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924B1 -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924B1
KR101132924B1 KR1020090121549A KR20090121549A KR101132924B1 KR 101132924 B1 KR101132924 B1 KR 101132924B1 KR 1020090121549 A KR1020090121549 A KR 1020090121549A KR 20090121549 A KR20090121549 A KR 20090121549A KR 101132924 B1 KR101132924 B1 KR 101132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film
resin composition
low density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808A (ko
Inventor
함석민
김득기
Original Assignee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9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Abstract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98 : 2 내지 92 : 8의 중량비율로 포함하고,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용융지수가 0.5 ~ 3.5g/10분, 밀도가 0.910 ~ 0.930 g/cm3, TREF 분획도표에서 40 ~ 5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85 ~ 100 ℃, 60 ~ 7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00 ~ 110 ℃, 90 ~ 100℃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30 ℃이하,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 500,000이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용융지수가 0.5 ~ 5g/10분, 밀도가 0.918 ~ 0.928 g/cm3, 중량평균분자량(Mw)이 70,000 ~ 12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 천공강도 및 필름 성형성이 우수하며, 음용수에 용출되는 저분자가 적은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워터백(waterbag)용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수지, 워터백

Description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s for waterbag film}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98 : 2 내지 92 : 8의 중량비율로 포함하고,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용융지수가 0.5 ~ 3.5g/10분, 밀도가 0.910 ~ 0.930 g/cm3, TREF 분획도표에서 40 ~ 5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85 ~ 100 ℃, 60 ~ 7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00 ~ 110 ℃, 90 ~ 100℃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30 ℃이하,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 500,000이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용융지수가 0.5 ~ 5g/10분, 밀도가 0.918 ~ 0.928 g/cm3, 중량평균분자량(Mw)이 70,000 ~ 12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수를 보관 또는 음용하기 위해 PET병을 사용하나,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상기 용도로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만든 워터백(waterbag)을 사용한다. 워터백용 필름은 음용수를 보관해야 하므로 다른 농업용 필름이나 공업용 필름보다 천공강도가 좋아야 하고, 투명성이 우수해야 한다. 또한, 워터백용 필름내 성분이 음용수에 용출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은 천공강도 및 투명성이 나쁘고, 폴리에틸렌 필름내 저분자 등이 용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여러 문제점은 아직 남아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고 10-0610964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오토클레이브에서 중합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나, 투명성 개선효과가 미흡하며, 대한민국 특허공고 10-0563482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나 필름의 저분자 용출량이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8-0114334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나 천공강도가 나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투명성, 천공강도 및 필름 성형성이 우수하며, 음용수에 용출되는 저분자가 적은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투명성, 천공강도 및 필름 성형성이 우수하 며, 음용수에 용출되는 저분자가 적은 특성을 갖는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98 : 2 내지 92 : 8의 중량비율로 포함하고,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용융지수가 0.5 ~ 3.5g/10분, 밀도가 0.910 ~ 0.930 g/cm3, TREF 분획도표에서 40 ~ 5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85 ~ 100 ℃, 60 ~ 7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00 ~ 110 ℃, 90 ~ 100℃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30 ℃이하,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 500,000이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용융지수가 0.5 ~ 5g/10분, 밀도가 0.918 ~ 0.928 g/cm3, 중량평균분자량(Mw)이 70,000 ~ 120,000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고,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얻어지는 펠렛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ASTM D5227법에 따른 저분자 추출량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92 ~ 98 중량비율의 LLDPE를 포함한다. 상기 LLDPE의 비율이 92 중량% 미만이면 폴리에틸렌 필름의 천공강도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98 중량%를 넘으면 폴리에틸렌 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2 내지 8 중량비율의 LDPE를 포함한다. 상기 LDPE의 비율이 2 중량% 미만이면 폴리에틸렌 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지며, 8 중량%를 넘는 것은 필름의 천공강도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 ethylene; LLDPE)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 ethylene; LDPE)은 폴리에틸렌(poly ethylene)에 속하는 물질로써, 제조방법에 따라 밀도가 서로 다른 폴리에틸렌을 제조할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전이 금속계 촉매를 이용하여 중 . 저압에서 중합하여 제조된다. 결정성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보다 좋기 때문에 강성이나 내스트레스크랙성도 좋고, 인열저항이 크며, 표면경도도 비교적 크므로 광택이 좋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LLDPE는 일반 포장용(General Purpose), 농업용(Agricultural) 및 중포장용(Heavy Duty)의 필름용으로 사용되고있다. 반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고압라디칼중합방식에 의해 제조되므로 장쇄 분지가 많으며, 이로 인해 다른 폴리에틸렌과 달리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LDPE가 갖는 가장 대표적인 특성들은 내충격성, 내저온취화성, 유연성, 가공성, 필름의 투명성, 내화학성, 내수성, 전기절연성 등을 들을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들은 근본적으로 LDPE가 갖는 분자구조적 특성과 분자들이 모여진 3차원적 구조에 의한 것이다. LDPE가 나타내는 각종 특성들은 분자량, 분자량분포(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및 밀도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용융장력, 탄성 등이 중요한 변수가 되는 상황에서는 장쇄 및 단쇄 분지의 수나 형태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지글러-나타(Ziegler- Natta) 촉매를 사용하고, 에틸렌 단독 중합, 에틸렌과 프로필렌, 부텐-1, 헥센-1, 옥텐-1 등의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중합방법은 기상법, 솔류션법 또는 슬러리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LLDPE의 용융지수는 0.5 ~ 3.5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7 ~ 2.7g/10분이다. 상기 LLDPE의 용융지수가 0.5g/10분 미만일 경우 성형성이 떨어지며, 3.5g/10분을 넘을 경우 필름 성형 후 버블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바람직하지 않다. LLDPE의 밀도는 0.910 ~ 0.930 g/cm3이며, 바람직하게는 0.915 ~ 0.925 g/cm3이다. LLDPE의 밀도가 0.910 g/cm3이하인 제품은 저분자 용출량이 많으며, 0.930 g/cm3이상인 경우는 필름의 천공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LLDPE의 TREF 분획도표에서 40 ~ 5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85 ℃보다 작으면 필름의 저분자가 음용수 보관시 음용수에 용출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100 ℃보다 크면 필름의 천공강도가 떨어진다. 60 ~ 7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00 ℃보다 작으면 필름의 저분자가 음용수 보관시 음용수에 용출되며, 110 ℃보다 크면 필름의 천공강도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90 ~ 10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30 ℃보다 크면 필름의 천공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LDPE의 용융지수가 0.5g/10분 미만에서는 필름 성형기의 압출부하가 너무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5g/10분을 넘을 경우 필름 의 버블안정성이 떨어진다. LDPE의 밀도가 0.918 g/cm3 이하인 제품은 저분자 용출량이 많으며, 0.928 g/cm3 보다 크면 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LDPE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70,000 이하인 제품은 필름의 천공강도가 떨어지며, 120,000 이상인 제품은 필름의 성형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고압 튜블라 프로세스에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고압 오토클레이브 프로세스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렇게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과 블랜드할 경우 투명성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상의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용융지수가 0.5 ~ 3.5g/10분, 밀도가 0.910 ~ 0.930 g/cm3, TREF 분획도표에서 40 ~ 5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85 ~ 100 ℃, 60 ~ 7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00 ~ 110 ℃, 90 ~ 100℃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30 ℃이하,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 500,000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용융지수가 0.5 ~ 5g/10분, 밀도가 0.918 ~ 0.928 g/cm3, 중량평균분자량(Mw)이 70,000 ~ 120,000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98 : 2 내지 92 : 8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200 내지 250 ℃에서 압출기 Side Feeder를 이용하여 용융압출물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용융압출물을 냉각 고화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펠렛상의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기 펠렛상의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ASTM D5227법에 따른 저분자 추출량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상의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용융 혼합할 경우 150 ~ 250 ℃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것이 좋다.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단순 드라이블렌드하여 필름을 제조할 경우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분산성이 떨어지고, 그로 인해 투명성 및 충격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서, 일바적인 폴리에틸렌 첨가제를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색소 마스터배치, 산화방지제, 열 및 광 안정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블록킹방지제, 방부제, 가공조제, 슬립제, 점착방지제, 안료, 난연제, 발포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제공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 천공강도 및 필름 성형성이 우수하고 음용수에 용출되는 저분자가 적은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필름을 제조할 경우 워터백(waterbag)용에 적합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먼저,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사용될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 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LLDPE를 제조하기 위해 반응기의 압력과 온도를 23 kg/cm3, 97 ℃로 설정한 후, 에틸렌 가스와 지글러-나타 촉매제를 함께 반응기에 투입한 후, 순환시켜면서 LLDPE를 중합하였다. 중합된 LLDPE 중합체를 2축 압출기로 25 ton/h의 속도로 압출하여 펠렛상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LDPE를 제조하기 위해 반응기의 압력과 온도를 각각 2,700 kg/cm3, 300 ℃로 설정한 후, 에틸렌 가스를 고압 튜블라 반응기에 투입하고, 중합개시제인 퍼옥사이드와 공기를 반응기의 4 부분의 주입구를 이용하여 투입하였다. 중합된 LDPE 중합체를 단축 압출기로 14 ton/h의 속도로 압출하여 펠렛상으로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용융지수
(g/10분)
밀도(g/cm3) TREF 분취온도별 용융온도 (℃)
40 ~ 50℃ 60 ~ 70℃ 90 ~ 100℃
A1 0.9 0.919 93 105 123
A2 1.3 0.920 95 103 122
A3 0.4 0.920 91 105 124
A4 20 0.924 90 104 120
A5 0.9 0.905 97 103 122
A6 3.2 0.938 94 104 121
A7 1.3 0.921 83 102 123
A8 1.2 0.921 101 103 120
A9 0.9 0.920 95 98 122
A10 1.2 0.922 92 111 123
A11 2.8 0.918 93 104 131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용융지수 (g/10분) 밀도(g/cm3) 중량평균분자량 (Mw) 제조프로세스
B1 2.9 0.920 93,100 고압 튜블라
B2 0.3 0.920 118,500 고압 튜블라
B3 8.0 0.920 78,000 고압 튜블라
B4 3.0 0.915 93,600 고압 튜블라
B5 0.6 0.933 119,800 고압 튜블라
B6 4.5 0.918 68,000 고압 튜블라
B7 3.1 0.919 121,000 고압 튜블라
B8 4.5 0.918 89,000 고압 오토클레이브
상기 표 1의 용융지수 0.9g/10분, 밀도 0.919g/cm3를 갖는 LLPDE(A1) 95 중량%와 상기 표 2의 용융지수 2.9g/10분, 밀도 0.920g/cm3를 갖는 LDPE(B1) 5 중량%를 헨셀 믹서로 5 분간 믹싱한 후, 40mm φ 2축 압출기로 210 ℃에서 압출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실시예 1)을 얻었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상기 표 1의 LLPDE(A2) 95 중량%와 상기 표 2의 LDPE(B1) 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실시예 2의 펠렛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상기 표 1의 용융지수 0.4g/10분, 밀도 0.920g/cm3를 갖는 LLPDE(A3) 95 중량%와 상기 표 2의 용융지수 2.9g/10분, 밀도 0.920g/cm3를 갖는 LDPE(B1) 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비교예 1의 펠렛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 18.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하기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표 1 및 표 2의 각각의 LLPED와 LDP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비교예 2 내지 18의 펠렛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LLDPE LDPE 중량비(%)(LLDPE : LDPE)
비교예 2 A4 B1 95 : 5 (%)
비교예 3 A5 B1 95 : 5 (%)
비교예 4 A6 B1 95 : 5 (%)
비교예 5 A7 B1 95 : 5 (%)
비교예 6 A8 B1 95 : 5 (%)
비교예 7 A9 B1 95 : 5 (%)
비교예 8 A10 B1 95 : 5 (%)
비교예 9 A11 B1 95 : 5 (%)
비교예 10 A1 B2 95 : 5 (%)
비교예 11 A1 B3 95 : 5 (%)
비교예 12 A1 B4 95 : 5 (%)
비교예 13 A1 B5 95 : 5 (%)
비교예 14 A1 B6 95 : 5 (%)
비교예 15 A1 B7 95 : 5 (%)
비교예 16 A1 B8 95 : 5 (%)
비교예 17 A1 B1 99 : 1 (%)
비교예 18 A1 B2 90 : 10 (%)
실험예 1. 물성 평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하기 실시예 1 내지 2, 비교예 1 내지 18의 펠렛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LLDPE, LDPE의 물성을 하기에 나타낸 각각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 용융지수 : ASTM D1238 법으로 측정.
2) 밀도 : ASTM D792 법으로 측정.
3) TREF 분취 : 문헌 [Journal of Polymer Science:Polymer Physics Edition, Vol20, 441-455(1982) Wild et al]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함. 상기 방법은 상이한 온도에서 특정 용매중의 공단량체 함량이 상이한 중합체 분획물의 용해도 차이를 기초로함. 본 발명에서 TREF 분획도표는 결정화를 위해 자일렌을 사용하고 용매로서 1,2,4-트리클로로벤젠을 사용하였다.
4) 용융온도 : ASTM D3417 법으로 측정.
5) 중량평균분자량(Mw) : ASTM D3536 법으로 측정.
6) 투명성(헤이즈) : ASTM D1003 법으로 측정.
7) 천공강도 : ASTM D1709 법으로 측정.
8) 필름 성형성 : 제조한 필름의 성형성은 ○(필름 버블이 흔들리지 않고 성형상 문제가 없음), ×(필름 버블이 흔들려 필름 두께 및 폭이 일정치 않음)의 기준으로 평가함.
9) 저분자량 추출 : ASTM D5227 법으로 측정하며, 평가 기준은 ○(저분자 추출량이 5% 이하), ×(저분자 추출량이 5% 초과)의 기준으로 평가함.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8에서 얻은 펠렛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물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융지수가 0.5g/10분 이하인 LLDPE를 이용한 비교예 1과 용융지수가 3.5g/10분 이상인 LLDPE를 이용한 비교예 2는 필름 성형성이 좋지 않으며, 밀도가 0.910 g/cm3 이하인 LLDPE를 이용한 비교예 3과 밀도가 0.930 g/cm3 이상인 LLDPE를 이용한 비교예 4는 저분자량의 추출이 발생하여 워터백용에 적합하지 않다. TREF 분획도표에서 40 ~ 5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85 ℃보다 낮은 LLPDE를 이용한 비교예 5는 필름의 저분자가 용출되며, 용융온도가 100 ℃보다 높은 LLDPE를 이용한 비교예 6은 필름의 천공강도가 떨어진다. TREF 분획도표에서 60 ~ 7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00 ℃이하인 LLDPE를 이용한 비교예 7은 저분자의 용출이 발생하며, 용융온도가 110 ℃이상인 LLDPE를 이용한 비교예 8은 필름의 천공강도가 떨어진다. TREF 분획도표에서 90 ~ 10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30 ℃이상인 LLDPE를 이용한 비교예 9는 필름의 천공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융지수가 0.5g/10분 이하인 LDPE를 이용한 비교예 10과 용융지수가 5.5g/10분 이상인 LDPE를 이용한 비교예 11은 필름 성형에 어려움이 있으며, 밀도가 0.918 g/cm3 이하인 LDPE를 이용한 비교예 12와 밀도가 0.928 g/cm3 이상인 LDPE를 이용한 비교예 13은 저분자량의 추출이 생기거나 투명성이 떨어진다. 중량평균분자량의 크기가 70,000 이하인 LDPE를 이용한 비교예 14는 천공강도가 떨어지며, 중량평균분자량의 크기가 120,000 이상인 LDPE를 이용한 비교예 15는 크기가 커서 필름 성형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16은 고압 오토클레이브에서 생산된 LDPE를 사용함으로써 투명성이 좋지 않으며, LDPE의 함량이 적은 비교예 17은 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지며, 함령이 높은 비교예 18은 천공강도가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필름 성형성, 투명성 및 천공강도가 우수하고 저분자의 추출량이 5% 이하로 나타났다.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물성 평가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필름 성형성 × ×
투명성(%) 7.1 7.3 7.4 7.0 6.8 7.4 7.2 7.1 7.0 6.9
천공강도(g) 125 123 122 121 126 91 125 88 121 90
저분자량 추출 × × ×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비교예 16 비교예 17 비교예 18
필름 성형성 × × ×
투명성(%) 6.9 7.1 7.2 7.0 10.2 7.2 6.7 11 12 6.9
천공강도(g) 81 120 123 121 133 78 119 122 120 82
저분자량 추출 ×
제조예 1.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길이 대 직경비(L/D)가 30인 60 mm 블로운 필름 압출기를 사용하여 40 μm 두께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이때 다이온도는 165 ℃로 하여 필름성형을 수행하였다. 상기 압출기의 다이 직경은 300 mm이고, 다이갭은 2 mm이고, BUR(Blow Up Ratio)은 3이고, 결빙선 높이는 30 cm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투명성, 천공강도 및 필름 성형성이 우수하며, 음용수에 용출되는 저분자가 적은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워터백(waterbag)용 폴리에틸렌 필름의 사용이 기대된다.

Claims (5)

  1.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98 : 2 내지 92 : 8의 중량비율로 포함하고,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용융지수가 0.5 ~ 3.5g/10분, 밀도가 0.910 ~ 0.930 g/cm3, TREF 분획도표에서 40 ~ 5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85 ~ 100 ℃, 60 ~ 7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00 ~ 110 ℃, 90 ~ 100℃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30 ℃이하,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 500,000이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용융지수가 0.5 ~ 5g/10분, 밀도가 0.918 ~ 0.928 g/cm3, 중량평균분자량(Mw)이 70,000 ~ 120,000인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고,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얻어지는 펠렛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ASTM D5227법에 따른 저분자 추출량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2. a) 용융지수가 0.5 ~ 3.5g/10분, 밀도가 0.910 ~ 0.930 g/cm3, TREF 분획도표에서 40 ~ 5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85 ~ 100 ℃, 60 ~ 7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00 ~ 110 ℃, 90 ~ 100℃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30 ℃이하,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 500,000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용융지수가 0.5 ~ 5g/10분, 밀도가 0.918 ~ 0.928 g/cm3, 중량평균분자량(Mw)이 70,000 ~ 120,000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98 : 2 내지 92 : 8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200 내지 250 ℃에서 압출기 Side Feeder를 이용하여 용융압출물을 얻는 단계; 및
    c) 상기 용융압출물을 냉각 고화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펠렛상의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기 펠렛상의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ASTM D5227법에 따른 저분자 추출량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상의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1항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필름.
  4.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98 : 2 내지 92 : 8의 중량비율로 포함하고,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용융지수가 0.5 ~ 3.5g/10분, 밀도가 0.910 ~ 0.930 g/cm3, TREF 분획도표에서 40 ~ 5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85 ~ 100 ℃, 60 ~ 70 ℃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00 ~ 110 ℃, 90 ~ 100℃의 온도에서 분취된 성분의 용융온도가 130 ℃이하,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 500,000이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용융지수가 0.5 ~ 5g/10분, 밀도가 0.918 ~ 0.928 g/cm3, 중량평균분자량(Mw)이 70,000 ~ 120,000인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고,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얻어지는 펠렛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ASTM D5227법에 따른 저분자 추출량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백(waterbag)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5. 제 4항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워터백(waterbag)용 폴리에틸렌 필름.
KR1020090121549A 2009-12-09 2009-12-09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1132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549A KR101132924B1 (ko) 2009-12-09 2009-12-09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549A KR101132924B1 (ko) 2009-12-09 2009-12-09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808A KR20110064808A (ko) 2011-06-15
KR101132924B1 true KR101132924B1 (ko) 2012-04-06

Family

ID=4439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549A KR101132924B1 (ko) 2009-12-09 2009-12-09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9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507B1 (ko) 2012-06-29 2014-04-1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스트레치 랩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20230125548A (ko) 2022-02-21 2023-08-29 김성환 재활용이 가능한 단일재질 포장지
KR20230161132A (ko) 2022-05-18 2023-11-27 김성환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에틸렌 필름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5423A (ja) * 1996-02-27 1997-09-09 Ube Ind Ltd ブロー成形用ポリエチレン組成物
KR20010098767A (ko) * 2000-04-21 2001-11-08 나까니시 히로유끼 블로우 성형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그의 성형체
KR20040110114A (ko) * 2003-06-18 2004-12-31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JP2006265386A (ja) * 2005-03-24 2006-10-05 Tosoh Corp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5423A (ja) * 1996-02-27 1997-09-09 Ube Ind Ltd ブロー成形用ポリエチレン組成物
KR20010098767A (ko) * 2000-04-21 2001-11-08 나까니시 히로유끼 블로우 성형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그의 성형체
KR20040110114A (ko) * 2003-06-18 2004-12-31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JP2006265386A (ja) * 2005-03-24 2006-10-05 Tosoh Corp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507B1 (ko) 2012-06-29 2014-04-1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스트레치 랩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20230125548A (ko) 2022-02-21 2023-08-29 김성환 재활용이 가능한 단일재질 포장지
KR20230161132A (ko) 2022-05-18 2023-11-27 김성환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에틸렌 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808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3812B1 (en) Polyethylene pipe fitting resins
CA2584381C (en) Polymer blends for producing films with a reduced number of defects
KR20110063439A (ko) 열가소성 전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09040894A (ja) エチレン系重合体およびそれよりなるフィルム
US20140273169A1 (en)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algae materials
KR101132924B1 (ko)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N114573902B (zh) 聚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09032608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Articles from Recycled Materials
KR100996419B1 (ko)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0702492B1 (ko) 광택성 및 강도가 우수한 중공성형용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 및 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528749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의료용 호스
KR101700528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2404680B1 (ko) 농업용 필름 제조를 위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1685760B1 (ko) 도색성 및 충격강도가 향상된 3차원 프린터 필라멘트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0920513B1 (ko) 고압 파이프용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CN111218050A (zh) 一种蜂巢土工格室专用pe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818877B1 (ko) 폴리에틸렌 타포린 압출 라미네이트용 수지 조성물
KR100723360B1 (ko) 외관 및 용기적재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KR101812887B1 (ko) 일반 공업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259248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02816364B (zh) 农膜用茂金属聚乙烯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587382B1 (ko) 고충격, 고내후성의 가교화 회전성형용 수지조성물
JP2001181455A (ja) 中空成形用樹脂組成物および中空成形容器
KR102287804B1 (ko) 발포 비드용 조성물
KR101424857B1 (ko) 중포장백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