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426B1 -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4426B1 KR101134426B1 KR1020090115630A KR20090115630A KR101134426B1 KR 101134426 B1 KR101134426 B1 KR 101134426B1 KR 1020090115630 A KR1020090115630 A KR 1020090115630A KR 20090115630 A KR20090115630 A KR 20090115630A KR 101134426 B1 KR101134426 B1 KR 101134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aulic
- inflator
- fuel cell
- surface pressure
- stack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06 hydr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67 Met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유압 시스템의 유압을 이용하여 팽창 가능한 인플레이터를 엔드플레이트내에 탑재시켜,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을 위한 면압을 일정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일측단부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형의 하부 엔드플레이트와; 인플레이터가 내장된 샌드위치 케이스 구조로서, 연료전지 스택의 타측단부에 밀착되어 인플레이터의 팽창력으로 체결 면압을 가하게 되는 상부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스택과, 상부 및 하부 엔드플레이트를 감으면서 소정의 체결압으로 결합시키는 체결밴드와; 상기 상부 엔드플레이트가 가하는 면압을 측정하도록 스택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면압센서와; 상기 상부 엔드플레이트에 내장된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인플레이터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과; 상기 면압센서와, 차속 및 브레이크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유압공급수단으로부터의 유압을 인플레이터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연료전지, 스택, 면압, 조절, 인플레이터, 팽창, 엔드플레이트, 브레이크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유압 시스템의 유압을 이용하여 팽창 가능한 인플레이터를 엔드플레이트내에 탑재시켜,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을 위한 면압을 일정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스택은 전해질막 및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MEA)와, 가스확산층(GDL)과, 개스킷(Gasket)과, 유로가 형성된 분리판과, 이들을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엔드 플레이트가 차례로 적층된 다수의 유니트 셀들이 소정의 면압을 유지하며 결합된 것으로서,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100~300개 정도의 유니트 셀 등이 배열된다.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 내의 면압은 접촉저항 상승에 의한 오믹 손실(Ohmic Loss), 가스확산층내의 물질전달 저항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므로, 스택의 체결력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은 좋은 스택 성능을 얻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라 하겠다.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을 체결하는 방법은 볼트 및 밴드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방식의 스택 체결 방법은 스택 길이 이상의 긴 볼트(100)를 사용하고, 양단에 너트(102)로 체결하는 방식이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방식의 스택 체결 방법은 스택 조립시 엔드플레이트를 프레스로 누른 상태에서 밴드(104)를 걸고 볼트로 고정하는 방식이다(한국특허공개번호 10-2005-43005 참조).
그러나, 상기 볼트를 이용한 스택 체결 방법은 스택과 긴 볼트 사이의 공간, 엔드플레이트 외부로 나오는 너트부 등 데드 볼륨(Dead Volume)이 많이 생겨 차량적용에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밴드를 이용한 스택 체결 방법은 스택의 개별 구성요소의 탄성 특성이나 치수에 편차가 조금만 발생해도 조립된 스택의 길이가 크게 늘어나기 때문에 다양한 치수의 밴드를 준비하여 맞는 것을 선택 사용해야 하므로, 편차가 심한 스택의 길이에 제대로 대응해지 하는 문제점이 있고, 과체결시 가스확산층의 변형에 의한 성능저하가 발생하는 등 스택의 체결력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다른 스택 체결 방법으로서, 엔드플레이트와 이에 대응하는 분리판 사이에 면압 유지수단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스프링(106)을 사용하는 방법(한국특허공개번호 10-2005-39354)을 채택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다수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스프링모듈(108)을 사용하는 방법(미국특허 2005/277012)이 있지만, 별도의 압력판이 추가되어 무게 및 부피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압력판이 집전판과 일체로 되어 집전판을 통한 전기 인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스택에 대한 균일 면압을 제공하고자, 판 스프링, 접시형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 고강성 금속 탄성체를 사용하게 되면, 이 금속 탄성체의 국부 고하중을 견딜 수 있는 고강도 멤버나 보강 구조를 갖는 엔드 플레이트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그에 따라 스택의 중량 및 부피가 증가하여 엔진룸내에 스택을 레이아웃하는데 불리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스프링 모듈 등과 같은 금속 탄성체를 체결압 3~4ton으로 누른 상태에서 해체 및 조립해야 하므로, 프레스 장비 등 갖추어야 하는 등 스택 조립 및 정비성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샌드위치 형태의 엔드플레이트내에 팽창 가능한 인플레이터를 내장시킴과 함께 스택을 체결밴드로 결합시켜, 브레이크 유압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인플레이터가 소정의 압력으로 팽창되도록 하되, 차량의 시동 온/오프에 따른 브레이크 작동 유압력을 제어하여 인플레이터의 팽창 압력을 받는 엔드플레이트가 스택을 일정한 면압으로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 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연료전지 스택의 일측단부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형의 하부 엔드플레이트와; 인플레이터가 내장된 샌드위치 케이스 구조로서, 연료전지 스택의 타측단부에 밀착되어 인플레이터의 팽창력으로 체결 면압을 가하게 되는 상부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스택과, 상부 및 하부 엔드플레이트를 감으면서 소정의 체결압으로 결합시키는 체결밴드와; 상기 상부 엔드플레이트가 가하는 면압을 측정하도록 스택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면압센서와; 상기 상부 엔드플레이트에 내장된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인플레이터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과; 상기 면압센서와, 차속 및 브레이크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유압공급수단으로부터의 유압을 인플레이터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압공급수단은: 차량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에 의하여 유압을 생성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마스터 실린더에서 디스크를 잡아주는 피스톤간에 연결되는 유압라인과; 상기 유압라인에서 분기되어 인플레이터에 연결되는 유압분기라인과; 상기 유압분기라인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온/오프 컨트롤 밸브;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유압분기라인과 마스터 실린더간에는 유압복귀라인이 연결되고, 이 유압복귀라인에는 미리 결정된 압력 이상의 유압이 인플레이터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 해제 수단인 릴리프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상부 엔드플레이트는: 상부 개방된 구조의 하부케이스와; 저부가 개방된 구조로서, 상기 하부케이스와 체결되어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이루고, 인플레이터의 팽창에 의하여 외측방향으로 팽창 이동하는 상부케이스;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면에는 변위유지용 클립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밴드에는 클립이 끼워지는 다수의 래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차량 시동 온과 함께, 스택의 면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스택의 면압이 미리 정한 값(Ps) 이하이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단계와; 경고 신호를 인지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 작동시키는 제2단계와; 브레이크 작동에 따른 브레이크 센서 신호를 제어부에서 수신하여, 유압분기라인에 설치된 온/오프 컨트롤밸브를 열어주는 동시에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원에서 인플레이터로 유압이 인가되는 제3단계와; 상기 인플레이터의 팽창력이 스택의 부족한 면압을 채워서, 스택의 면압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제4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단계에서, 차속이 기준속도 이상으로 검출되면, 제어부는 온/오프 컨트롤밸브를 닫힘으로 유지하는 제어를 하여 인플레이터에 유압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시동 오프후,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아서 발생되는 기준값 이상의 유압은 유압분기라인와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간의 유압복귀라인상의 릴리프 밸브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샌드위치 형태의 엔드플레이트내에 팽창 가능한 인플레이터를 내장시킴과 더불어 엔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택을 체결밴드로 결합시킨 다음, 차량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인플레이터가 팽창하는 동시에 인플레이터의 팽창 압력을 받는 엔드플레이트 및 체결밴드가 스택을 일정한 면압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특히, 인플레이터를 팽창시키는 유압제공수단을 차량의 브레이크 유압 시스템 등과 같은 차량 내부의 유효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차량내의 에너지 이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의 상부 엔드플레이트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및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부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스택 체결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
연료전지 스택은 막전극 접합체와, 가스확산층과, 개스킷과, 유로가 형성된 분리판을 적층한 후, 이들을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엔드 플레이트를 양단부에 체결시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양단에 체결되는 엔드플레이트를 각각 상부 및 하부 엔드플레이트로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샌드위치 구조를 가지며 두개로 분할된 엔드플레이트가 두께 방향 변위를 발생시키면서 스택을 체결하고, 변위가 종료된 위치에서 체결밴드가 스택을 일정한 면압으로 체결시킬 수 있는 점, 또한 엔드플레이트내에 탑재되는 인플레이터를 차량내 정수압(hydraulic pressure) 에너지를 이용하여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한 점 등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엔드플레이트(12)를 샌드위치 구조 즉, 상부 및 하부케이스(14,16)가 서로 밀폐된 공간을 이루면서 결합되는 구조로 채택하고, 상기 하부 엔드플레이트(17)는 일반적인 고정형 구조로 채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엔드플레이트(12)는 상부 및 하부케이스(14,16)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4)는 저부가 개방된 구조이면서 그 저면에 안내홈(18)을 갖는 한 쌍의 암돌기(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제작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6)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이면서 그 바닥면에 암돌기(20)의 안내홈(18) 에 각각 삽입되는 숫돌기(2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제작된다.
즉, 상기 상부 및 하부케이스(14,16)은 서로 접철되는 방식으로 삽입 체결되는데, 상부케이스(14)의 사방 측단이 하부케이스(16)의 측단내에 접철되는 방식에 의거, 상부케이스(14)와 하부케이스(16)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그 결합시 상부케이스(14)의 암돌기(20)에 형성된 안내홈(18)에 하부케이스(16)의 숫돌기(22)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케이스(14,16)간의 결합 방향이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6)의 바닥면, 즉 상부케이스(14) 및 하부케이스(16)간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내부 밀폐공간내에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팽창되는 인플레이터(24)를 내장시키게 되는데, 인플레이터(24)의 소정 위치에는 숫돌기(22)와 암돌기(20)가 존재하며 서로 결합되는 공간이 되는 간섭방지홀(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24)로부터 연장된 정수압 유입관(28)이 상부케이스(14)를 관통하여 유압 또는 공압제공수단(30)과 연결되는 바, 첨부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또는 공압제공수단(30)은 브레이크 페달(32)의 조작에 의하여 유압을 생성하는 마스터 실린더(34)와, 마스터 실린더(34)의 유압력을 받아 디스크를 잡아주는 피스톤(36)을 포함하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과 같이 차량내의 에너지 발생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실린더(34)와 디스크를 잡아주는 피스톤(36)간을 연결하는 유압라인을 인플레이터(24)의 정수압 유입관(28)쪽으로 분기시켜 연결하고, 그 유압분기라인에 제어부(52: ECU)에 의하여 제어되는 온/오프 컨트롤 밸브(38)를 설치하여, 마스터 실린더(34)의 유압 생성시 인플레이터(24)로 유압이 제공되어 인플레이터(24)의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택(10) 및 그 양단부에 밀착된 상부 및 하부 엔드플레이트(14,16)를 다수개의 체결밴드(40)를 이용하여 감아줌으로써, 스택(10) 그리고 상부 및 하부 엔드플레이트(12,17)간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결밴드(40)의 소정 위치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래치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엔드플레이트(12)의 상부케이스(14)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다수개의 래치홈(42)중 하나에 끼워지는 변위유지용 클립(44)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32)을 밟으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실린더(34)에서 생성되는 유압이 정수압 유입관(28)을 통하여 인플레이터(24)로 공급되어, 인플레이터(24)가 팽창하는 동시에 상부케이스(14)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동시에 상기 체결밴드(40)가 팽팽해지면서 스택(10)을 소정의 체결압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플레이터(24)가 하부케이스(17)의 전체 면적에 걸쳐 지지되는 동시에 상부케이스(12)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른 체결압을 작용시키면서 상부케이스(12)를 밀어내는 팽창을 함으로써, 스택(10)의 양단부 면적에 걸쳐 고른 체결 면압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플레이터(24)의 팽창량이 증가하여 상부 엔드플레이트(12)가 두께 방향으로 팽창되며 변위될 때, 즉 상부케이스(14)가 외측방향으로 더 이동할 때, 상부케이스(14)에 형성된 변위 유지용 클립(44)이 체결밴드(40)에 형성된 다수개의 래치홈(42)중 다른 하나에 옴겨져 삽입 고정됨에 따라, 상부 엔드플레이트(12)의 변위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스택(10)의 체결 상태가 체결밴드(40)에 의하여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택 면압 조절 장치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차량 시동 온과 함께, 스택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면압 센서(50)에서 스택의 면압 즉, 체결압을 검출하여 제어부(52)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면압센서(50)의 일례로서, 소정의 값 이상 또는 이하에서 통전 또는 불통전 등의 전기(신호)의 단속을 통해 온/오프 토클(toggle) 전기신호를 줄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52)에서 스택의 면압이 미리 정한 기준값(Ps) 이하로 판정하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경고 신호는 계기판상의 점등신호 또는 청각적인 알람 신호로 발생되어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경고 신호를 인지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 작동시키게 되면, 이를 브레이크 센서에서 감지하여 제어부(52)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차속센서(48)의 차속 감지 신호도 제어부(52)에 전송된다.
따라서, 제어부(52)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짐을 알려주는 브레이크 센서 의 신호를 받는 동시에 차속센서(48)의 차속이 기준속도(바람직하게는, 정지상태인 0km/h) 이하로 인식하게 되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실린더(34)와 피스톤(36)간을 연결하는 유압라인에 설치된 온/오프 컨트롤 밸브(38)를 열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원인 마스터 실린더(34)로부터의 유압이 인플레이터로 인가되어, 상기와 같이 인플레이터가 팽창하면서 상부 엔드플레이트(12)의 상부케이스(14)를 밀어내게 됨으로써, 스택의 부족한 면압이 채워져 스택의 면압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스택(10)의 면압이 부족하다는 경고신호가 발생되더라도, 차속이 기준속도 이상 즉, 주행중이면서 브레이크 페달(32)을 밟을 수 없는 상황의 속도로 검출되면, 주행 안전을 위하여 제어부는 온/오프 컨트롤밸브(38)를 닫힘으로 유지하여 인플레이터(24)로 들어가는 유압을 차단하게 되고, 바로 감속이 이루어지면서 브레이크 페달(32)을 밟게 되면 온/오프 컨트롤밸브(38)를 열림으로 제어하여 인플레이터(24)로 유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시동 오프후,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은 경우,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인플레이터로 인가되는 기준값 이상의 유압은 유압분기라인와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간의 유압복귀라인상에 설치된 릴리프 밸브(46)를 통해 빠져나가 마스터 실린더쪽으로 복귀되도록 한다.
즉, 시동 오프(KEY OFF)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고, 온/오프 컨트롤밸브(38)가 열림 상태이면 유압이 계속 인플레이터(24)로 인가되어 고압이 형성될 수 있는 바, 스택의 면압이 기준값 이상 가압되거나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브레이크 페달을 떼는 순간 인플레이터쪽으로 인가된 기준치 이상의 유압에 의하여 릴리프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어 기준값 이상의 유압이 빠져나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릴리프 밸브는 소정의 설정 압력 이상 가압되었을 때, 그 내부에 갖추어진 스프링 장치 또는 기계적 구조를 통하여 자동으로 열리는 압력 조절형 릴리프 밸브(pressure relief valve)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기계적 릴리프 밸브 이외에 적절한 온/오프 제어로 동작하는 통상의 전동식 밸브를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의 상부 엔드플레이트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의 상부 엔드플레이트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부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스택 체결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의 상부 엔드플레이트에 팽창을 위한 유압을 제공하는 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7 내지 도 10은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 체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택 12 : 상부 엔드플레이트
14 : 상부케이스 16 : 하부케이스
17 : 하부 엔드플레이트 18 : 안내홈
20 : 암돌기 22 : 숫돌기
24 : 인플레이터 26 : 간섭방지홀
28 : 정수압 유입관 30 : 유압 또는 공압제공수단
32 : 브레이크 페달 34 : 마스터 실린더
36 : 피스톤 38 : 온/오프 컨트롤밸브
40 : 체결밴드 42 : 래치홈
44 : 변위유지용 클립 46 : 릴리프 밸브
48 : 차속센서 50 : 면압센서
52 : 제어부
Claims (8)
- 연료전지 스택의 일측단부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형의 하부 엔드플레이트와;인플레이터가 내장된 샌드위치 케이스 구조로서, 연료전지 스택의 타측단부에 밀착되어 인플레이터의 팽창력으로 체결 면압을 가하게 되는 상부 엔드플레이트와;상기 스택과, 상부 및 하부 엔드플레이트를 감으면서 결합시키는 체결밴드와;상기 상부 엔드플레이트가 가하는 면압을 측정하도록 스택에 장착되는 면압센서와;상기 상부 엔드플레이트에 내장된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인플레이터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과;상기 면압센서와, 차속 및 브레이크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유압공급수단으로부터의 유압을 인플레이터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공급수단은:차량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에 의하여 유압을 생성하는 마스터 실린더와;마스터 실린더에서 디스크를 잡아주는 피스톤간에 연결되는 유압라인과;상기 유압라인에서 분기되어 인플레이터에 연결되는 유압분기라인과;상기 유압분기라인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온/오프 컨트롤 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유압분기라인과 마스터 실린더간에는 유압복귀라인이 연결되고, 이 유압복귀라인에는 미리 결정된 압력 이상의 유압이 인플레이터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 해제 수단인 릴리프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엔드플레이트는:상부 개방된 구조의 하부케이스와;저부가 개방된 구조로서, 상기 하부케이스와 체결되어 내부공간을 이루고, 인플레이터의 팽창에 의하여 외측방향으로 팽창 이동하는 상부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면에는 변위유지용 클립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밴드에는 클립이 끼워지는 다수의 래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 차량 시동 온과 함께, 스택의 면압을 검출하는 단계와;스택의 면압이 미리 정한 값(Ps) 이하이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단계와;경고 신호를 인지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 작동시키는 제2단계와;브레이크 작동에 따른 브레이크 센서 신호를 제어부에서 수신하여, 유압분기라인에 설치된 온/오프 컨트롤밸브를 열어주는 동시에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원에서 인플레이터로 유압이 인가되는 제3단계와;상기 인플레이터의 팽창력이 스택의 부족한 면압을 채워서, 스택의 면압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제어 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제3단계에서, 차속이 기준속도 이상으로 검출되면, 제어부는 온/오프 컨트롤밸브를 닫힘으로 유지하는 제어를 하여 인플레이터에 유압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제어 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시동 오프후,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아서 발생되는 기준값 이상의 유압은 유압분기라인와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간의 유압복귀라인상의 릴리프 밸브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5630A KR101134426B1 (ko) | 2009-11-27 | 2009-11-27 |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5630A KR101134426B1 (ko) | 2009-11-27 | 2009-11-27 |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9032A KR20110059032A (ko) | 2011-06-02 |
KR101134426B1 true KR101134426B1 (ko) | 2012-04-09 |
Family
ID=4439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5630A KR101134426B1 (ko) | 2009-11-27 | 2009-11-27 |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44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8213912A1 (de) * | 2018-08-17 | 2020-02-20 | Audi Ag | Brennstoffzell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und baulichen Anpassung einer Brennstoffzellenvorrichtung |
DE102019212407A1 (de) * | 2019-08-20 | 2021-02-25 | Robert Bosch Gmbh | Brennstoffzellenstapel mit einem Verspannungssensor |
CN114243076B (zh) * | 2021-12-15 | 2023-12-15 |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 一种燃料电池电堆封装方法 |
CN115347223A (zh) * | 2022-08-19 | 2022-11-15 | 东方电气(成都)氢燃料电池科技有限公司 | 补偿机构、层叠式电池封装结构和全工况封装力控制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93987A (en) | 1996-11-19 | 1999-11-30 | Ballard Power Systems Inc. | Electrochemical fuel cell stack with compression bands |
KR100559391B1 (ko) | 2003-09-16 | 2006-03-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연료 전지스택 체결장치 |
JP2006114456A (ja) | 2004-10-18 | 2006-04-27 | Nissan Motor Co Ltd | 燃料電池システム |
JP2006147501A (ja) | 2004-11-25 | 2006-06-08 | Honda Motor Co Ltd | 燃料電池の面圧調整装置及び方法 |
-
2009
- 2009-11-27 KR KR1020090115630A patent/KR1011344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93987A (en) | 1996-11-19 | 1999-11-30 | Ballard Power Systems Inc. | Electrochemical fuel cell stack with compression bands |
KR100559391B1 (ko) | 2003-09-16 | 2006-03-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연료 전지스택 체결장치 |
JP2006114456A (ja) | 2004-10-18 | 2006-04-27 | Nissan Motor Co Ltd | 燃料電池システム |
JP2006147501A (ja) | 2004-11-25 | 2006-06-08 | Honda Motor Co Ltd | 燃料電池の面圧調整装置及び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9032A (ko) | 2011-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9678B1 (ko) |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 |
KR101134426B1 (ko) |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조절 장치 및 방법 | |
JP5391281B2 (ja) | ガスタンク | |
WO2014171260A1 (ja) | 燃料電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CA2604439A1 (en) | Fuel cell,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uel cell | |
KR101806606B1 (ko) | 연료전지 스택 마운팅 구조체 | |
EP1045468B1 (en) | Fuel cell stack with fastening means | |
CN114865022B (zh) | 一种车载储氢系统中瓶阀故障检测方法及车载储氢系统 | |
US9096940B2 (en) | High pressure water electrolysis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same | |
CN113224345B (zh) | 一种可调节燃料电池端板封装结构 | |
JP2006024445A (ja) | 組電池および電源装置 | |
CN220568911U (zh) | 电芯用检测工装及电芯检测系统 | |
JP2007066625A (ja) | 燃料電池スタック | |
KR20130028185A (ko) | 연료전지 스택의 면압 자동 보정 장치 | |
KR100514375B1 (ko) |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 |
US10923755B2 (en) | Mount structure for fuel cell stack | |
JP4136443B2 (ja) | 燃料電池 | |
CN101868878B (zh) | 燃料电池系统 | |
JP2007335184A (ja) | 燃料電池車両 | |
CN211295285U (zh) | 燃料电池及其电堆加压装置、以及燃料电池汽车 | |
KR20030092830A (ko) | 전기 자동차용 연료 전지 스택 적층장치 | |
JP5178061B2 (ja) | 燃料電池 | |
JP5389485B2 (ja) |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 |
JP2009214782A (ja) | 車両用燃料タンクの取付構造 | |
CN114069011A (zh) | 燃料电池堆、燃料电池装置以及燃料电池车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