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763B1 -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 Google Patents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763B1
KR101134763B1 KR1020100045347A KR20100045347A KR101134763B1 KR 101134763 B1 KR101134763 B1 KR 101134763B1 KR 1020100045347 A KR1020100045347 A KR 1020100045347A KR 20100045347 A KR20100045347 A KR 20100045347A KR 101134763 B1 KR101134763 B1 KR 101134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m
rear axle
axle support
bracket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789A (ko
Inventor
이태훈
황재화
문지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76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14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리어액슬서포트빔(2)을 연결하는 서포트빔크로스바(10)에 의해 1300rpm~1500rpm에서의 급가속시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의 움직임이 억제됨으로써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에 의한 부밍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Rear suspension of large sized bus}
본 발명은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액슬서포트빔의 부밍소음(bumming noise)을 저감시킬 수 있는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좌우방향에 위치한 리어바디사이드프레임(1)의 아래쪽에는 활모양으로 굴곡 형성된 리어액슬서포트빔(2)이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의 중간부에는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리어액슬하우징(3)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의 각 끝단에는 에어스프링(4)의 하단이 결합 설치되는데, 그 중 상기 리어액슬하우징(3)을 기준으로 차체의 전방쪽에 위치한 2개의 에어스프링(4)은 상단이 리어센터크로스멤버(5)에 결합 설치되고, 차체의 후방쪽에 위치한 나머지 2개의 에어스프링(4)은 상단이 리어엔드어퍼크로스멤버(6)에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스프링(4)의 측부에는 쇽업소버(7)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쇽업소버(7)의 상하단은 상기 에어스프링(4)과 마찬가지로 리어센터크로스멤버(5)와 리어엔드어퍼크로스멤버(6) 및 리어액슬서포트빔(2)에 결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어서스펜션은 하중에 따라 차량의 높이가 변화되면 상기 에어스프링(4)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에어스프링(4)내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차고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레벨링밸브(미도시)와, 리어액슬하우징(3)과 차량의 바디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상기 리어액슬하우징(3)을 지지하는 어퍼레디어스로드(8) 및 로워레디어스로드(9)를 함께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스프링(4)과 레벨링밸브 및 어퍼레디어스로드(8)와 로워레디어스로드(9)를 포함하여 구성된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은, 노면에 의해 발생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핸들링 성능을 발휘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은 활모양으로 굴곡 형성된 리어액슬서포트빔(2)에 의해 1300rpm~1500rpm에서 부밍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1300rpm~1500rpm에서 차량은 엔진의 힘에 의해 전진하려고 하지만 실제 차량은 자체의 중량에 의해 가속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럴 경우 운전자는 급가속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급가속을 할 경우 활모양으로 휘어진 리어액슬서포트빔(2)은 양단이 오므라드는 동작(도 2에 도시된 M1 방향으로의 움직임)과 펴지는 동작(도 2에 도시된 M2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하게 되며, 이러한 리어액슬서포트빔(2)의 움직임에 의해 종래의 리어서스펜션은 부밍소음이 심하게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1300rpm~1500rpm에서의 급가속시 활모양으로 휘어진 리어액슬서포트빔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부밍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은, 차체의 좌우측에서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된 리어바디사이드프레임과; 상기 리어바디사이드프레임의 아래쪽에서 상기 리어바디사이드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활모양으로 휘어진 형상에서 리어액슬하우징이 결합되는 중간부위는 마주 대하고 각각의 양단은 차체의 좌우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리어액슬서포트빔과; 상기 한 쌍의 리어액슬서포트빔을 연결하는 서포트빔크로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빔크로스바는 양단이 차체의 좌우방향을 향한 상태로 상기 리어액슬하우징을 기준으로 차체의 후방쪽 부위의 리어액슬서포트빔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전방쪽 부위의 리어액슬서포트빔과 후방쪽 부위의 리어액슬서포트빔을 동시에 연결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빔크로스바는, 상기 한 쌍의 리어액슬서포트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브라켓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과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결합 및 상기 사이드브라켓과 상기 중간브라켓의 결합은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의 비틀림 동작을 흡수할 수 있도록 모두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의 비틀림 동작시 상기 중간브라켓이 비틀림 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브라켓의 두께(T1)는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두께(T2)에 대해 50%~70%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브라켓의 폭(D1)은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폭(D2)에 대해 60%~80%의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과 상기 중간브라켓의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빔크로스바의 유연성 향상을 위해 라운드(R)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은, 리어액슬서포트빔을 연결하는 서포트빔크로스바에 의해 1300rpm~1500rpm에서의 급가속시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의 움직임이 억제됨으로써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에 의한 부밍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리어서스펜션과 본 발명의 리어서스펜션에 대해 부밍소음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은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차체의 좌우방향에 위치한 리어바디사이드프레임(1)의 아래쪽에는 활모양으로 굴곡 형성된 리어액슬서포트빔(2)이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의 중간부에는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리어액슬하우징(3)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의 각 끝단에는 에어스프링(4)의 하단이 결합 설치되는데, 그 중 상기 리어액슬하우징(3)을 기준으로 차체의 전방쪽에 위치한 2개의 에어스프링(4)은 상단이 리어센터크로스멤버(5)에 결합 설치되고, 차체의 후방쪽에 위치한 나머지 2개의 에어스프링(4)은 상단이 리어엔드어퍼크로스멤버(6)에 결합 설치된다.
상기 에어스프링(4)의 측부에는 쇽업소버(7)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쇽업소버(7)의 상하단은 상기 에어스프링(4)과 마찬가지로 리어센터크로스멤버(5)와 리어엔드어퍼크로스멤버(6) 및 리어액슬서포트빔(2)에 결합 설치된다.
또한, 상기 리어서스펜션은 하중에 따라 차량의 높이가 변화되면 상기 에어스프링(4)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에어스프링(4)내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차고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레벨링밸브(미도시)와, 리어액슬하우징(3)과 차량의 바디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상기 리어액슬하우징(3)을 지지하는 어퍼레디어스로드(8) 및 로워레디어스로드(9)를 함께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을 연결하는 서포트빔크로스바(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빔크로스바(10)는 양단이 차체의 좌우방향을 향한 상태로 상기 리어액슬하우징(3)을 기준으로 차체의 후방쪽 부위의 리어액슬서포트빔(2)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서포트빔크로스바(10)는 상기 리어액슬하우징(3)을 기준으로 차체의 전방쪽 부위의 리어액슬서포트빔(2)과 후방쪽 부위의 리어액슬서포트빔(2)을 동시에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은 강성이 크게 증대하고 반대로 비틀림 유연성은 크게 감소하여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구조는 아니다.
또한, 상기 서포트빔크로스바(10)는 상기 리어액슬하우징(3)을 기준으로 차체의 전방쪽 부위의 리어액슬서포트빔(2)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구조가 될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 주변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포트빔크로스바(10)는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브라켓(11)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브라켓(11)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브라켓(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과 상기 사이드브라켓(11)의 결합 및 상기 사이드브라켓(11)과 상기 중간브라켓(13)의 결합은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의 비틀림 동작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모두 볼트(21)와 너트(23)를 매개로 결합된 구조다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의 비틀림 동작시 상기 중간브라켓(13)이 비틀림 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중간브라켓(13)의 두께(T1)는 상기 사이드브라켓(11)의 두께(T2)에 대해 50%~70%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브라켓(13)의 폭(D1)은 상기 사이드브라켓(11)의 폭(D2)에 대해 60%~80%의 치수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브라켓(11)과 상기 중간브라켓(13)의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빔크로스바(10)의 유연성 향상을 위해 라운드(R)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은 1300rpm~1500rpm에서의 급가속시 활모양으로 휘어진 리어액슬서포트빔(2)이 서포트빔크로스바(10)에 의해 양단이 오므라드는 동작(도 2에 도시된 M1 방향으로의 움직임)과 펴지는 동작(도 2에 도시된 M2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최대한 억제됨으로써,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2)에 의한 부밍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5에는 서포트빔크로스바가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리어서스펜션과 서포트빔크로스바(10)가 적용된 본 발명의 리어서스펜션에 대해 부밍소음을 측정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1300rpm 부근에서 서포트빔크로스바(10)가 적용된 본 발명의 리어서스펜션이 종래의 구조에 비해 대략 10Hz 정도 부밍소음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 리어바디사이드프레임 2 - 리어액슬서포트빔
3 - 리어액슬하우징 10 - 서포트빔크로스바
11 - 사이드브라켓 13 - 중간브라켓
21 - 볼트 23 - 너트

Claims (6)

  1. 차체의 좌우측에서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된 리어바디사이드프레임과;
    상기 리어바디사이드프레임의 아래쪽에서 상기 리어바디사이드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활모양으로 휘어진 형상에서 리어액슬하우징이 결합되는 중간부위는 마주 대하고 각각의 양단은 차체의 좌우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리어액슬서포트빔과;
    상기 한 쌍의 리어액슬서포트빔을 연결하는 서포트빔크로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빔크로스바는 양단이 차체의 좌우방향을 향한 상태로 상기 리어액슬하우징을 기준으로 차체의 후방쪽 부위의 리어액슬서포트빔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전방쪽 부위의 리어액슬서포트빔과 후방쪽 부위의 리어액슬서포트빔을 동시에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빔크로스바는, 상기 한 쌍의 리어액슬서포트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브라켓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의 비틀림 동작시 상기 중간브라켓이 비틀림 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브라켓의 두께(T1)는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두께(T2)에 대해 50%~70%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브라켓의 폭(D1)은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폭(D2)에 대해 60%~80%의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과 상기 사이드브라켓의 결합 및 상기 사이드브라켓과 상기 중간브라켓의 결합은 상기 리어액슬서포트빔의 비틀림 동작을 흡수할 수 있도록 모두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브라켓과 상기 중간브라켓의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빔크로스바의 유연성 향상을 위해 라운드(R)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KR1020100045347A 2010-05-14 2010-05-14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KR101134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347A KR101134763B1 (ko) 2010-05-14 2010-05-14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347A KR101134763B1 (ko) 2010-05-14 2010-05-14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789A KR20110125789A (ko) 2011-11-22
KR101134763B1 true KR101134763B1 (ko) 2012-04-13

Family

ID=4539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347A KR101134763B1 (ko) 2010-05-14 2010-05-14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7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9995A1 (en) * 2003-02-18 2004-08-19 Pavuk Gregory D. Sandwich design of four bag suspension for bus and coach rear drive axles
KR100667428B1 (ko) * 2005-10-24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9995A1 (en) * 2003-02-18 2004-08-19 Pavuk Gregory D. Sandwich design of four bag suspension for bus and coach rear drive axles
KR100667428B1 (ko) * 2005-10-24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789A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3045B (zh) 组合弹簧补偿悬挂装置
KR100667428B1 (ko)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구조
CN107415616B (zh) 横置复合材料板簧悬架结构
CN105522881B (zh) 用于增强减振器壳体的结构
KR20140011132A (ko) 리어 패키지 트레이 어셈블리
KR101479594B1 (ko)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CN102923202B (zh) 重型载重汽车驾驶室悬挂装置
WO2015014183A1 (zh) 一种矿用自卸车动力总成隔振器
KR101134763B1 (ko) 대형 버스의 리어서스펜션
CN203294193U (zh) 车身悬置装置和卡车
JP201100593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構造
CN104139694B (zh) 一种用于悬置支架的悬置软垫结构及悬置支架总成
KR20070021443A (ko) 캡 리어 마운팅장치
CN204674327U (zh) 组合弹簧补偿悬挂装置
KR20120007608U (ko)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CN104875571A (zh) 一种车辆用减振缓冲机构
CN210760137U (zh) 汽车前支柱总成及车辆
JP5704942B2 (ja) 緩衝装置及び緩衝装置付き車両
EP2247491A1 (en) Cab suspension arrangement and cab suspension
KR102249587B1 (ko)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KR102511090B1 (ko) 안정성이 향상된 전기차 플랫폼
CN202656851U (zh) 车辆的动力总成的悬置结构和悬置系统
JP2018108785A (ja)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構造
CN205534858U (zh) 一种发动机缸体配件垫块
KR20120019958A (ko) 차량의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