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112B1 - Cart for rice cooker transport having auto lift device for big rice cooker - Google Patents

Cart for rice cooker transport having auto lift device for big rice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112B1
KR101814112B1 KR1020160119469A KR20160119469A KR101814112B1 KR 101814112 B1 KR101814112 B1 KR 101814112B1 KR 1020160119469 A KR1020160119469 A KR 1020160119469A KR 20160119469 A KR20160119469 A KR 20160119469A KR 101814112 B1 KR101814112 B1 KR 101814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space
plate
large ric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향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to KR102016011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1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1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rice cooker transport vehicle having an automatic lift of a large rice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ce cooker transport vehicle having an automatic lift of a large rice cooker comprises: a bottom plate; an elevating device; an outer housing; and an inner housing. The number of rice cookers accommodated in a rice cooker accommodation space can be quickly and easily grasped.

Description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CART FOR RICE COOKER TRANSPORT HAVING AUTO LIFT DEVICE FOR BIG RICE COOKER}{CART FOR RICE COOKER TRANSPORT HAVING AUTO LIFT DEVICE FOR BIG RICE COOKER}

본 발명은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업소용 취반기에 사용되는 대형밥솥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1개 이상의 대형밥솥을 적층시켜 취반기에서 배식대로, 또는 세척장소에서 취반기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적층된 대형밥솥 등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cooker transporting carriage having a large rice cooker automatic lif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ce cooker transporting carriage having a large rice cook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cooker transportation carriage having a large rice cooker automatic lift that can be easily transported from a washing place to a rice cooker and capable of sequentially raising a stacked large rice cooker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동일 장소에서 다수인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대형 식당, 호텔, 각종 수련원, 신병훈련소, 학교 등의 주방에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밥을 지을 수 있는 대형 취반기(증숙기)가 사용된다. Generally, in a kitchen of a large restaurant, a hotel, a training center, a boot camp, a school, etc., which provide a meal to a large number of people in the same place, a large barbeque period (boiling machine) capable of building a large amount of rice at once is used.

대형 취반기는 대형밥솥을 다층으로 장전하도록 제작한 것으로, 각각의 대형밥솥을 동시에 가열하여 대량의 밥을 짓도록 구성된 것이다. The large cooking machine is constructed so that a large rice cooker can be loaded in multiple layers, and each large rice cooker is heated simultaneously to build a large amount of rice.

이와 같은 대형 취반기에 사용되는 대형밥솥 또는 기타 증숙용기는 크고 무거울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취사(또는 증숙)가 완료된 후에는 매우 뜨거워 운반이 불편하였다. The large rice cooker or other matured containers used in such a large cooking machine were not only large and heavy but also inconvenient to carry after the contents were cooked (or steamed).

즉, 대형밥솥에 세척된 쌀이 수용되거나, 수용된 쌀의 취사가 완료되면, 대형밥솥의 자체 무게에 내용물의 무게가 더해질 뿐만 아니라,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여서 대형 취반기에서 취사가 완료된 대형밥솥을 배식장소(배식대)로 운반하는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when the rice cooked in the large rice cooker is accommodated or the cooked rice is completely cooked, the weight of the contents is added to the weight of the large rice cooker, and the large rice cooker, which is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it to a food delivery place (feeding tabl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8147호(공고일 : 2006.06.08)에는 다층 증숙기용 운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증숙기용 운반장치는, 하부에는 지면에 대한 운반대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리프트형 카트(10)가 설치되고, 앞판과 뒷판의 중앙에는 키 안내공(21)을 가진 외통(20)과, 앞판과 뒷판의 중앙에 상기 키 안내공(21)과 동형의 키 안내공(32)을 가지며 전후면 양쪽 가에는 승강 안내공(31)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안내공(31)의 외측에 종형 슬라이더 안내봉(33)을 가지며 상기 외통(20)에 삽입 설치되는 내통(30)과, 앞면과 뒷면의 중앙에 횡장공형 키공(34b)이 천공되고, 전후면 양쪽 가에는 상기 승강안내공(31)을 관통하여 안내되는 아암(34a)을 가지며, 각 아암(34a)의 전단부에는 슬라이더 안내봉(33)에 끼워져 안내되는 슬라이더(35)가 형성되고, 양쪽 슬라이더(35)의 하단부에는 복귀스프링의 하단 고정용 스프링걸이(37)를 가지며 상기 내통(30)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한 조리기대(34)와, 상기 내통(30)의 앞, 뒷판 상단에 주어진 플랜지(36)와 상기 조리기대의 스프링걸이(37)간을 마주 걸어서 장전한 조리기대용 복귀스프링(38)과, 상기 키 안내공(21,32)을 관통하도록 끼워서 필요할 때 잠금홈(21b,32b)에 조리기대(34)를 걸어잠그는 키(40)로 이루어진 것이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18147 (Notification: 2006.06.08) discloses a conveying device for a multi-layered steer. As shown in Figs. 1 and 2, a lift-type cart 10 is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device for a multi-layer steplayer to change the height of a pallet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a key guide hole And a key guide hole (32) of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key guide hole (21) at the center of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elevation guide holes (31) are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An inner cylinder 30 having a vertical slider guide bar 33 on the outer side of the elevation guide hole 31 and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20 and a horizontally long key hole 34b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 slider 35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each arm 34a to be inserted and guided by the slider guide bar 33, The lower ends of the sliders 35 have spring hooks 37 for fixing the lower ends of the return springs A cooking cavity 34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cylinder 30 such that it can be lifted and lowered and a flange 36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cylinder 30 and a spring hanger 37 of the cooking cavity, And a key 40 for locking the cooking cavity 34 in the locking grooves 21b and 32b when necessary so as to penetrate the key guide holes 21 and 32 and to lock the cooking cavity 34 when necessary.

이러한 다층 증숙기용 조리기 운반장치는 증숙을 마친 적어도 2 이상의 조리기대를 한꺼번에 옮겨 싣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다른 곳으로 운반할 수 있고, 리프트형 승강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운반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증숙기로 부터 뜨거운 조리용기를 안전하게 옮겨 실을 수 있고, 조리용기를 탑재한 상태로 뚜껑을 열고 내용물을 제공할 수도 있었다. Such a multi-layer steer conveyor can transport at least two cooked dishes at the same time, and can be safely and conveniently transported to another place. Since the height of the pallet can be adjusted by using a lift type elevator control device, The hot cooking vessel could be safely transferred, and the contents could be provided by opening the lid with the cooking vessel mounted.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rior art of such a structur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조리기대를 승,하강시키는 장치가 페달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식 잭으로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페달을 밟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유압식 잭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과, 유압식 잭에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됨으로써 고장율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First, since the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ooking hopper is constituted by the hydraulic jack operated by the ped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has to manually step on the pedal, the hydraulic jack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ilure rate increases due to contamination of water and foreign matter.

둘째, 조리기대의 높이가 키안내공과 잠금홈에 위치하는 안내봉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됨으로써, 조리기대의 높이 조절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미세한 높이조절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Second, the height of the cooking cavity is manually adjusted by the guide rods located in the key guide hole and the lock groove,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ooking cavity,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height of the cooking cavity.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8147호(공고일 : 2006.06.08).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18147 (Notice: 2006.06.08)

본 발명의 목적은, 업소용 취반기에 사용되는 대형밥솥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1개 이상의 대형밥솥을 적층시켜 취반기에서 배식대로, 또는 세척장소에서 취반기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적층된 다수개의 대형밥솥 등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ce cooker which can stack one or more large rice cookers in a large rice cooker for use in a commercial rice cooker and easily transport the rice cooker from the ai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ce cooker transportation car having a large rice cooker automatic lift which can sequentially raise large rice cook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밥솥 운반대차의 높이가 배식대의 높이와 같도록 하거나 유사하도록 함에도 불구하고, 내부에 다수개(3개)의 대형밥솥을 수용시켜 선택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rge rice cooker automatic lift which can accommodate a large number (three) of large rice cookers and can selectively raise the rice cookers even though the height of the rice cooker transportation carriage is equal to or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feeding tab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ce cooker carrying carriag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면 각 코너에는 이동용 바퀴들이 각각 설치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대형밥솥이 안착되는 승강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된 승,하강장치; 상기 바닥판의 각 변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의 상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외부 하우징; 및 상기 대형밥솥이 안착되는 상기 승강판의 상부공간을 구분하여 상기 대형밥솥이 수용되는 밥솥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공간 중앙에 배치되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내부체와, 상기 내부체의 상단과 결합되는 수평부의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외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체로 이루어진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중앙에는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는, 상기 승,하강장치의 수직방향 길이를 일부 수용하여 상기 승강판의 상승 최고점이 높아지도록, 상기 바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일방향만 개구된 설치공간을 갖는 설치부재가 상기 설치공과 상기 설치공간의 입구가 일치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에는 상기 승,하강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can be accomplished by providing a floor plate comprising mobile wheels at respective corners of a bottom surface thereof; A raising and lowering device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for raising or lowering a raising plate on which a large rice cooker is seated by a control unit; An outer housing vertically installed at each side edge of the bottom plate to block the upper space of the bottom plate from the outside; A cylindrical inner body which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pace and opens at the bottom so as to form a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large rice cooker is housed by separating the upper space of the steel plate on which the large rice cooker is placed; And an inner housing having an outer edge of a horizontal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the upper housing being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wherein an installation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The installation member having a height lower than a height of the wheel and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with only one direction opened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space Type rice cooker is achieved by the cooker handling balance with automatic lift.

상기 승강판에는, 안착되는 상기 대형밥솥의 저면을 저온으로 가열하여 내용물을 보온하기 위한 바닥 가열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The bottom steel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bottom heating member for he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arge rice cooker to be placed at a low temperature to heat the contents.

상기 내부체에는, 상기 밥솥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대형밥솥을 저온으로 가열하여 내용물을 보온하기 위한 측면 가열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The inner body may be provided with a side heating member for heating the large rice cooker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at a low temperature to keep the contents therein.

상기 내부체에는, 상기 밥솥 수용공간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밥솥 수용공간의 공기 온도에 따라 상기 측면 가열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ternal body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air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ide he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Lt; / RTI >

상기 내부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밥솥 수용공간의 온도와 상기 상부공간의 온도차로 인하여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단열재가 부착될 수 있다.A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body so as to prevent condensation from occurring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rice cooker receiving spac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upper space.

상기 상부체와 내부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밥솥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형밥솥을 꺼낼 때, 상기 대형밥솥과의 접촉이 연이어 이루어지도록 안내면이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surface may be curved such that when the large rice cooker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is taken out of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inner body, the contact with the large rice cooker is performed successively.

상기 상부체와 내부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밥솥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형밥솥을 꺼낼 때, 상기 대형밥솥과의 접촉이 연이어 이루어지도록 안내면이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면에는 안내 로울러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inner body, when the large rice cooker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is taken out, the guide surface is curved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large rice cooker is successively formed, and a guide roller have.

상기 상부체와 내부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밥솥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형밥솥을 꺼낼 때, 상기 대형밥솥과의 구름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안내 로울러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inner body, a guide roller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large rice cooker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is brought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large rice cooker.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상기 승,하강장치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상기 승강판과의 가변되는 거리를 토대로 상기 승강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승강판 위치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판 위치 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승강판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밥솥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형밥솥의 수를 상기 외부 하우징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의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 lift plate position detecting sensor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lift plate on the basis of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lift plate which is raised or lowered by the lift devi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number of the large rice cookers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panel provided in the outer housing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eel plate detected by the lift plate position detecting sensor.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설치부재의 설치공간 바닥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 영역에는 웜휠이 구비된 회전 나사봉; 상기 웜휠과 맞물리는 웜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나사봉과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승강판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나사봉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나사 결합부재; 상기 회전 나사봉과 상기 나사 결합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형의 내부 커버부재; 및 상기 회전 나사봉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상기 내부 커버부재를 지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내부 커버부재를 감싸고, 상단부는 상기 승강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외부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includes a rotary screw bar rotat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installation member and having a worm wheel at a lower end area thereof. A drive motor provided on a bottom of the installation space, the drive motor including a worm gear engaged with the worm wheel; A threadedly engaging member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eaded engag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rotating threaded rod and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lifted steel plate and being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threaded rod; A rectangular inner cover member vertical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space to cover the rotary screw rod and the screw engagement member; And an outer cover member which surrounds the inner cover member so as not to rotate while supporting the inner cover member during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rotary screw rod and whos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업소용 취반기에 사용되는 대형밥솥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1개 이상의 대형밥솥을 적층시켜 취반기에서 배식대로, 또는 세척장소에서 취반기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적층된 다수개의 대형밥솥 등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ck one or more large rice cookers in a large rice cooker used in a commercial rice cooker and easily carry the rice cooker from a take-out period to a feeding stand or from a washing place to a rice cooker, A large rice cooker, and the like can be provided.

또한, 승,하강장치를 바닥판의 중앙에서 직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설치부에 설치함으로써, 밥솥 운반대차의 높이가 배식대의 높이와 같거나 유사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승강판의 상승 최고점이 높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밥솥 수용공간에 적어도 3개의 대형밥솥을 수용시켜 단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 하위에 위치한 대형밥솥의 대부분이 밥솥 수용공간의 바깥쪽으로 노출시켜 대형밥솥을 밥솥 수용공간에서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so as to be equal to or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feeding table, the rising peak of the elevating plate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at least three large rice cookers can be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and the large rice cooker located at the lowermost posi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to take out the large rice cooker from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바닥판의 상면에 승강판 위치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제어부가 승강판 위치 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승강판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밥솥 수용공간에 수용된 대형밥솥의 수를 컨트롤 패널의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외부에서 밥솥 수용공간에 수용된 밥솥의 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detects the number of large rice cookers hous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on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panel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eel plate detected by the lift plate position detecting sensor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grasp the number of rice cookers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from the outside.

또한, 상부체와 내부체의 경계영역에, 밥솥 수용공간에 수용된 대형밥솥을 꺼내거나 집어 넣을 때, 대형밥솥과의 구름접촉이 이루어지거나 접촉이 연이어 원활하게 이루어지로고 안내 로울러가 설치되거나 만곡진 안내면이 형성됨으로써, 대형밥솥을 꺼냄과 집어 넣음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When a large rice cooker accommodated in a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is put in or taken out from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inner body, rolling contact with the large rice cooker or contact is smoothly performed continuously. By forming the guide surface, it is possible to smoothly and easily take out and insert the large rice cooker.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층 증숙기용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승간판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내부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부체와 내부체의 경계영역에 안내면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내부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부체와 내부체의 경계영역에 안내 로울러가 설치된 만곡진 안내면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내부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부체와 내부체의 경계영역에 안내 로울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승간판의 위치를 감지하여 콘트롤 패널의 표시부에 대형밥솥의 갯수를 표시하는 상태를 표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럭도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ying device for a multi-layer steplay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ice cooker transportation car having a large rice cooker automatic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ce cooker conveying carriage having the large rice cooker automatic lift shown i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riser plate is raised or lowered. Fig.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surface is form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an upper body and an inner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housing shown in FIG. 3;
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rved guide surface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is form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an upper body and an inner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housing shown in FIG.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roller is install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an upper body and an inner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housing shown in FIG. 3;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and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number of large rice cooker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panel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winning plate.
FIG. 10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unit of a rice cooker transportation truck having a large rice cooker automatic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승간판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ice cooker transporting carriage having a large rice cooker automatic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ce cooker transporting carriage having a large rice cooker automatic lift shown i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riser plate is raised or lowered.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100)는, 저면 각 코너에 이동용 바퀴(210)들이 각각 설치된 바닥판(200)과, 바닥판(200)에 설치되어 제어부(700)에 의해 대형밥솥(800)이 안착되는 승강판(32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된 승,하강장치(300)와, 바닥판(200)의 각 변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바닥판(200)의 상부공간(S1)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외부 하우징(400)과, 대형밥솥(800)이 안착되는 승강판(320)의 상부공간(S1)을 구분하여 대형밥솥(800)이 수용되는 밥솥 수용공간(S2)으로 형성하도록 상부공간(S1) 중앙에 배치되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내부체(520)와, 내부체(520)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외부 하우징(400)에 결합되는 상부체(530)로 이루어진 내부 하우징(500)을 포함한다.3 to 5, a rice cooker transportation carriage 100 having a large rice cooker automatic lift includes a bottom plate 200 provided with moving wheels 210 at respective bottom corners, A raising and lowering device 300 installed to raise or lower the lifting plate 320 on which the large rice cooker 800 is placed by the controller 700, An outer housing 400 for blocking the upper space S1 of the bottom plate 200 from the outside and an upper space S1 of the lifting plate 320 on which the large rice cooker 800 is seated, A cylindrical inner body 520 which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pace S1 so as to be formed into a rice cooker receiving space S2 in which the inner space 520 is accommodated, And an upper housing 530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400.

그리고, 바닥판(200)의 중앙에는, 승,하강장치(300)의 수직방향 길이를 일부 수용하여 승강판(320)의 상승 최고점이 높아지도록 승,하강장치(30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230)이 형성되고, 설치공(230)에는 바닥판(200)의 저면 직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공(230) 쪽만 개방된 설치공간(S3)을 구비한 설치부재(240)가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The bottom plate 200 is provided at the center thereof with a mounting hole 300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300 so that the lifting point of the lifting plate 320 is increased. And a mounting member 240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S3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00 to open only to the mounting hole 230 is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230 Respectively.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전술한 바와 같이,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100)는, 중앙 상부가 상향으로 개구된 밥솥 수용공간(S2)을 갖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판(200)의 저면 각 코너에는 이동용 바퀴(210)가 설치된 구조를 갖으며, 밥솥 수용공간(S2)의 바닥을 이루는 승강판(320)이 단독으로 안착되거나 다수개가 적층되는 대형밥솥(800)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승,하장장치(300)가 설치부재(24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rice cooker transportation carriage 100 having the large rice cooker automatic lift is formed in a square box shape having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2 whose upper center is opened upward, A large rice cooker 8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obile wheel 210 is installed and in which a lifting plate 320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2 is seated alone or a plurality of stacked laminates is selectively lifted or lowered And the lifting device 300 is installed inside the installation member 240. [

바닥판(200)은, 저면 각 코너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이동용 바퀴(210)가 각각 마련되고, 중앙에는 설치공(230)이 관통 형성된다. 이 설치공(230)의 저면에는 일측만 개구된 설치공간(S3)을 갖는 설치부재(240)가 바닥판(200)의 저면 직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설치부재(240)의 상단(설치공간의 입구쪽)이 바닥판(200)의 저면에 결합되되, 설치공간(S3)의 입구와 설치공(230)이 일치하도록 바닥판(200)의 저면에 결합된다. The bottom plate 200 is provided with moving wheels 210 each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and an installation hole 230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An installation member 240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S3 opened at only one sid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hole 230 so as to protrude right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00. That is, the upper end (the inlet side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installation member 24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00, and the inlet of the installation space S3 and the installation hole 230 coincide with each other. Lt; / RTI >

그리고 설치부재(240)의 설치공간(S3) 바닥에는 승,하강장치(300)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부재(240)의 설치공간(S3) 깊이만큼 승,하강장치(300)의 높이방향 길이를 보상할 수 있다. The lifting device 300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ounting space S3 of the mounting member 240 and the height of the lifting device 300 is increased by the depth of the mounting space S3 of the mounting member 240. [ Direction length can be compensat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설치공간(S3)의 깊이가 25cm이고, 승,하강장치(300)의 높이방향 길이가 40cm 이며, 대형밥솥(800)의 높이가 25cm이고, 밥솥 수용공간(S2)의 깊이가 65cm 일 때, 승,하강장치(300)가 바닥판(200)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면, 밥솥 수용공간(S2)의 유효깊이, 즉 대형밥솥(800)이 수용되는 깊이가 65cm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밥솥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내부체(520)의 위치가 상승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승,하강장치(300)가 설치공간(S3)의 바닥에 설치되면, 승,하강장치(300)의 높이가 25cm 정도 낮아지기 때문에, 내부체(520)의 높이(위치)도 낮게 위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밥솥 운반대차(100)의 전체적인 높이가 배식대(도시되지 않음)의 높이와 같거나 유사한 높이로 구성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는 되는 높이(사용자의 대략 허리 높이 정도)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밥솥 운반대차(100)의 높이를 높이지 않으면서도 다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대형밥솥(800)을 수용시킬 수 있는 밥솥 수용공간(S2)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depth of the installation space S3 is 25 cm, the height of the lifting device 300 in the height direction is 40 cm, the height of the large rice cooker 800 is 25 cm, the depth of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2 The effective depth of the rice cooker receiving space S2, that is, the depth at which the large rice cooker 800 is accommodated, is maintained at 65 cm when the lifting device 300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00. [ The position of the inner body 520 forming the rice cooker receiving space S2 is necessarily increased. Howev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300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pace S3, the height of the lifting apparatus 300 is lowered by about 25 cm, The position of the rice cooker carriage 100 can be set at a low level so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rice cooker carriage carriage 100 can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height of a feeding table (not shown) Height (about the waist height of the user).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2 can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rice cookers 800 (three in this embodiment)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rice cooker transporting carriage 100. [

이때, 설치공간(S3)의 깊이는 이동용 바퀴(210)의 크기(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설치공간(S3)의 깊이는 이동용 바퀴(210)에 의해 지면과 바닥판(200)의 저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설치부재(240)의 높이는 바퀴(21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는 설치부재(240)의 높이가 바퀴(210)보다 높을 경우에 설치부재(240)의 저면이 지면(바닥)에 간섭되어 운반대차의 이동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installation space S3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height) of the mobile wheel 210. [ That is, the depth of the installation space S3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00 by the movement wheels 210. [ In other words, the height of the mounting member 240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wheel 210. This is because, when the height of the mounting member 240 is higher than that of the wheel 210,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240 is interfered with the ground (floor), making it difficult to move the carriage.

설치부재(240)의 설치공간(230)에 설치되는 승,하강장치(300)는, 제어부(700)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대형밥솥(800)이 안착되는 승강판(32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압이나 공기압에 의해 인출되어 승강판(320)을 밀어 올리거나 수축되어 승강판(320)을 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장치 및 공압실린더장치, 또는 기타 엑츄에이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The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300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230 of the installation member 240 is operat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0 to raise or lower the lifting plate 320 on which the large rice cooker 800 is seated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tructures. For example, a hydraulic cylinder device and a pneumatic cylinder device, which are pulled out by hydraulic pressure or air pressure to push up or contract the lifting plate 320 to lower the lifting plate 320, or other actuators. However,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as follow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장치(300)는, 설치부재(240)의 설치공간(S3) 바닥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 영역에는 웜휠(352)이 구비된 회전 나사봉(356)과, 웜휠(352)과 맞물리는 웜기어(354)를 구비하여 설치공간(S3)의 바닥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50)와,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 나사봉(356)과 결합되고, 상단부는 승강판(320)의 저면에 결합되며, 회전 나사봉(356)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나사 결합부재(360)와, 회전 나사봉(356)과 나사 결합부재(360)를 커버하도록 설치공간(S3)의 바닥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형의 내부 커버부재(370)와, 회전 나사봉(356)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내부 커버부재(370)를 지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내부 커버부재(370)를 감싸고, 상단부는 승강판(320)의 저면에 결합되는 외부 커버부재(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5,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300 is installed vertically rotatably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space S3 of the installation member 240, and has a worm wheel 352 A screw shaft 356 and a worm gear 354 engaged with the worm wheel 352 to drive motor 35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space S3; And the upper end portion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320 and includes a screw coupling member 360 which is raised or lowered in accordance with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rotary screw 356, A rectangular inner cover member 370 vertical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space S3 to cover the threadedly engaging member 360 and an inner cover member 370 formed in a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rotary screw rod 356,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outer cover member 37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3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member 380).

이러한 승,하강장치(300)는, 사용자가 외부 하우징(400)에 구비된 승,하강 스위치(SW)를 조작함에 따라 제어부(700)가 구동모터(35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시킴으로써 승강판(320)을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설치부재(240)의 바닥에 설치되므로, 한정된 높이에서 승강판(320)의 스트로크(최저점과 최고점의 왕복거리)가 길어질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up / down device 300 such that the user operates the up / down switch SW provided on the outer housing 400 to rotate the drive motor 350 forward or backward Since the steel plate 320 can be lifted or lowered and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ounting member 240 as described above, the stroke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st point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steel plate 320 can be increased at a limited height .

한편, 승,하강장치(300)의 승강판(320)에는, 안착되는 대형밥솥(800)의 저면을 저온으로 가열하여 내용물을 보온하기 위한 바닥 가열부재(326)가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a bottom heating member 326 for he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arge rice cooker 800 to be placed at a low temperature to keep the contents therein is provided on the lifting plate 320 of the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300.

외부 하우징(400)은, 바닥판(200)의 상부공간(S1)을 외부와 구분하여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각 코너에 프레임이 설치되고 프레임 사이는 다중 절곡된 패널이 결합된다. 다중 절곡된 패널은 충분한 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패널에는 승,하강 스위치(SW)가 설치된다.The outer housing 400 separates the upper space S1 of the bottom plate 200 from the outside and has a frame at each corner and a plurality of folded panels between the frames. The multi-folded panel has sufficient stiffness. A rise and fall switch SW is installed in such a panel.

내부 하우징(500)은, 외부 하우징(400)에 의해 외부와 구분된 상부공간(S1)을 밥솥 수용공간(S2)로 구분하고, 승강판(320)이 승강 및 하강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밥솥(800)이 안착되는 승강판(320)의 상부공간(S1)을 구분하여 대형밥솥(800)이 수용되는 밥솥 수용공간(S2)으로 형성하도록 상부공간(S1) 중앙에 배치되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내부체(520)와, 내부체(520)의 상단과 내부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외측 가장자리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외부 하우징(400)의 패널에 결합되는 상부체(530)로 이루어진다. The inner housing 500 is divided into an upper space S1 separated from the outer space by the outer housing 400 into a rice cooker receiving space S2 and a lifting plate 320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arge rice cooker 800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pace S1 so as to form the rice cooker receiving space S2 in which the upper space S1 of the lifting plate 320 on which the large rice cooker 800 is placed is divided, And an upper body 53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nner body 520 and an inner edge of the inner body 520. The outer edge of the upper body 530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is coupled to a panel of the outer housing 400.

이때, 내부체(520)에는, 도 5에 도시된 확대도와 같이 바와 같이, 측면 가열부재(522)와 단열재(5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가열부재(522)는, 밥솥 수용공간(S2)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72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700)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것으로, 감지온도가 낮으면 측면 가열부재(522)가 작동되어 열을 발생시켜 대형밥솥(800)을 보온하고, 감지온도가 높으면 측면 가열부재(522)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body 520 may be provided with a side heating member 522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524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The side heating member 522 is operat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0 that receives the sensing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720 for sensing the air temperature in the rice cooker receiving space S2. The heating member 522 is operated to generate heat to keep the large rice cooker 800 warm an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ide heating member 522 when the detection temperature is high.

그리고, 단열재(524)는, 내부체(52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가열부재(522)와 같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열재(524)는 밥솥 수용공간(S2)의 온도와 상부공간(S1)의 온도차로 인하여 내부체(520)의 외주면에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524 may be installed alone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body 520, or may be installed as the side heating member 522 as shown in FI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524 prevents condensation from being gener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body 520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rice cooker receiving space S2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upper space S1.

한편, 내부체(520)과 외부체(530)의 경계영역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 수용공간(S2)에 수용된 대형밥솥(800)을 꺼낼 때, 대형밥솥(800)과의 접촉이 연이어 이루어지도록 안내면(540)이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있다. 이러한 만곡진 안내면(540)에 의해 중량물인 대형밥솥(800)을 밥솥 수용공간(S2)에 넣거나 빼내는 작업시, 대형밥솥(800)의 저면과 안내면(540)이 점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낮아져 미끄럼이 발생하게 되므로, 대형밥솥(800)을 밥솥 수용공단(S2)에 넣거나 빼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6, when the large rice cooker 800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2 is taken out from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inner body 520 and the outer body 530, contact with the large rice cooker 800 The guide surface 540 may be curved. have. When the large rice cooker 800 is put into or taken out of the rice cooker receiving space S2 by the curved guide surface 540, the bottom surface of the large rice cooker 800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540, So that the operation of inserting or removing the large rice cooker 800 into or out of the rice cooker receptacle S2 can be smoothly performed.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520)과 외부체(530)의 경계영역을 도시한 일부 확대 도면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진 안내면(540)에 복수개의 안내 로울러(5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안내면(540)에 안내 로울러(550)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대형밥솥(800)이 안내 로우러(550)와 구름 접촉을 하게 되므로, 대형밥솥(800)의 이동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7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inner body 520 and the outer body 5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Except that the guide rollers 550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Since the guide rollers 550 are installed on the guide surface 540 as described above, the large rice cooker 800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guide rollers 550, so that the large rice cooker 800 can be moved more smoothly do.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체(520)과 외부체(530)의 경계영역을 도시한 일부 확대 도면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절곡된 상부체(530)와 내부체(520)에 안내 로울러(550)이 각각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안내 로울러(550)에 의해 대형밥솥(800)이 안내 로우러(550)와 구름 접촉을 하게 되므로, 대형밥솥(800)의 이동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inner body 520 and the outer body 530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upper body 530 and the inner body 520 are provided with guide rollers 550, respectively. Since the large rice cooker 800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guide roller 550 by the guide roller 550, the movement of the large rice cooker 800 can be made more smoothly.

한편, 전술한 바닥판(200)의 상면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장치(300)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승강판(320)과의 가변되는 거리를 토대로 승강판(32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승강판 위치 감지센서(280)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승강판 위치 감지센서(280)가 감지한 승강판(32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밥솥 수용공간(S2)에 수용된 대형밥솥(800)의 갯수를 외부 하우징(400)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430)의 표시부(43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대형밥솥(800)의 높이가 25cm이고, 밥솥 수용공간(S2)의 깊이가 70cm 일 때, 승강판(320)이 최저점에서 25cm 상승했음이 감지되면, 제어부(700)는, 밥솥 수용공간(S2)의 깊이 70cm에서 승강판(320)의 상승 거리 25cm을 뺀 유효 공간 깊이 45cm를 산출한다. 그리고, 유효 공간 깊이가 45cm 이므로, 유효 공간에 2개의 대형밥솥(800)이 수용되어 있음을 표시부(432)에 숫자로 표시하는 것이다. 즉, 유효공간 45cm에는 25cm의 높이를 갖는 대형밥솥(800)이 2개만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숫자로 표시부(432)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최 상위의 대형밥솥(800)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9 and 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bottom plate 200, a plurality of wafers W are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300, A steel plate position sensing sensor 280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teel plate 320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number of the large rice cookers 800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2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eel plate 320 sensed by the lift plate position detecting sensor 280, On the display unit 432 of the control panel 430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if it is detected that the height of the large rice cooker 800 is 25 cm and the depth of the rice cooker receiving space S2 is 70 cm and the lift plate 320 has risen 25 cm from the lowest point, The effective space depth 45cm obtained by subtracting the rising distance 25cm of the lifting plate 320 from the depth 70cm of the accommodation space S2 is calculated. In addition, since the effective space depth is 45 cm, it is indicated by numerals on the display unit 432 that two large rice cookers 800 are accommodated in the effective space. That is, since only two large rice cookers 800 having a height of 25 cm can be accommodated in the effective space 45 cm, they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32 in numbers.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uppermost rice cooker 800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밥솥 수용공간(S2)에 수용된 대형밥솥(800)의 수를 표시부(432)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밥솥 수용공간(S2) 내부를 들여다 보지 않아도 대형밥솥(800)의 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e number of the large rice cookers 800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2 can be grasped through the display unit 432 so that the number of the large rice cookers 800 can be increased even if the user does not look into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2 So that it can be easily and quickly grasped.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하우징(400)의 상부 영역 둘레에는 밥솥 운반대차(10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Although 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knob capable of pushing or pulling the rice cooker carriage 100 can be installed around the upper region of the outer housing 400.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바닥판(200)과 외부 하우징(400)을 사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plate 200 and the outer housing 40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밥솥 수용공간(S2)에 대형밥솥(800)이 3개 수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대형밥솥(800)의 높이에 따라 2개 또는 4개가 수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operation of the rice cooker transportation carriage 100 having the large rice cooker automatic lif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three large rice cookers 800 are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wo or four rice cookers 800 may be accommodat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large rice cooker 800 It is.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장치(300)가 바닥판(200)의 중앙에 형성된 설치공(230)의 설치부재(340) 바닥에 설치되고, 이 승,하강장치(300)의 작동으로 승강판(320)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된 상태에서, 취반기(도시되지 않음)에서 취사가 완료된 대형밥솥(800)을 배식대(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 위치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승,하강 스위치(SW)를 상승 조작하여 승강판(320)이 최고점(밥솥 수용공간의 상부)까지 상승하도록 한다. 11, the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30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member 340 of the installation hole 23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200, In order to transport the large rice cooker 800, which has been cooked in a take-off period (not shown), to a position where a feeding table (not shown) is disposed in a state where the lifting plate 320 is raised or lowered by operation, The lowering switch SW is operated to raise the lifting plate 320 to the highest point (upper portion of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이어서, 대형밥솥(800A)을 승강판(320)에 올린 후, 승강판(320)을 대형밥솥(800)의 높이만큼 하강시킨다. 그리고, 승강판(320)에 안착된 대형밥솥(800A)의 상면에 다른 대형밥솥(800B)을 적층시키고, 다시 승강판(320)을 대형밥솥(800)의 높이만큼 하강시킨다. 이어서, 상부에 위치한 대형밥솥(800B)의 상면에 또 다른 대형밥솥(800C)을 적층시킨 후 승강판(320)을 하강하시킨다. Then, after the large rice cooker 800A is placed on the lifting plate 320, the lifting plate 320 is lowered by the height of the large rice cooker 800. [ Another large rice cooker 800B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rge rice cooker 800A mounted on the lift plate 320 and the lift plate 320 is lowered by the height of the large rice cooker 800 again. Next, another large rice cooker 800C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rge rice cooker 800B located at the upper side, and then the lower steel plate 320 is lowered.

이 과정으로 밥솥 수용공간(S2)에는 3개의 대형밥솥(800A,800B,800C)이 적층되어 수용된 상태가 되고, 최 상부에 위치한 대형밥솥(800C)의 일부는 상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In this process, three large rice cookers 800A, 800B and 800C are stacked and housed in the rice cooker receiving space S2, and a part of the large rice cooker 800C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이와 같이 각 대형밥솥(800A,800B,800C)의 적층이 완료되면, 밥솥 운반대차(100)를 밀어 배식이 실시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대형밥솥(800C)의 뚜껑을 열어 배식을 한다. When the stacking of the large rice cookers 800A, 800B, 800C is completed, the rice cooker transporting carriage 100 is pushed to move to a position where the food is to be fed, and then the lid of the large rice cooker 800C is opened to be fed.

이때, 제어부(700)는 승강판 위치 감지센서(280)가 감지한 승강판(32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밥솥 수용공간(S2)에 수용된 대형밥솥(800)의 수를 표시부(432)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밥솥 수용공간(S2)에 수용된 대형밥솥(800)의 갯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0 displays the number of the large rice cookers 800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2 on the display unit 432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teel plate 320 sensed by the steel plate position detecting sensor 280 do.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grasp the number of the large rice cookers 800 housed in the rice cooker receiving space S2.

한편, 전술한 과정으로 배식공간으로 운반된 대형밥솥(800)들 중에서 최 상부에 위치한 대형밥솥(800C)의 내용물(밥)이 모두 소진되면, 빈 대형밥솥(800C)을 들어내고, 상,하강 스위치(SW)를 조작하여 승강판(320)을 일정높이만큼 상승시킨다. 즉, 승강판(320)을 대형밥솥(800)의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것이다. Meanwhile, when the contents (rice) of the large rice cooker 800C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among the large rice cookers 800 transported to the food distribution space are exhausted, the empty rice cooker 800C is lifted, The lifting plate 320 is raised by a predetermined height by operating the switch SW. That is, the lifting plate 320 is raised by the height of the large rice cooker 800.

이러한 과정의 반복으로, 최 하부에 위치한 대형밥솥(800A)의 배식이 완료되면, 밥솥 수용공간(S2)에 내용물이 없게 되므로, 보온이 불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측면 가열부재(522) 및 바닥 가열부재(326)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When the large rice cooker 800A positioned at the lowermost position is completed by repeating this process, there is no content in the rice cooker receiving space S2, so that the warming is unnecessary, and therefore the side heating member 522 and the bottom heating member (326).

이상에서와 같이, 밥솥 운반대차(100)는, 바닥판(200)에서 직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설치부재(340)의 바닥에 승,하강장치(300)가 설치됨으로써, 전체적인 높이, 예를 들면 상부체(530)과 지면과의 높이가 통상의 배식대 높이와 같거나 유사하도록 구성됨에 불고하고, 통상적인 높이를 갖는 대형밥솥(800)을 다량(3개)으로 수용하여 운반 및 승,하강 스위치(SW)로 자동 승,하강 시킬 수 있고, 특히 승강판 위치 감지센서(280)와 표시부(432)에 의해 밥솥 수용공간(S2)에 수용된 대형밥솥(800)의 갯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ice cooker transportation carriage 100 is provided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300 on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member 340 protruding from the bottom plate 200 so as to directly protrude from the bottom plate 200, The height of the upper body 530 and the ground surface is set to be equal to or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feeding table, and the large rice cooker 800 having a normal height is accommodated in a large amount (three) The number of large rice cookers 800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2 can be quickly and easily grasped by the lifting plate position detecting sensor 280 and the display unit 432 .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밥솥 운반대차 200 : 바닥판
230 : 설치공 240 : 설치부재
300 : 승,하강장치 320 : 승강판
400 : 외부 하우징 500 : 내부 하우징
520 : 내부체 530 : 외부체
700 : 제어부 800, 800A,800B,800C : 대형밥솥
100: rice cooker transportation car 200: bottom plate
230: installation hole 240: installation member
300: win / drop device 320: win /
400: outer housing 500: inner housing
520: inner body 530: outer body
700: control unit 800, 800A, 800B, 800C: large rice cooker

Claims (10)

저면 각 코너에는 이동용 바퀴들이 각각 설치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대형밥솥이 안착되는 승강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된 승,하강장치;
상기 바닥판의 각 변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의 상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외부 하우징; 및
상기 대형밥솥이 안착되는 상기 승강판의 상부공간을 구분하여 상기 대형밥솥이 수용되는 밥솥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공간 중앙에 배치되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내부체와, 상기 내부체의 상단과 결합되는 수평부의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외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체로 이루어진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중앙에는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는, 상기 승,하강장치의 수직방향 길이를 일부 수용하여 상기 승강판의 상승 최고점이 높아지도록, 상기 바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일방향만 개구된 설치공간을 갖는 설치부재가 상기 설치공과 상기 설치공간의 입구가 일치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에는 상기 승,하강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체와 내부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밥솥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형밥솥을 꺼낼 때, 상기 대형밥솥과의 접촉이 연이어 이루어지도록 안내면이 만곡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안내면에 안내 로울러가 설치거나, 상기 대형밥솥과의 구름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안내 로울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A bottom plate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with the wheels for movement;
A raising and lowering device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for raising or lowering a raising plate on which a large rice cooker is seated by a control unit;
An outer housing vertically installed at each side edge of the bottom plate to block the upper space of the bottom plate from the outside; And
A cylindrical inner body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pace to open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so as to form a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arge rice cooker by separating the upper space of the steel plate on which the large rice cooker is placed; And an inner housing formed of an upper body to which an outer edge of the coupled horizontal portion is coupled to the outer housing,
Wherein a bottom of the bottom plate receives a part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so that a rising peak of the lifting plate is higher than a height of the wheel And an installation member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only in one direction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installation hole and the entrance of the installation space are matched with each other,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inner body,
The guide surface may be curved such that contact with the large rice cooker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when the large rice cooker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is taken out, or guide rollers may be installed on the guide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a roller is provided,
Large rice cooker Rice cooker with automatic li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에는,
안착되는 상기 대형밥솥의 저면을 저온으로 가열하여 내용물을 보온하기 위한 바닥 가열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bove steel sheet,
And a bottom heating member for he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arge rice cooker to be placed at a low temperature to keep the contents therein.
Large rice cooker Rice cooker with automatic li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에는,
상기 밥솥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대형밥솥을 저온으로 가열하여 내용물을 보온하기 위한 측면 가열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inner body,
And a side heating member for heating the contents of the large rice cooker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to a low temperature.
Large rice cooker Rice cooker with automatic lif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에는,
상기 밥솥 수용공간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밥솥 수용공간의 공기 온도에 따라 상기 측면 가열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the inner body,
Wherein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air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ide heating member according to an air temperature of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Large rice cooker Rice cooker with automatic li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밥솥 수용공간의 온도와 상기 상부공간의 온도차로 인하여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단열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attached so that condensation is not generated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upper space.
Large rice cooker Rice cooker with automatic li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와 내부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밥솥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형밥솥을 꺼낼 때, 상기 대형밥솥과의 접촉이 연이어 이루어지도록 안내면이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inner body,
Wherein the guide surface is curved such that contact with the large rice cooker is continuously performed when the large rice cooker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is taken out.
Large rice cooker Rice cooker with automatic lif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상기 승,하강장치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상기 승강판과의 가변되는 거리를 토대로 상기 승강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승강판 위치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판 위치 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승강판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밥솥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대형밥솥의 수를 상기 외부 하우징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의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 lift plate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lift plate on the basis of a variable distance between the lift plate and the lift plate which is raised or lower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And controls the number of the large rice cookers accommodated in the rice cooker accommodating spac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panel provided in the outer housing,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eel plate.
Large rice cooker Rice cooker with automatic lift.
제1항 내지 제6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설치부재의 설치공간 바닥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 영역에는 웜휠이 구비된 회전 나사봉;
상기 웜휠과 맞물리는 웜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나사봉과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승강판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나사봉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나사 결합부재;
상기 회전 나사봉과 상기 나사 결합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형의 내부 커버부재; 및
상기 회전 나사봉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상기 내부 커버부재를 지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내부 커버부재를 감싸고, 상단부는 상기 승강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외부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밥솥 자동 리프트를 갖는 밥솥 운반대차.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9,
Wherein the lifting / lowering device comprises:
A rotary screw rod provided rotatably and vertically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space of the mounting member and provided with a worm wheel at a lower end region thereof;
A drive motor provided on a bottom of the installation space, the drive motor including a worm gear engaged with the worm wheel;
A threadedly engaging member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eaded engag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rotating threaded rod and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lifted steel plate and being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threaded rod;
A rectangular inner cover member vertical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space to cover the rotary screw rod and the screw engagement member; And
And an outer cover member which surrounds the inner cover member so as not to rotate while supporting the inner cover member during normal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rotary screw rod and whos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Rice cooker carriage with automatic lift.
KR1020160119469A 2016-09-19 2016-09-19 Cart for rice cooker transport having auto lift device for big rice cooker KR1018141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469A KR101814112B1 (en) 2016-09-19 2016-09-19 Cart for rice cooker transport having auto lift device for big rice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469A KR101814112B1 (en) 2016-09-19 2016-09-19 Cart for rice cooker transport having auto lift device for big rice coo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112B1 true KR101814112B1 (en) 2018-01-03

Family

ID=6100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469A KR101814112B1 (en) 2016-09-19 2016-09-19 Cart for rice cooker transport having auto lift device for big rice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11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2605A (en) * 2020-04-05 2020-08-25 金丽琴 Novel efficient cartoon toy transportation device
CN112874600A (en) * 2020-12-31 2021-06-01 南京深光科技有限公司 Automatic transfer equipment of flexible AMOLED mask
KR102545939B1 (en) 2023-02-27 2023-06-21 흥부산업 주식회사 Lift for raising and lowering rice cook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446B1 (en) * 2006-03-07 2007-05-02 한우정 Carrying apparatus for a steam kettle
JP2009172173A (en) * 2008-01-24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Heating device and food service ca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446B1 (en) * 2006-03-07 2007-05-02 한우정 Carrying apparatus for a steam kettle
JP2009172173A (en) * 2008-01-24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Heating device and food service car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2605A (en) * 2020-04-05 2020-08-25 金丽琴 Novel efficient cartoon toy transportation device
CN112874600A (en) * 2020-12-31 2021-06-01 南京深光科技有限公司 Automatic transfer equipment of flexible AMOLED mask
CN112874600B (en) * 2020-12-31 2022-03-08 南京深光科技有限公司 Automatic transfer equipment of flexible AMOLED mask
KR102545939B1 (en) 2023-02-27 2023-06-21 흥부산업 주식회사 Lift for raising and lowering rice coo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112B1 (en) Cart for rice cooker transport having auto lift device for big rice cooker
US7168905B1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4930408A (en) Large capacity pressure cooker
US9492031B2 (en) Versatile outdoor oven and grill
EP1760000B1 (en) A base for display units, for instance display units for food products
US20130326902A1 (en) Food dehydrator
WO1996008429A1 (en) Storage apparatus
KR102005480B1 (en) Microwave cooker of vending machine of instant ramen
GB2314314A (en) Storage unit with lifting trolley
KR100940491B1 (en) A pot of automatic rice cooker for institutional food service
US11297982B2 (en) Cake carrier
KR102550714B1 (en) Automatic cooking pot feeding machine for robot cooking system
US4397508A (en) Built-in baking and roasting oven
KR101323806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 ascent and descent of rice cooker for food service
KR100712446B1 (en) Carrying apparatus for a steam kettle
US10329087B2 (en) Transport carrier with enhanced loading/unloading
KR101281562B1 (en) a shopping cart
KR101925390B1 (en) Variable Dining Table
KR20100020508A (en) The wall fixation storage where the high and low control is possible
KR101134009B1 (en) Up-down apparatus for tray
KR102545939B1 (en) Lift for raising and lowering rice cooker
JP5903449B2 (en) Wheelchair with stock shelf for serving
KR102129310B1 (en) Automatic noodle cooker
KR101943093B1 (en) 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CN216286927U (en)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