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607B1 -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607B1
KR101126607B1 KR1020110015842A KR20110015842A KR101126607B1 KR 101126607 B1 KR101126607 B1 KR 101126607B1 KR 1020110015842 A KR1020110015842 A KR 1020110015842A KR 20110015842 A KR20110015842 A KR 20110015842A KR 101126607 B1 KR101126607 B1 KR 101126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tual
client terminal
providing server
service providing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324A (ko
Inventor
홍영택
홍한택
Original Assignee
김영희
홍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희, 홍영택 filed Critical 김영희
Publication of KR2011010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으로서,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제례일시, 제사방식 및 제례에 필요한 물품, 초청 메시지 발송 등을 예약함으로써, 방문 또는 매번 일일이 전화통화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함과 동시에 제례에 필요한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고, 멀리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온라인을 통해 제사에 참여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제사 음식 등의 위치와 가격을 변경하여 원하는 제사상을 설계함으로써, 제례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비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METHOD FOR SETTING ANCESTRAL RITES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례식장 예약, 음식 위치 변경 등의 제례상 설계 및 초청메시지 발송과 같이 제례에 필요한 모든 제반 사항을 인터넷을 통해 한번에 세팅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하면 그 자손이나 친족 및 친지는 장례의식에 맞추어 장사를 지내고, 고인이 돌아가신 날이 돌아오면 일정 의식에 맞추어 고인을 기억하며 추모하는 제사를 지내게 된다.
이때, 제사를 지내는 사람들은 각자의 생활방식 및 종교가 다름에 따라 고인의 제사를 교회, 절, 성당 및 제례식장 등의 여러 장소에서 지내고 있다.
상기 장소 중, 제례식장에서 제사를 지내는 경우에는 보통 장손이 있는 지역에서 제사를 지내는 바, 장손은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제례식장을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 통화를 통해 예약하고, 친족 및 친지들에게 매번 일일이 알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제례식장에서 가까이 살고 있는 사람들은 제사 기일에 맞추어 부담없이 참석할 수 있지만, 멀리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은 제사에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현재 제례식장에서는 운영자가 제례와 관련된 제사상과 제사음식을 미리 정해 놓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사상, 음식물의 위치 및 가격을 원하는 대로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례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제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제례일시, 참석인원, 방의 크기, 제사방식 및 제례에 필요한 물품을 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래되는 제사 기일에 맞춰서 초청인에게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리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제례식장에서 행해지는 제사 영상을 실시간으로 중계함으로써 온라인을 통해 제사에 참석할 수 있게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제사 음식 등의 위치와 가격을 변경하여 원하는 제사상을 설계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은, (A)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인터넷망(150)을 통해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홈페이지에 접속(S310)을 하고, 제례식장의 예약 지점을 검색(S312)하는 단계; (B)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예약 요청에 따라 예약 페이지를 디스플레이(S314)시키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가격 및 방 크기에 따른 제례식장 선택신호를 수신(S316)하는 단계; (C)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제사일시와 제사방식과 관련된 사용자 선택 정보 및 초청인원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예약창을 통해 수신하여 등록(S318)하는 단계; (D)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가격 및 지역별로 분류된 상차림 메뉴들을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어느 하나의 상차림 메뉴를 선택(S320)받는 단계; (E)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메시지 발송부(252)를 통해 상기 (C) 단계에서 등록된 초청인들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메시지를 발송하여, 선택된 상차림 메뉴에 대한 의견들을 각 초청인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수렴(S322)하는 단계; 및 (F) 상기 (D) 단계 및 (E) 단계를 통해 선택된 하나의 상차림 메뉴에 대한 변경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S324)하여, 선택된 상차림 메뉴에 대한 별다른 의견이 없으면 제례식장의 예약을 완료(S328)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G) 상기 (F)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된 상차림 메뉴의 변경에 대한 요청이 발생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상차림 메뉴의 가격, 음식의 종류 및 위치 중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상차림 메뉴를 다시 세팅(S326)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H)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웹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제사 영상을 영상 전송부(254)를 통해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전송(S33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I) 상기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상기 (C) 단계를 통해 등록된 제사일시 전에 초청인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문자나 이메일을 통해 제사 안내 메시지를 발송(S332)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제례일시, 제사방식 및 제례에 필요한 물품, 초청 메시지 발송 등을 인터넷을 통해 예약함으로써, 방문 또는 매번 일일이 전화통화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함과 동시에 제례에 필요한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멀리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온라인을 통해 제사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제례식장에 직접 참석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심적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제사 음식 등의 위치와 가격을 변경하여 원하는 제사상을 설계함으로써, 제례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비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에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원가입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점 검색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격 및 방 크기에 따라 분류된 제례식장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예약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초청인원 정보 입력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본적인 상차림 메뉴들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추가 음식의 위치를 세팅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에 적용되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에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에 적용되는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인터넷망(150),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 및 DB 서버(2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인터넷망(150)을 통해 상기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제례관련 정보를 확인 및 선택하여 세팅하는 고객용 단말기로서, 인터넷망(150)을 통해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01), 사용자로부터의 제례관련 정보와 ID 및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103),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제례관련 정보인 예약페이지 및 상차림 메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105),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정보와 각종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된 저장부(107) 및 상기 각 부(101, 103, 105 및 107)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제례와 관련된 예약, 메시지발송 및 제사상을 설계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10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101)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 간에 데이터 송수신시 요구되는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함과 동시에 IP 패킷과 이더넷 패킷 상호간의 패킷 변환을 수행하며, 입력부(103)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210) 및 입력부(230)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상기 인터넷망(150)은 컴퓨터를 통하여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및 와이파이(Wi-Fi)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합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제례식장에 구비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제례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인터넷망(150)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제례관련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10), 상기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에 대한 업데이트 및 각종 제례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230), 각종 제례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화면 및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250),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제사 기일이 도래하면 참석 예상자들에게 문자 또는 메일을 통해 제사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는 메시지 발송부(252), 제례식장에서 진행되는 제사 관련 영상을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254),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의 제사 음식 선택에 따른 견적 금액을 계산하여 제공하는 계산부(256), 상기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정보 및 각종 제례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70) 및 상기 각 부(210, 230, 250, 252, 254, 256 및 270)의 기능을 제어하여, 각종 제례관련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DB 서버(280)는 상기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제례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전지역에 프랜차이즈 가맹점식으로 가입된 지점의 위치, 주소 및 지도를 저장하고 있는 지점 DB(281)와, 제례식장의 예약에 필요한 제례일시, 참석인원, 방의 크기, 제사방식 및 제례물품 테이블과 예약자의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예약 DB(282)와, 신위, 제사상, 제기세트, 병풍, 교자상, 향로, 촛대와 같이 제사에 필요한 용품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제화용품 DB(283)와, 제사상에 올려지는 음식에 대한 이미지 및 리스트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음식 DB(284)와, 제사상에 올려지는 음식의 각 가격 및 총 가격을 저장하고 있는 가격 DB(285)와, 제사 기일이 도래하여 발송되는 참석예상자의 전화번호, 메일 어드레스 및 발송 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문자 및 메시지 DB(286), 제사를 진행함에 따른 영상들을 저장하고 있는 동영상 DB(287)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사용자의 회원 가입에 따른 ID, 비밀번호, 이름, 전화번호, 메일 주소 등을 저장하고 있는 회원 DB(288)를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통신가능한 컴퓨터 장치로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가지고 있고,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 등을 포함하며, 최소한 window98 이상의 운영체제, pentium급 이상의 CPU, 64Mb 이상의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상술한 컴퓨터 장치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제례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검색 및 입력할 수 있기만 하면 PDA,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이동전화와 스마트폰 및 IMT-2000 등이어도 상관없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원가입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점 검색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격 및 방 크기에 따라 분류된 제례식장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예약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초청인원 정보 입력창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본적인 상차림 메뉴들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추가 음식의 위치를 세팅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인터넷망(150)을 통해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제례관련 홈페이지에 접속(S310)을 하고, 제례를 진행하고자 하는 제례식장의 예약 지점을 검색(S312)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원가입창에 ID, 비밀번호, 이름,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및 주소 등을 입력하여 회원으로 가입하게 되며, 이 회원가입 정보는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의 회원 DB(288)에 저장된다. 또한,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지점 DB(281)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례식장의 각 지점을 지역별로 지도와 주소를 통해 제공한다.
다음에,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예약 요청에 따라 예약 페이지를 디스플레이(S314)시키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가격 및 방 크기에 따른 선택신호를 수신(S316)한다.
이때, 상기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례식장의 가격(금액) 및 방 크기에 따라 분류된 여러 개의 방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동시에,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예약창을 통해 제사와 관련된 기본정보 및 초청인원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S318)한다.
이때,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예약 DB(282)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창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매년 도래하는 제사일시, 참석인원수 및 제사방식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초청인원에 대한 연락처 정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락방법, 연락시기,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를 포함한다.
그 다음,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제화용품 DB(283)를 통해 가격 및 지역별로 분류된 기본적인 상차림 메뉴들을 도 9와 같이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어느 하나의 상차림 메뉴를 선택받는다(S320).
이후,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메시지 발송부(252)를 통해 상기 S318 단계에서 등록된 초청인들, 즉 친족 및 친지들에게 문자나 메일을 통해 메시지를 발송하여, 선택된 상차림 메뉴에 대한 의견들을 수렴(S322)한다.
상기 S322 단계 이후에, 초청인들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S320 단계에서 선택된 하나의 상차림 메뉴에 대한 변경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S324)하여, 선택된 상차림 메뉴에 별다른 의견이 없으면 예약비용을 온라인 송금 후 제례식장의 예약을 완료(S328)한다.
그러나, 상기 S324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된 상차림 메뉴의 변경에 대한 의견이 발생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상차림 메뉴의 가격, 음식의 종류 및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차림 메뉴를 다시 세팅(S326)한 후 예약을 완료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차림 메뉴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원하는 생선이 없는 경우에는, 음식 검색란(231)에 추가하고자 하는 음식, 즉 생선을 입력하면 추가음식란(233)에 생선과 관련된 음식들이 열거되며,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마우스를 통해 해당 음식을 추가음식란(233)에서 클릭 후 드래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제사상 위치에 세팅한다. 이때, 상기 도 10에 도시된 기본적인 상차림 메뉴의 각 음식들은 마우스를 통해 각각 이동 및 삭제가 가능하며, 각 음식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면 설명선(235)을 통해 음식 가격이 디스플레이되고, 상차림 메뉴의 세팅이 완료되면 계산부(256)를 통해 총액란(257)에 상차림에 대한 전체적인 비용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례식장의 예약이 완료된 후, 제사 기일이 도래하여 예약 일자에 제사가 진행되면,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웹 카메라(도시 생략)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제사 영상을 영상 전송부(254)를 통해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전송(S330)함과 동시에 동영상 DB(S287)에 저장하여, 제사가 완료된 이후에도 제사에 참가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제사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차후의 제사가 도래하면 상기 S318 단계를 통해 등록된 제사일시의 며칠 전에 초청인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문자나 이메일을 통해 제사 안내 메시지를 발송(S332)하여, 반드시 참가하여야 하는 제사를 잊지 않게 상기시킨다.
따라서, 제례식장 예약, 제례상 설계 및 초청메시지 발송과 같이 제례에 필요한 모든 제반 사항을 인터넷을 통해 한번에 세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례식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례식장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의 일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결혼식, 돌잔치, 회갑연 및 장례식장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클라이언트 단말기 150 : 인터넷망
200 : 제례서비스 제공서버 210 : 인터페이스부
230 : 입력부 250 : 출력부
252 : 메시지 발송부 254 : 영상전송부
256 : 계산부 270 : 저장부
280 : DB 서버 281 : 지점 DB
282 : 예약 DB 283 : 제화용품 DB
284 : 음식 DB 285 : 가격 DB
286 : 문자 및 메시지 DB 287 : 동영상 DB
288 : 회원 DB

Claims (4)

  1.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례식장을 세팅하는 방법으로서,
    (A)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인터넷망(150)을 통해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홈페이지에 접속(S310)을 하고, 제례식장의 예약 지점을 검색(S312)하는 단계;
    (B)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예약 요청에 따라 예약 페이지를 디스플레이(S314)시키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가격 및 방 크기에 따른 제례식장 선택신호를 수신(S316)하는 단계;
    (C)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제사일시와 제사방식과 관련된 선택 정보 및 초청인원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예약창을 통해 수신하여 등록(S318)하는 단계;
    (D)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가격 및 지역별로 분류된 상차림 메뉴들을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어느 하나의 상차림 메뉴를 선택(S320)받는 단계;
    (E)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메시지 발송부(252)를 통해 상기 (C) 단계에서 등록된 초청인들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메시지를 발송하여, 선택된 상차림 메뉴에 대한 의견들을 각 초청인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통해 수렴(S322)하는 단계; 및
    (F) 상기 (D) 단계 및 (E) 단계를 통해 선택된 하나의 상차림 메뉴에 대한 변경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S324)하여, 선택된 상차림 메뉴에 대한 별다른 의견이 없으면 제례식장의 예약을 완료(S328)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G) 상기 (F) 단계의 판단 결과, 선택된 상차림 메뉴의 변경에 대한 요청이 발생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상차림 메뉴의 가격, 음식의 종류 및 위치 중어느 하나를 변경하여 상차림 메뉴를 다시 세팅(S326)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H)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웹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제사 영상을 영상 전송부(254)를 통해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전송(S33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I) 상기 제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상기 (C) 단계를 통해 등록된 제사일시 전에 초청인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문자나 이메일을 통해 제사 안내 메시지를 발송(S332)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
KR1020110015842A 2010-03-12 2011-02-23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 KR101126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92 2010-03-12
KR20100022192 2010-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324A KR20110103324A (ko) 2011-09-20
KR101126607B1 true KR101126607B1 (ko) 2012-03-23

Family

ID=4495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842A KR101126607B1 (ko) 2010-03-12 2011-02-23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6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956A (ko) 2018-03-27 2019-10-08 정순조 증강현실을 통한 제사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581161B1 (ko) * 2022-11-18 2023-09-21 홍성훈 유저가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제사장소와 제사절차와 제사상을 큐레이팅하여 매칭해주는 플랫폼의 운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835B1 (ko) * 2012-12-31 2014-06-09 권미희 제사 공간과 제사 음식 대행 시스템 및 방법
CN105744204A (zh) * 2014-12-24 2016-07-06 尤尼因弗株式会社 基于在线视频流的实时双向祭祀参与服务的提供方法及系统
KR102371640B1 (ko) * 2019-07-17 2022-03-07 윤서진 제사식장과 그를 이용한 제사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5686B1 (ko) 2021-09-09 2021-11-12 윤서진 제사식장을 이용한 제사 대행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817A (ko) * 2000-06-27 2000-09-05 한윤동 인터넷을 이용한 장례 비즈니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1728A (ko) * 2000-03-17 2001-10-23 김승일 인터넷을 이용한 예식장 예약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7739A (ko) * 2000-07-18 2002-01-29 최대성 인터넷을 이용한 장례용품의 예약 서비스 방법
KR20070045716A (ko) * 2005-10-28 2007-05-02 삼원에프에이 (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조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728A (ko) * 2000-03-17 2001-10-23 김승일 인터넷을 이용한 예식장 예약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4817A (ko) * 2000-06-27 2000-09-05 한윤동 인터넷을 이용한 장례 비즈니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7739A (ko) * 2000-07-18 2002-01-29 최대성 인터넷을 이용한 장례용품의 예약 서비스 방법
KR20070045716A (ko) * 2005-10-28 2007-05-02 삼원에프에이 (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조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956A (ko) 2018-03-27 2019-10-08 정순조 증강현실을 통한 제사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581161B1 (ko) * 2022-11-18 2023-09-21 홍성훈 유저가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제사장소와 제사절차와 제사상을 큐레이팅하여 매칭해주는 플랫폼의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324A (ko) 201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607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제례식장 세팅방법
US20090112467A1 (en) Map-centric service for social events
US9918193B1 (en) Hybrid electronic navigation and invitation system
KR20220018455A (ko) 비대면 추모 및 주요 장례절차 실시간 스트리밍이 가능한 온라인 장례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
JP6736071B1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墓参支援システム、墓参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019564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Works of Art to a Viewer
JP2020067714A (ja) イベント管理システム及びイベント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バ装置
US20150326623A1 (en) Real time monitoring of user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selective receipt of virtual cards
JP6030891B2 (ja) 宿泊施設の空室情報を提供し該情報に基づいて利用者が宿泊施設に通信するための宿泊施設情報システム
KR20200070464A (ko) 사용자 참여형 여행정보 제공 시스템
KR20160037470A (ko) 행사 관리 방법
JP2019067165A (ja) 予約システム
JP2017130018A (ja) サーバ装置、予約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01120A (ko) 온라인 식당 예약 통합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05107786A (ja) 行事の打ち合わせ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20088889A (ko) 모임 대표자 단말에 참석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예약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5190000A (ja) インテリアプランニングシステムとインテリアプランニングの方法およびインテリアプランニングプログラム
JP2021140414A (ja) グループ注文支援方法
EP2675136A1 (en) Method for enabling contact via a virtual communication platform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21162944A (ja) イベント管理システム
KR101729691B1 (ko) 스마트 액자 및 그것을 포함하는 경조비 관리 시스템과 방법
KR101297621B1 (ko) 개인 홈페이지의 배경 컨텐츠 자동 변경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4798A (ko) 제약 영업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60326A (ja) 宿泊予約システム
JP7263448B2 (ja) 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