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478B1 - 신발의 창 - Google Patents

신발의 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478B1
KR101130478B1 KR1020100015238A KR20100015238A KR101130478B1 KR 101130478 B1 KR101130478 B1 KR 101130478B1 KR 1020100015238 A KR1020100015238 A KR 1020100015238A KR 20100015238 A KR20100015238 A KR 20100015238A KR 101130478 B1 KR101130478 B1 KR 101130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hoe
foot
calcaneus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650A (ko
Inventor
박관호
버크 로버트
너트 필립
신두석
Original Assignee
신두석
박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두석, 박관호 filed Critical 신두석
Priority to KR102010001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4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joint between the fifth phalange and the fifth metatarsal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19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engaging the ground direct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창에 관한 것으로, 일측은 발의 바닥이 위치하고 타측은 지면(地面)과 맞닿으며,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 구조체와 구조체의 바깥쪽 옆면에 돌출되는 외측보조부재, 구조체의 안쪽 옆면에 돌출되는 내측보조부재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의 초기 내전율을 감소시켜 지나친 내전현상을 방지해주는 것이 가능하고, 보행 시 내전운동이 극대화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발의 거골하관절(subtalar joint)의 정상 각도를 이탈하는 정도를 줄여주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발의 창{SOLE OF SHOE}
본 발명은 신발의 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사람은 보행 시 발이 땅에 닿을 때에 발뒤축의 바깥쪽부터 닿은 후에 발목이 안쪽으로 돌면서 발뒤축의 안쪽이 닿게 되고, 그 다음에 무게중심을 발 앞쪽으로 옮겨가게 되면서 다시 바깥쪽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내전(內轉, Pronation)운동이 수행되게 된다.
이러한 보행의 주기는 발뒤꿈치 접지기(Heel Contact Phase), 발바닥 접지기(Foot Flat Phase), 발뒤꿈치 들림기(Heel Off Phase), 발가락 들림기(Propulsion, Toe Off Phase), 유각기(Swing Phase), 다시 발뒤꿈치 접지기의 순서로 이어지게 된다.
이때, 보행 주기별로 나타나는 발의 동작에 대해서 발뒤꿈치 접지기에서는 내전(Pronation)운동이 일어나고, 발뒤꿈치 들림기가 시작되는 순간에 외전운동이 일어나면 발가락 들림기에서 발가락이 지면을 밀치고 전진을 하게 되는 것으로, 우리의 발은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서는 발뒤축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할 때에 발목이 과도하게 안쪽으로 도는 경우 또는 안쪽으로 도는 움직임이 거의 없거나 부족한 경우 등이 있는데, 이 경우 발의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게 되는 등 발에 무리를 줄 수 있다.
한편, 발이 지면과 맞닿게 되는 발뒤꿈치 접지기 단계에서는 사람의 체중의 약 2.5배에 달하는 범위로 수직 압축력을 받게 되는데, 이때 발뒤꿈치 접지기에서 지면과 초기에 맞닿게 되는 부분은 종골의 외측 부분으로 도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고, 초기 착지점과 발의 회전축의 중심점을 잇는 일정길이만큼의 축(x)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초기에 맞닿게 되는 종골의 외측 부분은 일반적인 형태의 신발에서 도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초기 착지점과 발의 회전축의 중심점과의 축(y)을 연장시켜 축(y)의 길이가 도1의 (a)에 도시된 축(x)의 길이보다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 보행 시에 발의 정상적인 내전운동 및 외전운동을 방해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신발에 적용된 아래로 갈수록 넓은 모양을 가지는 형태 또는 아래로 곧게 뻗은 모양을 가지는 형태 등의 창(sole)이 적용된 신발을 봤을 때, 신발로 인해 보행을 부자연스럽게 할 뿐만 아니라 잘못된 보행 자세를 습관화하게 만들며, 나아가서는 인체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행 시에 발의 지나친 내전운동 및 외전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의 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신발의 창(Sole)은 일측은 발의 바닥이 위치하고 타측은 지면(地面)과 맞닿으며, 상기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의 바깥쪽 옆면에서 돌출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외측보조부재-상기 구조체의 바깥쪽이라 함은 발을 구성하는 제5중족골, 입방골 및 종골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일컬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보조부재는 상기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5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보조부재는 상기 지면을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5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측보조부재는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종골, 입방골 및 제5중족골로 이어지는 범위의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구조체의 안쪽 옆면에서 돌출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내측보조부재-상기 구조체의 안쪽이라 함은 발을 구성하는 제1중족골, 설상골 및 종골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일컬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보조부재는 상기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5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보조부재는 상기 지면을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5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측보조부재는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종골, 설상골 및 제1중족골로 이어지는 범위의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보조부재는 종골의 중앙부에서 상기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종골, 설상골 및 제1중족골로 이어지는 범위의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신발의 창(Sole)은 일측은 발의 바닥이 위치하고 타측은 지면(地面)과 맞닿으며, 상기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의 안쪽 옆면에서 돌출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내측보조부재-상기 구조체의 안쪽이라 함은 발을 구성하는 제1중족골, 설상골 및 종골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일컬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보조부재는 상기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5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보조부재는 상기 지면을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5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보조부재는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종골, 설상골 및 제1중족골로 이어지는 범위의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내측보조부재는 종골의 중앙부에서 상기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종골, 설상골 및 제1중족골로 이어지는 범위의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의 초기 내전율을 감소시켜 지나친 내전현상을 방지해주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보행 시 내전운동이 극대화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발의 거골하관절(subtalar joint)의 정상 각도를 이탈하는 정도를 줄여주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초기 착지 시에 발 및 인체로 가해지는 수직적 충격을 줄여주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사용자의 발의 상태에 적합하게 외측보조부재 및 내측보조부재의 연장 길이의 정도 및 연장되는 위치 등을 조절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개별화된 부품으로 구성하여 교체가 가능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신발에 적용되는 초기 착지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신발의 창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신발의 창의 바깥쪽을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신발의 창의 안쪽을 도시한다.
도5는 발의 해부학적 구조에 비추어 외측보조부재 및 내측보조부재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6은 초기 착지에서 Midstance 단계까지의 진행 과정에 따른 외측보조부재 및 내측보조부재의 움직임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신발의 창(100)은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110), 외측보조부재(120) 및 내측보조부재(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조체(110)는 일측은 발의 바닥이 위치하고, 타측은 지면(地面)과 맞닿는 신발의 중창(midsole) 및 바깥창(outsole) 또는 이들이 일체화된 통합된 신발의 창(sole)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맞닿는 부분을 곡면으로 형성하는데, 사람의 발꿈치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구조체(110)는 사용자의 종골 측에 해당하는 지면과 맞닿는 부분을 곡면으로 구성하는데, 이는 사람의 발뒤꿈치 모양을 그대로 반영한 기하학적 형태로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지면과 맞닿는 부분을 곡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외측보조부재(120) 및 내측보조부재(130)가 보다 쉽게 젖혀지게 되기 때문에 보행에 따른 사용자의 착지습관 및 내전운동에 따라 효과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보행의 초기 착지 단계인 발뒤꿈치 접지기에서 발의 회전축의 중심점과의 발뒤꿈치가 지면과 처음으로 맞닿게 되는 축의 길이를 줄여주도록 함으로써 지나친 내전현상 및 외전현상 등을 줄여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외측보조부재(12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110)의 바깥쪽 옆면에서 돌출되어 외부로 연장되는데, 여기서 구조체(110)의 바깥쪽이라 함은 발을 구성하는 제5중족골, 입방골 및 종골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일컫는다.
이때, 외측보조부재(120)는 지면과 평행을 이루거나 지면을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지면으로부터 약 5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제5중족지골을 넘지 않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는 보행 시에 제5중족지골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즉, 종골, 입방골 및 제5중족골로 이어지는 범위 내에서 외측보조부재(120)가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보조부재(130)는 도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110)의 안쪽 옆면에서 돌출되어 외부로 연장되는데, 이때, 구조체(110)의 안쪽이라 함은 발을 구성하는 제1중족골, 설상골 및 종골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말한다.
여기서, 내측보조부재(130)는 지면과 평행을 이루거나 지면을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며, 지면으로부터 약 5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제1중족지골을 넘지 않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는 보행 시에 제1중족지골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도록 한다.
즉, 종골, 설상골 및 제1중족골로 이어지는 범위 내에서 내측보조부재(130)가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골의 중앙부로부터 시작되어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내측보조부재(130)는 정상적인 보행 시에 수반되는 내전현상을 조절하여 지나친 내전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발의 안정을 돕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보행 시에 발이 땅에 닿을 때를 살펴보면, 종골의 뒤쪽 그 중 바깥쪽이 먼저 닿고, 전체발이 지면에 닿을 때까지 발이 천천히 내전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바로 이 시점에서 발의 뒤꿈치가 들리면서 외전운동을 시작함으로써 전진을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이때, 비정상적인 보행을 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내전운동을 적정시간보다 더 지속시키거나 불필요하게 과도한 보행에 필요한 운동 등을 수행하게 되는데, 내측보조부재(130)를 이용함으로써 지나친 내전현상을 막아주고, 발의 특정부위 혹은 전반적인 피로를 감소시켜주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외측보조부재(120) 및 내측보조부재(130)는 보행 중 초기 착지 시에 지면과 맞닿게 되는 구조체(110)인 신발의 중창 및 바깥창 부분에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위로 젖혀지는 동안 상향으로 압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즉, 외측보조부재(120) 및 내측보조부재(130)가 위로 젖혀지기 때문에 초기 착지 시에 인체에 가해지는 수직적 충격을 줄여줄 수 있으며, 발이 서서히 지면과 맞닿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외측보조부재(120) 및 내측보조부재(130)는 사용자의 상태에 적합하게 그 연장길이를 조절하여 맞춤식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부품의 형태로 구성하여 교체가 가능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외측보조부재(120) 및 내측보조부재(130)의 디자인을 초기 착지(initial contact) 및 두발 지지기 동안의 중심 이동과 지지가 이루어지는 중간 지지기(midstance)에서 사용자의 상태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신발의 창
110 : 구조체
120 : 외측보조부재
130 : 내측보조부재

Claims (10)

  1. 일측은 발의 바닥이 위치하고 타측은 지면(地面)과 맞닿으며, 상기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의 바깥쪽 옆면에서 돌출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외측보조부재-상기 구조체의 바깥쪽이라 함은 발을 구성하는 제5중족골, 입방골 및 종골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일컬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창(Sol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조부재는 상기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5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조부재는 상기 지면을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5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조부재는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종골, 입방골 및 제5중족골로 이어지는 범위의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안쪽 옆면에서 돌출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내측보조부재-상기 구조체의 안쪽이라 함은 발을 구성하는 제1중족골, 설상골 및 종골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일컬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창.
  6. 일측은 발의 바닥이 위치하고 타측은 지면(地面)과 맞닿으며, 상기 지면과 맞닿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의 안쪽 옆면에서 돌출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내측보조부재-상기 구조체의 안쪽이라 함은 발을 구성하는 제1중족골, 설상골 및 종골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일컬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창(Sole).
  7.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보조부재는 상기 지면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5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창.
  8.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보조부재는 상기 지면을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5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창.
  9.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보조부재는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종골, 설상골 및 제1중족골로 이어지는 범위의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창.
  10.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보조부재는 종골의 중앙부에서 상기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종골, 설상골 및 제1중족골로 이어지는 범위의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창.
KR1020100015238A 2010-02-19 2010-02-19 신발의 창 KR101130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238A KR101130478B1 (ko) 2010-02-19 2010-02-19 신발의 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238A KR101130478B1 (ko) 2010-02-19 2010-02-19 신발의 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650A KR20110095650A (ko) 2011-08-25
KR101130478B1 true KR101130478B1 (ko) 2012-03-27

Family

ID=4493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238A KR101130478B1 (ko) 2010-02-19 2010-02-19 신발의 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4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028A (en) * 1899-05-30 Mill for grinding bone carbon
JP2005081030A (ja) 2003-09-11 2005-03-31 Etsuo Suzuki 歩行矯正用履物、および該歩行矯正用履物を構成する装着底部材セット
US20060000120A1 (en) 2002-04-15 2006-01-05 Pascal Chenut Proprioceptive orthopedic sole comprising modular correction means
KR200446892Y1 (ko) 2009-04-03 2009-12-09 박해수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위한 기능성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028A (en) * 1899-05-30 Mill for grinding bone carbon
US20060000120A1 (en) 2002-04-15 2006-01-05 Pascal Chenut Proprioceptive orthopedic sole comprising modular correction means
JP2005081030A (ja) 2003-09-11 2005-03-31 Etsuo Suzuki 歩行矯正用履物、および該歩行矯正用履物を構成する装着底部材セット
KR200446892Y1 (ko) 2009-04-03 2009-12-09 박해수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위한 기능성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650A (ko)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6351A (en) Shoe sole and shoe and sandal including the sole
JP5836212B2 (ja) 靴底
JP5211275B2 (ja) 履物中敷及び履物
JP3051742B1 (ja) 靴底およびそれを含む靴ならびにサンダル
WO2015056958A1 (ko)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US10757997B2 (en) Sandal
JP7005005B2 (ja) 靴下
JP6467141B2 (ja) 後足部傾斜領域付インソール及び多層の後足部傾斜領域付インソール
US11452329B2 (en) Orthopedic shoe appliance
JP2011524234A (ja) ダイエット靴底及びこれを備えた履物
JP2023138921A (ja) 衝撃吸収層の構造を有する靴底
KR101130478B1 (ko) 신발의 창
US20170181495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Assist Foot Motion About the Pronation Axis
JP4856658B2 (ja) 靴中敷
JP5970423B2 (ja) 足底用パッド
KR20140069009A (ko) 신발 및 신발 제조 방법
KR101032640B1 (ko) 편심중량 밑창을 갖는 하지정렬교정 및 다이어트 겸용 신발
JP2007244521A (ja) インソールおよび靴
KR20090068455A (ko) 기능성 신발
JP6767158B2 (ja) 中底及び靴
KR101397429B1 (ko) 자세 교정용 기능성 신발
KR102540003B1 (ko) 에어 포켓을 구비한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창
JP7350346B2 (ja) 履物
US11744317B2 (en) Sandal with heel strap
JP3041007U (ja) 靴の底およびそれを含む靴ならびにサンダ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