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931B1 -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931B1
KR101125931B1 KR1020080120182A KR20080120182A KR101125931B1 KR 101125931 B1 KR101125931 B1 KR 101125931B1 KR 1020080120182 A KR1020080120182 A KR 1020080120182A KR 20080120182 A KR20080120182 A KR 20080120182A KR 101125931 B1 KR101125931 B1 KR 101125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less
weight
inclusions
cor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598A (ko
Inventor
정환교
고성웅
권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12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9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조선의 원유탱크 바닥과 같이 원유에 포함된 염수와 부식에 의하여 염수의 염기도가 낮아진 용액환경 내에서 우수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그 강도가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박용 강재는 C : 0.02~0.2중량%, Si: 0.05~1.5중량%, Mn: 0.2~2.0중량%, P: 0.015중량% 이하, S: 0.003중량% 이하, Cu: 0.05~1.0중량%, Ti: 0.005~0.05중량%, Al: 0.001~0.1중량%, N: 0.001~0.008중량%에 더하여 Ni: 0.05~3.0중량%, Cr: 0.02~0.5중량%, Mo: 0.02~0.5중량%, W: 0.02~0.5중량% 및 Ca: 0.0005~0.01중량%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분 중 C, Si, Mn, Cu, Ni, Cr, Mo 및 W가 1.5>C+2.5Si+0.3Mn+4Ni+3W-3Cu-4Mo-6Cr의 관계를 충족하는 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부부식, 공식, 선박용 강재, 강산, 염수용액, 인성

Description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HIGH TOUGHNESS SHIP-BUILDING STEEL WITH EXCELLENT GENERAL CORROSION AND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AT LOW PH CHLORIDE SOLU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조선의 원유탱크 바닥과 같이 원유에 포함된 염수와 부식에 의하여 염수의 염기도가 낮아진 용액환경 내에서 우수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그 강도가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사용되는 다양한 강재중 특히, 유조선용 원유탱크에 사용되는 강재는 원유탱크 내부의 환경에 의하여 매우 심각한 부식손상이 발생한다. 원유탱크 내면에서는 원유 중의 휘발성분이나 혼입해수, 유전염수중의 염분 방폭을 위해 탱크속으로 보내지는 불활성가스, 내부 기온차에 의한 결로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부식이 진행되며, 그 부식속도 또한 일반염수환경에 비해서 월등히 크다. 특히, 원유 탱커의 유도 바닥판에서는 직경 50mm 이하의 식공(Pit)들이 다수 발생하며, 식공들의 성장속도는 최대 4mm/y에 이르기도 한다. 원유탱크의 바닥판과 달리 상판에서는 부식속도가 최대 0.3mm/y로 선체 설계시에 고려하는 부식에 의한 평균 쇠모속도인 0.1mm/y를 크게 초과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부식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원유탱크 재료에 방식 도장을 실시하는 것이 일부 시행되고 있지만, 초기 도장 비용 및 향 후 재도장의 비용이 발생하고 일부 도장 결함부에서는 국부부식이 더욱 조장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식에 의한 두께 손실을 감안하여 강판두께를 더욱 두껍게 할 경우 강재비의 상승 뿐만 아니라 선박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지므로 연료소모량의 증가 등 여러가지 문제들이 발생하므로 최근들어 국부부식 및 전면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선박용 강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원유탱크내 부위별 부식형태 및 부식속도의 차이는 부식환경 및 부식기구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원유탱크 상판에서는 원유에서 증발되는 H2S 가스와 방폭을 위하여 투입되는 불활성가스중 CO2, SO2, O2등의 가스가 기온차에 의해 강재표면에 형성된 결로와 반응하여 부식이 진행된다. 반면, 바닥판에서는 원유중에 포함된 염수나, 주변에서 유입된 해수에 의하여 부식이 시작되나, 부식되는 부위가 오일코팅층의 결함이 발생한 부위로 한정되어 있고, 이러한 국부적인 부위에서의 부식은 부 식이 진행되면서, 부식부에 존재하는 염수를 산성화 시킨다. 부식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소이온이 염수의 염소이온과 결함하고 부식부위에 계속 정체함으로 국부적인 부식부위는 점점 산성화되고 산성화에 따라 부식속도는 점점 빨라지므로 매우 빠른 부식속도를 보이는 식공의 형태로 성장하게 된다. 실제로 운항중인 선박에서 발견된 식공 내부에서 채취된 용액을 분석한 결과 pH가 1.0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낮은 산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원유탱크로 사용되는 강재는 강산 염수분위기에서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근 원유의 채굴환경이 극지나 심해로 이동함에 따라 원유수송선의 이동경로 또한 극지로 변화되고 있다. 극지부근 운항시 해양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선박에 사용되는 강재의 인성 보증 온도 또한 낮아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선박용 강재도 고강도가 요구되고 있는 추세에서 고강도화가 됨에 따라 인성은 나빠지게 되므로 강도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인성이 우수한 강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선박에 사용되는 다양한 강재중 특히, 유조선용 원유탱크에 종래부터 사용되어 왔던 강재는 유조선들이 대부분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운항되어 인성에 대해서는 크게 고려되지 않은 낮은 수준의 인성이 요구되는 소위 A 등급(Grade)의 일반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극지 운항을 위해서는 보다 향상된 인성을 요구하는 D, E Grade의 강재사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원유수송용 탱크 강재도 부식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우수한 부식저항성을 가짐과 동시에 모재인성이 우수한 강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박용 강재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서는 현재까지 하기하는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0-17381호 공보는 선박 외판, 밸러스트 탱크, 화물 오일 탱크, 광탄선 화물 홀드 등의 사용 환경에서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조선용 강을 제안하고 있는데, 상기 공보에 제안된 조선용 강은 중량%로, C:0.01~0.25%, Si:0.05~0.50%, Mn:0.05~2.0%, P:0.10%이하, S:0.001~0.10%, Cu:0.01~2.00%, Al:0.005~0.10%, Mg:0.0002~0.0150%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조선용 내식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또한 Ni, Cr, Mo, W, Ca, REM, Ti, Nb, V, B, Sb, Sn의 1종 이상을 적량 함유하는 강이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공개 2001-17381호 공보에 기재된 내식성이 우수한 원유수송용 강재는, 그 조성 중 Si의 함량을 0.5% 이하로 제한하기 때문에 바닥판에서 생기는 국부부식의 진전속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며, 또한 Ni, Cu, Cr을 0.5% 이상으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강의 제조시 슬라브 표면균열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첨가한 합금량은 반면 그에 상응하는 우수한 내식성을 얻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합금원소량이 높아지게 되므로 용접성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1-214236호 공보는 원유 탱커, 석유 탱크 등에 있어 액체 연료 및 원유, 중유 등의 원 연료를 저장한 때에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강을 제안하고 있는데, 상기 공보에는 중량%로, C:0.003~0.30%, Si:2.0%이하, Mn:2.0%이하, Al:0.10%이하, P:0.050%이하, S:0.050%이하, 이것에 더하여, Cu:0.01~2.0%, Ni:0.01~7.0%, Cr:0.01~10.0%, Mo:0.01~4.0%, Sb:0.01~0.3%, Sn:0.01~0.3% 의 어느 한쪽 1 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원유 및 중유 저장고용 내식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Sb와 Sn은 주로 인장강도 향상을 위하여 첨가되는 원소로 내식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반면 연신율과 충격치를 감소시킨다. 또한 두 원소 모두 융점이 낮은 원소로 열간가공시 적열취성, 템퍼링취성, 저온취성등의 원인이므로 이들 원소의 첨가는 강의 제조공정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내식강에 대한 또다른 제안으로 일본 특허공개 2002-173736호 공보를 들 수 있는데, 상기 공보에서는 원유를 수송?저장한 탱크의 환경하에서도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강재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공보에서 제공하는 강재는 C:0.001 ~0.20%, Si:0.10~0.40%, Mn:0.50~2.0%, P:0.020%이하, S:0.010%이하, Al:0.01~0.10%, Cu:0.5 ~1.5%, Ni:0.5 ~3.0%, Cr:0.5 ~2.0%를 포함하고, 또는 또한, 1.0≤0.3 Ni+2.0 Cr-0.5 Cu≤3.8 (여기서, Ni, Cr, Cu : 각 원소의 함유량 (질량%)) 만족하는 조성을 갖는 강소재에, 열간 압연을 행하고, 0.1 ~20℃/sec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재 는 상기 조성에 더하여 Mo, Ti, Nb, V, B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종 이상, Zr, Ca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을 더 포함할 수 있는 조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 역시 일본 특허공개 2001-17381호와 마찬가지로 원유 유조환경에서 내식성 향상에 유리한 Si을 0.4% 이하로 제한하기 때문에 바닥판에서 생기는 국부부식의 진전속도 감소에 악영향을 미치고, Ni, Cu, Cr을 0.5% 이상으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강의 제조시 슬라브 표면균열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합금첨가량에 따른 비용대비 내식성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3-82435호 공보는 내식성이 우수한 값이 싼 화물 오일 탱크용 강재에 대한 제안으로 C:0.01~0.3% Si:0.02~1% Mn:0.05~2% P:0.05%이하 S:0.01% 이하 Ni:0.03~3%를 함유하고, 잔부 Fe와 불순물으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Mo, Cu, Cr, W, Ca, Ti, Nb, V, B, Sb, Sn 및 Al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강재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또다른 구현례에서는 C:0.01~0.3% Si:0.02~1% Mn:0.05~2% P:0.05%이하 S:0.01%이하 Ni:0.01~3% Cu:0.01~2% Cr:0.05%이하 Al:0.07%이하를 함유하고, 잔부 Fe와 불순물으로 되고, 입경 30μm을 초과한 개재물이 1cm2 당 30개 미만이고, 또한, 조직 중 펄라이트의 %단위 비율인 Ap와 탄소의 질량%인 C의 관계가 Ap/C≤130을 충족시키는 강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서는 Cr 첨가가 원유유조환경에서 내식성에 유해하기 때문에 0.05%이하로 제한하고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으나, 이는 강산 염수조건하에서는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서, Cr을 첨가하지 않음으로써 충분한 내식성과 강도 향상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 특허공개 2005-0008832호 공보는 강재 유조에서 발생하는 원유 부식에 대해 우수한 전면(全面) 내부식성 및 국부(局部) 내부식성을 나타내고, 또한 고체 S를 함유하는 부식 생성물(슬러지)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용접 구조용의 원유 유조용 강(油槽用鋼), 원유 유조용 강의 제조 방법, 원유 유조 및 원유 유조의 방식(防蝕)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공보를 참고하면 기본 성분으로서 질량%로 C: 0.001~0.2%, Si: 0.01~2.5%, Mn: 0.1~2%, P: 0.03% 이하, S: 0.007% 이하, Cu: 0.01~1.5%, Al: 0.001~0.3%, N: 0.001~0.01%를 함유하고, Mo: 0.01~0.2%, W: 0.01~0.5%의 1종 혹은 2종을 더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용 Mo + 고용 W=0.005%를 만족함으로써, 원유 유조 환경에서의 전면 내부식성 및 국부 내부식성을 나타내며, 또한 고체 S를 함유하는 부식 생성물(슬러지)의 생성을 억제하는 강재가 제공됨을 알 수 있다.
Pcm=C+Si/30+Mn/20+Cu/20+Ni/60+Cr/20+Mo/15+V/10+5B.
그러나, 상기 공보 역시 일본 특허공개 2003-82435호와 마찬가지로 Cr 첨가 가 내식성에 유해하기 때문에 0.05%이하로 제한하고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시험한 결과 Cr의 첨가는 원유유조환경에서 내식성에 전혀 유해하지 않으며, 내식성 향상 및 강도향상에 유리하므로 Cr 첨가 제한을 통하여 내식성 향상을 얻을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5-171332 호는 선박 밸러스트 탱크의 보수 재도장 수명의 연장 및 보수 재도장 작업의 경감에 기여하고, 용접성, 용접부 인성의 열화나 제조 비용의 상등을 회피할 수 있는 내식성이 우수한 선박 밸러스트 탱크용 강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공보를 참고하면 스케일을 제거한 강재의 표면에 아연 리치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있는 아연 리치 프라이머 도포 강재로서, 상기 강재가, 중량%로, C:0.03~0.2%, Si:0.5%이하, Mn:2.0%이하, P:0.03%이하, S:0.01%이하, Al:0.005~0.06%, Ni:0.1~1.0%, N:0.0020~0.0065%, Ti:0.005~0.024%, 을 함유하고, 남은 물건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짐으로써 내식성을 가질 수 있음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서 제공하는 강재는 해수분위기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강재의 표면에 아연리치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무도장으로 강산 염수분위기에서 사용되는 강재와는 거리가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의 강재 역시 Si 함량이 낮고 Cr을 첨가하지 않으므로 강산 염수분위기에서는 충분한 내식성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5-290479호 공보는 녹방지 도료를 도포하지 않은 대로 사용 되는 경우라도, 우수한 내국부 부식성을 가지는 원유 탱크 바닥판용 강재에 대한 제안으로, 화학 성분으로서, mass%로, C:0.001~0.20%, Si:0.01~1.0%, Mn:0.1~1.5%, P:0.03%이하, S:0.01%이하를 포함하고, 또한, Cu:0.1~1%, Ni:0.01~2%, Cr:0.1~4%, Mo:0.001~1% 중의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으로 되는 조성을 가지고, 아래와 같은 식(1)으로 표 되는 Pcm의 값이 0.2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의 수송 탱크 또는 원유의 저장 탱크의 바닥판에 사용되는 우수함 지는 내국부부식성을 가지는 원유 탱크 바닥판용 강재이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강재에서는 내식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원소인 Cu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Cu 미첨가시 충분한 내식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장을 실시하지 않고서도 충분한 내식성을 가지는 강재의 일례로서 국내 특허공개 2006-0069937호를 들 수 있다. 상기 공보는 도장이나 전기 부식 방지를 실시하지 않아도 실용화할 수 있는 내식성이 우수한 선박용 강재, 특히 전기 부식 방지가 작용하지 않는 밸러스트 탱크 내의 상부나 원유 탱크 상갑판 등의 습윤한 대기 분위기에 있어서, 틈 부식 등에 대해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하는 선박용 강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공보에서 제공하는 선박용 강재는 C 0.01 내지 0.20%(이하, "%"는 질량%를 의미한다), Si 0.01 내지 0.50%, Mn 0.01 내지 2.0%, Al 0.05 내지 0.50%, Cu 0.01 내지 5.0%, Cr 0.01 내지 5.0%를 각각 함유하는 점 외에, P 0.020% 이하(0% 포함) 및 S 0.010%(0% 포함)로 각각 억제하여, 잔여량이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국내 특허공개 2006-0069937호 공보에 기재된 강재는 도장이나 전기부식 방지를 실시하지 않아도 실용화할 수 있는 강재로서, 밸러스트나 원유탱크의 상판에 상갑판에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바와 같이 강재가 용액 내에 침지된 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습윤한 대기 분위기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대상 강재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Si을 0.5% 이하로 제한하고 있으며 강도 및 내식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Mo, W은 첨가하지 않았으므로 충분한 내식성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까지 제시된 기술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식성 향상에는 어느정도 촛점을 두고 있으나 강재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은 거의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강재의 내식성과 인성이 동시에 충족되는 선박용 강재는 현재까지 거의 제시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강재의 내식성과 저온인성을 동시에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일본 특허공개 2007-177302호를 들 수 있다. 상기 공보에서는 Mg와 Co를 첨가함으로써 내식성과 저온인성을 동시에 개선한 선박용 고장력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 명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Co는 오히려 원유 유조환경에서 내식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또한 조직도 베이나이트를 주조직으로 하고 있는데 그것 만으로는 충분한 인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강산 염수용액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높은 저온인성을 가질 수 있는 강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강재를 제조하기 위한 유리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용 강재는 C : 0.02~0.2중량%, Si: 0.05~1.5중량%, Mn: 0.2~2.0중량%, P: 0.015중량% 이하, S: 0.003중량% 이하, Cu: 0.05~1.0중량%, Ti: 0.005~0.05중량%, Al: 0.001~0.1중량%, N: 0.001~0.008중량%에 더하여 Ni: 0.05~3.0중량%, Cr: 0.02~0.5중량%, Mo: 0.02~0.5중량%, W: 0.02~0.5중량% 및 Ca: 0.0005~0.01중량%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분 중 C, Si, Mn, Cu, Ni, Cr, Mo 및 W가 1.5>C+2.5Si+0.3Mn+4Ni+3W-3Cu-4Mo-6Cr의 관계를 충족하는 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여기서 C, Si, Mn, Ni, W, Cu, Mo, Cr, Ti, Nb, N은 각각 해당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강재에 존재하는 개재물의 압연방향의 최대길이가 70㎛ 이하이며, 압연방향으로의 최대길이와 압연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최대폭의 비율(형상비)이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a/O >0.25(여기서, Ca와 O는 각각 강중에 함유된 해당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전체 개재물중 CaS 개재물의 면적분율이 20% 이상인 것이 유리하다.
또한, 미세조직이 페라이트와 면적분율 40% 이하의 퍼얼라이트로 이루어지고, 불순조직으로서 MA(Martensite-Austenite Constituent; 도상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한가지 측면인 상기 강재의 제조방법은 C : 0.02~0.2중량%, Si: 0.05~1.5중량%, Mn: 0.2~2.0중량%, P: 0.015중량% 이하, S: 0.003중량% 이하, Cu: 0.05~1.0중량%, Ti: 0.005~0.05중량%, Al: 0.001~0.1중량%, N: 0.001~0.008중량%에 더하여 Ni: 0.05~3.0중량%, Cr: 0.02~0.5중량%, Mo: 0.02~0.5중량%, W: 0.02~0.5중량% 및 Ca: 0.0005~0.01중량%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분 중 C, Si, Mn, Cu, Ni, Cr, Mo 및 W가 1.5>C+2.5Si+0.3Mn+4Ni+3W-3Cu-4Mo-6Cr의 관계를 충족하는 조성을 가지는 1050~1180℃의 온도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950℃ 이하의 온도에서 열간 마무리압연을 개시하여 강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열간압연된 강재를 5℃/s 이상의 냉각속도로 400~600℃의 온도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여기서 C, Si, Mn, Ni, W, Cu, Mo, Cr, Ti, Nb, N은 각각 해당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강슬라브의 조성은 Ca/O >0.25(여기서, Ca와 O는 각각 강중에 함유된 해당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강재에 비하여 전면부식성과 국부부식성까지 우수함은 물론이고, 모재의 저온인성도 현저히 향상되어 이를 선박에 적용할 경우 강재의 두께가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고인성 강재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저합금강은 염수분위기에서 부식에 취약하며 그 부식형태는 전면부식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부식속도는 부식환경 즉 염분의 농도, 온도 및 용액의 pH등에 따라 달라진다. 염분의 농도가 높을수록, 용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용액이 산성화될수록 즉 pH가 낮아질수록 부식속도는 빨라진다.
특히, 선박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강재는 해수에 의하여 부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선박부위별 환경에 따른 약간의 온도차이를 제외하고는 염분농도나 염수의 산성도에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유조선의 원유탱크용 강재는 해수에 의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원유에 포함된 염수에 의하여 부식이 발생하며, 이 염수는 해수에 비해 염분 농도가 매우 높은 것이 원유탱크 바닥에서 채취한 용액의 성분분석 결과 밝혀졌다. 원유탱크에 원유 적재시 원유탱크의 바닥면은 원유에 의하여 얇은 원유 코팅층이 형성되고, 원유적재가 완료되면 비중차이에 의하여 원유속에 포함되어 있는 염수가 아래층에 형성된다. 원유 적재시에 생성된 원유코팅층은 부식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부식의 진행은 지연된다. 그러나 원유속에 포함된 슬러지등에 의하여 원유 코팅층이 손상된 부분에서 부식이 먼저 시작된다. 부식이 시작된 부위에서는 부식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수소와 염수중의 염소이온이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용액중의 산성도는 높아지고, 용액중의 산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부식은 급격히 진행되므로 원유코팅층이 손상된 부분은 주변에 비하여 월등히 빠른 속도로 부식이 진행된다. 코팅층이 손상된 부분에서 발생한 급격한 부식은 국부부식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지만 엄밀히 갈바닉 부식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국부부식 기구와는 다르다.
그러므로, 원유탱크 바닥강재에서 발생하는 부식형태는 강재의 특성에 의한 국부부식이 아니라 외부요인에 의하여 나타나는 단순한 부식형태일 뿐이므로 원유탱크가 접촉하는 용액이 pH가 낮은 염수용액이라면 전면부식에 대한 저항성만 높인다면 해결가능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거듭하면서 pH가 낮은 염수용액 내에서라도 강재의 특성에 따라 공식과 같은 국부부식이 나타나며, 그 정도도 매우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공식 등의 국부부식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서 문제가 될 뿐 일반적인 저합금강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었으나, 본 발명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강재의 특성에 따라 저합금강에서도 국부부식이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었다. 국부부식에 영향을 미치는 강재의 특성은 성분에 따라 발생하는 표면균열과 석출물등이 있으며, 또한 개재물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도 국부부식 특성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발견하지 못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거듭하였으며, 그 결과 내식성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표면균열, 석출물 형성에 기여하는 C, Mn, Cu, Ni, Cr, Mo, W 등의 성분을 최적화함과 아울러, Ti 석출물을 형성하기 유리한 조건으로 Ti의 함량을 제어하고, 또한 인성을 저하시키는 원소인 P,S,N 등을 적극 저감시키는 동시에 강종내 판상형태로 넓게 분포하는 연신 산화물계 개재물 형성을 제한함으로 pH가 낮은 염수용액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내식강재를 제조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선박용 강재의 성분계에 대하여 우선 설명한다.
C : 0.02~0.2중량%
상기 C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원소로 그 함량을 증가시키면 소입성을 향상시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면부식 저항성을 저해하고, 탄화물등의 석출을 조장하므로 국부부식 저항성에도 일부 영향을 미친다.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 향상을 위해서는 C 함량을 줄여야 하지만 C이 0.02중량% 이하이면 강도를 확보하기가 힘들고, 0.2중량%를 초과하면 용접성을 열화시켜 용접 구조물용강으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0.02~0.2중량%로 그 범위를 한정한다. 내식성의 관점에서는 C을 0.12중량%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Si: 0.05~1.5중량%
상기 Si는 탈산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0.05중량%이상 필요하다. 또한, Si는 전면부식 저항성의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나, 상기 Si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인성 및 용접성을 저해하고 압연시 스케일의 박리를 어렵게 하기 때문에 스케일에 의한 표면결함등을 유발하므로 그 함량을 0.05~1.5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식성 향상을 위해서는 Si을 0.2중량% 이상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n: 0.2~2.0중량%
상기 Mn은 강도확보를 위해서는 0.2중량% 이상 필요하다. 함량이 증가하면 소입성이 증가하여 강도가 증가되나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용접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그 함량을 0.2~2.0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은 그 영향이 크지는 않지만 전면부식 저항성에 영향을 미친다. 전면부식 저항성의 측면에서는 Mn을 1.5중량%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i: 0.005~0.05중량%
Ti은 탄화물이나 질화물을 형성하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 상의 결정립 미세화를 통하여 페라이트 결정립 크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미세하게 분산된 Ti(C, N) 석출물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0.005중량% 이상 첨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첨가량이 증가하게 되면 Ti(C, N) 석출물은 조대해 지므로 부식개시 사이트로 작용하여 국부부식을 조장할 수 있으므로 그 상한은 0.05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0.015중량% 이하
상기 P는 불순물 원소이며, 연속주조시 슬라브의 중심부에 편석되거나 결정립계에 편석되어 강의 인성을 저하시키는 원소이므로 가능한 그 함량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그 함량이 0.01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중심부 인성이 현저히 열화되므로 그 함량을 0.015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0.003중량% 이하
상기 S는 Mn과 반응하여 MnS와 같이 연신개재물을 형성하기 쉽고, 연신개재물 양 끝단에 존재하는 공공은 국부부식 개시점이 될 수 있으므로 그 함량을 0.005중량%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S가 불순물 원소로서 결정립계에 존재할 경우 결정립계를 따라 취성파괴를 조장하여 강의 인성을 현저히 저하시키기 때문에 인성까지 고려할 경우에는 S의 함량은 더욱 낮아질 필요가 있는데, 제강공정의 부하를 고려할 경우에는 0.003중량%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u: 0.05~1.0중량%
상기 Cu는 Ni, Cr과 함께 0.05중량%이상 함유시키면 Fe의 용출을 지연하여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 향상에 유효하다. 그러나 1.0중량%를 초과하면 슬라브 제조시 표면균열을 유발하여 국부부식 저항성을 떨어뜨리고, 압연을 위한 슬라브 재가열시 융점이 낮은 Cu가 강의 입계에 침투하여 열간가공시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함량을 0.05~1.0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슬라브 제조시 발생되는 표면균열은 C, Ni, Mn 함유량과 서로 상호적으로 작용하므로 각 원소의 함유량에 따라 표면균열의 발생빈도는 달라질 수 있으나 Cu 함유량을 0.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Al: 0.001~0.1중량%
상기 Al은 탈산을 위하여 반드시 첨가되는 원소로 강중 N와 반응하여 AlN을 형성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미세화시켜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탈산을 위해서는 0.001중량% 이상은 첨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0.1중량% 을 초과하여 과도하게 함유되면 제강공정에서 조대한 산화물에 개재물을 형성하고 Al계 산화물의 특징에 따라 압연시 부서져 길게 늘어서는 연신개재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연신개재물의 형성은 개재물 주변에 공공을 형성을 조장하고 이러한 공공은 국부부식 개시점으로 작용하므로 국부부식 저항성을 저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Al 함유량은 0.1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 0.001~0.008중량%
상기 N은 강중에서 공업적으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제조공정에서 그 부하를 허용할 수 있는 범위인 0.001중량%를 하한으로 한다. N은 Al, Ti 등과 질화물을 형성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성장을 방해하여 인성 향상 및 강도향상에 도움을 주지만, 그 함유량이 0.008중량%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함유되어 고용상태의 N이 존재하고 이들 고용상태의 N은 인성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그 범위를 0.001~0.008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리한 조성에 더하여 하기하는 Ni, Cr, Mo, W 및 Ca가 1종 이상 포함될 필요가 있다.
Ni: 0.05~3.0중량%
상기 Ni은 Cu과 마찬가지로 0.05중량% 이상 함유시키면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 향상에 유효하다. 또한 Cu와 함께 첨가하면 Cu와 반응하여 융점이 낮은 Cu 상의 생성을 억제하여 열간가공시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Ni은 모재의 인성향상에도 유효한 원소이다. 그러나 고가의 원소이므로 3.0중량% 이상 첨가하는 것은 경제성 면이나 용접성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그 함량을 0.05~3.0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i이 부식저항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Cu에 비하여 높지 않으므로 내식성 향상을 위해 다량 첨가하는 것 보다는 Cu 첨가에 따른 표면균열 억제를 위하여 Cu 함유량의 1, 5배 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r: 0.02~0.5중량%
상기 Cr은 그 효과가 크지는 않지만 전면부식 저항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강도향상에도 기여한다. Cr첨가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0.02중량%이상 함유하여야 한다. 그러나 0.5중량%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함유되면 오히려 공 식(pitting)과 같은 국부부식을 조장할 뿐 아니라 MA 형성을 조장하여 인성을 저하시키므로 0.02~0.5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 0.02~0.5중량%
상기 Mo는 부식저항성 및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로 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0.02중량%이상 첨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Mo가 부식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재내에 고용되어야 한다. 고용한도를 넘게 함유된 Mo는 석출물을 형성하여 강도향상에는 기여할 수 있으나 이들 석출물은 페라이트와 갈바닉을 형성하여 오히려 부식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그 석출물이 조대할 경우 석출물과 강재계면에 형성된 공공은 국부부식의 개시점을 작용하여 국부부식 저항성을 떨어뜨리므로 그 상한은 0.5중량%이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Mo 함유량은 0.02~0.5중량% 로 제한한다. 제강이나 압연공정을 제어함으로 Mo의 고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특별히 공정에 제약을 가하지 않고 Mo를 고용시킬 수 있는 량은 0.1중량%이므로, Mo는 0.1중량%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W: 0.02~0.5중량%
상기 W는 Mo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원소로서 부식저항성 및 강도 향상에 기여하며 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0.02중량%이상 첨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Mo와 마찬가지로 부식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W도 강재내에 고용되어야 한다. 고용한도를 넘게 함유된 W는 석출물을 형성하여 강도향상에는 기여할 수 있으나 이들 석출물은 페라이트와 갈바닉을 형성하여 오히려 부식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그 석출물이 조대할 경우 석출물과 강재계면에 형성된 공공은 국부부식의 개시점을 작용하여 국부부식 저항성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그 상한은 0.5중량%이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W 함유량은 0.02~0.5중량% 로 제한한다. 제강이나 압연공정을 제어함으로 W의 고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W의 고용량은 Mo에 비하여 더욱 작으므로, 특별히 공정에 제약을 가하지 않고 W를 고용시킬 수 있는 양은 0.05중량%이므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W는 0.05중량%이하로 제어한다.
Ca: 0.0005~0.01중량%
상기 Ca는 개재물의 형태제어에 유효하여 연신개재물 형성을 억제하고 이들 원소 첨가에 의해 생기는 CaO, CaS 등은 용액에서 쉽게 녹아 용액의 산성화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 향상에 유효하며, 이들 특성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0.0005중량%이상 함유하여야 한다. 한편 상한치는 개재물이 지나치게 조대해져 국부부식 저항성과 연성 및 인성을 해치는 범위가 되는 0.01중량%로 한정한다. 따라서 Ca는 그 범위를 0.0005~0.01중량%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Cu, Ni, Cr, Mo, W등은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지만 각 원소별 함유량에 따라 오히려 국부부식을 조장하기도 한다. 국부부식의 개시점이 될 수 있는 표면균열이나, 조대한 석출물등이 각 합금원소의 함유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표면균열은 연속주조시 아포정구간을 지나치게 되면 발생하는 현상으로 아포정구간의 범위는 첨가된 합금원소의 함유량에 따라 변화한다. C, Mn, Cu, Ni 등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포정반응 구간을 확장시키므로 표면균열 형성을 조장하는 원소인 반면 Si, Mo, W, Cr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 포정반응 구간을 축소시키므로 표면균열 형성을 억제하는 원소가 된다. 다만 이들 사이에는 표면균열에 미치는 영향도가 다소 상이한데, 이들 원소 중 C은 포정반응 구간영역 범위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궁극적으로 C 양에 따라 아포정반응 구간의 통과 유무가 결정되므로 중요하고 일반적으로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보다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인 Cu, Ni 함유량에 따라 표면균열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 합금원소가 표면균열에 미치는 영향과는 달리 석출물 형성은 페라이트 안정화원소의 고용한도와 관계가 있다. Mo, W, Cr등은 C과 반응하여 탄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원소이며 특히 W, Mo는 강에서 고용한도가 매우 작아 일정범위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함유된다면 조대한 탄화물을 형성하여 국부부식의 개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에 Cr은 Mo, W에 비해 고용한도가 크므로 다량 함유되지 않는 이상 탄화물의 형성은 힘들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합금원소별 표면균열이나 석출물 형성에 다를 뿐만 아니라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정량화하기 힘들고 또한 이들 특성에 미치는 합금 원소간 상호작용이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표면균열과 석출물 형성에 미치는 각 원소들의 영향을 고려하여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경험식을 도출하였다.
1.5 > C + 2.5Si + 0.3Mn + 4Ni + 3W - 3Cu - 4Mo - 6Cr
단, 여기서, C, Si, Mn, Ni, W, Cu, Mo, Cr은 각 성분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은 각 성분들의 영향도를 고려하여 국부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조건을 설정한 것으로서, 상기 수학식 1의 우변(피팅지수라고도 칭함)의 값이 1.5 이상인 경우에는 각 원소들의 함량이 상술한 범위를 충족하더라도 국부부식이 급격하게 발생하여 pH가 1 인 10% NaCl 용액내에서 144시간 침지 후 국부부식에 발생한 식공이 차지하는 면적이 10%를 초과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성분범위를 충족하는 동시에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을 충족할 경우에는 국부부식의 진행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합금원소에 의한 표면균열 및 조대석출물 외에도 탈산시 생성되는 다양한 크기의 개재물이 국부부식에 영향을 끼치므로 이들을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강공정시 생성되는 산화물계 개재물은 다양한 조성과 크기를 가진다. 이들 다양한 개재물은 압연시 가해지는 변형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강재내부에 존재한다. 구형의 작은 개재물들은 압연중에도 그 형태를 유지하며, 강재와도 밀착되어 있으므로 개재물 주위에 공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반면에 쉽게 깨어지는 조대한 산화물계 개재물이나 몇 개의 개재물들이 뭉친 조대한 개재물 군집체는 압연시 쉽게 깨지고 압연에 따른 금속이동을 따라 길게 늘어선 연신개재물이 된다. 대형 개재물이 깨져 길게 늘어선 연신개재물은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강재와 밀착되지 못하고 개재물과 강재사이에 공공이 생성된다. 부식용액에 침지시 이들 공공주변에서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어 식공들이 형성되는 국부부식이 나타난다.
따라서 우수한 국부부식 저항성을 갖는 강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개재물의 크기 및 형상을 제어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반복된 시험과 개재물 관찰을 통하여 압연방향을 따라 길이가 70㎛ 이상으로 늘어선 연신개재물이나, 압연방향으로의 최대길이와 압연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최대폭의 비율(형상비)이 30을 넘어서는 연신개재물이 존재할 경우 이들 개재물 주변에서 국부부식이 개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수한 국부부식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압연방향으로의 최대 개재물 길이를 70㎛ 이하로 제한하여야 하며, 또한 개재물의 압연방향으로의 최대길이와 압연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최대폭의 비율이 30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제품에서 산화물계 개재물의 크기 및 형상을 제어하기 위해서 통상 사용되는 방법은 제강공정에서 조대한 개재물을 최대한 부상분리 시켜 용강중에 미세한 구형개재물만을 남긴 후 주조하여 슬라브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세한 구형개재물들은 압연중에 부서져 길게 늘어서는 경우가 없고 구형이므로 강재와 좋은 밀착력을 유지하므로 강재와 개재물 사이에 공공이 형성되지 않아 국부부식이 개시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지 않는다. 제강공정에서 조대한 개재물을 충분히 부상분리시켜 제거하기 위해서는 전로 조업후 연속주조 작업전에 5분 이상 충분히 버블링(bubbling, 용강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작업)을 반드시 실시하여야 한다.
최종제품에서 산화물계 개재물의 크기 및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Ca 을 투입하여 Al계 산화물과 반응시켜 융점이 낮은 개재물을 생성시켜 용강속에서 액상상태로 만드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액상개재물은 고상개재물에 비하여 쉽게 부상분리됨으로 Ca 을 투입하여 조대한 Al 산화물계 개재물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Ca은 개재물을 구상화 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국부부식 개시점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CaO나 CaS 개재물은 용액중에서 쉽게 용해되어 용액의 pH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CaO나 CaS 개재물이 다량 존재할 경우 용액의 pH를 높이는 역할을 하므로 강재의 전면부식 저항성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Ca 투입의 효과는 Ca의 투입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나고 본 발명에서는 Ca투입효과를 최대화 시킬 수 있는 보다 바람직한 Ca 투입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Ca는 반응성이 큰 원소로 용강내 투입시 용강내 잔존하는 Al산화물과 쉽게 반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복합개재물을 형성하나 그 중에서 12Al2O3-7CaO 화합물이 융점이 가장 낮기 때문에 액상개재물 형성이 용이하고 부상분리가 쉽다.
그러나 용강내에서 상기와 같은 기타 산화물을 제거하게 되면 용강내 용존산화량도 같이 감소하게 되어 CaS의 생성이 용이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용강내 CaS 개재물의 형성을 조장하는 방향으로 제강공정을 개선하고자 연구와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종래의 Ca-Si 와이어를 1회 투입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Ca-Si 와이어를 2회 이상 분할투입함으로써 강중 CaS 개재물이 크게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Ca-Si 와이어를 2회 이상 분할하여 투입할 때, 초기에 투입된 Ca는 용강내 잔존하는 산화물과 반응하여 복합개재물을 만들고, 이후의 Ca 투입을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동안 용강내에서 부상분리하여 슬래그층으로 혼입되므로 용강내의 복합개재물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2회분 이후의 Ca 투입시 투입되는 Ca은 용강내 S와 반응하여 CaS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Ca투입을 통하여 부상분리가 용이한 액상개재물을 만들고, 용액에 쉽게 용해되는 구형의 CaS 개재물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Ca을 양을 용존산소에 따라 적절히 제어하여야 한다. 하기 수학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강내 Ca양과 Ca투입시 용존산소의 비가 0.25를 초과하면 액상개재물이 생성되기 시작하고 비가 높아질수록 액상개재물의 분율이 점점 증가하므로 조대한 개재물의 생성은 억제된다. 따라서 Ca첨가에 따른 국부부식 저항성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용강내 Ca양과 Ca투입시 용존산소의 비를 0.25 이상으로 제한하여야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비가 0.5 이상이다.
Ca/O >0.25
여기서, Ca와 O는 각각 강중에 함유된 해당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성성분이 제어된 용강을 연속주조하여 강슬라브를 제조한후, 통상의 조건으로 열간압연함으로써 최종 강제품내 최대 개재물 길이가를 70㎛를 초과하지 않거나 개재물 최대길이와 개재물 최대 폭 비가 30 초과하지 않는 pH 3이하의 강산 염수용액에서 전면부식 또는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선박용 강재를 제조할 수 있다.
Ca 투입에 따른 국부부식 저항성 향상 뿐만 아니라 전면부식 저항성까지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Ca와 Ca투입시 용존산소의 비(즉, Ca/O)가 0.75 초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에 해당될 경우에는 액상개재물과 함께 구형의 미세한 CaS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Ca 투입에 따른 전면부식 저항성 향상을 얻기 위해서는 CaS계 비금속 개재물의 면적을 전체 개재물의 면적대비 20%이상으로 제어하는데, 이는 그 분율이 20% 미만이면 강재표면의 pH 상승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용강중에 투입된 Ca는 용강내에 존재하는 산소, 알루미늄, 실리콘, 황 등과 반응하여 개재물인 (Al, Si, Ca)O와 CaS 등을 형성한다. 이들 개재물중 CaS를 제외한 나머지 복합개재물들은 수용액에 용해되지 않으므로 강재표면의 pH 상승에 기여하지 못하며, 오직 CaS 개재물만이 수용액중에 용해되어 pH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체 개재물중 CaS의 비율이 용액의 pH의 상승정도를 결정하는 주요인자가 되며, 수막의 pH가 부식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3.0 이상이 되어야만 내식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3.0 이상의 pH를 얻기 위해서는 전체 개재물중 CaS 개재물의 면적분율이 20% 이상이 되어야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강중 Ca계 비금속개재물중 수용성 CaS 개재물의 면적분율 을 20~80%로 제한하는 것이다. 그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a를 첨가하면 산화물계 개재물과 유화물계 개재물이 동시에 생성된다. 유화물계 개재물인 CaS는 연속주조공정에서 노즐막힘을 유발할 수 있고, 산화물계 개재물은 연속주조공정에서 내화물의 용손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후성의 향상과 연속주조공정의 안정성을 모두 확보하기 위하여 전체 개재물중 CaS 개재물의 분율의 상한을 8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리한 조성과 개재물 조건 이외에도 강재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강재의 미세조직을 하기하는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낮은 pH, 예를 들면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pH에서 전면부식 또는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강재의 미세조직을 페라이트와 퍼얼라이트로 하되, 혹시 형성될지 모르는 MA(Martensite-Austenite Constituent; 도상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을 3% 이하로 제한하고, 퍼얼라이트의 면적 분율을 4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A는 저온에서 생성되는 상으로서 그 분율이 증가할 경우 강재의 인성을 현저히 저하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3%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얼라이트는 그 함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페라이트와 퍼얼라이트간 갈바닉 부식에 의하여 전체 부식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퍼얼라이트의 분율은 4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재의 인성은 결정립 크기가 작을수록 향상되는데,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고인성 강재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결정립 크기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 성분을 최적화하고, 제품내 Ca계 비금속개재물중 CaS 개재물의 분율을 적절하게 제어하며 또한 조직중 페라이트와 퍼얼라이트의 분율과 크기 및 MA 분율을 제어함으로써 강산 염수용액에서 전면부식 또는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박용 강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강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큰 어려움 없이 그 제조방법을 모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자들은 종래에 제시하였던 방법 이외의 보다 특별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강재를 제조할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본 발명의 강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기에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강재의 제조방법은 이하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술한 조성을 가진 강슬라브를 1050~1180℃의 온도범위로 가열한후, 950℃이상의 마무리 압연온도로 열간압연한 이후 5℃/s 이상의 냉각속도로 400~600℃의 온도범위까지 냉각하여 강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강재의 제조방법을 주요 구성별로 설명한다.
재가열온도: 1050~1180℃
재가열시 오스테나이트가 성장하므로 인성 향상을 위해서는 재가열 온도를 낮추어야 한다. 그러나 재가열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압연이 어려워지므로 그 하한을 1050℃ 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재가열온도를 높이면 압연은 용이하나 오스테나이트가 성장하여 최종 페라이트 결정립이 조대하여 인성을 악하시키므로 118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재가열 온도를 1050~1180℃ 로 제한한다.
마무리 압연 종료온도 : 950℃ 이하
압연온도가 높을 경우 압연 후 재결정에 의해 생긴 결정립들이 다시 재성장하거나 부분재결정에 의하여 결정립 크기가 불균일해져 인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미세한 결정립을 균일하게 얻기 위해서는 낮은 온도에서 압연을 시작해야 한다. 따라서 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인성 향상을 위해서는 마무리 압연 시작온도를 95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과도한 퍼얼라이트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마무리 압연 종료온도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변태온도 이상인 800℃ 이상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종료온도: 400~600℃
결정립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압연 후 적절한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것이 필요하며, 예를 들면 수냉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시 냉각종료온도가 너무 높으면 페라이트 변태가 종료되지 않고 수냉종료 후 공냉시 변태되는 페라이트의 결정 립은 수냉시 변태된 페라이트 결정립에 비해 조대하므로 전체 결정립크기가 커지고 불균일해지므로 인성을 해친다. 반대로 냉각종료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MA와 같은 저온상들이 생성되므로 인성을 해친다. 따라서 냉각종료온도를 400~600℃ 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속도 : 5℃/S 이상
냉각속도 조절을 통하여 인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냉각속도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변태시 미세한 페라이트를 얻을 수 없으므로 냉각속도는 일정 수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인성 강재를 얻기 위해서는 냉각속도를 5℃/s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실시예1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용강을 마련한후 연속주조를 이용하여 강슬라 브를 제조하였다. 강 슬라브 제조시 국부부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재물의 최대크기를 70㎛ 이하로 형상비를 30 이하로 제어하여 주조전 개재물을 부상분리하기 위하여 버블링을 5분 이상 실시하였다.
Figure 112008082519726-pat00001
상기 표 1에서 피팅지수라 함은 수학식 1의 우변인 C+2.5Si+0.3Mn+4Ni+3W-3Cu-4Mo-6Cr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발명강A 내지 발명강M은 모두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성분 범위를 충족할 뿐만 아니라, 피팅지수 역시 1.5 미만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 제어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강재이다. 또한, 버블링을 5분 이상 실시하여 줌으로써 최대 개재물 크기가 모두 70㎛ 이하이며, 형상비 역시 30 이하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강재이다. 그러나, 비교강들은 본 발명에서 모재 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Ti가 전혀 첨가되지 않은 강들로서, 그 중에서도 비교강N은 항복강도 320MPa급 종래의 선박용 강재의 성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탄소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건에 미달될 뿐만 아니라, Cu가 전혀 첨가되지 않으며, Cr, Ni, Mo, W 및 Ca 중 1종 이상의 원소 역시 첨가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비교강O 내지 비교강R은 Ti 이외에도 Cu가 미첨가되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성분규격에서 벗어나는 경우를 비교강S는 Cu 등이 첨가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Mo 함량이 과다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비교강T 내지 비교강 W는 Ti가 첨가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비교강U는 W 함량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벗어난다.
상기 표 1의 조건으로 제조된 강슬라브를 하기 표2의 조건으로 열간압연하여 강재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강재에 대하여 하기의 표 2에 중량%로 10% NaCl 용액에 HCl을 첨가하여 전체용액의 pH를 0.85로 조정한 30℃용액에 발명강과 비교강을 144시간 침지시킨 후 무게감량을 측정하여 부식속도로 환산한 후 전면부식속도를 계산하고, 선박용 일반강인 비교강N의 부식속도를 100으로 한 상대치를 표시하였다(상대부식속도). 또한, 하기의 표2에 나타난 식공분율은 전체 시편 표면적중에서 식공의 면적을 전체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퍼얼라이트 분율은 제품의 표면을 압연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 측정한 퍼얼라이트의 면적분율을 의미한다.
강조건 가열온도
(℃)
마무리압연시작온도
(℃)
마무리압연종료온도
(℃)
냉각종료온도
(℃)
냉각속도
(℃/s)
YS
(Mpa)
TS
(Mpa)
-40℃충격에너지
(J)
상대부식속도 식공분율
(%)
평균결정립크기
(㎛)
MA분율
(%)
퍼얼라이트분율
(%)
발명예 A-1 1150 950 850 500 11 357 428 154 25.1 0.1 18 1 8
발명예 B-2 1135 950 840 530 12 379 451 198 35.1 1.5 17 0 11
발명예 C-3 1125 930 830 500 12 342 437 220 25.4 0 13 0 9
발명예 D-4 1132 920 830 480 15 384 471 178 20.1 0.7 14 1 7
발명예 E-5 1107 905 810 450 15 375 453 159 15.1 1 12 0 15
발명예 F-6 1139 940 850 480 11 401 485 201 34.8 1.1 14 3 16
발명예 G-7 1136 940 840 520 8 364 458 157 15.7 0 15 0 13
발명예 H-8 1151 950 850 550 7 395 472 134 25.7 2.5 14 1 24
발명예 I-9 1105 930 820 580 7 357 440 189 20.1 0.1 10 0 14
발명예 J-10 1098 930 830 430 12 362 457 207 14.7 0.7 9 0 21
발명예 K-11 1095 950 860 450 15 341 425 257 36.2 0.8 10 1 8
발명예 L-12 1120 940 850 480 12 410 482 225 30.1 0.4 11 2 22
발명예 M-13 1125 920 810 480 10 421 495 221 37.5 2.7 10 0 25
발명예 A-14 1110 910 810 510 11 399 501 204 35.1 0 11 1 16
발명예 E-15 1160 930 830 540 9 354 439 162 15.5 1.1 15 0 10
비교예 A-16 1200 1000 910 680 7 324 417 61 33.7 0 34 1 31
비교예 E-17 1180 1050 950 720 6 347 431 37 13.2 1.4 45 0 35
비교예 K-18 1180 1030 970 680 7 357 457 49 30.4 1.1 41 0 33
비교예 N-19 1208 1040 950 700 1 324 407 31 100 1.8 32 1 44
비교예 O-20 1198 1000 900 680 2 339 421 27 95.4 25.1 36 0 41
비교예 P-21 1040 1020 930 650 9 341 426 35 92.1 16.7 32 0 42
비교예 Q-22 1095 980 900 720 6 314 401 29 99.7 2.1 26 5 46
비교예 R-23 1126 980 900 700 2 325 399 41 98.2 31.4 29 1 47
비교예 S-24 1260 1000 910 700 7 320 405 43 101.5 0.5 42 6 41
비교예 T-25 1186 1040 950 680 11 324 417 38 85.1 34.8 39 0 48
비교예 U-26 1215 1020 920 650 1 319 403 37 87.6 25.7 40 0 43
비교예 V-27 1095 990 900 600 1 337 417 41 88.7 32.4 23 4 41
비교예 W-28 1190 980 900 620 2 361 446 47 91.2 29.8 29 5 47
비교예 P-29 1190 960 870 350 1 350 451 37 92.1 15.3 29 1 41
비교예 S-30 1120 940 830 480 12 335 435 65 100.7 1.1 31 5 16
비교예 V-31 1110 900 810 500 10 347 441 52 85.4 32.4 29 5 31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Cr, Ni, Cu, Mo, W 등이 전혀 첨가되지 아니한 비교강N의 경우는 식공분율은 높지 않으나 상대부식속도가 발명강에 비하여 대단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러한 원소들의 첨가에 의하여 전면부식을 억제할 필요가 있으나, 상기 원소의 첨가가 없는 비교강N에서는 전면부식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전면부식속도가 큰 현상은 Cu가 첨가되지 아니한 비교강O 내지 비교강S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다만, 이들 강재중 비교강O, 비교강P, 비교강R는 피팅지수가 1.5보다 큰 경우로서 식공분율도 동시에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u가 첨가되지 아니하고 Mo 함량이 과다한 비교강T 역시 상대부식속도와 식공분율이 모두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1에 기재된 피팅지수와 상기 표 2의 식공분율과의 관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식공분율은 피팅지수가 1.5에 이르기 전까지는 식공분율은 3% 미만으로 작으나, 피팅지수가 1.5에 이르게 되면 식공분율은 갑작스럽게 증가하며, 그 경향은 피팅지수 증가에 따라 식공분율도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다. 즉 피팅지수가 1.5를 넘게되면 국부부식 저항성이 갑자기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국부부식 저항성을 얻기 위해서는 피팅지수를 1.5 미만으로 제한하여야 한다. 또한, 도 2에 상기 피팅지수와 전면부식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었는데,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식공분율과 마찬가지로 피팅지수가 1.5 이하일때는 일반강의 30% 이하 수준으로 나타나지만 피팅지수가 1.5이상이 되면 부식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일반강과 거의 유사수준에 이르게 된다.
또한, 발명강과 비교강의 가장 큰 차이는 비교강에는 Ti가 전혀 첨가되어 있지 않다는 것인데, 상기 Ti는 모재의 저온인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그 효과의 차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상기 표 2에도 기재되어 있듯이, Ti를 첨가하고 본 발명의 제조조건에 따라 제조한 발명강의 경우는 -40℃에서의 충격에너지가 최소 134J 이상으로서 -40℃ 이하의 극저온에서도 충분한 인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비교강들은 최대 47J 정도로서 본 발명의 발명강에 비하면 그 충격인성이 매우 열악함을 알 수 있었다.
제조방법에 따라서도 저온 인성은 영향을 받는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명강A, E, K를 본 발명에서 제한한 제조범위를 범어난 고온에서 마무리 압연을 개시하고 고온에서 냉각을 종료하였을 경우, 성분은 제한범위를 만족하지만, 저온인성은 발명예와는 달리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강P, S, U는 본 발명의 성분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나 제조조건은 본 발명에서 제한하는 범위를 충족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역시 인성값이 향상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로부터 우수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과 더불어 우수한 인성을 얻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 제한한 성분범위와 제조범위 모두를 제한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2
실시예1에서 마련된 발명강의 조성과 동일한 조성의 강재를 용해한 후 주조전에 개재물 부상분리를 위한 버블링(bubbling) 시간을 달리한 후 주조하여 슬라브를 제조한 후 그 슬라브를 통상의 조건으로 열간압연하여 강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때, 강재내 개재물의 크기분포 분석을 통하여 최대개재물 길이와 형상비(개재물길이/너비)를 측정하고, 침지시험 후 식공분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강종 구분 버블링 시간 개재물 최대길이(㎛) 개재물 최대 형상비(길이/너비) 식공분율(%)
발명강A 발명예1 6분 10 1.9 0.1
발명강A 비교예1 2분 47 37 5.2
발명강B 발명예2 5분 11 2.4 1.5
발명강B 비교예2 2분 65 52 7.4
발명강E 발명예3 7분 5 1.1 1.0
발명강E 비교예3 1분 71 47 5.8
발명강G 발명예4 6분 7 1.6 0.0
발명강G 비교예4 1분 82 61 8.2
발명강I 발명예5 6분 8 1.2 0.1
발명강I 비교예5 2분 69 54 5.9
발명강J 발명예6 5분 14 3.1 0.7
발명강J 비교예6 1분 85 58 6.1
발명강M 발명예7 5분 15 4.1 2.7
발명강M 비교예7 2분 74 51 5.9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조성성분을 최적화하고 수학식 1을 만족하는 발명강도 제강공정시 개재물 부상분리를 위한 버블링 시간을 달리함에 따라 최대개재물 길이와 형상비가 높아지고, 즉 연신개재물 형태로 변화하고 식공분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3는 침지시험 후 각 강재에 발생한 식공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동일 발명강이라도 발명예와 비교예에 따라서 식공의 생성양상이 완전히 다름을 알 수 있다.
발명강의 비교예에서 식공의 발생면적이 증가한 이유는 상기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신개재물 때문이다. 도 4는 비교예1의 강재의 연신개재물에서 발생된 국부부식이 큰 식공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면 중 침지시험후 강재의 식공을 관찰한 사진은 침지시험전 3번 개재물이 존재하던 부분을 관찰한 사진이다.
침지시험전 비교예1 강재에 분포하는 개재물을 관찰하면 3번 위치에서 관찰되는 개재물은 개재물 길이가 110㎛인 연신개재물 형상인 반면 다른 위치에서 관찰된 개재물은 비교적 미세한 구형개재물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동일강의 침지시험 후 형상을 관찰한 결과 연신개재물이 있는 3번 위치에서 식공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연신개재물이 존재는 식공의 생성을 조장하여 국부부식 저항성을 나쁘게 함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3에 나타난 개재물 최대크기 및 형상비를 고려하면 최대 개재물 길이를 70㎛ 이하로 제한하거나 형상비를 30이하로 제한함으로 우수한 국부부식 저항성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3
실시예2에서 강재내부에 생성된 연신개재물은 국부부식 저항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 용강상태에서 주조전 버블링을 충분히 시키면 대형개재물들이 부상분리되어 제거됨으로 강재내에서 연신개재물이 생성되지 않는다. 대형개재물을 부상분리 시키는 방법으로 Ca 첨가에 의하여 용강내에 융점이 낮은 개재물을 생성시켜 부상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용점이 낮은 개재물은 용강내에서 액상으로 존재하고 부상분리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액상개재물의 형성은 Ca 투입량과 Ca 투입시 용강내 용존산소량과 관계가 있다. 도 5는 Ca 투입량과 Ca 투입시 용강내 용존산소량에 따라 형성되는 개재물 종류를 열역학적 계산을 통하여 예측한 도표이다.
도 5에 표시된 용융 알루미네이트(molten aluminate)가 융점이 낮은 액상개재물로서 액상개재물은 [Ca]/[O]가 0.25를 넘어서기 시작하면 생성되기 시작하고, 그 값이 증가할수록 액상개재물의 양은 증가하므로 연신개재물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Ca]/[O]가 0.25를 초과하여야 한다. [Ca]/[O]값이 1을 넘어서면 구형의 CaS 개재물이 형성되는데 CaS는 용액속에서 쉽게 용해되어 용액의 pH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전면부식 저항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표 4는 Ca 첨가된 발명강과 비교강의 Ca투입량, 용존산소량, 개재물 최대길이 및 형상비, CaS 개재물 분율, 전면부식속도, 식공분율을 나타내었다.
강종 Ca량
(중량%)
용존산소량
(중량%)
[Ca]/[O] 개재물 최대길이(㎛) 개재물 최대 형상비
(길이/너비)
CaS분율
(%)
식공분율
(%)
발명강J 0.0011 0.0026 0.43 12 1.3 25 0.0
발명강K 0.0015 0.0027 0.55 6 1 38 0.0
발명강L 0.0007 0.0022 0.31 31 14 21 0.8
발명강M 0.0013 0.0032 0.41 13 1.4 26 0.2
비교강V 0.0004 0.0030 0.13 73 37 9 8.7
비교강W 0.0005 0.0032 0.16 64 35 11 9.4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Ca]/[O] 를 0.25 이상 초과한 발명강에서는 구형에 가까운 작은 개재물이 관찰되는 반면, [Ca]/[O]를 0.25 미만으로 한 비교강에서는 연신개재물이 관찰된다. Ca 첨가에 따른 연신개재물 생성 억제 효과로 인하여 발명강과 비교강간의 식공분율은 큰 차이를 보인다. 즉 [Ca]/[O] 가 0.25 초과되도록 Ca을 첨가하므로 우수한 국부부식 저항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Ca]/[O]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CaS 비율도 증가하여 용액의 pH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피팅지수와 식공이 발생되는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피팅지수와 상대부식속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동일한 용강에 대하여 버블링 시간을 달리하여 강재를 제조하였을 경우 식공이 나타나는 경향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진,
도 4는 침지시험시 연신된 개재물에서 식공이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한 현미경 사진, 그리고
도 5는 용강에서 용융 알루미네이트를 형성시키기 위한 적정 Ca와 O 함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7)

  1. C : 0.02~0.2중량%, Si: 0.05~1.5중량%, Mn: 0.2~2.0중량%, P: 0.015중량% 이하, S: 0.003중량% 이하, Cu: 0.05~1.0중량%, Ti: 0.005~0.05중량%, Al: 0.001~0.1중량%, N: 0.001~0.008중량%에 더하여 Ni: 0.05~3.0중량%, Cr: 0.02~0.5중량%, Mo: 0.02~0.5중량%, W: 0.02~0.5중량% 및 Ca: 0.0005~0.01중량%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C, Si, Mn, P, S, Cu, Ti, Al, N, Ni, Cr, Mo, W, Ca 성분 중 C, Si, Mn, Cu, Ni, Cr, Mo 및 W가 1.5>C+2.5Si+0.3Mn+4Ni+3W-3Cu-4Mo-6Cr의 관계를 충족하는 조성을 가지며, Ca/O >0.25(여기서, Ca와 O는 각각 강중에 함유된 해당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
    단, 여기서 C, Si, Mn, Ni, W, Cu, Mo, Cr, Ti, Nb, N은 각각 해당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에 존재하는 개재물의 압연방향의 최대길이가 70㎛ 이하이며, 압연방향으로의 최대길이/압연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최대폭의 비율(형상비)이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개재물중 CaS 개재물의 면적분율이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
  5. 제 1 항에 있어서, 미세조직이 페라이트와 면적분율 40% 이하의 퍼얼라이트로 이루어지고, 불순조직으로서 MA(Martensite-Austenite Constituent; 도상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
  6. C : 0.02~0.2중량%, Si: 0.05~1.5중량%, Mn: 0.2~2.0중량%, P: 0.015중량% 이하, S: 0.003중량% 이하, Cu: 0.05~1.0중량%, Ti: 0.005~0.05중량%, Al: 0.001~0.1중량%, N: 0.001~0.008중량%에 더하여 Ni: 0.05~3.0중량%, Cr: 0.02~0.5중량%, Mo: 0.02~0.5중량%, W: 0.02~0.5중량% 및 Ca: 0.0005~0.01중량%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C, Si, Mn, P, S, Cu, Ti, Al, N, Ni, Cr, Mo, W, Ca 성분 중 C, Si, Mn, Cu, Ni, Cr, Mo 및 W가 1.5>C+2.5Si+0.3Mn+4Ni+3W-3Cu-4Mo-6Cr의 관계를 충족하는 조성을 가지며, Ca/O >0.25(여기서, Ca와 O는 각각 강중에 함유된 해당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를 만족하는 슬라브를 1050~1180℃의 온도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950℃ 이하의 온도에서 열간 마무리압연을 개시하여 강재를 형성하는 단계;
    열간 마무리압연된 상기 강재를 5℃/s 이상의 냉각속도로 400~600℃의 온도까지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의 제조방법.
    단, 여기서 C, Si, Mn, Ni, W, Cu, Mo, Cr, Ti, Nb, N은 각각 해당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한다.
  7. 삭제
KR1020080120182A 2008-11-29 2008-11-29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25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182A KR101125931B1 (ko) 2008-11-29 2008-11-29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182A KR101125931B1 (ko) 2008-11-29 2008-11-29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598A KR20100061598A (ko) 2010-06-08
KR101125931B1 true KR101125931B1 (ko) 2012-03-21

Family

ID=4236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182A KR101125931B1 (ko) 2008-11-29 2008-11-29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9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320A (ko) * 1996-06-28 2000-04-25 엔케이케이가부시키가이샤 파이프라인의 외면 scc 저항성이 우수한 강
KR20020021646A (ko) * 2000-04-07 2002-03-21 에모또 간지 변형 시효 경화 특성이 우수한 열연 강판, 냉연 강판 및용융 아연 도금 강판,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320A (ko) * 1996-06-28 2000-04-25 엔케이케이가부시키가이샤 파이프라인의 외면 scc 저항성이 우수한 강
KR20020021646A (ko) * 2000-04-07 2002-03-21 에모또 간지 변형 시효 경화 특성이 우수한 열연 강판, 냉연 강판 및용융 아연 도금 강판,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598A (ko) 201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72583B (zh) 船舶用热轧型钢及其制造方法
JP7147960B2 (ja) 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87531B2 (ja) 原油タンク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60285B (zh) 原油槽用熱軋型鋼及其製造方法
CN107236909B (zh) 可用于-60℃低温环境的高强度、高韧性耐腐蚀钢及其生产方法
JP5958102B2 (ja) 耐食性に優れる船舶バラストタンク用耐食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732799A (zh) 一种耐酸腐蚀的船体内底板用钢及其生产方法
JP6601258B2 (ja) バラストタンク用耐食鋼材
KR101125950B1 (ko)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박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11225992A (zh) 具有优异的表面品质的用于低温的高锰钢及其制造方法
KR101125886B1 (ko)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과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박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11108225B (zh) 钢板及其制造方法
JP3854574B2 (ja) 耐疲労き裂伝播特性に優れた原油油槽用鋼
KR101125931B1 (ko)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인성 선박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12513309B (zh) 钢板及其制造方法
JP6818145B2 (ja) 硫化物を含む結露環境における耐食性に優れた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25909B1 (ko)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전면부식 및 국부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선박용 강재
KR101105003B1 (ko) 강산 염수용액 내에서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4227432A1 (en) High-heat-input-welding low-temperature-resistant corrosion-resistant steel for cargo oil tank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4224347B2 (ja) 原油油槽用鋼材の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方法
CN114761598B (zh) 具有优异的耐海水腐蚀性的结构用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069981B1 (ko) 황화수소를 포함하는 응축수 분위기에서 내식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42774B1 (ko) 내해수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강 및 그 제조방법
CN114250409B (zh) 一种耐海洋大气腐蚀的容器罐箱用钢板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