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093B1 - 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093B1
KR101943093B1 KR1020170076829A KR20170076829A KR101943093B1 KR 101943093 B1 KR101943093 B1 KR 101943093B1 KR 1020170076829 A KR1020170076829 A KR 1020170076829A KR 20170076829 A KR20170076829 A KR 20170076829A KR 101943093 B1 KR101943093 B1 KR 101943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p
ramen
support plate
lifting
noo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7314A (en
Inventor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최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환 filed Critical 최정환
Priority to KR102017007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093B1/en
Publication of KR2018013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3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력용기로 라면을 조리하여 주문자에게 제공하는 라면자판기 내에 설치되어 압력용기에 라면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승강바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복수개 형성된 빗살 형상의 라면지지판; 상기 통로 중 둘 이상에 걸쳐 입설되고, 내부에 라면이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타워; 상기 통로 외측에 한 쌍이 수직으로 구비되는 승강스크류; 및 상기 상승스크류와 각각 나사 결합되고, 상승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적층된 라면을 상승시키는 한 쌍의 승강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m noodle feeder of a ram noodle machine, which is provided in a ram noodle machine provided with a ram noodle for cooking a ram noodle with a pressure vessel and supplying a ram noodle to the pressure vessel, wherein a plurality of passages A comb-like ramp support plate; At least one receiving tower which is installed over two or more of said passages and in which a ramp is laminated; An elevating screw vertical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ssage; And a pair of lifting bars which are respectively threadedly engaged with the lifting screw and lifting the laminated ramp while passing through the lifting screw by rotation of the lifting screw.

Description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men supplying device for a ramen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라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면을 주문하면 빠른 시간 내 조리하여 주문자에 제공할 수 있는 라면자판기 내에 구비되어, 라면을 급속조리하는 압력용기로 라면을 하나씩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men suppl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men supplying device which is provided in a ramen vending machine which can provide the user with a ramen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ordering the ram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men supply device for a ramen vending machine.

일반적으로, 라면은 이미 조리된 라면에 온수를 부어 조리하도록 된 컵라면과, 라면을 끓는 물에 넣고 스프를 투입하고, 취향에 따라 각종 양념을 추가하여 조리하도록 된 봉지 라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Generally, ramen is classified into a cup noodle which is prepared by pouring hot water into a ramen noodle which has already been cooked, a bag noodle which is prepared by adding soup into ramen noodles and boiling water, and adding various seasonings according to taste.

이와 같은 라면 중에서 컵라면은 온수만 준비된다면 야외에서도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컵라면을 자동으로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는 이미 개발될 수 있었다. 즉, 컵라면의 경우 가공과정에서 미리 끓는 물만 넣으면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뜨거운 물을 부어 2~4분 만에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장소의 제약이 적다는 장점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도가 있어, 자동판매기로 쉽게 개발될 수 있었다.Among such ramen, if the cup noodle is prepared only hot water, it can be easily cooked and consumed in a short time in the outdoor, so that a vend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selling cup noodles could be developed.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cup noodles, it is possible to eat only boiling water before processing, so it can be eaten in 2 to 4 minutes by pouring hot water. It could be easily developed as a vending machine.

그러나 이와 같은 컵라면 자동판매기는 용기에 온수를 주입하는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해야 하는 반자동식으로 사용에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수반되고, 맛이나 식감에 있어서 온수를 붓고 일정 시간 기다려서 먹는 것이므로, 직접 끓여 먹는 봉지 라면에 한참 못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컵라면의 조리 방식은 그 방식이 집에서 끓여 먹는 봉지 라면과는 달리 뜨거운 물에 불려 먹는 방식으로 그 맛이나 식감이 끓여 먹는 라면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up,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is a semi-automatic method in which the user must manually perform the process of injecting the hot water into the container, which is accompanied by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and pouring hot water for taste or textu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overcome much if you eat boiled bag. In other words, the cooking method of cup noodles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e ramen noodles in which the taste and texture of noodles are boiled and consumed in the way that they are eaten by hot water, unlike the case of a bag that is boiled for eating at home.

최근에는 즉석에서 자동으로 조리하여 끓여 먹는 라면과 마찬가지의 식감을 제공할 수 있는 라면 자동판매기가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ramen vending machine capable of providing the same texture as instant noodles, which are automatically cooked and boiled, is being develop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7332호의 경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봉에 의해 라면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방사형으로 각각 형성된 수납부; 제1구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부를 일정한 각도만큼씩 회전시키도록 된 구동부; 상기 수납부의 위치를 감지하고, 수납공간에 라면이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된 감지부;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라면을 라면 투출공으로 배출시키도록 된 라면 공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라면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다수개의 수직봉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라면의 보관상태나 수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수납공간 자체가 회전됨으로써 라면이 손상되거나 금속판과의 마찰로 인한 이물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다량의 라면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In the case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87332, "a receiving portion formed radially by each of a plurality of vertical rods provided between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A sensing unit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torage unit and sensing whether the storage space is present, and a noodle supply unit configured to discharge the noodl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o the noodle discharge hole The storage space in which the ramen is housed is formed by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so that the storage state and quantity of the ramen can be easily grasped and the storage space itself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oreign matter caused by the use of the noodle, and to manufacture a storage portion capable of storing a large amount of ramen at low cost Effect is provided.

그런데 이 장치는 공급을 위해 적층된 라면 중 맨 하단에 있는 라면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이미 적층된 라면의 무게로 인해 맨 하단의 라면을 투출시키는데 많은 구동력이 소모되고 라면간 마찰로 인해 라면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is device is supplied from the noodle at the bottom of the noodle stacked for supply, a lot of driving force is consumed for discharging the noodle at the bottom due to the weight of the noodle noodle, and the surface of the noodle is damaged There is a problem.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9-025752(1999.4.6)"라면자동판매기"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9-025752 (April 6, 199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87332(2000.4.17)"라면자판기용 라면공급장치"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187332 (Apr. 17, 2000) "Ramen Feeding Device for Vending Machin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07102(2003.2.28)"라면자동판매기"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307102 (Feb.28, 2003) "Ramen Vending Machine"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26515(2014.10.31)"라면 자동판매기 및 그의 제어방법"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4-0126515 (Oct. 31, 201) "Ramen Vend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라면자판기 내에 구비되어, 라면을 조리하는 압력용기에 라면을 하나씩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m noodle supply device for a ram noodle machine, which is provided in a ram noodle machine and is capable of stably supplying ram noodles one by one to a pressure vessel for cooking ram noodles.

또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구동력 소모가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며, 라면공급시 라면의 손상이 없이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m noodle feeder of a ramen vending machine which can be supplied precisely without damaging the ram noodle when the ram noodle is supplied.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는, 압력용기로 라면을 조리하여 주문자에게 제공하는 라면자판기 내에 설치되어 압력용기에 라면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승강바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복수개 형성된 빗살 형상의 라면지지판; 상기 통로 중 둘 이상에 걸쳐 입설되고, 내부에 라면이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타워; 상기 통로 외측에 한 쌍이 수직으로 구비되는 승강스크류; 및 상기 상승스크류와 각각 나사 결합되고, 상승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적층된 라면을 상승시키는 한 쌍의 승강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upplying a ram noodle to a pressure vessel, the ram noodle supplying apparatus being provided in a ram noodle machine for providing a ram noodle to a customer by cooking a ram noodle with a pressure vessel, A comb-like ramp support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passages are formed; At least one receiving tower which is installed over two or more of said passages and in which a ramp is laminated; An elevating screw vertical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ssage; And a pair of lifting bars that are respectively threadedly engaged with the lifting screws and lifting the laminated ramps while passing through the lifting screws by rotation of the lifting screws.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수납타워 중 어느 하나의 라면이 소진되면 다른 하나의 수납타워의 라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라면지지판 하부에 상기 라면지지판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i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torage towers is exhausted, a transfer means for moving the ramp supporting plate to the left and right can be further provided below the ramp support plate so as to supply the ramp of another storage tower.

이때,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라면지지판의 하측에 상기 라면지지판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로드리스 실린더와, 상기 라면지지판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로드리스 실린더에 장착되어 수평으로 직선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veying means includes a horizontal rodless cylinder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mshaft support plate below the ramshaft support plate, a horizontal rodless cylinde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ramshaft support plate and mounted on the horizontal rodless cylinder, And a slider.

그리고 적층된 라면의 상단에는 최상단의 라면이 접촉되면 상기 승강스크류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And a limit switch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lifting screw when the uppermost ramped surfa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laminated ramp.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지만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라면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ly of the ramen can be achieved with a simple and simple but accurate and stable structure of the apparatus.

그리고 고장이나 불량이 적어 유지관리가 쉽고, 라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Moreover, it is easy to maintain and minimize the damage of the ramen because there is little trouble or badness.

또 구동력의 소모가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므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sumption of the driving force is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waste of electric power can be reduced.

도 1은 라면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라면지지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ramen vending machine.
FIG. 2 is a plan view of a ram noodle feeder of a ram noodl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the ramp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vey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는 라면자판기 내부에 설치되어 라면을 압력용기로 하나씩 차례로 공급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이를 이해하기 위해 라면자판기의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ramp supply device of the ramp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ramp vending machine and enables the ramp to be supplied one by one to the pressure container. To understand this, the structure of the ramp vending machine is briefly described .

도 1은 라면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ramen vending machine.

라면자판기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라면공급장치(100)를 포함해서 상기 라면공급장치(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라면을 라면조리장치(400)로 이송하는 라면이송장치(200), 상기 라면이송장치(2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온수를 저장하여 라면조리장치(400)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300), 상기 라면공급장치(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압력용기(410)와 이를 밀폐하는 압력커버(420)로 구성되어 고압에서 라면을 조리하는 라면조리장치(400), 상기 라면조리장치(400)의 하측으로 라면용기(C)를 공급하는 라면용기공급장치(500) 및 상기 라면조리장치(400)에서 조리된 라면을 라면용기(C)로 전달, 배급하는 라면배급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주문자가 외부에서 주문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라면이 조리되어 주문자에게 제공되도록 작동한다.The vending machine includes a raman transfer device 200 including a ramen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stalled on the ramen supply device 100 for transferring the supplied ramyee to the ramen ramen 400, A hot water supply device 30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amie transfer device 200 and supplying hot water to the cooking device 400 if the hot water is stored, a pressure container 41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amie supply device 100, And a pressure cover 420 for sealing the noodle container 400. The noodle container feeding device 500 for feeding the container C to the lower side of the noodle cooking device 400, And a ramen dispenser 600 for transferring and delivering the ram noodle cooked in the ram noodle 400 to the ramen noodle container C. When the orderer inputs an order from outside, the ram noodle is automatically cooked and supplied to the orderer Lt; / RTI >

상술한 라면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 2, 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라면지지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ogether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ram noodle machine, the ram noodle supply apparatus of the ram noodle mach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ramp feeder of a ramen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ramp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는 크게 라면지지판(110), 수납타워(120), 승강스크류(130), 승강바(140) 및 이송수단(150)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다수개의 적층된 라면을 상승시키면서 라면조리장치로 하나씩 공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구성들과 더불어 리미트스위치(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ramp supply device of the ram noodl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110, a storage tower 120, an elevation screw 130, a lift bar 140, and a conveying means 150 And is supplied one by one to the cooker while raising a plurality of stacked ram noodl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mit switch 160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먼저, 상기 라면지지판(110)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평판 형상이며, 그 위에 다수개의 라면(R)이 적층된 상태로 올려질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라면을 받치면서 지지한다.First, the ramp support plate 110 is a horizontally disposed flat plate, and a plurality of ram noodles R are stacked thereon. That is, it supports and supports the ramen.

구체적으로,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형상은 도시되 바와 같이 빗(comb) 형상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ramp support plate 110 may be a comb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다시 말해서, 복수개의 빗살(111)과 통로(112)가 차례로 번갈아 가며 형성되는데, 상기 빗살(111)은 빔 형상이고 상기 통로(112)는 빗살(1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후술하는 승강바(140)가 승강할 때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통로(112)는 평판에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comb teeth 111 and a passage 112 are alternately formed in turn. The comb teeth 111 are formed in a beam shape and the passage 112 is formed as a space formed between the comb teeth 111, 140 can move up and down. The passage 112 may be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flat plate.

이때, 상기 라면지지판(110)은 라면자판기 내에서 하부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이송수단(150)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ramp support plate 11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amp vending machine, and can be moved laterally by the transporting means 150 described later.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폭과 길이는 라면을 충분히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적층된 라면을 1열(column)이라고 할 때, 다수 열의 라면을 지지할 경우 다수 개 라면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길게 라면지지판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The width and the length of the ramp support plate 110 may be designed to sufficiently raise the ramp surface. When the laminated ramp surface is referred to as a column, when a plurality of ramp surfaces are supported, If it is longer than the length, it can be designed to have the length of the support plate.

여기서,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길이에 따라, 다시 말해서 적층된 라면 열의 개수에 따라 상기 통로(112)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number of the passageways 112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ramp support plate 110, that is, the number of ramped ramps.

라면 1개의 면적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라면지지판(110)은 빗살 3개와 통로 2개가 소요될 수 있다. 라면 1개당 통로가 2개인 것은 후술하는 승강바 2개가 통로를 지나면서 라면을 지지한 상태로 승강시키기 때문이다.The ramp support plate 110 may take three combs and two passages to support one area.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wo passageways per one ramp are moved up and down in a state of supporting ram noodles while passing through the two passageways.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라면이 2열일 경우,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빗살(111)은 5개, 통로(112)는 4개가 적절하다. 만일, 3열이 되면, 빗살은 7개, 통로는 6개가 될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laminated noodles are two rows as shown in the figure, five comb teeth 111 and four rollers 112 are appropriate. If it is the third column, there will be seven combs and six corridors.

물론, 라면 1개당 빗살 4개, 통로 3개가 소요되도록 설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 경우에는 승강바 3개가 라면을 지지하면서 승강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design can be designed to take four combs and three passages per ram noodle. In this case, three lift bars can be raised and lowered while supporting the ramen.

다음으로 상기 수납타워(12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면지지판(110)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채널 형상을 이루며 상기 라면지지판(110) 위에 고정된다.1 and 2, the receiving tower 120 is installed on the ramp supporting plate 110, and is formed on the ramp supporting plate 110 in a channel shape having an open top and a bottom.

상기 수납타워(120)는 복수개의 라면이 적층 및 수납되는 공간이다.The storage tower 120 is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ram noodles are stacked and housed.

이때, 상기 수납타워(120)의 단면적은 라면 1개의 면적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라면이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으면서, 상승 이동시 방해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ceiving tower 120 is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area of one ramp surface, so that the ramp surface can be easily accommodated and should not be obstructed during the ascending movement.

그리고 상기 수납타워(120)는 사방이 막힌 형상일 수도 있고, 다르게는 모서리 부분에 '┓'형 앵글(121)을 입설하여 적층된 라면의 상태가 보이도록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혹은 전면에 '┓'형 앵글(121) 2개를 사용하고, 후면에는 '┗┛'형 앵글(122)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tower 120 may have a shape that is closed at all sides, or may have a shape in which a '┓' -shaped angle 121 is formed at an edge portion to open the laminated state of the ramp. Alternatively, two '┓' type angles 121 may be used on the front side and a '┗┛' type angle 122 may be used on the rear side.

또 상기 수납타워(120)는 라면 열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각 수납타워(120)는 상기 통로(112) 중 둘 이상에 걸쳐 입설될 수 있다. 즉, 빗살 3개에 걸쳐 입설되게 함으로써 2개의 통로(112)가 내부에 포함되게 설치할 수 있다.At least one storage tower 120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rows of ramps, and each storage tower 120 may extend over two or more of the passageways 112. That is, it is possible to install two passageways 112 so as to be installed over three combs.

따라서, 어느 하나의 수납타워(120)에 적층된 라면(R)이 모두 소진되면 상기 라면지지판(110)이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다른 수납타워(120)가 상기 승강바(140)의 상측에 위치하여 라면의 승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ram nets R stacked on any one of the receiving towers 120 are exhausted, the ram holding plate 11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other receiving towers 120 are positioned above the elevating bars 140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ramen.

참고로 상기 수납타워(120)의 단면 형상은 라면의 형상에 맞게 형성될 수 있는데, 사각 라면의 경우 사각형, 원형 라면인 경우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orage tower 120 may be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ramp, which may be a rectangle in the case of a rectangular ramp, or a circle in the case of a ramp.

다음으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승강스크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이다.Next, the elevating screw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상기 통로(112)들의 외측,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전방에 승강스크류(130)가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an elevating screw 13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ssages 112 and in front of the ramp support plate 110.

상기 승강스크류(130)는 한 쌍이 이격되어 수직으로 입설되는데, 서로 상기 통로(112) 간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The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screws 130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n interval between the passages 112.

그리고 상기 승강스크류(13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승강용 모터(131)에 의해 회전한다. 이때, 한 쌍의 승강스크류(130)는 서로 동기화되어 함께 회전한다.A mal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ing screw 130 and is rotated by the lifting motor 131. At this time, the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screws 130 rotate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이를 위해, 상기 승강스크류(130)의 하단에는 각각 종동풀리(133)가 결합되고, 상기 승강스크류(130)의 일측에는 승강용 모터(131)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용 모터(131)에는 구동풀리(13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132)와 종동풀리(133)는 서로 벨트(134)에 의해 동력이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풀리(132)와 한 쌍의 종동풀리(133)는 삼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o this end, a driven pulley 133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screw 130, a lifting motor 13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ifting screw 130, and the lifting motor 131 is driven A pulley 132 is mounted. The driving pulley 132 and the driven pulley 133 are transmitted to each other by a belt 134. Here, the driving pulley 132 and the pair of driven pulleys 133 are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and can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이러한 풀리와 벨트의 동력전달 방식 외에 기어나 체인 등 다른 방식의 동력전달수단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o the pulley and belt power transmission system, other types of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gears and chains may be possible.

상기 각 승강스크류(130)에 결합된 종동풀리(133)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여 회전비가 서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기 승강스크류(130)도 서로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en pulleys 133 coupled to the lifting screws 130 are identical to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ng ratios are the same so that the lifting screws 130 rotate equally.

그리고 상기 각 승강스크류(130)에는 승강바(140)가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elevating bars 140 may be screwed to the elevating screws 130.

즉, 상기 승강바(140)의 일단은 상기 승강스크류(130)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연장되어 상기 통로(112)의 직하방에 위치한다.That is, one end of the lifting bar 140 is screwed to the lifting screw 130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a position directly below the passage 112.

이때, 상기 승강바(140)는 상기 승강스크류(13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플레이트(plate) 혹은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승강바(140)는 상기 수납타워(120)의 내부를 통해 승강하므로 상기 승강바(140) 위에는 적층된 라면이 올려져 상기 승강바(140)의 상승에 의해 적층된 라면 전체도 상승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lifting bar 140 can move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lifting screw 130, and can be a plate or a bar. Since the lifting bar 140 is lifted through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tower 120, the ramped rammed surface is raised on the lifting bar 140, and the entire rammed surface raised by the lifting bar 140 is lifted .

여기서, 상기 승강바(140)의 폭과 길이는 상하로 움직일 때 상기 통로(112)를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width and the length of the lifting bar 140 may have a width and a length enough to pass through the passage 112 when the lifting bar 140 moves up and down.

이때, 상기 수납타워(120)가 사방이 막힌 채널 형상일 경우에는 상기 승강바(1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타워(120)에 전면에 한 쌍의 절개라인을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receiving tower 120 has a closed channel shape, a pair of cutting lines may be vertically formed on the receiving tower 120 so that the lifting bar 140 can pass through.

만일, 상기 수납타워(120)가 '┓'형 앵글을 사용한 경우라면, 절개라인은 필요가 없이 앵글 사이를 통해 상기 승강바(140)가 승강할 수 있다.If the storage tower 120 uses a "┓" -shaped angle, the lifting bar 140 can be raised and lowered between the angles without the need of a cutting line.

한편,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하부에는 상기 라면지지판(110)을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15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Meanwhile, a conveying unit 150 for conveying the ramp support plate 110 to the left and right may be provided under the ramp support plate 110.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vey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상기 이송수단(150)은 상기 라면지지판(110) 하측에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로드리스 실린더(151)와, 상기 수평로드리스 실린더(1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152)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veying means 150 includes a horizontal rodless cylinder 151 which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mp supporting plate 110 below the ramp supporting plate 110 and a horizontal rodless cylinder 151 which is slidably mounted on the horizontal rodless cylinder 151 And a slider 152 that reciprocates linearly.

로드리스 실린더(Rodless Cylinder)는 로드(rod)가 없거나 내부에 내장된 형태로 직선 왕복 이동이 필요한 곳에 널리 사용되는 실린더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수평 로드리스실린더(151)는 공압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rodless cylinder is a cylinder which is widely used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rod or where a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is required in the form of a built-in rod, so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horizontal rodless cylinder 15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by pneumatic pressure.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52)는 상기 라면지지판(11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라면지지판(110)의 하부면과 결합된다. The slider 152 is engag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amp support plate 110 so that the ramp support plate 110 is slidable.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스크류(130)의 상단에는 리미트스위치(160)가 구비될 수 있다.1, a limit switch 16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lifting screw 130. [

구체적으로는 적층된 라면들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라면이 상기 승강바(140)에 의해 상승될 때 최상층에 있는 라면이 접촉되면 상기 승강용 모터(131)를 정지시켜 상기 승강스크류(130)의 회전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라면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이후 상기 라면이송장치가 작동된다. Specifically, when the ramp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mped ramps, when the ramp on the uppermost layer comes into contact when the ramp is lifted by the lifting bar 140, the lifting motor 131 is stopped to rotate the lifting screw 130 Lt; / RTI > Therefore, the ramped surface is no longer raised, and then the ramped surface transport device is operated.

이하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두 개의 수납타워(120)를 구비한 경우, 각 수납타워(120)에 라면(R)을 적층시켜 채워넣는다.When two storage towers 120 are provided, the respective storage towers 120 are laminated and filled with ram noodles R.

그리고 상기 수평로드리스 실린더(151)가 공압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슬라이더(152)는 일측으로 직선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더(152)에 결합된 상기 라면지지판(110)도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한다. When the horizontal rodless cylinder 151 is driven by air pressure, the slider 152 moves linearly to one side, and the ram supporting plate 110 coupled to the slider 152 also slides to one side.

이때, 상기 라면지지판(110)은 라면을 공급하고자 하는 수납타워(120)가 상기 승강바(140)의 직상방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한다. 즉, 상기 수납타워(120) 내에 있는 상기 통로(112)에 각각 상기 승강바(140)가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amp supporting plate 110 moves until the receiving tower 120 to which the ramp is to be supplied is positioned in the upper right room of the elevating bar 140. That is, the elevating bar 140 is positioned in the passage 112 in the accommodating tower 12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승강용 모터(131)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풀리(132)가 회전하고 벨트(134)로 연동된 상기 종동풀리(133)들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종동풀리(133)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승강스크류(130)가 함께 회전한다.When the lifting motor 131 is driven, the driving pulley 132 rotates and the driven pulleys 133 interlocked with the belt 134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driven pulley 133 is coupled to the driven pulley 133, The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screws 130 rotate together.

상기 승강스크류(13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승강바(140)는 각각 상승하기 시작하고 상승하는 승강바(140)는 상기 통로(112)를 통과하면서 수납타워(120) 내에 적층된 라면들을 지지하면서 마치 지게차가 화물을 리프팅하는 것과 같이 라면(R)을 상승시킨다.The lifting bar 140 starts lifting due to the rotation of the lifting screw 130 and the lifting bar 140 ascending and descending passes the lifting bar 130 while supporting the rams accumulated in the receiving tower 120 Raise the ramp (R) as if the forklift is lifting the cargo.

라면이 상승함에 따라, 맨 상층의 라면이 직상방에 있는 리미트스위치(160)를 터치하면 제어부에 의해 승강용 모터(131)의 구동을 중지시킨다.As the ramp increases, when the ramp on the uppermost layer touches the limit switch 160 in the upper right room, the controller stops the driving of the lifting motor 131 by the control unit.

이러한 방식으로 수납타워(120) 내의 모든 라면이 소진되면, 제어부에서 상기 승강용 모터(131)를 역회전시켜 상기 승강바(140)를 맨 하단으로 하강시킨다.In this manner, when all the ramps in the storage tower 120 are exhausted, the control unit reversely rotates the lifting motor 131 to lower the lifting bar 140 to the bottom.

그리고 다시 상기 수평로드리스 실린더(151)를 구동시켜 상기 라면지지판(110)을 위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다른 수납타워(120)가 상기 승강바(140)의 직상방에 위치하면 정지된다.The horizontal rodless cylinder 151 is driven again to move the ramp support plate 110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stop when the other storage tower 120 is positioned in the upper right room of the lift bar 140.

동일한 과정으로 새로운 수납타워에 적층된 라면을 하나씩 상승시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In the same process, the ram noodles stacked on new storage towers are raised one by one and supplied.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 라면공급장치
110 : 라면지지판 111 : 빗살
112 : 통로
120 : 수납타워 121 : '┓'형 앵글
122 : '┗┛'형 앵글
130 : 승강스크류 131 : 승강용 모터
132 : 구동풀리 133 : 종동풀리
134 : 벨트
140 : 승강바
150 : 이송수단
151 : 수평로드리스 실린더 152 : 슬라이더
160 : 리미트스위치
200 : 라면이송장치 300 : 온수공급장치
400 : 라면조리장치 410 : 압력용기
420 : 압력커버 500 : 라면용기공급장치
600 : 라면배급장치
R : 라면 C : 라면용기
100: Ramen feeder
110: ramp support plate 111: comb
112: passage
120: storage tower 121: '┓' type angle
122: '┗┛' type angle
130: lifting screw 131: lifting motor
132: drive pulley 133: driven pulley
134: Belt
140: Lift bar
150: conveying means
151: Horizontal rodless cylinder 152: Slider
160: Limit switch
200: Ramen transfer device 300: Hot water supply device
400: Ramen cooker 410: Pressure vessel
420: Pressure cover 500: Ramen container supply device
600: If the distribution device
R: Ramen C: Ramen container

Claims (4)

압력용기로 라면을 조리하여 주문자에게 제공하는 라면자판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용기에 라면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승강바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복수개 형성된 빗살 형상의 라면지지판;
상기 통로 중 둘 이상에 걸쳐 입설되고, 내부에 라면이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타워;
상기 통로 외측에 한 쌍이 수직으로 구비되는 승강스크류;
상기 승강스크류와 각각 나사 결합되고, 각 승강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각 통로를 통과하면서 적층된 라면을 상승시키는 한 쌍의 승강바;
상기 라면지지판의 하측에 상기 라면지지판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로드리스 실린더와, 상기 라면지지판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로드리스 실린더에 장착되어 수평으로 직선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납타워 중 어느 하나의 라면이 소진되면 다른 하나의 수납타워의 라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라면지지판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
적층된 라면의 상단에는 구비되어 최상단의 라면이 접촉되면 상기 승강스크류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upplying a ram noodle to a pressure vessel provided in a ramen vending machine provided with a ram noodle,
A comb-like ramp suppor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which the lift bar can pass;
At least one receiving tower which is installed over two or more of said passages and in which a ramp is laminated;
An elevating screw vertical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ssage;
A pair of lifting bars which are respectively screwed with the lifting screws and lift up the laminated surface while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passages by rotation of the lifting screws;
A horizontal rodless cylinder provided below the ramp support plat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mp support plate and a slide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ramp support plate and mounted to the horizontal rodless cylinder and horizontally reciprocating in a straight line, A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ramp support plate from one side of the storage tower to the other side so as to supply the ramp of another storage tower when the ramp is exhausted;
And a limit switch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laminated ramp to stop the rotation of the elevation screw when the ramp at the uppermost e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amp switc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76829A 2017-06-16 2017-06-16 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KR101943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829A KR101943093B1 (en) 2017-06-16 2017-06-16 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829A KR101943093B1 (en) 2017-06-16 2017-06-16 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14A KR20180137314A (en) 2018-12-27
KR101943093B1 true KR101943093B1 (en) 2019-01-28

Family

ID=6495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829A KR101943093B1 (en) 2017-06-16 2017-06-16 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0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105B1 (en) * 2021-11-01 2022-02-09 농업회사법인(주)영풍 Tteokbokki Vending Machine with Bubble Removal Function in Sau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224B1 (en) * 2010-08-05 2012-01-30 주식회사 웅기 Vessel transfer apparatus and noddle cooking machine having the vessel transfer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224B1 (en) * 2010-08-05 2012-01-30 주식회사 웅기 Vessel transfer apparatus and noddle cooking machine having the vessel transf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14A (en)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4751B2 (en) Vertical storage and distribution device and drug dispenser
KR101895049B1 (en) Automatic ramen vending machine using pressure vessel
EP2820978A1 (en) Automatic meal serving system
CN104986374B (en) A kind of fruit automatic boxing machine and fruit packing method
KR101943093B1 (en) 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CN104186714A (en) Automatically stir-frying complete equipment for bar-type tea and te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20019286A (en) A continuous dump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EP3031037B1 (en) Automatic warehouse
KR101985001B1 (en) 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JP2011219174A (en) Sheet glass storage device
KR101146244B1 (en) Apparatus for boiling anchovies
KR100542110B1 (en) Stick insert device for icecream
CN109720643B (en) Unmanned dining room system of processing
DK2700597T3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cking or destacking of boxes
JP5635424B2 (en) Top plate automatic feeder
KR200359263Y1 (en) Steaming for rice cake
CN201617714U (en) Bowl taking and conveying mechanism of food machine for automatically cooking noodles, dumplings and the like
KR20220125105A (en) Apparatus for supply Anchovies and trays
CN113349629A (en) Food cooking machine
KR100526324B1 (en) Cup dispenser for ice cream
CN103355996B (en) A kind of air-flotation type medicine outlet device
CN109720650B (en) Automatic food material overturning device and unmanned restaurant processing system
CN213504261U (en) Three-dimensional intelligent storage
CN219750255U (en) Lunch box packaging device
CN213416153U (en) Packaging barrel conveying and lif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