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116B1 -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116B1
KR101131116B1 KR1020110062564A KR20110062564A KR101131116B1 KR 101131116 B1 KR101131116 B1 KR 101131116B1 KR 1020110062564 A KR1020110062564 A KR 1020110062564A KR 20110062564 A KR20110062564 A KR 20110062564A KR 101131116 B1 KR101131116 B1 KR 10113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temperature
unit
coupled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당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성테크
Priority to KR1020110062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7Arrangement of backflow preven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상부보호공의 하측에 밀폐원통부를 결합시키며, 지하수상부보호공 내부에 계량기와 모래여과기 및 수중방전살균수제조기를 설치 구성하여 검침 확인을 편리하게 수행하거나 여과된 지하수 혹은 살균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열선을 지하수상부보호공에 설치하여 온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구성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컨트롤할 수 있으며, 또한 밀폐원통부의 덮개에 수위측정구와 초음파수위측정구를 설치 구성하여 수위 측정시 밀폐원통부의 덮개를 오픈할 필요없이 손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밀폐원통부의 덮개에 자동공기변을 설치 구성하여 자동으로 밀폐원통부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지하수상부보호공의 하측에 밀폐원통부를 결합시키며, 지하수상부보호공 내부에 계량기와 모래여과기 및 수중방전살균수제조기를 설치 구성하여 검침 확인을 편리하게 수행하거나 여과된 지하수 혹은 살균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사용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열선을 지하수상부보호공에 설치하며 온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구성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파에도 지하수상부보호공에 구성된 계량기, 모래여과기, 수중방전살균수제조기, 압력계, 판체크밸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ubterranean water possible bursting by freezing and Sterilization.}
본 발명은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상부보호공의 하측에 밀폐원통부를 결합시키며, 지하수상부보호공 내부에 계량기와 모래여과기 및 수중방전살균수제조기를 설치 구성하여 검침 확인을 편리하게 수행하거나 여과된 지하수 혹은 살균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열선을 지하수상부보호공에 설치하여 온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구성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컨트롤할 수 있으며, 또한 밀폐원통부의 덮개에 수위측정구와 초음파수위측정구를 설치 구성하여 수위 측정시 밀폐원통부의 덮개를 오픈할 필요없이 손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밀폐원통부의 덮개에 자동공기변을 설치 구성하여 자동으로 밀폐원통부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해 개발비용이 적게 들고, 단기간의 시설공사로 안정된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물부족 국가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대부터 정부 주도 하에 지하수 개발 5개년 계획이 수립되면서 조사기술이 체계화되고, 각종 조사장비와 개발장비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1990년대에 들어 폐 관정을 통한 오수(汚水)의 유입으로 오염이 심각해지자 수질관리를 위한 다양한 시책들이 법으로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지하수 관련법 중에는 오염방지시설에 대한 세부 설치기준도 마련되어 있는데, 세부 설치기준에 따르면 지표하부 보호벽(케이싱)의 상부로부터 오염물질이나 지표수 등이 유입될 수 없게 덮개 구조물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 구조물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므로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좁은 밀폐장치 내부에 계량기를 설치하기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으며, 계량기의 설치 위치가 받침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형성하게 되어 이에 따른 하중이 가중되어 장기간 설치시 하중에 의해 계량기가 파손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의 유로는 토출관 하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상시 혹은 필요에 따라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과 지하수의 오염에 따른 공급 차단을 위해서는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의 덮개를 열고 내부에 위치한 공급차단밸브를 조작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조작상의 문제점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또한, 계량기를 공간이 협소한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검침 확인을 위해서는 계량기를 외부로 이격시킨 후 확인하거나 원격지에서 확인이 가능한 값비싼 디지털 계량기로 한정되어 설치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검침 확인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계량기의 종류와 무관하게 적용이 가능한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를 요구하게 되었다.
또한, 지하수의 경우 모래가 포함되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이를 여과할 필요가 있으며, 지하수의 오염이 갈수록 심해져 이를 정수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지하수의 수위를 측정하여야 하지만 밀폐장치의 특성상 수시로 검침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지 않아 수위 측정시 상당한 불편을 감수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수상부보호공의 하측에 밀폐원통부를 결합시키며, 지하수상부보호공 내부에 계량기와 모래여과기 및 수중방전살균수제조기를 설치 구성하여 검침 확인을 편리하게 수행하거나 여과된 지하수 혹은 살균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열선을 지하수상부보호공에 설치하며 온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구성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폐원통부의 덮개에 수위측정구와 초음파수위측정구를 설치 구성하여 수위 측정시 밀폐원통부의 덮개를 오픈할 필요없이 손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폐원통부의 덮개에 자동공기변을 설치 구성하여 자동으로 밀폐원통부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수상부보호공 내부에 계량기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계량기의 종류와 무관하게 적용이 가능한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송수관 하나로 구성되는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 대신에 삼방향밸브를 형성하여 삼방향밸브에 비상급수관 및 송수관을 연결시켜 지하수의 공급 방향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는,
수위측정구(111)와 초음파수위측정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자동공기변(113)이 설치 구성되는 상부덮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하수상부보호공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밀폐원통부(100)와;
지하수가 상승시 발생되는 내압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설치 구성되는 압상관(210)과,
상기 압상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판체크밸브에 결합되어 지하수에 포함된 모래를 여과시키기 위한 모래여과기(220)와,
상기 모래여과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계량기에 결합되어 모래여과기에 의해 여과된 지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판체크밸브(230)와,
상기 판체크밸브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압력계에 결합되어 있는 계량기(240)와,
상기 계량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삼방향밸브에 결합되어 있는 압력계(250)와,
상기 압력계에 결합되어 지하수를 비상급수관(600) 방향 혹은 송수관(700)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삼방향밸브(260)와,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2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수상부보호공(200)과;
설정된 온도 미만일 경우에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는,
지하수상부보호공의 하측에 밀폐원통부를 결합시키며, 지하수상부보호공 내부에 계량기와 모래여과기 및 수중방전살균수제조기를 설치 구성하여 검침 확인을 편리하게 수행하거나 여과된 지하수 혹은 살균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사용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열선을 지하수상부보호공에 설치하며 온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구성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파에도 지하수상부보호공에 구성된 계량기, 모래여과기, 수중방전살균수제조기, 압력계, 판체크밸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밀폐원통부의 덮개에 수위측정구와 초음파수위측정구를 설치 구성하여 수위 측정시 밀폐원통부의 덮개를 오픈할 필요없이 손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침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밀폐원통부의 덮개에 자동공기변을 설치 구성하여 자동으로 밀폐원통부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지하수상부보호공 내부에 계량기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계량기의 종류와 무관하게 적용이 가능한 확장성을 제공하는 더 나은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송수관 하나로 구성되는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 대신에 삼방향밸브를 형성하여 삼방향밸브에 비상급수관 및 송수관을 연결시켜 지하수의 공급 방향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의 상부덮개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의 컨트롤러 블록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는,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에 있어서,
수위측정구(111)와 초음파수위측정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자동공기변(113)이 설치 구성되는 상부덮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하수상부보호공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밀폐원통부(100)와;
지하수가 상승시 발생되는 내압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설치 구성되는 압상관(210)과,
상기 압상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판체크밸브에 결합되어 지하수에 포함된 모래를 여과시키기 위한 모래여과기(220)와,
상기 모래여과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계량기에 결합되어 모래여과기에 의해 여과된 지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판체크밸브(230)와,
상기 판체크밸브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압력계에 결합되어 있는 계량기(240)와,
상기 계량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삼방향밸브에 결합되어 있는 압력계(250)와,
상기 압력계에 결합되어 지하수를 비상급수관(600) 방향 혹은 송수관(700)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삼방향밸브(260)와,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2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수상부보호공(200)과;
설정된 온도 미만일 경우에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500)는,
주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10)와,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준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520)와,
온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온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30)와,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40)와,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온도비교부(550)와,
상기 온도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일 경우에 전원공급부에 전원 공급 신호를 송출하는 전원공급신호송출부(560)와,
상기 온도센서와, 온도설정부와, 메모리부와, 전원공급부와, 온도비교부와, 전원공급신호송출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5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압력계와 삼방향밸브 사이에 설치 구성되어 지하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 처리하는 수중방전살균수제조부(280)를 포함하여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양상에 따라 상기 압력계와 삼방향밸브 사이에 설치 구성되어 지하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 처리하는 수중방전살균수제조부(280)를 포함하여 설치 구성될 경우에, 컨트롤러에는 전원공급부에 전원 공급 신호를 송출하는 살균기전원공급신호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500)는,
지하수상부보호공의 외부로 노출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의 상부덮개부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는,
수위측정구(111)와 초음파수위측정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자동공기변(113)이 설치 구성되는 상부덮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하수상부보호공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밀폐원통부(100)와;
지하수가 상승시 발생되는 내압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설치 구성되는 압상관(210)과,
상기 압상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판체크밸브에 결합되어 지하수에 포함된 모래를 여과시키기 위한 모래여과기(220)와,
상기 모래여과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계량기에 결합되어 모래여과기에 의해 여과된 지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판체크밸브(230)와,
상기 판체크밸브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압력계에 결합되어 있는 계량기(240)와,
상기 계량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삼방향밸브에 결합되어 있는 압력계(250)와,
상기 압력계에 결합되어 지하수를 비상급수관(600) 방향 혹은 송수관(700)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삼방향밸브(260)와,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2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수상부보호공(200)과;
설정된 온도 미만일 경우에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밀폐원통부(100)는 지하수상부보호공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게 된다.
이때, 특징적인 것은 계량기가 밀폐원통부에 설치 구성되는 것이 아닌 지하수상부보호공에 설치 구성된다는 점이다.
이는 지하수상부보호공 내부에 계량기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 장치 내부에 집중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 및 계량기의 교체시 손쉬운 교체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부덮개부(110)에 수위측정구(111)와 초음파수위측정구(1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수위 측정시 밀폐원통부의 덮개를 오픈할 필요없이 손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침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평상시에는 측정하기 않기 때문에 별도의 보호캡(도면부호 미기재)를 설치 구성하게 된다.
수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위측정장치 혹은 초음파 수위측정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지자체마다 수위측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초음파 수위측정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거나 수위측정장치 및 초음파 측정장치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수위측정구와 초음파수위측정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위를 측정하는 이유는 지하수가 음용할 수 있는 높이까지 지하수가 존재하는지를 수시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부덮개부(110)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자동공기변(113)이 설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지하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공기가 밀폐원통부에 차게 되면 자동으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수상부보호공 이외에도 상기 밀폐원통부의 내부 둘레를 따라 열선(미도시)을 설치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종래에는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보온부재를 감싸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정된 온도 미만일 경우에 자동으로 열선이 동작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하수상부보호공(200)은,
지하수가 상승시 발생되는 내압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설치 구성되는 압상관(210)과,
상기 압상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판체크밸브에 결합되어 지하수에 포함된 모래를 여과시키기 위한 모래여과기(220)와,
상기 모래여과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계량기에 결합되어 모래여과기에 의해 여과된 지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판체크밸브(230)와,
상기 판체크밸브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압력계에 결합되어 있는 계량기(240)와,
상기 계량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삼방향밸브에 결합되어 있는 압력계(250)와,
상기 압력계에 결합되어 지하수를 비상급수관(600) 방향 혹은 송수관(700)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삼방향밸브(260)와,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2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 압상관(210)은 지하수가 상승시 발생되는 내압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수상부보호공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되어 진다.
다시 말하자면, 관정에서 끌어올려진 지하수가 수중모터를 지나 외부에 설치된 비상급수관으로 이송되는 중간부분에 위치되는 압상관은 지하수가 상승하며 발생되는 높은 내압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래여과기(220)는 압상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판체크밸브에 결합되어 지하수에 포함된 모래를 여과시키게 되는데, 지하수의 경우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혹시 지하수에 모래가 포함되어 있으면 음용시 불쾌감을 주게 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장치 외부에 별도의 여과장치를 구성하여 지하수를 여과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에는 별도의 여과장치 없이 본 발명 장치만으로도 여과가 가능하여 추가 설치 비용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판체크밸브(230)를 모래여과기의 일측에 결합하고, 타측을 계량기에 결합시켜 모래여과기에 의해 여과된 지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계량기(240)는 판체크밸브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압력계에 결합되어 있게 된다.
계량기를 지하수상부보호공에 설치 구성한 이유를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한, 압력계(250)를 계량기의 일측에 결합시키고, 타측에 삼방향밸브를 결합하여 구성하게 되어 지하수의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는 송수관의 압력을 체크하기 위하여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삼방향밸브(260)는 압력계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지하수를 비상급수관(600) 방향 혹은 송수관(700)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시키게 된다.
즉, 종래의 송수관 하나로 구성되는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 대신에 삼방향밸브를 형성하여 삼방향밸브에 비상급수관 및 송수관을 연결시켜 지하수의 공급 방향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삼방향밸브의 구조 및 동작 원리는 본 발명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등록특허번호 956188호인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또한, 지하수상부보호공의 내부 둘레를 따라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270)을 설치 구성하여 동파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열선과 컨트롤러를 연결하기 위한 컨넥터가 설치 구성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의 컨트롤러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500)는,
주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10)와,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준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520)와,
온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온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30)와,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40)와,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온도비교부(550)와,
상기 온도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일 경우에 전원공급부에 전원 공급 신호를 송출하는 전원공급신호송출부(560)와,
상기 온도센서와, 온도설정부와, 메모리부와, 전원공급부와, 온도비교부와, 전원공급신호송출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5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컨트롤러의 외부면에 관리자가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을 설치 구성하게 되며, 디스플레이패널에 형성된 온도설정 버튼이나 조작화면을 제공하게 되고 해당 버튼이나 조작화면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온도설정부(520)에서 기준온도를 설정하게 되고 중앙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 온도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온도센서에 의해 지속적으로 온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온도비교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기준 온도 미만이 되게 되면 중앙제어부에 비교값을 송출하게 되고 전원공급신호송출부에 전원 공급 신호를 송출하는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신호송출부에서는 전원 공급 신호를 전원공급부로 전송하여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열선에 공급하도록 하게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500)는 지하수상부보호공의 외부로 노출시켜 구성하게 되는데 이는 관리자가 수시로 온도 및 기준 온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조작상의 편리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 지하수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지하수상부보호공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에 현재 온도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압력계와 삼방향밸브 사이에 수중방전살균수제조부(280)를 설치 구성하게 되어 지하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 처리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에 가축 배설물에 의한 지하수 오염 및 각종 전염병으로 인하여 전국 각지역에 전염된 가축을 매몰시키게 되어 심각한 지하수 오염을 야기시키게 되었다.
이는 장기간에 걸쳐 지하수에 지속적으로 유입되게 되므로 이를 음용하는 국민들의 건강을 해치는 2차 원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상기와 같이 수중방전살균수제조부를 지하수상부보호공에 설치 구성하여 세균이나 박테리아를 단시간 내에 전기 분해를 이용하여 살균 처리한 살균수를 제조하게 된다.
즉, 상기한 전기분해 방식을 이용하는 이유는 별도의 살균장치를 외부에 설치 구성하여 이에 따른 설치 비용 증가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지하수를 2분 내지 3분 내로 살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고자 설치 구성한 것이다.
상기 수중방전살균수제조부는 전기를 공급받아 동작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컨트롤러에는 전원공급부에 전원 공급 신호를 송출하는 살균기전원공급신호송출부(미도시)를 부수적으로 설치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지하수상부보호공의 하측에 밀폐원통부를 결합시키며, 지하수상부보호공 내부에 계량기와 모래여과기 및 수중방전살균수제조기를 설치 구성하여 검침 확인을 편리하게 수행하거나 여과된 지하수 혹은 살균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사용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열선을 지하수상부보호공에 설치하며 온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구성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파에도 지하수상부보호공에 구성된 계량기, 모래여과기, 수중방전살균수제조기, 압력계, 판체크밸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밀폐원통부
110 : 상부덮개부
200 : 지하수상부보호공
210 : 압상관
220 : 모래여과기
230 : 판체크밸브
240 : 계량기
250 : 압력계
260 : 삼방향밸브
270 :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
500 : 컨트롤러
600 : 비상급수관
700 : 송수관

Claims (5)

  1.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에 있어서,
    수위측정구(111)와 초음파수위측정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자동공기변(113)이 설치 구성되는 상부덮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하수상부보호공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밀폐원통부(100)와;
    지하수가 상승시 발생되는 내압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설치 구성되는 압상관(210)과,
    상기 압상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판체크밸브에 결합되어 지하수에 포함된 모래를 여과시키기 위한 모래여과기(220)와,
    상기 모래여과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계량기에 결합되어 모래여과기에 의해 여과된 지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판체크밸브(230)와,
    상기 판체크밸브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압력계에 결합되어 있는 계량기(240)와,
    상기 계량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삼방향밸브에 결합되어 있는 압력계(250)와,
    상기 압력계에 결합되어 지하수를 비상급수관(600) 방향 혹은 송수관(700)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삼방향밸브(260)와,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2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하수상부보호공(200)과;
    설정된 온도 미만일 경우에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트롤러(500)는,
    주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10)와,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준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520)와,
    온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온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30)와,
    지하수상부보호공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40)와,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온도비교부(550)와,
    상기 온도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일 경우에 전원공급부에 전원 공급 신호를 송출하는 전원공급신호송출부(560)와,
    상기 온도센서와, 온도설정부와, 메모리부와, 전원공급부와, 온도비교부와, 전원공급신호송출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5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계와 삼방향밸브 사이에 설치 구성되어 지하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 처리하는 수중방전살균수제조부(280)를 포함하여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계와 삼방향밸브 사이에 설치 구성되어 지하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 처리하는 수중방전살균수제조부(280)를 포함하여 설치 구성될 경우에, 컨트롤러에는 전원공급부에 전원 공급 신호를 송출하는 살균기전원공급신호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500)는,
    지하수상부보호공의 외부로 노출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KR1020110062564A 2011-06-27 2011-06-27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KR10113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564A KR101131116B1 (ko) 2011-06-27 2011-06-27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564A KR101131116B1 (ko) 2011-06-27 2011-06-27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116B1 true KR101131116B1 (ko) 2012-04-03

Family

ID=4614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564A KR101131116B1 (ko) 2011-06-27 2011-06-27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1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015B1 (ko) * 2018-01-11 2018-08-31 주식회사 천지테크 지하수 관정 보호 장치
KR101961095B1 (ko) * 2018-06-22 2019-03-25 정옥균 지하수 상부 보호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1633A (ja) 2001-07-31 2003-02-13 Nippon Dennetsu Co Ltd 凍結防止装置
KR20070015473A (ko) * 2007-01-15 2007-02-02 조희남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0935518B1 (ko) 2009-05-19 2010-01-06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합성수지로 제작된 보호통을 결합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0977056B1 (ko) * 2010-05-04 2010-08-19 주식회사 화인시스템 지하수 오염 방지용 관정 보호와 지하수 소독 및 펌프 무선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1633A (ja) 2001-07-31 2003-02-13 Nippon Dennetsu Co Ltd 凍結防止装置
KR20070015473A (ko) * 2007-01-15 2007-02-02 조희남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0935518B1 (ko) 2009-05-19 2010-01-06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합성수지로 제작된 보호통을 결합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0977056B1 (ko) * 2010-05-04 2010-08-19 주식회사 화인시스템 지하수 오염 방지용 관정 보호와 지하수 소독 및 펌프 무선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015B1 (ko) * 2018-01-11 2018-08-31 주식회사 천지테크 지하수 관정 보호 장치
KR101961095B1 (ko) * 2018-06-22 2019-03-25 정옥균 지하수 상부 보호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3311B2 (en) Toilet bowl water steriliz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ES2655274T3 (es) Instalación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la calidad del agua en una red de agua potable
CN105125079B (zh) 一种安全可靠的直饮水机
KR101586650B1 (ko) 오염 감시용 채수시스템
NL2017519B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fluid flow monitoring.
PL220123B1 (pl) Dystrybutor wody do programowalnego uzdatniania wody
CN103759408A (zh) 带有水垢检测、报警和自动清洗功能的电热水器
ES2612279T3 (es) Comprobación de filtro de una instalación de tratamiento de agua
CN203687336U (zh) 带有水垢检测、报警和自动清洗功能的电热水器
AU2018254200A1 (en) Swimming pool water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101131116B1 (ko)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KR101608959B1 (ko) 소규모급수시설의 통합관리시스템
CN104168762A (zh) 模块结合式宠物用排便器清扫装置
KR20110068071A (ko)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CN108285232B (zh) 一种具有杀菌过滤功能的安保过滤器
JP6681868B2 (ja) 緊急時浄水器作動装置および緊急時浄水製造方法
CN205107351U (zh) 一种防止缺水干烧的直饮水机
GB2497140A (en) Boiler condensate drain monitoring apparatus
CN205109177U (zh) 水流通道堵塞检测装置、具有滤芯堵塞提醒的直饮水机
CN205107358U (zh) 一种具有远程报警功能的直饮水机
CN205107352U (zh) 一种具有滤芯更换提醒功能的直饮水机
US20190390450A1 (en) Toilet with heated water cleaning system
CN104787957A (zh) 一种带可清洗式滤芯的免安装便携式即热纯水机
CN205803217U (zh) 免安装即热纯水机
CN205144316U (zh) 一种具有语音报警的直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