133) 하부에 돌출된 고정돌기(133a)가 결합되는 고정공(101C)이 2개 형성되어 있어, [자성체패널(120)-유도코일(130)-구동부재(140)-PCB(180) 어셈블리]의 안착고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portion 101B of the body 101, two fixing holes 101C 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s 133a protruding from the bobbin 133 are coupled are formed. [Magnetic panel 120-induction] Mounting and fixing of the coil 130-drive member 140-PCB 180 assembly] can be easily made.

다음으로 상기 커버(103)에는 연결편(103a)으로부터 복귀 탄성을 제공받는 가압편(103A)이 구비되어 있어,Next, the cover 103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iece 103A provided with a return elasticity from the connecting piece 103a,

시소 스윙동작을 하는 작동패널(170)의 압력이 가압돌기(171)를 통하여 가압편(103A)으로 전달되고, 이어 엘라스토머 소재의 완충패드(105)의 가압점(105A)이 연동하여 PCB(180)에 실장된 센서(181)로 전달되고 유도코일(130)의 단부(131)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하여 외부로 제어신호(이송펌프(20)나 조명램프 등의 on/off)를 발할 수 있다.
The pressure of the operating panel 170 for the seesaw swing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essing piece 103A through the pressing protrusion 171, and then the pressing point 105A of the buffer pad 105 made of elastomer is interlocked with the PCB 180. The control signal (on / off of the transfer pump 20 or the lighting lamp)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by the power delivered to the sensor 181 mounted in the) and transmitted from the end 131 of the induction coil 130. .

또 상기 작동패널(170)은 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는데, In addition, the operation panel 170 is a seesaw movement around the axis,

그 방식은 커버(103)의 양 끼움공(103B) 중앙에 구비된 끼움축(103b)에 작동패널(170) 하부의 축돌기(173)가 축홈(173c)을 통하여 결합됨으로 가능하다.
The method is possible because the shaft projection 173 below the operation panel 170 is coupled to the fitting shaft 103b provided at the center of both fitting holes 103B of the cover 103 through the shaft groove 173c.

각종 소자가 실장된 PCB(180)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에 작동패널(170)이 시소운동을 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과 가압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하기 위한 센서(181)가 구비되어 있고,As described above, the PCB 180 having various devices mounted thereon includes a sensor 181 for sensing a pressure and a pressurized position applied as the operation panel 170 moves on the seesaw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There is,

상기 PCB(180)의 상부에는 커버(103)의 가압편(103A)을 통하여 전달되는 작동패널(170)의 압력을 완충하여 센서에 전달하여 센서를 보호하고 정확한 센서(181)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해당 위치에 가압점(105A)을 갖는 완충패드(105)가 덮인다.
The upper portion of the PCB 180 buffers the pressure of the operation panel 170 delivered through the pressing piece 103A of the cover 103 to be delivered to the sensor to protect the sensor and to accurately press the sensor 181. The shock absorbing pad 105 having the pressing point 105A at that position is covered.

또 상기 PCB(180)의 하부에는 보빈(133) 상부로 연장 돌출된 유도코일(130)의 단부(131)를 통하여 솔더링 결합된 [자성체패널(120)-유도코일(130)-보빈(133)-구동부재(140) 어셈블리]가 마운트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PCB 180 is soldered and coupled through the end 131 of the induction coil 130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bbin 133 [magnetic panel 120-induction coil 130-bobbin 133 -Drive member 140 assembly] is mounted.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A)의 바디(101) 안착부(101B)에 고정된 영구자석(110), 특히 상하 보조패널(113) 사이에는 자성체패널(120)(통상 자가발전기에서는 자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전통적인 소재 특성으로 부터 '철심'으로 지칭하기도 한다)의 양단 접촉부(121)가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magnetic panel 120 (usually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110 fixed to the body 101 seating portion 101B of the housing 100A, in particular, the upper and lower auxiliary panels 113). The self-generator serves to form a magnetic path, and is assembled so that both ends of the contact portion 121 of the traditional material properties (sometimes referred to as 'iron core') are located.

상기 영구자석(110)과 상기 자성체패널(120)의 상대적인 위치 변동에 따라 전력은 유도코일(130)로 전달되는데,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induction coil 130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variation of the permanent magnet 110 and the magnetic panel 120.

도 7 및 도 8에서는 자성체패널(120)을 움직이는 방식을 취하고 있고, 도 9에서는 영구자석(110)을 움직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In FIG. 7 and FIG. 8, the magnetic panel 120 is moved, and in FIG. 9, the permanent magnet 110 is moved.

도 8에서, 'ㄷ'자 유사 형상의 자성체패널(120)은 보빈(133)의 유동공(133A)(도 8의 우측 중앙 일점 쇄선 원내 정면도에서 투시개념으로 은선으로 표시함)에 끼워져 움직이는데, 상기 자성체패널(120) 일측(도 8에서는 좌측)에 리벳핀(141)을 통하여 체결된 구동부재(140)가 구비된다(상기 구동부재는 자로 기능의 강화와 강도보장 등을 위하여 베릴륨동(BeCu) 패널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FIG. 8, the 'c'-like magnetic panel 120 is inserted into a moving hole 133A of the bobbin 133 (indicated by a hidden line in a perspective view in the front center one-dot chain line circle in FIG. 8), and moves. On one side of the magnetic panel 120 (the left side in FIG. 8), a driving member 140 fastened through the rivet pin 141 is provided (the driving member is beryllium copper (BeCu) for reinforcing the magnetic function and ensuring strength. ) Preferably consisting of panels).

상기 구동부재(140)의 단부는 또 상기 작동패널(170)의 가압력이 균일하게 상기 구동부재(140)로 전달되도록 하는 중계부재(150)의 연동부(153)와 접촉한다.
The end of the drive member 140 also contacts the linkage 153 of the relay member 150 such that the pressing force of the operation panel 170 is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drive member 140.

상기 두 중계부재(150) 각각의 두 스윙축(151)은 상기 하우징(100A)의 바디(101) 양측벽의 축장착부(101A)에 각각 결합되며, The two swing shafts 151 of each of the two relay members 150 are coupled to the shaft mounting portions 101A of the side walls of the body 101 of the housing 100A, respectively.

각 중계부재(150)의 좌우 외측이 피가압부(155)를 이루어 작동패널(170)의 양단 하면에 의하여 가압되므로 중계부재(150)가 스윙축(151)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고,Since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 of each relay member 150 forms a pressurized portion 155 and is pressed by both bottom surfaces of the operation panel 170, the relay member 150 performs a seesaw movement around the swing shaft 151.

두 중계부재(150) 내측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연동부(153)를 형성하고, 이 연동부에 상기 구동부재(140)의 단부가 배열된다.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wo relay members 150 facing each other, an interlocking portion 153 is formed, and end portions of the driving member 140 are arranged in the interlocking portion.

특히 두 중계부재(150) 연동부(153) 단부가 동일하게 승하강 하지 않으므로,In particular, since the end of the two relay member 150, the interlocking portion 153 does not rise equally,

하나의 중계부재(150) 연동부(153)에만 구동부재(140)의 단부가 끼워지는 슬릿(153A)이 형성되어 있다(도 7 [A]의 좌하부 일점 쇄선 원 내 측면도 참조).
Only one relay member 150 interlocking portion 153 is provided with a slit 153A in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140 is fitted (see a side view in the lower left one-dot chain line circle in FIG. 7A).

이 중계부재(150)의 다른 연동부(153)는 도 7 [A]의 우하부 일점 쇄선 원내 측면도와 같은 형상을 갖고,The other linking portion 153 of the relay member 150 has the same shape as the right-bottom dashed line circle side view in FIG. 7A,

다른 중계부재(150)의 두 연동부(153)는 모두 도 7 [A]의 우하부 일점 쇄선 원내 측면도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Both linkages 153 of the other relay member 150 have the same shape as the right-bottom dashed-dotted side view of FIG. 7A.

또 상기 중계부재의 복귀를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을 도입하여 반복된 작동패널(170)의 누름 동작만으로도 이송펌프(20)나 조명램프 등의 on/off를 위한 무선 제어신호를 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by introducing a return means including a spring for the return of the relay member, it is possible to emit a wireless control signal for the on / off of the transfer pump 20, lighting lamps, etc. only by the repeated press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panel 170. Do.

구체적으로 상기 복귀수단(160)은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A)의 커버(103)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03C)에 안착된 코일스프링(161)과 코일스프링 하단부에 결합되는 캡(163)으로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B, the return means 160 includes a coil spring 161 and a coil spring lower end mounted on the guide 103C formed inside the cover 103 of the housing 100A. It consists of a cap 163 to be coupled.

이 코일스프링(161) 하단부에 결합된 캡(163)은 동일한 형상(슬릿(153A)이 형성되지 않은 쪽)을 갖고 마주보는 두 중계부재(150)의 연동부(153)를 가압하므로, The cap 163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161 presses the interlocking portions 153 of the two relay members 150 having the same shape (the side where the slit 153A is not formed) and facing each other.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면 항상 중계부재(150)가 최초 가압 전 상태로 복귀하므로 If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relay member 150 always returns to the state before the initial pressurization.

일 중계부재(150)의 연동부(153) 슬릿(153A)에 결합된 구동부재(140)와 연결된 자성체패널(120) 역시 영구자석(110)의 N극 또는 S극의 자력과 무관하게 일정 위치에 머물게 된다.
The magnetic panel 120 connected to the drive member 140 coupled to the interlocking part 153 of the one relay member 150 and the slit 153A is also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regardless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N pole or the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110. Will stay on.

도 7 및 도 8면에서, 상기 자성체패널(120)의 접촉부(121)는 가압 방향에 따라 영구자석(110)의 N극 또는 S극에 부착(정확하게는 자석본체(111) 상하면에 구비된 상부 또는 하부 보조패널(113)에 부착)되는데,7 and 8, the contact portion 121 of the magnetic panel 120 is attached to the N pole or the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110 according to the pressing direction (exactly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gnet body 111). Or attached to the lower auxiliary panel 113,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복귀수단(160)에 의하여 상기 자성체패널(120)의 접촉부(121)는 상하 보조패널(113)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In the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ontact portion 121 of the magnetic panel 120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and lower auxiliary panels 113 by the return means 160.

상기 영구자석(110)은 제조용이성, 조립성과 함께 자력 세기, 자성체패널(120)과의 상대적인 변위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원기둥형 자석본체(111)와, 이 자석본체(111) 상하면에 결합된 보조패널(113)으로 이루어지며,The permanent magnet 110 is a secondary magnet coupled to the cylindrical magnet body 111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gnet body 111 in consideration of ease of manufacture, assembly strength, magnetic strength, and easy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magnetic panel 120. It is made of a panel 113,

도 8의 하부 일점 쇄선 원 내 분해사시도에서 와 같이, 자석본체(111) 중공에 끼워진 합성수지 돌기(111a)를 상하 보조패널(113)의 각 구멍(113a)에 끼우고 열을 가하여 돌기(111a) 단부를 병형시켜 상호 결합을 확고하게 한다.
As shown i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one-dot chain line in FIG. 8, the synthetic resin protrusion 111a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magnet body 111 is inserted into each hole 113a of the upper and lower auxiliary panels 113, and heat is applied to the protrusion 111a. The ends are bottled to ensure mutual bonding.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성체패널(120)의 시소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크기를 갖는 유동공(133A)이 형성된 보빈(133)에 권취된 유도코일(130)의 양단부(131)는 보빈 상단(도 8 참조)으로 돌출되어 있고, PCB(180)에의 실장을 위한 핀 역할을 한다.
As mentioned above, both ends 131 of the induction coil 130 wound on the bobbin 133 having a flow hole 133A having a size that enables the seesaw movement of the magnetic body panel 120 is the upper end of the bobbin (Fig. 8), and serves as a pin for mounting on the PCB 180.

다음으로 도 9에는 도 8와는 다른 [영구자석(110)-자성체패널(120A,120B)-유도코일(130)-구동부재(140)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는데, Next, FIG. 9 shows a different [permanent magnet 110-magnetic panel 120A, 120B-induction coil 130-drive member 140 assembly, different from FIG. 8,

구체적인 차이점은 구조 외에 도 9의 모델에서는 영구자석과 자성체패널의 상대적인 변위 방식이 자성체패널은 고정되어 있고, 영구자석이 승하강한다는 점과, Specifically,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in the model of FIG. 9,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permanent magnets and the magnetic panel is fixed in the magnetic panel, and the permanent magnet is raised and lowered.

보다 강한 전력 획득을 위하여 유도코일이 권취된 보빈이 두 자성체 패널 각각에 구비되어 있다는 점이다.
In order to obtain a stronger power, the induction coil wound bobbin is provided in each of the two magnetic panels.

도 9의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에 해당한다.9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plan view, and [C] is a side view.

일종의 하우징 역하을 하는 베이스패널(100B)의 좌측에는 자성체패널(120A)이 결합되어 있는데, The magnetic panel 120A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base panel 100B, which serves as a kind of housing.

이 자성체패널(120A)은 영구자석(110) 상부에 접촉부가 위치하도록 상부가 절곡 상승되어 있고, 하부에 유도코일(130)이 권취된 보빈(133)이 끼워지는 돌출형 코일결합부(123)가 형성되어 있다(도 9 [B] 좌측 일점쇄선 원 내 참조).
The magnetic panel (120A) is the upper portion is bent and raised so that the contact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rmanent magnet (110), protruding coil coupling portion 123 to which the bobbin 133 wound around the induction coil 130 is fitted Is formed (see in FIG. 9B left-dotted circle).

또 상기 베이스패널(100B) 우측에는 다른 자성체패널(120B)이 결합되어 있고, 이 자성체패널(120B)은 영구자석(110) 하부에 접촉부가 위치하도록 평판형상을 이루며,In addition, the other magnetic panel 120B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base panel 100B, and the magnetic panel 120B forms a flat plate shape such that the contact portion is positioned below the permanent magnet 110.

역히 유도코일(130)이 권취된 보빈(133)이 끼워지는 돌출형 코일결합부(123)가 형성되어 있다(도 9 [B] 우측 일점쇄선 원 내 참조).
On the contrary, a protruding coil coupling portion 123 into which the bobbin 133 wound with the induction coil 130 is fitted is formed (see the right dashed line in Fig. 9B).

각 자성체패널(120A)(120B)의 상하 접촉부 사이에 위치하는 원반형 영구자석(110)은 베릴륨동 소재의 구동부재(140)가 연결되며,The disk-shaped permanent magnet 110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tact portions of each of the magnetic panels 120A and 120B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140 of beryllium copper material.

이 구동부재(140)는 베이스패널(100B)에 결합되는 축핀(165)에 관통 고정되며, 다시 축핀(165) 외주면에 배열되어 복귀수단(160)을 이루는 코일스프링(161)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한다.
The driving member 140 is penetrated and fixed to the shaft pin 165 coupled to the base panel 100B, and is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161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pin 165 to form the return means 160. Keep it.

이러한 [영구자석(110)-자성체패널(120A,120B)-유도코일(130)-구동부재(140) 어셈블리]는 유사하게 도 7에 도시된 바디(101)에 안착되고, Such [permanent magnet 110-magnetic panel (120A, 120B)-induction coil 130-drive member 140 assembly] is similarly seated on the body 101 shown in Figure 7,

작동패널(170)의 가압력이 중계부재(150)의 피가압부(155)로 전달되면, 연동부(153)의 슬릿(153A)에 끼워진 구동부재(140)의 연동이 가능해 진다.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operation panel 170 is transmitted to the pressurized portion 155 of the relay member 150, the driving member 140 fitted into the slit 153A of the linkage 153 may be interlocked.

또 각 유도코일(130)의 단부(4개)는 유사한 방식으로 PCB에 실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four ends of each induction coil 130 may be mounted on the PCB in a similar manner.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improved parking value was described mainly in a specific shape and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 : 차량
10 : 프레임 11 : 가이드부
13 : 수평부재 15 : 수직부재
20 : 주차데크 21 : 제1 받침부
23 : 지지부 25 : 이격부재
30 : 주차수단
31 : 이송대차
311 : 대차프레임 312 : 바퀴
33 : 리프팅부 331 : 제1 구동부
331a : 제1 구동모터 331b : 제1 구동롤러
332 : 제1 연동부 332a : 제1 연동롤러
332b : 연동샤프트 332c : 제2 연동롤러
332d : 제1 연결부재 332e : 제3 연동롤러
332f : 제2 연결부재 333 : 제1 안내부
334 : 탑재부 334a : 제2 받침부
334b : 안내부재 334c : 안내롤러
35 : 주행수단 351 : 제2 구동부
351a : 제2 구동모터 351b : 제2 구동롤러
352 : 제2 연동부 352a : 제1 종동롤러
352b : 종동샤프트 352c : 제2 종동럴러
352c : 제1 전달부재 352d : 제2 전달부재
37 : 진출입부 371 : 제3 받침부
372 : 제2 안내부
60 : 무선 스위치
C: Vehicle
10 frame 11 guide portion
13 horizontal member 15 vertical member
20: parking deck 21: the first base
23: support portion 25: spacer member
30: parking means
31: Transfer Balance
311 bogie frame 312 wheels
33: lifting unit 331: first drive unit
331a: first drive motor 331b: first drive roller
332: first interlocking unit 332a: first interlocking roller
332b: linkage shaft 332c: second linkage roller
332d: first connecting member 332e: third interlocking roller
332f: second connecting member 333: first guide portion
334: mounting portion 334a: second support portion
334b: guide member 334c: guide roller
35: driving means 351: second drive unit
351a: second drive motor 351b: second drive roller
352: second linkage 352a: first driven roller
352b: Follower shaft 352c: Second follower
352c: first transfer member 352d: second transfer member
37: entrance entrance 371: third receiving portion
372: second guide
60: wireless switch

Claims (4)

일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갖는 가이드부를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 배열되어 있고, 각 층에 일렬로 배열되어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는 복수의 주차데크;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움직이는 이송대차와,
상기 이송대차에 구비되고, 입출고되는 차량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송대차를 움직이는 주행수단와,
상기 주차테크의 배열 위치를 벗어나 설치된 진출입부를 포함하는 주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차수단의 리프팅부는 주차 또는 출차될 주차데크 배열층에서 차량을 주차 또는 출차하기 위하여 이미 주차된 차량의 상부로 차량을 상승시키고,
상기 주행수단에 의하여 이송대차가 이동하여 주차 또는 출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
A frame having a guide part having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A plurality of parking de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guides of the frame and arranged in line on each floor, the vehicles being park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decks; And
A transport cart moving along the guide unit;
A lifting part provided in the transport trolley, for lifting up and down a vehicle to be entered and exited;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transport cart along the guide unit;
Including the parking means including the entrance and exit installed out of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arking tech,

The lifting unit of the parking means raises the vehicle to the upper part of the already parked vehicle to park or discharge the vehicle from the parking deck arrangement layer to be parked or discharged,
The parking value is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ort cart is moved or parked by the travel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데크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부로 이격된 이격공간을 갖고, 제1 받침부를 가지며,
상기 리프팅부는 입출고되는 차량이 얹혀 지고, 승하강시 상기 주차데크의 제1 받침부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 제2 받침부로 구성되어, 하강에 의하여 제2 받침부에 얹힌 차량을 주차데크에 전달한 후, 상기 진출입부로 복귀하도록 하는 탑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rking deck has a spaced space spaced upward from the frame, has a first support,
The lifting part is mounted on the vehicle, which is loaded and unloaded, and is composed of a second support part arranged in a displaced position to prevent a collision with the first support part of the parking deck dur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the vehicle plac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by the lowering. After the transfer to the parking deck, the parking value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mounting portion to return to the entrance and ex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이송대차에 구비된 제1 구동부와,
상기 이송대차에 연결되고, 상기 탑재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1 안내부와,
상기 제1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탑재부에 전달하는 제1연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fting unit
A first drive unit provided in the transport cart;
A first guide part connected to the transport cart and for guiding the mounting part;
The parking lot value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interlocking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first drive unit to the mounting portion.

Parking value improved park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는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바퀴를 갖고,
상기 주행수단은 상기 바퀴를 직접 움직이도록 상기 이송대차에 구비된 제2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바퀴에 전달하는 제2 연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효율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주차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ransport cart has a wheel in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second drive unit provided in the transport cart to move the wheel directly;
Parking lot value and improved parking efficienc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linkage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second drive unit to the wheel.
KR1020110133128A 2011-12-12 2011-12-12 Parking apparatus KR1011355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128A KR101135549B1 (en) 2011-12-12 2011-12-12 Par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128A KR101135549B1 (en) 2011-12-12 2011-12-12 Park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549B1 true KR101135549B1 (en) 2012-04-17

Family

ID=4614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128A KR101135549B1 (en) 2011-12-12 2011-12-12 Par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5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039A (en) *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Wireless loading device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694A (en) * 1990-12-05 1992-07-27 니시 카주히꼬 Storage system
JPH06167134A (en) * 1991-09-26 1994-06-14 Aoki Seimitsu Kogyo Kk Parking device
KR19990038666A (en) * 1997-11-06 1999-06-05 이종수 Pallet transverse guidance device of elevator parking facility
KR100411934B1 (en) 2001-09-01 2003-12-31 노구현 Parking device of c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694A (en) * 1990-12-05 1992-07-27 니시 카주히꼬 Storage system
JPH06167134A (en) * 1991-09-26 1994-06-14 Aoki Seimitsu Kogyo Kk Parking device
KR19990038666A (en) * 1997-11-06 1999-06-05 이종수 Pallet transverse guidance device of elevator parking facility
KR100411934B1 (en) 2001-09-01 2003-12-31 노구현 Parking device of ca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039A (en) *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Wireless loading device for Vehicle
KR101872685B1 (en) 2016-06-16 2018-06-29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Wireless loading device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360B1 (en)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and vehicles parking method
JP2013234534A (en)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for mechanical multistory parking garage
KR101760019B1 (en) Tower parking lot's lower driven parking device
KR101135549B1 (en) Parking apparatus
KR20100053334A (en) The rotary parking apparatus with greater accuracy of operation
CN109264553B (en) Goods lift that can load and unload goods automatically
KR100746595B1 (en) Parking equipment
US5999099A (en) Rolling truck with a transponder
CN101128384A (en) Elevator with dissymmetric guide rail
CN109911745B (en) Elevator car, cargo lift and cargo carrying method of cargo lift
KR102037940B1 (en) A device for parking cars
CN218434413U (en) Full-automatic logistics freight elevator
CN212050074U (en) Accurate leveling device of heavy-load goods elevator
JP3401223B2 (en) Pallets, drives and bollards
KR100226063B1 (en) Device for fixing pallet in lateral type parking system
KR100593499B1 (en) A palette for car roading of parking system
CN207671512U (en) Back-shaped hoistway electromagnetism cordless elevator
CN215287601U (en) Freight elevator
CN209259445U (en) A kind of Cargo Lift of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goods
KR19990074350A (en) Lift fall prevention device of parking equipment
KR100219845B1 (en) Automated devices for parking
CN204342234U (en) Electric drive system in a kind of elevator of integration
CN219750812U (en) Motion mechanism for circulating elevator
KR100436696B1 (en) freight storage and deliver apparatus operated by linear-motor
CN212387511U (en) Width-limiting and height-limiting device and intelligent safety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