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820B1 -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 Google Patents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820B1
KR101132820B1 KR1020090045845A KR20090045845A KR101132820B1 KR 101132820 B1 KR101132820 B1 KR 101132820B1 KR 1020090045845 A KR1020090045845 A KR 1020090045845A KR 20090045845 A KR20090045845 A KR 20090045845A KR 101132820 B1 KR101132820 B1 KR 101132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communication equipment
supply ho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410A (ko
Inventor
김덕근
진의선
Original Assignee
알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82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35Cooling of active equipments, e.g. air du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2Details of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6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는 메인 도어, 서브 도어 및 상기 서브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배기덕트를 구비하며 통신 장비들이 내장되는 하우징; 상기 메인 도어에 관통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하는 필터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설치된 컬럼들 및 상기 컬럼들 중 동일 측면에 설치된 컬럼들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 장비들의 내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컬럼부; 및 상기 통신 장비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통신 장비들을 경유하면서 열교환되도록 상기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는 트레이 및 상기 서브 도어를 구동하는 푸쉬바를 구비한 송풍부를 포함하되, 상기 컬럼은 상기 배출홀에 연통되는 제1공급홀, 상기 유입된 공기와 맞닿는 제2공급홀 및 상기 제1공급홀과 상기 제2공급홀을 연통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가 상기 유입된 공기에 혼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열된 통신 장비들을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킴과 더불어, 상기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다시 혼합 및 순환되게 함으로써, 고습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하우징 내부의 상대 습도를 낮추어 통신 장비들과, 하우징 및 하우징에 내장된 부품 등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CUBICLE HAVING A 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10)은 하우징(housing;20)과, 상기 하우징(20)에 내장되는 통신 장비(30) 및 상기 통신 장비(30) 상부에 설치되는 송풍기(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일측에 도어(door;21)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21)에는 외부에서 하우징(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filtering)하기 위한 필터(22) 및 상기 필터(22)를 수용하는 브라켓(bracket;23)이 설치된다.
상기 통신 장비(30)는 증폭기나 정류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변환부(31) 및 상기 변환부(31)의 상부에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처리부(33)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부(31)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면에 서브 송풍기(32)가 설치되어 상기 필터(22)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변환부(31)를 경유하여 후면으로 배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공기는 상기 변환부(31)에서 발생된 열과 열교환을 하여 상기 변환부(31)를 냉각시키면서 가열된다.
상기 변환부(31)에서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필터(22)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송풍기(40)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처리부(33)를 경유하면서 열교환되어 디지털 처리부(33)를 냉각시키고 배기구(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10)의 경우, 열교환율, 즉 냉각 효율은 좋으나, 장마철과 같이 고습 환경에서는 고습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 부식율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필터(22)를 통해 고습의 공기가 유입되면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10) 내부의 상대 습도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상대 습도가 60% 이상이 되면, 하우징(20)뿐만 아니라 통신 장비(30)의 부식율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어 통신 장비(30)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23)의 공기 이동홀(23a)은 필터(22) 후방에 형성되므로 상기 필터링된 외부 공기가 브라켓(23)을 경유하여 하우징(20) 내부로 유입 시, 상기 통신 장비(30)들의 전면에 직접적으로 맞부딪히므로 통신 장비(30)들의 표면에 결로현상을 초래하여 부식율을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환경이 고습 상태인 경우에도 하우징 내부의 상대 습도가 소정의 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여 상대 습도 상승에 의한 통신 장비의 부식 등과 같은 불량 초래를 방지할 수 있는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은 메인 도어, 서브 도어 및 상기 서브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배기덕트를 구비하며 통신 장비들이 내장되는 하우징; 상기 메인 도어에 관통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하는 필터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설치된 컬럼들 및 상기 컬럼들 중 동일 측면에 설치된 컬럼들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 장비들의 내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컬럼부; 및 상기 통신 장비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통신 장비들을 경유하면서 열교환되도록 상기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는 트레이 및 상기 서브 도어를 구동하는 푸쉬바를 구비한 송풍부를 포함하되, 상기 컬럼은 상기 배출홀에 연통되는 제1공급홀, 상기 유입된 공기와 맞닿는 제2공급홀 및 상기 제1공급홀과 상기 제2공급홀을 연통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가 상기 유입된 공기에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수용하며, 상기 필터링된 외부 공기의 유입 경로를 가이드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외부 공기의 유입 방향이 변경되도록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경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열교환된 상기 열교환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바는 상기 제어부의 설정 온도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를 구동시켜 상기 배기덕트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비들은 적층 배치된 통신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들 중 선택된 제1통신부와 제2통신부 사이에는 상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이 연통되도록 복수의 이동홀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개재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 면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 내면 사이에는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통신부를 경유하면서 상기 제1통신부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이동홀들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공급하도록 가이드하는 분리벽이 개재되어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유입된 공기에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컬럼과 상기 트레이 사이에는 상기 제1공급홀과 상기 배출홀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판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에 의하면, 가열된 통신 장비들을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킴과 더불어, 상기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다시 혼합 및 순환되게 함으로써, 고습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하우징 내부의 상대 습도를 낮추어 통신 장비들과, 하우징 및 하우징에 내장된 부품 등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중 통신 장비들이 제거된 상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송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내에서 공기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내에서 공기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100)은 하우징(110)과, 필터부(120)와, 컬럼부(130) 및 송풍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통신장비(150) 등이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와 외부를 개폐하도록 전방 측에 메인 도어(1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방 측에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배기덕트(112;도 6 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내면에는 상기 배기덕트(112)를 개폐하기 위한 서브 도어(113;도 6 참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120)는 상기 메인 도어(111)에 관통 설치되며, 필터(121) 및 브 라켓(122)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121)는 외부 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 시 외부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염분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2)은 상기 필터(121)를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컬럼부(column unit;130)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는 통신 장비(150)들과 그 밖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1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지지 및 배치되도록 하우징(110) 내부의 양 측면 각각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컬럼(131) 및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134)을 포함한다.
상기 컬럼(131)들은 각 측면에 한 쌍씩 이격 설치될 수 있되, 전방 측에 어느 하나의 컬럼(131)이 설치되고, 후방 측에 나머지 하나의 컬럼(13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측면 및 타 측면 각각에 설치된 컬럼(131)들은 서로 대응된다.
상기 전방 측에 설치된 한 쌍의 컬럼(131)은 내부에 하우징(110) 내부와 격리되는 공간인 공기통로(132)가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 각각에 공급홀(133a,133b)이 형성되되, 상부의 공급홀(133a)은 상기 송풍부(140)와 연통되고, 하부의 공급홀(133b)은 하우징(110) 내부와 연통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맞닿는다.
상기 가이드 레일(134)은 복수개가 일측이 전방 측 컬럼(131)에 결합되고, 타측이 후방 측 컬럼(131)에 결합되되, 서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34)은 일 측면 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34)들과 타 측 면 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34)들은 서로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일 측면 측 및 타 측면 측의 대응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34) 상에 상기 통신 장비(150)들 및 상기 송풍부(140)가 삽입 안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송풍부(140)는 상기 통신 장비(150)들의 상부에 배치되며, 댐퍼(damper;141) 및 상기 댐퍼(141) 상면에 밀착 배치된 트레이(tray;145)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141)는 하면에 외부 공기의 이동 경로인 경유홀(142)이 형성되며, 전방에 제어부(148), 후방에 온도 감지 센서부(144) 및 푸쉬바(push bar;143)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148)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부(144)로부터 감지된 온도 정보를 수신 및 판독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푸쉬바(14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부(144)는 상기 하우징(110)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48)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48)로부터 명령을 받아 상기 푸쉬바(143)를 구동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 감지 센서부는 온도 감지를 위한 온도 감지 센서 및 상기 푸쉬바의 구동을 위해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쉬바(143)는 상기 제어부(148) 및 상기 온도 감지 센서부(144)에 의해 회전 운동이나 직선 운동 등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된 서브 도어(113)를 밀어 배출덕트(112)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45)에는 상기 경유홀(142)에 대응되게 송풍팬(146)이 내장되며, 전방 양 측면 각각에 상기 한 쌍의 컬럼(131)의 상부에 형성된 공급홀(133a)과 연통되는 배출홀(147)이 형성된다.
상기 송풍팬(146)은 상기 필터부(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송풍부(140)의 하부에 배치된 통신 장비(150)들을 경유하여 상기 트레이(145)의 배출홀(147)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한다.
즉, 상기 송풍팬(146)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통신 장비(150)들을 경유하면서 상기 통신 장비(150)들에서 발생된 열과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상기 배출홀(147)을 통해 전방 측 한 쌍의 컬럼(131) 내의 공기통로(132)를 통하여 이송되고, 하부의 공급홀(133b)을 통해 하우징(110) 내의 전방 하부로 배출되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된다.
상기 한 쌍의 컬럼(131)과 상기 트레이(145) 사이에는 밀봉판(135)이 개재되어 상기 배출홀(147) 및 상기 상부의 공급홀(133a)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의 이동 시 이동 경로를 밀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100)은 하우징(110) 내부의 열교환된 온도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의 배출 또는 순환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즉, 배출 모드는 하우징(110) 내부의 열교환된 온도가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의 모드로써 배출덕트(112)가 개방된 상태이고, 순환 모드는 하우징(110) 내부의 열교환된 온도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의 모드로써 배출덕트(112)가 폐쇄된 상태이다.
상기 배출 모드에 의하면, 상기 혼합된 공기가 송풍팬(146)에 의하여 통신 장비(150)들을 경유하면서 열교환을 통해 상기 통신 장비(150)들을 냉각한 후 배출덕트(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순환 모드는 상기 푸쉬바(143)에 의하여 서브 도어(113)를 밀어 상기 배기덕트(112)를 폐쇄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의 배출 대신 순환에 의하여 하우징(110) 내부의 상대 습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100)에 의하면, 가열된 통신 장비(150)들을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로 냉각시킴과 더불어, 상기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습도가 높은 유입 공기와 다시 혼합되게 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의 상대 습도를 낮추어 통신 장비(150)들과, 하우징(110) 및 하우징(110)에 내장된 부품 등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중 필터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필터부(120) 중 브라켓(122)은 필터링된 공기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여, 즉 필터링된 공기의 진행 방향을 수직인 방향으로 변경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122)의 측면 또는/및 하면에는 변경홀(123)이 형성되어 상기 필터링된 공기가 그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형성된 변경홀(123)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브라켓(122)에 의하면, 변경홀(123)을 통해 하우징(110)의 전방 측부 및/또는 하부 측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열교환된 공기와 혼합되어 상대 습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우회하여 통신 장비(150)들 측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는 종래 필터링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직접적으로 통신 장비(150)들의 전면에 맞부딪힘에 의하여 부식율이 증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 중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은 제1 실시예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100)에 내장된 통신 장비(150)들은 전면에 서브 송풍팬(152)이 구비된 제1통신부(151)와, 상기 제1통신부(151) 상부에 배치된 제2통신부(153) 및 상기 제2통신부(153) 상부에 배치된 제3통신부(154)를 포함하며, 상기 제1,2통신부(151,153)는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151)와 상기 제2통신부(153) 사이에는 하우징(110) 내부의 전방 및 후방이 연통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의 이동홀(161)이 형성된 플레이트(plate;16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60)의 후방 측 단부 및 하우징(110)의 후방 측 내면 사이에는 분리벽(114)이 개재되어 상기 제1통신부(151)를 경유하면서 열교환된 외부 공기가 상기 플레이트(160)의 이동홀(161)들을 통해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151)에서 열교환되어 후방으로 배출된 외부 공기는 상기 플레이트(160)의 이동홀(161)들을 통해 메인 도어(111) 측인 하우징(110) 내의 전방 측으로 이동되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고습의 외부 공기와 혼합됨으로써, 혼합 공기의 온도 상승에 의한 상대 습도를 낮춰 하우징(110) 내의 통신 장비(150) 등의 부식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100)에 의하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고습의 외부 공기와 통신 장비(150)들을 경유하면서 열교환되어 가열된 공기를 혼합하여 혼합 공기의 상대 습도를 낮춤에 의해 하우징(110)에 내장된 통신 장비(150)들 및 그 외 부품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60)는 상기 제1통신부(151)와 상기 제2통신부(153)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면, 제2통신부(153)와 제3통신부(154)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실시예 중 제1,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은 제1,2 실시예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종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중 통신 장비들이 제거된 상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송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내에서 공기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도 3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내에서 공기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중 필터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110... 하우징
111... 메인 도어 112... 배기덕트
113... 서브 도어 114... 분리벽
120... 필터부 121... 필터
122... 브라켓 123... 변경홀
130... 컬럼부 131... 컬럼
132... 공기통로 133a,133b... 공급홀
134... 가이드 레일 135... 밀봉판
140... 송풍부 141... 댐퍼
143... 푸쉬바 145... 트레이
146... 송풍팬 147... 배출홀
150... 통신 장비 160... 플레이트
161... 이동홀

Claims (5)

  1. 메인 도어, 서브 도어 및 상기 서브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배기덕트를 구비하며 통신 장비들이 내장되는 하우징;
    상기 메인 도어에 관통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하는 필터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설치된 컬럼들 및 상기 컬럼들 중 동일 측면에 설치된 컬럼들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 장비들의 내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컬럼부; 및
    상기 통신 장비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통신 장비들을 경유하면서 열교환되도록 상기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는 트레이 및 상기 서브 도어를 구동하는 푸쉬바를 구비한 송풍부를 포함하되,
    상기 컬럼은 상기 배출홀에 연통되는 제1공급홀, 상기 유입된 공기와 맞닿는 제2공급홀 및 상기 제1공급홀과 상기 제2공급홀을 연통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가 상기 유입된 공기에 혼합되는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수용하며, 상기 필터링된 외부 공기의 유입 경로를 가이드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외부 공기의 유입 방향이 변경되도록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경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열교환된 상기 열교환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센서부와 상기 감지된 온도 정보를 수신 및 상기 푸쉬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바는 상기 제어부의 설정 온도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를 구동시켜 상기 배기덕트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비들은 적층 배치된 통신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들 중 선택된 제1통신부와 제2통신부 사이에는 상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이 연통되도록 복수의 이동홀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개재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 면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 내면 사이에는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통신부를 경유하면서 상기 제1통신부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이동 홀들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공급하도록 가이드하는 분리벽이 개재되어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유입된 공기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럼과 상기 트레이 사이에는 상기 제1공급홀과 상기 배출홀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판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KR1020090045845A 2009-05-26 2009-05-26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KR101132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845A KR101132820B1 (ko) 2009-05-26 2009-05-26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845A KR101132820B1 (ko) 2009-05-26 2009-05-26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410A KR20100127410A (ko) 2010-12-06
KR101132820B1 true KR101132820B1 (ko) 2012-04-02

Family

ID=4350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845A KR101132820B1 (ko) 2009-05-26 2009-05-26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8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286B1 (ko) * 2013-12-19 2014-02-18 해림계전(주) 습기 자동 제거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607319B1 (ko) 2014-04-24 2016-03-29 전진융복합협동조합 서버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516B1 (ko) * 2017-11-24 2018-04-09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3차원(3d) 모델링 데이터의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방법
KR102027870B1 (ko) * 2018-01-18 2019-11-14 송기현 수배전반 함체
KR102400915B1 (ko) * 2020-08-10 2022-05-24 금오건설주식회사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KR102457360B1 (ko) * 2022-01-06 2022-10-21 주식회사 현이엔지 통신 장비용 함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8565A (ja) 1999-12-03 2001-06-22 Sanken Electric Co Ltd 電子機器用キャビネット
KR200319852Y1 (ko) 2003-04-30 2003-07-16 주식회사 한썸 옥외 설치용 통신기기 함체의 냉각장치
KR20030065439A (ko) * 2003-07-18 2003-08-06 주식회사 컴패스 함체의 냉각구조
KR20060028546A (ko) * 2004-09-25 2006-03-30 주식회사 인투알 전자기기를 수납하는 캐비넷 랙의 분진 및 습기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8565A (ja) 1999-12-03 2001-06-22 Sanken Electric Co Ltd 電子機器用キャビネット
KR200319852Y1 (ko) 2003-04-30 2003-07-16 주식회사 한썸 옥외 설치용 통신기기 함체의 냉각장치
KR20030065439A (ko) * 2003-07-18 2003-08-06 주식회사 컴패스 함체의 냉각구조
KR20060028546A (ko) * 2004-09-25 2006-03-30 주식회사 인투알 전자기기를 수납하는 캐비넷 랙의 분진 및 습기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286B1 (ko) * 2013-12-19 2014-02-18 해림계전(주) 습기 자동 제거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607319B1 (ko) 2014-04-24 2016-03-29 전진융복합협동조합 서버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410A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820B1 (ko)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RU2444777C2 (ru) Система стеллажей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лиматических условий для такой системы
KR100772247B1 (ko)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 및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장치
KR100917301B1 (ko) 공조용 토출 장치 시스템, 배출열 반송 장치 시스템 및이들을 구비한 공조 시스템
KR101782774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JP4285298B2 (ja) 冷却装置
JP2016110273A (ja) ラック及び電子装置冷却方法
KR102282320B1 (ko)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EP3941171B1 (en) Cooling system for computer components
JP2009068750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200464937Y1 (ko) 수직형 에어 커튼 장치
KR100623526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환기 제어 방법
KR101821369B1 (ko) 온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함체
KR102293529B1 (ko) 캐비닛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4143A (ko) 전장함의 환기 및 냉각 제어 시스템
CN111542718A (zh) 通风装置和用于运行这种装置的方法
KR20180005603A (ko) 복합 제습식 수배전반
JP4691144B2 (ja) 電子機器収容ラック
KR100661771B1 (ko) 오일 수거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JP2012061172A (ja) デスクシステム
JP2008198780A (ja) 電子機器冷却装置
KR20090015446A (ko) 냉/난방 겸용의 공조시스템을 갖는 통신함체
KR20140028874A (ko) 서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
KR101604847B1 (ko) 제어반용 제습장치
KR20180089623A (ko) 제습 기능이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