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673B1 -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 - Google Patents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673B1
KR101127673B1 KR1020040111409A KR20040111409A KR101127673B1 KR 101127673 B1 KR101127673 B1 KR 101127673B1 KR 1020040111409 A KR1020040111409 A KR 1020040111409A KR 20040111409 A KR20040111409 A KR 20040111409A KR 101127673 B1 KR101127673 B1 KR 10112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ap
pipe
fluid blocking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2698A (ko
Inventor
문덕용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6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16L55/1157Cap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선단에 설치되는 유체 차단캡에 관한 것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삽입파이프의 선단이 삽입되는 원통형 삽입부와, 상기 원통형 삽입부의 선단에 반경의 바깥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 및, 상기 원통형 삽입부의 뒤쪽을 가로막아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차단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차단벽(12)에 상기 삽입파이프(6)의 선단(6a)이 밀착되면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유체차단벽이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유체차단벽에 예비 절결홈이 소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유체 차단캡은 유체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게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선단에 긴밀하게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다른 반대쪽의 연결호스와 연결시킬 때 상기 유체 차단캡을 유체 이송용 파이프에서 빼내지 않고 그대로 반대쪽 연결 파이프에 삽입하면, 상기 유체 차단캡의 걸림턱이 반대쪽 연결호스의 선단에 걸려져 뒤쪽으로 밀려져 이동하면서, 상기 유체차단벽의 예비 절결홈이 삽입파이프의 선단에 의해 찢어져 벌어지게 되고, 이렇게 찢어져 벌어진 유체 차단캡이 상기 삽입파이프와 연결호스 사이에 끼워져 유체의 누출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

Description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A cap for stopping flow of fluid in a pipe for transferring flui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차단캡이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선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차단캡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차단캡이 설치된 상태에서 연결호스속에 삽입하여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유체 차단캡이 파이프의 선단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유체 차단캡을 벗겨낸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 유체 차단캡 4 : 걸림턱
6 : 삽입파이프 6a : 선단
8 : 삽입부 10 : 지지턱
12 : 유체차단벽 14 : 예비절결홈
16 : 연결호스 16a : 연결호스의 선단
18 : 호스클램프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는 파이프의 선단에 끼워져 유체가 누출되지 않게 하는 유체차단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의 선단에 끼워진 유체 차단캡을 벗겨내지 않고 그대로 반대쪽 연결호스에 삽입하면 자동적으로 유체 차단캡이 벌어지면서 유체가 소통되는 상태로 파이프를 연결시킬 수 있게 한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에 관한 것이다.
통상 유체가 내장되어 있는 파이프에의 선단에 유체 차단캡을 씌워 유체가 누출되지 않게 하는데, 이와 같이 유체 차단캡이 씌워져 있는 상태에서 다른 파이프와 연결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유체차단캡을 벗겨 내야만 한다.
그런데, 내부에 유체가 들어 있는 상태에서 유체 차단캡을 벗겨 내면 유체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차량용 엔진은 통상 뒤쪽으로 기울여져서 차량에 장착되는데, 이렇게 엔진이 기울여져 장착된 상태에서 엔진의 연료 파이프에 차량의 연료 호스를 연결하기 위해 연료 파이프에 씌워져 연료를 막고 있던 캡을 제거하면 파이프 내부에 있던 연료가 흘러 내려 주변품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즉, 차량의 엔진이 차체에 처음 장착될 때 엔진의 연소실에 이르는 연료파이프에 연료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로 차량에 장착되어야 엔진을 가동시킬 때 즉각적인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져 엔진이 정상적으로 가동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엔진을 차체에 장착할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의 연료파이프(100)에 연료가 충전되어 있고, 이 연료파이프(100)의 선단에 연료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 차단캡(102)이 씌워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료파이프(100)를 차량의 연료호스(도시 안됨)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유체 차단캡(102)을 벗겨 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파이프(10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던 연료가 누출되어 주변의 엔진 부품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유체 차단캡이 설치된 유체 이송 파이프를 다른 연결 파이프와 연결시킬 때 유체 차단캡으로 인하여 유체가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삽입파이프의 선단이 삽입되는 원통형 삽입부와, 상기 원통형 삽입부의 선단에 반경의 바깥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 및, 상기 원통형 삽입부의 뒤쪽을 가로막아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차단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차단벽에 상기 삽입파이프의 선단이 밀착되면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유체차단벽이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유체차단벽에 예비 절결홈이 소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유체 차단캡은 유체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게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선단에 긴밀하게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다른 반대쪽의 연결호스와 연결시킬 때 상기 유체 차단캡을 유체 이송용 파이프에서 빼내지 않고 그대로 반대쪽 연결 파이프에 삽입하면, 상기 유체 차단캡의 지지턱이 반대쪽 연결호스의 선단에 걸려져 뒤쪽으로 밀려져 이동하면서, 상기 유체차단벽의 예비 절결홈이 삽입파이프의 선단에 의해 찢어져 벌어지게 되고, 이렇게 찢어져 벌어진 유체 차단캡이 상기 삽입파이프와 연결호스 사이에 끼워져 유체의 누출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파이프의 선단에 유체 차단캡이 끼워진 상태에서 그대로 연결 파이프 속으로 밀어 넣으면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차단캡이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선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차단캡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차단캡이 설치된 상태에서 연결호스속에 삽입하여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차단캡(2)은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턱(4)이 돌출 형성된 삽입파이프(6)의 선단(6a)이 삽입되는 원통형 삽입부(8)와, 상기 원통형 삽입부(8)의 선단에 반경의 바깥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10) 및, 상기 원통형 삽입부(8)의 뒤쪽을 가로막아 유체의 흐 름을 차단하는 유체차단벽(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차단벽(12)이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유체차단벽(12)에 예비 절결홈(14)이 소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예비 절결홈(14)은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시킬 수가 있는 바,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십자형으로 형성시켜 잘 찢어지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찢어졌을 때 구멍이 크게 형성되게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유체 차단캡(2)은 내부에 유체가 차 있는 삽입파이프(6)의 선단(6a)에 바깥으로 씌워져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체 차단캡(2)이 씌워져 있는 삽입파이프(6)를 기울이거나 이동시켜도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파이프(6)의 선단(6a)에 다른 연결호스(16)를 연결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파이프(6)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연결호스(16)를 삽입파이프(6)의 선단(6a)쪽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삽입하면, 연결호스(16)의 선단(16a)이 상기 유체 차단캡(2)의 지지턱(10)에 걸려져 유체 차단캡(2)을 뒤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렇게 유체 차단캡(2)이 뒤쪽으로 밀려지면 유체 차단캡(2)의 유체차단벽(12)에 삽입파이프(6)의 선단(6a)이 밀착되면서 힘을 가하게 되고, 상기 유체 차단캡(2)이 점진적으로 뒤쪽으로 밀려져 들어가면서 상기 삽입파이프(6)의 선단(6a)이 유체차단벽(12)에 강한 힘을 가하게 되면, 유체차단벽(12)에 소정깊이로 절결형성되어 있는 예비절결홈(14)이 찢어지면서 상기 유체차단벽(12)이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유체 차단벽(12)이 벌어지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파이프(6)의 선단(6a)이 찢어져 벌어진 유체차단벽(12)을 관통하여 지나가게 되고, 상기 유체차단캡(2)은 삽입파이프(6)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의 뒤쪽으로 넘어가 삽입파이프(6)와 연결호스(16)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된다.
그 다음 상기 연결호스(16)의 선단부에 호스클램프(18)를 끼워 조이면 상기 유체차단캡(2)이 가스켓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삽입파이프(6)와 연결호스(16)사이를 긴밀하게 차단시켜 주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차단캡(2)은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 차단벽(12)에 소정깊이의 예비 절결홈(14)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유체 차단벽(2)의 선단에 지지턱(1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유체차단캡(2)이 설치된 삽입파이프(6)를 다른 연결호스(16)나 파이프 등과 연결시킬 때, 본 발명의 유체 차단캡(2)을 벗겨 내지 않고 씌워진 상태에서 그대로 삽입파이프(6)를 연결호스(16)속으로 밀어 넣으면, 연결호스(16)의 선단이 상기 유체차단벽(2)의 지지턱(10)에 걸려져 유체차탄캡(2)을 뒤쪽으로 밀어줌으로써, 삽입파이프(6)의 선단(6a)이 유체차단벽(2)의 예비절결홈(14)을 찢고 관통하여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차단캡(2)이 씌워진 삽입파이프(6)의 선단(6a)을 연결호스(16)속에 밀어 넣기만 하면, 유체차단캡(2)이 자동적으로 찢어지면서 삽입 파이프(6)와 연결호스(16)를 연결시켜 주게 되므로 간단하게 삽입파이프를 연결시킬 수가 있으며, 삽입파이프(6)의 내용물을 바깥으로 흘리지 않고 연결할 수가 있어 호스연결시 삽입파이프(6)가 설치된 장치의 다른 부품들을 오염시키지 않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턱(4)이 돌출 형성된 삽입파이프(6)의 선단(6a)이 삽입되는 원통형 삽입부(8);
    상기 원통형 삽입부(8)의 선단에 반경의 바깥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10); 및
    상기 원통형 삽입부(8)의 뒤쪽을 가로막아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체차단벽(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차단벽(12)에 상기 삽입파이프(6)의 선단(6a)이 밀착되면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유체차단벽(12)이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유체차단벽(12)에 예비 절결홈(14)이 소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된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차단캡.
KR1020040111409A 2004-12-23 2004-12-23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 KR10112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409A KR101127673B1 (ko) 2004-12-23 2004-12-23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409A KR101127673B1 (ko) 2004-12-23 2004-12-23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698A KR20060072698A (ko) 2006-06-28
KR101127673B1 true KR101127673B1 (ko) 2012-03-23

Family

ID=3716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409A KR101127673B1 (ko) 2004-12-23 2004-12-23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6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4681A (en) * 1960-01-06 1963-09-24 Mueller Brass Co Plastic closures for protective use
US3574312A (en) * 1969-02-25 1971-04-13 Sinclair & Rush Inc Closure
US4139005A (en) * 1977-09-01 1979-02-13 Dickey Gilbert C Safety release pipe c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4681A (en) * 1960-01-06 1963-09-24 Mueller Brass Co Plastic closures for protective use
US3574312A (en) * 1969-02-25 1971-04-13 Sinclair & Rush Inc Closure
US4139005A (en) * 1977-09-01 1979-02-13 Dickey Gilbert C Safety release pipe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698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8225B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a basse permeabilite
JP3925170B2 (ja) コネクタ用遮水カバー
JP3724360B2 (ja) コネクタ
FR2630523A1 (fr) Accouplement emboitable pour relier un flexible a un tube
FR2851634A1 (fr) Pince de raccord et structure de raccordement de raccord destinees a verifier le raccordement complet entre un raccord et un tuyau
MX2008014940A (es) Inserto de tubo.
CN101734144A (zh) 油箱止回阀
KR101127673B1 (ko) 유체 이송용 파이프의 유체 차단캡
FR2795155A1 (fr) Dispositif de raccord etanche pour conduit de fluid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02071064A (ja) 下水管路用耐震継手
JP2001021087A (ja) 管継手
JP4375871B2 (ja)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用ワンタッチ継手
US10302229B1 (en) Adjustable suction pipe assembly with improved pressure activated seal
FR2907533A1 (fr) Systeme de detrompage pour le raccordement de canalisations sur un dispositif de commande de fluide.
JP2001082650A (ja) パッキング及びそれを用いた受口構造
JP2004204659A (ja) 配管ヘッダー部材
KR20220070318A (ko) 신속 연결부
US20170059071A1 (en) Pipe connector for connecting a fuel line of a fuel supply for a motor vehicle engine
JP2001159182A (ja) 下水管路用耐震継手
JP2005233414A (ja) ホース継手構造
FR3012441A1 (fr) Raccord fluidique destine a permettre le remplissage d'un reservoir auxiliaire de vehicule automobile
JP2000035170A (ja) 管接続用パッキン
FR3002612A1 (fr) Systeme de raccordement etanche d'un tuyau a double peau, et circuit hydraulique muni dudit systeme
JP4321671B2 (ja)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用継手
JP3629198B2 (ja) 可撓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