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009B1 - Up-down apparatus for tray - Google Patents

Up-down apparatus for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009B1
KR101134009B1 KR1020120010563A KR20120010563A KR101134009B1 KR 101134009 B1 KR101134009 B1 KR 101134009B1 KR 1020120010563 A KR1020120010563 A KR 1020120010563A KR 20120010563 A KR20120010563 A KR 20120010563A KR 101134009 B1 KR101134009 B1 KR 10113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ase
unit
carrier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홍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이날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이날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이날플렉스
Priority to KR102012001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0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0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PURPOSE: An up-down apparatus for a material mounting tray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to improve work convenience since an empty tray can be easily carried in and the lamination-completed tray can be easily carried out. CONSTITUTION: A base(10) comprises two vertical opening spaces(12). Two horizontal supports(20) are arranged in two opening spaces of the base. An elevating unit is used for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two horizontal supports. A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unit. A guide unit(50) comprises two panels(51) standing on both front sides of the base and two guide rollers(52) for guiding a carrier. A material reception unit(60) is arranged on the top of the base.

Description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UP-DOWN APPARATUS FOR TRAY}UP-DOWN APPARATUS FOR TRAY}

본 발명은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들을 안착하는 트레이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업다운 시키거나 캐리어에 싣는 등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업다운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down apparatus for improving work convenience, such as up-down a tray seating materials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s to a desired height or mounted on a carrier.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 안착장치에 관한 기술로는,As a technology related to a material seat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364074호(2002.11.26.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가 제시되어 있는바,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364074 (registered on November 26, 20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s proposed,

상기 선행기술은 소정의 높이를 갖고서 적소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소재 적층 및 대기부에 놓인 동박 단위체를 상기 적층부의 하부 커버로 이동시키는 픽업 유닛과, 상기 픽업 유닛을 직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구동수단과, 상기 적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유닛에 의하여 이동되는 동박 단위체를 상기 하부 커버로 안정하게 안착시키는 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기술이다.The prior art has a plurality of pillar members which are set up in place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ickup unit which is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member and moves the copper foil unit placed on the material stack and the atmosphere to the lower cover of the stack. And a lowering driv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pick-up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ating means for stably seating the copper foil unit moved by the pick-up unit by the pick-up unit to the lower cover. Technology.

상기 선행기술은 하부커버(본 발명의 트레이에 해당)에 안착되는 소재들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긴 하나,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서는 고가의 장비 및 이 장비 설치를 위한 넓은 공간면적이 마련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Although the prior art is a technology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materials seated on the lower cover (corresponding to th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lement this, expensive equipment and a large space area for installing the equipment must be provided. There is.

따라서 좁은 공간면적을 요구하면서 저가의 장비로 구현하고, 작업자가 직접 소재를 선택해 트레이에 수납 안착시키되, 적층되는 소재의 높이가 높아지면 작업자가 편한 위치까지 하강시키도록 하고, 적층 완료된 트레이를 캐리어에 쉽게 안착시켜 핫 프레스 공정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요구되는 바이다.
Therefore, low-cost equipment is required while requiring a small space area, and the worker selects and seats the material directly on the tray, but when the height of the material to be stacked increases, the worker lowers it to a comfortable position, and the stacked tray is placed on the carrier. What is needed is an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seated and moved to the hot press process side.

본 발명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트레이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빈 트레이의 반입 및 적층 완료된 트레이의 반출이 용이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down device for a material seating tray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which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tray by the operator's operation and improves the convenience of carrying out empty trays and stacking trays. The purpose is.

나아가 본 발명은 반입된 트레이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구성을 마련하여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down apparatus for preparing a material seating tray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which provides a configuration for stably fixing the loaded tray,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work, and impart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worker. Its purpose is to.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p-down apparatus for a material seating tray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들이 안착되는 트레이와 이를 싣고 이동하기 위한 캐리어에 있어,In the tray on which the materials for the manufacture of the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is mounted and the carrier for carrying and moving the same,

전방 좌우에 상호 이격되게 상하 길이를 갖는 수직형 두 개방공간부를 갖는 베이스;A base having two vertical open spaces having vertical length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left and right;

상기 베이스의 두 개방공간부 각각에 배열되고, 일단부(一端部)가 전방을 향해 노출되어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게 되는 두 수평서포트;Two horizontal supports arranged in each of the two open spaces of the base and having one end exposed toward the front to support the tray;

상기 베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두 수평서포트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두 수평서포트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위한 승강유닛;A lifting unit built in the bas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two horizontal supports to move the two horizontal supports up and down;

상기 승강유닛의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유닛;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상기 베이스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세워지는 두 패널, 그리고 상기 두 패널 각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두 패널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캐리어의 진출입 동작을 안내하는 두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가이드유닛; 및A guide unit including two guide panels each mount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base, and two guide rollers installed at each inner wall of each of the two panels to guide the entry / exit operation of a carrier entering between the two panels; And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열되는 소재 수납유닛;A material storage unit arranged on the bas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made, including.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는,An up-down device for a material seating tray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두 수평서포트의 상하 승강 동작을 통해 트레이의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빈 트레이의 반입 및 적층 완료된 트레이의 반출이 용이하는 등,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The vertical height of the tray can be adjusted by the vertical lifting operation of the two horizontal supports, and it is easy to carry out empty trays and to carry out stacked trays, thereby improving work convenience.

또 전술한 트레이의 상하 높이 조절을 통해 작업자의 팔이나 허리 등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height adjustment of the tray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fatigue of the operator's arm or waist.

또 반입된 트레이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구성을 마련하여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 방지 및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configuration for the stable fixing of the imported tray has the effect that can provide a safety and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for the work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두 수평서포트 및 트레이의 하강 동작을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4는 도 1에서 진입한 캐리어 및 이에 트레이가 안착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 장치에서 두 수평서포트 및 승강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정면 및 입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 장치에서 가이드유닛 및 이의 가압돌기와 받침돌기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정면 및 입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A"에 대한 일 예 및 다른 예의 피가압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 장치에서 컨트롤유닛 및 이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1 is a three-dimens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 up-dow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3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two horizontal support and the tray in FIG.
4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at the carrier entered in Figure 1 and the tray is seated therein,
5 is a partial front and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two horizontal support and the lifting unit in the up-dow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front and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for showing the guide unit and its pressing projection and the supporting projection in the up-dow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pressurized means for an example and another example of "A" of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and its control flow in the up-dow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그리고 도 1을 기준으로 캐리어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베이스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 수납유닛 측을 상부 또는 상방, 상기 베이스 바닥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1, the direction of the carrier side may be specified as the front side or the front side, the base side the rear side or the rear side, the storage unit side the upper side or the upper side, and the base bottom side the lower side or the lower side. .

우선,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내층 코어들과 절연체 역할을 하는 프리프레그(prepreg)들이 소정의 층수에 맞도록 혼합 배열된 상태에서 동박(copper foil)과 스테인리스 재질의 플레이트(sus plate)를 추가로 배열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핫 프레스(hot press) 성형을 하여 제조하게 된다.First, in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 copper foil and a sus plate made of copper foil in a state in which prepregs serving as insulator cores and insulators are mixed and arranged to meet a predetermined number of layers. It is further arranged to produce a hot press (hot press) molding at a predetermined pressure.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재들이 안착되는 트레이(1)와 이를 싣고 이동하기 위한 캐리어(2)가 마련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a tray 1 on which the materials are seated and a carrier 2 for carrying and moving the materials are provided.

특히 상기 트레이(1)는 사면(四面)에 측벽에 세워지고 바닥부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납용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In particular, the tray (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torage container erected on the side wall on a four-side (four sides), the bottom portion and the top is open.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는,As shown in Figure 1 to 8, the up-down device for the material seating tray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베이스(10), 두 수평서포트(20), 승강유닛(30), 컨트롤유닛(40), 가이드유닛(50) 및 수납유닛(60)으로 이루어진다.The base 10,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the lifting unit 30, the control unit 40, the guide unit 50 and the storage unit 60 is composed of.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베이스(10)는Base 10 i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to 5,

내부에 설치공간부(11), 그리고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11, and

전방 좌우에 상호 이격되게 상하 길이를 갖고 상기 설치공간부(11)와 연결되는 수직형 두 개방공간부(12)Two vertical open spaces 12 having vertical length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left and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space 1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made, including.

두 수평서포트(20)는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to 5,

상기 베이스(10)의 두 개방공간부(12) 각각에 배열되고, 일단부(一端部)가 전방을 향해 노출되어 상기 트레이(1)를 지지하도록 수평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다.It is arranged in each of the two open spaces 12 of the base 10, one end is exposed in the front to form a horizontal bar (bar) to support the tray (1).

이때 타단부(他端部)가 상기 두 개방공간부(12)를 지나 상기 설치공간부(11) 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승강유닛(30)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유닛(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At this time, the other end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installation space 11 after passing through the two open spaces 12 and connected to the lifting unit 30 to power from the lifting unit 30. You will be delivered.

승강유닛(30)은Lifting unit 30 i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5,

상기 베이스(10)의 설치공간부(11)에 내장되어 상기 두 수평서포트(20)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위한 것으로,Is built in the installation space portion 11 of the base 10 for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two horizontal support (20),

상기 두 수평서포트(20) 타단부를 상호 연결하고 중심에 나선부(311)와 이의 좌우에 각각 삽입홀(312)을 갖는 중계부재(31),A relay member 31 inter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and having a spiral portion 311 at the center and an insertion hole 312 at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상기 나선부(311)와의 상호 체결을 위한 대응나선부(321)를 갖는 승강모터(32), 그리고Lifting motor 32 having a corresponding spiral 321 for fastening with the spiral portion 311, and

상기 베이스(10)의 설치공간부(11) 상하 내벽에 양단부(兩端部)가 설치되고 상기 중계부재(31)의 각 삽입홀(312)을 지나는 두 가이드봉(33)Both guide rods 33 are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inner walls of the installation space 11 of the base 10, and pass through each insertion hole 312 of the relay member 3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made, including.

따라서 상기 승강모터(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대응나선부(321)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체결된 상기 나선부(311)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중계부재(31)는 상기 두 가이드봉(33)을 따라 상하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Accordingly, as the corresponding spiral part 321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elevating motor 32, and the spiral part 311 which is coupled thereto is rotated, the relay member 31 is the two guide rods 33. ) Will be a straight reciprocating movement up and down.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승강유닛(30)은 상기 구성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두 수평서포트(20)를 상하 직선왕복운동케 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The lifting unit 3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for vertically reciprocating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컨트롤유닛(40)은The control unit 4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8,

상기 승강유닛(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것으로,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30,

후술할 가이드유닛(50)의 두 패널(51) 중 하나의 패널(51) 전면부에 구비된다.
One panel 51 of the two panels 51 of the guide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이때 상기 컨트롤유닛(40)은 상기 두 수평서포트(20)가 일정 간격으로 상하 승강 동작되었다가 정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유닛(30)의 승강모터(32)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40 preferably controls the lifting motor 32 of the lifting unit 30 so that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can be moved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또 상기 컨트롤유닛(40)은 상기 두 수평서포트(20)의 일정 간격 상승 동작을 위한 버튼과, 상기 두 수평서포트(20)의 일정 간격 하강 동작을 위한 버튼 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button for the predetermined interval rising operation of the two horizontal support 20, a button for the constant interval lowering operation of the two horizontal support (20).

가이드유닛(50)은Guide unit 50 i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to 5,

상기 베이스(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세워지는 두 패널(51), 그리고Two panels 51 each standing on both front sides of the base 10, and

상기 두 패널(51) 각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두 패널(51)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캐리어(2)의 진출입 동작을 안내하는 두 가이드롤러(52)Two guide rollers 52 installed on each inner wall of the two panels 51 to guide the entry and exit of the carrier 2 to enter between the two panels 5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made, including.

이때 상기 두 가이드롤러(52) 사이의 폭은 캐리어(2)의 폭과 상응하거나 좀 더 큰 것이 바람직하고,At this time, the width between the two guide rollers 52 is preferably corresponding to o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arrier (2),

상기 두 가이드롤러(52)는 이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축(521)과, 상기 회전축(5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각 패널(51)의 내벽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지지체(522)를 더 포함한다.
The two guide rollers 52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521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support 522 to which the rotating shaft 521 is rotatably coupled and fixed to the inner wall of each panel 51 by bolts or the like. It includes more.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50)은And as shown in Figure 6, the guide unit 50 is

상기 두 가이드롤러(52)를 강제 회전 동작케 하고 상기 컨트롤유닛(4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수단(53)과,A driving means 53 forcibly rotating the two guide rollers 52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

상기 두 가이드롤러(52) 외주면 일부 영역에 만곡(彎曲)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두 가이드롤러(52)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가압돌기(54)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54 are formed to protrude curvedly i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wo guide rollers 52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wo guide rollers 52.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It further comprises a,

이때 상기 구동수단(53)은At this time, the driving means 53 is

상기 두 가이드롤러(52) 양단부 회전축(521) 중 하나의 회전축(521)에 결합되는 구동축(531)과, 상기 구동축(531)이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유닛(4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532)로 이루어진다.A drive shaft 531 coupled to one of the rotary shafts 521 of the two ends of the two guide rollers 52, 521, and a drive motor 532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531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 )

결국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두 가이드롤러(52)가 회전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two guide rollers 52 rotate by the driving motor 532.

상기 구동모터(532)에 의한 상기 두 가이드롤러(52)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two guide rollers 52 by the drive motor 532,

상기 구동수단(53)에 의해 상기 두 가이드롤러(52)가 회전되어 상기 각 가압돌기(54)가 외측을 향해 배치된 상태, 즉 최초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가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1)의 상하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The two guide rollers 52 are rotated by the driving means 53 so that each of the pressing protrusions 54 is disposed outward, that is, located at the first inner side and rotated 180 degrees. Up and down movement of the) is made,

상기 트레이(1) 정지 시 상기 구동수단(53)에 의해 상기 두 가이드롤러(52)가 회전되어 상기 각 가압돌기(54) 중 정지된 트레이(1) 측에 위치한 두 가압돌기(54)가 상기 트레이(1) 양측부를 각각 가압 고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두 가압돌기(54)가 외측을 향해 위치하고 있다가 상기 두 가이드롤러(52)가 180도 회전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1) 양측부를 각각 가압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tray 1 is stopped, the two guide rollers 52 are rotated by the driving means 53 so that the two pressure protrusions 54 located on the stopped tray 1 side of each of the pressure protrusions 54 are formed. Both sides of the tray 1 are fixed by pressure. In other words, the two pressing protrusions 54 are located toward the outside, and the two guide rollers 52 rotate 180 degrees, thereby respectively press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tray 1.

결국 상기 각 가압돌기(54)는 상기 트레이(1)가 상기 승강유닛(30)에 의해 일정 간격 하강 또는 상승 동작 후 정지 시 그 위치의 트레이(1) 양측부에 배열되도록 상기 두 가이드롤러(52)에 형성되는 것이다.As a result, each of the pressing protrusions 54 is the two guide rollers 52 so that the tray 1 is arranged at both sides of the tray 1 at its position when the tray 1 stops after a predetermined interval descending or rising by the lifting unit 30. ) Is formed.

따라서 상기 각 가압돌기(54)는 상승 또는 하강 후 정지된 상기 트레이(1)의 양측부 각각을 가압 고정하게 됨으로써, 트레이(1)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sing protrusions 54 contribute to the tray 1 to be stably fixed by pressing and fixing each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tray 1 stopped after the rising or falling.

그리고 상기 각 가압돌기(54)와 상기 트레이(1)의 접면에는 피가압수단(55, 55')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In addition, the pressing means (54) and the pressing surface (55, 55 ')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tray (1),

일 예로, 도 7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피가압수단(55)은 상기 각 가압돌기(54)의 외측벽에 요입 형성되는 제1패드삽입홈(551)과, 상기 제1패드삽입홈(551)에 접착제 등에 의해 삽입 장착되고 엘라스토머 재질의 제1피가압패드(552)로 이루어지거나,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7, the pressurized means 55 includes a first pad insertion groove 551 formed in the outer wall of each of the pressing protrusions 54 and the first pad insertion groove ( 551 is inserted into and mount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and is made of an elastomeric first pressure pad 552, or

다른 예로, 도 7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피가압수단(55')은 상기 트레이(1)의 측부에서 상기 가압돌기(54)가 가압 고정하게 되는 위치에 요입 형성되는 제2패드삽입홈(553)과, 상기 제2패드삽입홈(553)에 접착제 등에 의해 삽입 장착되고 엘라스토머 재질의 제2피가압패드(554)로 이루어진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7, the pressurized means 55 ′ is provided with a second pad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pressing protrusion 54 is pressed and fixed at the side of the tray 1. 553 and the second pad insertion groove 553 are inserted and mount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and include a second pressurized pad 554 made of an elastomer.

따라서 상기 가압돌기(54)가 상기 트레이(1) 측부를 가압하게 될 때에 상기 제1피가압패드(552) 또는 상기 제2피가압패드(554)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트레이(1)의 안정적 고정과 슬립(slip) 방지 등에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54 presses the side of the tray 1, the first pressurized pad 552 or the second pressurized pad 554 is stably fixed as the tray 1 is pressed. And slip prevention.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50)은6 and 7, the guide unit 50 is

상기 두 가이드롤러(52)에서 상기 각 가압돌기(54) 하부 측에 이격 배치되게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받침돌기(56)를 더 포함함으로써,By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56 protruding from the two guide rollers 52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pressing protrusions 54,

상기 두 가압돌기(54)가 상기 트레이(1) 가압 고정 시 상기 다수의 받침돌기(56) 중 가압 고정하고 있는 두 가압돌기(54) 하부 측의 두 받침돌기(56)가 상기 트레이(1) 하부를 받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two pressing protrusions 54 pressurize and fix the tray 1, the two supporting protrusions 56 at the lower side of the two pressing protrusions 54 which are press-fixed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rotrusions 56 are the tray 1. Will support the bottom.

따라서 트레이(1)는 상승 또는 하강 후 정지 시 상기 두 가압돌기(54)와 상기 두 받침돌기(56)에 의해서 가압되고 받쳐지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tray 1 is pressed and supported by the two pressing protrusions 54 and the two supporting protrusions 56 when the tray 1 is stopped after the rising or falling.

수납유닛(60)은The storage unit 6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1,

다수의 전방 개방형 수납공간부(61)를 갖는 캐비닛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배열된다.It is arrang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10 in the form of a cabinet having a plurality of front open storage spaces 61.

상기 각 수납공간부(61)에는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들이 분리되어 수납된다.Each of the accommodating spaces 61 stores materials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separately.

상기 수납유닛(60)은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배열되어 있기는 하나, 상기 베이스(10)의 일측 또는 타측, 또는 양측 모두에 별도로 상기 수납유닛(60)이 더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Although the storage unit 60 is arranged above the base 10, the storage unit 60 may be further provided separately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r both sides of the base 1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 장치에서On the other hand, in the up-dow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10) 또는 상기 가이드유닛(50)에는 캐리어(2)의 진출입 동작에 대한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유닛(40)에 전달하는 센서유닛(70)을 더 포함하는데,As shown in Figure 4, the base 10 or the guide unit 50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70 for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for the entry and exit operation of the carrier 2 to the control unit 40,

상기 센서유닛(70)은 상기 캐리어(2) 진입 시 접촉에 의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리미트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nsor unit 70 is preferably a limit switch for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by contact when entering the carrier (2).

또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두 수평서포트(20)는 이의 상부면에 트레이(1)를 위한 슬립(slip)방지부재(21)가 구비되는데,1 and 2, the two horizontal support 20 is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ng member 21 for the tray (1) on its upper surface,

상기 슬립방지부재(21)는 상기 두 수평서포트(2)의 상부면에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되는 엘라스토머 재질의 사각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lip preventing member 21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omeric square pad that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 by bolts or the like.

또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전면(前面)에는 진입하는 캐리어(2)에 대한 충격완충부재(13)가 구비되는데,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front of the base (10)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member 13 for the carrier (2) to enter,

상기 충격완충부재(13)는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하 길이를 가지며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되는 엘라스토머 재질의 사각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hock absorbing member 13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base 10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and made of a square pad made of an elastomer material which has a vertical length and is fastened through a bolt or the like.

또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두 패널(51) 사이에 진입한 상기 캐리어(2)는 하강하는 상기 두 수평서포트(20)는 그대로 통과하고 상기 두 수평서포트(20)에 지지된 상기 트레이(1)는 상기 캐리어(2)에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carrier 2 entering between the two panels 51 passes through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which descend, and is supported by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The tray 1 has a structure seated on the carrier 2,

좀 더 상세하게는More specifically

하부면 모서리에 각각 이동용 바퀴인 캐스터(caster)(2a-1)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a),A lower frame 2a having casters 2a-1, which are wheels for movement, respectively, at the bottom edges;

상기 하부프레임(2a) 양측에 각각 세워지는 두 수직프레임(2b),Two vertical frames (2b), each standing on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2a),

상기 두 수직프레임(2b)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두 수평프레임(2c), 그리고Two horizontal frames 2c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two vertical frames 2b, and

상기 두 수평프레임(2c) 후단부를 상호 연결하고 그립부(2d-1)를 갖는 손잡이(2d)A handle 2d inter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two horizontal frames 2c and having a grip portion 2d-1.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두 수직프레임(2b) 및 상기 두 수평프레임(2c) 사이로 상기 두 수평서포트(2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구조이고, 소재 적층이 완료된 트레이(1)를 핫 프레스 공정 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나 빈 트레이(1)를 싣고 상기 두 패널(51) 사이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 상기 두 수평프레임(2c) 상부에 상기 트레이(1)를 얹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two horizontal support 20 is raised or lowered between the two vertical frame (2b) and the two horizontal frame (2c), it is to move the tray 1, the material stacking is completed to the hot press process side When the empty tray 1 is to be loaded and moved between the two panels 51, the tray 1 is placed on the two horizontal frames 2c.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up-down device for the material seating tray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캐리어(2)에 빈 트레이(1)를 싣고 상기 가이드유닛(50)의 두 패널(51) 사이로 진입시키되,Load the empty tray (1) on the carrier (2) and enter between the two panels 51 of the guide unit 50,

미리 상기 두 수평서포트(20)를 캐리어(2)에 안착된 빈 트레이(1) 하부 측에 위치시킨 후 캐리어(2)를 진입시킨다.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are located in the lower side of the empty tray 1 seated on the carrier 2 in advance, and then the carrier 2 enters.

진입이 완료된 후 상기 센서유닛(70)이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유닛(40)에 전달하여 상기 컨트롤유닛(40)으로 하여금 상기 승강모터(32)를 동작시키거나,After the entry is completed, the sensor unit 70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 to cause the control unit 40 to operate the lifting motor 32,

또는 수동으로 상기 컨트롤유닛(40)에 마련된 버튼 조작으로 상기 승강모터(32)를 동작시킨다.
Alternatively, the elevating motor 32 is operated by a button operation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40 manually.

상기 승강모터(32)에 의해 상기 두 수평서포트(20)가 상승하면서 상기 캐리어(2)에 안착된 빈 트레이(1)를 받치면서 함께 상승하게 되고, 이때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 후 정지하게 된다.As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are lifted by the lifting motor 32,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are raised while supporting the empty tray 1 seated on the carrier 2.

작업자는 상기 수납유닛(50)의 각 수납공간부(61)에 수납된 소재들을 꺼내어 빈 트레이(1)에 적층시키게 되며,The worker takes out the materials stored in each storage space 61 of the storage unit 50 and stacks them on the empty tray 1.

일정 높이까지 적층되었다고 작업자가 판단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유닛(40)의 버튼 조작으로 상기 승강모터(32)를 동작시켜 상기 두 수평서포트(20) 및 이에 안착된 트레이(1)를 하강시키게 되는데,When the operator determines that the sheet is stacke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lifting motor 32 is operated by the button manipulation of the control unit 40 to lower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and the tray 1 seated thereon.

이때 버튼 1회 조작 시 하강하게 되는 거리는 상기 컨트롤유닛(40)에 미리 설정된 값만큼 하강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distance that is lowered when the button is operated once is lowered by a value preset in the control unit 40.

예를 들어,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만큼 상기 승강모터(32)가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유닛(40)이 제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0 may be implemented to control the lifting motor 32 to be operated by a predetermined time using a timer or the like.

트레이(1)에 소재 안착이 완료되면, 트레이(1) 위치가 캐리어(2)의 수평프레임(2c) 보다 하부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트레이(1)를 상기 수평프레임(2c) 보다 상부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모터(32)를 통해 상기 두 수평서포트(20)를 상승시킨 후 캐리어(2)를 밀어 두 패널(51) 사이로 진입시키고,When the seating of the material on the tray 1 is completed, the tray 1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2c when the position of the tray 1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rrier frame 2c. Raise the two horizontal support 20 through the lifting motor 32 to position and then push the carrier 2 to enter between the two panels 51,

상기 승강모터(32)를 통해 상기 두 수평서포트(20)를 하강시켜 캐리어(2)의 두 수평프레임(2c) 상부에 트레이(1)를 안착시킨 후 캐리어(2)를 두 패널(51) 사이에서 빼내어 핫 프레스 공정 측으로 이동시킨다.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are lowered through the lifting motor 32 to seat the tray 1 on the two horizontal frames 2c of the carrier 2, and then the carrier 2 is disposed between the two panels 51. To be removed and moved to the hot press process side.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with a "up down device for a material seating tray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was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베이스
11 : 설치공간부 12 : 개방공간부
13 : 충격완충부재
20 : 수평서포트
21 : 슬립방지부재
30 : 승강유닛
31 : 중계부재 311 : 나선부
312 : 삽입홀
32 : 승강모터 321 : 대응나선부
33 : 가이드봉
40 : 컨트롤유닛
50 : 가이드유닛
51 : 패널 52 : 가이드롤러
521 : 회전축 522 : 지지체
53 : 구동수단 531 : 구동축
532 : 구동모터
54 : 가압돌기
55, 55' : 피가압수단 551 : 제1패드삽입홈
552 : 제1피가압패드 553 : 제2패드삽입홈
554 : 제2피가압패드
56 : 받침돌기
60 : 수납유닛
61 : 수납공간부
70 : 센서유닛
10: Base
11: installation space part 12: open space part
13: shock absorbing member
20: horizontal support
21: slip prevention member
30: lifting unit
31: relay member 311: spiral portion
312: insertion hole
32: lifting motor 321: counterpart
33: guide rod
40: control unit
50: guide unit
51 panel 52: guide roller
521: rotating shaft 522: support
53 drive means 531 drive shaft
532: drive motor
54: pressing projection
55, 55 ': Pressing means 551: First pad insertion groove
552: first pressure pad 553: second pad insertion groove
554: second pressure pad
56: support protrusion
60: storage unit
61: storage space
70: sensor unit

Claims (4)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한 소재들이 안착되는 트레이(1)와 이를 싣고 이동하기 위한 캐리어(2)에 있어,
전방 좌우에 상호 이격되게 상하 길이를 갖는 수직형 두 개방공간부(12)를 갖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두 개방공간부(12) 각각에 배열되고, 일단부(一端部)가 전방을 향해 노출되어 상기 트레이(1)를 지지하게 되는 두 수평서포트(20);
상기 베이스(10)에 내장되고, 상기 두 수평서포트(20)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두 수평서포트(20)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위한 승강유닛(30);
상기 승강유닛(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유닛(40);
상기 베이스(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세워지는 두 패널(51), 그리고 상기 두 패널(51) 각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두 패널(51)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캐리어(2)의 진출입 동작을 안내하는 두 가이드롤러(52)를 포함하는 가이드유닛(50); 및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배열되는 소재 수납유닛(6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
In the tray (1) on which the materials for the manufacture of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s are mounted and the carrier (2) for carrying and moving them,
A base 10 having two vertical open spaces 12 having vertical length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left and right;
Two horizontal supports (20) arranged in each of the two open space portions (12) of the base (10),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oward the front to support the tray (1);
A lifting unit (30) built in the base (10)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30;
Two panels 51, which are respectively erect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base 10, and installed on each inner wall of the two panels 51 for guiding the in / out operation of the carrier 2 which enters between the two panels 51. A guide unit 50 including two guide rollers 52; And
A material accommodating unit 60 arranged above the base 10;
Up down device for a material seating tray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50)은
상기 두 가이드롤러(52)를 강제 회전 동작케 하고 상기 컨트롤유닛(4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수단(53), 그리고
상기 두 가이드롤러(52) 외주면 일부 영역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두 가이드롤러(52)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가압돌기(54)
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구동수단(53)에 의해 상기 두 가이드롤러(52)가 회전되어 상기 각 가압돌기(54)가 외측을 향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1)의 상하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트레이(1) 정지 시 상기 구동수단(53)에 의해 상기 두 가이드롤러(52)가 회전되어 상기 각 가압돌기(54) 중 정지된 트레이(1) 측에 위치한 두 가압돌기(54)가 상기 트레이(1) 양측부를 각각 가압 고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unit 50 is
A driving means 53 forcibly rotating the two guide rollers 52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 and
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54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wo guide rollers 52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wo guide rollers 52.
By further including
The two guide rollers 52 are rotated by the driving means 53 so that the up and down operation of the tray 1 is performed while the pressing protrusions 54 are disposed outward.
When the tray 1 is stopped, the two guide rollers 52 are rotated by the driving means 53 so that the two pressure protrusions 54 located on the stopped tray 1 side of each of the pressure protrusions 54 are formed. Tray (1) Up-down device for the material seating tray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characterized in that each side is fixed by pres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50)은
상기 두 가이드롤러(52)에서 상기 각 가압돌기(54) 하부 측에 이격 배치되게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받침돌기(56)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두 가압돌기(54)가 상기 트레이(1) 가압 고정 시 상기 다수의 받침돌기(56) 중 가압 고정하고 있는 두 가압돌기(54) 하부 측의 두 받침돌기(56)가 상기 트레이(1)를 받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unit 50 is
By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56 protruding from the two guide rollers 52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pressing protrusions 54,
When the two pressing protrusions 54 pressurize and fix the tray 1, the two supporting protrusions 56 at the lower side of the two pressing protrusions 54 which are press-fixed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rotrusions 56 are the tray 1. Up-down device for a material seating tray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 또는 상기 가이드유닛(50)에는 캐리어(2)의 진출입 동작에 대한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유닛(40)에 전달하는 센서유닛(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두 수평서포트(20)는 이의 상부면에 트레이(1)를 위한 슬립(slip)방지부재(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10)의 전면(前面)에는 진입하는 캐리어(2)에 대한 충격완충부재(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두 패널(51) 사이에 진입한 상기 캐리어(2)는 하강하는 상기 두 수평서포트(20)는 그대로 통과하고 상기 두 수평서포트(20)에 지지된 상기 트레이(1)는 상기 캐리어(2)에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ase 10 or the guide unit 50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70 for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for the entry and exit operation of the carrier 2 to the control unit 40,
The two horizontal support 20 is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ng member 21 for the tray (1) on its upper surface,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10 is provided with an impact buffer 13 for the carrier (2) to enter,
The carrier 2 entering between the two panels 51 passes through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which descend, and the tray 1 supported by the two horizontal supports 20 is the carrier 2. Up-down device for a material seating tray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mounted on.
KR1020120010563A 2012-02-02 2012-02-02 Up-down apparatus for tray KR1011340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563A KR101134009B1 (en) 2012-02-02 2012-02-02 Up-down apparatus for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563A KR101134009B1 (en) 2012-02-02 2012-02-02 Up-down apparatus for t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009B1 true KR101134009B1 (en) 2012-04-09

Family

ID=4614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563A KR101134009B1 (en) 2012-02-02 2012-02-02 Up-down apparatus for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0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523A (en) * 2020-07-29 2022-02-07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eeder Module System
CN114867209A (en) * 2022-05-17 2022-08-05 广德瓯科达电子有限公司 Surface treatment device of multilayer circuit boar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30A (en) * 1991-07-05 1993-01-19 Hitachi Ltd Parts feeder
KR19980066642A (en) * 1997-01-28 1998-10-15 김광호 Tray feeder
KR0124820Y1 (en) * 1995-10-17 1998-12-15 김광호 Electronic parts moun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30A (en) * 1991-07-05 1993-01-19 Hitachi Ltd Parts feeder
KR0124820Y1 (en) * 1995-10-17 1998-12-15 김광호 Electronic parts mounting apparatus
KR19980066642A (en) * 1997-01-28 1998-10-15 김광호 Tray feed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523A (en) * 2020-07-29 2022-02-07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eeder Module System
KR102370772B1 (en) * 2020-07-29 2022-03-04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eeder Module System
CN114867209A (en) * 2022-05-17 2022-08-05 广德瓯科达电子有限公司 Surface treatment device of multilayer circuit board
CN114867209B (en) * 2022-05-17 2024-02-23 广德瓯科达电子有限公司 Surface treatment device for multilayer circuit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0858B2 (en) Personnel lift vehicle
CN107915030B (en) Green body overturning machine
CN107416522B (en)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system of copper foil mounting machine
US6945018B2 (en) Wrapping machine and top foil wrapping machine
CN212049512U (en) Burning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KR101134009B1 (en) Up-down apparatus for tray
KR101802973B1 (en) Loading Apparatus for Roller conveyor and Roller conveyor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40119603A (en) Manual guided vehicle for transferring cassette
KR200462965Y1 (en) Exclusive use apparatus for supplying pannel of furnitures
JP4815056B2 (en) Lifting device for tray laminate layer
KR101814112B1 (en) Cart for rice cooker transport having auto lift device for big rice cooker
CN111908080A (en) Adhesive tape type mat laying tool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KR101776580B1 (en) Apparatus for loading a wood
CN212221721U (en) Automatic change two-way charging tray elevating platform
CN110076720B (en) Heat exchange core assembly machine
CN207748488U (en) Panel turnover device
KR20120057852A (en) Support stand for parts box
KR100670414B1 (en) Apparatus for the automatic supplying cardboard
CN217732548U (en) Auxiliary device for carrying automobile covering part
CN209850022U (en) Cutting device is used in elevator car processing
CN107792645A (en) Panel turnover device
CN213111139U (en) Tunnel furnace material loading lift
JP20121352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seeded seedling container
CN211140823U (en) Feeding module and printing equipment
CN114852411B (en) Automatic evacuation equipment of copper foil ro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