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102B1 -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 - Google Patents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102B1
KR101113102B1 KR1020110046167A KR20110046167A KR101113102B1 KR 101113102 B1 KR101113102 B1 KR 101113102B1 KR 1020110046167 A KR1020110046167 A KR 1020110046167A KR 20110046167 A KR20110046167 A KR 20110046167A KR 101113102 B1 KR101113102 B1 KR 101113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ody
magnetic
fixed
insulator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애자
Original Assignee
(주)토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토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4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12Special features of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64Circuit arrangements for actuat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8Devices affording mechanic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breakage of a line or cable, e.g. net for catching broken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에 관한 것으로, 내면이 전주(P)에 고정되고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고정체(110); 상면이 측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서 고정체(110)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극성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전자석으로 된 제1자성체(120); 저면이 제1자성체(120)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고정체(110)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되며, 하방에 위치한 제1자성체(12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전자석으로 된 제2자성체(130); 내면이 고정체(110)의 경사진 외면과 나란하게 경사지고, 고정체(110)를 이격되게 감싸는 관 형상으로써, 하단에는 제2자성체(130)가 고정되고, 내면에는 통기로(142)의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에는 공기의 유입을 상기 입구로 안내하는 가로막(143)이 배치되며, 통기로(142)의 말단에는 공기의 유입을 통해 팽창하면서 고정체(110)에 밀착되도록 된 튜브 형태의 브레이크(144)가 형성된 이동체(140); 상면이 제2자성체(130)의 저면과 대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고, 양극성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전자석으로 된 제3자성체(150); 저면이 제3자성체(150)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하방에 위치한 제3자성체(15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전자석으로 된 제4자성체(160); 제4자성체(160)를 고정하고, 고정체(110)에 고정되는 헤드(170);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의 동작을 위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181)와, 제4자성체(160)에 제3자성체(150)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과 반대 극성의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부(182)로 구성된 전원부(180); 제1자성체(1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1가변저항(191a)과, 제2자성체(13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2가변저항(191b)과, 제3자성체(15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3가변저항(191c)과, 제4자성체(160)에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4가변저항(191d)과, 제4자성체(160)에 제1전원(181) 대신 제2전원(182)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부(192)와, 고정체(110)의 외면과 이동체(140)의 내면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센서(193)와, 센서(193)로부터 측정된 이격거리를 입력받아 제1 내지 제4가변저항(191a,191b,191c,191d)의 저항값과 스위치부(192)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194)를 갖춘 자성체 제어장치(190); 절연애자(I,I')와 이동체(110) 사이에 설치되어 절연애자(I,I')를 이동체에 고정하는 완금(141,141');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Insulator linker}
본 발명은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에 관한 것이다.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은 전선의 보호와 감전사고 등의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철탑 또는 전주 등과 같은 고도한 곳에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곳은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받으므로,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은 상기 외력에 의해 빈번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과 절연애자와의 고정부분이 상기 진동으로 인해 연결부분이 와해되거나 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해짐은 가공전선과 절연애자와의 연결이 끊어져 수용가에 정전을 일으키거나, 끊어진 가공전선의 추락으로 인한 감전이나 누전사고 등을 초래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가공전선과 절연애자와의 연결부위의 정기적인 검사와 절연애자와 가공전선의 교체 및 관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 및 교체와 관리는 해당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단전을 전제로 하므로, 해당 세대들의 전기공급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불편이 불가피했고, 이는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석을 이용하여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설치환경에 따른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과 절연애자와의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서로 다른 크기의 외력들이 연결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과 절연애자와의 연결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이를 통해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 및 절연애자의 교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면이 전주(P)에 고정되고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고정체(110);
상면이 측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서 고정체(110)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극성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전자석으로 된 제1자성체(120);
저면이 제1자성체(120)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고정체(110)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되며, 하방에 위치한 제1자성체(12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전자석으로 된 제2자성체(130);
내면이 고정체(110)의 경사진 외면과 나란하게 경사지고, 고정체(110)를 이격되게 감싸는 관 형상으로써, 하단에는 제2자성체(130)가 고정되고, 내면에는 통기로(142)의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에는 공기의 유입을 상기 입구로 안내하는 가로막(143)이 배치되며, 통기로(142)의 말단에는 공기의 유입을 통해 팽창하면서 고정체(110)에 밀착되도록 된 튜브 형태의 브레이크(144)가 형성된 이동체(140);
상면이 제2자성체(130)의 저면과 대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고, 양극성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전자석으로 된 제3자성체(150);
저면이 제3자성체(150)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하방에 위치한 제3자성체(15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전자석으로 된 제4자성체(160);
제4자성체(160)를 고정하고, 고정체(110)에 고정되는 헤드(170);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의 동작을 위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181)와, 제4자성체(160)에 제3자성체(150)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과 반대 극성의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부(182)로 구성된 전원부(180);
제1자성체(1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1가변저항(191a)과, 제2자성체(13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2가변저항(191b)과, 제3자성체(15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3가변저항(191c)과, 제4자성체(160)에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4가변저항(191d)과, 제4자성체(160)에제1전원(181) 대신 제2전원(182)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부(192), 고정체(110)의 외면과 이동체(140)의 내면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센서(193)와, 센서(193)로부터 측정된 이격거리를 입력받아 제1 내지 제4가변저항(191a,191b,191c,191d)의 저항값과 스위치부(192)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194)를 갖춘 자성체 제어장치(190);
절연애자(I,I')와 이동체(110) 사이에 설치되어 절연애자(I,I')를 이동체에 고정하는 완금(141,14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전자석의 척력에 의해 이동체가 부상하여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을 유동적으로 고정하고, 전자석에 가해지는 전류를 제어하여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과 절연애자의 연결부위에 급격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연결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전자석의 자력을 제어하여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이 설치되는 다양한 환경에서도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과 절연애자의 연결부위의 고정성 약화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애자 링커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애자 링커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애자 링커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애자 링커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애자 링커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애자 링커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애자 링커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애자 링커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애자 링커(100)는 전주(P)에 고정되는 고정체(110)와, 고정체(110)의 하단에 고정 배치되는 제1자성체(120)와, 제1자성체(120)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자성체(130)와, 제2자성체(130)를 하단에 고정하고 고정체(110)의 둘레를 감싸면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140)와, 이동체(140)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3자성체(150)와, 제3자성체(150)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4자성체(160)와, 제4자성체(160)를 고정하고 고정체(110)에 고정되는 헤드(170)와,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의 동작을 위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와,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제어하는 자성체 제어장치(190)와, 절연애자(I)를 지지 고정하는 완금(141,141')으로 구성된다.
고정체(110)는 전주(P)의 둘레를 감싸는 원형의 관 형상으로써, 내면이 전주와 접하여 고정되고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핀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전주(P)와 체결될 수도 있고, 접착제 등을 매개로 전주(P)와 접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체(110)를 헤드(170)와 일체로 구성시켜서, 전주(P)의 상단을 덮는 구조가 되도록 했다.
제1자성체(120)는 고정체(11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면에 노출되도록 수평 폭이 확장된 형상을 이루되, 상면이 측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했다. 한편, 제1자성체(120)는 전자석으로 전원부(180)에 의해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자력선은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된다.
제2자성체(130)는 전자석으로 전원부(180)에 의해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제1자성체(12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서, 고정체(110)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되고, 제1자성체(120)와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성체 제어장치(190)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제2자성체(130)의 저면은 제1자성체(120)의 경사면과 나란한 경사면을 이루도록 되고, 자력선 또한 해당 경사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된다. 결국, 제1,2자성체(120, 130) 간의 척력은 방사형태를 이룰 것이고, 이를 통해 제2자성체(130)는 고정체(110)를 중심으로 바깥을 향하는 힘을 받을 것이다.
이동체(140)는 제2자성체(130)를 하단에 고정하고, 고정체(110)의 둘레를 감싸는 관 형상의 절연체로서, 외면에는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L, L')이 고정된 절연애자(I, I')를 지지하는 완금(144, 144')이 설치되고, 내면에는 통기로(142)와 브레이크(144)가 형성된다. 또한 내면은 고정체(110)의 외면에 형성된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면이 형성되며, 고정체(110)의 외면과 이동체(140)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의 방향은 이동체(140)의 하방 이동시 고정체(110)의 외면과 이동체(140)의 내면과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절연애자(I, I')에 고정되는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L, L')은 점프선(JL)을 매개로 서로 통전하고, 절연애자(I, I')는 완금(141, 141')에 의해 이동체(140)와 단단히 고정되는데, 완금(141, 141')는 수평한 막대 형상일 수도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은 브래킷 형상일 수도 있다.
계속해서, 이동체(140)는 고정체(110)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2자성체(120, 130)의 척력에 의해 상방으로 부상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자성체(120, 130)의 척력은 방사형태를 이루므로, 이동체(140)는 고정체(110)를 중심으로 바깥을 향하도록 힘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이동체(140)는 고정체(110)와 항시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동체(140)에는 통기로(142)가 형성되고, 이동체(140)의 내면에는 통기로(142)의 입구가 형성되며, 통기로(142)의 입구에는 가로막(143)이 배치되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140)가 급격히 하방 이동할 경우 고정체(110)와 이동체(140) 사이의 공기가 통기로(14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가로막(143)은 이동체(140)가 하방 이동시 회동하여 통기로(142)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것이다.
통기로(142)의 말단에는 튜브 형태의 브레이크(144)가 이동체(140)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다. 브레이크(144)는 일정한 기압에서 팽창하도록 된 것으로서, 통기로(142)를 통해 강제로 유입되는 공기는 브레이크(144)의 내부 기압을 급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144)는 팽창하면서 외면이 고정체(110)와 밀착된다. 물론, 브레이크(144)는 고정체(110)와의 밀착으로 이동체(140)의 하방 이동을 저지하고, 이로 인해 갑작스런 이동체(140)의 하방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고정체(110)의 외면과 이동체(140)의 내면을 서로 나란하게 경사지게 형성하여 이동체(140)의 하방 이동시 고정체(110)의 외면과 이동체(140)의 내면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통기구(14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브레이크(144)의 내부 기압을 충분히 상승시키지 못하여 브레이크(144)가 충분히 팽창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브레이크(144)와 이동체(140)의 외면과의 밀착을 추가적으로 보장할 수 있어, 이동체(140)의 갑작스런 하방 이동에 따른 제1자성체(120)와 제2자성체(13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L, L')이 고정된 이동체(140)는 제1,2자성체(120, 130)의 척력에 의해 유동성을 갖도록 부상하므로, 바람 등에 의한 외력 시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L, L')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체(140)도 함께 움직이면서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L, L')의 고정 부분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시킨다. 그러나,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L, L')의 급격한 진동을 제어하지 않고 그대로 허용할 경우 제1,2자성체(120, 130)가 충돌해 파손될 수도 있으므로, 이동체(140)의 움직임에 대한 최소한의 제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벨트(100)는 통기로(142)와 가로막(143)과 브레이크(144)가 보강 구비된다.
참고로, 브레이크(144)는 마찰계수가 큰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되어서 해당 기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 고정체(110)와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수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3자성체(150)는 전자석이며, 이동체(140)의 상단에 고정 배치되고, 상면이 제2자성체(130)의 저면과 서로 대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자력선은 제3자성체(150)의 경사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제4자성체(160)는 전자석이며, 제3자성체(15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어되며, 제3자성체(150)와 마주하는 저면은 서로 나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자력선은 해당 경사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결국, 제3,4자성체(150, 160) 간의 척력 또한 방사형태를 이루고, 이를 통해 상기 척력은 고정체(110)를 중심으로 이동체(140)가 바깥으로 힘을 받도록 될 것이다.
전원부(180)는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의 동작을 위한 직류전원을 공급하며 제1 내지 제3자성체(120,130,150)는 제1전원부(18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제4자성체(160)는 제1전원부(181)와 제2전원부(182)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한다.
자성체 제어장치(190)는 제1자성체(1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1가변저항(191a)과, 제2자성체(13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2가변저항(191b)과, 제3자성체(15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3가변저항(191c)과, 제4자성체(160)에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4가변저항(191d)과, 전원부(180)와 제4가변저항(191d)사이에 연결되어 제4자성체(160)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스위치부(192)와, 고정체(110)의 외면과 이동체(140)의 내면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센서(193)와, 센서(193)로부터 측정된 이격거리를 입력받아 제1 내지 제4가변저항(191a,191b,191c,191d)의 저항값과 스위치부(192)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19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가변저항(191a,191b,191c,191d)은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와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저항값을 조절함으로 인해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함으로 인해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자력의 세기를 조절한다. 제1 내지 제4가변저항(191a,191b,191c,191d)의 저항값은 제어부(194)를 통해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L, L')이 설치되는 장소 및 환경 등에 의해 이동체(140)에 가해지는 외력의 영향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스위치부(192)는 제4자성체(160)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제4자성체(160)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한다. 평상시에 제4자성체(160)에는 제1전원부(18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3자성체(150)와 동일한 극성을 띄게 되어 서로 척력이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동체(140)의 갑작스런 하방이동의 경우 이동체(140)의 하방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순간적으로 제4자성체(16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1전원부(181)에서 제2전원부(182)로 바꾸어 제3자성체(150)와 제4자성체(160)간에 인력이 작용하게 한다. 상기의 경우 스위치부(192)는 제4자성체(160)와 제1전원부(181)와의 연결을 끊고 제2전원부(182)와 제4자성체(160)간을 연결한다. 따라서 이동체(140)의 갑작스런 하방이동을 브레이크(144)의 동작과 함께 저지하여 이동체(140)와 고정체(110)의 충돌을 방지하여 이동체(140)와 고정체(110)의 연결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센서(193)는 이동체(140)의 내면에 내설되어 이동체(140)의 내면과 고정체(110)의 외면과의 이격거리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제어부(194)로 전송한다. 센서(193)의 이격거리 측정주기는 이동체(140)의 하방이동이 발생할 경우 그 이동에 의해 이격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을 만큼 짧아야 할 것이다. 센서(193)는 고정체(110)의 외면에 내설되어 이동체(140)의 내면과 고정체(110)의 외면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94)는 센서(193)로부터 전송받은 이격거리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4가변저항(191a,191b,191c,191d)의 저항값을 조절한다. 이동체(140)에 외력이 가해져서 하방이동이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이동체(140)의 하방이동에 의해 이동체(140)의 내면과 고정체(110)의 외면과의 이격거리는 점점 가까워진다.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일정한 거리 이내로 들어오면 제어부(194)는 제4자성체(160)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으로 바꾸어 제3자성체(150)와 제4자성체(160)간에 인력이 작용하게 한다. 참고로, 제1,2자성체(120, 130) 간의 척력은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L, L'), 이동체(140), 제2,3자성체(130, 150) 등의 하중 등을 지탱해야 하므로, 제3,4자성체(150, 160)의 척력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제1,2자성체(120, 130)의 자력이 제3,4자성체(150, 160)의 자력보다 더 크도록 제어부(194)가 제1 내지 제4가변저항(191a,191b,191c,191d)의 저항값을 조절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2자성체(120, 130)에 의한 척력과 제3,4자성체(150, 160)에 의한 척력에 의해 이동체(140)는 상하로 완충되면서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L, L')을 고정 지지하며, 또한 이동체(140)의 급작스런 하방이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브레이크(144)와 의한 하방이동의 저지와 함께 제3자성체(150)과 제4자성체(160)간의 인력에 의해서도 이동체(140)의 하방이동을 저지함으로써,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L, L')와 절연애자와의 고정이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100; 절연애자 링커 110; 고정체 120; 제1자성체
130; 제2자성체 140; 이동체 144,144'; 완금
150; 제3자성체 160; 제4자성체 170; 헤드
180; 전원부 190; 자성체 제어장치

Claims (1)

  1. 내면이 전주(P)에 고정되고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고정체(110);
    상면이 측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서 고정체(110)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극성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전자석으로 된 제1자성체(120);
    저면이 제1자성체(120)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고정체(110)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되며, 하방에 위치한 제1자성체(12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전자석으로 된 제2자성체(130);
    내면이 고정체(110)의 경사진 외면과 나란하게 경사지고, 고정체(110)를 이격되게 감싸는 관 형상으로써, 하단에는 제2자성체(130)가 고정되고, 내면에는 통기로(142)의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에는 공기의 유입을 상기 입구로 안내하는 가로막(143)이 배치되며, 통기로(142)의 말단에는 공기의 유입을 통해 팽창하면서 고정체(110)에 밀착되도록 된 튜브 형태의 브레이크(144)가 형성된 이동체(140);
    상면이 제2자성체(130)의 저면과 대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고, 양극성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전자석으로 된 제3자성체(150);
    저면이 제3자성체(150)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하방에 위치한 제3자성체(150)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전자석으로 된 제4자성체(160);
    제4자성체(160)를 고정하고, 고정체(110)에 고정되는 헤드(170);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의 동작을 위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181)와, 제4자성체(160)에 제3자성체(150)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과 반대 극성의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부(182)로 구성된 전원부(180);
    제1자성체(1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1가변저항(191a)과, 제2자성체(13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2가변저항(191b)과, 제3자성체(150)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3가변저항(191c)과, 제4자성체(160)에제1전원(181) 대신 제2전원(182)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부(192), 고정체(110)의 외면과 이동체(140)의 내면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센서(193)와, 센서(193)로부터 측정된 이격거리를 입력받아 제1 내지 제4가변저항(191a,191b,191c,191d)의 저항값과 스위치부(192)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4자성체(120,130,150,160)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194)를 갖춘 자성체 제어장치(190);
    절연애자(I,I')와 이동체(110) 사이에 설치되어 절연애자(I,I')를 이동체에 고정하는 완금(141,14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
KR1020110046167A 2011-05-17 2011-05-17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 KR101113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167A KR101113102B1 (ko) 2011-05-17 2011-05-17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167A KR101113102B1 (ko) 2011-05-17 2011-05-17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102B1 true KR101113102B1 (ko) 2012-02-15

Family

ID=4584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167A KR101113102B1 (ko) 2011-05-17 2011-05-17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1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1828A (ja) * 1996-03-18 1997-10-03 Marui Sangyo Kk 鳥害等の防止器具
KR100809063B1 (ko) 2007-09-21 2008-03-03 (주)화신파워텍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0911237B1 (ko) 2008-12-23 2009-08-19 주식회사 이린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KR100940519B1 (ko) 2009-08-19 2010-02-10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송전선로 고정용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1828A (ja) * 1996-03-18 1997-10-03 Marui Sangyo Kk 鳥害等の防止器具
KR100809063B1 (ko) 2007-09-21 2008-03-03 (주)화신파워텍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0911237B1 (ko) 2008-12-23 2009-08-19 주식회사 이린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KR100940519B1 (ko) 2009-08-19 2010-02-10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송전선로 고정용 스페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369B1 (ko)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
KR100739328B1 (ko) 강체전차선 브래킷
KR101514020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전력 손실 감시 및 절감장치
CN105217394B (zh) 基于电流变化处理的电梯松断绳实时监测装置和方法
KR101782937B1 (ko) 가공 송배전 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KR102218220B1 (ko) 배전선로의 전력 감시 시스템
CN102471021A (zh) 抗建筑物摇摆电梯出轨检测系统
KR100933937B1 (ko) 특고압용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전플레이트
KR101113102B1 (ko)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링커
CN104280220B (zh) 一种光学检测平台
JP5714659B2 (ja) 事故点探査装置
KR100860978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1829000B1 (ko) 스터드 용접 장치
KR101104868B1 (ko) 변압기 인출형 변전라인의 배전 플레이트
KR100863059B1 (ko) 특고압 지중전선의 배전위치 고정프레임장치
KR101988731B1 (ko) 조명탑
KR200485095Y1 (ko) 하중 테스트 장치
KR101103822B1 (ko) 전주의 송배전선 고정용 완금 연결벨트
KR101131205B1 (ko) 절연기능을 향상시킨 특고압 전용라인 배전용 커넥터
CN102957359B (zh) 磁悬浮支撑结构
KR101730628B1 (ko) 무전선 제어형 배터리 충전기
JP2010205431A (ja) 昇降式照明装置
KR100933936B1 (ko) 가공배전선용 절연형 배전체
KR101869715B1 (ko)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CN209104052U (zh) 一种高压隔离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