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024B1 -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024B1
KR101135024B1 KR1020100023036A KR20100023036A KR101135024B1 KR 101135024 B1 KR101135024 B1 KR 101135024B1 KR 1020100023036 A KR1020100023036 A KR 1020100023036A KR 20100023036 A KR20100023036 A KR 20100023036A KR 101135024 B1 KR101135024 B1 KR 101135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ipe material
pipe
hing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796A (ko
Inventor
김종식
Original Assignee
화이버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버텍(주) filed Critical 화이버텍(주)
Priority to KR102010002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02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29C63/08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by winding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on a rotating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하는 형틀 상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전진하며 생산되는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을 하부에서 가이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서로 대향하도록 마주보는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롤러 및 제2롤러와,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의 하방에 각각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제3롤러 및 제4롤러와, 상기 제1롤러, 상기 제2롤러, 상기 제3롤러 및 상기 제4롤러의 외부를 일체로 감싸서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고, 상면 부분에 상기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이 안착되어 상기 상면 부분이 상기 파이프 소재를 지지하도록 쳐짐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파이프 소재와 마찰하면서 회전하는 벨트, 및 상기 파이프 소재의 회전 시, 상기 벨트의 진행방향과 상기 파이프 소재의 길이방향이 이루는 사이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를 지지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에 따르면,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을 하부에서 회전 가이드하고 지지함에 따라 연속식 파이프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ipe continuously}
본 발명은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형틀 상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전진하며 생산되는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을 가이드하고 지지하는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식 파이프의 생산 방법으로는, 스틸밴드 맨드릴 형, 지관 맨드릴 형 등이 있다. 이러한 연속식 파이프의 생산방법의 예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의 회전축(10)은 구동수단(11)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축(10)은, 횡단면이 원형 형상을 가지고 종축 방향으로 긴 축 형상을 가진다. 형틀(20)은 회전축(10)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회전축(10)과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축(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전하는 형틀(20)이 회전축(10)의 길이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면, 형틀(20)의 외표면 상에 제공되는 파이프 소재(30)가 형틀(20)의 외표면 상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형틀(20)이 회전축(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파이프의 생산 속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상기 파이프 소재(30)로는 유리섬유, 카본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 등의 다양한 장섬유, 모르타르 등의 충진재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형틀(20)이 스틸밴드 타입인 경우는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 제10-0853823호에 기재된 바 있다.
상기 형틀(20)의 전진 이동에 따라, 파이프 소재(30)의 전방 부분은 회전축(10)으로부터 점차로 벗어나서 경화수단(40)을 통해 경화된 다음, 커팅수단(50)을 통해 필요한 길이로 커팅되어 생산된다. 그런데, 만약 이러한 파이프 소재(30)의 전방 부분의 위치가 형틀(20)이나 파이프 소재(30)의 중량 등으로 인하여 잘 지지되지 않거나, 파이프 소재(30)가 원활한 회전을 못 할 경우에는 파이프 소재(30)가 형틀(20)의 회전을 못 따라가게 되고 축방향에 대해 비틀어지게 됨으로써, 연속식 파이프 생산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하는 형틀 상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전진하며 생산되는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쳐짐을 방지하고 회전 가이드함에 따라 연속식 파이프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하는 형틀 상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전진하며 생산되는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을 하부에서 가이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서로 대향하도록 마주보는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 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롤러 및 제2롤러와,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 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의 하방에 각각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제3롤러 및 제4롤러와, 상기 제1롤러, 상기 제2롤러, 상기 제3롤러 및 상기 제4롤러의 외부를 일체로 감싸서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고, 상면 부분에 상기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이 안착되어 상기 상면 부분이 상기 파이프 소재를 지지하도록 쳐짐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파이프 소재와 마찰하면서 회전하는 벨트, 및 상기 파이프 소재의 회전 시, 상기 벨트의 진행방향과 상기 파이프 소재의 길이방향이 이루는 사이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를 지지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소재의 회전속도가 정상상태로 진입하기 이전에는, 상기 파이프 소재의 회전속도에 맞추어 상기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파이프 소재의 회전속도가 정상상태로 진입한 이후에는, 상기 사이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회전 중심이 상기 파이프 소재의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피봇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는, 상기 회전축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의 힌지축으로 힌지 결합되어 서로 V자 형으로 대향하도록 마주보며, 상기 힌지축을 이용하여 상기 V자 형의 마주보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는,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의 조절된 각도가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의 측면 및 상기 제2힌지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의 축부분이 각각 결합되기 위한 제1개구홀 및 제2개구홀이 형성되되, 상기 파이프 소재의 직경 크기에 따라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의 축부분의 결합 위치가 상하 슬라이딩 조절되도록, 상기 제1개구홀 및 제2개구홀은 상하로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제1개구홀 및 상기 제2개구홀 상에서 각각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3롤러 사이 및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제4롤러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키면,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 사이의 거리가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는, 상기 제1롤러, 상기 제2롤러, 상기 제3롤러, 상기 제4롤러 중 선택된 하나의 롤러를 구동하여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에 따르면, 회전하는 형틀 상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전진하며 생산되는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을 하부에서 회전 가이드하고 지지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 소재의 중심이 비틀어지거나 파이프 소재가 아래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조되는 연속식 파이프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파이프 소재의 회전시, 벨트가 마찰되어 회전하는 모습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축부의 회전 중심이 파이프 소재의 중심에 위치할 때와,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피봇된 경우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100)는, 회전하는 형틀(20) 상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전진하며 생산되는 파이프 소재(30)의 전방 부분을 하부에서 회전 가이드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100)는, 몸체(110), 제1힌지부(120), 제2힌지부(130), 제1롤러(140), 제2롤러(145), 제3롤러(150), 제4롤러(155), 벨트(160), 회전축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100)의 본체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형틀(20) 상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전진하며 생산되는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전방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 상태는 도 2의 개략도를 참조한다.
상기 제1힌지부(120) 및 제2힌지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서로 대향하도록 마주본다. 이러한 제1힌지부(120) 및 상기 제2힌지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의 힌지축(121,131)으로 힌지 결합되어 서로 V자 형으로 대향하도록 마주보고 있다. 상기 힌지축(121,131)을 이용하여, 상기 V자 형으로 마주보는 두 힌지부(120,130) 사이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롤러(140) 및 제2롤러(145)는 상기 제1힌지부(120) 및 상기 제2힌지부(130) 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롤러(150) 및 제4롤러(155)는, 상기 제1힌지부(120) 및 상기 제2힌지부(130) 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롤러(140) 및 제2롤러(145)의 하방에 각각 이격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힌지부(120) 및 제2힌지부(130)가 서로 V자 형으로 마주보는 각도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제1롤러(140)와 제2롤러(145)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3롤러(150)와 제4롤러(155)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크게 된다.
상기 벨트(160)는 각각의 롤러들, 즉 상기 제1롤러(140), 상기 제2롤러(145), 상기 제3롤러(150) 및 상기 제4롤러(155)의 외부를 일체로 감싸서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벨트(160)는 상면 부분(161)에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전방 부분이 안착되어 상기 상면 부분(161)이 상기 파이프 소재(30)를 지지하도록 쳐짐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파이프 소재(30)와 마찰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즉, 벨트(160)의 상면 부분(161)은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회전시, 파이프 소재(30)에 마찰되어 회전한다.
상기 회전축부(170)는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회전 시, 상기 벨트(160)의 진행방향(B)과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길이방향(A)이 이루는 사이각(θ)이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110)를 지지하고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부(170)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서 베어링 결합되어, 상기 몸체(110)가 상기 회전축부(17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100)의 동작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회전축(10)이 구동수단(11)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하면, 형틀(20)은 회전축(10)과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축(10)의 전방을 향해 전진 이동한다. 그러면, 형틀(20) 상에 제공되는 파이프 소재(30)는 형틀(20)의 외주면 상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전진 이동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파이프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파이프 소재(30)가 전진 이동되면 그 전방 부분은 회전축(10)으로부터 점차로 멀어지게 된다. 이때, 파이프 소재(30)의 전방 부분이 제대로 지지되지 않으면(ex, 파이프 소재(30)의 전방 부분의 중심축이 회전축(10)의 축방향에 대해 비틀어지게 되면), 파이프 소재(30)가 형틀(20)의 회전을 못 따라가게 되고, 형틀(20) 상에서 파이프 소재(30)가 헛돌게 되어, 연속식 파이프 생산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100)는 파이프 소재(30)의 전방 부분을 벨트(160)가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있고, 상기 벨트(160)가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회전에 따라 마찰되어 회전됨에 따라, 파이프 소재(3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파이프 소재(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회전을 원활하게 가이드하게 된다. 도 5는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회전시, 벨트(160)가 마찰되어 회전하는 모습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파이프 소재(30)는 형틀(20) 상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면서 길이방향(A)으로 전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벨트(160)의 진행방향(B)'이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전후 길이방향(A)'과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경우 즉, 사이각(θ)이 90도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회전 및 전진 운동을 방해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파이프 생산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회전 및 전진 운동 변위에 맞추어, 이에 마찰되는 벨트(160)의 진행방향(B)이 변경된다면,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100)에 따르면,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회전축부(17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몸체(110)가 회전축부(17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벨트(160)의 진행방향(B)과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길이방향(A)이 이루는 사이각(θ)이 손쉽게 조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생산장치(100)를 가동하는 초기 즉, 회전축(10)의 회전속도가 정상상태로 진입하기 이전에는 회전축(10)의 회전속도가 가변하다가, 시간이 경과되어 정상상태로 진입한 다음에는 회전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회전속도가 정상상태로 진입하기 이전에는,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회전속도에 맞추어 상기 사이각(θ)이 가변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회전속도가 정상상태로 진입한 이후에는, 상기 사이각(θ)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요약하면, 이러한 사이각(θ)의 조절은, 벨트(160)가 파이프 소재(30)의 회전에 따라 마찰되어 회전되는 것과, 이러한 벨트(160)가 설치된 몸체(110) 부분이 상기 회전축부(17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에 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부(170)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되, 회전 중심이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피봇되어 있다. 이를 위해, 회전축부(170)는 몸체(110)의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이는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회전축부(170)의 회전 중심이 파이프 소재(30)의 중심에 위치할 때(a)와,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피봇된 경우(b)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의 경우, 회전축부(170)의 회전 중심(C)이 파이프 소재(30)의 중심에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로서, 파이프 소재(30)의 저면 중앙 부분에 벨트(160)가 접촉되어 있어서, 벨트(160)가 파이프 소재(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벨트(160)의 지지능력은 우수하지만, 그 지지력이 파이프 소재(30)와 벨트(16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파이프 소재(30)의 회전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고, 그에 따른 파이프 소재(30)의 생산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6(b)는 회전축부(170)의 회전 중심(C')이 파이프 소재(30)의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이격된 경우로서, 벨트(160)와 접촉되는 부분이 파이프 소재(30)의 저면 중심이 아닌, 옆면 부분으로 치우치게 되어, 지지점이 분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 6(a)의 경우에 비하여 파이프 소재(30)와 벨트(160) 사이의 마찰력을 떨어뜨릴 수 있어서, 파이프 소재(30)의 회전을 보다 원활히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10)의 설치 높이, 파이프 소재(30)의 직경 등에 따라 몸체(110)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100)는 높이조절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부(180)는 상기 회전축부(17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11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면, 몸체(110)에 설치된 벨트(160)의 위치 또한 한번에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부(180)는 리프트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높이조절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100)는 상기 제1힌지부(120) 및 상기 제2힌지부(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상기 제1힌지부(120) 및 상기 제2힌지부(130)의 조절된 각도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각각의 힌지축(121,131)에 각각 조여지는 볼트 등의 수단일 수 있으나, 아래와 같은 실시예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수단(190)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1힌지부(120)와 제2힌지부(130)의 사이에 해당되는 몸체(110)의 전면 상에는 상하로 긴 형태의 슬릿(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190)은, 제1너트(191), 제2너트(192), 스크류(193) 및 이동부(19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너트(191) 및 제2너트(192)는 상기 제1힌지부(120) 및 제2힌지부(130)의 하단부 부분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각 너트(191,192)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 너트(191,192)의 나사산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193)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부(192a)가 상기 제1너트(191)와 왼나사(또는 오른나사)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193b)가 상기 제2너트(192)와 오른나사(또는 왼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류(193)의 일단부(193a)에는 왼나사(또는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193b)에는 그에 반대되는 오른나사(또는 왼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194)는 상기 스크류(193)의 일단부(193a)와 타단부(193b) 사이에 해당되는 중앙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슬릿(111)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수단(19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크류(193)의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한 부분만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스크류(193)에 대해 너트(191,192) 부분이 상대 회전되면서, 각각의 너트(191,192)가 상기 스크류(193)의 길이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너트(191)와 제2너트(19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류(193)의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 조작에 의해, 각 너트(191,19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개별 힌지축(121,131)을 기준으로 각각의 힌지부(120,130)가 회동되면서, 각 힌지부(120,130)의 하단부가 상향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부(194)가 상기 슬릿(111)의 내부에서 상향 슬라이딩 이동한다. 물론, 이에 따라, 제1힌지부(120) 및 제2힌지부(130)의 서로 마주보는 각도가 증가하고, 제1롤러(140) 및 제2롤러(145) 사이의 거리 또한 증가하여, 더 넓은 직경의 파이프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193)의 반시계방향(또는 시계방향) 조작에 의해, 너트(191,19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는 그 반대의 원리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힌지부(120)와 제2힌지부(130)에 관하여 부가적으로 알아본다. 상기 제1힌지부(120)의 측면 및 상기 제2힌지부(130)의 측면에는, 상기 제1롤러(140) 및 상기 제2롤러(145)의 축부분(140a,145a)이 각각 결합되기 위한 제1개구홀(122) 및 제2개구홀(1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개구홀(122) 및 제2개구홀(132)은 상하로 긴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파이프 소재(30)의 직경 크기에 따라 상기 제1롤러(140) 및 상기 제2롤러(145)의 축부분(140a,145a)의 결합 위치가 상하 슬라이딩 조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3롤러(150) 및 제4롤러(155)의 축부분(150a,155a)의 결합 위치는 가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롤러(140) 및 상기 제2롤러(145)의 축부분(140a,145a)을 상기 제1개구홀(122) 및 상기 제2개구홀(132) 상에서 각각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제1롤러(140)와 상기 제3롤러(150) 사이, 및 상기 제2롤러(145)와 상기 제4롤러(155)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키면, 상기 제1롤러(140) 및 상기 제2롤러(145) 사이의 거리가 변경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힌지부(120)와 제2힌지부(130)는 서로 V자 형태로 마주보고 있으므로, 상기 제1롤러(140) 및 제2롤러(145)를 상기 축부분(140a,145a)을 통해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제1롤러(140) 및 제3롤러(150)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2롤러(145)와 제4롤러(155) 사이의 거리가 각각 길어지고, 이에 더하여 상기 제1롤러(140) 및 제2롤러(145) 사이의 거리 또한 길어지게 되어, 더 큰 직경의 파이프 소재(30)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작은 직경의 파이프 소재(30)의 경우는 그 반대로 동작시키면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벨트(160)가 상기 파이프 소재(30)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상기 벨트(160)는 별도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구동원(미도시)는 상기 제1롤러(140), 상기 제2롤러(145), 상기 제3롤러(150), 상기 제4롤러(155) 중 선택된 하나의 롤러를 구동하여 상기 벨트(16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모터 등의 다양한 구동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소재(30)가 회전하는 속도 또는 전진하는 속도를 변경시킬 경우, 상기 파이프 소재(30)가 형틀(20) 상에서 헛도는 일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속도의 변경시, 상기 구동원(미도시)에 의한 벨트(160)의 회전력이 상기 파이프 소재(30)에 직접 작용될 수 있어서, 파이프 소재(30)가 헛도는 문제를 방지하고 파이프 소재(30)의 회전을 원활히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한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회전축 11: 구동수단
20: 형틀 30: 파이프 소재
40: 경화수단 50: 커팅수단
110: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110: 몸체
120: 제1힌지부 121: 힌지축
122: 제1개구홀 130: 제2힌지부
131: 힌지축 132: 제2개구홀
140: 제1롤러 145: 제2롤러
150: 제3롤러 155: 제4롤러
160: 벨트 170: 회전축부
180: 높이조절부 190: 고정수단
191: 제1너트 192: 제2너트
193: 스크류 193a: 일단부
193b: 타단부 194: 이동부

Claims (8)

  1. 회전하는 형틀 상에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전진하며 생산되는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을 하부에서 가이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에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서로 대향하도록 마주보는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 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롤러 및 제2롤러;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 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의 하방에 각각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제3롤러 및 제4롤러;
    상기 제1롤러, 상기 제2롤러, 상기 제3롤러 및 상기 제4롤러의 외부를 일체로 감싸서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고, 상면 부분에 상기 파이프 소재의 전방 부분이 안착되어 상기 상면 부분이 상기 파이프 소재를 지지하도록 쳐짐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파이프 소재와 마찰하면서 회전하는 벨트; 및
    상기 파이프 소재가 상기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전진할 때, 상기 벨트의 진행방향과 상기 파이프 소재의 길이방향이 이루는 사이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소재의 회전속도가 정상상태로 진입하기 이전에는, 상기 파이프 소재의 회전속도에 맞추어 상기 사이각이 가변하며,
    상기 파이프 소재의 회전속도가 정상상태로 진입한 이후에는, 상기 사이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회전 중심이 상기 파이프 소재의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피봇되어 있는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의 힌지축으로 힌지 결합되어 서로 V자 형으로 대향하도록 마주보며, 상기 힌지축을 이용하여 상기 V자 형의 마주보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의 조절된 각도가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의 측면 및 상기 제2힌지부의 측면에는,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의 축부분이 각각 결합되기 위한 제1개구홀 및 제2개구홀이 형성되되, 상기 파이프 소재의 직경 크기에 따라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의 축부분의 결합 위치가 상하 슬라이딩 조절되도록, 상기 제1개구홀 및 제2개구홀은 상하로 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제1개구홀 및 상기 제2개구홀 상에서 각각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3롤러 사이 및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제4롤러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키면,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 사이의 거리가 변경 가능한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 상기 제2롤러, 상기 제3롤러, 상기 제4롤러 중 선택된 하나의 롤러를 구동하여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을 더 포함하는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KR1020100023036A 2010-03-15 2010-03-15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KR101135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036A KR101135024B1 (ko) 2010-03-15 2010-03-15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036A KR101135024B1 (ko) 2010-03-15 2010-03-15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796A KR20110103796A (ko) 2011-09-21
KR101135024B1 true KR101135024B1 (ko) 2012-04-09

Family

ID=4495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036A KR101135024B1 (ko) 2010-03-15 2010-03-15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0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588B1 (ko) * 2005-12-29 2006-09-12 청솔산업(주) 파이프 회전장치
KR100939572B1 (ko) * 2009-08-27 2010-01-29 화이버텍(주) 연속식 파이프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588B1 (ko) * 2005-12-29 2006-09-12 청솔산업(주) 파이프 회전장치
KR100939572B1 (ko) * 2009-08-27 2010-01-29 화이버텍(주) 연속식 파이프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796A (ko)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9338B (zh) 具有浮動驅動滾子之管件加工裝置
CN103962920B (zh) 胶辊砂带抛光机
CN105071614A (zh) 用于高铁牵引电机线圈的包带机
JP2012071952A (ja) 線材の巻取り・繰出し装置
JPH06129510A (ja) 可動体送り装置
KR20150081791A (ko)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전선포설용 피더 장치
RU2020113011A (ru) Линейный привод с ременной передачей с высоким понижением
WO2021109800A1 (zh) 一种调整装置
KR101135024B1 (ko) 연속식 파이프 생산장치
KR101181111B1 (ko) 파이프홈 형성장치
CN207929781U (zh) 一种水箱拉丝机用导线装置
KR200400536Y1 (ko) 닥트의 프랜지절곡장치
CN205673413U (zh) 一种法兰成型机
KR101057987B1 (ko) 나선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중공관
JP4816521B2 (ja) ベルト伝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ロボット
KR100939572B1 (ko) 연속식 파이프 제조장치
US2720907A (en) Wire straightener
CN209038699U (zh) 全自动大型冷热分条复卷一体机
KR100992965B1 (ko) 연속식 파이프 제조설비
JPS5926578B2 (ja) ケ−ブル・シフタ
CN205219774U (zh) 轮胎线胎侧预定位装置
JP2010037981A (ja) 送液装置
CN111730003A (zh) 一种用于钢筋调直机的调直机构
JP2006212759A (ja) ベルトスリーブの走行線制御方法、及びベルトスリーブの走行線制御装置
CN209531783U (zh) 一种电池箱铝型材的弯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