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396B1 - 잔토모나스 유래의 신규 엔도글루카나제 - Google Patents

잔토모나스 유래의 신규 엔도글루카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396B1
KR101132396B1 KR1020090057455A KR20090057455A KR101132396B1 KR 101132396 B1 KR101132396 B1 KR 101132396B1 KR 1020090057455 A KR1020090057455 A KR 1020090057455A KR 20090057455 A KR20090057455 A KR 20090057455A KR 101132396 B1 KR101132396 B1 KR 10113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glucanase
gly
xanthomonas
ala
th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093A (ko
Inventor
김중수
손동호
조성숙
고석훈
송재준
최종현
최낙식
김용모
한윤전
장영효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57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3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N9/2405Glucanases
    • C12N9/2434Glucanases acting on beta-1,4-glucosidic bonds
    • C12N9/2437Cellulases (3.2.1.4; 3.2.1.74; 3.2.1.91; 3.2.1.15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4Cellulase (3.2.1.4), i.e. endo-1,4-beta-glucan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에서 분리된 잔토모나스 미생물 유래의 신규 엔도글루카나제(endoglucanase)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양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 EC102)로부터 분리한 엔도글루카나제 및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 EC102) 유래 엔도글루카나제는 뛰어난 셀룰로오스 분해활성이 있어, 제지, 펄프, 세제, 바이오 소재 및 바이오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잔토모나스, 글루카나제, 셀룰레이즈, 유전자, 재조합, 벡터

Description

잔토모나스 유래의 신규 엔도글루카나제 {Novel Endoglucanase Derived from Xanthomonas}
본 발명은 토양에서 분리된 잔토모나스 미생물 유래의 신규 엔도글루카나제(endoglucanase)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양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EC102)로부터 분리한 엔도글루카나제 및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에 관한 것이다.
셀룰로오스는 고등식물의 세포벽의 주성분을 목질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다당류이며, β-글루코오스(β-glucose)가 β-1,4 결합으로 다수 중합되어 이루어진 중합체로, 섬유소의 곧은 사슬이 나란히 배열되어 결정상을 이루고 있다. 셀룰로오스는 주로 균류, 세균, 연체동물 등의 셀룰레이즈(cellulase)에 의해 분해된 후 최종적으로 글루코오스(glucose)가 되며, 세균에서 발견되는 셀룰로오스는 식물에서 발견되는 셀룰로오스와 화학적 구조는 동일하나, 물리적 화학적 성질에서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셀룰레이즈(cellulase)"라 함은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데 관여하는 효소군들의 통칭을 말하기도 하고, 셀룰로오스를 직접 분해하는 엔도-β-1,4-글루카나제(endo-β-1,4-glucanase)를 말하기도 한다. 셀룰로오스의 셀룰레이즈에 의한 분해 기작을 살펴보면 엔도글루카나제(endoglucanase, EC 3.2.1.4), 엑소글루카나제(exoglucanase 또는 cellobiohydrolase, EC 3.2.1.91), 그리고 β-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 EC 3.2.1.21)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일어난다 (Zhang Y-HP et al., Biotechnol Bioeng , 88:797-824, 2004).
셀룰레이즈는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활용될 수 있는데, 세제, 펄프 및 제지산업, 가축의 사료와 식품산업 등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화석연료인 석유와 석탄의 대체할 에너지원으로써, 대기 중의 CO2방출을 줄이고 원유에 의존하는 연료사용에서 자연친화적이며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물자원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바이오매스인 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생산하려는 시도가 관심을 받아 왔다. 식물 자원으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여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려는 노력은 실제로 나타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제너럴 모터스는 E85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승용차를 백만대 이상 생산하였으며, 폭스바겐은 호열균으로부터 내열성 셀룰레이즈를 탐색하고 연구하는데 투자하였고, 2003년 10월에 듀퐁은 작물로부터 바이오에탄올과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하는데 4천만 달러를 투자하였다. 현재 선진국 특히 미국에서 이용되는 수송용 연료 에탄올은 모두 옥수수로부터 생산되는 데 이때 사용되는 옥수 수는 식용원료로 높은 원자재 가격으로 인하여 본격적인 연료로서의 생산에 있어서 경제적인 타당성을 극복해야 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바이오매스를 통한 바이오에탄올생산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상업화된 셀룰레이즈로는 트리코더마(Trichoderma sp .), 아스퍼길러스(Aspergillus sp .) 및 휴미코라(Humicola insolens)으로부터 유래된 셀룰레이즈들이 알려져 있다 (WO/011249: EP531,371: GB2,075,028: EP406,314: EP510,091: EP220,016: WO94/07998: EP576,526).
또한, 셀룰레이즈를 이용하고자 다양한 생물체로부터 분리된 셀룰레이즈 및 그 유전자가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 셀룰레이즈 및 그 유전자는 주로 세균과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부터 분리된 것들이 많이 알려져 왔다 (Eberhardt et al ., Microbiology, 146:1999-2008, 2000; Guiseppi et al ., Mol . Microbiol , 2:159-164, 1988; Hagen et al ., Gen , 150:163-167, 1994; Nakatani et al ., Biosci . Biotechnol. Biochem , 64:1238-1246, 2000; Takashima et al ., J. Biotechnol , 67:85-97, 1999). 세균기원의 대표적인 셀룰레이즈 유전자로는, 클로스트리디움 써모셀룸(Clostridium thermocellum), 셀루로모나스 피미(Cellulomonas fimi) 및 써모모노스포라 푸스카(Thermomonospora fusca)의 셀룰레이즈 구조유전자가 보고되었다 (Cornet et al ., FEMS Miocrobiology Letters , 16:137-141, 1983; Gilkes et al.,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 259:10455-10459, 1984). 또한, 바실러스를 포함해서 셀로비브리오(Cellovibrio), 아세토비브리오(Acetovibrio), 슈도모나스 (Pseudomonos) 및 써모액티노마이세테스(Thermoactinomycetes) 등의 균주가 생 산하는 셀룰레이즈가 알려져 있다.
서머스 칼도필러스(Thermus caldophilus) GK24 균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셀룰로오스 분해 효소 및 상기 효소를 이용하여 섬유 2당(cellobiose)를 포함한 짧은 길이의 베타-글루칸 생산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08-0055552호), 뽕나무하늘소(Apriona germari)유래 셀룰레이즈 유전자 (한국공개특허 제2004-0079249호), 갈색부후담자균 포미톱시스 팔루스트리스(fomitopsis plaustris) 유래 엔도글루카나제 (한국공개특허 제2009-0039972호), 잔토모나스 균주의 엔도뉴클라아제인 XorⅡ의 발현 및 정제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07-0098344호) 및 글리코실 가수분해효소의 패밀리 9에 속하는 엔도-β-1,4-글루카나제 (WO00/073428)에 셀룰레이즈에 대한 보고가 있다.
그러나, 기존에 알려진 셀룰레이즈들은 공업적으로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효소반응, 온도, pH 등의 조건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내열성이 우수한 새로운 엔도글루카나제를 분리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토양으로부터 엔도글루카나제 활성이 뛰어난 잔토모나스 (xanthomonas sp . EC102)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균주 유래의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를 대장균에 클로닝 한 경우, 고온에서도 높은 엔도글루카나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잔토모나스 미생물 유래의 엔도글루카나제, 상기 엔도글루카나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상기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되거나, 상기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가 염색체상에 삽입된 재조합 미생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여, 엔도글루카나제를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된 엔도글루카나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도글루카나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EC102) 유래의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엔도글루카나제, 상기 엔도글루카나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상기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되거나, 상기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가 염색체상에 삽입된 재조합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여, 엔도글루카나제를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된 엔도글루카나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도글루카 나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 EC102) 유래 엔도글루카나제는 뛰어난 셀룰로오스 분해활성이 있어, 제지, 펄프, 세제, 바이오 소재 및 바이오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엔도글루카나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엔도글루카나제(endoglucanase)"는 셀룰레이즈의 종류 중 하나로, 셀룰로오스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로, 셀룰로오스를 직접 분해하는 효소인 엔도-β-1,4-글루카나제(endo-β-1,4-glucanase)를 말하기도 한다. 엔도글루카나제가 cellulose chain에 접근하여 무작위적으로 β-1,4-글리코시딕 결합(β-1,4-glycosidic bond)를 가수분해한다.
본 발명에서는 셀룰로오스 분해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분리하고자, 토양시료를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에 RBB-CMC를 첨가한 고체 배지에 도말하고 배양하여, 투명환(clear zone)을 형성하는 균주를 1차 선별하고, 상기 1차 선별된 균주들을 LB배지에서 배양한 후 배양 상등액에서 엔도글루카나제의 활성을 측정하고, 그중 엔도글루카나제 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 EC102를 최종 선별하였다. 상기 EC102 균주 를 16S rRNA 시퀀싱을 통하여 잔토모나스 베시케도리아, 잔토모나스 오리재 등의 균주와 99%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균주를 Xanthomonas sp. EC102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엔도글루카나제는 토양 유래의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EC102) 균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분자량이 52,409Da이고, 반응 온도는 50℃~70℃에서 높은 활성을 보이며, 최적 반응온도는 70℃에서 상대적인 활성이 최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최적 pH는 5에서 상대적으로 최대 활성을 보였으며, 산성 및 중성의 pH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열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50℃에서 잔존 활성이 높게 남아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60℃에서도 비교적 높은 잔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엔도글루카나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는 총 1458bp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루코실 하이드로레이즈 패밀리 05(glycosyl hydrolase family 05, GH05) 도메인 및 셀루로오스 결합 타입 2 모둘레스(cellulose-binding modules type 2, CBM2)로 구성된 486개의 아미노산을 번역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SignalP 3.0 Server (http://www.cbs.dtu.dk/services/SignalP/)사이트에서 분석을 통해 염기서열이 25개로 추정되는 시그널 펩타이드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 EC102)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125bp의 시그널 시퀀스를 포함하지 않는 엔도글루카네이즈 유전자(서열번호 4)를 획득한 이유는 본 발명에서 획득한 엔도글루카네이즈 유전자는 시그널배열을 함유하고 있으나, 후에 사용될 발현 벡터 pET22b 벡터가 pelB라는 자체 시그널 배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본 발명에 의해 결정된 엔도글루카네이즈 유전자를 SignalP 3.0 Server (http://www.cbs.dtu.dk/services/SignalP/) 사이트에서 분석을 통해 시그널 배열 부위를 결정해서 사전에 시그널 배열을 제외한 엔도글루카네이즈 유전자를 제작하였다. 시그널 배열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엔도글루카네이즈 유전자를 pET22b 발현벡터에 클로닝하여, 발현벡터의 시그널 배열을 함유한 엔도글루카네이즈 유전자 발현 벡터를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발현 벡터를 E. coli BL21(DE3)에 형질전환시켜 재조합 엔도글루카네이즈를 대량 생산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엔도글루카나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벡터(vector)"는 적합한 숙주 내에서 DNA를 발현시킬 수 있는 적합한 조절 서열에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된 DNA 서열을 함유하는 DNA 제조물을 의미한다. 벡터는 플라스미드, 파지 입자 또는 간단하게 잠재적 게놈 삽입물일 수도 있다. 적당한 숙주로 형질전환되면, 벡터는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하고 기능을 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경우 게놈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플라스미드가 현재 벡 터의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플라스미드(plasmid) 및 벡터(vector)"는 때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미드 벡터를 이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되거나, 상기의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가 염색체상에 삽입된 재조합 미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조합 미생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상기 유전자를 미생물의 염색체(chromosome)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재조합 벡터를 숙주 미생물에 도입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전자를 숙주세포의 염색체상에 삽입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유전자조작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벡터, 폭스바이러스 벡터, 렌티바이러스 벡터 또는 비바이러스성 벡터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숙주미생물은 Agrobacterium 속, Aspergillus 속, Acetobacter 속, Aminobacter 속, Agromonas 속, Acidphilium 속, Bulleromyces 속, Bullera 속, Brevundimonas 속, Cryptococcus 속, Chionosphaera 속, Candida 속, Cerinosterus 속, Escherichia 속, Exisophiala 속, Exobasidium 속, Fellomyces 속, Filobasidium 속, Geotrichum 속, Graphiola 속, Gluconobacter 속, Kockovaella 속, Curtzmanomyces 속, Lalaria 속, Leucospoidium 속, Legionella 속, Psedozyma 속, Paracoccus 속, Petromyc 속, Rhodotorula 속, Rhodosporidium 속, Rhizomonas 속, Rhodobium 속, Rhodoplanes 속, Rhodopseudomonas 속, Rhodobacter 속, Sporobolomyces 속, Spridobolus 속, Saitoella 속, Schizosaccharomyces 속, Sphingomonas 속, Sporotrichum 속, Sympodiomycopsis 속, Sterigmatosporidium 속, Tapharina 속, Tremella 속, Trichosporon 속, Tilletiaria 속, Tilletia 속, Tolyposporium 속, Tilletiposis 속, Ustilago 속, Udenlomyce 속, Xanthophilomyces 속, Xanthobacter 속, Paecilomyces 속, Acremonium 속, Hyhomonus 속, Rhizobium 속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의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여, 엔도글루카나제를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된 엔도글루카나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도글루카나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미생물을 LB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여, 엔도글루카나제를 생성시키고, 상기 배양액에서 균체를 회수하고, 상등액을 회수하여 효소를 정제하는데 이용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Ni-NTA agarose 담체를 통과시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엔도글루카나제를 회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균주의 배양은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배양 온도 및 시간, 배지의 pH 등의 조건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균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셀룰라아제의 회수는 통상적인 분리 기술, 예를 들어, 염석, 분자량 커팅법, 크로마토그라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라피, 증류, 전 기투석, 투과증발, 용매추출, 반응추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순도가 높은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 분리 및 선별
1-1: 토양시료로부터 균주의 선별
섬유질 분해 효소계 생성능을 갖는 균류를 분리하기 위하여 토양시료 1g을 생리식염수용액 9㎖에 현탁시킨 후 10-4~10-6 희석하여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에 Remazol brilliant Blur R을 붙인 dye-substrate(이하 RBB-CMC)를 0.2%첨가한 고체 배지 (Bactotryton 2.5g/L, yeast extract 1.25g/L, NaCl 2.5g/L, Agar 15g/L)에 도말하고 30℃에서 2~4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청색 계통의 배지 바탕색을 배경으로 하여 주위에 투명환(clear zone)이 형성하는 균주를 1차적으로 선별하였다.
1-2: 엔도글루카나제 활성이 높은 균주의 선별
실시예 1-1에서 1차 선별된 균주들을 LB배지 (Bactotryton 10g/L, yeast extract 5g/L, NaCl 10g/L) 3㎖에 접종하여 30℃의 진탕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200rpm으로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여 엔도글루카나제의 활성을 측정하고, 그중 엔도글루카나제 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효소활성은 DNS(dinitirosalicylic acid) 정량법 (Miller, G. L., Anal . Chem , 55:952-959, 1959)을 사용하였고, 구체적으로는 100㎕의 효소용액에 100㎕의 기질 용액(2% CMC가 포함된 100mM 인산나트륨용액, pH 7)을 넣고 30℃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200㎕의 DNS(3,5-Dinitrosalicylic acid)용액을 첨가한 다음 100℃에서 5분간 처리한 후 찬물로 냉각시킨 후 증류수 1.6㎖을 넣은 다음 microplate reader에서 흡광도 595nm에서 측정하였다. 효소의 1유니트(unit)는 1분동안 1μmol의 환원당을 방출시키는 효소의 양으로 정하였다.
그 결과 선별된 균주 중 EC102 균주가 엔도글루카나제가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EC102 균주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통해서 잔토모나스 베시케도리아, 잔토모나스 오리재 등의 균주와 99%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본 균주를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EC102)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잔토모나스 EC102 ( Xanthomonas sp . EC102 ) 균주의 배양 및 염색체 라이브러리의 제조
2-1: 잔토모나스 EC102 ( Xanthomonas sp . EC102 ) 균주의 배양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EC102) 균주의 배양은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LB배지 (Bactotryton 10g/L, yeast extract 5g/L, NaCl 10g/L)로 30℃의 진탕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200rpm으로 배양한 후, 배양액을 4℃에서 2580 X g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2-2: 잔토모나스 EC102 ( Xanthomonas sp . EC102 ) 균주의 염색체 라이브러리 제조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EC102) 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를 얻기 위해서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이 균주의 염색체 라이브러리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회수된 상기의 세포로부터 염색체 DNA를 페놀/클로로포름 방법으로 분리 정제하였고, 제한 효소 Sau3AⅠ으로 절단시켜서 0.8% 아가로즈겔에서 분리하여 약 2.5~3.5kb 크기의 DNA절편들을 분리하여 정제하였다.
한편, 공지된 벡터 pHSG298을 BamHⅠ으로 절단하고 다시 알카라인 포스파테이즈로 탈인산화시킨 DNA를 제조하여 상기의 DNA 절편과 T4 DNA 라이게이즈로 연결시켜 플라스미드 pHSGeng11를 제조하였다.
상기 pHSGeng11를 대장균 DH5α에 형질전환시키고, 100㎍/㎖ 카나마이신(Kanamycin), Trypan blue 0.01%,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1%가 첨가된 LB 평판 배지 위에서 37℃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청색 계통의 배지 바탕색을 배경으로 하여 주위에 투명환이 형성하는 클론을 셀룰레이즈 유전자 함유 플라스미드를 보유하고 있는 클론으로 선별하였다. 선별한 클론에 대하여 각각에 대하여 플라스미드 정제를 하고, 상기 플라스미드를 ㈜제노텍(한국)에 의뢰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 다.
결정된 3kb DNA 단편의 염기배열을 바탕으로 셀룰레이즈 유전자를 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사이트의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http://blast.ncbi.nlm.nih.gov/Blast.cgi) 검색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는 총 1458bp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루코실 하이드로레이즈 패밀리 05(glycosyl hydrolase family 05, GH05) 도메인 및 셀루로오스 결합 타입 2 모둘레스(cellulose-binding modules type 2, CBM2)로 구성된 485개의 아미노산을 번역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SignalP 3.0 Server (http://www.cbs.dtu.dk/services/SignalP/)사이트에서 분석을 통해 염기서열이 25개로 추정되는 시그널 펩타이드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Xanthomonas sp . EC102 균주의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의 분리 및 클로닝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PCR을 이용하였다. 상기 NCBI 사이트로부터 확인된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 서열로부터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시그널 배열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서열번호 4)의 증폭을 위하여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의 시그널 배열을 포함하지 않고, 제한효소 NcoⅠ절단부위를 함유한 프라이머와 종결 암호를 포함하며, 제한효소 HindⅢ절단부위를 함유한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PCR을 실행하였다.
서열번호 5: 5'-T CCATGG AT TAT TCC ATC AGC AA CAAC CGG-3'
(NcoI)
서열번호 6: 5'-AC AAGCTT GCT TGC GGC GCA GCA GAA-3'
(HindⅢ)
PCR 수행을 위한 반응액은 20㎕에 50ng pHSGeng11플라스미드, 0.5μM 각각의 프라이머, 500nM dNTP, 1U Taq polymerase(Takara), 1배 Taq DNA 중합효소 완충액(MgCl2)이 되도록 조성하여 PCR 증폭에 사용하였다. PCR 반응은 5분간 96℃에서 변성(denaturation)을 수행한 후, 96℃에서 30초 변성, 56℃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72℃에서 1분 연장(extension)을 30회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72℃에서 7분 연장을 수행하고, 4℃에서 유지시켰다. 확보된 증폭 단편은 pGEM-Teasy 플라스미드에 클로닝하였고, pTeng37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4: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와 이 벡터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의 구축
pTeng37은 제한효소 NcoⅠ과 HindⅢ에 의해 완전 절단한 후 미리 NcoⅠ과 HindⅢ에 의해 완전히 절단한 pET22b 벡터에 연결시켜 시그널 배열을 함유하지 않는 발현 벡터 pET102-peleng를 구축하였다. 또한 엔도글루카나제의 과잉 생산을 위해서 재조합된 플라스미드를 대장균 [BL21(DE3)]에 도입하여 형질전환체를 구축하였다.
실시예 5: 재조합 엔도글루카나제 효소의 발현 및 정제
형질전환체를 100㎍/㎖ 앰피실린(ampicillin)이 첨가된 LB 액체배지에서 30℃에서 1시간 30분 동안 200rpm으로 진탕 배양하였고, 600nm에서 흡광도 값이 0.5가 되었을 때 0.01mM 가 되도록 IPTG를 첨가하여 효소의 과잉 생산을 유도하여 30℃에서 12시간 동안 200rpm으로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체를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균체를 회수하고, 0.85% NaCl로 두 번 세척하였다. 회수된 균체에 1mM PMSF, 1x protease inhibitor cocktail(Roche)이 첨가된 100mM Sodium phosphate (pH 7.0)을 가하여 초음파로 파쇄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여 효소를 정제하는데 이용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Ni-NTA agarose 담체를 통과시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효소의 용출시 250mM imidazole, 300mM NaCl, 20mM Tris-Cl (pH 8.0)을 포함하는 용출액으로 효소활성 분획을 취하여 정제 여부를 SDS-PAGE로 확인하였다(도 2). 정제된 효소는 Amicon Ultra-15(Millipore, 5K NMWL device)으로 농축한 후, 20% 글리세롤(glycerol)을 포함한 100mM Sodium phosphate (pH 7.0)용액에 넣어 4℃에서 12시간 동안 투석(dialysis)을 수행하였다.
정제 과정으로 얻어진 효소 용액은 표준시료로 BSA(bovine serum albumin)를 사용하여 브래드포드(Bradford) 방법에 의하여 단백질 정량을 하였고, 순수 정제된 엔도글루카나제의 활성은 100mM Sodium phosphate (pH7.0)에 용해시킨 2% CMC(Carboxymethyl cellulose)를 기질로 이용하여 적절히 희석된 효소 용액 5㎕를 첨가하여 총 200㎕가 되도록 하고, 30℃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100℃에서 10분 동 안 효소를 비활성 시켰다. 생성된 환원당은 DNS (3,5-dinitrosalicylic acid) 시약 (7.5g dinitrosalicylic acid, 14g NaOH, 216.1g Sodium potassium tartrate, 5.4㎖ phenol, 5.9g Na2 S2 O5, 증류수 1ℓ, pH 7.0)을 넣어 혼합하고 100℃에서 10분간 열처리를 한 후, 상온에서 식힌 후, UV 스펙트로포토메터를 이용하여 575nm에서 측정하여 재조합 엔도글루카나제의 활성을 분석하였다 (표 1). 효소의 유닛(U)은 CMC(Carboxymethyl cellulose)가 분해되어 분당 생산되는 글루코오스의 umole 수를 나타낸다.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EC102)의 엔도글루카나제 정제단계의 활성 및 회수율
Total vol. (㎖) Total Protein (㎎) Total Activity (U) Specific Activity (U/㎎) Purification (Fold) Yield (%)
Crude Extract 5 121.3 8.8 0.073 1.0 100
Ni-NTA Affinity Chromatography 0.5 1.8 1.6 0.864 11.9 18
실시예 6: 발현된 제조합 엔도글루카나제의 최적 활성 온도, 열안정성 및 최적활성 pH 검정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EC102)로부터 정제된 엔도글루카나제의 최적 반응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 온도, 반응액의 pH 및 금속이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제된 효소를 사용하여 효소 활성의 최적온도를 구하기 위해 10-90℃ 범위에서 10℃ 간격으로 상대적인 활성을 측정하였고, 최적 반응온도가 70℃도 임을 알 수 있었다 (도 3a). 또한 효소활성의 최적 pH를 결정하기 위해 50mM citric acid-NaOH buffer (pH 2.0-6.0), 50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0-8.0), 50mM Tris-Cl buffer (pH 8.0-10.0)를 사용하였다. 각 pH buffer에서 상대적인 활성을 조사한 결과 pH 5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산성 및 중성의 pH에도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3b). 열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50~80℃ 범위에서 10℃ 간격으로 잔존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 지정된 온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른 잔존활성을 확인한 결과 50℃에서 잔존 활성이 높게 남아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60℃에서도 비교적 높은 잔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c).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토양에서 분리된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EC102) 균주의 유래의 엔도글루카나제의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재조합 대장균으로부터 정제한 엔도글루카나제의 SDS-PAGE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EC102) 균주로부터 분리한 엔도글루카나제의 생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b는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EC102) 균주로부터 분리한 엔도글루카나제의 생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c는 엔도글루카나제의 열 안정성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Novel Endoglucanase Derived from Xanthomonas <130> P09-B112 <160> 6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485 <212> PRT <213> Xanthomonas sp. <400> 1 Met Ser Ile Phe Arg Thr Ala Ser Thr Leu Ala Leu Ala Thr Ala Leu 1 5 10 15 Ala Leu Ala Ala Ala Pro Ala Phe Ser Tyr Ser Ile Ser Asn Asn Arg 20 25 30 Val Val Asp Asp Asn Gly Lys Val Val Gln Leu Lys Gly Val Asn Val 35 40 45 Phe Gly Phe Glu Thr Gly Asn His Val Met His Gly Leu Trp Ala Arg 50 55 60 Asn Trp Lys Glu Met Ile Asn Gln Met Gln Gly Leu Gly Phe Asn Ala 65 70 75 80 Val Arg Leu Pro Phe Cys Pro Ala Thr Leu Arg Ser Asp Thr Met Pro 85 90 95 Ser Ser Ile Asp Tyr Ser Arg Asn Ala Asp Leu Gln Gly Leu Thr Ser 100 105 110 Leu Gln Ile Leu Asp Lys Val Ile Asn Glu Phe Asn Ala Arg Gly Met 115 120 125 Tyr Val Leu Leu Asp His His Thr Pro Asp Cys Ala Gly Ile Ser Glu 130 135 140 Leu Trp Tyr Thr Gly Ser Tyr Thr Glu Ala Gln Trp Leu Ala Asp Leu 145 150 155 160 Arg Phe Val Ala Asn Arg Tyr Lys Asn Val Pro Tyr Val Leu Gly Leu 165 170 175 Asp Leu Lys Asn Glu Pro His Gly Ala Ala Thr Trp Gly Thr Gly Asn 180 185 190 Ala Ala Thr Asp Trp Asn Lys Ala Ala Glu Arg Gly Ser Ala Ala Val 195 200 205 Leu Ala Val Ala Pro Lys Trp Ile Ile Ala Val Glu Gly Ile Thr Asp 210 215 220 Asn Pro Val Cys Ser Thr Asn Gly Gly Ile Tyr Trp Gly Gly Asn Leu 225 230 235 240 Gln Pro Leu Ala Cys Thr Pro Leu Asn Ile Pro Ala Asn Arg Leu Leu 245 250 255 Leu Ala Pro His Val Tyr Gly Pro Asp Val Tyr Val Gln Ser Tyr Phe 260 265 270 Asn Asp Ser Asn Phe Pro Asn Asn Met Pro Ala Ile Trp Asp Arg His 275 280 285 Phe Gly Gln Phe Ala Gly Lys Tyr Ala Leu Leu Leu Gly Glu Phe Gly 290 295 300 Gly Lys Tyr Gly Glu Gly Asp Ala Arg Asp Lys Val Trp Gln Asp Ala 305 310 315 320 Leu Val Lys Tyr Leu Arg Ser Lys Gly Ile Asn Glu Gly Phe Tyr Trp 325 330 335 Ser Trp Asn Pro Asn Ser Gly Asp Thr Gly Gly Ile Leu Arg Asp Asp 340 345 350 Trp Thr Thr Val Arg Gln Asp Lys Met Thr Leu Leu Arg Thr Leu Trp 355 360 365 Gly Thr Val Ser Ser Thr Thr Pro Thr Pro Thr Pro Thr Pro Thr Pro 370 375 380 Thr Pro Thr Pro Thr Pro Thr Pro Thr Pro Thr Pro Thr Pro Thr Pro 385 390 395 400 Gly Thr Gly Thr Phe Ser Thr Lys Val Ile Val Asp Ser Ser Trp Asn 405 410 415 Gly Gly Ser Cys Asn Arg Val Gln Val Thr Asn Thr Gly Thr Gly Ser 420 425 430 Gly Thr Trp Ser Val Thr Val Pro Val Thr Gly Thr Val Asn Asn Ala 435 440 445 Trp Asn Val Val Trp Ser Gln Ser Gly Ser Thr Leu Lys Ala Ser Gly 450 455 460 Val Asp Phe Asn Arg Thr Leu Ala Ala Gly Ala Thr Ala Glu Phe Gly 465 470 475 480 Phe Cys Ala Ala Ser 485 <210> 2 <211> 1458 <212> DNA <213> Xanthomonas sp. <400> 2 atgtccattt tcaggaccgc aagcacgctc gcattggcca ccgcgctggc cttggccgcc 60 gcgccggctt tcagctattc catcagcaac aaccgggttg tcgacgacaa cggcaaggtg 120 gtgcagctca agggcgtcaa cgtgtttggc ttcgagaccg gcaaccatgt catgcatggc 180 ctgtgggcgc gcaactggaa ggagatgatc aaccagatgc agggcctggg cttcaatgcc 240 gtgcgcctgc cgttctgccc ggccacgctg cgcagcgaca ccatgcccag cagcatcgac 300 tacagccgca atgccgattt gcagggcctg acctcgctgc agatcctcga caaggtgatc 360 aacgaattca acgcgcgcgg catgtacgtg ctgctggatc accacacccc cgattgcgcc 420 ggcatttccg agctctggta caccggctca tacaccgaag cgcagtggct ggccgatctg 480 cgcttcgtcg ccaaccgcta caagaacgtg ccgtatgtgc tcggcctgga tctgaagaac 540 gagccgcacg gcgccgccac ctgggggacc ggcaacgctg ccaccgactg gaacaaggcc 600 gccgagcgcg ggtcggcggc ggtgctggcc gtggcgccga agtggatcat cgcggtggaa 660 ggcatcaccg acaacccggt gtgttcgacc aacggcggca tctactgggg cggcaacctg 720 cagccgctgg cctgcacccc gctgaacatc ccggccaacc gcctgctgct ggcgccgcac 780 gtgtacggcc cggacgtgta tgtgcagtcc tacttcaacg acagcaactt ccccaacaac 840 atgccggcca tctgggaccg tcacttcggc cagttcgccg gcaagtacgc gttgctgctg 900 ggcgagttcg gcggcaagta cggcgaaggc gatgcacgcg acaaggtgtg gcaggacgcg 960 ctggtgaagt acctgcgcag caagggtatc aacgaaggct tctactggtc gtggaacccc 1020 aacagcggcg ataccggcgg catcctgcgc gacgactgga ccaccgtgcg tcaggacaag 1080 atgaccctgc tgcgcaccct gtggggcacg gtgagcagca cgacgccgac gcctactcca 1140 actcccacac cgacaccgac accgacgccc accccgacgc cgacgcctac tccgaccccg 1200 ggcaccggca ccttcagcac caaggtcatc gtggacagca gctggaacgg cggctcatgc 1260 aaccgcgtgc aggtcaccaa taccgggacc ggcagcggca cctggtcggt gacggtaccg 1320 gtcaccggca ccgtcaacaa cgcgtggaat gtggtgtggt cgcagagcgg tagcacgctc 1380 aaggctagcg gcgtggactt caaccgcacg ctggccgccg gtgcaacggc cgaattcggc 1440 ttctgcgccg caagctga 1458 <210> 3 <211> 460 <212> PRT <213> Xanthomonas sp. <400> 3 Tyr Ser Ile Ser Asn Asn Arg Val Val Asp Asp Asn Gly Lys Val Val 1 5 10 15 Gln Leu Lys Gly Val Asn Val Phe Gly Phe Glu Thr Gly Asn His Val 20 25 30 Met His Gly Leu Trp Ala Arg Asn Trp Lys Glu Met Ile Asn Gln Met 35 40 45 Gln Gly Leu Gly Phe Asn Ala Val Arg Leu Pro Phe Cys Pro Ala Thr 50 55 60 Leu Arg Ser Asp Thr Met Pro Ser Ser Ile Asp Tyr Ser Arg Asn Ala 65 70 75 80 Asp Leu Gln Gly Leu Thr Ser Leu Gln Ile Leu Asp Lys Val Ile Asn 85 90 95 Glu Phe Asn Ala Arg Gly Met Tyr Val Leu Leu Asp His His Thr Pro 100 105 110 Asp Cys Ala Gly Ile Ser Glu Leu Trp Tyr Thr Gly Ser Tyr Thr Glu 115 120 125 Ala Gln Trp Leu Ala Asp Leu Arg Phe Val Ala Asn Arg Tyr Lys Asn 130 135 140 Val Pro Tyr Val Leu Gly Leu Asp Leu Lys Asn Glu Pro His Gly Ala 145 150 155 160 Ala Thr Trp Gly Thr Gly Asn Ala Ala Thr Asp Trp Asn Lys Ala Ala 165 170 175 Glu Arg Gly Ser Ala Ala Val Leu Ala Val Ala Pro Lys Trp Ile Ile 180 185 190 Ala Val Glu Gly Ile Thr Asp Asn Pro Val Cys Ser Thr Asn Gly Gly 195 200 205 Ile Tyr Trp Gly Gly Asn Leu Gln Pro Leu Ala Cys Thr Pro Leu Asn 210 215 220 Ile Pro Ala Asn Arg Leu Leu Leu Ala Pro His Val Tyr Gly Pro Asp 225 230 235 240 Val Tyr Val Gln Ser Tyr Phe Asn Asp Ser Asn Phe Pro Asn Asn Met 245 250 255 Pro Ala Ile Trp Asp Arg His Phe Gly Gln Phe Ala Gly Lys Tyr Ala 260 265 270 Leu Leu Leu Gly Glu Phe Gly Gly Lys Tyr Gly Glu Gly Asp Ala Arg 275 280 285 Asp Lys Val Trp Gln Asp Ala Leu Val Lys Tyr Leu Arg Ser Lys Gly 290 295 300 Ile Asn Glu Gly Phe Tyr Trp Ser Trp Asn Pro Asn Ser Gly Asp Thr 305 310 315 320 Gly Gly Ile Leu Arg Asp Asp Trp Thr Thr Val Arg Gln Asp Lys Met 325 330 335 Thr Leu Leu Arg Thr Leu Trp Gly Thr Val Ser Ser Thr Thr Pro Thr 340 345 350 Pro Thr Pro Thr Pro Thr Pro Thr Pro Thr Pro Thr Pro Thr Pro Thr 355 360 365 Pro Thr Pro Thr Pro Thr Pro Gly Thr Gly Thr Phe Ser Thr Lys Val 370 375 380 Ile Val Asp Ser Ser Trp Asn Gly Gly Ser Cys Asn Arg Val Gln Val 385 390 395 400 Thr Asn Thr Gly Thr Gly Ser Gly Thr Trp Ser Val Thr Val Pro Val 405 410 415 Thr Gly Thr Val Asn Asn Ala Trp Asn Val Val Trp Ser Gln Ser Gly 420 425 430 Ser Thr Leu Lys Ala Ser Gly Val Asp Phe Asn Arg Thr Leu Ala Ala 435 440 445 Gly Ala Thr Ala Glu Phe Gly Phe Cys Ala Ala Ser 450 455 460 <210> 4 <211> 1383 <212> DNA <213> Xanthomonas sp. <400> 4 tattccatca gcaacaaccg ggttgtcgac gacaacggca aggtggtgca gctcaagggc 60 gtcaacgtgt ttggcttcga gaccggcaac catgtcatgc atggcctgtg ggcgcgcaac 120 tggaaggaga tgatcaacca gatgcagggc ctgggcttca atgccgtgcg cctgccgttc 180 tgcccggcca cgctgcgcag cgacaccatg cccagcagca tcgactacag ccgcaatgcc 240 gatttgcagg gcctgacctc gctgcagatc ctcgacaagg tgatcaacga attcaacgcg 300 cgcggcatgt acgtgctgct ggatcaccac acccccgatt gcgccggcat ttccgagctc 360 tggtacaccg gctcatacac cgaagcgcag tggctggccg atctgcgctt cgtcgccaac 420 cgctacaaga acgtgccgta tgtgctcggc ctggatctga agaacgagcc gcacggcgcc 480 gccacctggg ggaccggcaa cgctgccacc gactggaaca aggccgccga gcgcgggtcg 540 gcggcggtgc tggccgtggc gccgaagtgg atcatcgcgg tggaaggcat caccgacaac 600 ccggtgtgtt cgaccaacgg cggcatctac tggggcggca acctgcagcc gctggcctgc 660 accccgctga acatcccggc caaccgcctg ctgctggcgc cgcacgtgta cggcccggac 720 gtgtatgtgc agtcctactt caacgacagc aacttcccca acaacatgcc ggccatctgg 780 gaccgtcact tcggccagtt cgccggcaag tacgcgttgc tgctgggcga gttcggcggc 840 aagtacggcg aaggcgatgc acgcgacaag gtgtggcagg acgcgctggt gaagtacctg 900 cgcagcaagg gtatcaacga aggcttctac tggtcgtgga accccaacag cggcgatacc 960 ggcggcatcc tgcgcgacga ctggaccacc gtgcgtcagg acaagatgac cctgctgcgc 1020 accctgtggg gcacggtgag cagcacgacg ccgacgccta ctccaactcc cacaccgaca 1080 ccgacaccga cgcccacccc gacgccgacg cctactccga ccccgggcac cggcaccttc 1140 agcaccaagg tcatcgtgga cagcagctgg aacggcggct catgcaaccg cgtgcaggtc 1200 accaataccg ggaccggcag cggcacctgg tcggtgacgg taccggtcac cggcaccgtc 1260 aacaacgcgt ggaatgtggt gtggtcgcag agcggtagca cgctcaaggc tagcggcgtg 1320 gacttcaacc gcacgctggc cgccggtgca acggccgaat tcggcttctg cgccgcaagc 1380 tga 1383 <210> 5 <211> 30 <212> DNA <213> Xanthomonas sp. <400> 5 tccatggatt attccatcag caacaaccgg 30 <210> 6 <211> 26 <212> DNA <213> Xanthomonas sp. <400> 6 acaagcttgc ttgcggcgca gcagaa 26

Claims (15)

  1. 잔토모나스 속 EC102(Xanthomonas sp. EC102) 유래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고, 최적반응온도가 70℃인 엔도글루카나제.
  2. 제1항의 엔도글루카나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4. 삭제
  5. 제2항의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
  6. 제5항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미생물.
  7. 제2항의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가 염색체상에 삽입된 재조합 미생물.
  8. 제6항 또는 제7항의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여 엔도글루카나제를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된 엔도글루카나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도글루카나제의 제조방법.
  9. 잔토모나스 속 EC102 (Xanthomonas sp. EC102) 유래의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고, 최적반응온도가 70℃인 엔도글루카나제.
  10. 제9항의 엔도글루카나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12. 제10항의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
  13. 제12항의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미생물.
  14. 제10항의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가 염색체상에 삽입된 재조합 미생물.
  15. 제13항 또는 제14항의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여 엔도글루카나제를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된 엔도글루카나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도글루카나제의 제조방법.
KR1020090057455A 2009-06-26 2009-06-26 잔토모나스 유래의 신규 엔도글루카나제 KR10113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455A KR101132396B1 (ko) 2009-06-26 2009-06-26 잔토모나스 유래의 신규 엔도글루카나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455A KR101132396B1 (ko) 2009-06-26 2009-06-26 잔토모나스 유래의 신규 엔도글루카나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93A KR20110000093A (ko) 2011-01-03
KR101132396B1 true KR101132396B1 (ko) 2012-04-03

Family

ID=4360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455A KR101132396B1 (ko) 2009-06-26 2009-06-26 잔토모나스 유래의 신규 엔도글루카나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396B1 (ko)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001, Vol. 55, No. 6, pp. 727-733 *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001, Vol. 55, No. 6, pp. 727-733*
GenBank Accession No. P19487 (2009.03.03) *
GenBank Accession No. P19487 (2009.03.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93A (ko) 201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6434B2 (en) Heterologous biomass degrading enzyme expression in thermoanaerobacterium saccharolyticum
EP2357227A1 (en) Optimized cellulase enzymes
KR20150079676A (ko)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로부터의 베타-글루코시다제
KR101804050B1 (ko) 베타―글루칸으로부터 올리고당 또는 글루코스를 생산하는 신규한 베타-1,3-1,6-엔도글루카네이즈
Lenz et al. Tailor-made β-glucosidase with increased activity at lower temperature without loss of stability and glucose tolerance
JP2016111952A (ja) 耐熱性β−グルコシダーゼ
JP6354462B2 (ja) Ghファミリー10に属する耐熱性キシラナーゼ
US8715996B2 (en) Beta-glucosidase variant enzymes and related polynucleotides
KR101547296B1 (ko) 메타게놈 유래 신규 셀룰라아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236719B (zh) 耐热性纤维二糖水解酶
WO2017217453A1 (ja) セルラーゼ
KR101132396B1 (ko) 잔토모나스 유래의 신규 엔도글루카나제
US9523108B2 (en) Thermostable β-xylosidase
US11371032B2 (en) Beta glucosidase with high glucose tolerance, high thermal stability and broad PH activity spectrum
JP6361870B2 (ja) β−グルコシダーゼ
US9353364B2 (en) β-glucosidase
KR101699018B1 (ko) 셀룰로시마이크로비움 속 유래의 신규한 엔도-베타-1,4-글루카나제 및 그의 용도
JP6361869B2 (ja) β−グルコシダーゼ
JP6361868B2 (ja) β−グルコシダーゼ
US11162087B2 (en) Beta-glucosidase, enzyme composition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solution using same
Woo et al. First thermostable endo-β-1, 4-glucanase from newly isolated xanthomonas sp. EC102
JP5166812B2 (ja) 繊維性多糖類分解酵素、それをコードする遺伝子、繊維性多糖類分解酵素の生産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微生物
WO2015076260A1 (ja) 耐熱性キシラナーゼ
MX2014002880A (es) Biocatalizador de celula completa en la degradacion de biomasa celulosica.
KR101840794B1 (ko) 페니바실러스 속 ec138 균주 유래의 신규 엔도글루카나아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