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320B1 -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320B1
KR102282320B1 KR1020200180200A KR20200180200A KR102282320B1 KR 102282320 B1 KR102282320 B1 KR 102282320B1 KR 1020200180200 A KR1020200180200 A KR 1020200180200A KR 20200180200 A KR20200180200 A KR 20200180200A KR 102282320 B1 KR102282320 B1 KR 102282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sitive pressure
heat
air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안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파워
주식회사 쉬프트베리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파워, 주식회사 쉬프트베리,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파워
Priority to KR102020018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내부 온도를 낮춰 제습함과 동시에 과열 및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는 발열하는 전기설비가 설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외부보다 높은 압력을 부여하는 양압기구를 포함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로서, 상기 함체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에 설치되는 제습하우징, 상기 제습하우징에서 상기 함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 한 후 다시 함체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습부, 상기 제습하우징에서 상기 함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제습부에서 발생하는 온열을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방열하는 방열부, 및 상기 제습하우징에서 상기 제습부와 상기 방열부의 사이를 구획하여 서로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며 상기 함체의 내부 양압이 상기 방열부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양압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는 상기 제습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냉각할 때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배수구가 형성된 응축수저장통, 상기 응축수저장통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저장통에 저장된 응축수의 미리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함체의 양압이 상기 응축수배수구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응축수배수구를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미리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응축수배수구를 개방하는 방압배수밸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함체의 내부를 냉각시켜 전기설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압성을 향상시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Dehumidifying device with improved positive pressure of positive pressure switchgear, distribution panel, connection panel, and control panel}
본 발명은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내부 온도를 낮춰 제습함과 동시에 과열 및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은 내부에 함체의 내부에 전기설비가 설치되는데, 함체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전기설비에 합선을 유발하여 화재가 발생하거나, 기계적인 구동부에 이물질 쌓여 고장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공보 제10-218776호(2020.12.07.공고)의 "양압 스마트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이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양압 스마트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은 변전기구를 수용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외부 압력보다 내부 압력이 높은 압력을 유지하여 상기 함체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양압발생기구, 및 상기 함체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일 경우, 상기 함체의 온도가 하락되도록 상기 함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공기가 모인 상기 함체 상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전자변을 포함하고, 상기 양압발생기구는 상기 함체의 외부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함체의 내부로 공급하는 컴프레서, 및 상기 컴프레서에서 압축된 공기를 상기 함체의 내부로 공급하며 상하로 복수 개가 설치되는 도입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도입배관은 상기 함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함체의 상부로 이동하는 상승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함체의 하부에서 상부에 위치할수록 압축공기의 토출압력이 낮아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를 개폐하는 개폐구와 상기 변전기구가 위치되는 전실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구를 개방 시 상기 전실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압실을 포함하며, 상기 함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온의 공기를 모아 상기 배기전자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고온흡입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양압 스마트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은 내부에 양압을 발생시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화재나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양압 스마트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은 함체의 가열 시 내기를 외부로 방열하기 때문에 방열성이 하락될 뿐만 아니라, 결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결로방지기구가 변전기구에 결로방지기구가 설치되지만, 함체의 내부에 결로방지기구의 방열을 위한 구성들이 함께 수용되기 때문에 열적손실이 발생하면서 결로방지기구의 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히트파이프가 설치되지만, 특히 여름철에는 히트파이프의 열이 함체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함체의 내부 온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습장치에 의해 함체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수분에 의한 전기설비의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체의 내부를 냉각시키고, 외부와의 온도차이를 감소시켜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습장치에서 방열하는 방열부는 함체의 외부에 위치하고 제습부는 함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열적손실을 최소화하여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열부와 제습부가 양압차단판에 의해 구획되기 때문에 공기의 누설을 최소화하여 양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응축수저장통의 응축수배수구를 양압유지밸블에 의해 개폐하기 때문에 응축수배수구를 통해 공기가 누설되면서 양압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양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응축수를 응축수디퓨져에 의해 증발시켜 제거하기 때문에 응축수를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응축수저장통의 응축수유입구가 응축냉각싱크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내기흡입구와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유입되는 내부공기에 의해 응축수유입구로 응축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응축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공기에 응축수가 혼입되어 함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는 발열하는 전기설비가 설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외부보다 높은 압력을 부여하는 양압기구를 포함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로서, 상기 함체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에 설치되는 제습하우징, 상기 제습하우징에서 상기 함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 한 후 다시 함체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습부, 상기 제습하우징에서 상기 함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제습부에서 발생하는 온열을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방열하는 방열부, 및 상기 제습하우징에서 상기 제습부와 상기 방열부의 사이를 구획하여 서로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며 상기 함체의 내부 양압이 상기 방열부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양압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는 상기 제습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냉각할 때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배수구가 형성된 응축수저장통, 상기 응축수저장통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저장통에 저장된 응축수의 미리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함체의 양압이 상기 응축수배수구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응축수배수구를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미리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응축수배수구를 개방하는 방압배수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부는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미리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응축수저장통에 저장된 응축수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상기 응축수배수구로 배출하는 응축수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는 일면이 가열되는 발열면과 타면이 냉각되는 냉각면을 갖는 열전소자, 및 상기 냉각면에 접촉되어 상기 냉각면의 냉열을 전도하며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지나면서 열교환하여 냉각됨과 동시에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상기 응축수저장통으로 배출하는 응축냉각유로가 형성된 응축냉각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는 상기 함체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상기 응축냉각싱크를 거쳐 다시 상기 함체의 내부로 공급하는 내기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는 상기 응축냉각싱크와 상기 응축수저장통의 사이에 설치되어 응축냉각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저장통으로 안내하며, 흡입된 상기 함체의 내부공기를 상기 응축냉각유로로 안내하는 흡입배수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는 상기 흡입배수하우징에 이물질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배수하우징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공기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는 상기 발열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면과 열교환하는 열전매체가 공급되는 열교환자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열전매체가 저장되는 매체저장통, 및 상기 매체저장통에 저장된 상기 열전매체를 강제적으로 상기 열교환자켓으로 공급하는 매체순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응축수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배수저장통, 상기 제습부에서 발생한 가열된 열과 열교환한 열전매체를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배수저장통에 저장된 응축수를 흡수하여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증발시켜 처리하는 응축수디퓨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열교환기를 외부의 공기가 강제적으로 지나면서 열교환한 후 배출되도록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하는 외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여 모이는 고온호퍼부, 및 상기 함체의 양압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온호퍼부에 모인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방출하는 배기전자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를 개폐하는 개폐구와 전기설비가 위치되는 함체의 내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구를 개방 시 상기 함체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압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체에 제습장치를 설치하여 함체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전기설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체의 내부온도를 낮출 수 있어 전기설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함체의 내부에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습장치에서 열이 발생하는 방열부는 함체의 외부에 위치하고, 냉각하는 제습부는 함체의 내부에 위치하여 열적손실을 최소화하여 제습장치의 제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열부와 제습부가 양압차단판에 의해 구획되어 양압의 누설을 방지함으로써, 양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축수저장통에 응축수배수구를 방압배수밸브가 밀폐한 상태에서 응축수를 배출할 때에만 개방하여 응축수배수구를 통해 양압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양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되는 응축수를 응축수디퓨져에 의해 증발시켜 처리하기 때문에 응축수를 비우기 위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함체에 고온호퍼부가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를 모아 외부로 배출하여 함체의 내부에 냉각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양압차단밸브가 고온의 공기를 배출할 때에만 개방하여 양압성의 하락을 방지함으로써, 양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함체의 출입구에 방압실이 설치되어 함체의 내부로 출입할 때, 양압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의 설치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함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를 함체에 설치한 상태에서 제습하우징의 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에서 제습하우징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의 제습부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의 제습부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흡입배수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100)가 설치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은 함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200)는 사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함체(200)의 내부에는 전기설비(300) 예컨대, 수배전설비, 분전설비, 접속설비, 제어설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전기설비(300)에 따라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함체(200)는 함체(200)의 내외로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도록 기밀성을 가질 수 있다.
함체(200)는 양압기구(400), 고온호퍼부(230), 배기전자변(240), 및 방압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양압기구(400)는 함체(200)의 내부에 압력이 함체(200)의 외부의 압력보다 높아지도록 함체(200)의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양압기구(400)는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공기압축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양압기구(400)는 함체(200)의 내부에 설치하거나, 함체(2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압축된 공기를 함체(200)의 내부에 공급하는 형태로 함체(200)의 내부에 양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함체(200)의 내부에는 양압기구(300)에서 압축된 공기를 분사하여 함체의 내부에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노즐이 설치될 수 있으며, 양압기구(400)은 방압실(2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고온호퍼부(230)는 함체(200)의 상부에 설치하며 상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함체(20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고온호퍼부(230)는 함체(200)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모아둘 수 있다.
여기서, 함체(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설비(300)는 작동에 따라 열이 발생하여 함체(200)의 내부 공기가 가열되며 가열된 공기는 함체(200)의 상부로 이동하여 고온호퍼부(230)에 모인다.
고온호퍼부(230)에는 고온호퍼부(230)에 모인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방출구에는 배기전자변(240)이 설치되어 배기전자변(24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 예컨대, 고온호퍼부(230)의 내부온도 또는 함체(200)의 내부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방출구를 개방하여 고온호퍼부(230)에 모인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함체(200)의 내부온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배기전자변(240)은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배기전자변(240)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 방출구를 밀폐하여 함체(200)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함체(200)의 내부 양압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전자변(240)은 함체(200)의 외부에 설치되고, 배기전자변(240)과 고온호퍼부(230)의 방출구는 서로 고온이동덕트에 의해 연결되어 배기전자변(240)이 고온이동덕트를 개폐함에 따라 고온호퍼부(230)에 모인 가열된 공기를 고온이동덕트를 통해 함체(200)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방압실(220)은 함체(200)의 내외를 출입 또는 점검하기 위해 개폐하는 개폐구(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구(210)와 전기설비(300)가 위치하는 사이에 방압실(220)을 형성하여 개폐구(210)를 개방 시 함체(20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면서 양압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방압실(220)에는 함체(200)의 내부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구(221)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개폐구(210)와 진입구(221)에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압실(220)은 함체(200)의 내부로 진입할 때, 개폐구(210)의 도어를 개방하여 방압실(220)로 먼저 진입하고 개폐구(210)의 도어를 폐쇄한 뒤 방압실(220)의 진입구(221)에 형성된 도어를 개방하여 함체(200)의 내부로 진입함으로써, 개폐구(210)의 개방에 따라 함체(200)의 내부에 양압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함체(200)의 내부에 진입한 상태에서 외부로 나올 때에는 진입구(221)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하고, 방압실(220)로 진입한 뒤, 진입구(221)를 폐쇄하고, 개폐구(210)의 도어를 개방한 뒤 나오는 형태로 함체(200)의 내외로 출입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100)는 함체(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여 습기로 인한 전기설비(300)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함체(200)의 내부를 냉각시키고,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습장치(100)는 함체(200)에서 고온의 공기가 상승되는 상부에 설치되어 함체(200)의 상부의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형태로 함체(200)의 냉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습장치(100)는 제습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습하우징(110)은 내부가 빈 박스형태일 수 있으며, 제습하우징(110)은 함체(200)의 내부 및 외부를 구획하는 경계면인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제습하우징(110)의 일부는 함체(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함체(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습하우징(110)에서 함체(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외부의 공기가 제습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흡입구(117)와 제습하우징(110)으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외기배기구(119)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습하우징(110)에서 함체(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함체(200)의 내부의 공기가 제습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내기흡입구(113)와 제습하우징(110)으로 유입된 내부의 공기를 다시 함체(200)의 내부로 배출하는 내기배기구(115)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습하우징(110)의 중앙부분에는 함체(200)의 패널에 걸쳐지는 하우징플랜지부(111)가 둘레에서 판의 형태로 돌출되어 하우징플랜지부(111)를 함체(200)의 패널에 고정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플랜지부(111)에 의해 함체(20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과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 구획될 수 있다.
제습장치(100)는 제습하우징(110)에서 함체(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방열부(160)와 제습하우징(110)에서 함체(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부(130)는 함체(200)의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켜 함체(2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으며, 방열부(160)는 제습부(130)에서 발생한 온열을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형태로 방열할 수 있다.
제습부(130)와 방열부(160)는 제습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양압차단판(120)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며, 양압차단판(120)은 제습부(130)에서 방열부(160)로 공기의 누설을 차단하여 양압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습부(130)와 방열부(160)의 열이 서로 교환되어 제습부(130)의 냉각성이 하락됨으로써, 열적손실이 발생하여 제습성능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양압차단판(120)은 제습하우징(110)의 하우징플랜지부(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130)는 열전소자(131), 및 응축냉각싱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131)는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일면이 가열되는 발열면을 가지며, 타면은 냉각되는 냉각면을 가질 수 있다.
응축냉각싱크(140)는 열전소자(131)의 냉각면에 접촉하여 냉각면의 냉열을 전도할 수 있으며, 응축냉각싱크(140)에는 복수 개의 열전소자(131)의 냉각면이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응축냉각싱크(140)는 제습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함체(200)의 내부의 공기가 지나면서 냉열과 열교환하여 함체(200)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공기의 냉각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형태로 제습할 수 있다.
응축냉각싱크(140)에는 공기가 지나는 응축냉각유로(1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냉각유로(141)를 지나는 공기는 응축냉각싱크(140)로 전달되는 냉열에 의해 냉각됨과 동시에 온도차에 따라 응축냉각유로(141)의 표면에서 수분을 응축시켜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응축냉각유로(141)는 공기가 하부에서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도록 응축냉각싱크(140)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냉각유로(141)는 응축냉각싱크(14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응축냉각유로(141)은 지나는 공기와 열교환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응축냉각유로(141)의 내부 둘레에 복수 개의 미세돌기가 돌출될 수 있으며, 응축냉각유로(141)에는 미세돌기에 의해 응축냉각유로(141)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미세돌기들 사이에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모여 응축수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냉각싱크(140)는 응축냉각유로(141)로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의 단부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마주하는 면이 경사진 경사부(143)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와 같이, 함체(200)의 내부공기가 응축냉각싱크(140)의 하부에서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내부공기가 응축냉각싱크(140)의 하부와 직교되는 방향에서 유입되도록 구성하였을 경우,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과 마주하는 면이 하부로 갈수록 응축냉각싱크(140)의 후방을 향해 기울어지는 형태로 형성하여 응축냉각싱크(140)와 마주하는 방향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응축냉각유로(141)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응축냉각싱크(140)는 경사부(143)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하부가 뾰족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응축냉각유로(141)를 통해 하부로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응축냉각싱크(140)의 끝단에 맺혀 떨어짐으로써, 응축수가 떨어지는 위치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응축냉각싱크(140)은 응축냉각싱크(140)의 외면에서 온도차에 따른 결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단열재는 응축냉각싱크(140)를 수용하는 싱크하우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130)는 응축수저장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저장통(150)은 응축냉각싱크(14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응축수저장통(150)은 응축냉각싱크(14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응축수저장통(150)은 응축냉각싱크(14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내부공기에 의해 응축수저장통(150)으로 유입되도록 내부공기가 유입되는 내기흡입구(113)와 마주하는 부분에 응축수유입구(15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응축수저장통(150)에는 저장된 응축수를 방열부(160)로 제공하도록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배수구(15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130)는 수위감지센서(153), 방압배수밸브(155), 및 응축수배수펌프(15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153)는 응축수저장통(150)에 설치되어 응축수저장통(150)에 저장된 응축수의 미리 설정된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153)는 응축수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수위감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수위감지센서(153)는 전기의 통전에 따라 수위를 감지하는 전기적인 센서로 구현되거나, 플로트에 의해 수위를 감지하는 기계적인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방압배수밸브(155)는 응축수저장통(150)에서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배수구(159)에 설치되어 응축수배수구(159)를 개폐할 수 있다.
방압배수밸브(155)는 함체(200)에 양압이 발생한 상태에서 응축수의 배출로 인해 양압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응축수배수구(159)를 밀폐하다가 수위감지센서(153)에서 미리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면, 응축수배수구(159)를 개방하여 응축수를 배출하고, 응축수가 배출되면, 양압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응축수배수구(159)를 폐쇄할 수 있다.
방압배수밸브(155)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응축수배수펌프(151)는 방압배수밸브(155)가 응축수배수구(159)를 개방하면 응축수저장통(150)에 저장된 응축수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응축수배수펌프(151)는 수위감지센서(153)에서 미리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거나, 방압배수밸브(155)에서 응축수배수구(159)를 개방하면 작동할 수 있으며, 응축수배수펌프(151)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수위감지센서(153)에서 미리 설정된 최소수위에 도달하면 작동이 정지되거나, 방압배수밸브(155)에 의해 응축수배수구(159)가 밀폐되면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제습부(130)는 흡입배수하우징(145), 및 배기하우징(147)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배수하우징(145)은 응축냉각싱크(140)와 응축수저장통(150)을 연결하여 내부공기의 흡입을 상기 응축냉각싱크(140)로 유도함과 동시에 응축냉각싱크(14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받아 응축수저장통(150)로 제공할 수 있다.
흡입배수하우징(145)은 함체(200)의 내부공기를 응축냉각싱크(140)로 공급하도록 제습하우징(110)의 내기흡입구(113)와 연통되는 흡입연통구(145a)가 형성되며, 흡입연통구(145a)와 마주하는 방향에는 응축수저장통(150)의 응축수유입구(157)와 연통되는 저장통연통구(145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배수하우징의 바닥면은 저장통연통구(145b)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응축냉각싱크(14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가 자연적으로 저장통연통구(145b)를 통해 응축수저장통(150)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저장통연통구(145b)와 흡입연통구(145a)의 사이에는 저장통연통구(145b)에서 흡입연통구(145a)로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차단부가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흡입배수하우징(145)의 상부 중앙부분에는 응축냉각싱크(140)의 하단부분이 삽입되는 싱크삽입부(145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흡입배수하우징(145)은 흡입배수하우징(145)으로 유입되는 내부공기가 응축냉각싱크(14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응축수가 응축수저장통(15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하우징(147)은 응축냉각싱크(140)와 제습하우징(110)에 형성된 내기배기구(115)를 연결할 수 있다.
배기하우징(147)은 단부는 응축냉각싱크(140)의 상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배기하우징(147)은 제습하우징(110)에 형성된 내기배기구(115)와 연통되는 배기연통구(147a)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하우징(147)은 응축냉각싱크(140)를 지나 냉각된 내부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다시 함체(2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제습부(130)는 공기필터(113a) 및, 내기순환팬(149)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필터(113a)는 함체(200)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으며, 공기필터(113a)는 내기흡입구(113)에 설치되어 제습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되는 내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여기서, 공기필터(113a)는 함체(200)의 내부공기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응축냉각싱크(140)로 유입됨에 따라 응축수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응축수저장통(150) 또는 흡입배수하우징(145)에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내기순환팬(149)은 제습하우징(110)으로 내부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한 후 응축냉각싱크(140)를 거친 후 다시 함체(200)의 내부로 순환시켜 공급할 수 있다.
내기순환팬(149)은 배기하우징(147)에 설치되어 응축냉각싱크(140)에서 강제적으로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내기배기구(115)로 배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130)는 열교환자켓(1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열교환자켓(135)은 열전소자(131)의 발열면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열전소자(131)를 냉각시킬 수 있다.
열교환자켓(135)은 열전매체가 순환하여 지나면서, 열교환매제와 열교환하는 형태로 열전소자(131)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열교환자켓(135)에는 열전매체가 순환하여 흐르는 열교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자켓(135)은 복수 개의 열전소자(131)가 설치되는 경우, 각 열전소자(131)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열교환자켓(135)으로 공급되는 열전매체는 하기에 설명할 방열부(16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160)는 열교환기(170), 매체저장통(190), 및 매체순환펌프(191)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70)는 제습부(130)에서 열교환하여 가열된 열전매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70)는 열교환자켓(135)과 양압차단판(1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매체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열전매체가 공급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170)는 외부의 공기가 지나면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형태로 열전매체의 열을 뺏어 열전매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열전매체는 물, 또는 열교환이 쉽게 이루어지는 액상 또는 예컨대, 수소화불화탄소 또는 과불산화탄소와 같은 기상의 물질일 수 있다.
열교환기(170)는 외부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복수 개의 핀이 설치된 형태일 수 있다.
매체저장통(190)은 열전매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열전매체를 매체이송관을 통해 양압차단판(120)을 관통하여 열교환자켓(135)으로 공급할 수 있다.
매체저장통(190)에는 열교환기(170)에서 열교환하여 냉각된 열전매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170)와 매체저장통(190)은 매체이송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매체순환펌프(191)는 매체저장통(190)에 설치되어 매체저장통(190)에 저장된 열전매체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열교환자켓(135)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매체순환펌프(191)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작동하거나, 열전소자(131)가 작동할 때 열전매체를 공급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매체순환펌프(191)는 매체저장통(190)에서 열전매체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토출하기 때문에 열전매체가 열교환자켓(135)과 열교환기(170)를 거쳐 다시 매체저장통(190)으로 순환되는 순환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160)는 배수저장통(180), 및 응축수디퓨져(17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저장통(180)은 응축수저장통(150)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배수저장통(180)과 응축수저장통(150)은 양압차단판(120)을 관통하는 응축수이송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응축수저장통(150)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응축수디퓨져(173)는 배수저장통(180)에 저장된 응축수를 증발시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응축수디퓨져(173)는 열교환기(170)에 겹쳐져 설치될 수 있으며, 배수저장통(180)에 저장된 응축수를 흡수하여 열교환기(170)와 마주하는 부분에서 확산되면서 열전매체와 열교환하여 발생하는 열과 외부공기에 의해 응축수를 증발시켜 배수저장통(180)에 저장된 응축수를 처리할 수 있다.
응축수디퓨져(173)는 응축수를 흡수하여 확산시킬 수 있는 섬유 또는 지류 또는 세라믹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수디퓨져(173)는 복수 개의 막대가 세워진 형태로 열교환기(170)에 겹쳐져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디퓨져(173)는 다공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응축수를 흡수한 상태에서 외기가 투과하면서 응축수를 증발시킬 수 있다.
방열부(160)는 외기팬(17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기팬(175)은 외부공기가 열교환기(170)를 강제적으로 거쳐 열교환기(170)와 열교환하도록 외부공기를 제습하우징(110)의 하부로 도입하고, 열교환기(170)와 열교환한 외부공기를 제습하우징(110)의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외기팬(175)은 열교환기(170)와 겹쳐진 상태에서 제습하우징(110)에서 외기배기구(119)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외기배기구(119)를 향해 외부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제습하우징(110)의 외기흡입구(117)로 흡입되어 열교환기(170)를 거친 후 외기배기구(119)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100)는 전기설비(300)가 수용되는 함체(2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함체(200)의 상부에는 가열된 공기가 모이는 고온호퍼부(230)가 설치되고, 고온호퍼부(230)에는 고온배출구에는 방출구가 형성되고, 방출구에는 방출구를 개폐하는 배기전자변(240)이 설치된다.
그리고, 함체(200)의 개폐구(210)에는 양압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압실(220)이 설치된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는 함체(200)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상부 측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습장치(100)의 일부는 함체(200)의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함체(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함체(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습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방열부(160)가 위치될 수 있으며, 함체(2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습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습부(13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제습부(130)와 방열부(160)는 양압차단판(120)에 의해 공기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구획된다.
제습부(130)는 발열면과 냉각면이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열전소자(131)와 열전소자(131)의 냉각면이 부착되어 냉열을 전도하는 응축냉각싱크(140)가 설치되며, 응축냉각싱크(140)에는 복수 개의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응축냉각유로(141)가 형성된다.
응축냉각싱크(140)의 하부에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저장통(150)이 설치되고, 응축수저장통(150)와 응축냉각싱크(140)는 흡입배수하우징(145)이 설치되고, 흡입배수하우징(145)에 일면은 제습하우징(110)의 내기흡입구(113)와 연통되고, 내기흡입구(113)와 마주하는 면에는 응축수저장통(150)의 응축수유입구(157)와 연통된다.
응축냉각싱크(140)의 상단은 제습하우징(110)의 내기흡입구(113)와 배기하우징(147)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응축수저장통(150)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53)와 응축수저장통(150)의 응축수배수구(159)를 개폐하는 방압배수밸브(155)가 설치된다.
열전소자(131)의 발열면에는 열전매체와 열교환하는 열교환자켓(135)이 설치되며, 배기하우징(147)에는 응축냉각싱크(140)로 내부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내기순환팬(149)이 설치된다.
한편, 방열부(160)는 열교환자켓(135)에서 열교환한 열전매체의 열을 빼앗아 방열하는 열교환기(170)기 설치되며, 열교환기(170)를 거쳐 냉각된 열전매체가 저장되는 매체저장통(190)이 설치되고, 매체저장통(190)에는 열교환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매체순환펌프(191)가 설치된다.
방열부(160)에는 응축수저장통(150)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설치되며, 저장탱크에는 열교환기(170)로 응축수를 증발시키기 위해 흡수하여 확산시키는 응축수디퓨져(173)가 설치되고, 열교환기(170)에는 외부공기가 열교환기(170)를 거쳐 방열부(16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기팬(175)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100)는 함체(200)의 내부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범위에 도달하면, 제습장치(100)가 가동한다.
제습장치(100)는 열전소자(131)를 작동시키고, 열전소자(131)는 냉각면에서 냉열이 발생하여 응축냉각싱크(140)부로 전도되고, 내기순환팬(149)이 작동하면서 가열된 내부공기가 내기흡입구(113)로 흡입된다.
내기흡입구(113)로 흡입된 내부공기는 흡입배수하우징(145)을 통해 응축냉각싱크(140)의 응축냉각유로(141)로 유입되고, 응축냉각유로(141)를 거치는 내부공기는 냉열과 열교환하여 냉각되면서, 내부공기와 응축냉각싱크(140)의 온도차에 의해 내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결되어 응축냉각유로(141)에 맺힌다.
그리고, 응축냉각싱크(140)를 거친 내부공기는 배기하우징(147)을 통해 제습하우징(110)의 내기배기구(115)로 배출되어 함체(200)로 공급되는 형태로 함체(200)의 내부공기가 순환하며, 제습 및 함체(200)의 내부를 냉각시키고, 외부와의 온도차를 감소시켜 결로의 발생을 방지한다.
한편, 응축냉각유로(14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응축냉각싱크(140)의 하부로 배출되고, 응축냉각싱크(140)의 하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는 마주하는 내기흡입구(113)로부터 흡입되는 내부공기의 압력에 의해 응축수유입구(157)로 유입되어 응축수저장통(150)에 저장된다.
응축수저장통(150)에 저장된 응축수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수위감지센서(153)가 감지하여 방압배수밸브(155)를 개방함과 동시에 응축수배수펌프(151)를 작동시킨다.
이때, 방압배수밸브(155)는 함체(200)의 내부에 양압을 유지하기 위해 양압상태에서는 외부와 연결되는 응축수배수구(159)를 밀폐하고,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에만 개방하여 응축수를 배수한다.
배출되는 응축수는 방열부(160)에 위치하는 배수저장통(180)에 저장되고, 응축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방압배수밸브(155)는 외부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와 연결되는 응축수배수구(159)를 밀폐하고, 응축수배수펌프(151)는 작동이 정지된다.
한편, 열전소자(131)의 냉각면에서 냉열이 발생하면, 발열면도 비례하여 발열하는 데, 열전소자(131)의 특성상 일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이 어렵기 때문에 냉각면에 냉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열면에 설치된 열교환자켓(135)에는 열전매체가 공급된다.
열교환자켓(135)을 순환하여 발열면과 열교환하여 가열된 열전매체는 매체저장통(190)에 설치된 매체순환펌프(191)에 의해 열교환기(170)로 이동하여 열교환기(170)를 지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각되고, 냉각된 열전매체는 매체저장통(190)으로 저장된 후 다시 열교환자켓(135)으로 계속적으로 순환한다.
이때, 매체순환펌프(191)는 열전소자(131)의 작동 중에 주기적으로 작동하거나, 열전소자(131)의 작동에 따라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열전매체가 순환될 수 있으며 방열부(160)에는 외기팬(175)에 의해 외기흡입구(117)로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열교환기(170)를 거쳐 외기배기구(119)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수저장통(180)에 저장된 응축수는 응축수디퓨져(173)에 의해 흡수되어 열교환기(170) 측으로 확산되어 퍼지면서 열교환기(170)에서 열전매체와 교환한 열과 열교환기(170)를 지나는 외부공기에 의해 증발되어 소모된다.
이와 동시에, 함체(20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배기전자변(240)이 고온배출구를 개방하여 함체(200)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함체(200)의 내부 온도를 낮추고, 미리 설정된 온도이하로 함체(200)의 내부 온도가 내려가면 배기전자변(240)이 고온배출구를 밀폐하여 양압의 누설을 차단한다.
여기서, 배기전자변(240)이 작동하는 미리 설정된 온도와 제습장치(100)가 작동하는 미리 설정된 온도는 다르거나, 제습장치(100)의 가동 후에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온도가 낮아지지 않으면 배기전자변(240)에 의해 고온의 공기를 배출하여 함체(200)의 온도를 낮추거나, 배기전자변(240)이고온배출구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개방하여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더라도 온도가 낮아지지 않으면, 제습장치(100)를 가동하여 함체(200)의 내부 온도를 낮추도록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함체(200)의 개폐구(210)에는 방압실(220)이 설치되어 방압실(220)에서 개폐구(210)를 폐쇄한뒤 방압실(220)의 진입구(221)를 통해 함체(200)의 내부로 진입함으로써, 함체(200)의 내부의 양압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100)는 제습장치(100)에 의해 함체(200)의 내부 온도를 낮춰 전기설비(300)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축냉각싱크(140)에서 수분을 응결시켜 결로의 발생 또는 습기에 의한 전기설비(3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함체(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방열부(160)가 위치하고, 함체(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습부(130)가 설치되어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열부(160)와 제습부(130)의 사이에 양압차단판(120)이 설치되어 함체(200)의 내부의 공기가 제습장치(100)에 의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수저장통(150)에 응축수배수구(159)를 개폐하는 방압배수밸브(155)가 설치되기 때문에 응축수배수구(159)를 통해 함체(200)의 내부 압력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수저장통(150)의 응축수유입구(157)가 내기흡입구(113)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응축냉각싱크(140)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흡입되는 내부공기에 의해 응축수유입구(157)를 행해 이동하여 응축수저장통(150)에 저장되기 때문에 응축수의 누설로 인한 전기설비(30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열전매체에 의해 열전소자(131)를 냉각시켜 열전소자(131)의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170)에 응축수디퓨져(173)가 설치되어 응축수를 증발시켜 제거함으로써, 응축수를 별도로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함체(200)의 상부에 가열된 공기가 모이는 고온호퍼부(230)가 설치되고, 배기전자변(240)이 설치되어 함체(200)의 온도가 증가할 때에만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켜 온도를 낮춤으로써, 공기의 누설을 최소화하여 양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함체(200)의 개폐구(210)에 방압실(220)이 설치되어 함체(200)의 개폐구(210)로 출입하더라도 함체(200)의 내부에 양압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제습장치 110: 제습하우징
111: 하우징플랜지부 113: 내기흡입구
115: 내기배기구 117: 외기흡입구
119: 외기배기구 120: 양압차단판
130: 제습부 131: 열전소자
135: 열교환자켓 140: 응축냉각싱크
141: 응축냉각유로 143: 경사부
145: 흡입배수하우징 147: 배기하우징
149: 내기순환팬 150: 응축수저장통
151: 응축수배수펌프 153: 수위감지센서
155: 방압배수밸브 160: 방열부
170: 열교환기 173: 응축수디퓨져
175: 외기팬 180: 배수저장통
190: 매체저장통 191: 매체순환펌프
200: 함체 210: 개폐구
220: 방압실 221: 진입구
230: 고온호퍼부 240: 배기전자변
300: 전기설비 400: 양압기구

Claims (12)

  1. 발열하는 전기설비가 설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외부보다 높은 압력을 부여하는 양압기구를 포함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로서,
    상기 함체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에 설치되는 제습하우징,
    상기 제습하우징에서 상기 함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 한 후 다시 함체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습부,
    상기 제습하우징에서 상기 함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제습부에서 발생하는 온열을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방열하는 방열부, 및
    상기 제습하우징에서 상기 제습부와 상기 방열부의 사이를 구획하여 서로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며 상기 함체의 내부 양압이 상기 방열부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양압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는
    상기 제습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냉각할 때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배수구가 형성된 응축수저장통,
    상기 응축수저장통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저장통에 저장된 응축수의 미리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함체의 양압이 상기 응축수배수구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응축수배수구를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미리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응축수배수구를 개방하는 방압배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는 일면이 가열되는 발열면과 타면이 냉각되는 냉각면을 갖는 열전소자, 및 상기 냉각면에 접촉되어 상기 냉각면의 냉열을 전도하며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지나면서 열교환하여 냉각됨과 동시에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상기 응축수저장통으로 배출하는 응축냉각유로가 형성된 응축냉각싱크, 상기 발열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면과 열교환하는 열전매체가 공급되는 열교환자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미리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응축수저장통에 저장된 응축수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상기 응축수배수구로 배출하는 응축수배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함체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상기 응축냉각싱크를 거쳐 다시 상기 함체의 내부로 공급하는 내기순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응축냉각싱크와 상기 응축수저장통의 사이에 설치되어 응축냉각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저장통으로 안내하며, 흡입된 상기 함체의 내부공기를 상기 응축냉각유로로 안내하는 흡입배수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흡입배수하우징에 이물질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배수하우징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공기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열전매체가 저장되는 매체저장통, 및
    상기 매체저장통에 저장된 상기 열전매체를 강제적으로 상기 열교환자켓으로 공급하는 매체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응축수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배수저장통,
    상기 제습부에서 발생한 가열된 열과 열교환한 열전매체를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배수저장통에 저장된 응축수를 흡수하여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증발시켜 처리하는 응축수디퓨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열교환기를 외부의 공기가 강제적으로 지나면서 열교환한 후 배출되도록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하는 외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여 모이는 고온호퍼부, 및
    상기 함체의 양압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온호퍼부에 모인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방출하는 배기전자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를 개폐하는 개폐구와 전기설비가 위치되는 함체의 내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구를 개방 시 상기 함체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압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KR1020200180200A 2020-12-21 2020-12-21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KR102282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00A KR102282320B1 (ko) 2020-12-21 2020-12-21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00A KR102282320B1 (ko) 2020-12-21 2020-12-21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320B1 true KR102282320B1 (ko) 2021-07-27

Family

ID=7712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200A KR102282320B1 (ko) 2020-12-21 2020-12-21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3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288B1 (ko) * 2021-09-29 2022-08-25 주식회사 엘파워 전기 제어함의 양압 제어장치
KR102491001B1 (ko) * 2021-08-10 2023-01-19 나충용 제어반용 열교환시스템과 열교환시스템이 구비된 제어반 그리고 열교환시스템용 냉매조성물
CN117543360A (zh) * 2023-11-14 2024-02-09 湖北华亿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除湿散热功能的户外环网箱
KR102659727B1 (ko) * 2023-07-14 2024-04-19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전기컨트롤패널에 유해 미세먼지 유입과 결로를 방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킨 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에너지저장장치, 통신기기함, 또는 태양광접속함의 양압 전기함체
KR102659726B1 (ko) * 2023-07-14 2024-04-19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에너지저장장치, 통신기기함, 또는 태양광접속함의 자동 개폐형 배기커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73B1 (ko) * 2007-10-18 2008-03-19 (주)그린산전 제습장치를 갖춘 수배전반시스템
KR101932654B1 (ko) * 2018-04-10 2018-12-26 (주)맨컴 제어반용 제습장치
KR102187765B1 (ko) * 2020-04-27 2020-12-07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양압 스마트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73B1 (ko) * 2007-10-18 2008-03-19 (주)그린산전 제습장치를 갖춘 수배전반시스템
KR101932654B1 (ko) * 2018-04-10 2018-12-26 (주)맨컴 제어반용 제습장치
KR102187765B1 (ko) * 2020-04-27 2020-12-07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양압 스마트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001B1 (ko) * 2021-08-10 2023-01-19 나충용 제어반용 열교환시스템과 열교환시스템이 구비된 제어반 그리고 열교환시스템용 냉매조성물
KR102436288B1 (ko) * 2021-09-29 2022-08-25 주식회사 엘파워 전기 제어함의 양압 제어장치
KR102659727B1 (ko) * 2023-07-14 2024-04-19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전기컨트롤패널에 유해 미세먼지 유입과 결로를 방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킨 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에너지저장장치, 통신기기함, 또는 태양광접속함의 양압 전기함체
KR102659726B1 (ko) * 2023-07-14 2024-04-19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에너지저장장치, 통신기기함, 또는 태양광접속함의 자동 개폐형 배기커버장치
KR102682760B1 (ko) * 2023-07-14 2024-07-05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에너지저장장치, 통신기기함, 또는 태양광접속함의 자동 개폐형 배기커버장치
CN117543360A (zh) * 2023-11-14 2024-02-09 湖北华亿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除湿散热功能的户外环网箱
CN117543360B (zh) * 2023-11-14 2024-05-28 湖北华亿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除湿散热功能的户外环网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320B1 (ko)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양압성을 향상시킨 제습장치
RU2626952C2 (ru)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KR101542389B1 (ko)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KR100997045B1 (ko) 서버랙
KR20180064030A (ko)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JP2006234282A (ja) 空気調和機
CN110906700A (zh) 一种消毒柜
KR101415220B1 (ko) 벽걸이형 기화식가습기
TWI657222B (zh) 冷凍裝置之熱源機組
KR102203700B1 (ko) 오존 배출 방지 기능이 구비된 제습장치
KR101977605B1 (ko) 건조장치
KR101935256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배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CN116191228A (zh) 一种封闭柜体主动除湿抗凝露系统
KR100260036B1 (ko) 일체형 항온항습장치
KR101837934B1 (ko) 에어컨의 응축수 누수 방지장치
CN214255096U (zh) 一种降温防潮的配电箱
CN209914357U (zh) 一种便于散热的电气柜
KR102646289B1 (ko) 듀얼 타입 건조기
KR20220070079A (ko) 열전소자와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쿨링 제습기
CN220896181U (zh) 一种涂布机用电气柜
CN220122371U (zh) 一种电控柜除湿抑霉装置
KR20000019673A (ko) 실내기 내부에서 물과 공기로 냉매를 냉각시키도록 된 에어컨
KR20190012289A (ko) 냉각부를 활용한 전산랙 장치
CN220732047U (zh) 一种防水防尘配电柜
KR101719327B1 (ko) 응축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