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756B1 -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756B1
KR101132756B1 KR1020070128656A KR20070128656A KR101132756B1 KR 101132756 B1 KR101132756 B1 KR 101132756B1 KR 1020070128656 A KR1020070128656 A KR 1020070128656A KR 20070128656 A KR20070128656 A KR 20070128656A KR 101132756 B1 KR101132756 B1 KR 10113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elt index
vinyl acetate
base film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738A (ko
Inventor
조현
송기상
김시민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756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점착성, 박리성, 경제성을 가짐과 동시에 절단성 및 컬(curl)이 발생하지 않는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20:80~80: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베이스필름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위를 9~18중량% 함유하는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에 대한 것이다.
보호필름, 프리즘, 점착성, 박리성, 경시변화, 절단성

Description

보호필름{Protecting Film}
본 발명은 프리즘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 등과 같은 피착체를 보호하는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프리즘 보호필름은 프리즘필름의 제품가공, 수송 시 또는 보관 시에 발생하는 표면의 스크래치, 오염, 부식 등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따라서 상기 제품의 표면에 일시 점착되어 있다가 상기 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일회성 제품으로서 경제적으로도 저렴한 것이 요구된다.
종래 보호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base) 필름에 아크릴계나, 우레탄계 등의 접착제를 도포한 제품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보호필름은 피착체로부터 박리될 때 점착제 또는 미건조 잔류용제 등이 피착제에 전사되어 잔류되는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착력이 급격하게 변하는 등의 경시변화적인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프리즘필름 등과 같은 피착제의 경우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프리즘필름과 같은 피착재는 통상 절단, 적층 등 여러 가공공정을 거치는 동안 특히 가장자리의 보호필름이 일부 박리되는 경우가 많으며, 절단 시 보호필름이 끊어지거나 늘어나면서 박리되거나 컬(curl)이 생기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필름의 미세한 분말 등이 피착제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보호필름 특유의 기능을 발현하지 못해서 고가의 제품을 폐기해야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보호필름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한 보호필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점착성, 박리성, 경제성 및 절단성을 갖고, 컬(curl)이 발생하지 않으며, 점착력의 경시변화가 적은 고기능화 보호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20:80~80: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비닐아세테이트 단위를 9~18중량% 함유하는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여 형성된 공압출 2층필름으로써, 상기 베이스필름의 두께는 전체 두께의 50~90%,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전체 두께의 10~50%인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필름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20:80~80: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혼합된 고분자들 간의 부분적 상분리가 일어나게 되어 베이스필름에 엠보싱 효과가 발현되게 된다. 이러한 엠보싱효과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착력이 강해지는 현상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경시적인 점착력 변화를 적게 나타낸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Melt Index, 190℃, 2.16Kg)가 2.5 내지 3.5인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Melt Index, 230℃, 2.16Kg)가 6.0 내지 9.0인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다. 상기 베이스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에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열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점착층은 비닐아세테이트 단위가 9~18중량% 함유된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로서, 용융지수(Melt Index, 190℃, 2.16Kg)가 1.0 내지 4.0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이며, 수지 내 함유된 총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9~18중량%인 것을 사용한다. 비닐아세테이트 함유량이 9%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너무 낮아서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있으며, 18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착제에 대한 점착력의 점착강도가 너무 높아져서 박리성이 불량해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특정 중량비로 혼합한 수지를 베이스필름의 원료로 사용하고, 비닐아세테이트 단위가 9~18중량% 함유된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를 점착층의 원료로 사용하여 공압출에 의해 얻어진 2층 필름은 종래의 점착코팅방식의 필름보다 경제성을 지니며, 우수한 점착성 및 박리성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베이스필름의 두께가 전체 두께의 50~90%, 점착층 두께가 전체두께의 10~50%인 것이 우수하다. 베이스필름의 두께가 50% 미만, 점착층의 두께가 50%초과일 경우 점착력은 향상되지만 얻어진 2층필름의 각 층간의 고분자들간의 수축률 차이에 따라 컬(curl)이 생기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베이스필름의 두께가 90% 초과, 점착층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충분한 점착력 확보가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용융지수(Melt Index, 190℃, 2.16Kg)가 2.5~3.5인 폴리에틸렌과 용융지수(Melt Index, 230℃, 2.16Kg)가 6.0~9.0인 폴리프로필렌 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필름; 및 용융지수(Melt Index, 190℃, 2.16Kg)가 1.0~4.0인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진 점착층;이 공압출되어 제조된다.
여기서 용융지수(MI)는 하기에 기재된 시험법으로 측정되어진다.
-시험방법 : 미국 재료 시험 협회(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의 ASTM D1238
-단위 : g/10분
-시편 : 실린더에 넣을 수 있는 분말, 그레늄, 필름 또는 펠렛 형태
-시험개요 : 폴리에틸렌 및 비닐아세테이트는 190℃, 폴리프로필렌은 230℃로 각각 가열한 다음 실린더에 2.16Kg의 부하를 가할 피스톤을 제위치에 놓고 오피러스(내경: 2.0955±0.0051mm, 길이: 8.0±0.0025mm)를 일정시간(분 단위)동안 통과하여 나온 수지의 중량을 측정하여 10분 동안의 통과량으로 환산.
상기 베이스필름의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MI)가 2.5 미만인 경우 공압출시 캐스팅이 잘 안되는 문제가 있고, 용융지수(MI)가 3.5 초과인 경우 유동성이 너무 높아져서 공압출-제막시 다이스의 변부로만 흐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필름의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MI)가 6.0 미만인 경우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문제, 캐스트이 곤란한 문제가 있고, 용융지수(MI)가 9.0 초과인 경우 폴리에틸렌과 혼합이 잘 되지 않고 다이스의 변부로만 흐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의 용융지수(MI)가 1.0 미만인 경우 캐스팅(casting) 성능이 부족하고 고속제막이 곤란하고, 용융지수(MI)가 4.0 초과인 경 우 상기의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혼합물과의 공압출시 유동성이 너무 좋아서 제막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층 구조의 보호필름은 통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된 고분자들을 용융압출시키고, 점착층을 구성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를 용융압출시켜 피드블럭과 다이에서 적층된 필름을 수냉이나 공냉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보호필름은 베이스필름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이 20:80~80:2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형성되고, 점착층이 비닐아세테이트 단위가 9~18중량% 함유된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로 형성된 공압출 2층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 2.5~3.5,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 6~8,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는 용융지수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우수한 점착성, 박리성, 경시변화성, 절단성을 가지며 컬(curl)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우수한 점착성, 박리성, 경제성, 절단성을 가지며, 컬(curl)이 발생하지 않고, 점착력의 경시변화가 적은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 시편에 대한 점착력 및 경시변화, 절단성 및 노-컬(no-curl)성을 하기의 방법을 측정하였다.
이하 실시예에서 별도의 기재를 하지 않는 한 프리즘필름은 E.M. TECH사의 DCS를 사용하였다.
(점착력)
점착력 측정은 ASTM-D333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필름 시편(25mm×200mm)를 프리즘필름 하면에 2kg 롤(roll)로 왕복 2회 주행시켜서 라미네이팅하여 점착시킨 뒤 만능시험기(Instron 4303, Instron사)를 이용하여 300mm/분의 속도로 180도 필테스트하여 필름과 피착제와의 박리력으로서 점착력( g/25mm)를 측정하였다.
(경시변화- 점착력 및 전이여부)
필름 시편을 상기 점착력 측정 때와 동일 조건으로 프리즘필름 하면에 점착시킨 후 7일간 50℃(습도 60%)에서 방치 후 만능시험기(Instron 4303, Instron사)를 이용하여 상기 점착력 측정 때와 동일 방식으로 점착력 및 육안으로 피착체로의 전이에 의한 오염 등을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절단성)
필름 시편을 프리즘필름 하면에 점착하고 600kg의 압력으로 눌러서 절단한 후 절단 시 가장자리가 늘어지거나 필름이 끊어지는 등을 관찰하여 절단성을 평가하였다.
(no-curl성)
필름 시편을 프리즘필름 하면에 점착 후 50℃(습도 60%)에서 2시간 방치 후 박리시킨 뒤 육안으로 필름의 말리는 현상을 관찰하여 no-curl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베이스(Base)필름으로서 용융지수(Melt Index, 190℃, 2.16kg)가 2.8 인 폴리에틸렌 60중량% 및 용융지수(230℃, 2.16Kg)가 6.5 인 폴리프로필렌 40중량%를 블랜딩(blending)한 수지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점착층으로서는 용융지수(190℃, 2.16Kg)가 2 이고 비닐아세테이트 15중량% 함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단독을 사용하였다. 준비된 각 층별 수지를 준비하여 계량한 후 각각의 호퍼에 투입한 뒤 2개의 용융압출기로 용융압출하여 피드블럭을 통해 공압출시켜서 다이를 통해 적층된 필름을 티다이스-캐스팅법으로 제막하여 최종적으로 전체 두께가 50㎛이고, 베이스필름이 40㎛, 점착층이 10㎛인 2층 필름 시편을 제조하였다. 피착제로서는 프리즘필름을 사용하였고 얻어진 필름 시편에 대한 점착력, 경시변화, 절단성, no-curl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및 3]
하기 표1과 같이 베이스필름의 원료 조성만 달리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필름 시편에 대하여 점착력, 경시변화, 절단성, no-curl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베이스필름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단독사용하고, 점착층으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제 단독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필름 시편을 제조하고 점착력, 경시변화, 절단성, no-curl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점착층으로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15중량%이고 용융지수가 6.5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고, 베이스필름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필름 시편을 제조하고 점착력, 경시변화, 절단성, no-curl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각 층별 원료 조성, 두께 및 층별 두께
Figure 112007089156819-pat00001
[표 2] 실시예1~3 및 비교예 1~2에 따라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
Figure 112007089156819-pat00002
*비교예 2의 경우 제막 시 베이스필름이 유동성을 제대로 가지지 못하여 제막 불가함.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보호필름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점착력, 절단성 및 no-curl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점착력의 경시변 화가 적은 보호필름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3)

  1. 용융지수(Melt Index, 190℃, 2.16Kg)가 2.5 내지 3.5인 폴리에틸렌과 용융지수(Melt Index, 230℃, 2.16Kg)가 6.0 내지 9.0인 폴리프로필렌을 20:80~80: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일면에 비닐아세테이트 단위를 9~18중량% 함유하고, 용융지수(Melt Index, 190℃, 2.16Kg)가 1.0 내지 4.0인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필름의 두께는 전체 두께의 50~90%,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전체 두께의 10~50%인 보호필름.
  2. 용융지수(Melt Index, 190℃, 2.16Kg)가 2.5 내지 3.5인 폴리에틸렌과 용융지수(Melt Index, 230℃, 2.16Kg)가 6.0 내지 9.0인 폴리프로필렌을 20:80~80: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양면에 비닐아세테이트 단위를 9~18중량% 함유하고, 용융지수(Melt Index, 190℃, 2.16Kg)가 1.0 내지 4.0인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필름의 두께는 전체 두께의 50~90%,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전체 두께의 10~50%인 보호필름.
  3. 삭제
KR1020070128656A 2007-12-12 2007-12-12 보호필름 KR10113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656A KR101132756B1 (ko) 2007-12-12 2007-12-12 보호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656A KR101132756B1 (ko) 2007-12-12 2007-12-12 보호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738A KR20090061738A (ko) 2009-06-17
KR101132756B1 true KR101132756B1 (ko) 2012-04-06

Family

ID=4099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656A KR101132756B1 (ko) 2007-12-12 2007-12-12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7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974A (ko) 2020-02-11 2021-08-19 김운곤 프리즘 시트용 기능성 보호필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084A (ja) 1996-09-03 1998-04-07 Beiersdorf Ag 自己接着性保護フイルム
KR100485280B1 (ko) 1995-09-01 2005-12-28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점착성보호필름
KR100597111B1 (ko) * 2006-03-31 2006-07-05 (주)폴리타운 자기점착성 표면보호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280B1 (ko) 1995-09-01 2005-12-28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점착성보호필름
JPH1088084A (ja) 1996-09-03 1998-04-07 Beiersdorf Ag 自己接着性保護フイルム
KR100597111B1 (ko) * 2006-03-31 2006-07-05 (주)폴리타운 자기점착성 표면보호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974A (ko) 2020-02-11 2021-08-19 김운곤 프리즘 시트용 기능성 보호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738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4169B2 (en) Silicone-free release films
JP5237271B2 (ja) 多層フィルム
TWI480158B (zh) 表面保護薄膜
CN103261352B (zh) 粘合性树脂组合物及粘合膜
CN102597145B (zh) 粘合膜
EP3112151A1 (en) Surface protection film for heating process
KR20140085464A (ko) 폴리올레핀계 필름
JP7485000B2 (ja) 粘着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積層フィルム
KR20140095054A (ko) 폴리올레핀계 필름
JP573819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H08323942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TWI491650B (zh) 表面保護用聚丙烯系樹脂膜及表面保護膜
JP2007297573A (ja) メチルペンテン系重合体樹脂組成物、そのフィルム又はシート、該樹脂組成物層を含む積層体
JP2017125184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離型用フィルム
JP452910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0597111B1 (ko) 자기점착성 표면보호필름
KR101132756B1 (ko) 보호필름
KR101099461B1 (ko) 보호필름
KR101099462B1 (ko) 보호필름
JP2016043560A (ja) 積層二軸延伸フィルム
KR101553814B1 (ko) 자기 점착성 보호필름
KR101132758B1 (ko) 보호필름
KR102627112B1 (ko)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TWI822705B (zh) 聚乙烯系樹脂膜
JP451331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