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824B1 -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824B1
KR101134824B1 KR1020080062363A KR20080062363A KR101134824B1 KR 101134824 B1 KR101134824 B1 KR 101134824B1 KR 1020080062363 A KR1020080062363 A KR 1020080062363A KR 20080062363 A KR20080062363 A KR 20080062363A KR 101134824 B1 KR101134824 B1 KR 101134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pressure control
control valve
flow path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459A (ko
Inventor
김경래
박순좌
이을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80062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82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8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steering valve used
    • B62D5/083Rotar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B62D5/14Rotary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6Hydraul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18Power assistance, e.g. servo-motors
    • B60Y2400/4187Servo-motors, e.g. electric or fluidic with feedback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 형상의 밸브 바디와, 이 밸브 바디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중간 외주면에 경사진 요홈을 갖춘 회전스풀 및, 이 회전스풀의 축 방향 한쪽 끝부에 연결 고정되어 회전스풀을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조향 보조 동력을 확실히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획기적으로 구조가 단순화 되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 {Pressure control valve and electronically controllable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요홈이 중간에 경사지게 형성되고서 스테핑 모터로 제어 구동되는 회전스풀을 압력 제어 밸브에다 적용하여서,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함은 물론, 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ECPS:Electronically Controllable Power Steering Apparatus)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조향 보조 동력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저속에서는 조향휠의 작동력을 가볍게 하고 고속에서는 조향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가 갖고 있었던 문제점, 즉 자동차가 저속인 경우든 고속인 경우든 동일한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하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다.
도 1은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압력 제어 밸브 및 유로 전환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엔진(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103)와, 입력축(203)과 피니언축(205)의 상대 변위에 따라 작동유의 유로를 변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100), 이 유로 전환 밸브(100)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에 의해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하는 작동 실린더(105),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107), 이 차속 센서(107)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전자 제어 장치(ECU:109), 유로 전환 밸브(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자 제어 장치(109)에 의해 유압 반력부(209)로의 작동유 공급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밸브(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향휠(113)을 조작함으로써 이 조향휠(113)에 연결된 조향축(115)이 회전하고, 유니버설 조인트(117)를 매개로 조향축(115)과 연결되는 입력축(203)이 피니언축(205)과 상대 변위를 일으키면서 회전하여 그에 따라 작동유가 작동 실린더(105)에 선택적으로 공급됨으로써 랙 바(119)에 조향 보조 동력이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의한 압력 제어 밸브(150)는 외주측에 배출 포트(223) 및 공급 포트(22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밸브 바디(231), 이 밸브 바디(231)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공급 포트(221)와 연통되되 하측으로 개방된 유로(237)를 내측에 구비하고 있는 스풀(233), 이 스풀(233) 의 상측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235), 이 탄성 부재(235)의 위에 형성되는 지지체(241), 이 지지체(241)의 위에 형성되는 슬리브(243), 이 슬리브(243)를 구동하는 스테핑 모터(2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 바디(231)는 직경이 일정하고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외주측에 공급 포트(221) 및 배출 포트(223)를 구비하고 있는데, 공급 포트(221)는 유압 펌프(103)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가 공급되는 통로이고, 배출 포트(223)는 오일 탱크로 전달되는 작동유가 배출되는 통로이다.
스풀(233)은 원통 형상으로서 밸브 바디(231)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공급 포트(221)와 연통될 수 있는 유로(23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로(237)는 스풀(233)의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공급 포트(221)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가 유로(237)를 거쳐 스풀(233)의 하측으로 전달되게 된다.
탄성 부재(235)는 스풀(233)의 상측 및 밸브 바디(231)의 내측에 구비되어 스풀(233)에 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이때, 스풀(233)의 하측에서 스풀(233)에 작용하는 작동유의 압력이 탄성 부재(235)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에는 스풀(233)이 축 방향 위로 이동하게 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스풀(233)이 작동유의 압력에 따라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유로(237)가 공급 포트(221)와 연통되기도 하고 차단되기도 하면서 작동유의 흐름이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스풀(233)의 하측에 공급되는 작동유는 최종적으로 유압 반력부(209)에 공급됨으로써 반력 플런저(207)가 입력축(203)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스풀(233)의 하측에는 유로(237)와 연통되는 중공 형상의 캡(239)을 구비하여, 탄성 부재(235)의 탄성력에 의해 스풀(233)이 밸브 바디(231)의 내측에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캡(239)은 밸브 바디(231)의 내측에 압입 또는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지지체(241)는 탄성 부재(235)의 상측에서 탄성 부재(235)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그 위의 슬리브(243) 및 스테핑 모터(247)에 의해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면서 탄성 부재(235)를 지지해 준다. 또한, 지지체(241)의 외주면에는 오링(O-ring:242)이 구비된다.
스테핑 모터(247)는 슬리브(243)의 상측에 구비되어 모터축(249) 및 슬리브(243)를 통해 스풀(233)의 슬라이딩을 제어한다. 스테핑 모터(247)는, 차속 센서(107)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전자 제어 장치(109)에 의해 작동된다.
슬리브(243)는 모터축(249)을 둘러싸는 중공 형상으로, 모터축(249)과 동축상으로 형성되며 밸브 하우징(250)에 장착된다.
미설명 부호 225는 밸브 하우징(250)에 형성된 유로이고, 201은 토션 바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압력 제어 밸브에서는, 스테핑 모터(247)가 구동하면 모터축(249)이 회전하고, 모터축(249)에 구속되는 슬리브(243)가 축 방향 상하로 운동하면서 지지체(241) 및 탄성 부재(235)를 매개로 하여 하측의 스풀(233)을 슬라이딩시키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동차가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스테핑 모터(247)가 슬리 브(243) 및 지지체(241)에 작은 힘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탄성 부재(235)가 복원되면서 탄성 부재(235)와 연결된 스풀(233)이 축 방향 위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작동유가 공급 포트(221)로부터 차단되어 작동유가 유압 반력부(209)로 적게 공급된다. 그 결과 조향휠이 가벼워지는 것이다.
반면,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스테핑 모터(247)가 슬리브(243) 및 지지체(241)에다 저속일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힘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탄성 부재(235)가 압축에 의해 탄성력이 커지게 되면서 스풀(233)이 축 방향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공급 포트(221)로부터 작동유가 유압 반력부(209)로 많이 공급됨으로써, 조향휠이 무거워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압력 제어 밸브는 저속시에도 스테핑 모터가 슬리브 및 지지체에 작은 힘을 가하므로 스풀 위에 있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공급 포트가 미세하게 개방되어서, 비록 적은 양이긴 하나 작동유가 유압 반력부로 계속 공급되어 조향휠이 무거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와, 지지체, 탄성 부재 등과 같은 부품의 수가 너무 많아서 그 구조 자체는 물론이고 제조 및 조립 공정이 복잡하게 되며, 이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요홈이 중간에 경사지게 형성되고서 스테핑 모터로 제어 구동되는 회전스풀을 압력 제어 밸브에다 적용하여서,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함은 물론, 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는,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 형상의 밸브 바디와, 이 밸브 바디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중간 외주면에 경사진 요홈을 갖춘 회전스풀 및, 이 회전스풀의 축 방향 한쪽 끝부의 중심에 연결 고정되어 회전스풀을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입력축과 피니언축의 상대 변위에 따라 작동유의 유로를 변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 이 유로 전환 밸브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에 의해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하는 작동 실린더,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 이 차속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전자 제어 장치, 유로 전환 밸브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유압 펌프에서 유압 반력부로의 작동유 공급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데, 이 압력 제어 밸브가,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 형상의 밸브 바디와, 이 밸브 바디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 게 구비되되 그 중간 외주면에 경사진 요홈을 갖춘 회전스풀 및, 이 회전스풀의 축 방향 한쪽 끝부의 중심에 연결 고정되어 회전스풀을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하면,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엔진(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103)와, 입력축과 피니언축의 상대 변위에 따라 작동유의 유로를 변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100), 이 유로 전환 밸브(100)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에 의해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하는 작동 실린더(105),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107), 이 차속 센서(107)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전자 제어 장치(109), 유로 전환 밸브(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자 제어 장치(109)에 의해 유압 반력부로의 작동유 공급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밸브(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향휠(113)을 조작함으로 써 이 조향휠(113)에 연결된 조향축(115)이 회전하고, 유니버설 조인트(117)를 매개로 조향축(115)과 연결되는 입력축이 피니언축과 상대 변위를 일으키면서 회전하여, 그에 따라 작동유가 작동 실린더(105)에 선택적으로 공급됨으로써 랙 바(119)에 조향 보조 동력이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 및 유로 전환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150)는 양측에 각각 공급 포트(221)와 배출 포트(223)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 형상의 밸브 바디(231)와, 이 밸브 바디(23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중간 외주면에 경사진 요홈(211)을 갖춘 회전스풀(210) 및, 이 회전스풀(210)의 축 방향 한쪽 끝부의 중심에 연결 고정되어 회전스풀(210)을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2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제어 밸브는 반드시 조향장치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유압을 이용하여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 일반에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조향장치에 대한 실시예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밸브 바디(231)는 직경이 일정하고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양측 외주면에 공급 포트(221)와 배출 포트(223)가 형성되어 있는데, 공급 포트(221)는 유압 펌프(103:도 1 참조)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가 공급되는 통로이고, 배출 포트(223)는 유압 반력부(209)로 전달되는 작동유가 배출되는 통로이 다. 이들 공급 포트(221)와 배출 포트(223)는 수직단면으로 보았을 때 서로 동일 선상으로 정렬되지 않고서 상이한 높이를 가져 상대적으로 어긋나 있어야 하며, 각 포트의 직경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원기둥 형상으로 된 회전스풀(210)은 밸브 바디(231)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밸브 바디(231)의 공급 포트(221) 및 배출 포트(223)와 연통될 수 있는 요홈(211)을 그 중간 외주면에 구비하고 있다.
이 요홈(211)은 회전스풀(210)의 중간 일부분에서 중심부(212)를 남겨둔 채로 이 중심부(212) 이외의 부분을 회전스풀(210)의 중심축선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개해서 이루어진 형태로 된다. 즉, 요홈(211)은 환형상의 홈 형태를 취하되, 이 환형상의 홈이 갖는 중심축선과 회전스풀(210)의 중심축선이 일치하지 않고 일정 각도만큼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 각도는 공급 포트(221)와 배출 포트(223)의 높이 차로 생기는, 공급 포트(221)와 배출 포트(223)를 연결한 사선(斜線)이 회전스풀(210)의 중심축선과 이루는 각도와 같다. 한편, 요홈(211)의 폭은 양쪽 공급 포트(221) 및 배출 포트(223)의 직경과 동일한 것이 좋으며, 이에 맞추어 요홈(211)을 형성하는 두 경사면(213)은 서로 평행한 것이 좋다.
회전스풀(210)의 축 방향 한쪽 끝부의 중심에 연결 고정되는 스테핑 모터(247)는 회전스풀(210)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 스테핑 모터(247)는 차속 센서(107:도 1 참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전자 제어 장치(109:도 1 참조)에 의해 제어 구동되는데, ±360도로 회전하여도 무방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소정의 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그 회전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추가로, 상기 회전스풀(210)의 축 방향 반대쪽 끝부에는, 회전스풀(21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21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지지부재(214)로는 예컨대 베어링 또는 부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임의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생략될 수도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압력 제어 밸브는 슬리브의 상측에 구비된 스테핑 모터가 모터축에 구속되는 슬리브를 축 방향 상하로 구동시키면서 지지체 및 탄성 부재를 매개로 스풀을 슬라이딩시키던 방식이었으나, 이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제어 밸브는 탄성 부재와 지지체 및 슬리브가 필요 없고, 스테핑 모터가 회전스풀을 직접 회전구동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자동차가 주차 내지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차속 센서(107)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전자 제어 장치(109)에 의해 스테핑 모터(247)가 회전스풀(210)을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포트(221) 및 배출 포트(22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차단할 수 있는 위치로, 즉 회전스풀(210)의 요홈(211)이 공급 포트(221) 및 배출 포트(223)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연통되지 못하도록 회전시켜서, 공급 포트(221)로부터의 작동유 유입이 차단되어 작동유가 유압 반력부(209)로 공급되지 못한다. 그 결과 조향휠이 가벼워지는 것이다.
반대로,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스테핑 모터(247)가 회전스풀(210)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공급 포트(221) 및 배출 포트(223)가 회전스풀(210)의 요홈(211)을 매개로 서로 연통될 수 있게 하는 위치로 회전시켜서 유로(화살표처럼)를 형성하여, 작동유가 공급 포트(221)로부터 유압 반력부(209)로 많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조향휠이 무거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압력 제어 밸브가 상측(조향휠 방향)에 스테핑 모터를 장착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도시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양에 따라서는 하측에 스테핑 모터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편의상 공급 포트 및 배출 포트가 수평면상에서 회전스풀을 가로질러 서로 대략 180도의 각도를 갖도록 일직선으로 배치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 또한 도시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90도와 같이 수평면상에서 임의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각도에 맞춰 양쪽 포트 사이의 높이 차와 스테핑 모터의 회전범위가 상응하게 설정되는 것이 좋다.
또, 밸브 바디와 밸브 하우징 사이에는 종래 기술과 유사하게 오링이 구비될 수 있거나, 밸브 하우징을 밸브 바디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 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조향 보조 동력을 확실히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획기적으로 구조가 단순화 되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압력 제어 밸브 및 유로 전환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 및 유로 전환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들이다.

Claims (5)

  1.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 형상의 밸브 바디와,
    이 밸브 바디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중간 외주면에 경사진 요홈을 갖춘 회전스풀 및,
    이 회전스풀의 축 방향 한쪽 끝부의 중심에 연결 고정되어 회전스풀을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는 수직단면으로 보았을 때 서로 동일 선상으로 정렬되지 않고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회전스풀의 중간 일부분에서 중심부를 남겨둔 채로 이 중심부 이외의 부분을 회전스풀의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절개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풀의 축 방향 반대쪽 끝부에는 회전지지부재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5. 자동차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입력축과 피니언축의 상대 변 위에 따라 작동유의 유로를 변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 이 유로 전환 밸브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에 의해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하는 작동 실린더,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 이 차속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전자 제어 장치, 유로 전환 밸브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유압 펌프에서 유압 반력부로의 작동유 공급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
    이 압력 제어 밸브가,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 형상의 밸브 바디와,
    이 밸브 바디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중간 외주면에 경사진 요홈을 갖춘 회전스풀 및,
    이 회전스풀의 축 방향 한쪽 끝부의 중심에 연결 고정되어 회전스풀을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0080062363A 2008-06-30 2008-06-30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KR10113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363A KR101134824B1 (ko) 2008-06-30 2008-06-30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363A KR101134824B1 (ko) 2008-06-30 2008-06-30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459A KR20100002459A (ko) 2010-01-07
KR101134824B1 true KR101134824B1 (ko) 2012-04-16

Family

ID=4181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363A KR101134824B1 (ko) 2008-06-30 2008-06-30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8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424A (ja) 2001-01-18 2002-07-31 Koyo Seiko Co Ltd 可変絞り弁及び動力舵取装置
EP1514766A1 (en) 2003-09-10 2005-03-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 Hydraulic Power Steering Assistant
JP2006123819A (ja) 2004-10-29 2006-05-18 Jtekt Corp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678642B1 (ko) 2005-10-17 2007-02-05 주식회사 만도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보조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424A (ja) 2001-01-18 2002-07-31 Koyo Seiko Co Ltd 可変絞り弁及び動力舵取装置
EP1514766A1 (en) 2003-09-10 2005-03-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 Hydraulic Power Steering Assistant
JP2006123819A (ja) 2004-10-29 2006-05-18 Jtekt Corp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678642B1 (ko) 2005-10-17 2007-02-05 주식회사 만도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보조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459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780B1 (ko)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압력 제어 밸브
CN101970277B (zh) 动力转向装置
DE102006005653A1 (de) Hydraulische Hilfskraftlenkung
KR101134824B1 (ko)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KR20110062630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용 턴스토퍼
KR100998562B1 (ko) 동력조향장치
KR100723730B1 (ko)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보조 조향장치
US6216815B1 (en)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2598139B1 (ko) 전동 기어 조향 장치
JP3952694B2 (ja) 可変絞り弁及び動力舵取装置
KR100848635B1 (ko)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KR100646445B1 (ko)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2002029430A (ja) 車両用操舵装置
JP5012196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38393B1 (ko) 반력식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H09507808A (ja) 車両用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101138084B1 (ko)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댐핑 밸브
JP2010137603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344050Y1 (ko)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2622359B2 (ja) 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378301B1 (ko) 자동차의파워어시스티드스티어링장치
KR20120055836A (ko) 자동차의 피니언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241738B1 (ko) 피니언 밸브하우징의 포핏 밸브 및 이를 구비한 피니언 밸브 어셈블리
JP2989990B2 (ja) バルブ装置
JPH1016801A (ja) 車両用操舵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