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205B1 - 절연기능을 향상시킨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절연기능을 향상시킨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205B1
KR101131205B1 KR1020110048420A KR20110048420A KR101131205B1 KR 101131205 B1 KR101131205 B1 KR 101131205B1 KR 1020110048420 A KR1020110048420 A KR 1020110048420A KR 20110048420 A KR20110048420 A KR 20110048420A KR 101131205 B1 KR101131205 B1 KR 101131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ody
fixed
fastening
magnetic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주
Original Assignee
(주)대웅전기종합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웅전기종합감리 filed Critical (주)대웅전기종합감리
Priority to KR1020110048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12Special features of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내면이 전주(P)에 고정되고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고정체(110); 상면이 측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서 고정체(110)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극성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1자성체(120); 저면이 제1자성체(120)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고정체(110)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되며, 하방에 위치한 제1자성체(12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2자성체(130); 내면이 고정체(110)의 경사진 외면과 나란하게 경사지고, 고정체를 이격되게 감싸는 관 형상으로써, 하단에는 제2자성체(130)가 고정되고, 내면에는 통기로(142)의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에는 공기의 유입을 상기 입구로 안내하는 가로막(143)이 배치되며, 통기로(142)의 말단에는 공기의 유입을 통해 팽창하면서 고정체(110)에 밀착되도록 된 튜브 형태의 브레이크(144)가 형성된 이동체(140); 상면이 제2자성체(130)의 저면과 대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고, 양극성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3자성체(150); 저면이 제3자성체(150)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하방에 위치한 제3자성체(15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4자성체(160); 제4자성체(160)를 고정하고, 고정체(110)에 고정되는 헤드(170); 애자(I, I')와 연결된 고정대(181)와, 테이퍼진 형상의 가압대(182a)가 돌출형성되고 고정대(181)와 연결되는 평판형상의 체결대(182)를 갖춘 체결부(180); 상면(191c)에 고정대(181)와 체결대(182)가 삽입되는 T자 형상의 제1개구부(191a1)가 형성되고 전면부(191b)에 제1개구부(191a1)와 연결되며 고정대(181)가 삽입되는 제2개구부(191a2)가 형성되는 함체(191)와, 서로 마주하는 제1수용체(192a) 및 제2수용체(192b)가 함체(191)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되 제1 및 제2수용체(192a, 192b)의 상면에는 가압대(182a)와 맞물려 체결부(180)가 사이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사면형상의 가이드(192a1, 192b1)가 형성되고 삽입된 체결부(1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92a2, 192b2)가 형성되며 함체(191)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192a3, 192b3)가 각각 형성된 수용부(192)와, 수용된 체결대(18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92a2, 192b2)가 형성되며, 함체(191)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192a3, 192b3)가 각각 형성된 수용부(192)와, 함체(19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수용체(192a) 및 제2수용체(192b)의 이동을 탄발지지하는 탄성체(193)를 갖춘 완금(1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연기능을 향상시킨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Connector for high voltage line distribution}
본 발명은 절연기능을 향상시킨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고압 전용라인은 전선의 보호와 감전사고 등의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철탑 또는 전주 등과 같은 고도한 곳에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곳은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받으므로, 특고압 전용라인은 상기 외력에 의해 빈번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주와의 고정부분이 상기 진동으로 인해 연결부분이 와해되거나 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물론, 특고압 전용라인의 해짐은 특고압 전용라인과 전주 간의 단선을 야기할 수 있고, 심할 경우 피복이 벗겨지면서 합선 또는 누전 등을 초래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정기적인 검사와 특고압 전용라인의 교체 및 관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 및 교체와 관리는 해당 특고압 전용라인의 단전을 전제로 하므로, 해당 세대들의 전기공급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특고압 전용라인을 배전의 필요성에 의해 전주에서 배전위치를 옮겨야 하는 경우 고압이 흐르는 전용라인의 특성상 전선에 고정된 전용라인의 해제와 결합이 쉽지 않으며, 누전을 통한 작업자의 감전이나 수용가로의 전기 공급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풍력 등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특고압 전용라인과 전주 간의 해짐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특고압 전용라인의 교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으며, 특고압 전용라인의 배전을 위한 결합 및 분리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며 동시에 절연기능이 향상되는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면이 전주(P)에 고정되고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고정체(110);
상면이 측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서 고정체(110)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극성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1자성체(120);
저면이 제1자성체(120)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고정체(110)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되며, 하방에 위치한 제1자성체(12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2자성체(130);
내면이 고정체(110)의 경사진 외면과 나란하게 경사지고, 고정체를 이격되게 감싸는 관 형상으로써, 하단에는 제2자성체(130)가 고정되고, 내면에는 통기로(142)의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에는 공기의 유입을 상기 입구로 안내하는 가로막(143)이 배치되며, 통기로(142)의 말단에는 공기의 유입을 통해 팽창하면서 고정체(110)에 밀착되도록 된 튜브 형태의 브레이크(144)가 형성된 이동체(140);
상면이 제2자성체(130)의 저면과 대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고, 양극성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3자성체(150);
저면이 제3자성체(150)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하방에 위치한 제3자성체(15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4자성체(160);
제4자성체(160)를 고정하고, 고정체(110)에 고정되는 헤드(170);
애자(I, I')와 연결된 고정대(181)와, 테이퍼진 형상의 가압대(182a)가 돌출형성되고 고정대(181)와 연결되는 평판형상의 체결대(182)를 갖춘 체결부(180);
상면(191c)에 고정대(181)와 체결대(182)가 삽입되는 T자 형상의 제1개구부(191a1)가 형성되고 전면부(191b)에 제1개구부(191a1)와 연결되며 고정대(181)가 삽입되는 제2개구부(191a2)가 형성되는 함체(191)와, 서로 마주하는 제1수용체(192a) 및 제2수용체(192b)가 함체(191)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되 제1 및 제2수용체(192a, 192b)의 상면에는 가압대(182a)와 맞물려 체결부(180)가 사이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사면형상의 가이드(192a1, 192b1)가 형성되고 삽입된 체결부(1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92a2, 192b2)가 형성되며 함체(191)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192a3, 192b3)가 각각 형성된 수용부(192)와, 수용된 체결대(18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92a2, 192b2)가 형성되며, 함체(191)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192a3, 192b3)가 각각 형성된 수용부(192)와, 함체(19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수용체(192a) 및 제2수용체(192b)의 이동을 탄발지지하는 탄성체(193)를 갖춘 완금(1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영구자석의 척력에 의해 이동체가 부상하여 특고압 전용라인을 유동적으로 고정하므로, 외력에 의해 특고압 전용라인이 받는 부담을 최소화하여 특고압 전용라인과 전주와의 고정성 약화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특고압 전용라인의 전주와의 결합이 간단한 삽입 동작에 의해 가능하고, 삽임 후 자동적으로 고정되므로 특고압 전용라인의 배전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배전을 위해 필요한 방향으로 특고압 전용라인을 이동하여야 하는 경우 손잡이를 통해 손쉽게 삽입의 해제가 가능하고, 삽입에 의해 특고압 전용라인과 전주와의 절연기능을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의 동작모습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a, 도 5b, 도5c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의 동작모습을 나타낸 동작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100)는 전주(P)에 고정되는 고정체(110)와, 고정체(110)의 하단에 고정 배치되는 제1자성체(120)와, 제1자성체(120)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자성체(130)와, 제2자성체(130)를 하단에 고정하고 고정체(110)의 둘레를 감싸면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140)와, 이동체(140)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3자성체(150)와, 제3자성체(150)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4자성체(160)와, 제4자성체(160)를 고정하고 고정체(110)에 고정되는 헤드(170)와 특고압 전용라인(L, L')을 전주에 고정하기 위해 애자(I, I')에 연결된 체결부(180)와 체결부(180)를 전주에 고정하기 위한 완금(190)으로 구성된다.
고정체(110)는 전주(P)의 둘레를 감싸는 원형의 관 형상으로써, 내면이 전주와 접하여 고정되고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핀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전주(P)와 체결될 수도 있고, 접착제 등을 매개로 전주(P)와 접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체(110)를 헤드(170)와 일체로 구성시켜서, 전주(P)의 상단을 덮는 구조가 되도록 했다.
제1자성체(120)는 고정체(11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면에 노출되도록 수평 폭이 확장된 형상을 이루되, 상면이 측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했다. 한편, 제1자성체(120)는 N극과 S극이 상하로 발하는 영구자석으로서, 자력선은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된다.
제2자성체(130)는 제1자성체(12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서, 고정체(110)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되고, 제1자성체(120)와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된다. 이때, 제2자성체(130)의 저면은 제1자성체(120)의 경사면과 나란한 경사면을 이루도록 되고, 자력선 또한 해당 경사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된다. 결국, 제1,2자성체(120, 130) 간의 척력은 방사형태를 이룰 것이고, 이를 통해 제2자성체(130)는 고정체(110)를 중심으로 바깥을 향하는 힘을 받을 것이다.
이동체(140)는 제2자성체(130)를 하단에 고정하고, 고정체(110)의 둘레를 감싸는 관 형상의 절연체로서, 외면에는 특고압 전용라인(L, L')이 고정된 애자(I, I')를 지지하는 완금(190)이 설치되고, 내면에는 통기로(142)와 브레이크(144)가 형성된다. 또한 내면은 고정체(110)의 외면에 형성된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면이 형성되며, 고정체(110)의 외면과 이동체(140)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의 방향은 이동체(140)의 하방 이동시 고정체(110)의 외면과 이동체(140)의 내면과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애자(I, I')에 고정되는 특고압 전용라인(L, L')은 점프선(JL)을 매개로 서로 통전하고, 애자(I, I')는 체결부(180)에 의해 완금(190)에 고정되며, 완금(190)은 이동체(140)에 단단히 고정된다. 완금(141, 141')는 수평한 막대 형상일 수도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은 브래킷 형상일 수도 있다.
계속해서, 이동체(140)는 고정체(110)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2자성체(120, 130)의 척력에 의해 상방으로 부상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자성체(120, 130)의 척력은 방사형태를 이루므로, 이동체(140)는 고정체(110)를 중심으로 바깥을 향하도록 힘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이동체(140)는 고정체(110)와 항시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동체(140)에는 통기로(142)가 형성되고, 이동체(140)의 내면에는 통기로(142)의 입구가 형성되며, 통기로(142)의 입구에는 가로막(143)의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140)가 급격히 하방 이동할 경우 고정체(110)와 이동체(140) 사이의 공기가 통기로(14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가로막(143)은 이동체(140)가 상방 이동시 통기로(142)를 덮도록 회동하고, 하방 이동시 통기로(142)를 열면서 공기가 통기로(142)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형태로 회동가능해야 할 것이다.
통기로(142)의 말단에는 튜브 형태의 브레이크(144)가 이동체(140)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다. 브레이크(144)는 일정한 기압에서 팽창하도록 된 것으로서, 통기로(142)를 통해 강제로 유입되는 공기는 브레이크(144)의 내부 기압을 급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144)는 팽창하면서 외면이 고정체(110)와 밀착된다. 물론, 브레이크(144)는 고정체(110)와의 밀착으로 이동체(140)의 하방 이동을 저지하고, 이로 인해 갑작스런 이동체(140)의 하방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고정체(110)의 외면과 이동체(140)의 내면을 서로 나란하게 경사지게 형성하여 이동체(140)의 하방 이동시 고정체(110)의 외면과 이동체(140)의 내면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통기구(14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브레이크(144)의 내부 기압을 충분히 상승시키지 못하여 브레이크(144)가 충분히 팽창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브레이크(144)와 이동체(140)의 외면과의 밀착을 추가적으로 보장할 수 있어, 이동체(140)의 갑작스런 하방 이동에 따른 제1자성체(120)와 제2자성체(13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특고압 전용라인(L, L')이 고정된 이동체(140)는 제1,2자성체(120, 130)의 척력에 의해 유동성을 갖도록 부상하므로, 바람 등에 의한 외력 시 특고압 전용라인(L, L')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체(140)도 함께 움직이면서 특고압 전용라인(L, L')의 고정 부분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시킨다. 그러나, 특고압 전용라인(L, L')의 급격한 진동을 제어하지 않고 그대로 허용할 경우 제1,2자성체(120, 130)가 충돌해 파손될 수도 있으므로, 이동체(140)의 움직임에 대한 최소한의 제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100)는 통기로(142)와 가로막(143)과 브레이크(144)가 보강 구비된다.
참고로, 브레이크(144)는 마찰계수가 큰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되어서 해당 기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 고정체(110)와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수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3자성체(150)는 이동체(140)의 상단에 고정 배치되고, N극과 S극을 상하로 발하는 영구자석으로서, 상면이 제2자성체(130)의 저면과 서로 대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자력선은 제3자성체(150)의 경사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제4자성체(160)는 제3자성체(15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고, 제3자성체(150)와 마주하는 저면은 서로 나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자력선은 해당 경사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결국, 제3,4자성체(150, 160) 간의 척력 또한 방사형태를 이루고, 이를 통해 상기 척력은 고정체(110)를 중심으로 이동체(140)가 바깥으로 힘을 받도록 될 것이다. 따라서, 제1,2자성체(120, 130)에 의한 척력과 제3,4자성체(150, 160)에 의한 척력에 의해 이동체(140)는 상하로 완충되면서 특고압 전용라인(L, L')을 안정하게 고정 지지할 것이다.
참고로, 제1,2자성체(120, 130) 간의 척력은 특고압 전용라인(L, L'), 이동체(140), 제2,3자성체(130, 150) 등의 하중 등을 지탱해야 하므로, 제3,4자성체(150, 160)의 척력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제1,2자성체(120, 130)의 자력이 제3,4자성체(150, 160)의 자력보다 더 크도록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헤드(170)는 제4자성체(160)를 지지하면서 이동체(140)의 상방 이탈을 저지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고정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체결부(180)는 고정대(181)와 체결대(182)로 구성되며, 고정대(181)는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애자(I, I')와 연결되고 타단이 체결대(182)와 연결되며, 체결대(182)는 평판형상으로 일면이 고정대(181)와 연결된다. 체결부(180)는 특고압 전용라인(L, L')을 전주(L)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완금(190)의 함체(191)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개구부(191a1, 191a2)를 통해 고정대(181)와 체결대(182)가 삽입되어 특고압 전용라인을 완금(190)을 매개로 전주(P)에 고정시킨다. 체결대(182)는 테이퍼진 형상의 가압대(182a)가 일면에 돌출형성된다.
완금(190)은 체결부(18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함체(191)와, 함체 내부 위치하여 체결대(182)를 수용하며 삽입된 체결대(182)의 이탈을 방지하는 수용부(192)와, 수용부(192)의 이동을 탄발지지하는 탄성체(193)를 포함한다. 완금(190)은 이동체(140)의 둘레면을 배전에 필요한 만큼 형성될 수 있다.
함체(191)는 상면(191c)에 체결대(182)와 고정대(181)가 삽입되기 위한 T자 형상의 제1개구부(191a1)를 가지며, 상기 제1개구부(191a1)에서 연장형성되어 전면부(191b)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191a2)를 가진다. 상기 제2개구부(191a2)는 상기 고정대(181)가 삽입되어 고정대(181)의 하방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체결대(182)의 삽입동작의 가능하게 하며, 이와 동시에 삽입동작이 끝난 경우 고정대(181)의 하방이동을 저지하여 체결대(18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수용부(192)는 함체(191)의 내부에 체결대(182)의 삽입방향과 나란하게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제1수용체(192a)와 제2수용체(192b)구성된다. 각 수용체의 상면에는 체결대(182)의 삽입에 의해 테이퍼진 형상의 가압대(182a)를 수용하기 위해 가압대(182a)형상과 대응하는 사면형상의 가이드(192a1, 192b1)가 형성되어 체결대(182)의 삽입을 안내한다. 체결대(182)의 삽입에 의해 가압대(182a)가 가이드(192a1, 192b1)에 압력을 가하고, 사면형상으로 된 가이드(192a1, 192b1)의 형상에 의해 제1수용체(192a)와 제2수용체(192b)는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체결대(182)는 제1수용체(192a)와 제2수용체(192b)가 이동하여 생긴 공간으로 계속 삽입이 진행된다. 제1수용체(192a)와 제2수용체(192b)는 체결대(182)의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내설된다.
탄성체(193)는 함체(19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수용체(192a) 및 제2수용체(192b)의 이동을 탄발지지한다. 따라서 체결대(182)의 삽입동작이 없거나 삽입동작이 모두 끝난 경우에는 탄성체(193)의 탄발력에 의해 제1수용체(192a)와 제2수용체(192b)는 서로 마주하게 접하게 된다. 탄성체(193)는 스펀지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면서도 절연기능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체결대(182)의 진행이 계속되어 체결대(182)의 상면이 제1수용체(192a) 및 제2수용체(192b)의 스토퍼(192a2, 192b2)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순간 제1수용체(191a)와 제2수용체(191b)는 탄성체(193)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서로 마주하게된다. 따라서 스토퍼(192a2, 192b2)가 체결대(182)의 상면을 지지하게 되어 삽입된 체결대(182)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1수용체(192a)와 제2수용체(192b)의 상면에는 손잡이(192a3, 192b3)가 돌출형성되며, 손잡이(192a3, 192b3)는 함체(191)의 외부로 돌출된다. 특고압 전용라인(L, L')을 필요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배전하여야 하는 경우 삽입된 체결부(180)를 완금(190)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전이 필요한 방향으로 옮길 수 있다. 함체(191)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손잡이(192a3, 192b3)를 작업자가 바깥방향으로 밀어내면 체결대(182)의 상면을 막고 있던 스토퍼(192a2, 192b2)가 밀려나게 되며 스토퍼(192a2, 192b2)가 체결대(182)의 상면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면 작업자는 체결부(180)를 위쪽방향으로 들어올려 완금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체결부(180)를 배전이 필요한 위치에 형성된 완금에 삽입하면 체결부(180)는 삽입 후 탄성체(193)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된다.
100;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
110; 고정체 120; 제1자성체
130; 제2자성체 140; 이동체 150; 제3자성체
160; 제4자성체 170; 헤드 180; 체결부
190; 완금

Claims (1)

  1. 내면이 전주(P)에 고정되고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고정체(110);
    상면이 측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서 고정체(110)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극성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1자성체(120);
    저면이 제1자성체(120)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고정체(110)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되며, 하방에 위치한 제1자성체(12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2자성체(130);
    내면이 고정체(110)의 경사진 외면과 나란하게 경사지고, 고정체를 이격되게 감싸는 관 형상으로써, 하단에는 제2자성체(130)가 고정되고, 내면에는 통기로(142)의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에는 공기의 유입을 상기 입구로 안내하는 가로막(143)이 배치되며, 통기로(142)의 말단에는 공기의 유입을 통해 팽창하면서 고정체(110)에 밀착되도록 된 튜브 형태의 브레이크(144)가 형성된 이동체(140);
    상면이 제2자성체(130)의 저면과 대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고, 양극성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3자성체(150);
    저면이 제3자성체(150)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하방에 위치한 제3자성체(15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제4자성체(160);
    제4자성체(160)를 고정하고, 고정체(110)에 고정되는 헤드(170);
    애자(I, I')와 연결된 고정대(181)와, 테이퍼진 형상의 가압대(182a)가 돌출형성되고 고정대(181)가 애자(I, I')를 향해 돌출되게 연결되는 평판형상의 체결대(182)를 갖춘 체결부(180);
    고정대(181)와 체결대(182)가 삽입되도록 T자 형상의 제1개구부(191a1)가 상면(191c)에 형성되고 전면부(191b)에는 제1개구부(191a1)를 통해 삽입된 고정대(181)가 관통하는 제2개구부(191a2)가 형성된 함체(191)와, 서로 마주하는 제1수용체(192a) 및 제2수용체(192b)가 함체(191)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되 제1 및 제2수용체(192a, 192b)의 상면에는 가압대(182a)와 맞물려 체결부(180)가 사이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사면형상의 가이드(192a1, 192b1)가 형성되고 삽입된 체결부(1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92a2, 192b2)가 형성되며 함체(191)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192a3, 192b3)가 각각 형성된 수용부(192)와, 수용된 체결대(18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92a2, 192b2)가 형성되며, 함체(191)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192a3, 192b3)가 각각 형성된 수용부(192)와, 함체(19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수용체(192a) 및 제2수용체(192b)의 이동을 탄발지지하는 탄성체(193)를 갖춘 완금(1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
KR1020110048420A 2011-05-23 2011-05-23 절연기능을 향상시킨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 KR101131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420A KR101131205B1 (ko) 2011-05-23 2011-05-23 절연기능을 향상시킨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420A KR101131205B1 (ko) 2011-05-23 2011-05-23 절연기능을 향상시킨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205B1 true KR101131205B1 (ko) 2012-03-28

Family

ID=4614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420A KR101131205B1 (ko) 2011-05-23 2011-05-23 절연기능을 향상시킨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682B1 (ko) * 2017-02-28 2017-04-05 주식회사 선진전기 배전선로용 지선밴드와 현수애자의 연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1828A (ja) * 1996-03-18 1997-10-03 Marui Sangyo Kk 鳥害等の防止器具
KR100809063B1 (ko) 2007-09-21 2008-03-03 (주)화신파워텍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0911237B1 (ko) 2008-12-23 2009-08-19 주식회사 이린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KR100940519B1 (ko) 2009-08-19 2010-02-10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송전선로 고정용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1828A (ja) * 1996-03-18 1997-10-03 Marui Sangyo Kk 鳥害等の防止器具
KR100809063B1 (ko) 2007-09-21 2008-03-03 (주)화신파워텍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0911237B1 (ko) 2008-12-23 2009-08-19 주식회사 이린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KR100940519B1 (ko) 2009-08-19 2010-02-10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송전선로 고정용 스페이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682B1 (ko) * 2017-02-28 2017-04-05 주식회사 선진전기 배전선로용 지선밴드와 현수애자의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58587A1 (en) Locking method and unlocking method
KR101174356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US20180025873A1 (en) Moving iron core guide mechanism for high voltage direct current relay
KR102466801B1 (ko) 무타공식 벽걸이 tv 거치장치
CN107425441A (zh) 一种具有底部吸引功能的电气柜固定安装设备
KR101131205B1 (ko) 절연기능을 향상시킨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
KR100706884B1 (ko) 전신주의 낙뢰처리구조
RU2682696C1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актного рельса и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KR101104868B1 (ko) 변압기 인출형 변전라인의 배전 플레이트
US8127642B2 (en) Fuse barrel component handling device
KR200480058Y1 (ko) 전선 거치대
KR10144817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절연장치
KR101829000B1 (ko) 스터드 용접 장치
KR101727007B1 (ko)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101184191B1 (ko)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0860978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051597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1103822B1 (ko) 전주의 송배전선 고정용 완금 연결벨트
KR101013668B1 (ko) 기중차단기용 개폐기구의 코일 지지장치
KR100935939B1 (ko) 가공송전선용 송전선의 인입용 커넥터
KR200485095Y1 (ko) 하중 테스트 장치
CN109698034B (zh) 一种控制棒驱动机构防倾覆锁紧机构
CN106081199A (zh) 一种化妆品盒安装机构
KR101113102B1 (ko)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
US2485288A (en) Insulator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