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398B1 - 버스의 플로어 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플로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398B1
KR101125398B1 KR1020100061451A KR20100061451A KR101125398B1 KR 101125398 B1 KR101125398 B1 KR 101125398B1 KR 1020100061451 A KR1020100061451 A KR 1020100061451A KR 20100061451 A KR20100061451 A KR 20100061451A KR 101125398 B1 KR101125398 B1 KR 101125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bus
lower frame
present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916A (ko
Inventor
이경호
선동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3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의 상부 플로어(10) 일측에 연결부재(100)가 구비되어 버스 조립에 의한 상부 플로어(10)와 하부 프레임(20) 접합 시 상기 하부 프레임(20)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100) 상단에는 플로어부재(110)가 장착되어,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20)에 사용되는 부재를 일체화시켜 부품의 경량화를 실현하고, 프레임 상면에 장착되는 배선 및 배관에 대한 간섭을 개선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용접이 아닌 볼트를 통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하여 차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플로어 구조{Structure of bus floor}
본 발명은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 조립 시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의 접합과정에서 프레임 상면에서 발생하는 배선 및 배관에 대한 간섭을 개선시키는 동시에,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 사이에 중복되는 부품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많은 사람을 한꺼번에 수송하기 위한 대형 자동차로서, 상기 버스는 프런트 바디, 리어 바디, 사이드 바디로 크게 구분되어 분할 결합 방식을 통해 조립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버스의 바디 하측에는 바디 전체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2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상면에는 상부 플로어(10)가 설치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로어(10)에는 버스의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3피스로 된 두 줄의 플로어 레일(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플로어 레일(11)의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멤버(12)가 결합되며, 상기 플로어 레일(11)의 각각 외측에는 다수의 크로스 멤버(13)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크로스 멤버(13)의 양측은 버스의 바디를 형성하는 사이드 바디(미도시)와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 바디 내에는 측면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한다.
한편, 버스 조립은 상부 플로어(10)를 하강시켜 하부 프레임(20)과 접합하는 과정을 통해 진행되는데 상기 하부 프레임(20) 상면에는 여러 종류의 배선 및 배관이 장착되어 있어 복잡한 과정을 통해 조립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 결과, 종래의 버스는 조립 작업 시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의 접합 과정에서 프레임 상면에 장착되는 배선 및 배관의 간섭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 사이에 체결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중복되는 부품이 구비됨으로 인해 제품의 중량과 재료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 조립 시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의 접합과정에서 프레임 상면에 장착되는 배선 및 배관에 대한 간섭을 개선시키는 동시에,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 사이에 중복되는 부품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버스의 상부 플로어 일측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버스 조립에 의한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 접합 시 상기 하부 프레임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 상단에는 플로어부재가 장착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에 사용되는 부품을 일체화시켜 차체의 경량화를 실현하고, 하부 프레임 상면에 장착되는 배선 및 배관에 대한 간섭을 개선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용접이 아닌 볼트를 통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하여 차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버스의 하부 플로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버스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서 연결부재와 플로어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서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의 접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서 연결부재와 플로어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서 연결부재와 플로어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서 연결부재와 플로어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서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의 접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서 연결부재와 플로어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의 상부 플로어(10) 일측에 연결부재(100)가 구비되어 버스 조립에 의한 상부 플로어(10)와 하부 프레임(20) 접합 시 상기 하부 프레임(20)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100) 상단에는 플로어부재(110)가 장착되어 부품의 경량화 및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차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의 상부 플로어(10) 일측에 연결부재(100)가 구비되어 버스 조립에 의한 상부 플로어(10)와 하부 프레임(20) 접합 시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20)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00) 상단에는 플로어부재(110)가 장착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부품의 경량화를 실현하고, 상부 플로어(10)와 하부 프레임(20)을 일체화하여 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00)와 플로어부재(110)는 볼트를 통해 상호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재(100)와 플로어부재(110) 사이의 체결력과 강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용접이 아닌 볼트를 통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하여 차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00)와 플로어부재(110)는 가이드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부 플로어(10)와 하부 프레임(20) 접합 시 프레임 상면에 장착되는 배선 및 배관에 대한 간섭을 개선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조립에 의한 상부 플로어(10)와 하부 프레임(20) 접합 시 연결부재(100)와 플로어부재(110)가 볼트 체결을 통해 장착되어 대형 차량인 버스의 부품을 줄이고 차체 무게를 경량화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플로어(10)와 하부 프레임(20)을 일체화함으로써 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100)와 플로어부재(110)가 볼트를 통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강성을 증대시키고 차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가이드레일 형상의 연결부재(100)와 플로어부재(110)를 통해 프레임 상면에 장착되는 배선 및 배관에 대한 간섭을 개선하여 조립 시 배선 및 배관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버스의 플로어 구조는 버스의 상부 플로어 일측에 연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 상단에는 플로어부재가 장착되도록 하여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에 사용되는 부재를 일체화시켜 부품의 경량화를 실현하고, 프레임 상면에 장착되는 배선 및 배관에 대한 간섭을 개선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용접이 아닌 볼트를 통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하여 차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상부 플로어 20 : 하부 프레임
100 : 연결부재 110 : 플로어부재
B : 볼트

Claims (3)

  1. 버스의 상부 플로어 일측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버스 조립에 의한 상부 플로어와 하부 프레임 접합 시 상기 하부 프레임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 상단에는 플로어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플로어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플로어부재는 볼트를 통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플로어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플로어부재는 가이드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플로어 구조.
KR1020100061451A 2010-06-28 2010-06-28 버스의 플로어 구조 KR101125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451A KR101125398B1 (ko) 2010-06-28 2010-06-28 버스의 플로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451A KR101125398B1 (ko) 2010-06-28 2010-06-28 버스의 플로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16A KR20120000916A (ko) 2012-01-04
KR101125398B1 true KR101125398B1 (ko) 2012-03-27

Family

ID=4560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451A KR101125398B1 (ko) 2010-06-28 2010-06-28 버스의 플로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3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562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버스용 플로워구조
KR20030095052A (ko) * 2002-06-11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플로어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562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버스용 플로워구조
KR20030095052A (ko) * 2002-06-11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플로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16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7881B2 (en) Lower vehicle body structure for vehicle
US10486515B2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US8894130B2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WO2008132909A1 (ja) 車両用フロア構造
KR101361372B1 (ko) 자동차용 펜더패널 조립 장치
CN107985132A (zh) 安装汽车座椅的组合梁及汽车座椅安装结构
CN202279156U (zh) 低入口全承载式公交车车身结构
CN204354854U (zh) 汽车前座椅安装结构
CN105416314A (zh) 一种有轨电车驾驶室
KR101734580B1 (ko) 자동차용 센터필러 패널
KR101856240B1 (ko) 쇽업쇼버 하우징 및 그의 체결구조
KR101530040B1 (ko) 트럭 적재함의 플로어패널
JP2013184503A (ja) ルーフサイドレールとルーフパネルの接合構造
KR101125398B1 (ko) 버스의 플로어 구조
JP2008260448A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JP2013144501A (ja) 車体構造
CN202608535U (zh) 发动机侧悬置安装支架
KR20110072904A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의 조립구조
CN112714737B (zh) 车身下部结构
JP2015020574A (ja) 車両のフェンダーパネル支持構造
KR101592115B1 (ko) 자동차용 리어 임팩트 빔 결합구조
CN205769619U (zh) 连接件及车身纵梁及轮罩组件
KR101673341B1 (ko) 차체 멤버 연결구조
KR101601305B1 (ko) 버스의 풀모노코크 구조
CN213008406U (zh) 一种地板横梁安装结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