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724B1 -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724B1
KR101133724B1 KR1020110086557A KR20110086557A KR101133724B1 KR 101133724 B1 KR101133724 B1 KR 101133724B1 KR 1020110086557 A KR1020110086557 A KR 1020110086557A KR 20110086557 A KR20110086557 A KR 20110086557A KR 101133724 B1 KR101133724 B1 KR 10113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frame
roller
seated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애
Original Assignee
원종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애 filed Critical 원종애
Priority to KR102011008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9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magne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3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wound-up and unwound during exercise, e.g. from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 운동기구로서,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프레임(11)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입설되는 지주프레임(12)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내측에서 상기 지주프레임(12)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으로 구성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안착되어 일측이 접철되는 의자(20)와, 외주연에 로프(1)가 안착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롤러(30)와, 로프(1)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조절장치(40)와, 상기 조절장치(40)가 로프(1)의 회전력이 조절되도록 구형상으로 형성된 조절구(50)와, 로프(1)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1)와 연결되어 로프(1)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지면에 안착되며 상측으로 입설되는 지주프레임과 접철식 의자를 구비하여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고, 회전롤러와 밸트로 연결되어 로프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로프의 회전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장치의 내측에 운동하는 사람의 따라 로프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띠형상의 이동띠와 마그네트와 조절구를 구비하여 사자에 알맞게 로프 운동을 할 수 있고, 로프가 원활하게 회전되며 로프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부를 구비하여 로프의 장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A Rope health machine of Magnet type}
본 발명은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안착되며 상측으로 입설되는 지주프레임과 접철식 의자를 구비하여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고, 회전롤러와 밸트로 연결되어 로프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로프의 회전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장치의 내측에 운동하는 사람의 따라 로프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띠형상의 이동띠와 마그네트와 조절구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알맞게 로프 운동을 할 수 있고, 로프가 원활하게 회전되며 로프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부를 구비하여 로프의 장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프를 이용한 운동기구는 전신을 사용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다양한 운동과 많은 운동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로프를 이용한 운동기구는 최근에 다양하게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던 로프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운동기구는 지면에 안착되면 상측으로 입설된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내측과 상측에 안착되어 로프(1)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는 다수개의 구동롤러(3)와, 상기 구동롤러(3)와 밸트(5)로 연결되어 밸트(5)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종동롤러(4)와, 상기 종동롤러(4)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며 레버와 연결되어 로프91)의 회전력을 조절하도록 조절구(6a)가 구비된 조절디스크(6)와, 상기 프레임(2) 후면에 안착되는 의자(7)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로프 운동기구는 의자가 프레임(2)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2)의 하측면이 1개의 가로부재가 지면에 안착되므로 로프 운동기구를 사용시 심하게 흔들림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별도의 프레임(2) 고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로프 운동기구는 디스크의 마찰력에 의하여 로프의 회전력이 조절되므로 장시간 사용시 마모에 의하여 그 기능이 저하되고, 또한 디스크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이와 연결되는 밸트와 체인을 각각 연결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현장에 다수의 공수가 소요되며, 레버에 의하여 로프의 회전력을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회전력 조절시 레버를 당기면서 로프 운동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고,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사용자에 알맞게 셋팅하는 시간이 다수 소요되고, 로프교체시 구동롤러를 분해한 후 교체하여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면에 안착되며 상측으로 입설되는 지주프레임과 접철식 의자를 구비하여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고,
둘째, 회전롤러와 밸트로 연결되어 로프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로프의 회전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셋째, 조절장치의 내측에 운동하는 사람의 따라 로프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띠형상의 이동띠와 마그네트 및 조절구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알맞게 로프 운동을 할 수 있고,
넷째, 회전롤러의 사이에 로프가 원활하게 회전되며 로프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부를 구비하여 로프의 장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는, 로프(1)를 회전시켜 다양한 운동할 수 있는 로프 운동기구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프레임(11)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입설되는 지주프레임(12)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내측에서 상기 지주프레임(12)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으로 구성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안착되어 일측이 접철되는 의자(20)와, 상기 지주프레임(12)과 연결프레임(13)의 내측에 연결되며 외주연에 로프(1)가 안착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롤러(30)와, 상기 회전롤러(30)와 밸트(3)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로프(1)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조절장치(4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면에 안착되며, 상기 조절장치(40)와 와이어(3)로 연결되어 상기 조절장치(40)가 로프(1)의 회전력이 조절되도록 구형상으로 형성된 조절구(50)와, 상기 조절구(50)의 하측에 고정되며, 로프(1)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1)와 연결되어 로프(1)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면에 안착되는 가로와 세로로 다수개 형성된 바형상의 바닥프레임과, 상측으로 연장되어 입설된 지주프레임과 접철이 가능한 의자를 구비하여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둘째, 회전롤러와 밸트로 연결되어 로프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로프의 회전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셋째, 조절장치의 내측에 와이어와 연결된 띠형상의 이동띠와 하우징에 탈부착되는 마그네트를 구비함으로써 운동하는 사람의 따라 로프의 회전력을 조절하여 편리하게 로프운동을 즐길 수 있고,
넷째, 프레임의 일면에 조절장치와 와이어로 연결된 조절구를 구비함으로써 조절장치를 좌우로 회전시면서 로프의 회전력이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자에 알맞게 로프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다섯째, 상단롤러와 하측롤러 사이에 로프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가 구비됨으로써 손잡이를 파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로프의 장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롤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로프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고,
여섯째, 프레임의 하측에 회전롤러와 조절장치를 감싸는 다수개의 커버가 구비됨으로써 프레임 내측에 설치된 회전롤러와 조절장치를 보호하여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본 발명에 따른 로프운동기구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분을 나타낸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부를 도시한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를 도시한 개요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와 조절장치를 감싸는 커버의 개요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1)를 회전시켜 다양한 운동할 수 있는 로프 운동기구로서, 하측이 지면에 안착되어 입설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안착되어 일측이 접철되는 의자(20)와, 외주연에 로프(1)가 안착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롤러(30)와, 상기 회전롤러(30)와 밸트(3)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로프(1)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조절장치(40)와, 상기 조절장치(40)가 로프(1)의 회전력이 조절되도록 구형상으로 형성된 조절구(50)와, 로프(1)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1)와 연결되어 로프(1)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지면에 안착되도록 지면과 가로와 세로로 다수개 형성된 바형상의 바닥프레임(11)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입설되는 지주프레임(12)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내측에서 상기 지주프레임(12)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롤러(30)는 외주연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로프(1)가 안착되어 회전되며, 상기 지주프레임(12)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단롤러(31)와, 상기 지주프레임(12)의 하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측롤러(32)와, 상기 연결프레임(13)의 내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연결롤러(33)와, 상기 하측롤러(32)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종동롤러(34)로 형성된다.
도 5에서, 상기 조절장치(40)는 일측에 상기 회전롤러(30)와 밸트(3)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조절축(41)과, 상기 조절축(41)이 중앙에 삽입되어 회전되며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와이어(2)와 연결되어 로프(1)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원형상의 조절부(42)와, 상기 조절부(42)의 상면을 개폐하는 조절부커버(43)와, 상기 프레임(10)에 내측이 고정되며 상기 조절부(42)가 내재되어 상기 조절부(42)의 외주연과 착탈되는 원반형상의 하우징(4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42)는 중앙에 상기 조절축(41)이 안착되는 원형상의 조절판(42a)과, 상기 조절판(42a)의 내측에 원형상의 돌출되어 내측에 와이어(2)가 유입되는 원형고정부(42b)와, 상기 원형고정부(42b)의 외주연에서 와이어(2)와 연결되어 내측과 외측으로 왕복이동되는 띠형상의 이동띠(42c)와, 상기 이동띠(42c)의 내측에서 와이어(2)를 고정시키는 고정구(42d)와, 상기 이동띠(42c)가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원형고정부(42b)의 외측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스프링(42e)과, 상기 이동띠(42c)의 외측에 고정되어 와이어(2)의 조절에 의하여 상기 이동띠(42c)을 상기 하우징(44)에 탈착시켜 로프(1)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마그네트(42f)로 형성된다.
도 4에서, 상기 상단롤러(31)와 하측롤러(32) 사이에는 상기 지주프레임(12)의 외측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로프(1)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35)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부(35)는 지주프레임(12)의 양측에 설치되는 봉형상의 가이드레일(35a)과, 상기 가이드레일(35a)에 안착되어 상하로 이송되며 내측에 상기 상단롤러(31)가 안착되는 "ㄷ"형상의 이송부(35b)와, 상기 이송부(35b)의 일측에 연결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측으로 바형상으로 돌출된 손잡이(35c)로 구성된다.
도 7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일면에는 상기 조절장치(40)와 와이어(2)로 연결되어 상기 조절장치(40)가 로프(1)의 회전력이 조절되도록 구형상으로 형성된 조절구(50)가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10)의 하측에는 상기 회전롤러(30)와 조절장치(40)를 감싸는 다수개의 커버(70)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지면에 안착되는 프레임(10)의 내측에 의자(20)가 일측이 접철되도록 넓게 안착되고, 프레임(10)의 내측과 상단에 안착되는 회전롤러(30)는 외주연에 로프(1)가 안착되어 회전되도록 다수개의 형성되고, 상기 회전롤러(30)와 밸트(3)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조절장치(40)는 로프(1)의 회전력을 조절하게 되며, 상기 조절장치(40)의 하측에는 조절구(50)가 구비되어 로프(1)의 회전력을 조절하도록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측에는 로프(1)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1)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60)로 형성되어 로프(1)의 회전속도를 나타내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지면에 안착되도록 지면과 가로와 세로로 다수개 형성된 바형상의 바닥프레임(11)이 지면에 안전하게 안착되고, 상기 바닥프레임(1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주프레임(12)이 입설되며, 상기 바닥프레임(11)의 내측에서 상기 지주프레임(12)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이 구비되어 사용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롤러(30)는 로프(1)가 안착되어 회전되도록 외주연에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프레임(12)의 상단에는 상단롤러(31)가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지주프레임(12)의 하측에는 하측롤러(32)가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연결프레임(13)의 내측에는 연결롤러(33)가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하측롤러(32)의 하부에는 종동롤러(34)가 설치되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롤러(30)와 밸트(3)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로프(1)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상기 조절장치(4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상기 회전롤러(30)와 밸트(3)로 연결된 조절축(41)이 형성되어 로프(2)의 회전력 받아 회전하게 되며, 상기 조절축(41)이 중앙에 삽입되는 조절부(42)는 와이어(2)와 연결되어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로프(1)의 회전력을 조절하게 되고, 상기 프레임(10)에 내측이 고정되어 상기 조절부(42)가 내재된 원반형상의 하우징(44)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조절부(42)의 외주연이 하우징 내주연에 착탈되면서 로프(2)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조절부(42)의 작용은 중앙에 상기 조절축(41)이 안착되는 원형상의 조절판(42a)의 내측에 와이어(2)가 유입되는 원형고정부(42b)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고정부(42b)의 외주연에서 와이어(2)와 연결된 띠형상의 이동띠(42c)가 내측과 외측으로 왕복이동된다. 이때, 상기 이동띠(42c)의 외측에 다수개의 마그네트(42f)가 부착되어 와이어(2)를 당기면, 도 6a에서, 마그네트(42f)가 하우징(44)으로부터 이격되어 로프(1)의 회전력을 향상시키게 되고, 와이어(2)를 풀어주면 주면, 도 6b에서, 마그네트(42f)가 하우징(44)이 부착되어 로프(1)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운동하는 사람의 따라 로프의 회전력을 조절하여 편리하게 로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일면에 상기 조절장치(40)와 와이어(2)로 연결된 조절구(50)를 구비함으로써 조절구를 좌우로 회전시킨면서 조절장치(40)를 회전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롤러(31)와 하측롤러(32)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1)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35)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롤러부(35)는 지주프레임(12)의 양측에 설치되는 봉형상의 가이드레일(35a)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5a)을 따라 상하로 이송되는 "ㄷ"형상의 이송부(35b)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부(35b)의 일측에 연결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측으로 바형상으로 돌출된 손잡이(35c)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손잡이(35c)를 파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로프(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롤러부(35)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로프(1)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하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롤러(30)와 조절장치(40)를 감싸는 다수개의 커버(70)가 구비됨으로써 프레임 내측에 설치된 회전롤러와 조절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로프 2 : 와이어
3 : 밸트 10 : 프레임
11 : 바닥프레임 12 : 지주프레임
13 : 연결프레임 20 : 의자
30 : 회전롤러 31 : 상단롤러
32 : 하측롤러 33 : 연결롤러
34 : 종동롤러 35 : 가이드롤러부
40 : 조절장치 41 : 조절축
42 : 조절부 43 : 조절부덮개
44 : 하우징 60 : 디스플레이부
70 : 커버

Claims (6)

  1. 로프(1)를 회전시켜 다양한 운동할 수 있는 로프운동기구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프레임(11)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입설되는 지주프레임(12)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내측에서 상기 지주프레임(12)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으로 구성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안착되어 일측이 접철되는 의자(20)와;
    상기 지주프레임(12)과 연결프레임(13)의 내측에 연결되며 외주연에 로프(1)가 안착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롤러(30)와;
    상기 회전롤러(30)와 밸트(3)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로프(1)의 회전력을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마그네트(42f)가 구비된 조절장치(4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면에 안착되며, 상기 조절장치(40)와 와이어(2)로 연결되어 상기 로프(1)의 회전력이 조절되도록 구형상으로 형성된 조절구(50)와;
    상기 조절구(50)의 하측에 고정되며, 로프(1)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1)와 연결되어 로프(1)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40)는 일측에 상기 회전롤러(30)와 밸트(3)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조절축(41)과, 상기 조절축(41)이 중앙에 삽입되어 회전되며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와이어(2)와 연결되어 로프(1)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원형상의 조절부(42)와, 상기 조절부(42)의 상면을 개폐하는 조절부커버(43)와, 상기 프레임(10)에 내측이 고정되며 상기 조절부(42)가 내재되어 상기 조절부(42)의 외주연과 착탈되는 원반형상의 하우징(4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3.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42)는 중앙에 상기 조절축(41)이 안착되는 원형상의 조절판(42a)과, 상기 조절판(42a)의 내측에 원형상의 돌출되어 내측에 와이어(2)가 유입되는 원형고정부(42b)와, 상기 원형고정부(42b)의 외주연에서 와이어(2)와 연결되어 내측과 외측으로 왕복이동되는 띠형상의 이동띠(42c)와, 상기 이동띠(42c)의 내측에서 와이어(2)를 고정시키는 고정구(42d)와, 상기 이동띠(42c)가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원형고정부(42b)의 외측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스프링(42e)과, 상기 이동띠(42c)의 외측에 고정되어 와이어(2)의 조절에 의하여 상기 이동띠(42c)을 상기 하우징(44)에 탈착시켜 로프(1)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마그네트(42f)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30)는 상기 지주프레임(12)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단롤러(31)와, 상기 지주프레임(12)의 하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측롤러(32)와, 상기 연결프레임(13)의 내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연결롤러(33)와, 상기 하측롤러(32)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종동롤러(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5. 청구항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롤러(31)와 하측롤러(32) 사이에는 상기 지주프레임(12)의 외측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로프(1)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35)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부(35)는 지주프레임(12)의 양측에 설치되는 봉형상의 가이드레일(35a)과, 상기 가이드레일(35a)에 안착되어 상하로 이송되며 내측에 상기 상단롤러(31)가 안착되는 "ㄷ"형상의 이송부(35b)와, 상기 이송부(35b)의 일측에 연결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측으로 바형상으로 돌출된 손잡이(35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6.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하측에는 상기 회전롤러(30)와 조절장치(40)를 감싸는 다수개의 커버(7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KR1020110086557A 2011-08-29 2011-08-29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KR10113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557A KR101133724B1 (ko) 2011-08-29 2011-08-29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557A KR101133724B1 (ko) 2011-08-29 2011-08-29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724B1 true KR101133724B1 (ko) 2012-04-09

Family

ID=4614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557A KR101133724B1 (ko) 2011-08-29 2011-08-29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7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2502B1 (en) * 1998-08-20 2003-07-15 R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physical and cardiovascular health, and also for evaluating cardiovascular health
KR200410091Y1 (ko) 2005-12-16 2006-03-06 김성무 제어로프을 갖는 현수운동기
KR100704448B1 (ko) 2006-07-20 2007-04-09 김병수 운동기구
KR20080003549U (ko) * 2007-02-22 2008-08-27 박승 도르래와 로프를 이용한 전신 신장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2502B1 (en) * 1998-08-20 2003-07-15 R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physical and cardiovascular health, and also for evaluating cardiovascular health
KR200410091Y1 (ko) 2005-12-16 2006-03-06 김성무 제어로프을 갖는 현수운동기
KR100704448B1 (ko) 2006-07-20 2007-04-09 김병수 운동기구
KR20080003549U (ko) * 2007-02-22 2008-08-27 박승 도르래와 로프를 이용한 전신 신장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6410B2 (ja) 角度調節及びスイング可能なスミスマシン
EP3100772B1 (en) Exercise apparatus
JP6605135B2 (ja) スプロケットを利用したディスプレイ位置調節装置
US10857407B2 (en) Exercise apparatus
US20180043206A1 (en) Exercise apparatus
KR101171881B1 (ko) 전신운동기구
KR101677440B1 (ko) 자전거 운동장치
KR100933266B1 (ko) 스프링을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KR20190073313A (ko) 암벽등반 운동기구
KR101862794B1 (ko) 근력 운동기구
KR101133724B1 (ko) 마그네트식 로프운동기구
KR101775147B1 (ko) 하체 운동 기구
KR101301309B1 (ko) 재활치료용 상지 저항 훈련기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KR101482135B1 (ko) 운동기구
KR101345799B1 (ko) 에어리얼 요가 장치
KR101452471B1 (ko) 싸이클 안마 기구
CN109847305B (zh) 一种乒乓球训练装置
TW201700133A (zh) 運動器材
KR102643683B1 (ko) 줄타기형 운동기구
KR101003449B1 (ko) 운동기구용 탄력장치
TWI593444B (zh) Sports Equipment
KR20110056170A (ko) 점핑 트위스트 운동기구
JP2004136045A (ja) 健康促進器具
TWI571284B (zh) Dam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