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518B1 -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518B1
KR101131518B1 KR1020100099269A KR20100099269A KR101131518B1 KR 101131518 B1 KR101131518 B1 KR 101131518B1 KR 1020100099269 A KR1020100099269 A KR 1020100099269A KR 20100099269 A KR20100099269 A KR 20100099269A KR 101131518 B1 KR101131518 B1 KR 10113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charged
charging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00099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9Remaining operating distance or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8War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는 와이어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인 EVSE 컨트롤 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커넥터부로부터 상기 전력을 제공받아 전기 자동차에 배치된 전력저장부에 제공하는 충전 커플러 인렛부; 및 상기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상기 전력이 제공되면 상기 전력저장부에 충전되는 상기 전력의 충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기 커넥터부가 상기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삽입되어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복수 개의 램프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Charging Display Unit for An Electromobi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기 자동차가 전력공급소를 통해 충전을 하였다.
이때, 전기 자동차에 충전을 하는 동안에는 전력공급소인 컨트롤 박스와 전기 자동차 실내에서만 충전되는 상태가 표시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트롤 박스를 통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이 충전되는 상황을 파악하거나 자동차 실내에 들어가 전기 자동차에 전력이 충전되는 상황을 파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서 전력공급소인 컨트롤 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충전상태를 점검할 수 있어, 소비자가 충전에 대한 편의성 및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는 와이어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인 EVSE 컨트롤 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커넥터부로부터 상기 전력을 제공받아 전기 자동차에 배치된 전력저장부에 제공하는 충전 커플러 인렛부; 및 상기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상기 전력이 제공되면 상기 전력저장부에 충전되는 상기 전력의 충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기 커넥터부가 상기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삽입되어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복수 개의 램프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램프부는 전력저장부에 충전되는 전력의 충전상태에 따라 램프의 색이 변경되어 점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램프부는 전력이 충전 초기 상태일 때는 빨간색(RED)이 점등되고, 전력이 충전되는 상태일 때는 빨간색(RED)에서 녹색(GREEN)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되어 점등되고, 전력이 충전 완료 상태일 때는 녹색(GREEN)이 점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램프부는 전력이 충전 초기 상태일 때는 빨간색(RED)이 점등되고, 전력이 충전되는 상태일 때는 노란색(YELLOW)이 점등되고, 전력이 충전 완료 상태일 때는 녹색(GREEN)이 점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램프부는 전력이 전력저장부로 정상적으로 충전되는 않으면 빨간색(RED)이 점등되어 깜빡거리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램프부는 전력이 전력저장부로 정상적으로 충전되는 않으면 경고음이 발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전력저장부에 충전되는 전력의 충전상태에 따라 숫자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저장부에 충전되는 충전량이 10% 미만일 경우에는 숫자가 빨간색(RED)으로 표시되고, 충전량이 10% 이상 90% 미만일 경우에는 숫자가 노란색(YELLOW)으로 표시되고, 충전량이 90% 이상이 경우에는 숫자가 녹색(GREEN)으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는 전기 자동차에서 전력공급소인 컨트롤 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충전상태를 점검할 수 있어 충전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는 전기 자동차에서 전력공급소인 컨트롤 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충전상태를 점검할 수 있어 충전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는 전기 자동차에서 전력공급소인 컨트롤 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여 충전에 대한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전 커플러 인렛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충전 커플러 인렛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는 전기 커넥터부(110),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전기 커넥터부(110)는 와이어(120)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100)인 EVSE 컨트롤 박스(EVSE Control Box)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와이어(120)는 전력 공급 장치(100)인 EVSE 컨트롤 박스(EVSE Control Box)와 전기 커넥터부(110)까지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전력을 용이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120)를 통해 EVSE 컨트롤 박스(EVSE Control Box)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커넥터부(110)는 EVSE 컨트롤 박스(EVSE Control Box)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후술할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는 전기 커넥터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커넥터부(11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전기 자동차(200)에 배치된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는 전기 자동차(200)에 배치되며 전력저장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는 전기 커넥터부(11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즉, 전기 커넥터부(110)가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에 삽입되어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는 전기 커넥터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는 전기 커넥터부(11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면 전기적으로 단절되는 것이다. 즉,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에 삽입된 전기 커넥터부(11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는 전기 커넥터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이 차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에 형성되어,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에 전력이 제공되면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충전되는 전력의 충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30)는 전기 커넥터부(110)가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에 삽입되어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복수 개의 램프부(230a)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램프부(230a)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부(230)가 전기 커넥터부(110)가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에 삽입되어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200)에 충전되는 전력의 충전상태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램프부(230a)는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충전되는 전력의 충전상태에 따라 램프의 색이 변경되어 점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기 자동차(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충전되는 전력의 충전상태에 따라 램프의 색을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충전상태를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에 형성된 램프부(230a)가 전기 자동차(200)에 충전되는 충전상태에 따라 다른 색으로 점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충전 초기 상태를 나타내며, 충전 초기 상태일 때는 램프부(230a)가 빨간색(RED)이 점등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램프부(230a)에 빨간색(RED)이 점등되면 전기 자동차(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충전된 전력이 없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의 (B)는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충전되는 상태일 때는 램프부(230a)가 빨간색(RED)에서 녹색(GREEN)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되어 점등되는 것이다. 즉, 빨간색(RED)으로 점등되어 있던 램프부(230a)는 전력이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점진적으로 충전되면 충전량이 증가함에 따라 빨간색(RED)에서 녹색(GREEN)으로 변경되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충전되는 전력량이 증가할수록 램프부(230a)는 빨간색(RED)에서 녹색(GREEN)으로 변경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 점등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램프부(230a)가 빨간색(RED)에서 녹색(GREEN)으로 순차적 점등되면 전기 자동차(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전력의 충전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의 (C)는 충전 완료 상태를 나타내며, 충전 완료 상태일 때는 램프부(230a)가 녹색(GREEN)이 점등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램프부(230a)에 녹색(GREEN)이 점등되면 전기 자동차(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전력이 가득 충전된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의 (D)는 정상적으로 충전되는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전력이 전력저장부(미도시)로 정상적으로 충전되는 않으면 램프부(230a)는 빨간색(RED)이 점등되어 깜빡거리는 것이다. 즉, 전기 커넥터부(110)가 충전 커플러 인렛부(210)에 삽입되어 충전되는 동안 고전압 및 기타 이상한 증상이 발생하면 램프부(230a)가 빨간색(RED)이 점등되어 깜빡거리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램프부(230a)에 빨간색(RED)이 점등되어 깜빡거리면, 충전 중 이상 증상에 대한 상태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램프부(230a)는 전력이 전력저장부(미도시)로 정상적으로 충전되는 않으면 경고음이 발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충전 중 이상 증상에 대한 상태를 시각과 청각을 통해 접하게 됨으로써 이상 증상에 대한 대응을 더욱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자동차(200)에 충전되는 충전상태에 따라 램프부(230a)가 다른 색으로 점등되는 동안에 전기 자동차(200) 내부의 클러스터에서도 충전상태가 표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200)의 실내 또는 외부 등 다양한 위치에서 충전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충전 커플러 인렛부(310)에 형성된 램프부(330a)가 전기 자동차(미도시)에 충전되는 충전상태에 따라 다른 색으로 점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는 도 3과 중첩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도 4의 (A)는 충전 초기 상태, 도 4의 (C)는 충전 완료 상태 및 도 4의 (D)는 정상적으로 충전되는 않은 상태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의 (B)는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충전되는 상태일 때는 램프부(330a)가 노란색(YELLOW)으로 점등되는 것이다. 즉, 빨간색(RED)으로 점등되어 있던 램프부(330a)는 전력이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점진적으로 충전되는 동안에는 노란색(YELLOW)이 점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램프부(330a)가 노란색(YELLOW) 점등되면 전기 자동차(미도시)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전력의 충전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충전 커플러 인렛부(41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430)가 전기 자동차(미도시)에 충전되는 충전상태에 따라 숫자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디스플레이부(430)는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충전되는 전력의 충전상태에 따라 숫자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30)는 전력이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점진적으로 충전되면 충전량에 증가함에 따라 숫자가 증가되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30)는 전력저장부에 충전되는 충전량이 10% 미만일 경우에는 숫자가 빨간색(RED)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충전량이 10% 이상 90% 미만일 경우에는 숫자가 노란색(YELLOW)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충전량이 90% 이상이 경우에는 숫자가 녹색(GREEN)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숫자를 통해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는 충전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색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전력저장부(미도시)에 전력의 충전되는 충전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력 공급 장치 110: 전기 커넥터부
120: 와이어 200: 전기 자동차
210, 310, 410: 충전 커플러 인렛부
230, 430: 디스플레이부
230a, 330a: 램프부

Claims (9)

  1. 와이어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인 EVSE 컨트롤 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부;
    상기 전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커넥터부로부터 상기 전력을 제공받아 전기 자동차에 배치된 전력저장부에 제공하는 충전 커플러 인렛부; 및
    상기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상기 전력이 제공되면 상기 전력저장부에 충전되는 상기 전력의 충전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기 커넥터부가 상기 충전 커플러 인렛부에 삽입되어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복수 개의 램프부로 형성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전력저장부에 충전되는 상기 전력의 충전상태에 따라 램프의 색이 변경되어 점등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전력이 충전 초기 상태일 때는 빨간색(RED)이 점등되고, 상기 전력이 충전되는 상태일 때는 상기 빨간색(RED)에서 녹색(GREEN)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되어 점등되고, 상기 전력이 충전 완료 상태일 때는 상기 녹색(GREEN)이 점등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전력이 충전 초기 상태일 때는 빨간색(RED)이 점등되고, 상기 전력이 충전되는 상태일 때는 노란색(YELLOW)이 점등되고, 상기 전력이 충전 완료 상태일 때는 녹색(GREEN)이 점등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전력이 상기 전력저장부로 정상적으로 충전되는 않으면 상기 빨간색(RED)이 점등되어 깜빡거리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전력이 상기 전력저장부로 정상적으로 충전되는 않으면 경고음이 발생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력저장부에 충전되는 상기 전력의 충전상태에 따라 숫자로 표시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저장부에 충전되는 충전량이 10%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숫자가 빨간색(RED)으로 표시되고, 상기 충전량이 10% 이상 90%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숫자가 노란색(YELLOW)으로 표시되고, 상기 충전량이 90% 이상이 경우에는 상기 숫자가 녹색(GREEN)으로 표시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KR1020100099269A 2010-10-12 2010-10-12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KR101131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69A KR101131518B1 (ko) 2010-10-12 2010-10-12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69A KR101131518B1 (ko) 2010-10-12 2010-10-12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518B1 true KR101131518B1 (ko) 2012-04-04

Family

ID=4614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269A KR101131518B1 (ko) 2010-10-12 2010-10-12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511A (ko) * 2014-09-16 2016-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차 전지 차량의 충전 표시 장치
DE102015119833B4 (de) 2015-02-05 2021-10-07 Hyundai Motor Company Batterie-Ladestatus-Anzeiger für ein elektrisches Fahrzeu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022A (ja) * 1996-04-10 1997-10-31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充電表示装置
JP2001177999A (ja) 1999-12-13 2001-06-29 Nec Mobile Commun Ltd 充電状態表示装置及び充電状態の表示方法
KR200322831Y1 (ko) 2003-05-09 2003-08-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 충전기의 충전표시장치
JP2009132357A (ja) 2007-10-31 2009-06-18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バッテリ充電状態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022A (ja) * 1996-04-10 1997-10-31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充電表示装置
JP2001177999A (ja) 1999-12-13 2001-06-29 Nec Mobile Commun Ltd 充電状態表示装置及び充電状態の表示方法
KR200322831Y1 (ko) 2003-05-09 2003-08-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 충전기의 충전표시장치
JP2009132357A (ja) 2007-10-31 2009-06-18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バッテリ充電状態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511A (ko) * 2014-09-16 2016-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차 전지 차량의 충전 표시 장치
KR101646344B1 (ko) 2014-09-16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차 전지 차량의 충전 표시 장치
DE102015119833B4 (de) 2015-02-05 2021-10-07 Hyundai Motor Company Batterie-Ladestatus-Anzeiger für ein elektrisches 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4562B2 (en) Vehicle power supply device
JP3182855U (ja) 車両用補助給電装置
JP6402384B2 (ja) 電動車両の充放電電流量表示装置
US11167655B2 (en) Charging station and connector therefor, and method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with a charging station
US20140253306A1 (en) Electric Vehicle State of Charge Indicator Integrated With Exterior Lamps
CN106183822A (zh) 电动车辆高电压系统警报
CN107199899A (zh) 混合动力/电动车辆充电端口门
KR20160031809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JP2010213556A (ja) 充電装置、および情報提示方法
US9818268B2 (en) Motor vehicle with indication of a state of charge of an energy storage device
CN106982398A (zh) 有源扬声器柱系统
CN107258028A (zh) 用于机动车电池的电池单体、电池和机动车
KR101131518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표시 장치
JP3185027U (ja) 可搬型補助給電装置用のブースタケーブル
US9493078B2 (en)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CN104755332A (zh) 具有在天线装置中用信号报告安全设备运行状态的光源的机动车
TWI486272B (zh) 電動車輛用充電裝置
JP2017192172A (ja) 充電状態表示装置
CN204517846U (zh) 车载路由器
US1080184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electrical outlet information for electrified vehicles
CN210881973U (zh) 无人车电源系统及无人车
CN202997609U (zh) 一种具有指示装置的电插头和具有该电插头的充电桩
CN203372134U (zh) 一种车外后视镜显示的电动汽车充电指示灯
WO2014065006A1 (ja) 充電器電池容量表示装置
JP6237976B2 (ja) 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