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328B1 -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328B1
KR101131328B1 KR1020100016012A KR20100016012A KR101131328B1 KR 101131328 B1 KR101131328 B1 KR 101131328B1 KR 1020100016012 A KR1020100016012 A KR 1020100016012A KR 20100016012 A KR20100016012 A KR 20100016012A KR 101131328 B1 KR101131328 B1 KR 101131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box
banknote
accepto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660A (ko
Inventor
티엔 유안 치엔
셍옌 트사오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0001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3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009Deposi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5Flattening, e.g. straightening out fol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의 존재를 센싱하고 지폐의 진정성을 확인하는 지폐 수납기, 및 지폐 수납기로부터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입구, 스프링 부재 상에 지지된 지폐 수납 유지 보드, 각각의 진입된 지폐를 지폐 입구로부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상으로 밀도록 지폐 전송기구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지폐 가압보드, 및 지폐 가압보드와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사이의 2개의 대향 측면에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배플 및 각각의 수납된 지폐를 구김없이 완전히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폐 수납 유지 보드상에 각각의 수납된 지폐를 정지하도록 각각의 배플의 후방벽상에 카바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가진 지폐 박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BILL BOX, BILL ACCEPTOR ASSEMBLY WITH BILL BOX}
본 발명은 지폐 수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각각의 수납된 지폐가 구김없이 완전히 펴진 상태로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상에 유지되도록 미끄럼방지 장치를 가진 지폐 수납기용 지폐 박스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생활 모드가 변화고, 무점포 비지니스가 유행한다. 편리성과 신속성을 고려하면, 여러가지 자동판매기(카드분배기, 티켓판매기, 동전 교환기 등), 자동 음성 안내기, 지폐 수납기는 MRT(Metropolitan Rapid Transit)역, 철도역, 버스 정거장, 상점, 레스토랑, 학교, 병원 및 다른 공공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기기는 노동 비용을 절감하여 소비자에게 편리성을 주게 된다. 더욱이, 진보된 자동판매기는 음료수, 담배, 티켓, 아이스크림, 주화, 키이 링 또는 햄버거나 국수류 등을 판매한다. 오늘날, Q-샵은 소비자에게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여러 곳에서 보인다. Q-샵은 과학적인 정보, 빠른 서비스, 그리고 빠른 지불 방식의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많은 실질 샵은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하도록 설립되고, 소비자들은 수백만개의 제품을 쇼핑할 수 있다.
더욱이, 자동판매기, 카드분배기, 티켓판매기 또는 동전교환기는 통상 삽입된 지폐의 진정성 및 값을 체크하기위한 지폐 수납기와, 각각 수납된 지폐를 모으기 위한 지폐 박스를 사용한다. 도 11은 종래 지폐 박스 디자인을 도시한다. 종래 설계에 따르면, 지폐 박스(A)는 지폐 입구(A1)의 상부 개구부(A11) 둘레에 배열된 배플 플레이트(B)와 도난방지장치(A12), 내부에 장착되고 스프링 부재(A3)상에 지지되어 지폐 입구(A1)를 통하여 지폐 박스(A)이 내부로 전달된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 유지 보드(A2)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지폐 박스의 서례는 기능면에서 부족하고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1. 지폐가 지폐 박스(A)의 지폐 입구(A1)로 보내질 때, 지폐 수납 유지 보드(A2)로 즉시 보내진다. 그러나, 다음 지폐가 지폐 수납 유지 보드(A2)로 전달될 때, 마지막으로 수납된 지폐가 지폐 수납 유지 보드(A2)로부터 지폐 박스(A) 내부 바닥면으로 떨어지거나, 지폐 수납 유지 보드(A2)와 지폐 박스(A)의 셀 사이에 잼을 일으키게 하여, 지폐 수납 유지 보드(A2)의 안정성을 불안하게 한다.
2. 지폐 수납 유지 보드(A2) 상에 적층된 지폐는 구겨질 수 있어서, 지폐 수납 작동에 영향을 미치고, 지폐 박스(A)의 수납률을 저하시킨다.
3. 지폐 박스(A)가 여러 가지 사이즈의 지폐를 모으는데 사용될 때,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지폐는 비교적 큰 사이즈의 지폐에서 슬립될 수 있고, 수집된 지폐는 지폐 수납 유지 보드(A2) 상에 잘 적층되지 않아, 다음 지폐 수납 작동을 방해하게 된다.
지폐 수납기가 자동판매기, 카드 분배기, 티켓 판매기 및 동전 교환기에 통상 사용되고, 지폐를 수집하는 지폐 박스를 구비하기 때문에, 지폐 박스의 설계는 지폐 수납기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된 지폐가 수용 챔버의 바닥면에 떨어지지 않게 되고, 지폐 수납 유지 보드상에서 구김없이 완전히 펴진 상태로 유지되어, 수용 챔버의 지폐 가압 보드의 이동 통로에서 최소 공간만을 차지하게 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의 일예로서, 지폐 수납기와 지폐 수납기에 장착된 지폐 박스로 구성된다. 지폐 박스는 박스 바디와 미끄럼 방지장치로 구성된다. 박스 바디는 수용 챔버와, 지폐를 지폐 수납기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내로 안내하기 위한 지폐 입구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유지된 지폐 수납 유지 보드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한 지폐 가압 보드, 및 상기 지폐 가압 보드를 이동시켜 지폐를 지폐 입구로부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상으로 미는 지폐 전송기구로 구성된다. 미끄럼 방지장치는 지폐 가압 보드와 상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사이 양대향측면에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배플, 및 구김없이 완전히 펴진 상태로 수납된 지폐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상에서 각각의 수납된 지폐를 정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배플의 후방벽 상에 카바된 미끄럼 방지패드로 구성된다.
더욱이, 지폐 수납기는 지폐 진입구와 지폐 진입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지폐 통로를 가진 기기 바디와, 기기 바디에 장착되며 지폐 통로에서 지폐의 존재를 센싱하고 지폐의 진정성을 확인하는 센서 시스템, 및 지폐 통로의 후방면에 위치하고 도둑의 도구에 의한 지폐 도난을 방지하는 도난방지유닛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지폐 박스의 미끄럼 방지장치의 미끄럼 방지 패드는 대응 배플의 후방벽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미끄럼 방지 패드는 분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접착제로써 대응 배플의 후방벽에 부착된다. 더욱이, 각각 미끄럼 방지패드는 수납되는 지폐의 최소 사이즈 또는 수납되는 지폐에 따라 배플의 후방벽의 일부 또는 전체 표면 영역을 카바할 수 있다.
더욱이, 지폐 박스의 미끄럼 방지 장치의 각각의 미끄럼 방지 패드는 구김과 고랑 및/또는 좁고 긴 치형부, 및/또는 상승부 및/또는 오목부를 가진 거친 표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1. 미끄럼 방지장치(2)는 지폐 가압 보드(13)와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사이 수용 챔버(10)에 장착된다. 하나의 지폐(3)가 수용 챔버(10) 내로 전송되어 지폐 가압 보드(13)에 의해서 지폐 입구(11)로부터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로 밀 때, 수집된 지폐(3)는 지폐 가압 보드(13)의 원래 위치 리턴 후에 미끄럼 방지장치(2)의 배플(21)의 미끄럼 방지 패드(22)에 의해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상으로 유지되고, 그러므로 수납된 지폐(3)는 수용 챔버(10)의 바닥면에 떨어지지 않게 된다.
2. 하나의 지폐(3)가 수납되고 미끄럼 방지장치(2)의 배플(21)의 미끄럼 방지 패드(22)에 의해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상에 유지될 때, 수납된 지폐(3)는 구김없이 완전히 펴진 상태로 유지되어, 수용 챔버(10)의 지폐 가압 보드(13)의 이동 통로에서 최소 공간만을 차지하게 된다.
3. 미끄럼 방지장치(2)의 배플(21)의 미끄럼 방지 패드(22)에 의해서, 지폐 박스는 어떤 나라에서 발행된 모든 형태의 사이즈의 지폐(3)를 수납하도록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되어, 모든 수집된 지폐(3)가 구김없이 완전히 펴진 상태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와 배플(21)의 미끄럼 방지 패드(22) 사이에서 제위치로 유지된다.
여기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박스의 측단면도
도 4는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상에 지폐를 가압하는 지폐 가압 보드를 도시한 지폐 박스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미끄럼 방지 장치의 배플의 미끄럼 방지 패드와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사이에 유지된 수납된 지폐를 리턴하는 지폐 가압 보드를 도시한 도 4의 대응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박스의 다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패드의 다른 표면 설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기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11은 종래 지폐 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폐박스는 박스 바디(1)와 미끄럼 방지장치(2)로 구성된다.
박스 바디(1)는 내부 수용 챔버(10)와 지폐 입구(11)를 한정하는 박스 바디 셀(12), 수용 챔버(10) 내부에 유지되고 지폐 입구(11)에 대해서 전 후 이동가능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박스 바디 셀(12)의 내측벽상에 장착되고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의 후방측에서 연결부(141)에 연결되어 지폐 입구(11)를 향해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로 압력을 부여하는 탄성지지 부재(15), 및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에 대향하는 지폐 입구(11)의 일측에서 수용 챔버(10) 내부에 유지되고 지폐 입구(11)로부터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로 지폐(3)를 가압하도록 지폐 입구(11)를 거쳐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를 향하여 지폐 전송기구(131)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지폐 가압 보드(13)로 구성된다.
미끄럼 방지장치(2)는 2개의 연장된 배플(21)로 구성된다. 각각의 배플(21)은 외부 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위치결정 윙 플레이트(211), 및 후방벽상에 카바된 미끄럼 방지 패드(22)를 가진다.
설치 동안, 2개의 배플(21)은 수용 챔버(10)의 2개의 대향 측벽(101)에 각각 고정된 각각의 위치결정 윙 플레이트(211)를 가진 2개의 대향 측벽에서 수용 챔버(10) 내부에 위치하여, 지폐 가압 보드(13)는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를 향하여 2개의 배플(21) 사이 갭과 지폐 입구(11)를 통하여 지폐 전송기구(131)에 의해서 이동되어 지폐(3)를 지폐 입구(11)로부터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상으로 가압한다. 설치 후에, 배플(21)의 미끄럼 방지 패드(22)는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와 마주보게 된다.
더욱이,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와 박스 바디 셀(12)의 측벽 사이의 탄성지지 부재(15)는 나선형 스프링, 헬리컬 스프링, 플레이트 스프링 또는 탄성 패드일 수 있다. 더욱이, 미끄럼 방지장치(2)의 각각의 연장 배플(21)의 후방벽(212) 상에 카바된 미끄럼 방지 패드(22)는 거친 표면을 가진다. 미끄럼 방지 패드(22)는 고무, 플라스틱 또는 고마찰계수를 가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끄럼 방지 패드(22)은 구김지고, 고랑이 있고, 그리고/또는 좁고 긴 치형부를 가지고, 그리고/또는 상승부 및/또는 오목부(도 7 참조)를 가진 거친 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패드(22)는 각각의 긴 배플(21)의 후방벽 상에 직접 성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끄럼 방지 패드(22)는 분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긴 배플(21)의 후방벽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 4, 5, 6 및 10을 참조하면, 하나의 지폐(3)가 박스 바디(1)의 지폐 입구(11)를 통하여 지폐 가압 보드(13)와 2개의 배플(21) 사이에서의 수용 챔버(10)의 내측으로 전송될 때, 지폐 전송기구(131)는 지폐 가압 보드(13)를 2개의 배플(21) 사이의 갭을 통해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작동되어 지폐 가압 보드(13)는 지폐 입구(11)로부터 멀리 지폐(3)를 밀고 지폐(3)를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상으로 가압한다. 지폐(3)가 지폐 가압 보드(13)에 의해서 배플(21) 상부로 이동되고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상으로 가압된 후에, 지폐 가압 보드(13)는 지폐 전송기구(131)에 의해서 이전 위치로 리턴한다. 이 때,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는 탄성지지 부재(15)에 의해서 배플(21)를 향하여 전방으로 향하여, 수납된 지폐(3)가 배플(21)의 미끄럼 방지 패드(22)와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사이에서 정지되게 한다. 따라서, 수납된 지폐(3)는 미끄럼 방지 패드(22)에 의해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상에 제위치로 유지되고 구김없이 자연스런 상태를 유지하며, 그러므로, 수납된 지폐(3)는 수용 챔버(10)의 바닥면으로 낙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폐(3)는 지폐 입구(11)를 통하여 수용 챔버(10)의 내부에 정확하게 전송될 수 있고, 지폐 가압 보드(13)에 의해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상으로 정확하게 가압되고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와 2개의 배플(21) 사이에 적층이 제위치에서 자연스럽게 유지된다. 상술한 배열에 의해서, 지폐 입구(11)가 수용 챔버(10)의 내부로 연장되는 깊이는 짧아질 수 있고, 지폐 입구(11)에 대한 레일의 길이 및 관련 지폐 전송 롤러 및 지폐 전송 벨트의 길이 또는 사이즈도 최소화될 수 있고, 즉, 수용 챔버(10)에서 지폐 전송 간격은 비교적 짧게 된다. 더욱이, 탄성지지 부재(15)의 탄성력에 의해서, 배플(21)의 미끄럼 방지 패드(22)와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사이의 간격은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에 수집된 지폐(3)의 두께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되어,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에서 수집된 지폐(3)는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와 배플(21)의 미끄럼 방지 패드(22) 사이에 정위치로 유지된다.
더욱이, 배플(21) 상의 미끄럼 방지 패드(22)는 대응 배플(21)의 후방벽(212)의 전체 표면 영역을 카바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배플(21)상의 미끄럼 방지 패드(22)는 수집되는 지폐(3)의 최소 사이즈에 따라 대응 배플(21)의 후방벽(212)의 일부만을 카바할 수 있다. 하나의 지폐(3)가 수용 챔버(10) 내로 전송되어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에 부착될 때, 배플(21)의 미끄럼 방지 패드(22)는 구김없이 완전히 펴진 자연 상태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상에 수집된 지폐(3)를 아래로 유지한다.
도 2, 3, 8, 9 및 10을 참조하면, 상기 지폐 박스는 지폐 수납기(4)에 설치된다. 지폐 수납기(4)는 전기 장치(도시 않음)로 구비된 기기 바디(41)로 구성된다. 기기 바디(41)는 지폐 진입구(410), 박스 바디(1)의 지폐 입구(11)로 지폐 진입구(410)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지폐 통로(411), 적절한 위치에서 지폐 통로(411)에 설치된 지폐 센서 수단과 지폐 인식 수단(도시 않음)을 가지며 그리고 지폐 통로(411)에서 지폐(3)의 존재를 센싱하며 지폐(3)의 진정성을 입증하는 센서 시스템(42), 및 지폐 통로(411)와 지폐 통로(11) 사이에 위치한 도난 방지 유닛(43)으로 구성된다. 도난 방지 유닛(43)은 도둑의 도구에 의해서 수납된 지폐(3)의 회수를 방지하기 위한 도난 방지 배플 플레이트(431)를 포함한다. 지폐 박스의 박스 바디(1)는 지폐 통로(411)와 지폐 입구(11)가 연통되게 하기 위하여 지폐 수납기(4)의 기기 바디(41)에 장착되어, 지폐 전송기구(131)는 지폐 수납기(4)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고 각각 인식된 지폐(3)를 지폐 통로(411)로부터 지폐 입구(11)를 통하여 수납기(4) 내로 전송하여, 지폐(3)가 지폐 입구(11)로부터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로 지폐 가압 보드(13)에 의해서 밀어지게 되고,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와 배플(21)의 미끄럼 방지 패드(22) 사이에 유지된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같이, 각각의 배플(21) 상의 미끄럼 방지 패드(22)는 수집되는 최소 사이즈의 지폐(3)에 따라대응 배플(21)의 후방벽(212)의 일부만을 또는 대응 배플(21)의 후방벽(212)의 전체 표면 영역을 카바할 수 있다. 하나의 지폐(3)가 수집될 때, 구김없이 완전히 펴진 자연 상태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와 배플(21)의 미끄럼 방지 패드(22) 사이에 유지되어 다음 지폐 수납 작동에 지폐 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같이, 미끄럼 방지 패드(22)는 미끄럼 방지장치(2)의 각각의 연장된 배플(21)의 후방벽(212) 상에 직접 성형될 수 있고, 또는 분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장착 또는 고정 기술에 의해서 또는 접착으로 미끄럼 방지장치(2)의 연장된 배플(21)의 후방벽(212)에 직접 체결될 수 있어서, 미끄럼 방지장치(2)의 배플(21)의 미끄럼 방지 패드(22)는 구김없이 완전히 펴진 자연 상태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상에 지폐(3) 더미 또는 하나의 지폐(3)를 아래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지폐 수납기(4)의 기기 바디(41)는 수직 설계 또는 수평 설계일 수 있다. 그러나, 지폐 박스의 박스 바디(1)는 지폐 수납기(4)의 기기 바디(41)의 디자인에 맞아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지폐(3)를 수납하고 수납된 지폐(3)의 진정성을 확인하는 지폐 수납기(4)와, 박스 바디(1)와 미끄럼 방지장치(2)로 구성되고 지폐 수납기(4)로부터 각각의 수납된 지폐(3)를 수집하기 위하여 지폐 수납기(4)에 장착된 지폐 박스로 구성된 지폐 수납기와 지폐 박스 조립체를 제공하여, 박스 바디(1)는 수용 챔버(10)와 지폐 통로(411) 사이와 연통된 지폐 입구(11)와 내부 수용 챔버(10)를 한정하는 박스 바디 셀(12), 수용 챔버(10)에서 탄성지지 부재(15) 상에 지지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지폐 전송기구(131),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에 대향하는 지폐 입구(11)의 일측에서 수용 챔버(10) 내에 유지되고 지폐 전송기구(131)에 의해서 이동되어 지폐(3)를 지폐 입구(11)로부터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로 미는 지폐 가압 보드(13)로 구성되며; 미끄럼 방지장치(2)는 지폐 가압 보드(13)의 이동 경로에 대해서 양측에서 수용 챔버(10)에 평행하게 정렬된 2개의 연장된 배플(21), 및 각각의 수집된 지폐(3)가 구김없이 완전히 펴진 상태로 지폐 수납 유지 보드(14) 상에 유지되도록 각각의 배플(21)이 후박벽(212) 상에 카바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22)로 구성된다.
1 : 박스 바디 2 : 미끄럼 방지장치
3 : 지폐 4 : 지폐 수납기
10 : 수용 챔버 11 : 지폐 입구
12 : 박스 바디 셀 13 : 지폐 가압 보드
14 : 지폐 수납 유지 보드 15 : 탄성지지 부재
21 : 배플 22 : 미끄럼 방지 패드
41 : 기기 바디 42 : 센서 시스템
43 : 도난 방지 유닛 101 : 측벽
131 : 지폐 전송기구 141 : 연결부
211 : 위치결정 윙 플레이트 212 : 후방벽
410 : 지폐 진입구 411 : 지폐 통로
431 : 도난 방지 배플 플레이트

Claims (26)

  1. 수용 챔버와, 지폐를 지폐 수납기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내로 안내하기 위한 지폐 입구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유지된 지폐 수납 유지 보드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한 지폐 가압 보드, 및 상기 지폐 가압 보드를 이동시켜 지폐를 지폐 입구로부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상으로 미는 지폐 전송기구로 구성된 박스 바디, 및
    상기 지폐 가압 보드와 상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사이 양대향측면에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배플, 및 상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상에서 각각의 수납된 지폐를 정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배플의 후방벽 상에 카바된 미끄럼 방지패드로 구성되며, 상기 박스 바디 내의 수용 챔버에 장착된 미끄럼 방지장치로 구성되어, 지폐 수납기에 의해서 인식된 각각의 지폐를 수납하기 위하여 지폐 수납기에 연결된 지폐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바디는 상기 수용 챔버 둘레의 박스 바디셀, 및 상기 지폐 수납 유지 보드를 지지하도록 상기 박스 바디셀 내에 장착된 탄성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 부재는 나선형 스프링, 헬리컬 스프링, 플레이트 스프링 및 탄성 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대응 배플의 후방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접착 수단으로 대응 배플의 후방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6. 제4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수납되는 지폐의 최소 사이즈에 따라 대응 배플의 후방벽의 일부를 카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수납되는 지폐의 최소 사이즈에 따라 대응 배플의 후방벽의 일부를 카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구김, 고랑, 좁고 긴 치형부, 상승부 및 오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지는 거친 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9. 지폐를 수납하고 지폐의 진정성을 확인하는 지폐 수납기, 및 지폐 수납기에 체결되고 지폐 수납기에 의해서 인식된 각각의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박스로 구성된 지폐 수납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박스는
    수용 챔버와, 지폐를 지폐 수납기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내로 안내하기 위한 지폐 입구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유지된 지폐 수납 유지 보드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한 지폐 가압 보드, 및 상기 지폐 가압 보드를 이동시켜 지폐를 지폐 입구로부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상으로 미는 지폐 전송기구로 구성된 박스 바디, 및
    상기 지폐 가압 보드와 상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사이 양대향측면에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배플, 및 상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상에서 각각의 수납된 지폐를 정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배플의 후방벽 상에 카바된 미끄럼 방지패드로 구성되며, 상기 박스 바디 내의 수용 챔버에 장착된 미끄럼 방지장치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바디는 상기 수용 챔버 둘레의 박스 바디셀, 및 상기 지폐 수납 유지 보드를 지지하도록 상기 박스 바디셀 내에 장착된 탄성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 부재는 나선형 스프링, 헬리컬 스프링, 플레이트 스프링 및 탄성 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대응 배플의 후방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13.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접착 수단으로 대응 배플의 후방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14. 제12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수납되는 지폐의 최소 사이즈에 따라 대응 배플의 후방벽의 일부를 카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수납되는 지폐의 최소 사이즈에 따라 대응 배플의 후방벽의 일부를 카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16.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구김, 고랑, 좁고 긴 치형부, 상승부 및 오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지는 거친 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17. 지폐 진입구, 상기 지폐 진입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지폐 통로, 지폐 센서 수단으로 구성된 센서 시스템, 및 선택된 위치에서 상기 지폐 통로에 설치되며 지폐 통로에서 지폐의 존재를 센싱하고 지폐의 진정성을 확인하는 지폐 인식 수단으로 구성된 기기 바디, 및 상기 지폐 통로의 후방면에 위치하고 도구에 의해서 수납된 지폐의 도난을 방지하는 도난 방지 유닛으로 구성된 지폐 수납기, 및
    수용 챔버와, 지폐 수납기의 지폐 통로의 후방면에 연결되며 지폐를 지폐 수납기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내로 안내하기 위한 지폐 입구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유지된 지폐 수납 유지 보드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한 지폐 가압 보드, 및 상기 지폐 가압 보드를 이동시켜 지폐를 지폐 입구로부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상으로 미는 지폐 전송기구로 구성되며, 상기 지폐 수납기의 기기 바디에 장착된 박스 바디; 및 상기 지폐 가압 보드와 상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사이 양대향측면에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배플, 및 상기 지폐 수납 유지 보드 상에서 각각의 수납된 지폐를 정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배플의 후방벽 상에 카바된 미끄럼 방지패드로 구성되며, 상기 박스 바디 내의 수용 챔버에 장착된 미끄럼 방지장치로 구성되는 지폐 박스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기의 기기 바디는 수평형이며, 상기 지폐 박스는 상기 기기 바디의 수평형에 맞는 수평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기의 기기 바디는 수직형이며, 상기 지폐 박스는 상기 기기 바디의 수직형에 맞는 수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박스의 박스 바디는 상기 수용 챔버 둘레의 박스 바디셀, 및 상기 지폐 수납 유지 보드를 지지하도록 상기 박스 바디셀 내에 장착된 탄성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 부재는 나선형 스프링, 헬리컬 스프링, 플레이트 스프링 및 탄성 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22.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대응 배플의 후방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23.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접착 수단으로 대응 배플의 후방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24. 제22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수납되는 지폐의 최소 사이즈에 따라 대응 배플의 후방벽의 일부를 카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25. 제2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수납되는 지폐의 최소 사이즈에 따라 대응 배플의 후방벽의 일부를 카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26.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구김, 고랑, 좁고 긴 치형부, 상승부 및 오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지는 거친 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KR1020100016012A 2010-02-23 2010-02-23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KR101131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12A KR101131328B1 (ko) 2010-02-23 2010-02-23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12A KR101131328B1 (ko) 2010-02-23 2010-02-23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660A KR20110096660A (ko) 2011-08-31
KR101131328B1 true KR101131328B1 (ko) 2012-04-04

Family

ID=4493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012A KR101131328B1 (ko) 2010-02-23 2010-02-23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6942B (zh) * 2011-12-29 2015-04-22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票箱、票据处理装置、票箱状态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042A (ja) * 1993-10-13 1995-04-25 Glory Kiki Kk シート状物品取出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3123122A (ja) 2001-10-16 2003-04-25 Asahi Seiko Kk 紙幣収納装置の紙幣保持枠自動調整装置
KR100526580B1 (ko) 2003-12-30 2005-1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100613834B1 (ko) 2005-12-20 2006-08-22 송병욱 현금 자동 지급 예입기용 지폐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042A (ja) * 1993-10-13 1995-04-25 Glory Kiki Kk シート状物品取出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3123122A (ja) 2001-10-16 2003-04-25 Asahi Seiko Kk 紙幣収納装置の紙幣保持枠自動調整装置
KR100526580B1 (ko) 2003-12-30 2005-1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100613834B1 (ko) 2005-12-20 2006-08-22 송병욱 현금 자동 지급 예입기용 지폐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660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6888B1 (en) Bill box, bill acceptor assembly with bill box
US5662202A (en) Currency validator with cassette cash box
EP2062230B1 (en) A coin dispensing apparatus and a coin deposit and dispensing apparatus
US20070267488A1 (en) Card dispenser having a mobile sensor holder box
KR100966652B1 (ko) 동전롤 저장장치
CN106887090B (zh) 一种智能票务终端设备
TWI403981B (zh) Paper note receiver and cash box structure
CN102142167A (zh) 纸钞接收机以及钱箱结构
KR101131328B1 (ko) 지폐 박스와 지폐 박스를 가진 지폐 수납기 조립체
US20090242353A1 (en) Bill accetor
JP2010182127A (ja) 自動取引装置
EP2369556B1 (en) Bill box, bill acceptor assembly with bill box
EP2690607A1 (en) Apparatus, method, software and graphical interface for flexible dispensing of coins in a coin handling apparatus
JP4861641B2 (ja) 紙幣処理装置
JP2001525097A (ja) 紙幣貯留出金装置
JP6409525B2 (ja) 帯電防止機構及び媒体取引装置
KR200423676Y1 (ko) 가동 센서 홀더 박스를 가진 카드 분배기
KR200427014Y1 (ko) 분배되는 카드의 사이즈에 따라 조정가능한 카드 디스펜서
JP5648003B2 (ja) 媒体読取装置、発券機及び媒体読取方法
JP5870725B2 (ja) 硬貨収納装置、押圧部材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S62211244A (ja) 現金取引装置
KR100450608B1 (ko) 무동력 자판기
KR200389648Y1 (ko)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JP4793231B2 (ja) カード払出装置
KR200334476Y1 (ko) 주화 입금장치용 입금 보관통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