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642B1 -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보조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보조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642B1
KR100678642B1 KR1020050097803A KR20050097803A KR100678642B1 KR 100678642 B1 KR100678642 B1 KR 100678642B1 KR 1020050097803 A KR1020050097803 A KR 1020050097803A KR 20050097803 A KR20050097803 A KR 20050097803A KR 100678642 B1 KR100678642 B1 KR 100678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pressure control
hydraulic
reaction forc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9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7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 B62D5/075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using priori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60Y2300/207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related to drive shaft torsion, e.g. driveline osci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 조건에 따라 유압 반력부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 중공 형상의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풀;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과 연통되되 일측에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어 있는 공급 관로;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 및 상기 유압 반력부를 연결하되 일측에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어 있는 반력 관로;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가 통과하는 배출 관로; 및 상기 스풀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 제어 밸브에 연결되는 공급 관로 및 유압 반력부에 연결되는 반력 관로에 오리피스를 형성함으로써 작동유의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는 한편 운전자에게 안정적인 조향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진동, 소음, 압력 제어 밸브, 공급 관로, 작동유, 반력

Description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Pressure Control Valve and Electronically Controllable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구성도,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의 일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의 타측면 및 압력 제어 밸브(PCV: Pressure Control Valve)의 일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자동차가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의 압력 제어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의 압력 제어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일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복수 개의 오리피스가 구비된 공급 관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유압 반력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유압 펌프107: 차속 센서
109: 전자 제어 장치111: 압력 제어 밸브
201: 토션 바203: 입력축
205: 피니언축207: 반력 플런저
209: 유압 반력부211: 밸브 바디
215: 스풀221: 공급 관로
223: 배출 관로224: 반력 관로
501: 오리피스(Orifice)503: 액추에이터(Actuator)
505: 제 1 챔버507: 제 2 챔버
509: 제 3 챔버601: 제 1 오리피스
602: 제 2 오리피스
본 발명은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제어 밸브에 공급되는 작동유가 통과하는 공급 관로 및 유압 반력부로 공급되는 작동유가 통과하는 반력 관로에 오리피스(Orifice)를 구비하여 작동유의 맥동을 저감시킴으로써 작동유의 유압을 일정하게 해 주는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동차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한편,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조향 휠(Steering Wheel)을 조작할 경우에 배력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조향 휠 조작력을 보조하여 줌으로써 보다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HPS: 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와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EPS: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로 크게 구분된다.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엔진의 회전축에 연결된 유압 펌프가 작동유를 랙 바(Rack Bar)와 연결되어 있는 작동 실린더로 공급하면, 작동유를 공급받은 작동 실린더의 피스톤이 움직임으로써 조향 조작력을 보조하게 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작은 힘으로 조향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반면,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유압 펌프와 작동 실린더 대신에 랙 바 또는 컬럼에 모터 및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하고 있어 모터의 힘으로 조작력을 보조해 주는 장치이다.
최근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탑재한 자동차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기는 하나 아직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가 저속으로 주행하거나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 저항이 크기 때문에 큰 조향 보조 동력이 요구되지만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 저항이 작기 때문에 큰 조향 보조 동력이 필요하지 않다. 그런데, 일반적인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자동차가 저속인 경우든 고속인 경우든 동일한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고속의 경우 필요 이상으로 조향 휠이 가벼워져서 오히려 조향 안정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조향 보조 동력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고속에서도 조향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ECPS: Electronically Controllable Power Steering Apparatus)가 도입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a 및 2b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유로 전환 밸브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압력 제어 밸브(PCV: Pressure Control Valve)의 일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서 각각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엔진(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101)와, 토션 바(201)가 내장되는 중공 형상의 입력축(203)과, 토션 바(201)를 매개로 입력축(203)과 연결되는 피니언축(205)과, 입력축(203)과 피니언축(205)의 상대 변위에 따라 작동유의 유로를 변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103)와, 유로 전환 밸브(103)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에 의해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하는 작동 실린더(105)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107)와, 차속 센서(107)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전자 제어 장치(109)와, 유압에 의해 앞뒤로 운동하는 반력 플런저(Plunger: 207)를 통해 입력축(203)과 피니언축(205)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유압 반력부(209)와, 유로 전환 밸브(103)의 일측에 구비되되 전자 제어 장치(109)에 의해 유압 반력부(209)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밸브(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력 제어 밸브(111)는 공급 관로(221), 배출 관로(223) 및 반력 관로(224)를 외주측에 구비하되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밸브 바디(211)와, 밸브 바디(211)의 내측 상부에 내장되고 스풀(215)에 하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213)과, 상단이 스프링(213)에 의해 지지되되 밸브 바디(211)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단이 솔레노이드(217)에 의해 지지되며, 외주면 상에서 소정 깊이를 가지되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유로공(229)을 통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단차부(225) 및 제 2 단차부(227)를 구비하는 스풀(215)과, 스풀(215)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전자 제어 장치(109)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2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향 휠(113)을 조작함으로써 조향 휠(113)에 연결된 조향축(115)이 회전하고, 유니버설 조인트(117)를 매개로 조향축(115)과 연결되는 입력축(203)이 피니언축(205)과 상대 변위를 일으키면서 회전하며, 그에 따라 작동유가 작동 실린더(105)의 좌우측 압력실(105a, 105b)에 선택적으로 공급됨으로써 랙 바(119)에 조향 보조 동력이 가해지는 기본 작동 원리는 일반적인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와 차이가 없다.
그러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속도에 따라 작동 상태가 달라지는 바,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자동차가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의 종래 기술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의 종래 기술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자동차가 주차를 하거나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차속 센서(107)로부터 감지된 차속 신호를 전달받은 전자 제어 장치(109)가 압력 제어 밸브(111)의 솔레노이드(217)를 제어함으로써 스풀(215)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 1 단차부(225)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공급 관로(221)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작동유가 유로공(229)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유압 반력부(209)에 작동유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반력 플런저(207)가 입력축(203)으로부터 이격되게 되고, 그에 따라 입력축(203)은 반력 플런저(207)와의 마찰 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이 경우 조향 휠(113)이 가벼워지기 때문에 운전자는 일반적인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가 작동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조향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자동차가 중속 또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차속 센서(107)로부터 감지된 차속 신호를 전달받은 전자 제어 장치(109)가 압력 제어 밸브(111)를 제어함으로써 스풀(215)이 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 1 단차부(225)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공급 관로(221)와 연통되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유가 유로공(229)에 전달된다. 유로공(229)을 지나는 작동유는 제 2 단차부(227) 및 반력 관로(224)를 지나 유압 반력부(209)에 전달된다. 이렇게 유압 반력부(209)에 작동유가 공급되기 때문에 작동유의 압력을 받는 반력 플런저(207)가 입력축(203)에 밀착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입력축(203)은 반력 플런저(207)에 의해 회전이 규제되게 된다. 즉, 이 경우 조향 휠(113)이 무거워지기 때문에 운전자는 일반적인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가 작동하는 경우와 달리 고속에서 안정적인 조향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는, 유압 펌프에 의해 가압되는 작동유가 압력 제어 밸브에 공급되는데, 유압 펌프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므로 엔진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한 소음 및 진동이 유압 펌프를 거쳐 압력 제어 밸브에까지 전달되는 한편 소음 및 진동이 작동유를 매개로 압력 제어 밸브로부터 유압 반력부에도 전달됨으로써 유압 반력부에서 작동하는 작동유가 일정한 압력을 갖지 못하게 되어 결국 운전자가 안정적인 조향감을 느낄 수 없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압력 제어 밸브에 연결되는 공급 관로 및 유압 반력부에 연결되는 반력 관로에 오리피스를 형성함으로써 작동유의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는 한편 운전자에게 안정적인 조향감을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 조건에 따라 유압 반력부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 중공 형상의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풀;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과 연통되되 일측에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어 있는 공급 관로;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 및 상기 유압 반력부를 연결하되 일측에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어 있는 반력 관로;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가 통과하는 배출 관로; 및 상기 스풀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상단이 조향 휠에 연결되는 토션 바와, 상기 토션 바가 내장되는 중공 형상의 입력축과, 상기 토션 바를 매개로 입력축과 연결되는 피니언축과, 상기 입력축과 상기 피니언축의 상대 변위에 따라 작동유의 유로를 변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와, 상기 유로 전환 밸브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에 의해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하는 작동 실린더와, 상기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상기 차속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 입력축과 상기 피니언축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유압 반력부과,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유압 반력부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어 밸브는, 중공 형상의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풀;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과 연통되되 일측에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어 있는 공급 관로;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 및 상기 유압 반력부를 연결하되 일측에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어 있는 반력 관로;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가 통과하는 배출 관로; 및 상기 스풀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일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는, 중공 형상의 밸브 바디(211)와, 밸브 바디(211)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풀(215)과, 밸브 바디(211)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작동유가 통과하되 일측에 오리피스(Orifice: 501)가 형성되어 있는 공급 관로(221)와, 밸브 바디(211)의 내측으로부터 유압 반력부(미도시)로 공급되는 작동유가 통과하는 반력 관로(224)와, 밸브 바디(211)의 내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가 통과하는 배출 관로(223)와, 스풀(215)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 5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 바디(211)는 직경이 일정하고 중공의 원통 형상이며, 외주측에 공급 관로(221), 배출 관로(223) 및 반력 관로(224)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밸브 바디(211)의 재질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밸브 바디(211)의 내부는 제 1 챔버(Chamber: 505), 제 2 챔버(507) 및 제 3 챔버(509)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 1 챔버(505)는 스풀(215)의 상단과 스프링(213) 및 밸브 바디(211)의 내주면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며 배출 관로(223)와 연통된다. 따라서, 공급된 작동유 중에서 유압 반력부(미도시)로 공급되지 않은 일부의 작동유가 제 1 챔버(505)로 전달되고 배출 관로(223)를 통해 오일 탱크(미도시)로 되돌아가게 된다.
제 2 챔버(507)는 스풀(215)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단차부(225) 및 밸브 바디(211)의 내주면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며, 공급 관로(221) 및 유로공(229)과 연통된다.
제 3 챔버(509)는 스풀(215)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단차부(227) 및 밸브 바디(211)의 내주면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며, 유로공(229) 및 반력 관로(224)와 연통된다.
스풀(215)은 원통 형상으로서 밸브 바디(211)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스풀(215)의 상단은 스프링(213)에 의해 하측 방향의 힘을 받으며 스풀(215)의 하단은 액추에이터(503)에 의해 상측 방향의 힘을 받는다. 또한, 스풀(215)의 외주면에는 제 1 단차부(225) 및 제 2 단차부(2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단차부(225) 및 제 2 단차부(227)는 스풀(215)의 내측에 형성된 유로공(229)을 통해 연통된다.
공급 관로(221)는 유압 펌프(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가 압력 제어 밸브(500)에 공급되는 통로이다.
공급 관로(221)의 일측에는 오리피스(501)가 형성되어 있는데, 오리피스(501)는 공급 관로(22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따라서, 유압 펌프(미도시)로부터 가압된 작동유가 소음 및 진동을 수반한 채 공급 관로(221)를 따라 전달되다가 공급 관로(221)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오리피스(501)에 도달한다.
그리고, 오리피스(501)를 지나면서 작동유의 유속은 증가하고 압력은 낮아진다. 이러한 상태로 작동유가 오리피스(501)의 좁은 내주면과 접촉하며 오리피스(501)를 통과하게 되고 그 접촉 과정에서 작동유의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다.
오리피스(501)를 지난 작동유는 유속이 감소하고 압력이 증가된다. 결국 오리피스(501)를 지난 작동유는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 상태로 압력 제어 밸브(500)의 제 2 챔버(507)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관로(221)의 일측에 내경이 서로 다른 제 1 오리피스(601) 및 제 2 오리피스(602)를 구비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의 저감 효과를 더 높일 수도 있다.
한편 공급 관로(221)는 압력 제어 밸브(500)를 둘러싸는 밸브 하우징에 내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유압 반력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유의 일부가 유압 반력부(209)로 공급됨으로써 반력 플런저(207)가 입력축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게 되며, 반력 관로(224)는 유압 반력부(209)로 전달되는 작동유가 공급되는 통로이다. 즉, 반력 관로(224)는 제 3 챔버(509)와 유압 반력부(209)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작동유가 진동을 수반한 채 유압 반력부(209)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작동유의 진동으로 인해 압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반력 플런저(207)일정한 압력을 가할 수가 없게 되고, 그에 따라 운전자는 안정적인 조향감을 느낄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반력 관로(224)에도 오리피스(501)를 형성하여 작동유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배출 관로(223)는 제 1 챔버(505)와 연통되며 오일 탱크(미도시)로 전달되는 작동유가 압력 제어 밸브(500)로부터 배출되는 통로이다. 배출 관로(223)는 압력 제어 밸브(500)를 둘러싸는 밸브 하우징에 내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추에이터(503)는 전자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전달 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스풀(215)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적으로는 솔레노이드(Solenoid)가 사용되나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 제어 밸브에 연결되는 공급 관로 및 유압 반력부에 연결되는 반력 관로에 오리피스를 형성함으로써 작동유의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는 한편 운전자에게 안정적인 조향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자동차의 주행 조건에 따라 유압 반력부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
    중공 형상의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풀;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과 연통되되 일측에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어 있는 공급 관로;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 및 상기 유압 반력부를 연결하되 일측에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어 있는 반력 관로;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가 통과하는 배출 관로; 및
    상기 스풀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어 밸브는 밸브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공급 관로는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관로는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내경의 크기가 각기 다른 복수 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6. 자동차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상단이 조향 휠에 연결되는 토션 바와, 상기 토션 바가 내장되는 중공 형상의 입력축과, 상기 토션 바를 매개로 입력축과 연결되는 피니언축과, 상기 입력축과 상기 피니언축의 상대 변위에 따라 작동유의 유로를 변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와, 상기 유로 전환 밸브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에 의해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하는 작동 실린더와, 상기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상기 차속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 입력축과 상기 피니언축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유압 반력부과,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유압 반력부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어 밸브는,
    중공 형상의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풀;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과 연통되되 일측에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어 있는 공급 관로;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 및 상기 유압 반력부를 연결하되 일측에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는 반력 관로;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내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가 통과하는 배출 관로; 및
    상기 스풀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0050097803A 2005-10-17 2005-10-17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보조 조향장치 KR100678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803A KR100678642B1 (ko) 2005-10-17 2005-10-17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보조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803A KR100678642B1 (ko) 2005-10-17 2005-10-17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보조 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642B1 true KR100678642B1 (ko) 2007-02-05

Family

ID=3810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803A KR100678642B1 (ko) 2005-10-17 2005-10-17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보조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6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824B1 (ko) 2008-06-30 2012-04-16 주식회사 만도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CN110155156A (zh) * 2018-02-11 2019-08-23 华为技术有限公司 转向轴耦合控制系统、方法及装配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8658A (ja) * 1990-03-06 1991-11-18 Jidosha Kiki Co Ltd 動力舵取装置
JPH05170126A (ja) * 1991-12-19 1993-07-09 Seiki Giken Kogyo Kk 車速応動型油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8210531A (ja) * 1994-11-05 1996-08-20 Mando Mach Corp 圧力制御バル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8658A (ja) * 1990-03-06 1991-11-18 Jidosha Kiki Co Ltd 動力舵取装置
JPH05170126A (ja) * 1991-12-19 1993-07-09 Seiki Giken Kogyo Kk 車速応動型油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8210531A (ja) * 1994-11-05 1996-08-20 Mando Mach Corp 圧力制御バルブ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824B1 (ko) 2008-06-30 2012-04-16 주식회사 만도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CN110155156A (zh) * 2018-02-11 2019-08-23 华为技术有限公司 转向轴耦合控制系统、方法及装配方法
CN110155156B (zh) * 2018-02-11 2020-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转向轴耦合控制系统、方法及装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8459B1 (ko) 동력 조향 장치용 유량 제어 장치
US4637484A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a power steering device
KR100678642B1 (ko)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보조 조향장치
KR100723730B1 (ko)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보조 조향장치
KR100646445B1 (ko)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0738393B1 (ko) 반력식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4537396B2 (ja) 液圧式の動力かじ取り装置
JP2898237B2 (ja) 自動車の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用制動圧力調節装置
KR101148270B1 (ko) 피니언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KR101767880B1 (ko) 자동차용 제동장치
KR100366713B1 (ko) 전자제어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유로제어장치
KR100217691B1 (ko) 동력조향장치용 유량제어수단
KR100291062B1 (ko) 동력조향장치의작동실린더구조
KR100848635B1 (ko) 압력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KR20090077373A (ko) 피니언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동력 보조조향장치
KR960007797Y1 (ko) 압력해제 유압관이 구비된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유압실린더
KR100276711B1 (ko)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100998563B1 (ko) 동력조향장치
JP4683796B2 (ja) 車両用油圧制御装置
KR0155173B1 (ko) 자동차 동력 조향장치의 압력조절밸브
KR20110125512A (ko) 자동차의 피니언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자 제어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382449B1 (ko) 차량의 속도 감응식 유압 조향장치
KR20010064606A (ko) 자동차용 동력 조향 장치
KR19990057539A (ko) 자동차의 자동 조향장치
KR20150039359A (ko) 차량용 조향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