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108B1 - 검안기 - Google Patents

검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108B1
KR101134108B1 KR1020110033055A KR20110033055A KR101134108B1 KR 101134108 B1 KR101134108 B1 KR 101134108B1 KR 1020110033055 A KR1020110033055 A KR 1020110033055A KR 20110033055 A KR20110033055 A KR 20110033055A KR 101134108 B1 KR101134108 B1 KR 101134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ometry
objective lens
base
delete dele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형
이상범
Original Assignee
뷰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뷰라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뷰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력을 측정하거나 눈의 상태를 측정하는 검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대물렌즈가 설치되며,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을 Y축이라고 할때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검안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검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검안부의 대물렌즈가 상기 베이스의 기준위치로부터 X축방향으로 이동한 대물렌즈이동위치를 표시하는 눈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검안기{OPHTHALMOMETER}
본 발명은 검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력을 측정하거나 눈의 상태를 측정하는 검안기에 관한 것이다.
검안기는 피검자의 눈에 측정용 광을 조사하고 피검자의 각막에 의하여 반사된 광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력을 측정하거나 눈의 상태를 측정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검안기는 렌즈로 피검자의 눈을 촬영하는데 있어서는 검안기의 대물렌즈와 피검자의 눈이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대물렌즈가 구비된 검안부를 좌, 우측으로 수동으로 직접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검안기는 모니터에 피검자의 눈이 나타날 때까지 검안부의 대물렌즈를 이동시켜야 하는데, 검사자는 모니터를 지켜보면서 검안부의 대물렌즈를 이동시키게 되어 그 조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피검자의 눈이 대물렌즈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검안기의 대물렌즈와 피검자의 눈의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검안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검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안기의 대물렌즈와 피검자의 눈의 위치로 편리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검안이 편리한 검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베이스와; 대물렌즈가 설치되며,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을 Y축이라고 할때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검안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검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검안부의 대물렌즈가 상기 베이스의 기준위치로부터 X축방향으로 이동한 대물렌즈이동위치를 표시하는 눈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를 개시한다.
상기 검안부는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와; 상기 눈금부는 상기 검안기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눈금부는 상기 검안부에 설치되어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는 상기 베이스의 기준위치로부터 측정된 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눈금부는 상기 베이스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1표시부와;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표시부에 대응되어 상기 검안부에 형성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표시부 및 상기 제2표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의 기준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대응되어 눈금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표시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다른 하나의 위치가 표시되는 지시자일 수 있다.
상기 제1표시부 또는 상기 제2표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엘이디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표시부 또는 상기 제2표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코팅방법, 부착방법 및 결합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X축 방향으로의 상기 베이스의 중앙선이며,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는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검안부의 대물렌즈가 상기 베이스의 중앙선으로부터 X축방향으로 이동한 이동거리이며, 상기 제1표시부 및 상기 제2표시부에는 상기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점에 상기 기준위치로부터의 거리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X축 방향으로의 상기 베이스의 중앙선이며,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는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검안부의 대물렌즈가 상기 베이스의 기준점으로부터 X축방향으로 이동한 이동거리이며, 상기 제1표시부 및 상기 제2표시부에는 상기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점에 상기 기준위치로부터의 거리의 2배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검안부에 설치된 받침부에는 피검자의 미간중앙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간위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눈금부는 성별표준 및 연령표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미간거리를 가변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눈금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검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코팅방법, 부착방법 및 결합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베이스와; 대물렌즈가 설치되며,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을 Y축이라고 할때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검안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검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검안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X축방향으로 이동한 상대이동을 표시하는 눈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안기는 검안기에 대물렌즈의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부를 구비함으로써 검안기의 대물렌즈와 피검자의 눈의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검안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안기는 검안기에 대물렌즈의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부를 구비함으로써 검안기의 대물렌즈와 피검자의 눈의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검안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안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검안기에 표시되는 눈금부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눈금부의 다른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검안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검안기는 피검자의 눈을 검사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며, 일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력측정용광원, 광학계 및 카메라부 등이 설치되며 광학계의 대물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광학계바디(200)와, 광학계의 대물렌즈(230)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눈을 위치시키기 위한 받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안기바디(200)는 검안을 위하여 시력측정용광원, 광학계 및 카메라부 등이 설치되며, 설계 및 디자인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검안기바디(200)는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210)와, 후술하는 베이스(100) 상에서 광학계의 대물렌즈(230)를 피검자의 눈에 위치되도록 X-Y방향으로 검안기바디(20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잡는 손잡이부(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210)는 전면에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이미지, 검안결과, 메뉴 등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220)는 검안기바디(2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구성으로서 설계 및 디자인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버튼, 휠 등 다양한 부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20)는 검안기바디(200)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모니터(210)에 표시된 메뉴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조이스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안기바디(200)는 검안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 등 다양한 부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안기바디(200)는 베이스(100) 상에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0)는 검안기바디(20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검안기바디(20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검안기(200) 및 베이스(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X-Y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X-Y레일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안기바디(200)에서 대물렌즈(230)가 설치된 쪽으로, 베이스(100)와 고정결합되는 받침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00)는 피검자가 안정적으로 검안할 수 있도록 피검자의 얼굴 등 신체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피검사자의 턱을 용이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굴곡면이 구비된 턱받침구(310)와, 피검사자의 이마를 용이하게 받칠 수 있는 이마받침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턱받침구(310)는 피검사자의 턱을 용이하게 받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턱받침구(310)를 구비함으로써 턱받침구(310)에 피검자가 턱을 올려놓게 한 후 검사자는 모니터(210)을 통하여 피검자의 눈높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피검자의 눈높이가 높을 경우 검안부(200)를 상승시켜 눈높이에 검안부(200)의 대물렌즈가 위치하도록 하고, 피검자의 눈높이가 낮을 경우 검안부(200)를 하강시켜 눈높이에 검안부(200)의 대물렌즈(230)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물렌즈(230)가 상하로 이동되는 대신에 턱받침구(310)를 상하로 이동시켜 피검자의 눈과 대물렌즈(230)의 위치에 맞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마받침구(320)는 피검사자의 이마를 용이하게 받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피검사자의 이마의 외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력측정용광원은 피검자의 각막을 촬영할 수 있도록 피검자의 눈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LED광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대물렌즈(230)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시력측정용광원의 적어도 일부는 LED광원으로서 복수개로 대물렌즈(230)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LED소자들로 구성되는 마이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력측정용광원은 광학계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조사되는 마이어링 이외에 별도의 광원이 추가로 설치되는 등 검안기의 구성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광학계는 시력측정용광원에 의하여 광이 조사된 후 피검자의 각막에서 반사되는 광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카메라부에 의하여 피검자의 눈에 대한 이미지의 촬영, 각막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의 촬영을 위하여 광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대물렌즈(230) 등 복수개의 렌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피검자의 눈에 대한 이미지의 촬영, 각막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의 촬영, 즉 광학계를 통하여 피검자의 각막에서 반사되는 광을 입력받아 촬영하는 구성으로서 CCD카메라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안부(200)는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110, 240)를 구비하고, 눈금부(400)는 검안기(200)에 설치되어 센서(110, 240)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센서(110, 240)는 각각 베이스(100)와 검안부(200)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면에 구비되며 베이스(100)에 구비된 센서(110)는 베이스(100)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구비되며, 검안부(200)에 구비된 센서(230)는 베이스(100)에 형성된 센서(110)와 접촉되며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베이스(100)에 대한 검안부(200)의 상대적인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센서(110, 240)는 베이스(100)에 대한 상대적인 검안부(200)의 이동위치나 혹은 그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며, 거리센서, 복수의 센서 조합에 의한 센서, 초음파나 혹은 광을 이용한 어떠한 센서 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눈금부(400)는 검안부(200)에 설치되어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210)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는 단순히 대물렌즈(230)가 이동된 위치를 표시하는 표식이 될 수도 있지만, 베이스(100)의 기준위치로부터 X축 방향으로 대물렌즈(230)가 이동한 거리를 숫자나 눈금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눈금부(400)는 베이스(100)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1표시부(410)와,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1표시부(410)에 대응되어 검안부(200)에 형성되는 제2표시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표시부(410) 및 제2표시부(420) 중 어느 하나는 베이스(100)의 기준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대응되어 눈금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표시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다른 하나의 위치가 표시되는 지시자(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표시부(410)는 베이스(100)의 중앙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의 대물렌즈(230)가 이동한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개소에 상기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이동한 거리를 숫자로 표현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미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이동한 거리의 2 배임을 감안하여 이동한 거리의 2배로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표시부(410)는 피검자의 미간 중앙과 검안부(200)의 대물렌즈가 동일선상에 배치된 위치를 '0'으로 하여 좌측으로는 -1, -2, -3 등과 같은 음의 정수로 표기하고, 우측으로는 +1, +2, +3 등과 같은 양의 정수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표시부(410)는 상기 피검자의 미간 중앙과 검안부(200)의 대물렌즈가 동일선상에 배치된 위치를 '0'으로 하여 좌측과 우측에 검안부(200)가 이동한 거리의 2배수로 +2, +4, +6 등과 같은 양의 정수로 표기할 수도 있다.
이는 미리 측정한 미간 사이의 거리를 미간 중앙에서 눈동자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 환산하여 검안부(200)가 이동해야 할 거리를 계산할 필요가 없이 표기된 숫자 자체를 측정한 미간 사이의 거리로 인식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표시부(410) 또는 제2표시부(420)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엘이디에 의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표시부(410)를 일렬로 나열된 엘이디로 구성하여 '0'의 위치에서부터 검안부(200)가 이동 거리만큼 엘이디(410)가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제2표시부(420)를 엘이디로 구비하여 검안부(200)의 이동에 따라 엘이디가 발광함으로써 제2표시부(420)가 가리키는 숫자나 눈금을 인식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표시부(410) 또는 제2표시부(420)는 베이스(100)와 검안부(200)의 표면에 코팅 방법에 의하여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고, 혹은 별도로 인쇄된 코팅물을 베이스(100)와 검안부(200)에 부착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구조물에 눈금 및 숫자 또는 지시자를 표기하여 상기 구조물을 베이스(100)와 검안부(200)에 결합되도록 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검안부(200)에 설치된 받침부(310)에는 피검자의 미간중앙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간위치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데, 미간위치부는 베이스(100)의 중앙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과 검안부(200)에 구비된 표시자(420)가 일치된 상태에서 대물렌즈(230) 전방에 미간이 위치할 수 있도록 턱받침구(310)와 이마받침구(320) 별도의 표식으로 구비할 수 있다.
혹은, 대물렌즈(230)가 구비된 면에 피검자의 안면이 비춰질 수 있도록 별도의 코팅재로 구비할 수 있으며, 대물렌즈(230)의 전방에 피검자의 미간 중앙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눈금부(400)는 성별표준 및 연령표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미간거리를 표시하는 별도의 표식(430)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표식(430)은 국가에 따라 신체 사이즈의 차이가 있으므로 검안기가 사용되는 국가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검안기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자가 받침부(300)에 턱과 이마를 받치기 전에 피검자의 미간 사이의 거리를 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검사자는 피검자의 미간 거리를 인지한 후에 피검자가 받침부(300)에 턱과 이마를 받치게 된다.
그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자의 성별에 따른 성인, 청소년, 아동의 구분에 의하여 눈금부(400)에 별도로 구비된 성인, 청소년, 아동의 미간 평균 수치를 가리키는 표식까지 검안부(200)를 신속하게 이동시킨다.
그리고, 검안부(200)에 구비된 손잡이(220)를 잡고 미리 측정한 피검자의 미간 거리와 미간 평균 수치사이의 차이만큼 눈금부(400)에 표시된 눈금과 숫자를 보면서 검안부(200)를 미세 이동시켜 피검자의 눈의 전면에 대물렌즈가 배치되도록 하여 피검자의 시력을 측정함으로써 검안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베이스 200 : 검안부
300 : 받침부 400 : 눈금부

Claims (14)

  1. 베이스와; 대물렌즈가 설치되며,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을 Y축이라고 하고 상기 Y축과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을 X축이라고 할 때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검안부와; 상기 베이스 및 상기 검안부에 형성되어 상기 검안부의 대물렌즈가 상기 베이스의 기준위치로부터 X축방향으로 이동한 대물렌즈이동위치를 표시하는 눈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눈금부는 상기 베이스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1표시부와;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표시부에 대응되어 상기 검안부에 형성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표시부는 상기 베이스의 기준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대응되어 눈금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표시되며, 상기 제2표시부는 상기 제1표시부에 대응되어 상기 검안부에 형성되는 지시자이며,
    상기 제1표시부 및 상기 제2표시부는 부착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X축 방향으로의 상기 베이스의 중앙선이며,
    상기 대물렌즈이동위치는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검안부의 대물렌즈가 상기 베이스의 중앙선으로부터 X축방향으로 이동한 이동거리이며,
    상기 제1표시부 및 상기 제2표시부에는 상기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점에 상기 기준위치로부터의 거리가 표시되며,
    상기 검안부에 설치된 받침부에는 피검자의 미간중앙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간위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33055A 2011-04-11 2011-04-11 검안기 KR101134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055A KR101134108B1 (ko) 2011-04-11 2011-04-11 검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055A KR101134108B1 (ko) 2011-04-11 2011-04-11 검안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198A Division KR20120115933A (ko) 2012-01-02 2012-01-02 검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108B1 true KR101134108B1 (ko) 2012-04-09

Family

ID=4614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055A KR101134108B1 (ko) 2011-04-11 2011-04-11 검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1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442B1 (ko) 2016-11-04 2017-02-09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Vr 기기를 이용한 시력측정시스템
KR102119397B1 (ko) 2019-10-11 2020-06-05 주식회사 이수메디 틸팅형 제어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검안 장치
KR102119395B1 (ko) 2019-10-11 2020-06-05 주식회사 이수메디 피검자 맞춤형 조작부가 구비되는 검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694A (ja) * 1988-10-05 1996-09-13 Topcon Corp レンズメータ
JP2001000392A (ja) 1999-06-23 2001-01-09 Kikuchi Megane:Kk 近方視機能検査視標板
KR20050063071A (ko) * 2003-12-19 2005-06-28 주식회사 휴비츠 광계측장비의 자동정렬시스템
KR20070063253A (ko) * 2005-12-14 2007-06-19 주식회사 휴비츠 각막 곡률반경 측정기능을 구비한 세극등 현미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694A (ja) * 1988-10-05 1996-09-13 Topcon Corp レンズメータ
JP2001000392A (ja) 1999-06-23 2001-01-09 Kikuchi Megane:Kk 近方視機能検査視標板
KR20050063071A (ko) * 2003-12-19 2005-06-28 주식회사 휴비츠 광계측장비의 자동정렬시스템
KR20070063253A (ko) * 2005-12-14 2007-06-19 주식회사 휴비츠 각막 곡률반경 측정기능을 구비한 세극등 현미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442B1 (ko) 2016-11-04 2017-02-09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Vr 기기를 이용한 시력측정시스템
KR102119397B1 (ko) 2019-10-11 2020-06-05 주식회사 이수메디 틸팅형 제어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검안 장치
KR102119395B1 (ko) 2019-10-11 2020-06-05 주식회사 이수메디 피검자 맞춤형 조작부가 구비되는 검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46253T3 (es) Aparato oftalmológico
CN101507601A (zh) 眼科装置
JP6007466B2 (ja) 角膜形状測定装置
FI125445B (fi) Katseenohjausjärjestely
JPWO2014046206A1 (ja) 視線検出装置較正方法、視線検出装置、眼鏡レンズ設計方法、眼鏡レンズ選択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製造方法
JP2021164840A (ja) 撮像装置
JP7073678B2 (ja) 眼科装置
JP4822730B2 (ja) 眼科装置
US10080496B2 (en) Ophthalmological device
JP2007275600A (ja) 目の屈折特性を測定するための屈折計
KR101134108B1 (ko) 검안기
ES2209163T3 (es) Metodo y aparato para el perfilado superficial de materiales y calibracion de laseres de ablacion.
JP6775337B2 (ja) 眼科装置
CN106725280A (zh) 一种斜视度测量装置
JP5643662B2 (ja) 眼科装置
JP5766468B2 (ja) 眼科装置
CN114305318A (zh) 数控眼球突出测量仪以及测量方法
KR20120115933A (ko) 검안기
JP2004229769A (ja) 検眼装置
JP7249097B2 (ja) 眼科装置及び検眼システム
JP6926740B2 (ja) 眼科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コントローラホルダ
JP3254637B2 (ja) 眼科装置
JP3594447B2 (ja) 眼科装置
KR101347309B1 (ko) 검안기
JP3235252U (ja) 眼科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