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576B1 - 드럼 자동 캐핑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자동 캐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576B1
KR101128576B1 KR1020100037063A KR20100037063A KR101128576B1 KR 101128576 B1 KR101128576 B1 KR 101128576B1 KR 1020100037063 A KR1020100037063 A KR 1020100037063A KR 20100037063 A KR20100037063 A KR 20100037063A KR 101128576 B1 KR101128576 B1 KR 101128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ylinder
drum
ca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542A (ko
Inventor
황원주
권건오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해
(주)라드웍스
(주)삼원에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해, (주)라드웍스, (주)삼원에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아해
Priority to KR102010003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57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12Closures for containers;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4Disposal of solid waste
    • G21F9/36Disposal of solid waste by packaging; by baling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또는 연구소 등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에 캡을 자동으로 밀봉하는 캐핑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방사선으로 작업자의 접근성이 난해한 작업장소에서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에 캡을 자동으로 결합하여 밀봉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특히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자동화 공정으로 작업이 가능한 한편 방사선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방지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드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라인 선상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드럼을 정위치에 배치하는 포지션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한쪽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하부에 설치되고, 캡을 흡착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한 다음, 캡을 드럼에 결합하여 밀봉하는 캐핑유니트;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드럼 자동 캐핑장치{Drums, capping the device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또는 연구소 등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에 캡을 자동으로 밀봉하는 캐핑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을 포지션실린더가 정위치에 배치하고, 캐핑유니트가 캡을 흡착하여 드럼이 배치된 작업장소로 이동한 다음, 드럼에 캡을 자동으로 결합하여 밀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방사선으로 작업자의 접근성이 난해한 작업장소에서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에 캡을 자동으로 결합하여 밀봉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특히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자동화 공정으로 작업이 가능한 한편 방사선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방지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또는 연구소 등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은 생활 또는 산업 폐기물에 비해 그 발생량은 매우 적지만 방사선 누출의 치명적인 위험성이 높고, 그 처리기간도 매우 길어 사후 처리과정에 있어서 안정성의 확보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는 환경에 대한 방사선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폴리머(Polymer),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고화처리 한다.
고화처리된 방사성 폐기물(원전수거물)은 규정된 드럼에 담겨진 다음, 캡을 밀봉시켜 지하 공간에 매장되며, 여기서 드럼에 방사성 폐기물을 담고, 캡을 밀봉하는 작업과정이 현재 수동으로 수행됨에 따라 작업자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위험성이 야기되고 있다.
즉,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을 밀봉시킬 경우, 최근 작업자가 수동적인 방법으로 드럼에 캡을 결합하여 밀봉시키므로 작업자가 방사선에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안전복을 착용하여도 위험성이 매우 높고, 작업자의 접근성이 난해하여 작업환경이 열악한 한편 산업재해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을 밀봉하는 작업과정에서 작업자가 방사선에 노출되는 위험성과 작업환경이 열악한 한편 산업재해를 야기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방사선으로 작업자의 접근성이 난해한 작업장소에서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에 캡을 자동으로 밀봉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자동화 공정으로 작업이 가능한 한편 방사선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방지하고자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을 포지션실린더가 정위치에 배치하고, 캐핑유니트가 캡을 흡착하여 드럼이 배치된 작업장소로 이동한 다음, 드럼에 캡을 자동으로 결합하여 밀봉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드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라인 선상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드럼을 정위치에 배치하는 포지션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한쪽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하부에 설치되고, 캡을 흡착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한 다음, 캡을 드럼에 결합하여 밀봉하는 캐핑유니트;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캐핑유니트는 블록의 하부에서 조인트브라켓에 회동가능케 설치되는 캡퍼와; 상기 캡퍼를 수평상태로 고정 및 해제하며 조인트브라켓에 설치되는 제3실린더와; 상기 캡퍼의 상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하여 흡착패드로 캡을 흡착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캡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투스를 작동시켜 클램프를 벌리는 제4실린더와; 상기 캡퍼의 상부에 설치되고 클램프를 가압하여 누르는 제5실린더와; 상기 캡퍼의 상부에 설치되고 임펙트를 이송하는 제6실린더;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을 포지션실린더가 정위치에 배치하고, 캐핑유니트가 캡을 흡착하여 드럼이 배치된 작업장소로 이동한 다음, 드럼에 캡을 자동으로 결합하여 밀봉함으로써, 방사선으로 작업자의 접근성이 난해한 작업장소에서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에 캡을 자동으로 결합하여 밀봉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특히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자동화 공정으로 작업이 가능한 한편 방사선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가 필요없이 캐핑유니트가 하강 작동하여 캡을 흡착하도록 캡공급유니트에서 캡을 정위치에 자동으로 공급하므로 작업자의 접근성이 난해한 작업장소에서 자동화 공정으로 작업이 수행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자동 캐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캐핑유니트의 초기 작동상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캐핑유니트에 캡의 흡착상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캐핑유니트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캡의 안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캡의 결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4실린더의 작동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5실린더의 작동상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서 제6실린더와 임펙트의 작동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캡의 결합 후 캐핑유니트의 작동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캐핑유니트의 복귀 작동상태도.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캡공급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캡공급유니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방사선으로 작업자의 접근성이 난해한 작업장소에서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에 캡을 자동으로 결합하여 밀봉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특히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자동화 공정으로 작업이 가능한 한편 방사선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자동 캐핑장치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드럼(D)이 이송되는 컨베이어(C)의 라인 선상에 설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컨베이어(C)로 이송되는 드럼(D)을 정위치에 배치하는 포지션실린더(200)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한쪽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레일(300)과; 상기 레일(300)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블록(400)과; 상기 블록(4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캡(570)을 흡착하여 레일(300)을 따라 이동한 다음, 캡(570)을 드럼(D)에 결합하여 밀봉하는 캐핑유니트(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프레임(10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D)이 이송되는 컨베이어(C)의 라인 선상에 설치되며, 여기서 프레임(100)은 컨베이어(C)의 양측에 직립상태 및 수평상태로 짜여져 구현되는 한편 가능한 격리된 작업공간에 배치됨이 바람직하고,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D)이 이송되는 컨베이어(C)는 롤러컨베이어(roller conveyer) 또는 벨트컨베이어(belt conveyer)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포지션실린더(200)는 컨베이어(C)로 이송되는 드럼(D)을 정위치에 배치하는 기능으로서, 컨베이어(C)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직립상태로 배치된 프레임(100)의 하부에 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사방향으로 설치된 포지션실린더(200)의 피스톤로드가 중앙부로 모이도록 작동하여 컨베이어(C)로 이송되는 드럼(D)을 정위치에 배치하며, 드럼(D)이 정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컨베이어(C)의 작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프레임(100)의 상부에 레일(300)이 설치되고, 여기서 레일(300)은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한쪽 방향으로 길게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격리된 작업공간을 벗어나도록 배치되며, 상기 레일(300)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로드실린더(310)가 내장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레일(300)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기능의 블록(400)은 레일(300)에 끼워져 이송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레일(300)에 내장 설치된 로드실린더(310)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레일(300)을 따라 왕복 이송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에서 블록(400)은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하부 한쪽에 회동가능케 설치되는 조인트프레임(410)과; 상기 조인트프레임(410) 위에 위치하도록 하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제1실린더(430)와; 상기 조인트프레임(410)의 하측과 제1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에 회동가능케 설치되는 링크(420)와; 상기 조인트프레임(410)에 인접하여 하부에 회동가능케 설치되는 제2실린더(440)와; 상기 제2실린더(440)의 피스톤로드에 고정 설치되는 조인트브라켓(450);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 블록(400)에서 조인트프레임(410)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하부 한쪽에 회동가능케 설치되고, 제1실린더(430)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레일(300)의 양측에 수평상태로 위치하도록 조인트프레임(410) 위에 설치되며, 상기 조인트프레임(410)의 하측 단부와 제1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회동가능케 링크(420)가 설치된다.
또한 블록(400)에서 제2실린더(440)는 한쌍으로 설치된 조인트프레임(410) 사이에 인접하여 하부에 회동가능케 설치되고, 제2실린더(440)에서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조인트브라켓(450)이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블록(400)은 레일(300)에서 로드실린더(310)가 전ㆍ후로 작동할 경우 레일(300)을 따라 왕복 이송하고, 또한 제1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가 전ㆍ후로 작동할 경우 링크(420)에 의해 조인트프레임(410)이 견인되어 직립 또는 경사져 접혀진 상태로 작동하며, 또한 제2실린더(440)의 구동으로 조인트브라켓(450)이 상하 작동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캐핑유니트(500)는 드럼(D)에 캡(570)을 결합하여 밀봉하는 기능으로서, 도면에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블록(400)을 구성하는 조인트브라켓(450)의 하부에 회동가능케 설치되고, 블록(400)의 하부에서 제2실린더(440)의 구동에 따라 상하 작동한다.
상기에서 캐핑유니트(500)는 블록(400)의 하부에서 조인트브라켓(450)에 회동가능케 설치되는 캡퍼(510)와; 상기 캡퍼(510)를 수평상태로 고정 및 해제하며 조인트브라켓(450)에 설치되는 제3실린더(520)와; 상기 캡퍼(5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하여 흡착패드(531)로 캡(570)을 흡착하는 진공펌프(530)와; 상기 캡퍼(5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투스(542)를 작동시켜 클램프(571)를 벌리는 제4실린더(540)와; 상기 캡퍼(5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클램프(571)를 가압하여 누르는 제5실린더(550)와; 상기 캡퍼(5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임펙트(562)를 이송하는 제6실린더(56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 캐핑유니트(500)에서 캡퍼(51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블록(400)의 하부에서 조인트브라켓(450)에 회동가능케 설치되고, 하부에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캡가이드(511)가 배치되며, 상기 캡가이드(511)는 상하 이송가능케 다수개의 가이드로드(512)로 캡퍼(510)에 설치되는 한편 다수개의 가이드로드(512)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점스위치(513)가 설치된다.
한편 캐핑유니트(500)에서 제3실린더(520)는 캡퍼(510)를 수평상태로 고정 및 해제하는 기능으로서, 블록(400)을 구성하는 조인트브라켓(450)의 한쪽에 직립상태로 고정 설치되며, 여기서 제3실린더(520)가 구동하여 피스톤로드가 하강 작동하면, 피스톤로드의 하단부가 캡퍼(510)의 상부면을 지지하여 수평상태로 고정하고, 피스톤로드가 상승 작동하면 수평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캐핑유니트(500)에서 진공펌프(530)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착패드(531)로 캡(570)을 흡착하는 기능으로서, 캡퍼(510)의 상부 한쪽에 진공펌프(530)가 설치되고, 캡퍼(510)의 하부 중앙에 흡착패드(531)가 설치되며, 여기서 진공펌프(530)는 흡착패드(531)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캐핑유니트(500)에서 제4실린더(540)는 캡(570)에 결속된 클램프(571)를 벌리는 기능으로서, 도면에서 도 11 내지 도 12와 같이 캡퍼(510)의 하부 한쪽에 한쌍으로 제4실린더(540)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제4실린더(540)의 피스톤로드에 각각 이송블록(541)이 장착되는 한편 이송블록(541)의 하부에 각각 투스(542)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한쌍으로 설치된 제4실린더(540)는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양측에 위치한 한쌍의 투스(542)가 클램프(571)를 조여 체결하는 볼트(572)와 너트(573) 사이에 위치하며, 제4실린더(540)가 구동할 경우 한쌍의 투스(542)가 양측 방향으로 작동하면서 클램프(571)의 볼트(572)와 너트(573)를 견인하여 양측 방향으로 벌리게 된다.
또한 캐핑유니트(500)에서 제5실린더(550)는 클램프(571)를 위에서 가압하여 누르는 기능으로서, 도면에서 도 13과 같이 캡퍼(510)의 상부 양측에 직립상태로 제5실린더(550)가 설치되고, 캡퍼(510)의 하부로 관통되는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각각 스토퍼(551)가 장착된다.
상기에서 제5실린더(550)는 클램프(571)가 결속된 캡(570)이 드럼(D)의 상부에 놓인 상태에서 피스톤로드가 하강 작동하면 스토퍼(551)가 클램프(571)를 위에서 가압하여 누르므로 드럼(D)의 상부에 캡(570)과 클램프(571)를 끼워 결합하게 된다.
또한 캐핑유니트(500)에서 제6실린더(560)는 클램프(571)의 볼트(572)와 너트(573)를 조이는 임펙트(562)를 이송하는 기능으로서, 도면에서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캡퍼(510)의 상부 한쪽에 제6실린더(560)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제6실린더(560)의 피스톤로드에 거치대(561)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거치대(561)에 너트(573)를 조이는 공구가 결합된 임펙트(562)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에서 제6실린더(560)는 드럼(D)의 상부에 캡(570)과 클램프(571)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가 후진 작동하며, 상기 피스톤로드가 후진 작동하면 임펙트(562)에 결합된 공구가 클램프(571)의 너트(573)에 끼워지고, 이상태에서 임펙트(562)가 작동하여 클램프(571)의 볼트(572)와 너트(573)를 조여 드럼(D)에 캡(570)을 결합하여 밀봉하게 된다.
따라서, 캐핑유니트(500)는 진공펌프(530)의 작동으로 흡착패드(531)에 캡(570)이 흡착된 다음, 블록(400)이 레일(300)을 타고 이송하여 드럼(D)이 위치한 작업장소로 이동하고, 제4실린더(540)와 제5실린더(550)의 작동으로 드럼(D)의 상부에 캡(570)과 클램프(571)가 끼워져 결합된 후, 제6실린더(560)와 임펙트(562)의 작동으로 캡(570)을 드럼(D)에 결합하여 밀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자동 캐핑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컨베이어(C)로 이송되는 드럼(D)을 포지션실린더(200)가 작동하여 정위치에 배치하고, 이와 동시에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제1실린더(430)가 전진 작동하여 조인트프레임(410)이 경사지게 접혀져 캐핑유니트(500)가 상부에 위치한 초기상태에서 레일(300)의 한쪽 끝부분에 위치한 블록(400)에서 제1실린더(430)가 후진 작동하여 조인트프레임(410)과 캐핑유니트(500)를 직립상태로 세운 다음, 도면에서 도 4와 같이 제3실린더(520)가 전진 작동하여 캐핑유니트(500)를 수평상태로 고정하고, 다음으로 제2실린더(440)가 전진 작동하여 캡퍼(510)를 하강시킨다.
캡퍼(510)가 하강하면 도면에서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캡퍼(510)의 하부에 위치한 캡가이드(511)가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작업자가 캡(570)을 배치하고 들어올리면, 캡가이드(511)가 상승하면서 가이드로드(512)에 설치된 접점스위치(513)가 구동하여 진공펌프(530)가 작동함에 따라 흡착패드(531)에 캡(570)이 흡착된다.
상기에서 캡가이드(511)가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작업자가 캡(570)을 배치할 경우 캡(570)에 결속된 클램프(571)의 볼트(572)와 너트(573) 사이에 제4실린더(540)의 투스(542)가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상기에서 흡착패드(531)에 캡(570)이 흡착 고정되면, 도면에서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제2실린더(440)가 후진 작동하여 캡퍼(510)가 상승하는 한편 제3실린더(520)가 후진 작동하여 캡퍼(510)의 수평상태를 해제하고, 제1실린더(430)가 전진 작동하여 캡퍼(510)를 상부로 끌어올린 다음, 로드실린더(310)가 구동하여 블록(400)을 격리된 작업장소로 이송시킨다.
블록(400)이 드럼(D)이 위치한 작업장소로 이송하면, 제1실린더(430)가 후진 작동하여 캡퍼(510)를 직립상태로 세우고, 제3실린더(520)가 전진 작동하여 캡퍼(510)를 수평상태로 고정한 다음, 도면에서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제2실린더(440)가 전진 작동하여 캡퍼(510)를 드럼(D)의 상부로 하강시킨 후, 진공펌프(530)가 정지하여 흡착패드(531)에서 캡(570)이 분리된다.
흡착패드(531)에서 캡(570)이 분리되어 드럼(D)의 상부에 캡(570)이 안착되면, 도면에서 도 12 내지 도 13과 같이 제4실린더(540)가 후진 작동하여 한쌍의 투스(542)가 클램프(571)의 볼트(572)와 너트(573)를 양측 방향으로 견인하여 클램프(571)를 벌린 다음, 제5실린더(550)가 전진 작동하여 스토퍼(551)로 클램프(571)를 위에서 가압하여 누르게 된다.
상기에서 제5실린더(550)는 전진과 후진 작동을 2~3회 수행한 다음, 마지막으로 전진 작동하여 캡(570)과 클램프(571)가 드럼(D)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스토퍼(551)로 눌러준다.
다음으로 도면에서 도 14 내지 도 15와 같이, 제4실린더(540)가 전진 작동하여 클램프(571)의 벌림을 해제하고, 제6실린더(560)가 후진 작동하여 임펙트(562)에 결합된 공구가 클램프(571)의 너트(573)에 삽입된 다음, 임펙트(562)가 회전 작동하여 클램프(571)의 볼트(572)와 너트(573)를 조이고, 이때 제6실린더(560)는 전진 작동하면서 임펙트(562)가 볼트(572)와 너트(573)를 조이게 된다.
상기에서 임펙트(562)의 작동으로 볼트(572)와 너트(573)가 조여져 드럼(D)에 캡(570)이 밀봉되면, 도면에서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이 제6실린더(560)가 전진 작동하여 임펙트(562)에 결합된 공구가 너트(573)에서 이탈되고, 제2실린더(440)가 후진 작동하여 캡퍼(510)가 상승하는 한편 제3실린더(520)가 후진 작동하여 캡퍼(510)의 수평상태를 해제한 다음, 제1실린더(430)가 전진 작동하여 캡퍼(510)를 상부로 끌어올린 후, 로드실린더(310)가 작동하여 블록(400)과 캐핑유니트(500)를 초기상태로 이송한다.
이러한 작동과정은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D)이 컨베이어(C)를 통해 이송되면서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작업자는 드럼(D)과 격리된 작업공간에서 캐핑유니트(500)에 캡(570)을 배치하여 흡착시키므로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산업재해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핑유니트(500)에 캡(570)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흡착시키는 방법으로 캡공급유니트(600)를 적용할 수 있으며, 캡공급유니트(600)의 주요 구성은 도면에서 도 19 내지 도 21과 같이,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내부공간에 다수의 캡(570)이 적층되는 가이드통(610)과; 상기 가이드통(610)의 한쪽에 상하로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스크류축(620)과; 상기 스크류축(620)에 끼워져 결합되는 이송너트(630)와; 상기 이송너트(630)에 한쪽 단부가 고정되고 가이드통(610)의 내부공간에 놓여 캡(570)을 받치는 거치대(640)와; 상기 스크류축(62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모터(650)와; 상기 가이드통(6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적층된 캡(570)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6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에서 캡공급유니트(600)를 구성하는 가이드통(610)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은 가능한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캡(570)이 담겨져 적층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일측이 상하로 절개되는 한편 지면 또는 구조물에서 베이스(670) 위에 놓여 일정 높이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에서 스크류축(620)은 가이드통(610)의 한쪽에 상하 직립상으로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통(610)의 상부와 하부에서 베어링하우징(621)(622)에 결합되어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축(62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스크류축(620)의 하단부에 모터(650)의 구동축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모터(650)는 베이스(670) 안에 내장되어 스크류축(620)에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620)에 이송너트(630)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이송너트(630)에 거치대(640)의 한쪽 단부가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며, 여기서 거치대(640)는 도면에서 도 20과 같이 가이드통(610)의 내부공간에 놓이도록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가이드통(610)에서 상하 절개된 공간을 통해 한쪽 단부가 이송너트(630)에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가이드통(610)의 내부공간에 놓인 거치대(640) 위에 다수의 캡(570)이 담겨져 적층되며, 모터(650)의 구동으로 스크류축(620)이 회전하면 이송너트(630)와 거치대(640)가 스크류축(6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통(610)의 상부에 캡(570)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60)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660)는 거치대(640) 위에 적층된 캡(570)을 감지하여 모터(65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캡공급유니트(6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캡공급유니트(600)는 이송너트(630)와 거치대(640)가 스크류축(620) 및 가이드통(610)의 하부에 위치하고, 가이드통(610)의 내부공간에서 거치대(640) 위에 다수의 캡(570)이 담겨져 적층되며, 이상태에서 모터(650)의 구동으로 스크류축(620)이 회전하여 이송너트(630)와 거치대(640)가 상승해 적층된 캡(570)이 가이드통(610)의 상부로 올라가면, 감지센서(660)가 적층된 상측 캡(570)을 감지함과 동시에 모터(650)를 정지시킨다.
상기에서 가이드통(610)의 상부에 캡(570)이 위치하면, 캐핑유니트(500)가 하강 작동하여 캡(570) 위에 캡가이드(511)가 접촉하면서 상승해 가이드로드(512)에 설치된 접점스위치(513)가 구동하여 진공펌프(530)가 작동함에 따라 흡착패드(531)에 캡(570)이 흡착된다.
상기에서 흡착패드(531)에 캡(570)이 흡착된 다음 캐핑유니트(500)가 상승하면, 이를 감지센서(660)가 감지하여 모터(650)를 구동시켜 이송너트(630)와 거치대(640)가 다시 상승하고, 거치대(640)에 적층된 캡(570)이 가이드통(610)의 상부로 올라가 감지센서(660)에 감지되면 모터(650)가 정지하면서 캡(570)을 정위치에 자동으로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캡공급유니트(600)는 작업자가 필요없이 캐핑유니트(500)가 하강 작동하여 캡(570)을 흡착하도록 캡(570)을 정위치에 자동으로 공급하므로 작업자의 접근성이 난해한 작업장소에서 자동화 공정으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사선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접근성이 난해한 작업장소에서 방사성 폐기물이 수용된 드럼에 캡을 자동으로 결합하여 밀봉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자동화 공정으로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프레임 200: 포지션실린더
300: 레일 310: 로드실린더
400: 블록 410: 조인트프레임
420: 링크 430: 제1실린더
440: 제2실린더 450: 조인트브라켓
500: 캐핑유니트 510: 캡퍼
511: 캡가이드 520: 제3실린더
530: 진공펌프 531: 흡착패드
540: 제4실린더 550: 제5실린더
551: 스토퍼 560: 제6실린더
561: 거치대 562: 임펙트
570: 캡 571: 클램프
600: 캡공급유니트 610: 가이드통
620: 스크류축 630: 이송너트
640: 거치대 650: 모터
660: 감지센서 670: 베이스
C: 컨베이어 D: 드럼

Claims (11)

  1. 드럼(D)이 이송되는 컨베이어(C)의 라인 선상에 설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컨베이어(C)로 이송되는 드럼(D)을 정위치에 배치하는 포지션실린더(200)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한쪽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레일(300)과;
    하부 한쪽에 회동가능케 조인트프레임(410)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300)의 하부에 수평상태로 위치하도록 제1실린더(430)가 조인트프레임(410) 위에 설치되며, 상기 조인트프레임(410)의 하측과 제1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에 회동가능케 링크(420)가 설치되고, 상기 조인트프레임(410)에 인접하여 하부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제2실린더(440)의 피스톤로드에 고정 설치되는 조인트브라켓(450)을 포함하여, 상기 레일(300)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블록(400)과;
    상기 블록(4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캡(570)을 흡착하여 레일(300)을 따라 이동한 다음, 캡(570)을 드럼(D)에 결합하여 밀봉하는 캐핑유니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레일(300)은,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한쪽 방향으로 길게 수평상태로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로드실린더(310)가 내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캐핑유니트(500)는,
    블록(400)의 하부에서 조인트브라켓(450)에 회동가능케 설치되는 캡퍼(510)와; 상기 캡퍼(510)를 수평상태로 고정 및 해제하며 조인트브라켓(450)에 설치되는 제3실린더(520)와; 상기 캡퍼(5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하여 흡착패드(531)로 캡(570)을 흡착하는 진공펌프(530)와; 상기 캡퍼(5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투스(542)를 작동시켜 클램프(571)를 벌리는 제4실린더(540)와; 상기 캡퍼(5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클램프(571)를 가압하여 누르는 제5실린더(550)와; 상기 캡퍼(5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임펙트(562)를 이송하는 제6실린더(5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캡퍼(51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하부에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캡가이드(511)가 배치되며, 상기 캡가이드(511)는 상하 이송가능케 다수개의 가이드로드(512)로 설치되는 한편 가이드로드(512)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점스위치(51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진공펌프(530)는,
    캡퍼(510)의 상부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캡퍼(510)의 하부 중앙에 흡착패드(53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제4실린더(540)는,
    캡퍼(510)의 하부 한쪽에 한쌍으로 부착 설치되고, 피스톤로드에 각각 이송블록(541)이 장착되는 한편 이송블록(541)의 하부에 각각 투스(54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제5실린더(550)는,
    캡퍼(510)의 상부 양측에 직립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캡퍼(510)의 하부로 관통되는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각각 스토퍼(55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제6실린더(560)는,
    캡퍼(510)의 상부 한쪽에 부착 설치되고, 피스톤로드에 거치대(561)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거치대(561)에 클램프(571)의 너트(573)를 조이는 공구가 결합된 임펙트(562)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
  10. 드럼(D)이 이송되는 컨베이어(C)의 라인 선상에 설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컨베이어(C)로 이송되는 드럼(D)을 정위치에 배치하는 포지션실린더(200)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한쪽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레일(300)과;
    하부 한쪽에 회동가능케 조인트프레임(410)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300)의 하부에 수평상태로 위치하도록 제1실린더(430)가 조인트프레임(410) 위에 설치되며, 상기 조인트프레임(410)의 하측과 제1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에 회동가능케 링크(420)가 설치되고, 상기 조인트프레임(410)에 인접하여 하부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제2실린더(440)의 피스톤로드에 고정 설치되는 조인트브라켓(450)을 포함하여, 상기 레일(300)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블록(400)과;
    상기 블록(4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캡(570)을 흡착하여 레일(300)을 따라 이동한 다음, 캡(570)을 드럼(D)에 결합하여 밀봉하는 캐핑유니트(500)와;
    상기 캐핑유니트(500)에 캡(570)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흡착시키는 캡공급유니트(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캡공급유니트(600)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내부공간에 다수의 캡(570)이 적층되는 가이드통(610)과; 상기 가이드통(610)의 한쪽에 상하로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스크류축(620)과; 상기 스크류축(620)에 끼워져 결합되는 이송너트(630)와; 상기 이송너트(630)에 한쪽 단부가 고정되고 가이드통(610)의 내부공간에 놓여 캡(570)을 받치는 거치대(640)와; 상기 스크류축(62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모터(650)와; 상기 가이드통(6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적층된 캡(570)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자동 캐핑장치.
KR1020100037063A 2010-04-21 2010-04-21 드럼 자동 캐핑장치 KR10112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063A KR101128576B1 (ko) 2010-04-21 2010-04-21 드럼 자동 캐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063A KR101128576B1 (ko) 2010-04-21 2010-04-21 드럼 자동 캐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542A KR20110117542A (ko) 2011-10-27
KR101128576B1 true KR101128576B1 (ko) 2012-03-30

Family

ID=4503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063A KR101128576B1 (ko) 2010-04-21 2010-04-21 드럼 자동 캐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21B1 (ko) * 2013-03-22 2015-03-30 이정화 수직형 방사성 폐기물 압축저장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62B1 (ko) 2014-07-09 2016-02-12 경성 디.에스 주식회사 드럼 캡핑 장치
JP7430983B2 (ja) 2019-03-18 2024-02-14 Ntn株式会社 アンギュラ玉軸受およびアンギュラ玉軸受用保持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21B1 (ko) * 2013-03-22 2015-03-30 이정화 수직형 방사성 폐기물 압축저장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542A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9308B (zh) 水温传感器组装设备及其工作方法
CN104985438B (zh) 一种煤气阀生产线
US82508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oading drums into drum container
KR101128576B1 (ko) 드럼 자동 캐핑장치
CN207807717U (zh) 一种盖片仪的玻片夹持机构
CN206883132U (zh) 转子分向器组件及后轴承压入设备
CN207457583U (zh) 一种贴摄像头装置
CN103227134A (zh) 一种电池组件的搬运筛选装置及搬运筛选方法
CN104176476A (zh) 一种产品定位输送机构
CN105966927A (zh) 护角堆叠取送装置
CN202002665U (zh) 一种翻转机构
CN207276186U (zh) 一种简易全自动灌装系统
CN206795858U (zh) 一种带有多个真空吸盘的机械手
KR100553356B1 (ko) 스터드 볼트와 너트 작업용 장치
CN217477999U (zh) 一种直径800mm以下水管的搬运装置
CN206068937U (zh) 一种随动码袋传输装置
CN202258394U (zh) 一种放射源输运设备及应用该设备的锰浴系统
KR101506721B1 (ko) 수직형 방사성 폐기물 압축저장장치 및 방법
CN205888526U (zh) 内燃机自动组装线
CN209275671U (zh) 一种铜棒码放装置
CN105398828B (zh) 瓶盖收集装置
CN204896795U (zh) 新型自动上料机
CN210453831U (zh) 一种导管上料装置
CN206022333U (zh) 一种可兼容多种规格电池片的输送规整装置
CN110422394A (zh) 全自动固体废弃物压缩封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