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473A -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 Google Patents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473A
KR20070015473A KR1020070004172A KR20070004172A KR20070015473A KR 20070015473 A KR20070015473 A KR 20070015473A KR 1020070004172 A KR1020070004172 A KR 1020070004172A KR 20070004172 A KR20070004172 A KR 20070004172A KR 20070015473 A KR20070015473 A KR 20070015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ank
pipe
sealed
groundwater
intern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027B1 (ko
Inventor
조희남
Original Assignee
조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남 filed Critical 조희남
Priority to KR1020070004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02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5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수 심정에 설치한 케이싱에 연결한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 케이싱의 상단에 양수관과 결합하여 설치된 휠터탱크를 설치하고 급수관을 휠터탱크와 직각방향으로 연결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양수파이프와 연결되는 양수관에 휠터탱크를 연결설치하고 양수파이프를 감싸며 삽입되는 유도관을 형성한 휠터내통을 휠터탱크에 내장하고 여과망을 설치하였다. 지하수 중에 포함되어 올라온 슬라임모래는 여과망에 걸려져 하부에 쌓이게 되고 적정 이상 쌓이게 되면 심정펌프와 양수파이프의 인양 과정없이도 탱크덮개만을 개방하여 휠터내통을 분리하여 슬라임모래를 제거 청소하고 다시금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휠터탱크와 급수관을 편심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된 여유 공간에 약주펌프까지 내장하여 구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휠터탱크. 휠터내통, 급수관, 포켓관, 약주펌프, 중판덮개, 맨홀연장관

Description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를 표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주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식 상부보호공 중판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휠터탱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식 상부보호공 중판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중판덮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휠터내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휠터내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내장형 첵크밸브를 설치한 휠터탱크의 일부 절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휠터탱크삽입케이싱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러 설치상태를 표헌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약주펌프 설치상태를 표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하수 심정 2: 심정펌프 3: 지하수 4: 양수파이프
7: 밀폐식 상부보호공 8: 덮개 9: 휠터탱크 10: 여과망 11: 지지스프링
16: 양수관 18: 슬라임모래 20: 수량계 23: 포켓관 24: 급수관
25: 약품흡입관 26: 약주펌프 28: 약품공급관 30: 공기호흡관
32: 채수밸브 33: 중판하부후렌지 39: 걸림턱 43: 디지털 표식창
55: 확관부 59:유도관 63: 공기호흡관유도관 64: 케이블유도관
66: 탱크덮개 67: 급수관 곡관 68: 통과공 77: 휠터내통
90: 가이드레일 91: 설치브라켓 92: 슬라이딩바
본 발명은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수 심정에 설치한 케이싱에 연결한 밀폐식 상부보호공과;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서 양수관 상부에 결합하여 설치된 휠터탱크와;
휠터탱크와 연결 결합한 급수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 것이다.
지하수 심정은 통상 지표층 아래 암반부분을 굴착하여 암반대수층의 지하수 를 지하수용 심정펌프를 지하수 심정 내부에 설치하여 지하수를 양수하여 사용하여 오고 있다. 지하수 심정은 대체적으로 풍화암이나 연암층등에 형성된 파쇄 절리층에 흐르고 있는 지하수가 지하수 심정 내부로 흘러 들어와 이를 펌핑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처럼 지하수가 파쇄 절리층에서 유입되면서 모래나 점토성분들이 지하수 심정 내부로 흘러 들어와 지하수 심정 바닥에 쌓이게 되어 슬라임이 된다. 또한, 일부 지하수 심정은 굴착된 공벽으로부터 박리된 암석 가루가 지하수 심정 바닥에 쌓임으로서 스라임을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장기간 지하수 심정을 사용 유지하게 되면 부유물질이나 이물질들이 지하수 심정의 굴착 공벽에 엉겨붙게 되고 이러한 현상은 지하수 심정 펌프의 가동에 따른 지하수의 수위 변동에 따라 수위가 변화되는 전 구간 깊이에 엉겨붙는 현상은 발생하게 된다. 일부 지하수 심정의 굴착공벽이나 내부에 삽입 설치된 내부 우물자재에 이끼류가 형성되고 이들로부터 박리된 이물질들이 지하수 심정 바닥에 쌓여 슬라임을 형성하기도 한다. 극히 일부이긴 하나 귀뚜라미가 다량 서식하면서 이들의 사체로 인해 침전물이 형성되어 슬라임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들 슬라임은 모두 지하수 심정 내부를 오염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지하수의 수질을 변질 오염시켜 위생적인 지하수 심정의 유지관리가 어렵게 하였다. 더욱이 지하수를 양수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슬라임이나 모래들이 양수되는 지하수와 함께 양수되어 급수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특히 수량계를 거치면서 수량계의 구동부품들에 슬라임모래가 끼이게 되면 수량계의 구동을 멈추게 하여 양수되는 수량의 계측이 불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수량계의 회전에 따른 전기신호에 따라 약주펌프 의 구동량을 결정하게 되는 약주펌프 시스템에서는 통과수량이 작은 것으로 콘트롤러의 연산장치에서 연산되어 결과적으로 적정 약품 농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세균의 번식을 사멸억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수량계 전단에는 여과망이 내장된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게 되는데 급수관에 직접 설치되는 수량계는 연결배관의 직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그 규모가 대체적으로 작을 수 밖에 없었다. 또한, 특히 슬라임모래가 지하수와 함께 다량 양수될 수 밖에 없는 지하수시설에서는 스트레이너가 대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적합할 것인데도 반드시 설치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있을 경우에는 시설물중 하나인 맨홀의 설치규격으로 인해 별도의 정수처리장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근래 지하수법의 개정에 따른 밀폐식 상부보호공이 설치 운용되어지게 되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제작 특성상 그 크기가 최소화하는 경향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 크기를 최소화 하면서도 그 내부에 스트레이너와 수량계, 첵크밸브, 게이트밸브 및 수시로 시행되는 수질검사를 위한 채수밸브의 설치까지를 요구하는 사례가 빈번해 지고 있다. 그러나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크기를 설치와 운용적인 면에서 작게 가져가면서 이러한 모든 시설물을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 내장한다는 것은 아주 힘든 일이었으며 더욱이 물탱크 살균 소독을 위한 약주펌프까지를 내장한다는 것은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중의 하나였다. 이러한 여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은 특허출원 제10-2005-0076696호(특허명칭: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를 발명하여 타원체의 공간에 포켓관을 형성하 여 비교적 작은 몸체의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 수량계를 포함한 일부의 밸브시설물을 설치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발명을 통해서도 약주펌프나 스트레이너를 함께 내장시킨다는 것은 그 크기를 아주 크게 하지 않는다면 불가능하게 여겨지는 심각한 문제였다. 한편,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히 크게 제작하게 되는 경우 설치부지의 과다 소요는 물론이거니어와 제작과 운반 및 설치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장비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장치의 고가화는 물론 설치운용비 역시 상승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 여과망이 내장되어 스트레이너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휠터탱크의 내장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첵크밸브와 수량계, 케이트밸브, 채수밸브를 모두 설치하고도 약주펌프의 설치공간까지 확보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게 됨으로써 크기가 최소화하는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임에도 불구하고 초기 설치시는 물론이거니와 밸브시설물의 교체나 보수 보전을 위한 충분한 서비스 공간 확보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수 심정에 설치한 케이싱에 연결한 밀폐식 상부보호공과;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서 양수관 상부에 결합하여 설치된 휠터탱크와;
휠터탱크와 연결 결합한 급수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휠터탱크는 양수관을 휠터탱크 내부까지 설치하고 휠터탱크 내부에 여과망이 내장된 휠터내통을 삽입설치하고 지하수가 여과망을 통과하여 급수관에 유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휠터탱크와 연결결합된 급수관은 밀폐식 상부보호공 벽체 쪽으로 편향되도록 곡관을 사용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휠터탱크와 연결결합된 급수관은 밀폐식 상부보호공 벽체 쪽으로 편향되도록 휠터탱크의 측면으로부터 인출한 급수관 연결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휠터탱크는 수위측정관 유도관과 케이블보호관이 통과되도록 통과공을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의 편심된 위치에는 수량계로부터 전기신호를 받아 구동되도록 약주펌프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된 수량계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디지털로 표식된 적산수량이 시그먼트로제작되고 밀폐식 상부보호공을 관통하여 설치된 디지털 표식창에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상부에는 중판덮개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중판덮개에 관리용 맨홀연장관과 덮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밀폐식 상부보호공에는 휠터탱크를 케이싱 연결관 또는 확관부로 구성 된 휠터탱크삽입케이싱에 내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휠터탱크에는 채수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서 양수관과 휠터탱크를 통과하여 연결결합된 급수관은 "┌" 형태로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발명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에 대해 표현한 단면도이다.
밀폐식 상부보호공(7)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1)은 심정펌프(2)를 양수파이프(4)를 연결하여 지하수(1)를 양수하기 위하여 지하수 심정(1) 내부로 설치하게 된 다. 지하수 심정(1)은 심정펌프(2)와 양수파이프(4)외에 지하수(3)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심정펌프(3) 바로 상단에서 시작하여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까지 인출한 직경 25㎜의 공기호흡관(81)과 심정펌프(2)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케이블(5)이 설치되며 이외 심정펌프(2)가 지하수(3)의 수위에 따라 기동과 정지될 수 있도록 수위검출케이블이 동력케이블(5)과 함께 지하수 심정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기본 외형은 특허출원 제10-2005-0076696호(특허명칭: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을 참조하였으나 원형이나 직사각형, 타원형등 여러 형태로 변형되어 제작 설치될 수 있음을 밝힌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표현한 단면도로서,
밀폐식 상부호공(7)의 외형은 케이싱(6)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부후렌지(56)를 하부에 형성하고 있으며 급수관(24)은 밀폐식 상부보호공(7) 측면에 형성한 포켓관(23)의 중심을 따라 하부로 인출되도록 하였다. 또한, 밀폐식 상부보호공(7)에 설치한 포켓관(23)은 밀폐식 상부보호공(7)의 중심에서 한 측면으로 편심되도록 구성하도록 하여 밀폐식 상부보호공(7) 내부의 중심선상에서 한 편이 여유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수량계(20)로부터 전기신호를 받아 구동되도록 제작 구성된 약주펌프(26)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밀폐식 상부보호공(7) 상부는 상판(60)을 측면판에 용접하여 형성하고 상판(60)을 절단하여 내부 공간에서 작업이 용이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한 다음 중판하부후렌지(33)를 부착하였다. 물론, 외형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상판(60)을 구성하지 않아 절단할 필요 없이 밀폐식 상부보호공(7)의 측면판에 직접 중판하 부후렌지(33)를 부착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중판하부후렌지(33)는 별도 가공품이거나 상판 몸체에 체결볼트(31a)가 통과되어 너트에 결합될 수 있는 홀을 가공하고 너트를 이홀 바로 아래 용접고정하거나 중판덮개(61)를 나사 결합 또는 리벳팅 결합을 통해 결합고정 되도록 하였다. 물론,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중판덮개(61)와 중판하부후렌지(33)사이에는 고무팩킹등 팩킹재를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중판덮개(61)는 사람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으로 맨홀을 구성하고 맨홀연장관(52)을 부착하였다. 맨홀 연장관(52) 상단은 맨홀하부후렌지(83)를 부착한 후 체결볼트(31)를 사용하여 덮개(8)를 덮어 차폐고정하도록 하였다. 물론,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맨홀하부후렌지(83)와 덮개(8)사이에는 고무팩킹등 팩킹재를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설치깊이가 얕을 수 밖에 없는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맨홀 연장관(52) 구성없이 바로 중판덮개(61)에 덮개(8)를 덮어 차폐고정하도록 한다.
맨홀연장관(52)을 관통하거나 포켓관(23)을 관통하여 공기호흡관(30)을 연결결합하고 부력밸브(70)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3) 양수 중 지하수 심정(1) 내부의 수위 강하로 인한 부압현상을 방지하도로록 하였다.
밀폐식 상부보호공(7)의 케이싱 연결관(54) 상부에는 밀폐식 상부보호공(7) 바닥에 이르기까지 케이싱 연결관(54)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한 확관부(55)를 형성하였다. 확관부(55)에는 휠터탱크(9)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였다.
물론, 케이싱 연결관(54) 내부에 휠터탱크(9)를 삽입설치하고 휠터탱크(9)에 걸림링을 형성하여 케이싱 연결관(54) 내부에 휠터탱크(9)가 삽입되는 깊이가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휠터탱크(9)가 삽입되는 케이싱 연결관(54)이나 확관부(55)를 통칭하여 휠터탱크삽입케이싱(79)라 한다. 즉, 확관부(55)와 케이싱 연결관(54)이 함께 구성되어 있거나 휠터탱크(55)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휠터탱크(55)의 삽입설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케이싱 연결관(54)만의 구성이라 할지라도 이들 각각에 대해 모두 휠터탱크삽입케이싱(79)이라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휠터탱크(9)는 양수관(16)을 휠터탱크(9) 내부까지 이르도록 삽입설치하고 휠터탱크(9) 내부에 여과망이 내장된 휠터내통(77)을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양수관(16) 하부에는 양수파이프(4)와 연결될 수 있도록 양수관후렌지(15)나 나사소켓을 부착하도록 한다. 휠터탱크(9)는 상부에 탱크덮개(66)를 결합볼트(36)를 사용하여 단단히 결합고정하였다.
탱크덮개(66)에는 휠터탱크(9) 내부와 관통되도록 하여 결합된 채수밸브(32)를 설치하였다. 물론, 채수밸브(32)는 휠터탱크(9) 몸체 외주면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탱크덮개(66)에 설치된 인양고리(42)는 심정펌프(2)와 양수파이프(4)를 인양하는 경우 보조적인 인양고리로 사용하거나 휠터내통(77)을 청소하기 위해 탱크덮개(66)를 개방하는 데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휠터탱크(9)의 상단에는 지하수(3)가 지하수가 휠터내통(77)에 설치된 여과망(10)을 통과하여 급수관(24)에 연결 유입될 수 있도록 급수관연결구(48)를 설치하였다.
특히, 여과망(10)은 그 상단에 지지스프링(11)을 설치하여 탱크덮개(66)를 덮어 고정할 때 지지스프링(11)에 의해 걸림턱(39)(,39a)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물 론, 지지스프링(11)이 탱크덮개(66)를 덮어 고정하는 과정에서 구브러지는 등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로 제작되도록 하며 여과망(10) 하단에 보강재를 덧대거나 할 수 있다. 물론, 여과망(10)의 형태는 깔데기 형태나 버킷형태, 또는 평판 형태등 여러 형태를 고안할 수 있으며 지하수(3)의 통과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주름을 형성하는 것도 좋다 할 것이다. 휠터내통(77)은 바닥판(40)의 중앙에 유도관용 홀(65)을 가공하여 이곳에 유도관(59)을 고정하였다. 휠터탱크(9)의 내부에 까지 인입되어 설치된 양수관(16)은 휠터내통(77)의 유도관(59)에 삽입되어 안정된 자리에 세팅되어지게 된다. 휠터탱크(9)의 상단부에서 인출된 급수관 연결구(48)는 밀폐식 상부보호공(7) 벽체 쪽으로 편향되도록 급수관(24) 밸브계통이 설치될 수 있도록휠터탱크(9)의 상단측면에 연결되도록 하고 그 각도를 크게 하게 위해 45도 엘보우등 곡관부(67)를 적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휠터탱크(9)와 연결된 양수관(16)과 급수관(24)의 연결은 "┌"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곡관부(67)와 결합되거나 일체화로 제작된 급수관연결구(48)는 첵크밸브(19)와 수량계(20)로 이어지는 급수관(24) 계통과의 원활한 결합을 위해 주름관(51)을 사용할 수 있다. 장치구성 상 스텐레스등 강재 배관은 약간의 중심이 맞지 않아도 나사결합이 어려워 지게 되는데 주름관(51)을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불편이 해소될 수 있는 여지가 높다 하겠다. 또한, 휠터탱크(9)와 급수관과의 결합을 나사결합 대신에 본 발명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6-0133582호(특허출원명칭:나사조임요크를 이용한 토출구 결합장치)를 적용한 나사조임요크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또한, 나사조임요크는 비좁고 깊은 밀폐식 상부보호공(7) 내부에서의 급수관(24) 계통의 결합을 손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휠터탱크(9)와의 결합부위와 포켓관(23)으로 인입하기 직전 연결부위에 함께 적용하여 조립과 분해시 먼저 포켓관(23)으로 인입하기 직전 연결부위를 조립 또는 분해 경우에는 첵크밸브(19), 수량계(20)와 게이트밸브(21), 약품주입티(22)를 모두 조립한 이후 이들을 함께 조입 또는 분해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간편성이 높아지고 이어서 휠터탱크(9) 부위를 조립 또는 분해하면 되어 작업의 간편성을 높힐 수 있다.
또한, 휠터탱크(9)는 수위측정관 유도관(63)과 케이블보호관(64)이 통과되도록 통과공(68),(68a)을 구성되도록 하였다. 통과공(68),(68a)은 휠터탱크(9)를 직사각형으로 하여 원통형태로 구성된 확관부(55)나 케이싱연결관(54)과의 틈새공간을 확보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아예 휠터탱크(9)와 휠터내통(77)을 원통형으로 제작하고 유도관(59)외에 별도의 공기호흡관 유도관(63)과 케이블보호관(64)을 휠터탱크(9)와 휠터내통(77)을 관통하여 구성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탱크덮개(66)의 구조는 공기호흡관 유도관(63)과 케이블보호관(64)이 통과되는 홀을 가공하여 설치되어야 할 것이며 공기호흡관 유도관(63)과 케이블보호관(64)이 지하수(3)가 통수되고 있는 휠터탱크(9) 내부와는 밀폐성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급수관(24)에 설치된 첵크밸브(19)는 양수관(16) 하부에 설치하거나 휠터탱크(9)에 내장하여 내장형 첵크밸브(73)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밀폐식 상부보호공(7) 내부의 편심된 위치에는 수량계(20)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량계신호선(47)을 통해 받아 콘트롤러(46)의 연산에 의해 구동되도록 약주펌프(26)를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약주펌프(26)와 콘트롤러(46)는 각각 밀폐식 상부보호공(7) 내주면(98)에 두 줄의 가이드레일(90),(90a)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90)(90a)에 약주펌프(26)와 콘트롤러(46)에 고정한 설치브라켓(91)에 형성한 4점의 슬라이딩바(92)를 고정하여 이를 가이드레일(90),(90a)에 삽입하여 밀폐식 상부보호공(7)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였다. 물론 4점의 슬라이딩바(92)는 일반 롤러형식이나 하나의 막대바 또는 평판 형태로도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설치된 약주펌프(26)는 콘트롤러(46)의 연산장치에 의해 연산된 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약주펌프동력선(45)을 통해 전원을 받아 구동되어진다. 약주펌프(26)에 의해 흡입되어지는 소독약품은 밀폐식 상부보호공 주변의 지하에 매설된 탱크로부터 연결된 약품흡입관(25)을 통해 공급되어지며 약품공급관(28)을 통해 직접 급수관(24)에 설치된 약품주입티(22)에 연결되어 주입되어진다. 수량계(2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디지털로 표식된 적산수량이 시그먼트로제작되고 밀폐식 상부보호공(7)을 관통하여 설치된 디지털 표식창(43)에 표시되도록 하였다. 한편, 동절기 내부 시설물은 지표면 아래 매설되어 있고 또한 지하수 심정(1) 내부의 지열로 인해 동결온도 이하로 내려가기는 쉽지 않으나 혹한 상황을 대비하여 내부는 폴리우레탄제재로된 보온재를 부착하여 보온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인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는,
지하수 심정(1) 내부에 설치된 심정펌프(2)의 가동으로 지하수(3)가 양수되 어지면 양수관(16)을 통해 유입된 지하수(3)는 휠터탱크(9)내부에 설치된 휠터내통(77)의 여과망(10)에 의해 스라임모래(18)가 걸러져 휠터내통(77)의 바닥에 쌓이게 된다. 슬라임모래(18)가 걸러진 지하수(3)는 내장형 첵크밸브(73) 또는 첵크밸브(19)를 거쳐 수량계(2)에 걸림현상등 이상없이 통과하면서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콘트롤러(46)에 전송하게 된다. 신호를 수신한 콘트롤러(46)의 연산장치는 연산에 의해 적정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약주펌프(26)의 가동을 위한 전원을 일정시간 공급하게 되고 흡입된 소독약품은 급수관에 직접 주입되어 진다. 수량계(20)에 의해 계측된 적산 수량은 밀폐식 상부보호공 측면에 몸통을 관통하여 설치된 디지털 표식창(43)을 통해 덮개(8)를 열지 않고서도 계량수치를 검침할 수 있게 된다.
본 제품에 대해 공장 출하시는 휠터탱크(9)와 수량계(20), 그리고 게이트밸브(21)가 모두 장착되고 또한 옵션에 의해 약주펌프(26)와 콘트롤러(46)까지 모두 장착되어 공급 설치되어지게 되어 중판덮개(61)가 결합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게 되나 운전 유지과정에서 시설의 보수나 교체시에는 중판덮개(61)를 체결볼트(31a)를 풀어 상판(60)에서 분리하여 개구부를 확보하여 자유롭게 작업자가 작업공구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작업에 입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약주펌프(26)와 콘트롤러(46)는 설치브라켓(91)에 기 설치한 고리(94)를 이용하여 잡아 당기면 가이드레일(90)(90a)을 따라 지상까지 끌어 올려질 수 있게 되고 지상에서 뚜껑을 열거나 장치의 보전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지하수 심정(1)의 심정펌프(20와 양수파이프(4)의 인양이나, 수위측정관을 통한 수위측정, 또는 채수밸브(32) 조작을 통한 수질검사용 시험용 지하수 채 수 및 간단한 내부 점검을 위한 경우에는 사람 몸체가 들어갈 정도로 제작되어 설치된 덮개(8)만을 개방하면 되도록 편리성을 높혔다.
결과적으로, 제한된 크기의 밀폐식 상부보호공(7) 내부의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9)를 설치하고 휠터탱크(9) 내부에 내장형 첵크밸브(73)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작은 크기의 밀폐식 상부보호공(7) 내부에서의 급수관(24)에 소요되는 필수 장치들의 구성을 마무리 할 수 있는 결과를 갖게 된 되는 효과가 발현됨은 물론 확보된 공간에 약주펌프까지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에 의하면,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 휠터탱크의 내장이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밸브시설물의 교체나 보수를 위해서는 중판덮개를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됨으로써 기존 발명인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와 함게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될 경우 최소한의 외장크기의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 지하수 유지관리를 위한 제반 시설물의 설치와 운용 유지보전이 가능하게 되어 지하수 심정의 오염방지 효과는 물론이거니와 유지관리의 편의성이 확연히 발전된 아주 유용하고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21)

  1.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에 있어서,
    지하수 심정에 설치한 케이싱에 연결한 밀폐식 상부보호공과;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서 양수관 상부에 결합하여 설치된 휠터탱크와;
    휠터탱크와 연결 결합한 급수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휠터탱크는 양수관을 휠터탱크 내부까지 설치하고 휠터탱크 내부에 여과망이 내장된 휠터내통을 삽입설치하고 지하수가 여과망을 통과하여 급수관에 유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여과망은 그 상단에 지지스프링을 설치하여 탱크덮개를 덮어 고정할 때 지지스프링에 의해 걸림턱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휠터탱크와 연결결합된 급수관은 밀폐식 상부보호공 벽체 쪽으로 편향되도록 곡관을 사용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휠터탱크와 연결결합된 급수관은 밀폐식 상부보호공 벽체 쪽으로 편향되도록 휠터탱크의 측면으로부터 인출한 급수관 연결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휠터탱크는 수위측정관 유도관과 케이블보호관이 통과되도록 통과공을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휠터탱크 내부에는 내장형 첵크밸브를 설치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의 편심된 위치에는 수량계로부터 전기신호를 받아 구동되도록 약주펌프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설치되는 약주펌프는 내주면에 두줄의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에 약주펌프와 고정한 설치브라켓에 형성한 슬라이딩바를 고정하여 이를 가이드레일에 삽입하여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된 수량계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디지털로 표식된 적산수량이 시그먼트로제작되고 밀폐식 상부보호공을 관통하여 설치된 디지털 표식창에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 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중판덮개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중판덮개에 관리용 덮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에는 지하수의 양수과정에서 지하수위강하에 따라 생성되는 부압을 방지하기 위해 부력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에는 휠터탱크를 삽입 내장할 수 있도록 휠터탱크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휠터탱크삽입케이싱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휠터탱크에는 채수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서 양수관과 휠터탱크를 통과하여 연결 결합된 급수관은 "┌" 형태로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그 내면에 보온재를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그 내면에 부착된 보온재는 폴리우레탄 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은 외주면에 포켓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급수관을 내장하여 외부로 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1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설치한 포켓관은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중심에서 한 측면으로 편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휠터탱크와 연결 결합한 급수관은 나사조임요크를 사용하여 휠터탱크와의 결합부위와 포켓관으로 인입하기 직전 연결부위에 함께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21.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주면에는 두줄의 가이드레일을 치하고 이 가이드레일에 콘트롤러에 고정한 설치브라켓에 형성한 슬라이딩바를 고정하여 이를 가이드레일에 삽입하여 밀폐식 상부보호공 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20070004172A 2007-01-15 2007-01-15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0833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172A KR100833027B1 (ko) 2007-01-15 2007-01-15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172A KR100833027B1 (ko) 2007-01-15 2007-01-15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473A true KR20070015473A (ko) 2007-02-02
KR100833027B1 KR100833027B1 (ko) 2008-05-27

Family

ID=3808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172A KR100833027B1 (ko) 2007-01-15 2007-01-15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0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95B1 (ko) * 2007-04-03 2008-01-03 이동헌 수밀성이 향상된 수도미터기 일체형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KR100937578B1 (ko) * 2009-06-01 2010-01-20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수위측정관용 유도 포켓관을 케이싱 외주부에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1131116B1 (ko) * 2011-06-27 2012-04-03 주식회사 화성테크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KR102032660B1 (ko) 2018-12-26 2019-10-15 김동윤 지하수 관정설비의 배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651B1 (ko) 2019-04-10 2021-03-05 조희남 지하수 및 지열용 상부 보호공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1055U (ko) 1979-07-23 1981-02-24
JPH0123589Y2 (ko) 1985-08-23 1989-07-19
US4715439A (en) 1987-03-03 1987-12-29 Fleming Roy E Well cap
JPH0621567Y2 (ja) * 1990-11-30 1994-06-08 悟 中山 汲上式井戸水の砂取り装置付圧力水槽タンク
DE4218255A1 (de) 1992-06-03 1993-12-09 Ieg Ind Engineering Gmbh Verfahren zum Ausspülen von im Erdreich vorhandenen Verunreinigungen
KR100519582B1 (ko) 2005-07-06 2005-10-06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시료수 채수장치
KR100828009B1 (ko) * 2005-07-08 2008-05-13 심재수 상향식 막 분리형 여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95B1 (ko) * 2007-04-03 2008-01-03 이동헌 수밀성이 향상된 수도미터기 일체형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KR100937578B1 (ko) * 2009-06-01 2010-01-20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수위측정관용 유도 포켓관을 케이싱 외주부에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1131116B1 (ko) * 2011-06-27 2012-04-03 주식회사 화성테크 동파 방지 및 수중방전 살균 처리가 가능한 지하수 상부 보호장치
KR102032660B1 (ko) 2018-12-26 2019-10-15 김동윤 지하수 관정설비의 배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027B1 (ko) 2008-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027B1 (ko)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0981985B1 (ko)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KR101063950B1 (ko)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된 지하수계량기 및 수압계 동파방지장치
KR100902278B1 (ko)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KR200473856Y1 (ko)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KR100299417B1 (ko) 지하수심도구간별채수장치및채수방법
KR100935518B1 (ko) 합성수지로 제작된 보호통을 결합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200388001Y1 (ko) 케이블 교체설치가 가능한 밀폐형 상부보호공 장치.
KR100789695B1 (ko) 수밀성이 향상된 수도미터기 일체형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KR20100104443A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관정 보호장치
KR200430453Y1 (ko) 지하수관정공 오염방지장치
KR200388000Y1 (ko) 전기신호를 이용한 수도계량기를 내장한 지하수 심정밀폐형 상부보호공 장치.
KR100371520B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KR100937578B1 (ko) 수위측정관용 유도 포켓관을 케이싱 외주부에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CN206538815U (zh) 一体化水泵站装置
KR100621149B1 (ko) 수중 모터펌프의 설치공법
KR200195920Y1 (ko) 지하수 심정차폐장치
KR102072114B1 (ko) 수질관측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0640143B1 (ko) 관정 시설물 보호장치
KR200400667Y1 (ko)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
KR100975348B1 (ko) 지하수 정호 덮개장치
KR100993838B1 (ko) 내부 청소가 가능한 밀폐식 관정 상부 보호 장치
CN205296343U (zh) 一种应用于车间的排污装置
KR200329458Y1 (ko) 다수개의 급수배관 연결구를 갖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CN206706959U (zh) 一种一体化预制阀门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