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898B1 -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898B1
KR101126898B1 KR1020090127173A KR20090127173A KR101126898B1 KR 101126898 B1 KR101126898 B1 KR 101126898B1 KR 1020090127173 A KR1020090127173 A KR 1020090127173A KR 20090127173 A KR20090127173 A KR 20090127173A KR 101126898 B1 KR101126898 B1 KR 10112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measurement
suction nozzle
dust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369A (ko
Inventor
이창건
정창욱
신진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8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에는, 먼지통이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먼지통을 조작하는 조작 위치와 먼지량을 측정하는 측정 위치가 이격되어 규정되는 먼지량 측정 공간; 상기 측정 위치에 배치되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먼지의 입자 농도가 희석되도록 하는 희석 장치; 상기 희석 장치에서 희석된 먼지의 입자수를 카운트 하는 입자 카운터; 상기 입자 카운터에서 카운트 된 입자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해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에 의하면, 먼지통 개방 및 비움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날림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케이스, 조작 홀, 흡입 노즐

Description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A device for measuring flying dust for a dust tank}
본 발명의 실시예는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에는, 흡입된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이 구비된다. 상기 먼지통은 일반적으로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정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진공 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면, 상기 먼지통에는 먼지가 쌓이게 된다. 사용자는 청소 완료 후에, 또는 먼지통에 먼지가 일정 수준 이상 쌓인 경우에, 상기 먼지통을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다.
먼지통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주변으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배출된 먼지는 대기중으로 날리게 된다.
상세히, 먼지통에는 개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먼지통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먼지통을 청소하기 위하여, 먼지통 커버를 개방하는 경우, 먼지통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외부로 퍼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먼지통을 비우는 과정에서도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미세 먼지를 비우기 위하여 먼지통을 두드리는 과정에서도 먼지가 외부 공기로 날려질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 날리는 먼지는 사용자의 코 또는 입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건강상 좋지 못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통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먼지가 주변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제품의 신뢰성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 청소기 분야에서는, 먼지통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먼지의 날림이 얼마나 발생하는지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먼지 날림의 양을 측정하지 못함으로써, 먼지 날림을 방지할 수 있는 먼지통을 제작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먼지통의 조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날림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에는, 먼지통이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먼지통을 조작하는 조작 위치와 먼지량을 측정하는 측정 위치가 이격되어 규정되는 먼지량 측정 공간; 상기 측정 위치에 배치되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먼지의 입자 농도가 희석되도록 하는 희석 장치; 상기 희석 장치에서 희석된 먼지의 입자수를 카운트 하는 입자 카운터; 상기 입자 카운터에서 카운트 된 입자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해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측정장치의 구성 및 작동이 간단하므로, 먼지통에서 배출되는 먼지의 양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먼지통의 조작 위치와 먼지량 측정위치를 별도로 설정하여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기에 작용되는 먼지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먼지 날림을 반복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수행이 반복되기 이전 에, 측정 공간의 먼지를 제거하여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측정 정확도 및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측정된 먼지량 자료를 기초로, 먼지통에 먼지 날림 방지구조를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인 먼지통 제작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날림 측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날림 측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날림 측정장치의 공기 순환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날림 측정장치(10)에는, 먼지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공간(101)이 형성되는 케이스(100) 및 상기 측정공간(101)에 분포되는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150)이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측정자의 손이 투입될 수 있는 조작 홀(105)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 홀(105)은 상기 케이스(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양 손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개방 가능한 커버(180)가 제공된다.
먼지통(51)은 상기 커버(180)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투입될 수 있으며, 측정자는 상기 조작 홀(105)에 손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51)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먼지량 측정이 종료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 공간(101)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팬 모터 어셈블리(130)가 포함된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순환 모터(132) 및 상기 순환 모터(132)의 일측에 제공되며 흡입력, 즉 공기 순환력을 발생시키는 순환 팬(134)이 포함된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는 공기 순환을 목적으로 하는 점에서 "공기순환 장치"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는 모터 챔버(110) 내에 수용된다.
상기 모터 챔버(110)에는, 상기 순환 모터(132)가 안착되는 모터 안착부(112)와, 상기 순환 팬(134)의 상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14)가 제공된다.
상기 모터 안착부(112) 및 지지 부재(114)는 상기 모터 챔버(110)의 하부 및 상부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지지 부재(114)에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순환되는 공기 (이하 "순환 공기")는 상기 모터 챔버(110)의 상측으로부터 유동되어, 상기 지지 부재(114)를 통과한 후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안착부(112)에는 순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113)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113)은 상기 모터 안착부(112)의 대략 중앙부가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를 통과한 순환 공기는 상기 배출공(113)을 통하여 하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챔버(110)의 하측에는, 순환 공기 중 먼지가 필터링 되도록 하는 필터부(120)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부(12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상기 측정 공간(101)이 다른 공간부, 즉 상기 모터 챔버(110) 또는 필터부(120),와 구획되도록 하는 분리 벽(107)이 제공된다.
상기 분리 벽(107)은 상기 모터 챔버(130)보다 더 높은 위치로부터 상기 필터부(120)의 하부까지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즉, 상기 분리 벽(107)의 일측에는 상기 측정 공간(10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모터 챔버(110) 및 필터부(120)가 배치된다.
따라서, 먼지량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정 공간(101)에 분포되는 먼지가 상기 모터 챔버(11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분리 벽(107)의 상측 및 하측에는, 순환 공기가 유동하는 상부 유로(108) 및 하부 유로(109)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유로(108)는 상기 측정 공간(101)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모터 챔버(110)의 입구부에 이르는 공간으로서, 순환 공기가 상기 측정 공간(101)에서 배출되어 상기 모터 챔버(110)에 유입되는 유로로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유로(108)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 형상으로 절곡되도 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유로(109)는 상기 필터부(120)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측정 공간(101)의 하측에 이르는 공간으로서, 순환 공기가 상기 필터부(120)를 거쳐 상기 측정 공간(101)으로 유입되는 유로로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유로(109)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정 공간(101)과 하부 유로(109)의 사이에는, 순환 공기가 통과되는 다공성 플레이트(140)가 제공된다.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140)는 상기 하부 유로(109)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측정 공간(101)의 하부 경계를 이룬다.
상기 하부 유로(109)를 통과한 순환 공기는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140)를 거쳐 상기 측정 공간(10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140)의 상측에는, 먼지량 측정시 먼지통을 비우는 과정에서 먼지를 투입하는 쓰레기통(8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 노즐(150)은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 노즐(150)은 상기 케이스(100)의 하면으로부터 h2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h2"는, 청소기 사용자의 평균적인 신장 및 호흡기 (코, 입)의 높이등을 고려하여 대략 160cm 정도의 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150)의 하단부, 즉 h2의 높이를 "측정 위치"로 규정한다.
이는, 사용자가 먼지통을 비우거나 청소할 때, 비산되는 먼지들 중 상기 h2 의 높이에 위치되는 먼지가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조작 홀(105)은 상기 케이스(100)의 하면으로부터 h1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h1"은, 청소기 사용자가 먼지통을 조작(청소)하는 높이를 고려하여 대략 120cm 정도의 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h1"은 청소기로부터 먼지통을 분리하여 먼지통 커버를 열거나, 먼지통을 비우는 행위를 하게 되는 위치가 된다. 상기 "h1"의 높이를 "조작 위치"로 규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h1과 h2는 서로 다른 높이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h2는 h1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150)에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160)가 연결되며, 상기 흡입 노즐(150)과 흡입 모터(160)의 사이에는, 연결 튜브(154)가 제공된다.
상기 흡입 모터(160)가 구동되면, 상기 흡입 노즐(150)에는 흡입력이 작용되며 상기 측정 공간(101) 내부의 먼지는 상기 흡입 노즐(150)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 노즐(150)에서 유입된 먼지는 상기 연결 튜브(154)를 경유하여 상기 흡입 모터(160)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흡입 노즐(150)로 유입되는 먼지는, 상기 측정 위치 주변에 분포되는 먼지가 될 것이다. 상기 흡입 노즐(150)을 통하여 유입된 먼지는 상기 흡입 모터(160)를 거쳐 희석 장치(210 : 도 4 참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측정 장치(10)의 작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측정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지통(51)은 상기 커버(180)를 통하여 투입된다. 그리고, 측정자는 상기 조작 홀(105)에 손을 집어넣어 상기 먼지통(51)을 파지한다.
상기 측정 공간(101)에 먼지를 분포시키기 위하여, 상기 먼지통(51)의 일측에 결합되는 먼지통 커버(52)를 개방시킨다. 이 때, 상기 먼지통(51)의 내외부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먼지통(51) 내부의 먼지는 상기 측정 공간(101)으로 비산되거나, 날림(flying)이 일어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먼지통(51)을 뒤집거나, 두드리는 조작에 의하여 상기 먼지통(51) 내부의 먼지를 상기 쓰레기통(80)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이 때, 비워지는 먼지는 비산되면서 상기 측정 위치(h2)까지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정 위치(h2) 주변의 먼지는 상기 흡입 노즐(150)로 흡입되어, 그 양이 측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일련의 먼지통(51) 조작 과정은 1회 수행으로 종료되지 않으며,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세히, 먼지통(51)을 조작하여 먼지가 상기 흡입 노즐(150)로 흡입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흡입 모터(160)는 OFF 되며 더 이상 흡입 노즐(150)의 흡입 작용이 수행되지 않는다.
상기 흡입 노즐(150)의 작용이 중단되더라도, 상기 측정 공간(101)에는, 먼지가 널리 분포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이후의 정확한 먼지량 측정을 위하여 상기 측정 공간(101) 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가 구동된다. 상기 순환 모터(132)가 구동되면, 상기 순환 팬(134)이 회전되면서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 공간(101)의 공기는 먼지와 함께 상기 측정 공간(101)의 상측으로 유동되며, 상기 상부 유로(108)를 거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로 유입된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를 거친 순환 공기는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필터링 된다. 그리고,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하부 유로(109) 및 다공성 플레이트(140)를 거쳐 상기 측정 공간(10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순환 모터(132)의 구동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공기의 순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측정 공간(101)의 먼지는 상기 필터부(120)에 걸러지게 된다. 결국, 상기 측정 공간(101) 내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다.
상기 측정 공간(101)의 공기가 정화됨으로써, 이후 상기 측정 공간(101)에 투입되는 먼지량의 측정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공기 순환 작용이 종료되면, 다시 먼지통(51)을 투입하여 조작함으로써, 상기 측정 위치에서의 먼지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수회 반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날림 측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날림 측정장치(10)에는, 상기 측정 공간(101)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노즐(150) 및 상 기 흡입 노즐(10)에서 이동된 먼지의 입자 농도를 희석시키는 희석 장치(210)가 포함된다.
상기 먼지 날림 측정장치(10)에는, 상기 희석 장치(210)에서 희석된 먼지 입자의 수를 카운트하는 입자 카운터(220) 및 상기 입자 카운터(220)에서 획득된 입자량에 대한 신호를 수집 및 변환하는 데이터 수집부(230)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날림 측정장치(10)에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23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해독하는 컴퓨터(2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컴퓨터(240)에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230)의 신호로부터 먼지량을 수치화하는 데이터 변환부(242) 및 수치화된 먼지량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44)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희석 장치(210)는, 상기 흡입 노즐(150)을 거친 먼지에 희석액 또는 희석 기체(공기 또는 질소)를 혼합하여 분석 수행에 적합한 농도의 먼지를 제조한다.
상기 입자 카운터(220)는, 상기 희석 장치(210)에서 희석된 먼지 입자의 수를 카운트하며, 카운트 된 입자수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입자 카운터(220)에서 생성되는 전기 신호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230)로 전달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230)는 상기 입자 카운터(220)와 컴퓨터(240) 사이의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을 하며, 상기 입자 카운터(220)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컴퓨터(240)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해독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242)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230)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시간별 먼지 입자수를 데이터화 한다. 그리고, 데이터화 된 입자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4)를 통하여 챠트 또는 그래프의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측정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먼지통 개방 조작"에 따른 먼지량 측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작 홀(105)을 통하여 먼지통(51)을 파지한 후 먼지통 커버(52)를 개방한다. 이 때, 상기 먼지통(51)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 또는 정전기적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먼지통(51) 내부의 먼지는 상기 측정 공간(101)으로 분산된다.
분산된 먼지는 상기 측정 위치(h2)까지 이동될 수 있다 (S11,S12).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160)가 구동되어 상기 흡입 노즐(150)이 작용하며, 상기 흡입 노즐(150)을 통하여 흡입된 먼지는 상기 희석 장치(210)에서 희석된 후, 상기 입자 카운터(220)에서 카운트 된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먼지통(51)이 개방된 이후에 상기 흡입 노즐(150)이 작용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와는 달리 상기 먼지통(51)이 개방되기 이전에, 상기 흡입 노즐(150)이 작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S13).
상기 입자 카운터(220)에서 카운트 된 먼지량에 관한 전기 신호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230)에서 수집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230)에서 전달된 신호 는 상기 컴퓨터(240)에서 데이터 변환 및 디스플레이 된다 (S14).
상기 먼지통 커버(52)가 개방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예를 들어, 상기 t1은 약 10초일 수 있다.
상기 제 1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다음 단계인 "먼지통 비움 조작" 단계로 넘어가며, 상기 제 1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S13 단계로 돌아간다 (S15).
상기 "먼지통 비움 조작" 단계에서, 상기 먼지통(51)을 뒤집는 등의 방법으로 내부 먼지를 비워낸다. 비워진 먼지는 상기 쓰레기통(80)에 투입될 수 있다 (S16).
비워진 먼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측정 공간(101)으로 날림이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 위치(h2)까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위치 주변의 먼지들은 공기와 함께 상기 흡입 노즐(150)로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먼지는 상기 희석 장치(210)에서 희석되며, 상기 입자 카운터(220)에서는 흡입된 먼지의 입자수가 카운트 된다 (S17).
상기 먼지통(51)의 비움이 시작된 후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t2)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예를 들어, 상기 t2는 약 20초일 수 있다.
상기 제 2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다음 단계인 "먼지통 두드림 조작" 단계로 넘어가며, 상기 제 2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S17 단계로 돌아간다 (S18).
상기 "먼지통 두드림 조작" 단계에서, 상기 먼지통(51)을 두드리는 방법으로 먼지통(51) 내부에 잔재하는 먼지를 털어낸다. 털어진 먼지는 상기 쓰레기통(80)에 투입될 수 있다 (S19).
털어진 먼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측정 공간(101)으로 날림이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 위치(h2)까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위치 주변의 먼지들은 상기 흡입 노즐(150)을 통하여 상기 입자 카운터(220)로 유입되며, 먼지의 입자수가 카운트 될 수 있다 (S20).
상기 먼지통(51)의 두드림이 이루어진 후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t3)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예를 들어, 상기 t3는 75초일 수 있다 (S21).
상기 제 3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흡입 모터(160)를 OFF시켜, 상기 흡입 노즐(150)의 작용이 중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입자 카운터(220)의 카운트 작용도 중지시킨다.
반면에, 상기 제 3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S20 단계로 돌아간다 (S22,S23).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먼지량 측정의 1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정리하면, 먼지량 측정의 1행정에는, "먼지통 개방 조작"과, "먼지통 비움 조작" 및 "먼지통 두드림 조작"이 포함된다. 이러한 조작들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수행되며, 각 조작에 대하여 상기 측정 위치(h2)에 분포되는 먼지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 상기 입자 카운터(220)에서의 카운트 작용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먼지량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컴퓨터(2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먼지량 측정의 1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를 구동 하여, 상기 측정 공간(101)에 잔재하는 먼지를 필터링 하며, 상기 측정 공간(101)의 공기를 정화시킨다.
상기 측정 공간(101)의 공기 정화가 수행된 이후에는, 상기 과정의 먼지량 측정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와 같이, 먼지량 측정 행정이 1회로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수 회 실시됨으로써,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먼지량 날림에 관련된 측정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먼지통(51)의 설계, 즉 먼지 날림 방지구조의 적용등에 관한 설계를 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의 먼지통 제작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날림 측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날림 측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날림 측정장치의 공기 순환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날림 측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측정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Claims (9)

  1. 먼지통이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먼지통을 조작하는 조작 위치와 먼지량을 측정하는 측정 위치가 이격되어 규정되는 먼지량 측정 공간;
    상기 측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먼지통을 조작하는 중에 먼지를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흡입 노즐;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먼지의 입자 농도가 희석되도록 하는 희석 장치;
    상기 희석 장치에서 희석된 먼지의 입자수를 카운트 하는 입자 카운터;
    상기 입자 카운터에서 카운트 된 입자수에 대응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상기 측정공간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순환 장치; 및
    상기 공기순환 장치의 작동중에 상기 측정공간에 잔재하는 먼지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가 포함되며,
    상기 흡입 노즐이 작동된 이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흡입노즐이 정지되고, 상기 공기순환 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을 조작하는 과정에는,
    먼지통 개방 조작과, 먼지통 비움 조작 및 먼지통 두드림 조작이 포함되는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 장치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순환 모터; 및
    상기 순환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순환 팬이 포함되는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 장치가 수용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와 측정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벽이 더 포함되는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측정 공간으로부터 상기 공기순환 장치를 향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일 유로; 및
    상기 공기순환 장치로부터 측정 공간을 향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타 유로가 포함되는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조작 위치에 형성되며, 측정자의 손이 투입되도록 하는 조작 홀이 포함되는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조작 홀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KR1020090127173A 2009-12-18 2009-12-18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KR10112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173A KR101126898B1 (ko) 2009-12-18 2009-12-18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173A KR101126898B1 (ko) 2009-12-18 2009-12-18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369A KR20110070369A (ko) 2011-06-24
KR101126898B1 true KR101126898B1 (ko) 2012-03-19

Family

ID=4440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173A KR101126898B1 (ko) 2009-12-18 2009-12-18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8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245Y1 (ko) * 2002-10-30 2003-01-24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먼지측정시스템의 에어 샘플링 장치
KR100787631B1 (ko) * 2006-09-22 2007-12-21 (주)광전엔지니어링 클린 벤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245Y1 (ko) * 2002-10-30 2003-01-24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먼지측정시스템의 에어 샘플링 장치
KR100787631B1 (ko) * 2006-09-22 2007-12-21 (주)광전엔지니어링 클린 벤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369A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83611B2 (en) Upright-type vacuum cleaner
US10716444B2 (en) Vacuum cleaner having cyclonic separator
US7410535B2 (en)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EP1652458A2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EP1674023A1 (en)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unit and vacuum cleaner comprising same
KR101411711B1 (ko) 로봇 청소기
JP2001029288A (ja) 電気掃除機
JP2006175200A (ja) 掃除機
US20080229539A1 (en) Upright vacuum cleaner using return current of discharging air
JP2006223842A (ja) 吸引掃除機用のサイクロン式分離器
JP2004344647A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KR20060125952A (ko) 집진 유니트
KR20070061643A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KR20070089457A (ko) 진공 청소기
KR101126898B1 (ko) 먼지통의 먼지 날림 측정장치
JP2007021176A (ja) ゴミ分離装置
JP2004024887A (ja) 電気掃除機
JP5077473B1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及び電気掃除機
KR101174915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JP2007313057A (ja) 電気掃除機
KR20070099323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JPWO2018168142A1 (ja) 吸込み具と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0237515A (ja) バグフィルター
KR101147778B1 (ko) 진공 청소기
TWI629041B (zh) 電動吸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