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965B1 -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 Google Patents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965B1
KR101133965B1 KR1020080047686A KR20080047686A KR101133965B1 KR 101133965 B1 KR101133965 B1 KR 101133965B1 KR 1020080047686 A KR1020080047686 A KR 1020080047686A KR 20080047686 A KR20080047686 A KR 20080047686A KR 101133965 B1 KR101133965 B1 KR 101133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onitrile
weight
butadiene
parts
la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672A (ko
Inventor
최호열
한정수
양승훈
김정은
한장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80047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96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유화제와 함께 에틸렌옥사이드계 술폰산염을 유화제로 사용할 경우 중합 안정성이 현격히 향상되어 반응기 내부의 응고물이 감소되며 라텍스 내부의 응고물이 줄어들어 장갑 제조 시 외관 물성이 향상되고 인장강도 및 신장률과 같은 장갑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라텍스, 에틸렌옥사이드계 술폰산염, 유화제

Description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Method of preparing acrylonitril-butadien latex and acrylonitril-butadien latex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라텍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용, 검사용 니트릴 장갑을 제조하는 원료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의료 검사용 및 공항 및 소포의 검사를 위하여 사용되는 장갑의 수요가 연 10% 이상 증가를 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던 주 원료인 PVC와 천연고무에 문제점이 야기되면서 새로운 원료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PVC의 장갑은 PVC 플라스티솔(Plasti-sol)과 DOP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방식으로 환경 문제로 인하여 점차 생산 및 수요가 줄어들며 새로운 대체제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천연고무의 경우는 단백질로 인한 피부 알러지를 야기하여 미국을 중심으로 그 사용이 크게 제한되어, 특히 병원과 식당을 중심으로 그 사용이 중단되 어 가고 있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를 사용하여 장갑을 제조할 경우 위의 원료들이 야기하는 환경 문제와 피부 알러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어 가고 있으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 시 중합 안정성이 저하되며 응고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즉, 응고물 발생으로 인하여 장갑 제조 후에 표면에 응고물이 남게 되어 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장갑의 물성에도 치명적인 문제점을 일으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최종 생성물의 중합 안정성을 크게 향상하여 장갑 본연의 물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반응기 내부의 응고물 생성을 억제하여 내부 청소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를 제조할 때 적절한 유화제를 사용할 경우 중합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품질의 장갑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에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중합 제조방법에 있어서, 에틸렌옥사이드계 술폰산염을 유화제로 사용함으로써 중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부타디엔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산 단량체를 중합시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는 중합체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15 내지 35 중량부, 부타디엔계 단량체 55 내지 75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산 단량체 0.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중합시켜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연쇄이동제를 추가로 투입하여 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연쇄이동제는 중합체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계 술폰산염은 바람직하게 중합체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는 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틸렌옥사이드계 술폰산염은 알킬페놀 에톡시레이트로, 탄소수 5~15의 알킬 및 5~30의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에는 상기 에틸렌옥사이드계 술폰산염과 함께 추가적으로 소디움도데실벤젠술포산 염 및 소디움나프탈렌산 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합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반응기 내부의 응고물 생성 정도와 라텍스 내부의 응고물 생성 정도를 감소시켜 장갑 제조 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인 소디움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SDBS)와 소디움나프탈렌산염(SANS) 외에 에틸렌옥사이드계 소디움술폰산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중합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어 응고물의 생성이 크게 억제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는 중합 안정성이 우수하고 응고물이 적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부타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산 단량체 및 연쇄이동제를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중합체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15 내지 35 중량부, 부타디엔계 단량체 55 내지 75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산 단량체 0.1 내지 10 중량부, 연쇄이동제 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하여 에멀젼 중합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는 중합된 공중합체에 적절한 경도 및 내화학성을 부여하는 작용을 하며, 중합체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경도와 내화학성을 나타낼 수 없으며,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연성이 저하된다 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는 중합된 공중합체에 유연성과 인장강도 및 신장률을 부여하는 작용을 하며, 통상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의 부타디엔계 단량체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1,3-부타디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는 중합체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 내지 7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5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중합된 공중합체가 너무 단단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7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직성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산 단량체는 중합된 공중합체의 중합 안정성 및 전환율 향상을 향상시키고 인장강도를 개선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산 단량체는 불포화카르복실산 또는 1 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폴리카르복실산 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불포화카르복실산으로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또는 말레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불포화 폴리카르복실산 알킬 에스테르로는 이타콘산 모노에틸 에스테르, 푸마르산 모노부틸 에스테르, 또는 말레산 모노부틸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산 단량체는 사용되는 중합체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연성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쇄이동제(chain transfer agent)는 스티렌-부타디엔계 공중합체의 분자량, 겔함량, 및 겔 구조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그 함량은 사용되는 중합체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연쇄이동제로는 n-도데실 머캅탄, t-도데실 머캅탄 등 머캅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중합 반응물에 유화제로서 알킬페놀 에톡시레이트로, 탄소수 5~15의 알킬 및 5~30의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에틸렌옥사이드계 술폰산염을 사용한다. 특히, 에틸렌옥사이드계 소디움술폰산을 포함시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계 소디움술폰산은 중합체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이하로 사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응고물 방지의 효과가 달성되지 않으며, 5 중량부 이상을 사용할 경우에는 과도한 입자가 생성됨으로 인해 중합 안정성이 저하되어 오히려 그 효과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티렌-부타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시에는 통상의 중합개시제, 유화제 등의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소디움도데실벤젠술폰산 염 및 소디움나프탈렌산 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조성으로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이엔계 라텍스는 이후 통상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에서 실시되는 탈취단계를 실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냉각기, 질소가스의 인입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량체, 유화제, 및 중합개시제를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장치된 10 L의 가압 반응기를 질소로 치환한 후, 아크릴로니트릴 30 중량부, 부타디엔 65 중량부, 이타콘산 5 중량부, 소디움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2 중량부, 소디움나프탈렌산염 1 중량부, 알킬페놀 에톡시레이트 (알킬 수=9, 에틸렌옥사이드 12) 1 중량부, t-도데실머캅탄 1.2 중량부 및 이온교환수 250 중량부를 투입한 후, 40 ℃까지 승온시켰다. 여기에 중합개시제인 칼슘퍼설페이트 0.5 중량부를 투입하고 약 900 분간 교반하여 중합을 완료하였다. 이때, 상기 공중합체의 전환율은 92 %이었다.
상기 교반완료 후, 360 분간 탈취공정을 실시하여 최종 스티렌-부타디엔계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산 단량체 및 유화제로서 하기 표 1에 나타낸 화합물을 하기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소디움도데실술포네이트 2 2 2 2 2 2
소디움나프탈렌산염 1 1 1 1 1 1
에틸렌옥사이드술폰산염 1 1 1 0.5 1.5 2
이타콘산 5 - - 5 5 5
아크릴산 - 5 - - - -
메타크릴산 - - 5 - - -
비교예 1~3
상기 실시예 1~3에서 표 2와 같이 에틸렌옥사이드술폰산염을 사용하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구분 비교예
1 2 3
소디움도데실술포네이트 2 2 2
소디움나프탈렌산염 1 1 1
에틸렌옥사이드술폰산염 - - -
이타콘산 5 - -
아크릴산 - 5 -
메타크릴산 - - 5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중합 안정성 및 응고물 생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반응기 내부에 생성된 응고물과 라텍스 내의 응고물 생성 정도를 325 메쉬(Mes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라텍스 고형분에 대한 비율로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반응기 내부 X X X
라텍스 내부 응고물
(ppm)
108 213 98 421 153 847 12,655 15,350 10,482
◎ : 매우 좋음, ○ : 좋음, △ : 보통, X : 안좋음
상기 표 3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 즉, 에틸렌옥사이드계 술폰산염을 유화제로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6의 중합체 생성물에 있어서 반응기 내부 응고물 생성 정도 및 라텍스 내부의 응고물 생성 정도가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할 때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에틸렌옥사이드계 술폰산염을 과량으로 사용한 실시예 6의 경우, 과도한 입자가 생성되어 중합 안정성이 저하됨으로 인해 그 효과가 다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중합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를 공중합하기 위한 총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의 에틸렌옥사이드계 술폰산염을 유화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가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부타디엔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 산 단량체를 중합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가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총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5 중량부, 부타디엔계 단량체를 총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 내지 75 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산 단량체를 총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혼합하여 중합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가 연쇄이동제를 추가로 투입하여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쇄이동제가 총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계 술폰산염은 알킬페놀 에톡시레이트로서 탄소수 5~15의 알킬 및 5~30의 에톡실화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소디움도데실벤젠술포산 염 및 소디움나프탈렌산 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9. 제 1항 내지 제 5항 및 제7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KR1020080047686A 2008-05-22 2008-05-22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KR101133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686A KR101133965B1 (ko) 2008-05-22 2008-05-22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686A KR101133965B1 (ko) 2008-05-22 2008-05-22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672A KR20090121672A (ko) 2009-11-26
KR101133965B1 true KR101133965B1 (ko) 2012-04-09

Family

ID=4160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686A KR101133965B1 (ko) 2008-05-22 2008-05-22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534A (ko)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분자 유화중합 시 발생되는 응고물 생성량이 적은 유화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3521A (en) * 1995-12-04 1998-06-09 Basf Aktiengesellschaft Preparation of an aqueous polymer dispersion
KR20010013396A (ko) * 1997-08-04 2001-02-26 레이크홀드 인코포레이티드 고무 물품용 엘라스토머 재료
KR100485182B1 (ko) 2002-12-24 2005-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렌-부타디엔계 라텍스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3521A (en) * 1995-12-04 1998-06-09 Basf Aktiengesellschaft Preparation of an aqueous polymer dispersion
KR20010013396A (ko) * 1997-08-04 2001-02-26 레이크홀드 인코포레이티드 고무 물품용 엘라스토머 재료
KR100485182B1 (ko) 2002-12-24 2005-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렌-부타디엔계 라텍스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534A (ko)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분자 유화중합 시 발생되는 응고물 생성량이 적은 유화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672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302B2 (en) Latex for dip molding, composition for dip molding, preparation method of dip molded product, and dip molded product prepared thereby
US9803070B2 (en) Carboxylic acid modified-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for dip-forming,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comprising the same, and product thereof
KR101211230B1 (ko)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이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JP7363975B2 (ja) ゴム用組成物及びその用途
US9771471B2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dip-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101775798B1 (ko)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WO2007114108A1 (ja) アクリルゴ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60254A (ko)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딥 성형품
KR20120083031A (ko) 딥 성형용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이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687866B1 (ko)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KR101338539B1 (ko) 딥 성형용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이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133965B1 (ko)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KR20160138989A (ko) 고무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가황물
US10669406B2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KR20230011574A (ko) 딥 성형용 생분해성 라텍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20069222A (ko)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니트릴 고무 제품
KR101274865B1 (ko) 인장강도와 촉감이 우수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계 라텍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29367A (ko)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555290B1 (ko)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US11667773B2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dip-molded article produced using the same
KR101225915B1 (ko)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라텍스 제조방법
KR101590694B1 (ko)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딥 성형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CN112673063B (zh) 氯丁二烯共聚物胶乳组合物和其成型物
JPWO2020137297A1 (ja) クロロプレン重合体ラテ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24891B1 (ko) 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